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손실에 관한 공법적 연구

        배명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3279

        <Abstract> As seen in the recent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ver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Miryang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it is hard to smoothly execute national projects without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us, 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secured only when the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re resolved and the society is consolidated by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So institutional·juridical provisions and solutions for the conflict resolution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loss that causes conflicts is conceptually defined as "Worsenment".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the legislations and principles of the loss compensation has focused on expropriation compensations so far. Therefore, the infringement of the residents' property rights on the non-preference facilities that are not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execution of numerous public projects. It has never been observed under compensation legislations and principles that cover only compensation for direct infringement on the property right, and even there hasn't been any question posed. This stems from the dualistic perspective that project operators take on worsenment, seeing them as 'social constraints and not special sacrifice'.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worsenment, based theoretically on transition tendency of the Constitution's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nd the object of compensation for loss. To seek a way to legislate the compensation for damage on worsenment, the public projects were categorized into electric source development(Type 1), construction of dams and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ies(Type 2), and noise·waste treatment facilities(Type 3).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were compared and differentiated. Also, the present legislations on worsenment were examined to find the legal basis. A possibility to solve the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examined by the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for loss or damages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regulating the discretion of planning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 from worsenment and introducing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The first principle is a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so that the landowners of the planned district and the third parties from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can procedurally participate from the establishment step of the administrative plans. The next step was a research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s to compensate for the worsenment to persons suffering from loss or damage. As the cause for loss is different from each type, the method of protecting rights must also be legislated differently. Thus, they should be solved through different methods, like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compensation for damage·loss system, etc. Even if they were of the same type, there were problems of fairness of each legisl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was legislated, and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along with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s especially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the U.S. regarded it as special sacrifice if it was regulatory takings and as social constraints if it was general police power, and introduced inverse condemnation similar to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t is examin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ropriation infringement theory, an unpredictable and random infringement, to the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worsenment. Compared to the current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is related to ① indirect loss, ② social restraint and not special sacrifice, ③ those not object to expropriation, ④ theory of legislation on compensation of loss for the third parties of administrative actions with the third party effect. It is proved that the legitimacy and practicality of preparing funding through studying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the exclusion of development gains and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nd introduced; a revision of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introducing the definitions of betterment and worsenment, the definition of non-preference facilities, the definition of landowners and the concerned who reside outside of the public project districts that have the status of the third parties, clarification·systemization of public projects, and instituting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Introduction of regulation on conflict impact analysis·worsenment, the need for legislating "Military Noise Control Act"(tentative), and