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손실에 관한 공법적 연구

        배명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911

        <Abstract> As seen in the recent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ver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Miryang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it is hard to smoothly execute national projects without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us, 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secured only when the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re resolved and the society is consolidated by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So institutional·juridical provisions and solutions for the conflict resolution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loss that causes conflicts is conceptually defined as "Worsenment".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the legislations and principles of the loss compensation has focused on expropriation compensations so far. Therefore, the infringement of the residents' property rights on the non-preference facilities that are not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execution of numerous public projects. It has never been observed under compensation legislations and principles that cover only compensation for direct infringement on the property right, and even there hasn't been any question posed. This stems from the dualistic perspective that project operators take on worsenment, seeing them as 'social constraints and not special sacrifice'.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worsenment, based theoretically on transition tendency of the Constitution's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nd the object of compensation for loss. To seek a way to legislate the compensation for damage on worsenment, the public projects were categorized into electric source development(Type 1), construction of dams and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ies(Type 2), and noise·waste treatment facilities(Type 3).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were compared and differentiated. Also, the present legislations on worsenment were examined to find the legal basis. A possibility to solve the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examined by the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for loss or damages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regulating the discretion of planning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 from worsenment and introducing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The first principle is a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so that the landowners of the planned district and the third parties from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can procedurally participate from the establishment step of the administrative plans. The next step was a research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s to compensate for the worsenment to persons suffering from loss or damage. As the cause for loss is different from each type, the method of protecting rights must also be legislated differently. Thus, they should be solved through different methods, like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compensation for damage·loss system, etc. Even if they were of the same type, there were problems of fairness of each legisl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was legislated, and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along with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s especially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the U.S. regarded it as special sacrifice if it was regulatory takings and as social constraints if it was general police power, and introduced inverse condemnation similar to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t is examin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ropriation infringement theory, an unpredictable and random infringement, to the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worsenment. Compared to the current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is related to ① indirect loss, ② social restraint and not special sacrifice, ③ those not object to expropriation, ④ theory of legislation on compensation of loss for the third parties of administrative actions with the third party effect. It is proved that the legitimacy and practicality of preparing funding through studying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the exclusion of development gains and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nd introduced; a revision of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introducing the definitions of betterment and worsenment, the definition of non-preference facilities, the definition of landowners and the concerned who reside outside of the public project districts that have the status of the third parties, clarification·systemization of public projects, and instituting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Introduction of regulation on conflict impact analysis·worsenment, the need for legislating "Military Noise Control Act"(tentative), and the need for revising related law on request for purchase system, etc. are also suggested. Along with thi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as sought for so as to substitute lawsuit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senment was defin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The subject of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the third party that is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unlike the case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From the very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ve plans, procedural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proposed problems and suggested enhanc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based on related legislation. It proposed a practical theory of legislation and the legitimacy of funding for legislations on worsenment. It is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when public benefit is acknowledged through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e sufferer of loss shall receiv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justice·fairness and the nation or project operator shall ease of the burden to prepare funding for the revised legislation. <국문초록> 최근에 밀양송전탑 건설 등 국책사업으로 야기된 공·사익 갈등의 예에서 보듯이 국책사업의 원활한 시행은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지 아니하고는 매우 어렵게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즉, 국민의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만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갈등해소를 위한 제도적·법리적 방안의 접근과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원인이 되는 손실을 개념적으로 지칭할 용어를 “개발손실”로 칭하였다. 연구배경은 지금까지 손실보상 법제나 손실보상 법리는 수용보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었다. 따라서 수용목적물이 아닌 주민이 선호하지 않은 시설의 주변지역 주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보상대상으로 인정하지 않았었다. 개발손실은 지금까지 수많은 공익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나, ‘직접적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만을 논의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 법제와 법리하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은 물론 문제제기도 제대로 되지 않았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개발손실에 대하여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의 문제로만 바라보는 이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헌법상 재산권보장과 손실보상대상의 변천경향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개발손실침해에 대한 손해전보를 개선하여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익사업별로 즉, 전원(電源)개발사업(제1유형), 댐건설 사업과 국방·군사시설사업(제2유형), 소음·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침해시설 사업(제3유형)으로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생활보상이나 간접손실(사업손실)과의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하였다. 이에 더하여 현행 개발손실에 관한 입법 현황을 검토하여 그 법적 근거를 찾는 노력을 하였다. 또, 개발손실에 대한 보상을 행정상 손실보상 및 손해배상의 법리로 해결 가능성 여부도 검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로 인한 공공갈등해소를 위해서 계획재량통제와 차액보상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공공갈등해소 법리로, 첫 번째 사업예정구역 토지소유자와 공익사업지구 밖의 제3자 모두가 최상위 행정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행정절차의 민주화이다. 다음 단계에서 개발손실침해를 당한 자에게 손해를 전보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침해 원인이 다르므로 권리구제의 방법도 다르게 법제화해야 한다. 즉, 주변지역지원제도, 손해배상·손실보상제도 등에 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같은 유형임에도 매수청구제도의 법제화 유무에 따른 각 법률의 형평성이 문제되었고, 특히 매수보상제도 외에도 차액보상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비교법적 검토에서는 미국은 규제적 수용에 해당하면 특별한 희생, 일반적 규제권에 해당하면 사회적 제약으로 보며 매수청구제도와 같은 역수용소송을 소개하였다. 예견할 수 없는 우연한 침해인 수용적 침해이론이 개발손실침해 손해전보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하였으며, 일본의 간접손실 법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개발손실을 유형별로 법제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개발손실은 현행 수용보상과 비교해서 ① 간접적인 침해이고, ②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이며, ③ 수용목적물이 아니고, ④ 제3자효 행정행위에서의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손실보상 입법론에 관한 것이다. 주변지역지원제도와 개발이익배제 및 환수의 연구를 통하여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을 입증하였다. 현행 토지보상법 개정 제안으로 개발이익 및 개발손실 정의, 비선호시설 정의, 공익사업시행지구 밖의 제3자 지위의 토지소유자 및 관계인 정의 신설, 공익사업의 명료화·체계화, 정당보상 실현을 위한 개선, 차액보상 규정 신설 등을 제안하였고, 갈등영향분석·개발손실분석 규정 도입, (가칭)「군 소음법」의 제정 필요성, 매수청구제도 입법개선론 등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더하여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생활보상·간접손실(사업손실)보상과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을 하였다. 개발손실침해 보상의 상대방은 수용보상의 경우와는 달리 공익사업지구 밖의 지역 주민인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자가 중요한 피침해 이익의 당사자임을 주장하였다. 최상위 행정계획 초기단계부터 민간참여를 통한 행정절차와 침해 근거법률의 권리구제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지적하였다. 개발손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한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공·사익 비교형량을 통하여 공익성이 인정되는 비선호시설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개발손실의 피침해자에게는 정의·공평의 원칙에 부합하는 권리구제를 실현해 주고, 국가 및 사업시행자에게는 개정 법률에 따른 재원마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한 제도적 의의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 토지보상법상 공익사업시행지구 밖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박형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90

