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Study on IaaS Cloud Computing Service Pricing
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becomes prevalent in recent years its pricing model becomes the focus of cloud service industry and academia circles. Although IaaS has certain commonness with traditional information products and services, IaaS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s need to develop effective pricing strategies, pricing methods and price competition strategies in order to expand their market share, and consolidate its position in the market, and enhance their own competitive power. In this paper, we focus on IaaS cloud service pricing strategies, pricing methods, and price competition strategies. The main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IaaS cloud computing services’ pricing factors, pricing strategies and pricing methods. Based on the study of Amazon and Microsoft cloud service, we analyze four kinds of pricing strategy: time material pricing strategy, two stage pricing strategy, differential pricing strategy and auction pric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substance of this four pricing strategies, we find out the general uses of three pricing methods on the cloud service market: pay-per-use, subscription and dynamic pricing method. 최근 IaaS가 보편화함에 따라 IaaS의 가격정책이 서비스업계와 학계의 큰 관심사가 되고있다. IaaS 역시 전통적인 정보서비스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는 효과적인 가격전략을 통해 자신의 마케팅 역량을 확대하고 시장에서의 위치도 튼튼히 하고 가격경쟁력도 강화하고자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aaS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격전략과 가격책정방법, 가격경쟁력확보전략에 대해 논하며, 주요 연구주제는 IaaS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가격결정요인, 가격전략, 가격책정방법이다. Amazon 과 Microsoft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가격전략(time material 가격전략, 2단계 가격전략, 차별화 가격전략, 옥션가격전략)을 분석한다. 이 네 가지의 가격전략에 따라 pay-per-use, subscription, dynamic의 세 가지 일반적인 가격책정방법을 살펴보았다.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Load Balanced IaaS Based on Stochastic Petri-Net Model
The term cloud computing is now easily hearable in our day to day life. The cloud can be utilized in many fields. It helps to shift the computing infrastructure to the network for the cost management and maintenance in hardware and software. Also the cloud computing technology is applied to calculate and produce reasonable data from the raw data generated by internet of things (in short IoT) devices. The valuable pattern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data generated by cloud computing system and the patterns can be used to predict the near future. In the history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ten landmark technologies appear and change the landscape dramatically. These technologies have a tremendous impact on the world’s IT applications and service models. These include parallel computing, grid computing, utility computing, virtual computing and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gradually evolved from these techniques but not in a simplistic manner. The industry generally believes that Cloud computing is an integration of other advanced technologies. Cloud comput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frastructure as a Services (IaaS), Platform as a Services (PaaS) and Software as a Services (SaaS). In IaaS, It provides users with computational resources in the form of virtual machine. Whereas PaaS provides the service in the form of development platform and SaaS offer services in the form of application. In case of IaaS cloud system, quality of services (QoS) is needed to integrate business requirements and application level need. 클라우드 컴퓨팅 이라는 용어는 이제 우리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 되었다. 클라우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장비를 가상으로 구현하여 가격과 성능 면에서 이점을 볼 수도 있으며, IoT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처리, 빠른 시간 안에 계산하여 의미 있는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미래를 예측하는데 사용 할 수도 있다. 컴퓨터 공학의 역사를 보면 기술의 발전이 하나의 기술을 통해 크게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기술 또한 컴퓨터 역사에 한 획을 긋는 기술이다. 