the need for revising related law on request for purchase system, etc. are also suggested. Along with thi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as sought for so as to substitute lawsuit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senment was defin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The subject of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the third party that is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unlike the case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From the very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ve plans, procedural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proposed problems and suggested enhanc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based on related legislation. It proposed a practical theory of legislation and the legitimacy of funding for legislations on worsenment. It is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when public benefit is acknowledged through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e sufferer of loss shall receiv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justice·fairness and the nation or project operator shall ease of the burden to prepare funding for the revised legislation. <국문초록> 최근에 밀양송전탑 건설 등 국책사업으로 야기된 공·사익 갈등의 예에서 보듯이 국책사업의 원활한 시행은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지 아니하고는 매우 어렵게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즉, 국민의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만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갈등해소를 위한 제도적·법리적 방안의 접근과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원인이 되는 손실을 개념적으로 지칭할 용어를 “개발손실”로 칭하였다. 연구배경은 지금까지 손실보상 법제나 손실보상 법리는 수용보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었다. 따라서 수용목적물이 아닌 주민이 선호하지 않은 시설의 주변지역 주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보상대상으로 인정하지 않았었다. 개발손실은 지금까지 수많은 공익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나, ‘직접적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만을 논의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 법제와 법리하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은 물론 문제제기도 제대로 되지 않았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개발손실에 대하여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의 문제로만 바라보는 이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헌법상 재산권보장과 손실보상대상의 변천경향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개발손실침해에 대한 손해전보를 개선하여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익사업별로 즉, 전원(電源)개발사업(제1유형), 댐건설 사업과 국방·군사시설사업(제2유형), 소음·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침해시설 사업(제3유형)으로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생활보상이나 간접손실(사업손실)과의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하였다. 이에 더하여 현행 개발손실에 관한 입법 현황을 검토하여 그 법적 근거를 찾는 노력을 하였다. 또, 개발손실에 대한 보상을 행정상 손실보상 및 손해배상의 법리로 해결 가능성 여부도 검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로 인한 공공갈등해소를 위해서 계획재량통제와 차액보상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공공갈등해소 법리로, 첫 번째 사업예정구역 토지소유자와 공익사업지구 밖의 제3자 모두가 최상위 행정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행정절차의 민주화이다. 다음 단계에서 개발손실침해를 당한 자에게 손해를 전보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침해 원인이 다르므로 권리구제의 방법도 다르게 법제화해야 한다. 즉, 주변지역지원제도, 손해배상·손실보상제도 등에 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같은 유형임에도 매수청구제도의 법제화 유무에 따른 각 법률의 형평성이 문제되었고, 특히 매수보상제도 외에도 차액보상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비교법적 검토에서는 미국은 규제적 수용에 해당하면 특별한 희생, 일반적 규제권에 해당하면 사회적 제약으로 보며 매수청구제도와 같은 역수용소송을 소개하였다. 예견할 수 없는 우연한 침해인 수용적 침해이론이 개발손실침해 손해전보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하였으며, 일본의 간접손실 법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개발손실을 유형별로 법제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개발손실은 현행 수용보상과 비교해서 ① 간접적인 침해이고, ②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이며, ③ 수용목적물이 아니고, ④ 제3자효 행정행위에서의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손실보상 입법론에 관한 것이다. 주변지역지원제도와 개발이익배제 및 환수의 연구를 통하여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을 입증하였다. 현행 토지보상법 개정 제안으로 개발이익 및 개발손실 정의, 비선호시설 정의, 공익사업시행지구 밖의 제3자 지위의 토지소유자 및 관계인 정의 신설, 공익사업의 명료화·체계화, 정당보상 실현을 위한 개선, 차액보상 규정 신설 등을 제안하였고, 갈등영향분석·개발손실분석 규정 도입, (가칭)「군 소음법」의 제정 필요성, 매수청구제도 입법개선론 등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더하여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생활보상·간접손실(사업손실)보상과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을 하였다. 개발손실침해 보상의 상대방은 수용보상의 경우와는 달리 공익사업지구 밖의 지역 주민인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자가 중요한 피침해 이익의 당사자임을 주장하였다. 최상위 행정계획 초기단계부터 민간참여를 통한 행정절차와 침해 근거법률의 권리구제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지적하였다. 개발손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한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공·사익 비교형량을 통하여 공익성이 인정되는 비선호시설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개발손실의 피침해자에게는 정의·공평의 원칙에 부합하는 권리구제를 실현해 주고, 국가 및 사업시행자에게는 개정 법률에 따른 재원마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한 제도적 의의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 토지보상법상 공익사업시행지구 밖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박형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74