        The type and scale of public works projects have expanded in recent days, and the technologie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related to such projects have become increasingly sophisticated. As a result, unintended or unexpected outcomes of public works projects are wreaking havoc on the general public, which has increas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However, because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presumes extremely limited compensation with regard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compensations tend not to be made appropriately. As the existing system fails to adequately reflect the reality, significant costs are being incurred by the nation and the entire society due to various conflicts such as civil complaints raised in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and repa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ngible relief to the victims who have suffered damages in connection with disputes arising out of the issu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and also to ensure that public works projects are seamlessly implemented. To this end, an efficient and equitable compens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by clearly defining the fundamental standards for and approaches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theoretical studies into the concept, legal 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have not sufficiently been conducted. In previous discussions on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compensation was implemented selectively in the absence of a clear definition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which inevitably led to confusion with regard to the systemicity of such discussions such as the scope or limitation thereof.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imed to define the systematic position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by taking the concept and the features thereof into consideration. Moreover, in order to resolve fundamental problems, this study has also propos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ith regard to the legislation and policies related to the target and scop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in addition to defining the concept thereof. Meanwhile, under the dualistic framework of “ compensation for losses ”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which is ambivalen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it is considered as compensation for losses or indemnification for damages. However, as there exists no consentient judgement thereon in cases where there are deficiencies in compensation regulations, resolutions are being made on an ad hoc basi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sought to review the legal principles as to which one of “compensation for losses”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is more effective for practically providing relief to victims in the absence of relevant legal provisions, and also to deduce an agreeable standard by readjust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ompensation for losses and indemnification for damages depending on specific circumstances. Additionally, by shedding new light on compensation for the losses that are not presumed by the Land Compensation Act, such as “losses of livelihood or damages of non-property legal profits as a result of indirect infringement,” from the viewpoint of supportive measures such as assistance program for residents, and by attempting to include the legal system for supporting surrounding areas as one of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legal system for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resolve problem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in a more practical manner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rough such attempts, it is expected that compensation for property rights and livelihood, as well as compensation for non-property rights, will co-exist under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in the framework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es rather than under a conflicting relationship, which will like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s among interested parties. 최근 공익사업의 종류와 규모가 확대되고 그 설계와 시공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공익사업의 추진에 있어 기존에 의도되지 않거나 예상할 수 없었던 부수적 결과를 통한 국민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간접손실보상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 또한 점점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현행 토지보상법은 간접손실보상과 관련하여 아주 제한적인 보상만을 예정하고 있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제도가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함에 따라 보배상과 관련된 각종 민원 등의 분쟁으로 국가와 사회 전체가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간접손실을 둘러싼 분쟁에 대하여 피해를 입은 자를 명확하게 구제함과 동시에 공익사업의 시행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간접손실보상을 위한 기본적인 기준과 그 접근방식을 명확히 밝힘으로써 효율적이고 공정한 보상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는 간접손실보상의 개념, 법적 근거, 성격 등 이론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종래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논의는 이 점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보상이 진행된 결과 그 범위나 한계 등 논의의 체계성에 있어 일정 부분 혼란을 피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간접손실의 개념, 그 전보의 성격에 유념하면서 간접손실보상의 체계적 위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간접손실보상의 개념정의를 비롯하여 그 대상, 범위 등에 관한 입법·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손실보상과 손해배상의 이원적 체계하에서는 양면적 성격을 갖는 간접손실에 대한 전보를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중 어느 것으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이해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보상규정 흠결 시 이에 대한 일치된 판단이 부재하여 임시방편적 해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법령의 공백 상황에서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양자 중 무엇이 피해자의 실질적인 권리구제 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는지 대해 법리적으로 검토하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양자의 적용범위를 재조정하여 합의가능한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토지보상법이 예정하고 있지 않은 손실 예컨대, ‘간접침해로 인한 생활이익의 상실이나 비재산적 법익의 침해’에 대한 보상을 주민지원사업 등의 지원조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주변지역지원법제를 간접손실보상법제의 한 요소로 포함시켜 재정립을 시도함으로써, 우리 현 법제 내에서 간접손실보상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도모코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재산권보상과 생활보상 나아가 비재산권보상이 서로 충돌적 관계가 아니라 간접손실보상 내에서 상보적 관계로 공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이해관계인 간의 분쟁예방과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허 침해와 손해배상산정에 관한 고찰 : 특허법 제128조를 중심으로

