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빌립보서 안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실존 : 복음에 합당한 삶을 중심으로

        허경주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50

        오늘날 그리스도인은 필연적으로 교회와 세상의 소통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개인의 ‘믿음과 삶의 분리’라는 문제는 교회적 차원의 공동체 분열과 사회적 차원의 반(反)기독교 인식 형성의 문제로 확대된다. 빌립보서의 저자 바울은 교회 안팎의 어려움으로 힘겨워하는 그리스도인들을 향해 ‘복음에 합당한 삶’을 살 것을 요청한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본질적 삶에 관한 교훈이 담긴 바울의 권면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규명을 요청하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빌립보서 1장 27절의 ‘복음에 합당한 삶’에 관한 바울의 권면을 중심으로 빌립보서 전체 본문을 재구성하여 개인적, 교회적, 사회적 차원에서 그리스도인의 실존을 연구함에 그 목적이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 정체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복음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는 바울과 예수, 디모데와 에바브 로디도의 삶을 모델로 제시한다. 교회적 차원에서는 복음을 위한 교제의 중요성을 다루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복음에 참여하는 삶과 그리스도인의 소명에 관해 논한다. 그리스도인의 실존에 관한 바울 의 교훈은 오늘날 정체성의 위기를 마주한 교회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고민과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Today, Christians inevitably experience confusion of identity due to differences in the way they communicate with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faith and life’ experienced by individuals who fail to establish their Christian identity extends to the problem of community division at the church level and formation of anti-Christian perceptions at the social level. Paul, the author of the Philippians, asks Christians who are struggling with difficultie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o live a ‘A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Paul's counsel, which contains lessons about the identity and essential life of Christians, can be a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at ask for a clear identification of their identity as Christians. This study on the the identity of Christians at the individual, church, and social levels by reconstructing the entire text of the book of Philippians, focusing on Paul's core command on ‘A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in Philippians 1:27. At the personal level, Focusing on the meaning, purpose, and identity of life, it presents the models of Paul and Jesus, Timothy and Epaphroditus, who live a life for manner worthy of the gospel of Christ. At the church level, it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fellowship for the gospel as evidence of salvation. At the social level, we discuss life participating in the gospel and the calling as Christians. Paul's lessons on the identity of Christians can help the church community to think and practice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today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identity.

