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域 이벤트事業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 이벤트 企劃擔當者의 認識을 中心으로

        이원희 東國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역 이벤트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1개의 지방자치단체와 19개의 이벤트 대행회사를 중심으로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지역 이벤트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이벤트 사업의 추진과정, 기대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본 연구의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역 이벤트 사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이벤트 추진과정에 있어서의 지방자치단체와 이벤트 대행회사들간의 인식의 차이점에 있어서는 기획단계, 연출단계, 홍보단계, 비용조달 단계 그리고 사후평가단계 등 모든 단계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벤트 대행회사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긍정도의 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 이벤트 사업의 기대효과에 대한 평가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기대효과를 다소 긍정적으로 보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이벤트 대행회사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견해가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 이벤트 사업의 문제에 대한 평가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문제점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벤트 대행회사의 경우에는 문제점이 많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 이벤트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면 다음과 몇가지 사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 이벤트 사업을 활성화 및 성공시키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나 이벤트 기획사 등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①명확한 컨셉과 목적이 분명해야 하며, ②기획입안의 단계에서 전문가의 참가가 괼요하며, ③지역 이벤트 사업 실행 조직 구축과 책임 체제를 구축해야 하며, ④독창적이고 매력적인 이벤트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지역 이벤트 사업의 개선방안으로는 ①다양한 홍보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②조직내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며, ③비용조달의 다원화가 필요하며, ④지역 이벤트 개최 시기를 고정화할 필요가 있으며, ⑤행정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a point of cognitive different upon the general actual-conditions, process forwarding an event business, expectative effect and the point at issue for the events in regions performing a regional event at the present time centering around 19 event agents and 21 local governments so as to explore a reform measure for the local event business of a local government. The conclusions obtained by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whole local governments indicated the positive reflections on all the aspect of planning, presentation, raising funds and post evaluation steps etc., about a process forwarding regional events, however the event agents showed the strong negative reflections on them relatively as a point of cognitive different between the event agents and the local governments. Secondly, the local governments strongly indicated trending toward a little positivity to an expectative effect, however the event agencies strongly showed a point of negative view as evaluation of an expectative effect in a regional event business. Thirdly, the local governments strongly indicated trending toward scarcely any problem as evaluation of problems in a regional event business, however the event agencies showed a point of view which has a lot of problems. It is able to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to explore a reform measure for the local event business. Firstly,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by a local government and an event planning company in order to activate and succeed a local event business are as in the following, 1. To clarify concept and purpose. 2. To nee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from planning and drafting steps. 3. To establish a business performance organization and a responsible system for the regional events. 4. To make a unique and charming event. Secondly, The reform measures of the regional event business are as follows, 1. To need to draw up the plans of a various public relations 2. To need a prompt supply of expert manpower to an organization 3. To need to diversify a fund-raising 4. To need to fix the period in which holds a local event 5. To need an administrative reform measure.