        이헌욱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58

        본 논문은 특허권의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산정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특허법 제128조의 손해배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가적 경쟁력을 좌우하는데 있어 지식과 기술이 중요한 요소가 됨에 따라 선진국들은 지적재산권에 보호를 강화하고 그들의 지적재산권을 보호를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2월 3일부로 개정을 하였다. 특허법 제128조에 제1항과 제5항을 새롭게 두어서 손해의 입증과 적합한 보상을 하기 위한 손해의 산정을 용이하게 하여 특허권이 좀더 강력하게 보호받게 되었다. 이 특허권은 두 가지 양면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존속기간 동안 사용, 수익할 수 있는 적극적 권리와 다른 하나는 타인의 업으로의 실시를 배제시킬 수 있는 소극적 권리이다. 그래서 특허권자는 제3자에 의한 특허권 침해가 있을 경우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러한 손해배상청구는 민법 제750조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 다를 바 없다. 따라서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요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1) 특허권의 침해가 존재할 것 2) 침해자에게 고의 또는 과실, 그리고 책임능력이 있을 것 3) 침해행위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하였을 것 그러나 특허권은 토지나 건물 등 유체물과 달리 무형의 기술사상에 대하여 인정되는 권리이므로 침해자의 특허권 침해행위가 있는지 여부를 발견하는 문제와 구체적으로 침해자의 행위가 특허권 침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지 않고 설사 특허권침해행위가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그 손해액을 산정하기가 대단히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특허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특허법은 제127조에서 현실적인 침해행위가 존재하지 않는 간접침해에 대해서도 특허권 침해행위로 된다고 규정함으로써 특허권침해행위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고 제130조에서는 특허권을 침해한 자에 대하여는 과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함으로써 특허권자의 입증책임을 완화함으로써 특허권자를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산정이 어렵다는 관점을 고려하여 이전의 특허법 제128조에서 침해자의 이익액이나 실시료 상당액을 특허권자의 손해액으로 추정하거나 간주하는 규정을 두고 있었는데, 개정 특허법에서는 제1항으로 권리자가 침해자의 양도한 수량을 입증한 경우에는 그 수량에 권리자 제품의 단위 수량당 이익액을 곱한액을 권리자의 실시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손해액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특허권자의 보호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지적재산권에 관한 침해에 의한 손해는 침해자의 경제활동을 통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손해범위 및 손해액을 입증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특허법 제128조에서는 손해액의 산정방식을 규정하여 권리자에 의한 손해액 입증 곤란의 경감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러한 규정으로는 권리자 보호에 충분하지 않다. 결국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합리적 적용 기준을 제공하고 축적된 실제 거래 실정을 바탕으로 갱신하는 것이 강하게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기술거래실정에 알맞은 가치평가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s to a suit for claiming compensation for damages of a patent right, and particularly to presumption and consideration of damage amount stipulated in Section 128 of the Patent act. As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becoming important factors in controlling national competitive power, developed countries are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demanding protection of thei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o we revised Patent law on February 3rd, 2001. Newly established Section 128 (1) and (5) seek for the ease of demonstration and the calculation of damages reasonable to compensate, patent rights are protected more powerfully. The patentee has two kinds of rights: a right to use and benefit the patented invention during the term of rights(positive right), and a right to prevent others from commercially working the patented are infringed by the third party. So the patentee can claim for damages for the infringement of the patent right which is basically a tort claim. Namely, in order to claim for damage for the infringement of a patent right, the patentee shall prove three conditions in principle: 1) The infringement of a patent right 2) An infringer's intention or negligence 3) Damage was caused by the infringement But patent rights are the rights admitted to intangible technical idea unlike tangible articles such as land or building.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find whether there is infringement act of an infringer, and to judge whether the infringer's act falls under the infringement of a patent right. Even if it is judged that there is infringement act of a patent, it is very difficult to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protect the patent owners, Section 127 of the Patent act stipulates that indirect infringement having no infringement act is considered as the infringement, and thus enlarges the scope of the infringement. Further Section 130 of the same protects the patentee by lightening the patentee's burden of proof since said article stipulates that any person who has infringed the patent right should be presumed to have been negligent in the infringement. Section 128 of the former Patent act also provides that if the patent owner proves the quantity sold by the infringer, the amount which such quantity is multiplied by profit per unit can be admitted as the damages to the extent that patentee's working capacity does not exceed. But damages for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cur through the infringer's economic activities. Accordingly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e scope and amount of damages. As a result, Section 128 of the Patent act seeks lightening of burden of proof for the patentee's damages by stipulating the methods for calculation of the damages. But these provisions are insufficient for the protection of patentee. Therefore I propose that authorized agencies regularly provide reasonable application guides and update data from actual trading cas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tandardize valuation methods compatible with actual domestic trading.