        The type and scale of public works projects have expanded in recent days, and the technologie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related to such projects have become increasingly sophisticated. As a result, unintended or unexpected outcomes of public works projects are wreaking havoc on the general public, which has increas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However, because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presumes extremely limited compensation with regard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compensations tend not to be made appropriately. As the existing system fails to adequately reflect the reality, significant costs are being incurred by the nation and the entire society due to various conflicts such as civil complaints raised in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and repa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ngible relief to the victims who have suffered damages in connection with disputes arising out of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and also to ensure that public works projects are seamlessly implemented. To this end, an efficient and equitable compens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by clearly defining the fundamental standards for and approaches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theoretical studies into the concept, legal 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have not sufficiently been conducted. In previous discussions on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compensation was implemented selectively in the absence of a clear definition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which inevitably led to confusion with regard to the systemicity of such discussions such as the scope or limitation thereof.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imed to define the systematic position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by taking the concept and the features thereof into consideration. Moreover, in order to resolve fundamental problems, this study has also propos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ith regard to the legislation and policies related to the target and scop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in addition to defining the concept thereof. Meanwhile, under the dualistic framework of “ compensation for losses ”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which is ambivalen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considered as compensation for losses or indemnification for damages. However, as there exists no consentient judgement thereon in cases where there are deficiencies in compensation regulations, resolutions are being made on an ad hoc basi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sought to review the legal principles as to which one of “compensation for losses”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is more effective for practically providing relief to victims in the absence of relevant legal provisions, and also to deduce an agreeable standard by readjus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ompensation for losses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depending on specific circumstances. Additionally, by shedding new light on compensation for the losses that are not presumed by the Land Compensation Act, such as “losses of livelihood or damages of non-property legal profits as a result of indirect infringement,” from the viewpoint of supportive measures such as assistance program for residents, and by attempting to include the legal system for supporting surrounding areas as one of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legal system for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resolve problem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in a more practical manner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rough such attempts, it is expected that compensation for property rights and livelihood, as well as compensation for non-property rights, will co-exist under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rather than under a conflicting relationship, which will like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s among interested parties. 최근 공익사업의 종류와 규모가 확대되고 그 설계와 시공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공익사업의 추진에 있어 기존에 의도되지 않거나 예상할 수 없었던 부수적 결과를 통한 국민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간접손실보상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 또한 점점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현행 토지보상법은 간접손실보상과 관련하여 아주 제한적인 보상만을 예정하고 있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제도가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함에 따라 보배상과 관련된 각종 민원 등의 분쟁으로 국가와 사회 전체가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간접손실을 둘러싼 분쟁에 대하여 피해를 입은 자를 명확하게 구제함과 동시에 공익사업의 시행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간접손실보상을 위한 기본적인 기준과 그 접근방식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효율적이고 공정한 보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는 간접손실보상의 개념, 법적 근거, 성격 등 이론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종래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논의는 이 점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보상이 진행된 결과 그 범위나 한계 등 논의의 체계성에 있어 일정 부분 혼란을 피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간접손실의 개념, 그 전보의 성격에 유념하면서 