      •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모발화장품 임상효능 연구

        박미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895

        Recently, natural materials have been used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And the studies utilizing natural materials are being conducted widely both in South Korea and elsewhere. Local specialty products, which are a type of such natural materials, are now being used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manufacturing to provide various benefits and effects while boosting the income of farmers. On the other hand, the aging of society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economy. The resultant stress and other harmful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hair loss patients. As a result, mor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natural ingredients of shampoos. Especially eels are one of the natural materials that are beneficial to preventing hair loss and reinforcing the natural materials that are beneficial to preventing the scalp.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xpectations and awareness level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utilizing local specialty products in the localities with local specialty products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o the initial human irritation test of the ‘Eel Shampoo with Hongsam’ products, by means of applying the shampoo product on the skin and the human test for the efficacy based on the scalp efficacy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vestigation of the expectations and awareness among farmers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utilizing local specialty product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develop the products that are based on local specialty products was low,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level of utilization of local specialty products and the awareness level of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Project was no higher than mediocre. When asked about possible improvements in the futu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high value-added products,’ while the awareness level of the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local specialty products was low. The level of trust in the cosmetic products containing local specialty products and the expectation in their utility in increasing the income were no higher than mediocre. However, many respondents thought local specialty product cosmetics were effective cosmetic products, while they believed that the points to be emphasized and the cause of selecting such products should be efficacy and benefits. Also, depending on the age, gender, level of education, and annual income of the producers of local specialty products, the expectation and level of awareness of the production,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showed partial differences. Also, the producers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the Agricultural Convergence Project we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view in general on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 products utilizing local specialty product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body parts that could benefit most from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utilizing local specialty products, the level of expectation for the head (scalp)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ge, gender, annual income, and awareness level of the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ad (scalp) was the body part that was the most expected for the benefits from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 products utilizing local specialty product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human test to en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shampoo products, which is a cosmetic product developed to be used on the scalp based on the ideas of the producers of the local specialty products on the cosmetic products developed by the local specialty product, which was eels. First, the human application test through skin application involved 32 participants and was conducted over three days. With the visual assessment by a dermatologist, the irrita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study product, and it was shown that the product in question was of a low irritation level. Second, 22 participants who had reddened scalps with high sebum secretion and keratin participated in the test to use the study product for four weeks (28 days). In this test, the improvements of the sebum in scalps, keratin improvement, and scalp-soothing effec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product. The study product compliance rate was 99.35%, and the reduction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scalp sebum and scalp keratin, along with a significant soothing effect, after four weeks of using the products. Third, a visual evaluation and an interview on the adverse events in the spots of applications of the study projects showed that there were no adverse skin events. A survey of the participants after using the study products showed that, in four weeks of using the products, there were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the moistness of the scalp, freshness, rinsing, scent, and overall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products, which was shampoo with eel material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calp sebum and keratin while soothing the scalp after four weeks of use. Also, the extract from eels, which are a local specialty product, is believed to have potential as the raw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 products.