      • 자동차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의 합리적 조정에 관한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58

        자동차사고 발생 시 사고의 양 당사자는 과실비율에 따라 상대방에게 발생한 손해를 배상한다. 손해배상책임 분담은 과실상계 제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과실이 적은 자가 더 많은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사고에 따른 적정한 책임 분배가 어떤 것인지를 손해배상법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하며, 손해액 산정과정에서 과실상계 법리의 해석을 통하여 자동차 사고 당사자 사이의 책임 분배를 적절히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동차사고 발생 시 가해자는 손해배상액 산정 과정에서 피해자의 과실을 그 참작사유로 주장한다. 그런데 일방의 불법행위만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고 피해자의 부주의가 경합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피해자의 부주의 또는 과실에 대해 달리 검토하지 않고 일괄적인 과실비율에 의하여 배상액 분담이 결정된다. 우리 민법의 경우 과실상계에서 참작되는 과실의 의미와 불법행위 성립에서의 과실의 의미를 다르게 이해하려고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무에서의 관행은 이러한 과실을 구분하지 않은 채 두 과실을 동등하게 취급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사고에 대한 보상 문제, 보험 상의 구상문제에서 합리적이고 정형화 된 기준을 필요로 함에 따라 이러한 과실비율에 대한 분쟁을 합리적이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등이 마련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과실비율 인정기준이나 자동차사고 발생 시 실무상의 과실비율 산정이 민법상의 과실상계 법리를 충실히 반영하였는가에 대해서는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과실상계 법리는 가해자의 불법행위에 피해자의 부주의가 경합한 경우에 가해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산정함에 있어 이 과실을 참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는데, 피해자가 가해자의 지위에 서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실무적으로 하나의 과실비율에 의한 책임 분담과 이를 위한 일방적인 가해자-피해자 구조 역시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자동차사고의 증가와 함께 과실분쟁 역시 증가하고 있고, 과실비율 산정에 대한 중요성 역시 커지고 있는데, 하나의 과실비율을 기준으로 손해배상액을 분담하는, ‘과실상계’라고 표현되고 있는 우리 실무상의 책임 분담 방법이 실제적으로는 과실의 의미를 구분하지 않은 채 참작하였거나, 단순한 부주의 정도의 과실을 참작하는 경우에는 잘못된 방식으로 참작하고 있다고 보인다. 사고 당사자의 각 과실의 의미에 따라 실무에서의 과실비율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민법상 과실상계와의 괴리가 있음을 살펴보고, 가장 타당한 해석방법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 사고 시 배상액 분담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 좀 더 합리적인 책임 분담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accident, both parties of the accident reimburse the other damages incurred according to the ratio of respective negligence. The division of liability for damages is calculated based on the doctrine of 'comparative negligence', under which a party with a lower level of negligence may have to pay more damages. This study, thus, reviews the appropriate liability distribution in the case of an automobile accid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ort Laws and proposes the method of appropriately and reasonably reconcil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between the parties of an automobile accident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parative negligence doctrine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When an automobile accident occurs, the perpetrator claims the negligence of the victim as a mitigation cause in calculating the damages. However, accidents are rarely caused by wrongful actions of only one party but mostly by a combination or contest with negligence of the victim. The Civil Law of Korea differentiates between the 'negligence' as in the mitigating circumstance in comparative negligence and the 'negligence' as in the establishment of tort. Nevertheless, it seems that, in practice, the two types of negligence are not distinguished without differentiating their meanings. In the issues of compensation for accidents and reimbursement in relation to insurance, rational and standardized criteria are required. Accordingly, 'standards for negligence ratio for automobile accidents' have been established and utilized in order to resolve disputes over the 'negligence ratio' reasonably and prompt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negligence ratio recognition criteria or the actual negligence ratio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accident faithfully reflect the doctrine of comparative negligence in civil law. Comparative negligence means the willingness to consider the negligence when the inattention of the victim contests with the wrongful act of the perpetrator in calculating the damage compensation by the perpetrato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victim can be in the position of a 'perpetrat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ructure of a unilateral 'perpetrator-victim' and the distribution of liabilities according to the negligence ratio of the practical customs also has problems. As the number of automobile accidents increased, so too has the negligence dispute, leading to the increased importance of calculating the negligence ratio. The practice of sharing liabilities for damages based on one negligence ratio is expressed as 'comparative negligence', which seems to consider for mitigation without actually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negligence while calculating the damages based on a wrong method of calculation when the negligence taken into account is simple carelessness.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the fact that 'ratio of negligence' in practice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 meaning of negligence of each party to an accident is understood and aims at finding the most appropriate interpretation. This paper aims at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 in the process of damages compensation distribution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accident in order to suggest a more reasonable measure of sharing of liability.

