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4학년 아동의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섭취 빈도와 아동 및 보호자의 정책 인식 비교

        유지혜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the status of consumption of favorite food, and the perception of policy related to favorite food in 4th grade childre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survey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and parents of the nationwid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and their awareness of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recognition, usefulness, necessity, intention to sele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dividing 3 groups into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iddle cities, and small towns and villages(Eup, Myeon). The data of 1,971 children and parents respe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ere analyzed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favorite healthy food intake and the frequency of high-calorie and low-nutrient food consumption by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detail, ‘Soy milk' consumed more in small and middle cities' children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children(p<0.05). And ‘Fruits'(p<0.05) were consumed by the children of special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iddle cities compared with the children of towns and villages(p<0.05). ‘Chocolates and candies’(p<0.01) and ‘Beverages'(p<0.001) were more consumed in small and middle cities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am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more than children in special metropolitan cities(p<0.05). The time spent watching TV, computer, and smartphone use was higher in small towns and villages than that of childre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nutrition education at the school was very low, there was no difference by administration area. In the case of the awareness for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whil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had a lower perception rate than the children in other areas(p<0.05). Children’s awareness in small towns and villages regarding ‘TV advertisement restriction',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areas(p<0.01). In terms of policy-specific usability, children in metropolitan cities showed high awareness, responding that policies such as ‘Green Food Zone’, ‘Exemplary Business Places’, ‘Restrictions on TV advertising’, ‘Restrictions on advertising for free offer’,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on food safety and nutrition’, ‘Prohibition detrimental to children’s emotional health’ were helpful in having healthy eating habits(p<0.05∼0.01).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h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were lower than the children in the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In the ‘Expans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hildr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showed higher awareness(p<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avorite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the policy perception by the guardians(r=0.059∼0.290, p<0.05∼ 0.01). Especially, the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 of children with high calorie and low nutri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ived the policy usefulness by the guardians'(r=-0.051, p<0.05).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children's scho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ealth food consumption(r=0.111, p<0.01), and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in the policy awareness, usefulness and necessity(r=0.097∼0.37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school nutrition education is active, children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behavior and policy to consume more healthy foods than high-calorie and low-nutrition foods. In ad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s policy perceptions and the guardians' perceptions, so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as well as guardians may positively affect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improve healthy food selection and eating habits.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에 따라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의 섭취 빈도, 기호식품의 섭취 관련 현황 및 기호식품과 관련된 정책 인식을 비교하여, 추후 아동의 기호식품 선택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4학년 아동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로 집단을 분류하여 기호식품 섭취 빈도,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식(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선택 의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학부모 각각 1,97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별로 아동의 건강기호식품 섭취 빈도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 빈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두유’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p<0.05), ‘과일류’는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아동들이 읍‧면‧도서벽지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그리고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을 세부적으로 보면 ‘초콜릿‧캔디류'(p<0.01), ‘음료류'(p<0.001)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 ‘라면류’는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특별광역시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대중매체 노출 시간에서 TV시청과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의 사용시간보다 많았다(p<0.01). 기호식품 관련 영양교육을 학교에서 받은 경험으로 행정구역별에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항목별 중 ‘고열량‧저영양 식품’은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경험이 낮게 나타났다(p<0.01).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지도에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의 경우 중소 도시지역 아동들이 다른 지역의 아동들보다 인지율이 낮았으며(p<0.05), ‘TV광고 제한’의 경우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p<0.01). 정책별 유용성에서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우수판매업소’, ‘TV광고 제한’, ‘무료제공 광고제한’, ‘영양정보 표시’,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 ‘정서저해 식품 판매금지’는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0.01). 정책별 필요성 인식에서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며(p<0.01), 항목별로 '학원가를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 ‘인터넷 정보노출 관리 방안 마련', ‘TV광고 제한시간 연장’은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p<0.05~0.01),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을 중‧고등학생 확대’에선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빈도 및 정책 인식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 간의 상관분석에서 아동과 보호자의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및 선택 의향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9~0.290, p<0.05~0.01). 이 중 아동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빈도와 보호자가 정책에 대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을 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1, p<0.05). 그리고 아동의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r=0.111, p<0.01),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0.097~0.376, p<0.01). 결론적으로 학교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정책 인식들 간에 학교에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한다면 아동들이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보다 건강기호식품을 더 섭취하려는 행동과 정책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아동의 정책 인식들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들 간의 상관성이 나타나 아동뿐만 아니라 보호자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한다면 아동의 식품 선택 향상능력과 식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지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1981

        오늘날 식생활이 간편해지고 식품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스턴스식품과 가공식품의 이용이 많아지고 있고 초등학교 주변 식품판매 업소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 기호 식품은 제조, 유통 및 판매단계에서 위생적으로 취급되지 못하여 어린이들의 건강이 위협 받고 있다. 삶의 질 수준의 향상으로 식품안전에 관한 국민적 관심은 증대되고 있지만 식품사고가 여전히 발생함으로써 국민들의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신뢰감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금까지 어린이들의 기호식품의 안전실태 문제는 꾸준히 거론되어 왔고 이 문제는 어린이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책을 수립한 바 있지만 위해 물질의 표시 및 함량 등에 대한 표시는 아직까지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어린이 기호식품의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기호식품의 유해성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에 관한 조사를 하여 기호식품 관련 교육과 영양표시 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한 기초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혈관 내피 세포와 정상 간뇌 세포에의 독성에 기반한 기호식품 화학성분의 방사선 동등성 연구

        이승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1963

        방사선의 인체 영향에 대한 연구는 방사선량, 방사선의 종류, 피폭 장기(organ) 등에 따라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중들에게 이와 관련한 방사선 위해 정보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이해도가 매우 낮으며, 이러한 부정확한 인식은 방사선에 대한 과장된 공포와 불안을 조성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 형태에서 벗어나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새로운 형태의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 기호식품인 술, 담배, 커피의 핵심 구성 화학물질인 에탄올, 니코틴, 카페인을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과 동등한 위해성을 보이는 화학물질의 농도를 도출하였다. 타 연구에서 in vitro상 세포 실험을 통해 방사선의 세포 손상 기전이 에탄올, 니코틴, 카페인의 세포 손상의 기전과 유사함을 보여 준 바 있으므로 방사선과 이들 화학물질의 세포 손상 정도에 대한 정량적 비교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세포 독성(Cytotoxcity) 측정을 위한 생물학적 검정(Biological assay)은 apoptosis assay, clonogenic assay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세포는 Mouse endothelial cell, Normal diencephalon cell을 사용하였다. In vitro 실험 결과, 본 연구는 기호식품 내 화학물질의 방사선 동등성을 확인하고 상관관계를 도출하였으며, 1Gy 방사선 피폭 준위와 동일한 생물학적 세포독성을 발생시키는 기호식품의 화학물질 농도를 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는 위해 기호식품 섭취 농도를 통해 방사선의 인체 피해 정도를 알릴 수 있으므로 일반인들의 방사선 위해 정보에 대한 효과적인 이해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