      • Narrative Text Generation via Latent Embedding from Visual Stories

        허민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891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tory is essential to make humans unique from other primates as well as animals. The capability of story understanding is crucial for AI agents to live with people in everyday life and understand their context. However, most research on story AI focuses on automated story generation based on closed worlds designed manually, which are widely used for computation author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on story corpora face similar problem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omitting details and commonsense knowledge. Since the remarkable success of deep learning on computer vision field, increasing our interest in research on bridging between vision and language, vision-grounded story data will potential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ory understanding and narrative text generation. Let us assume that AI agents li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ensing information is input by the camera. Those agents observe the surroundings, translate them into the story in natural language, and predict the following event or multiple ones sequentially. This dissertation study on the related problems: learning stories or generating the narrative text from image streams or videos. The first problem is to generate a narrative text from a sequence of ordered images. As a solution, we introduce a GLAC Net (Global-local Attention Cascading Network). It translates from image sequences to narrative paragraphs in text as a encoder-decoder framework with sequence-to-sequence setting. It ha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images, and recurrent neural networks for text generation. We introduce visual cue encoders with stacked bidirectional LSTMs, and all of the outputs of each layer are aggregated as contextualized image vectors to extract visual clues. The coherency of the generated text is further improved by conveying (cascading)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sentence to the next sentence serially in the decoders.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it on the Visual storytelling (VIST) dataset. It outperforms other state-of-the-art results and shows the best scores in total score and all of 6 aspects in the visual storytelling challenge with evaluation of human judges. The second is to predict the following events or narrative texts with the former parts of stories. It should be possible to predict at any step with an arbitrary length. We propose recurrent event retrieval models as a solution. They train a context accumulation function and two embedding functions, where make close the distance between the cumulative context at current time and the next probable events on a latent space. They update the cumulative context with a new event as a input using bilinear operations, and we can find the next event candidates with the updated cumulative context. We evaluate them for Story Cloze Test, they show competitive performance and the best in open-ended generation setting. Also, it demonstrates the working examples in an interactive setting. The third deals with the study on composite representation learning for semantics and order for video stories. We embed each episode as a trajectory-like sequence of events on the latent space, and propose a ViStoryNet to regenerate video stories with them (tasks of story completion). We convert event sentences to thought vectors, and train functions to make successive event embed close each other to form episodes as trajectories. Bi-directional LSTMs are trained as sequence models, and decoders to generate event sentences with GRUs. We test them experimentally with PororoQA dataset, and observe that most of episodes show the form of trajectories. We use them to complete the blocked part of stories, and they show not perfect but overall similar result. Those results above can be applied to AI agents in the living area sensing with their cameras, explain the situation as stories, infer some unobserved parts, and predict the future story. 스토리를 이해하는 능력은 동물들 뿐만 아니라 다른 유인원과 인류를 구별짓는 중요한 능력이다. 인공지능이 일상생활 속에서 사람들과 함께 지내면서 그들의 생활 속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토리를 이해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스토리에 관한 연구는 언어처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전에 정의된 세계 모델 하에서 좋은 품질의 저작물을 생성하려는 기술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스토리를 다루려는 시도들은 대체로 자연어로 표현된 데이터에 기반할 수 밖에 없어 자연어 처리에서 겪는 문제들을 동일하게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정보가 함께 연동된 데이터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딥러닝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시각과 언어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다. 연구의 비전으로서,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주변 정보를 카메라로 입력받는 환경 속에 놓여있는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안에서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주변을 관찰하면서 그에 대한 스토리를 자연어 형태로 생성하고, 생성된 스토리를 바탕으로 다음에 일어날 스토리를 한 단계에서 여러 단계까지 예측할 수 있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사진 및 비디오 속에 나타나는 스토리(visual story)를 학습하는 방법, 내러티브 텍스트로의 변환, 가려진 사건 및 다음 사건을 추론하는 연구들을 다룬다. 첫 번째로, 여러 장의 사진이 주어졌을 때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 텍스트를 생성하는 문제(비주얼 스토리텔링)를 다룬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글랙넷(GLAC Net)을 제안하였다. 먼저, 사진들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컨볼루션 신경망, 문장을 생성하기 위해 순환신경망을 이용한다. 시퀀스-시퀀스 구조의 인코더로서,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의 표현을 위해 다계층 양방향 순환신경망을 배치하되 각 사진 별 정보를 함께 이용하기 위해 전역적-국부적 주의집중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여러 문장을 생성하는 동안 맥락정보와 국부정보를 잃지 않게 하기 위해 앞선 문장 정보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위 제안 방법으로 비스트(VIST) 데이터 집합을 학습하였고, 제 1 회 시각적 스토리텔링 대회(visual storytelling challenge)에서 사람 평가를 기준으로 전체 점수 및 6 항목 별로 모두 최고점을 받았다. 두 번째로, 스토리의 일부가 문장들로 주어졌을 때 이를 바탕으로 다음 문장을 예측하는 문제를 다룬다. 임의의 길이의 스토리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서 예측이 가능해야 하고, 예측하려는 단계 수에 무관하게 작동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순환 사건 인출 모델(Recurrent Event Retrieval Models)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은닉 공간 상에서 현재까지 누적된 맥락과 다음에 발생할 유력 사건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도록 맥락누적함수와 두 개의 임베딩 함수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이미 입력되어 있던 스토리에 새로운 사건이 입력되면 쌍선형적 연산을 통해 기존의 맥락을 개선하여 다음에 발생할 유력한 사건들을 찾는다. 이 방법으로 락스토리(ROCStories) 데이터집합을 학습하였고, 스토리 클로즈 테스트(Story Cloze Test)를 통해 평가한 결과 경쟁력 있는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임의의 길이로 추론할 수 있는 기법 중에 최고성능을 보였다. 세 번째로, 비디오 스토리에서 사건 시퀀스 중 일부가 가려졌을 때 이를 복구하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각 사건의 의미 정보와 순서를 모델의 표현 학습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은닉 공간 상에 각 에피소드들을 궤적 형태로 임베딩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를 재생성을 하여 스토리 완성을 할 수 있는 모델인 비스토리넷(ViStoryNet)을 제안하였다. 각 에피소드를 궤적 형태를 가지게 하기 위해 사건 문장을 사고벡터(thought vector)로 변환하고, 연속 이벤트 순서 임베딩을 통해 전후 사건들이 서로 가깝게 임베딩되도록 하여 하나의 에피소드가 궤적의 모양을 가지도록 학습하였다. 뽀로로QA 데이터집합을 통해 실험적으로 결과를 확인하였다. 임베딩 된 에피소드들은 궤적 형태로 잘 나타났으며, 에피소드들을 재생성 해본 결과 전체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위 결과물들은 카메라로 입력되는 주변 정보를 바탕으로 스토리를 이해하고 일부 관측되지 않은 부분을 추론하며, 향후 스토리를 예측하는 방법들에 대응된다.