      • 방문판매법상 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방문판매 및 다단계판매를 중심으로

        고석진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857

        The amendment of door to door selling act in February 2012 not only regulated comprehensive multi-level marketing rules, but also concept of multi-level marketing was focused on formal admission phase of low rank salesman. Thus, multi-level marketing needs to be defined according to fundamental problems of multi-level marketing’s damage since excessive regulation could occur without rational reason. Unlike door to door sales, multi-level marketing concentrates on downward expandability of organization, seller’s application phase is not a fundamental issue, ‘level of supporting compensation supply’ is core cause of downward expandability, and low possibility of alteration into a illegal organization when compensation payment is based on sales of immediate low rank sellers. Hence, standard judgement of multi level sales should be changed from ‘level of seller recruit’ to ‘level of supporting compensation supply.’ Moreover, proper title for “multi level sales” is required to prevent negative perception, and valid legislation direction is to improve by abolishing restraint on price and regulating appropriateness of support compensation. In matters of pyramid sales, capital criteria, which is registration criteria of multi-level marketing, should be encouraging to legal management by obeying various regulations after lowering to reasonable level and registering as multi-level marketing. In addition, expanding professional investigation team in investigation agency and supervising pyramid marketing business with consumer related organizations are realistic methods. Also, this study proposes civil·criminal regulating measure to forfeit illegally acquired property in addition to current maximum sentence of door to door marketing act which is 7 years or less imprisonment and 2 billion won or less fine. To regulate pyramid marketing, which is antisocial behavior, exemplary damages should be imposed and sentence should be longer than current maximum 7 years sentence of door to door selling act. For door to door sales, transaction characteristics of home-study materials and some busines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excluding from door to door sale regulation. In case of low price products according to foreign legislation case, door to door sales should not be regulated. Moreover, it is unnecessary to regulate recruitment compensation of door to door salesman due to the facts that door to door sales and multi-level sales regulation should be different, downward expandability of organization does not occur from salesman recruitment compensation, there is no speculation issues since compensation is only related to recruitments. current 14 days of cooling off period should be shortened to 7 days since cooling off period of door to door sales was 7 days and time for reconsideration was given before delivery of products in Japan and EU countries’ legislation. Also, payment refund days should be relieved from current 3-days business day to 5-days business day. Furthermore, special clause inserted to allow cancel a contract for certain period after the contract formation without introducing concept of cooling off since cooling off of door to door sale has equal effect as civil contract termination.

      • 기업의 불법행위 규제 수단으로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 손해배상제도의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정석훈 경희대학교 법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57

        현대 산업사회는 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기업을 통하여 발전해 나간다. 이러한 산 업발전의 원동력은 이윤창출이라는 기업의 목표에서 기인한다. 이윤추구라는 목적 달성을 향한 기업의 목표 의식은 우리의 물질문명과 삶을 더욱 풍요롭게 이끌어 나 간다. 그러나 기업의 과도한 이윤추구 활동은 불법행위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기도 한다. 기업의 불법행위에 의한 피해는 제조물 피해, 환경오염, 인권침해, 생명의 침 해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기술발전과 산업발전이 진전될수록 더욱 예측하기 힘든 다양한 형태의 피해를 유발한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나, ‘세월호 침몰’, ‘삼풍 백 화점 붕괴’ 등을 통해 기업의 불법행위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큰 상흔을 남길 수 있는지 우리는 혹독한 경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피해는 국내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폭스바겐 배기량 조작사태’, ‘bmw 차량 화재’, ‘옥시의 가습기 살균 제 판매’ 등의 사건으로 글로벌 기업에 의해서도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침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불법행위는 사회 전체의 공익을 저해할 수 있기에, 이를 규율할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행 법제도가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적절한 억제력과 피해구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기업의 불법행위를 규제할 수 있는 장치는 형법상의 처벌, 행정법상의 규제, 민법 상의 손해보상제도 등 다양한 법률적 제도로써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현행법상의 제도는 모두 사후(事後)적 규제라는 한계를 갖는다. 기업의 불법행위에 의한 피해는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량의 피해자를 발생시 키고, 회복과 보상에는 상당한 시간과 자원이 필요하기에, 기업의 불법행위는 제도 적 규율을 통해 사전에 예방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대한 제도적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우리 법체계와는 상이한 영미법계의 제도로써, 손해의 원상 을 회복하는 우리의 손해배상제도와는 달리, 장래 발생할 수 있는 불법행위를 억제 하고, 제재하기 위하여 손해의 전보에 더하여 강력한 배상금액을 부가적으로 배상 하게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배액배상제도의 형태로 우리 법제에 수용되었다. 그러나 배액배상제도는 본래적 의미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서 매우 완화된 형태의 수용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액배상제도의 도입으로 보다 폭넓은 영역에서 기업을 규제할 수 있는 제도적 역 할을 수행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지만, 일부의 영역에 도입된 개별법상의 규정만으 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기업의 불법행위를 모두 규제할 수 있을지, 통상 3배 이하로 제한된 손해배상액으로 기업의 불법행위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을 만큼의 제재력을 발휘할지 의문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우리 법제도하에서 불법행위를 제지하고, 억제하기 위한 제도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완성도 높은 입법과 제도개혁을 통해, 제도의 완결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Modern industrial society is led and developed by enterprise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se industrial developments stems from the company’s goal of generating profits. Profit-maximization by corporations enriches our materialistic societal values and lifestyles. However, excessive profit-seeking activities by corporations consequentially cause violations of the law. Damages from aforementioned organizational wrongdoings include defects in manufacturing, environmental pollution, human rights and life violations, and diverse forms of unpredictable damages as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s progress over time. The negative impact on society of such corporate illegalities are showcased through infamous domestic events lik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Sinking of Sewol Ferry’, and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Plus, incidents by global entities like ‘Volkswagen’s Diesel Scandal’, ‘BMW Car Fires’, and ‘Oxy’s Humidifier Disinfectant Sales’ have further proved that the infringement to the lives and safety of the Korean people are not limited to domestic activities. Such corporate violations of the law undermine the general public interest as a whole, making institutional stability and regulations mandatory. Capabilities of the current legislation system must be assessed and proper deterrence and damage relief against the violations are necessary. Various legal devices such as punishment under criminal law, regulations under administrative law,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loss under civil law are in place to regulate corporate illegalities; yet ex post regulations limit all of the above under the current legal code. Systematic prevention is of utmost importance in controlling corporate violations as the caused damage affects a large number of victims across a wide spectrum and the resulting compensations require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Punitive damages is the institutional alternative in addressing the said issue. Punitive damages are a settled principle from the common law that differs from our legal system of restoring to original state; it also requires additional compensation in regards to deterring and reforming others from engaging in similar illegal conducts. In our legislation, this principle is accepted in a form of multiple damages. However, multiple damages is considered a relaxed form of punitive damages. While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multiple damages plays a larger legal role in governing corporations on broader parameters, it is questionable whether partially introduced individual laws are able to regulate all types of corporate violations of the law as well as exert sufficient sanction power with the limit of treble damages. I n order for punitive damages to faithfully carry out its role in deterring and suppressing corporate illegalities under our legal system, continuous research on the topic must be conducted and the principle must be completed through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reformations.