간접손실보상의 체계적 위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간접손실보상의 개념정의를 비롯하여 그 대상, 범위 등에 관한 입법·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손실보상과 손해배상의 이원적 체계하에서는 양면적 성격을 갖는 간접손실에 대한 전보를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이해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보상규정 흠결 시 이에 대한 일치된 판단이 부재하여 임시방편적 해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법령의 공백 상황에서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양자 중 무엇이 피해자의 실질적인 권리구제 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는지 대해 법리적으로 검토하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양자의 적용범위를 재조정하여 합의가능한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토지보상법이 예정하고 있지 않은 손실 예컨대, ‘간접침해로 인한 생활이익의 상실이나 비재산적 법익의 침해’에 대한 보상을 주민지원사업 등의 지원조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주변지역지원법제를 간접손실보상법제의 한 요소로 포함시켜 재정립을 시도함으로써, 우리 현 법제 내에서 간접손실보상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도모코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재산권보상과 생활보상 나아가 비재산권보상이 서로 충돌적 관계가 아니라 간접손실보상 내에서 상보적 관계로 공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해관계인 간의 분쟁예방과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무허가 건축물에 대한 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김현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019

        무허가건축물에 관한 논의를 위해서는, 먼저 건축허가의 법적 성질과 건축물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은 “① 일정한 공작물로서 토지에 정착할 것, ②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을 것, ③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구조일 것, ④ 자체로서 독립성을 가질 것”이라는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 징표상 건축허가가 필요한 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허가를 받지 않고 건축물이 축조되었다면, 그 건축물은 무허가건축물로서 공법적 규제를 받게 된다. 무허가건축물은 철거명령 및 대집행에 의한 철거의 대상이 되고, 건축주에게 이행강제금 및 형사처벌이 부과되며, 나아가 무허가건축물 내에서 관허사업이 제한되는 등 공법적인 측면에서 열악한 지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불안정한 지위 때문에 무허가건축물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쳐, 공익사업 시행과정에서 무허가건축물 소유자나 임차인이 사법(私法)적으로 정당한 보상을 받는 데에 어려움이 초래된다. 이에 관한 특례 규정으로 토지보상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부칙에 따라 1989년 1월 24일 이전의 무허가건축물에 대한 특별 보호가 이루어졌고, 특정건축물정리법이라는 한시법으로 무허가건축물에 대하여 사용승인을 받을 수 있는 구제책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식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국 무허가건축물 소유자의 재산권 보상, 재개발사업에서 조합원 지위 인정, 생활보상의 각 국면에서, 무허가건축물이라도 구체적·개별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적법한 건축물에 준하여 보상하거나, 그에 약간 못 미치는 정도로 보상하거나, 때로는 아예 보상하지 않는 방향으로 법적 지위가 설정되었다. 공익사업을 위한 수용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무허가건축물에 대한 보상의 경우, 무허가건축물의 부지에 대한 보상과 무허가건축물 자체에 대한 보상의 문제로 나누는 현행 방식에 합리성이 있다. 그렇지만 무허가건축물 자체에 대한 보상을 평가하는 과정에서는, i) 토지소유 여부에 따라 그 지상 무허가건축물의 평가를 달리하는 방안, ii) 무허가건축의 양태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는 방안, iii) 무허가의 불법성 분류에 따라 평가를 달리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무허가건축물 소유자에게 재개발사업에서의 조합원 지위를 인정해줄 것인지에 관한 문제는, 대법원 판례와 도시정비법령 및 조례에 따라 각 개발사업의 정관에서 정하는 방식으로 조합원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는 것으로 일응 정리되었다. 그런데 조합원 지위의 인정 여부에 따라, 무허가건축물 소유자의 지위 간 간극이 극명하게 되므로, 그 가운데에서 제3의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허가건축물 소유자는 국민주택 분양이든 공공임대주택 분양이든 대상자가 될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들에게도 공공임대주택의 입주권을 특별공급 형태로 부여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허가건축물에 대한 생활보상의 국면에서는, 영업손실 보상의 경우, 무허가건축물 소유자도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되 세입자의 경우처럼 상한을 두는 방향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주대책의 경우, 그 취지상 무허가건축물 소유자에게까지 이주정착지를 제공하거나 이주정착금을 지급하도록 할 수는 없으나, 공공임대주택 입주권을 특별공급 형태로 부여함으로써 그 지위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선방향을 통하여, 무허가건축물에 대한 재산권보장 및 생활보상의 과정에서, 법치행정이라는 공적 가치와 헌법상 재산권(제23조) 및 인간다운 생활권(제34조 제1항) 보장이라는 사적 가치가 상호 간에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fore the main discussion, to begin with, it is firstly required to clarify the legal property of the building permits and the concept of buildings. The building is basically supposed to meet these following four requirements that "①as a given workpiece, it should be settled on land, ②it should be equipped with the roofs and the columns or the walls, ③it should be equipped with the structure wherein its residents are able to stay, ④it should have its own independence." If a building might be constructed without any permission, even though the building needs to be approved under these concepts, the building will be subject to the legal regulations as an unauthorized one. As a rule, the unauthorized buildings will be subject to the demolition by the demolition order as well as the vicarious execution, and their builders will be subject to the enforcement penalties and the criminal penalties. As a result, they will have the poor status in terms of the public law, such as the restrictions on the government permit projects within the unauthorized buildings. In addition, this unstable position seems to affect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unlicensed buildings, making it sticky for the owners or the tenants of the unlicensed buildings to receive the due judicial compensa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ublic utilities. Under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and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Enforcement