      • Secure Event-Triggered Distributed Finite Memory Localization for Multiple Robots Under Cyber Attack

        Ko, Ju Yeon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78

        In this thesis, we study the secure event-triggered distributed finite memory localization (SEDFML) problem for multiple robots under cyber attack. First, we propose a finite memory-based event-triggering mechanism to reduce the transmission rate and guarantee localization performance. We also consider a scenario where an attacker can independently launch randomized denial-of-service (DoS) and deception attacks on the transmission channels. We designed a secure distributed finite memory localization for multiple robots under such cyber attack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event-triggering mechanism can effectively reduce transmission. We also show that the proposed localization algorithm can reduce the impact of cyber attacks through the Frobenius norm minimization problem.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공격을 받는 다중 로봇에 대한 보안 이벤트 트리거 분산 유한 메모리 위치 추정 문제를 연구한다. 먼저 통신 부담 감소 및 위치 추정 성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유한 기억 구조 기반 이벤트 트리거링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공격자가 통신 채널에 대해 서비스 거부 공격 및 기만 공격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중 로봇을 위한 보안 분산 유한 기억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프로베니우스-노름 최소화 문제를 통해 사이버 공격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이벤트 트리거링 메커니즘은 위치 추정 성능을 보장하면서 전송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세 대의 이동 로봇을 이용한 실제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입증한다.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ng-Range Transport of PM2.5 Measured in Three Cities (Beijing, Seoul and Nagasaki)

        정승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876

        PM2.5 was sampled in Beijing from November 2014 through April 2015, in Seoul from September 2013 through May 2015, and in Nagasaki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5 during the GRL (Global Research Lab) monitoring campaigns. Chemical species of PM2.5 including 3 water-soluble ions (NO3-, SO42-, NH4+), Organic Carbon (OC), Elemental Carbon (EC), and other 17 elements were analyzed. High Concentration Events (HCEs) of PM2.5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NAAQS) of 24-h PM2.5 standard in three countries (China, South Korea and Japan) over the monitoring campaigns. From the Residence Time Analysis (RTA) results, the HCEs of PM2.5 in Beijing were observed for 52 days (out of total 111 sampling days) and 14 days were determined as Long-Range Transport (LRT) events. In Seoul, HCEs were observed for 92 days (out of total 279 sampling days) and LRT events occurred for 64 days. In Nagasaki, only 15 days (out of total 245 days) were determined as the HCEs and LRT events occurred for 13 days. PM2.5 average concentrations of Beijing, Seoul, and Nagasaki were found to be 118, 44, and 18 μg/m3 over the study period.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PM2.5 chemical species during each classified events, for LRT event, PM2.5 mass levels were found to be 151, 79, and 48 μg/m3 in Beijing, Seoul, and Nagasaki, whereas for the Local event, PM2.5 levels were 238, 65, 48 μg/m3 in Beijing, Seoul, and Nagasaki.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sulf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air parcels moved towards the coastline of China and the Yellow Sea. In case of LRT event and Local event in three cities (Beijing, Seoul and Nagasaki), the PSCF results showed the different potential sources regions contributing to the elevated PM2.5 concentrations at each sampling site.