병렬 처리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버츄얼 컴퓨팅 등은 기술의 발전에 한 획을 그었던 기술들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 모든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용어는 위에 나열된 기술들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 그리고 Software as a Service (SaaS)로 분류된다. IaaS는 가상머신을 통해 특정 리소스를 유저에게 제공을 해주며, PaaS는 프로그램 플랫폼을 제공해주고 SaaS는 유저가 특정 PC에 인스톨을 하지 않고 바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리소스를 제공해야 하는 IaaS의 경우에는 지불한 만큼의 서비스 성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QoS 테스트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분산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디자인할 때는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원 이용에 대한 효율을 고려해야 하며 가상 머신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되었을 때 디자인한 모델과의 충돌이 없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IaaS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petri net 모델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QoS 분석은 오픈 소스인 SPNP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기존의 인터넷 경매 시스템은 에이전트 기능이 부족하여 한번의 접속으로 경매의 전 과정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사용자들은 필요시마다 웹인터페이스에 접근하여 경매의 진행 상황을 확인해야 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인터넷 경매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의 모든 과정을 대행하는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도입한 인터넷 경매 에이전트 시스템 IAAS(Internet Auction Agent System)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IAAS시스템은 협상 에이전트 (Negotiation Agent), 판매 에이전트(Selling Agent) 및 구매 에이전트(Selling Agent)들을 통하여 경매를 대행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판매 및 구매 전략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정보의 송수신을 위하여 푸쉬 에이전트(Push Agent)와 실시간 조회 에이전트(Real time Call Agent)를 통하여 웹 사이트로의 접근 없이 구매 에이전트와 판매 에이전트를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과거의 경매기록을 보전하여 비슷한 경매물품에 대해 기존의 낙찰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입찰 전략 알고리즘을 선택할 때 편의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안 시스템은 한번 접속으로 사용자의 경매에 대한 모든 행위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인터넷 경매 시스템으로 구현되었다. IAAS는 이동성, 확장성 및 에이전트의 특성을 지원하기 위해 자바의 RMI로 구현하였으며, 실시간마다 경매 상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실시간 푸쉬 에이전트는 자바의 소켓(socket)등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웹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속도와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과의 통신 및 확장성을 위하여 자바의 서블릿(Servlet)으로 구현하였다. 전략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어떠한 판매 및 구매 전략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IAAS는 사용자의 참여 없이 사용자를 대신하여 스스로 전체 경매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Because existing Internet auction systems do not support agents that process of the auction regularly. To improve the Internet auction system, we propose and implement Internet Auction Agent System(IAAS). IAAS consists of Negotiation Agent, Selling Agent, Buying Agent, Graphics Agent, Push Agent, and Real Time Agent. Without contacting the Web site, the user can control Selling Agent and Buying Agent. When the user uses IAAS, he can take all the process of auction service at one-step processing. IAAS is implemented in RMI of Java for the mobility, scalability and functionality of an agent, and the Push Agent is implemented in Java socket API. The web interface is implemented in Servlet for the service quality, scalability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multi-agents systems. Because the user can apply any selling or buying strategies throug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IAAS can replace the user's bidding activity and progress all the process of an auction without the user's participation.
서버 플래시 캐시를 이용한 확장성있는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IaaS 클라우드에서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간은 사용자의 QoS 측면 에서 중요하다.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등을 위해 가상머신 디스크를 원격 에 위치시키면 가상머신의 I/O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되어야 한다. 이러 한 환경에서 서버 플래시 캐시가 원격 I/O를 줄이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많은 수의 가상머신이 동시에 프로비저닝 될 때 네트워 크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고 클라우드 시스템의 전체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간이 느려지게 된다. 서버 플래시 캐시에 부팅 시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으면, 추후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 로컬에 있는 서버 플래시 캐 시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기 때문에 원격 I/O를 줄임으로써 빠르게 프 로비저닝 할 수 있다. KVM/QEMU를 수정해서 가상머신 부팅 때 필요한 데이터를 Compute node의 서버 플래시 캐시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였다. 해당 방법을 이용해 가상머신 프로비저닝 시 필요한 데이터들을 Compute node 로컬에 있는 서버 플래시 캐시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게 함으로 써 원격 I/O를 줄일 수 있었다. 실험 결과, 가상머신의 프로비저닝 시간을 최대 64.26% 단축시킬 수 있었다.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에서의 국가핵심기술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국가핵심기술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안 조치의 해석과 책임 분담을 조사하는 걸 목표로 한다. “클라우드에서 국가핵심기술 보호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와 “비슷한 보호조치들의 역할과 책임은 어떻게 나눠져 있을까?”라는 두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인터뷰를 통해 평균값을 계산하여 조항 연결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동의한 조항 연결은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서는 설문을 통해 국가핵심기술 보유기업과 CSP 간 책임비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국가핵심기술 보유기업의 책임이 더 큰 보안조치 항목과 CSP의 책임이 더 큰 보안조치 항목을 도출하였다. 