Rules, the special protection was furnished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prior to January 24, 1989, and a temporary law called the Specific Building Rearrangement Act provided the relief measures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to be approved for their us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is method, the legal status was established in each phase of the compensation for the property rights of the unauthorized building owners, the recognition of the membership status in the redevelopment projects, and the compensation for the living compensation, even the unauthorized buildings were compensated in accordance with, or slightly less than, the legitimate buildings in consideration of specific or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e case of the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in the process of the expropriation for the public utilities, there seems to be a rationality in the current method of dividing the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and the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themselves. However, in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themselves, it is absolutely required to take consideration into these three aspects i)how the the official appraisal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on the land rests on whether they are owned, ii)how the official appraisal vari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and iii) how the official appraisal var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llegality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The issue of whether to recognize the status of a membership in a redevelopment project to the owner of an unauthorized building was settled in the form prescrib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of each development project in accordance with the Supreme Court's ruling and the Urban Renewal Act and Ordinance. However, as the gap between the status of the owner of the unauthorized building will be stark depending on whether the status of the union members is recognized, it is thus required to prepare a third alternative among them. Moreover, now that the unauthorized building owners usually do not posess a measure to be eligible for the sale of a national housing or a public rental housing, it is furthermore required to improve the right to move into a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orm of a special supply. There might be some cases where the owner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gets any compensation or indemnification at all. In the context of a living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it is also suggeste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allowing the owners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to be compensated as well as setting an upper limit on them as in the case of the tenants. In the case of the relocation measures and the plan, though it does not seem to be possible to furnish the relocation sites or pay the relocation fees to the owners of the unauthorized buildings for the purpose, it is required to guarantee their own status by granting them the occupancy right to move into a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orm of a special supply. In conclusion, as seen in the above, through these improvements and measures, it is expected that in the process of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and the living compensation for the unauthorized buildings, the balance between the public value of the administration of law and the private valu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property (Article 23) as well as the right of a human and decent life (Article 34 (1)) under the Constitution will be maintained clearly.

      • 수용관련 보상금에 대한 과세에 관한 연구 : 양도소득세와 조세특례제한법을 중심으로

        최인용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833

        대규모 공익사업에 관한 수용을 통한 보상 제도는 헌법에 보장된 재산권에 대한 정당보상의 문제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현실은 보상금등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개별공시지가를 근거로 한 과소보상의 문제로 최근 수년간 국보1호인 남대문의 소실, 용산에서의 대형 참사, 보금자리 주택지구 등에서의 보상대상자의 집단행동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와 적시성을 잃은 공사 지연 등의 문제를 양산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사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부실로 이어지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헌법상 정당보상의 실현은 기본적으로 직접적 보상을 규율하는 토지보상법등의 법률에 의하여 재산권의 보전을 위한 정당보상이 실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익수용과 관련한 헌법상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선연구들을 살펴보고 정당보상을 뒷받침하기 위한 세금의 문제에 대하여 소득세법중 양도소득세 및 조세특례제한법을 위주로 살펴보고 문제점을 정리하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하기로 한다. 본 논문은 수년간 마곡지구, 동탄 2기신도시, 검단2기신도시, 하남미사 보금자리주택 지구에서 토지보상과 관련한 양도소득세 신고등을 통한 다년간의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공익수용과 관련한 헌법상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선연구들을 살펴보고 해외의 사례들을 검토하며, 우리나라의 현재 보상실정에 맞는 정당보상을 뒷받침하기 위한 과세의 문제에 대하여 소득세법중 양도소득세 및 조세특례제한법을 위주로 살펴보고 문제점을 정리하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하기로 한다. 