      • Sound Event Localization and Detection Using Dual Cross-modal Attention and Parameter Sharing

        Sang Hoon Lee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62

        Sound event localization and detection is a joint task that unifies sound event detection and directions of arrival (DOA) estimation. It is reasonable to combine detection and localization by estimating the temporal and spatial locations of the targe events since sound of an event is transmitted to microphones from the corresponding source at a specific direction. The task has become a popular topic so that it was introduced into the challenge on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coustic Scenes and Events (DCASE) Task3 in 2019.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based on dual cross-modal attention (DCMA) and parameter sharing to simultaneously detect and localize sound events. Furthermore, we introduce various data augmentation methods and diverse types of acoustic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ed the baseline method significantly. In addition, our model adopting the track-wise output format achieved much larger LR_CD than the highly ranked systems in the challenge.

      •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시공간적 주의 결함에 의한 신경활동 변화

        허성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4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ural activity that reflects the inhibition of return (IOR) effect in idiopathic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RBD) patients by observing the electroencephalogram characteristics induced when performing tasks that induce visuospatial attention. 60-channel electroencephalograms (EEGs) were recorded during visuospatial attention task from 19 normal (age: 63.47 ± 7.37 years) and 16 iRBD patients (age: 64.94 ± 6.92 years). Mass un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vent-related potential and time-frequency characteristics of EEGs to find the time period reflecting the IOR effect. Source localiz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current densities of the cerebral cortex from EEGs, and the time-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ensities were calculate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cortical regions in which the signal source current densit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reflecting IOR effect appeared only in the normal controls but not in the iRBD patients. In the normal control, the current density of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 (IFG), theta-band event-related synchronization (theta ERS) of the right primary visual cortex (V1), and the beta-band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beta ERD) of the right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and right cingulate gyrus (CG) were observed to reflect the IOR effect. But these neural activities did not appear in iRBD patient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FG assists attention reorienting, theta ERS of V1 reflects selective attention, and the beta ERD of the SMA and CG reflects the response preparation and execution,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gression suppression effect. In this study, it was inferred that the absence of the IOR effect in iRBD patients was due to the deficit of attention reorienting, selective attention and response preparation and execution in the IFG, V1, SMA and CG.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주의를 유발하는 과제 수행 시 유발되는 뇌전도의 신호원 특징을 관찰함으로써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idiopathic rapid-eye movement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RBD) 환자군에서 회귀억제 효과가 없어지는 원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iRBD 환자 16명(64.94 ± 6.92세)과 정상인 19명(63.47 ± 7.37세)을 대상으로 시공간적 주의를 유발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 60채널 뇌전도를 기록하였다. 뇌전도 특징으로 사건관련전위와 시간-주파수 특성을 계산하였고, 뇌전도로부터 신호원 전류밀도 신호를 추정한 뒤 신호원 신호 특징으로 사건관련 전류밀도와 시간-주파수 특성을 계산하였다. 정상적인 뇌활동에서 회귀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구간을 찾기 위해 정상 대조군의 뇌전도 특징에서 실험 조건 간 대량일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시간구간에서 신호원 신호 특징의 회귀억제 효과가 정상 대조군에서만 나타나고 iRBD 환자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피질영역을 조사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집단 및 실험 조건 간 상호작용이 유의한 영역에서 정상 대조군은 좌측 하전두이랑의 전류밀도(t=-2.348, p=0.031), 우측 일차시각피질의 세타대역 파워 증가(t=5.006, p<0.001), 우측 보조운동영역(t=-5.289, p<0.001) 및 띠이랑(t=-4.443, p<0.001)의 베타대역 파워 감소가 회귀억제 효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iRBD 환자군에서는 회귀억제 효과를 반영하는 신경활동이 나타나지 않았다(t=1.614, p=0.127; t=1.707, p=0.109; t=-0.842, p=0.413; t=0.355, p=0.727). 선행 연구를 통해 하전두이랑의 전류밀도는 주의 재정향을 보조, 일차시각피질의 세타대역 파워 증가는 선택적 주의, 보조운동영역 및 띠이랑의 베타대역 파워 감소는 반응 준비 및 실행을 반영하며 이는 모두 회귀억제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RBD 환자군의 회귀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은 cue방향에 대한 주의 억제의 결함 또는 하전두이랑, 일차시각피질, 보조운동영역 및 띠이랑에서 주의 재정향, 선택적 주의, 반응 준비 및 실행 기능의 결함으로 인한 것임을 유추하였다.