      • 아파트 分讓契約에서의 瑕疵擔保責任

        주영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856

        The apartment sale contract is what is formed by arrangement that the one transfers the ownership of an apartment to the other and the other pays the price of the apartment to the one. The apartment sale contract is a kind of usual sales contract but has a character of the contract for work.The supplier has to be responsible not only for the defect of the apartment itself but also for the legal and environmental defect. And the pubic standard of the defect should be prepared to judge which defect need to be repaired or compensated.It is prescribed in civil law that there are rights to request repair the defect, and compensation of the damage, and to exercise to cancel the contract.The subject of the right to request repair the defect of apartment is a buyer who is the person concerned with the apartment sale contract and an apartment house manager group. And the second buyer should be given the right to request repair the defect of apartment as the case may be.A business proprietor has to deposit guarantee money in the bank to secure repair the defect. And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request repair the defect can repair the defect by himself by using the guarantee money in the bank. But the guarantee money too small to repair the defect, so the amount of guarantee money need to be increased.The buyer has the right to request the compensation for damage in place of requesting repair. And this right should be given to the second buyer, resident delegation, apartment house manager group. And consolation money should be included in compensation.The last right in a responsibility for security a defect in apartment sale contractis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By the way the civil law doesn't agree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about building and land. In spite of the prescription of civil law some scholars and supreme court agree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about the building and land. But this is against the law.The period of responsibility is a subject which is argued with. The law of house prescribes many kind of responsible period. Most of scholars and supreme court regard this period as the period which the defect appears.And we need to introduce the system for warranty of quality of apartment to protect against the occurrence of the defect, to repair and compensate the defect fast and surely. 아파트분양계약이라 함은 당사자 일방이 아파트의 소유권을 2인 이상의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그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을 말하는데 후분양 하는 아파트분양계약은 통상적인 매매계약으로서의 성질을 가지나 선분양 하는 아파트 분양계약은 매매와 도급계약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무명계약으로서의 특수계약의 성질을 가진다.전통적으로 아파트의 하자와 관련하여 물건의 하자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법률상의 하자와 환경적인 하자에 대한 하자담보책임도 인정되어야 하는데 환경적 하자는 특히 아파트의 소음 문제와 일조권 문제가 중요하다. 판례도 수인한도를 초과하는 소음과 일조권 침해에 대해서는 하자담보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소음과 일조권은 어느 정도일 때 수인한도를 초과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하자 여부의 판단을 위한 공적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이러한 분양되는 아파트의 하자들에 대한 담보책임의 내용으로 민법에 하자보수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 그리고 계약해제권이 규정되어 있다. 그 중 아파트의 하자보수청구에 대해서는 위 민법과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주택법이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아파트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해 집합건물법과 주택법이 중복하여 규율하여 양 법이 서로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하나의 법에 통일하여 규율하거나 별도의 입법을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자보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체는 분양계약의 당사자인 수분양자이고 집합건물법상의 관리단도 주체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분양자로부터 소유권을 양도 받은 전득자의 경우에도 하자의 발생시기와 그 시기에 따른 아파트 양도계약의 내용에 따라 개별적으로 양수인의 하자보수청구권의 인정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사업주체는 하자보수를 담보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에 하자보수보증금을 예탁하여야 하는데 하자보수청구권자는 이를 사용하여 직접 보수를 할 수 가 있다. 그러나 하자보수보증금의 액이 너무 작아서 실효성이 없으므로 금액을 현실화 할 필요가 있다.한편 수분양자는 하자보수청구에 갈음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는데 손해배상청구권은 수분양자 외에 전득자와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단에게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해배상의 범위는 이행이익이라고 보아야 하고 위자료에 대한 배상은 대법원이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나 위자료에 대한 배상도 폭넓게 인정해야 할 것이다.다음으로 분양된 아파트에 하자가 있어서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때에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런데 민법 제544조 단서는 건물 기타 토지의 공작물에 대하여는 해제권을 부인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견해와 대법원은 건물에 대해서도 해제권을 인정하고 있으나 이는 법해석의 한계를 일탈하는 것이다. 다만 입법론으로는 건물의 경우도 계약해제권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자담보책임 기간의 문제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택법과 그 시행령은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여러 가지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들 기간의 성질에 대해 대법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견해는 하자발생기간으로 보고 있다. 한편 대법원은 민법 제671조에 규정된 5, 10년에 대해서는 이를 제척기간으로 보고 있으나 이도 역시 하자의 발생기간으로 보아야 하고 하자보수청구권 등 행사의 제척기간은 이를 규율하는 규정이 없는 한 일반법인 민법 제162조 제1항에 따라 10년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기타 아파트분양계약의 하자담보책임과 관련하여 설계자, 감리자, 분양대행업자의 책임도 물어야 하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계약상의 책임을 물을 수는 없고 불법행위책임이나 사업주체 등의 채무불이행책임을 대위해서 물을 수는 있을 것이다.마지막으로 아파트의 하자의 발생을 예방하고 하자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보수를 위해서는 아파트품질보증제도의 도입이 필요하고 또한 주택의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부터 자체적으로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여 부실시공을 예방하고 하자담보책임기간 내의 하자로 인한 하자보수 및 손해배상을 담보하며 건설기간이나 하자담보기간에 사업자의 도산이나 폐업으로 주택의 준공이 곤란할 경우 이를 완성하여 인도하거나 또는 하자로 인한 입주자 피해 보상을 보증하고 보증과 관련된 모든 분쟁을 자율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주택사업과 관련된 갈등을 조속히 해소하는 기능까지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아파트품질보증기구도 설치할 필요가 있다.