조항별로 책임 비율을 그래프로 시각화한 결과, 보유기업과 서비스 제공 업체 간의 일부 의견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CSP와 MSP의 응답은 유사하지만, 보유기업과의 차이가 큰 조항이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 유형별로 담당자의 의견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국가핵심기술 보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 of security measures for protect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and roles between companies possess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and cloud service provide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How should national core technologies be protected in the cloud?" and "How are responsibilities and roles divided among similar security measure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clause linkage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mean values through interviews, and it was determined that clause linkage with which most respondents agreed was deemed vali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atio of responsibilities between companies possess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and Cloud Service Providers (CSPs) for different security measures. The results revealed the identification of security measures where companies possess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had greater responsibility and security measures where CSPs had greater responsibility.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responsibility ratios for each clause highlighted som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the companies and service providers. While the responses from CSP and MSP were simil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mpanies and CSPs. This suggests variations in opinions among different types of companies,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protecting national core technologies in a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운영 감리 프로세스 정립에 대한 연구
임진섭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2 국내석사
미국의 인터넷 업체 아마존이 2006년 7월부터 아마존 웹서비스를 통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2008년 하반기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이 소개되기 시작하여, 최근 관련 서비스와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범정부 차원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도입을 고려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기존의 물리적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가상 자원단위로 사용자에게 제공 및 회수하게 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비스는 업그레이드 되기도 하고, 더 이상 사용자의 수요가 없는 서비스는 폐기 되기도 하는 서비스 생명주기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에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운영∙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운영환경에 대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도입 후 운영 감리를 위해 정보시스템 감리지침의 시스템운영 감리지침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운영 감리 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생명주기 전반에 대한 고려를 위해, 시스템 운영 감리 시점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감리영역에서 시스템 운영 감리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감리 점검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합적 시스템 운영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정보시스템 감리의 객관성, 편의성, 효율성 확보 및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된 감리점검항목에 대한 산출물을 통하여 객관성과 편의성을 부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도입 이후 정보시스템 운영 감리 사업에 대해 객관적인 시스템 운영 감리 수행에 많은 적용이 예상된다.
Study on Inhibition of Cotyledon Expansion by Auxin Signaling Repressor IAA12 in Arabidopsis
라마다니 자키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Aux/IAA proteins play a crucial role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auxin signaling pathways. The mutations in Aux/IAA genes can lead to significant changes in plant morphology. Among Aux/IAA gain-of-function mutants, iaa12/bdl has been reported with altered cotyledon size. However, the biological function of IAA12 in the regulation of cotyledon size remains elusive. In this study, I hypothesize that IAA12 may negatively affect cotyledon expansion. To test this hypothesis, wild-type plants were grown on media containing an auxin signaling inhibitor, auxinole. Interestingly, the cotyledon size of pla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with auxinole, indicating that auxin signaling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otyledon. Moreover, the palisade and epidermal cell sizes were attenuated, suggesting that Aux/IAA protein inhibits cotyledon development through inhibition of cell expansion. This discover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ux/IAA in maintaining cotyledon size during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triguingly, the IAA12 protein was stably expressed in cotyledon in comparison to other Aux/IAA proteins. The transgenic plants overexpressing IAA12 showed small cotyled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d cotyledon size in the IAA12 loss-of-function mutant. Microscopic analysis validated that IAA12 possesses a negative role in cotyledon expansion by suppressing cell size. In addition, IAA12 down-regulates the transcription of some SAUR genes that are involved in cell wall expansion in the cotyledon.