      • 문화 이벤트 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최화열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67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event industrie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t this moment when the local autonomy is being rooted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use the local cultural event industries for the promotion of local economy.Now when every nation in the world faces the waves of marketing opening with a rapid paradigm shift, it is deemed essential to preserve our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further make use of them to help our local economy activated spontaneously. Then, we would be able to design a better future of ours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citizens and local administrations.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ways to make use of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particularly the local festivals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First, it is essential to distribute local festivals throughout the year and thereby, extend the tourism season or shorten the off-season period. Second, it is necessary to link the festivals with the sight-seeing destinations around them or other tourism industries. Third, local administrations should join hands with citizens for smooth organization of festivals and more exhilarated festive mood. Fourth, the local festival should have clear and common themes. Fifth,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trained to plan and organize the local festivals to be more attractive. Sixth, specific PR strategies should be unfolded to activate the festivals.Lastly, the researcher examined our local cultural festivals for the period of this study only to have a clear picture of our local cultural administr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conducive to promotion of local cultural event projects and systematic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rethrough. 본 논문은 지방자치시대가 본격적인 정착기에 들어서는 단계에서 문화적 차원관점에 초점을 두어 국내외의 문화 이벤트 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 이벤트 산업의 활용방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방안을 연구하였다.지역문화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지역경제데 대한 필요성 및 활성화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선행연구들의 심층 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국내외를 다니며 직접 지역문화 자원들을 살펴본 후 모든 문화자원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나 시간 ‧ 공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문헌분석을 통하여 연구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지역문화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현재 우리나라에서 거론되어지고 있는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을 시도해 오고 있으나 대다수 연구들은 지역 문화자원에 포괄적으로 논의되어져 왔다. 그러하기에 본 연구의 주제는 지역축제를 좀 더 심층적으로 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겠다고 볼 수 있으며, 지역 문화자원 활용방안의 연구는 다소 심층적으로 한 결과가 없기에 연구자는 최대한 실질적 차원에서 접근하려고 노력을 하였다.분석과정에서 요인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자원 활용요인과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과의 관계를 가설을 통하여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가설이 채택이 되어 연구자가 의도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세계적으로 개방의 물결과 변화의 패러다임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문화적 측면에서 우리의 자원을 소중히 여기고 이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하여 자생적인 지역분위기를 조성해 나간다면 지역주민과 지방정부의 상호협력속에서 보다 나은 미래를 설계하는 데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의 핵심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자원 중 축제와 관련한 구체적 활용방안으로 첫째, 국내의 축제들의 개최시기를 분산시켜 지역 관광의 성수기를 연장하여 비수기를 타개하여야 한다. 둘째, 축제의 개최지역과 지역주변의 관광지 또는 기타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해야만 한다. 셋째, 축제를 민과 관이 공동주최 함으로써 축제진행의 원활함과 동시에 축제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넷째, 분명하고도 공유할 수 있는 테마가 있는 지역축제를 기획해야만 한다. 다섯째, 축제의 기획 및 진행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만 한다. 여섯째,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구체적 홍보 전략을 구축해야만 한다.끝으로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는 기간 지역문화축제 사례를 통하여 국내 지방문화행정의 현 주소를 살펴볼 수 있으며, 향후 발전방안을 구상하여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에 향후 지역문화 이벤트 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나아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