      • 日照權의 私法的 保護에 관한 硏究

        오세범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841

        오늘날 공해는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액체, 매연, 열기체, 진동 등은 산업화, 도시화의 결과에 따르는 전형적인 공해로서 그 심각성이 더해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인 공해는 그 침해가 적극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각국은 이상과 같은 공해로 인해서 초래되는 적극적인 침해에 대한 법적·행정적인 대책을 도모해 왔으며, 공해피해의 구제에 대해서도 많은 발전을 강구해 왔다. 산업이 발달되며 도시인구의 증가, 국가경제의 발전에 따른 국민의 주거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일조, 채광, 통풍, Privacy확보 등 주거환경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나, 지가의 상승이 심한 도시의 택지난으로 토지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밀도·고층화할 수 밖에 없어 도시공간은 점점 고밀화됨에 따라 주거지역내의 생활환경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거지역내의 일조 확보에 대하여서는 강한 욕구와 함께 현행 제도상에 대하여 많은 개선점을 내포하고 있다. 일조에 대한 권리는 전형적인 환경침해의 문제는 아니나, 환경침해의 일종으로서 공통적인 특색을 가진다. 즉 일조방해는 계속적인 침해이며, 대개 가해자의 적법한 권리의 행사에서 비롯되며 이를 통하여 피해자의 재산적 이익 또는 인격적 이익이 침해된다는 점에서 환경침해와 유사하다. 그러나 일조방해는 소극적인 침해로서 인접한 토지 위에서 아파트 등을 건축함으로써 햇빛·신선한 공기·전파·경관 등의 방해를 초래하는 경우에 생기므로 유해한 물질을 피해자의 생활영역에 적극적으로 침입시키는 적극적인 침해인 환경침해와는 차이가 있고, 피해의 발생범위에서 보면 환경침해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피해를 발생시키는데 반하여 일조방해는 상린관계적 분쟁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므로 일반적인 환경침해와는 차이가 있다. 일조는 인간이 쾌적한 생활을 누리기 위하여 필요할 뿐 아니라 주택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도 필요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인구의 도시집중이 가중되고 이에 따라 주택수요의 증대, 도시의 과밀화와 건물의 고층화가 함께 이루어져 도시주민의 생활환경은 나날이 악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아래서 일조권문제는 공해, 교통사고, 소비자보호, 의료사고 등과 함께 한 개인 대 한 업자와의 관계를 넘어 큰 사회문제로 되고 있다. 일조권 문제가 사회문제로 된다는 의미는 한 개인의 힘으로는 이를 해결하기 힘들고, 또한 그러한 이유 때문에 시민이 공동으로 自衛하는 새로운 기반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조권 문제를 둘러싼 분쟁이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많지 않으나 이웃 일본에서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첫째, 이러한 종류의 생활방해에 대한 피해자의 권리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둘째, 낮은 주택과 고층주택·건물이 무질서하게 혼재하고 있는 불균등한 도시화 내지 건물고층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및 유럽에서는 일조방해를 권리남용의 법리에 의해서 해결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당한 권리행사에 의해서 일조침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구제받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화현상과 토지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조를 보호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유럽과 일본에서는 일조의 보호를 둘러싸고 많은 이론이 전개되었다. 우리 민법은 상린관계에 있어서 이웃거주자에 대한 생활방해를 금지하는 내용을 제217조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일조권침해의 문제는 민법 제217조에 근거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일조침해의 구제는 민법 제217조 1항의「적당한 조치」에 의하게 된다.「적당한 조치」의 내용중에는 손해를 금전적으로 전보하는 방법과 방해의 원인을 제거하는 두가지의 방법이 있다. 즉, 손해배상에 의한 방법과 유지청구에 의한 방법이 그것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일조방해는 사전에 공법적으로 규제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공법적 규제는 일조의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정비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일조분쟁이 발생했을 때에 화해와 조정에 의해서 해결하는 방법도 예상할 수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구제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조침해의 구제방법으로서 사법적인 구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일조권을 둘러싼 분쟁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일조권침해에 대한 법적·행정적 대책이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oday's pollution such as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and sound pollution are raised as great social problems. These are typical pollutions, resulted from our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n economic power and a scientific technique grow, the problems of the pollutions become more and more sensitive. For these reasons many countries have taken legal and administrative steps against those pollutions. Therefore, environmental renewal movements have been spread widely among people. As the population increases in the cities, and living standards of people are improved accompanied by our economic development, various demands for living environment with enough sunshine, natural lighting, draft and privacy have been increased. However, with high cost and scarcity of housing site in the city, we have to live in an area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with skyscraper, and our living environment has been severly threatened. Due to the fact many high buildings are erecting around the urban area where there are many law low buildings, other problems about the sunlight occur as serious social issue. Because the disturbance on sunlight,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in the same way with the typical pollutions. Though the typical pollutions are aggressive violations, the disturbance on sunlight is a passive one, which means that it is precluded enjoying sunlight. Since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the system of civil remedy for a right of sunlight. In Europe 'a right of sunlight' was dealt as an abuse of a right. Accordingly, it could be relieved by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the Abuse of right'. However, when the disturbance on sunlight is not contradict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the disturbance of right', the system of remedial measures becomes a problem. In Korea, it can be relieved under Article 217 of the Civil Code. Article 217 of the Civil Code is the regulation of a placid life in neighborhoods. B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olation of sunlight by means of Public Law previously. This is the article 53 of the Building Law and the article 86 of an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Building Law. As we Know, However,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in controling the disturbance on sunlight by means of Public Law. Therefore Civil remedy is needed to control the disturbance, That is, the means of Article 217 of the Civil Code. In this case, there are two systems in the remedial measures. ---- the claim of prohibition against the violation and the claim of compensation for damage. As the utilizing heat of the sun is increased, the argument of the disturbance on sunlight will go on with increasing in number.