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uxin signaling repressor IAA12 plays a negative role in cotyledon expansion during early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식물호르몬 옥신 반응에서 LATERAL ORGAN BOUNDARY DOMAIN (LBD) 16 과 18 유전자의 기능 분석
식물 성장 호르몬 옥신은 배 형성, 뿌리와 어린 싹 형성, 기관형성, 굴광성, 굴중성, 노화 등에 이르기까지 식물의 생장과 발달 과정의 거의 모든 측면을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옥신 신호전달은 DNA결합 전사 조절자로 작용하는 AUXIN RESPONSE FACTORS (ARFs)와 negative regulator인 Aux/IAA 단백질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다양한 하부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여 옥신 반응을 유도한다. 옥신을 인식하는 방법은 세부적으로 많이 밝혀져 있지만, 옥신 신호전달과정에서 ARF와 Aux/IAA간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한 직접적인 표적 유전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각 개별 표적 유전자의 옥신 반응에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옥신 신호전달과정에서 Aux/IAA와 ARF의 하부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 이전 연구를 통하여 안정화된 iaa1-GR (Park et al., 2002) 단백질에 의해 조절 받는 옥신반응 유전자들이 GeneChip (Affymetrix)분석에 의해 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발달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LATERAL ORGAN BOUNDARIES DOMAIN (LBD)을 가지고 있는 LBD16과 LBD18 유전자를 선택하였다. lbd16과 lbd18 단일 돌연변이체는 야생종과 거의 비슷한 표현형을 보였지만, lbd16 lbd18 이중 돌연변이체는 야생종에 비교해서 측근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고,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을 통한 세포내 위치를 분석한 결과 LBD16과 LBD18 단백질이 핵에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Steroid regulator-inducible system을 이용한 Pro35SLBD16:GR 형질전환 식물체의 경우 Dexamethasone (DEX) 처리에 의해 측근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ro35SLBD18:GR 형질전환 식물체의 경우 DEX 처리에 의해 하배축의 길이, 뿌리의 성장 및 측근의 수가 야생종에 비교하여 억제 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효모를 이용한 전사활성분석을 통하여 LBD16과 LBD18 단백질의 C-terminus 안에 transactivation domain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형질체 transfection 실험을 통해서 LBD16과 LBD18 단백질이 전사 조절인자처럼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LBD16과 LBD18 단백질은 식물체 안에서 측근의 형성을 LBD18 단백질은 이외의 다른 옥신과 관련된 반응도 조절하는 전사 조절인자로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uxin responses are mainly regulated by two protein families named AUXIN RESPONSE FACTORS (ARFs) that function as DNA-binding transcription factors and Aux/IAAs that act as negative regulators of ARFs. While the mechanisms at the auxin perception level are understood in details, pathways downstream of Aux/IAA-ARF proteins during auxin response are largely unknown. To study auxin signaling downstream of Aux/IAA-ARF, we had previously used an inducible system developed for plant cells using regulatory mechanism of the mammalian glucocorticoid hormone receptor (GR), demonstrating that the iaa1 mutant protein with enhanced protein stability impaired a variety of auxin responses by acting as a negative regulator of auxin-responsive pathway. To get insights into signaling downstream of Aux/IAA-ARF in auxin response, effects of DEX-inducible iaa1 on auxin-regulated gene expression had previously been examined particularly focusing on early genes, with the Affymetrix full genome array. I here investigated biological function and mechanisms of the LATERAL ORGAN BOUNDARIES DOMAIN (LBD) genes that had been identified being modulated by Aux/IAA-ARF system, focusing on LBD16 and LBD18. lbd16 and lbd18 single mutant plants appeared similar to wild type. However, lbd16 lbd18 double mutants have reduced lateral root formation than wild type plant at seedling stages. Overexpression of LBD16 in steroid-regulator inducible system stimulated lateral root formation, whereas overexpression of LBD18 inhibited root elongation, lateral-root formation, and hypocotyl formation compared to wild type. GFP-LBD16 and GFP-LBD18 can be localized to the nucleus in Arabidopsis mesophyll protoplasts, indicative of LBD16 and LBD18 as nuclear proteins. Using the yeast system, a putative trans-activation domain was identified the C-terminus of LBD16 and LBD18 proteins. Transient protoplast transfection assays, show that LBD16 and LBD18 can act as transcriptional activators. There results taken together suggest that LBD16 and LBD18 function as transcriptional factors for modulating lateral root formation and other auxin-related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