현재 토지보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상주체인 LH공사 및 각 지방자치단체의 부채 증가로 인하여 적시성 있는 현금보상 대신 채권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공시지가에 일정 비율만을 증가시킨 보상금액 산정으로 인하여 토지 소유주들이 정당보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저항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보금자리 주택과 관련한 대규모 보상과 관련하여서 그동안 토지에 대해 이용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기본권이 제한된 토지라는 불이익이 존재하던 곳이다. 이 지역은 대부분 재산세 과세표준을 낮추기 위해 공시지가도 낮게 유지하여 토지소유주들의 불만을 없애기 위한 곳이다. 따라서 공시지가가 낮은 땅에 공시지가에 일정비율을 곱한 기타보정요인에 의하여 보상을 하게 되므로 현장에서의 저항이 크게 나타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장에서의 보상저항은 결과적으로 보상절차가 길어지게 되므로 시간에 따른 기회비용 등이 발생하고 공사가 지연되므로 LH공사 및 각 지방공사들의 부실은 더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 개선점을 논의해 보기로 한다. 첫째, 토지 보상에 대한 감면율은 현금보상과 채권보상에 대해 감면한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데, 이를 조기 보상 신청 대상자들에게 유리하도록 조정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둘째, 감면의 종합한도 규정에 대해 정액한도로 규정되어 있는 것을 고액보상자에 해당되는 대규모 토지지주에 대한 조기보상수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정율 한도를 두어 감면규정을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현재 보상시점은 사업시행인가 시점으로 기산하여 보상금액 산정이 되고 실제 보상은 각 지방자치단체의 보상재원 마련 여부 등에 따라 지연지급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양도소득세의 과세기준은 보상금액을 받거나 등기일중 빠른날로 판단하므로 이에 대한 시차가 있게 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보상시점과 양도시점을 합리적으로 일치시키는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진승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51133

        Acquisition of Land for Public Works and Compensation (‘ land compensation under law ’) Act on the land needed for Public Works or loss due to their use of purchase Matters concerning the compensation due to define and enhancement of public welfare and through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ublic-good projects aimed to promote the proper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Enacted. The old compensation law for land currently on-going and Act on Special Cases in the ninth the Acquisition of Lands for Public Land Expropriation Act, replacing the old by measures enacted by law's Many part follows and 2003. 1. 1. The enforced. Thus the Land Compensation Act implemented the years many revisions have been made, but enactment of the former Land Expropriation Act and the Distri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Acquisition of Lands for Public Act The problem, he would stick to just the same happened and still do not reflect the reality side of the Land Compensation has happened! In particular, a fair compensation, the concept of full compensation actually to identify that as compensation for property rights of inmates most of the Supreme Court precedent and rule of law More fiscal limits on the court`s decision will be called fundamental problem is that it is facing. Gains were unfairly distributed specific elements of the biggest grievance of the inmates as the main problem between neighborhoods, and for problem of unfair redistribution of development gains, which the inmates and project implementer and nearby residents between here and should be resol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equity. Also not compensation would result not only compensation of loss more radical than accept even after acceptance of previous inmates been focused on guarantees of lifeReal representative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be restored by the condition should be complementary. That's, in the state's basic property rights of inmates since in addition to ensuring, where relevant laws, including compensation to the future maintenance means should be ensured that, even right to lifeSuch is life would be overall legislation is needed expansion of compensatory measures.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은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 등을 취득하거나 사용함에 따른 손실의 보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이로 인한 공익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통하여 공공복리의 증진과 재산권의 적정한 보호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토지보상법은 구 토지수용법과 구 공공용지의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례법을 대체하는 법으로 제정됨으로써 구 법령들의 많은 부분을 그대로 계승하여 2003. 1. 1. 시행되었다. 이와 같이 시행된 토지보상법은 그 동안 많은 개정이 이루어져 왔으나 제정 당시 구 토지수용법과 구 공공용지의 취득 및 손실보상에 관한 특례법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토지보상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발생하였다. 특히 정당한 보상의 개념을 피수용자의 재산권에 대한 완전한 보상이라고 밝히면서 실제로 토지보상법의 대부분의 규정과 대법원의 판례 및 헌법재판소의 결정 내용이 보다 더 재산권의 제한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은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피수용자의 가장 큰 불만 요소인 개발이익이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문제점과 인근 주민과의 사이에 개발이익의 불공평한 재분배의 문제가 있으며 이는 피수용자와 사업시행자 및 인근 주민과의 사이에 형평성의 실현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한다. 또한 손실보상이 재산권의 보상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그보다 근본적인 생활의 보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피수용자에게 수용 이후에도 수용 이전의 생활상태를 실질적으로 회복시켜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국가가 피수용자의 재산권을 기본적으로 보장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생활권마저도 보장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향후 정비될 보상관계법령에서는 이러한 생활보상책의 확대 입법이 전반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