      • 集合建物의 共有部分 瑕疵에 관한 硏究

        이민호 전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841

        The collective housing is the multi-unit building which is based on the numerous unit ownership rights. So, only if the multi-unit building should be sold after it has been already completed, the sale objects can be specified, and so the legal stability can be ensured. However, because realistically the government should enlarge actively housing supply, the government enacts the Housing Law, and so allows the housing policy that before the multi-unit building has been not yet completed, only its location, floor space, and land right share can be specified on the basis of resident application announcement, unit housing sale advertisement, or model house, and then it can be sold in advance, so that the government ensures advantageously the fund of housing market and so promotes the growth of housing industry. The unit housing sale contract of multi-unit buildings means the onerous, bilateral, and informal contract in which the seller and the buyer divide independently the part among the total of the multi-unit building which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the future or has been already completed, and so transfer its unit ownership right, and then agree to pay the price for it. According to the congruous theories about the legal feature of unit housing sale contracts in the multi-unit building, when the multi-unit building is sold after it has been completed, it has the feature of ordinary sale contracts which transfer the unit ownership right for the specified part among the multi-unit building at the cost of paying the unit housing sale price. Then, even if the multi-unit building has been completed later, when the construction has been different with the unit housing sale contract or there are defects in the building itself, numerous buyers will suffer damage. Here, according to the general regulation of the Korean Civil Law, when the newly-built building is acquired by sale contract, the regulation about the seller's defect liability is applied according to Article 580 of the Korean Civil Law.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use-builder is made to construct newly the building by work contract, the regulation about the contractor's defect liability is applied according to below Article 667 of the Korean Civil Law. However, because generally the unit housing sale contract of multi-unit buildings is concluded before they are not yet completed,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problem about their defects unlike the general sale contract or work contract. So, our country stipulates specially the defect liability of sellers in Article 9 Clause 1 of the Law about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Multi-unit Buildings that Article 667-671 of the Korean Civil Law shall be applied correspondingly to the defect liability of the person who constructs and sells the unit ownership building. Also, our country regulates specially the defect liability of sellers in the Housing Law and the Collective Housing Management Ordinance administratively. Thu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defects of residential multi-unit buildings among the multi-unit buildings, especially the apartment buildings which are spreaded most in our country. First, the defect type of multi-unit buildings is the functional defects including the crack of building, the leakage of water, and the illegal construction of 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Second, the defect type of multi-unit buildings is the intangible defects, that is, the environmental defects owing to the wrong design construction, including the right to enjoy sunshine, the right to enjoy view, and the soundproofing problem. Now, the functional defects tend to decreas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e technology, whereas the intangible defects tend to increase as the right of buyers is emphasized. Among the defects of multi-unit buildings, about the defects of exclusive ownership parts under the exclusive domination of buyers, the defect repair and damage compensation can be claimed individually against the seller, whereas, owing to the damages of numerous buyers, the defects of co-ownership parts are shown in large scale and in collective and diverse for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mainly the defects about the co-ownership parts of multi-unit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