      • 키에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에 대한 분석적 연구

        이희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66715

        So¨ren Aabye Kierkegaard(1813-1855), an existentialist, thoroughly analyzed the human beings that have lead comfortable lives as a part of common system of speculative philosophy. He described the human being as an 'existence of dread' from an early age. He observed that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came to have a deep distrust of reason and severe doubt of advancement of history that have placed on the absolute position during World WarsⅠand Ⅱ. In addition, they keenly realized the inability of human beings and crisis of existence. Today, modern people remain troubled by dread, war, racial conflict, various terror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oning. However, according to Kierkegaard, these external dread were not true ones but only fears. The fear has its object as emotional state, but the true dread, Kierkegaard said, was the result of the contradiction i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t was very difficult to grasp its substance and overcome it. As a result, few people research these problems of dread which are profound obscurities. But, under these conditions,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dread', Kierkegaard tried to approach these problems in a decisive manner. Kierkegaard was a Christian in Lutheran Church, the established Christianity in Denmark as well as a philosopher and theologian. His interest was to establish the true Christianity and be a true Christian at all times. Kierkegaard, who has wrestle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se problems, saw through the concept, 'dread', as a depth element in the human being's existence. And then, he started a full-scale research. The result of his research was The Concept of Dread. He did not look for the problems of dread in other places, but he developed his fantastic logic, connect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original sin' based on the lapsed mythology about Adam and Eve shown in Genesis. Kierkegaard tried to interpret the dread of human beings in connection with original sin. In the meantime, he virulently criticiz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original sin that was recognized as a vague and abstract mythology. First of all, he considered the original sin as a sense of guilt and explained it as psychological and anthropological method, not mythological method. His trial was to analyze the human being's common guilt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sin by Adam and Eve. In addition, he considered the mythology of Adam and Eve's Fall in the Bible as a matter which concerns every human. That is to say, transference from the state of innocence to the state of sin. Accordingly, he interpreted that human beings came to lose their innocence through the actual commitment of a sin rather than through the genetic guilt from Adam. As a result, he interpreted that every human being would never be free of dread. What is the philosophical or religious meaning of 'dread' that Kierkegaard highlight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him, every human came to feel dread if they were normal human beings because they were beings with mental reason. Paradoxically speaking, the deeper the dread, the greater the human being. The reason was why the dread made the human beings foothold that could make them miss the eternity and a motive of vital importance.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Kierkegaard's concept of dread makes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to find the lost egos, and become a means of true recovery for humanity. Ultimately, this dread proves to be a way to reach for eternity. In other words, the dread became a motive that made the human beings confirm their religious faith for Jesus Christ, an Absolute Paradox. And the belief in God became a shortcut that reached to eternity. Consequently, Kierkegaard's theory of dread is the essence of the theory of religious eternity. It could supply the precious materials of moral education in view of general education or popular education. A step further from the theory of concept of dread, when it comes to reach to his other works, for example, Training in Christianity, Sickness unto Death, and Either-or, it comes to be full of suggestions like a lot of materials and methodology related to the moral education. However, it is common sense that it has limitations and parts can be criticized, although he is a great thinker and has great thought. Even if Kierkegaard was an excellent and genius founder of existentialism, it could reveal the limitations in different terms. Although this researcher's criticism with the superficial learning might misunderstand and distort Kierkegaard's intention completely, this researcher's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theory of 'concept of dread' in Kierkegaard was an approach from a psychological·an thropological point of view,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psychologi cal·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in the general meanings. On the contrary, it was better to consider as an approach to religious psychology or Biblical hermeneutics of Christianity, one of particular religions. His approach and theory did not seem to be easy to accept in the modern multi-religious society. And, he had an excellent point of view in which he highlighted 'dread' as a constituent of human existence and analyzed it systematically and profoundly. But, he could not help possessing the limitations clearly to comprehend the field of non-Christianity. Also, it was considered difficult to escape the criticism as very dogmatic opinion. 사변 철학의 보편적 체계 속에 한 부분으로 안주하고 있던 인간의 존재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낸 실존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르(1813-1855)는 일찍이 인간을 무엇보다도 '불안한 존재'로 규정하였다. 과연 그의 분석과 예견대로 지구촌 사람들은 제 1·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거의 절대적 위치에 있던 이성(理性)에 대한 불신과 역사의 진보에 대한 심각한 회의를 품게 되었으며, 인간의 무력과 실존의 위기를 절감하게 되었다. 오늘날 현대인은 여전히 전쟁의 불안과 인종갈등, 각종 테러, 환경오염 그리고 인간 복제 문제 등으로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키에르케고르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적인 불안들은 진정한 불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들은 단지 공포의 대상들일 뿐이며 외적인 불안일 뿐이다. 공포는 감정상태로서 그 대상이 있지만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진정한 불안은 인간 실존의 모순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그 대상이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실체의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극복하기도 매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이 난해한 불안의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불안 연구'의 부재 상황에서 키에르케고르는 과감하게 이 문제에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키에르케고르는 덴마크의 국교였던 루터교 신자였을 뿐만 아니라 철학 및 신학도로서 그의 관심사는 언제나 참된 그리스도교의 정립 및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고민했던 키에르케고르는 인간 실존의 심층요소로서 '불안'개념을 간파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착수한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물이 곧 그의 저서 『불안의 개념』이다. 그는 불안의 문제를 다른 곳에서 찾은 것이 아니라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과 하와의 타락 설화를 기초로 하고 있는 전통적인 '원죄'개념을 그의 불안 개념에 연계시켜서 기발한 논리를 전개하였던 것이다. 키에르케고르는 그동안 하나의 신화로서만 막연하게 추상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원죄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인간의 불안을 원죄와 연계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는 우선 원죄를 실존적인 죄성으로 보고 그것을 신화적 방식이 아닌 심리학적이고 인간학적인 방식으로 해명하려 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아담과 하와의 죄에 대한 해석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죄성을 분석하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아담과 하와의 타락에 대한 성서의 설화는 모든 인간의 삶에서 야기되는 하나의 사건, 즉 천진무구의 상태로부터 죄의 상태로의 이행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인간들은 아담으로부터의 유전적인 죄성을 통해서가 아니라 실제적인 죄지음을 통해서 자신의 무구를 상실했다는 것이며 그 결과 모든 인간은 그 누구도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는 해석이다. 그러면 키에르케고르가 인간 실존의 한 특징으로 부각시킨 '불안'의 철학적 혹은 종교적 의미는 무엇인가? 그에 의하면 인간은 정신적 사유의 존재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불안을 느끼게 되며, 역설적으로 불안이 깊으면 깊을수록 인간은 더욱 인간적이며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불안이란 인간으로 하여금 영원을 사모하게 하는 발판이 되고 요긴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키에르케고르의 불안 개념은 인간으로 하여금 잃어버린 자기를 발견케 하고 참다운 인간성 회복의 수단이 되며 급기야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귀중한 매개체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불안은 절대적 역설인 그리스도를 신앙케 하는 계기가 되며 또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구원에 이르는 지름길이 되는 셈이다. 이와 같은 키에르케고르의 불안론은 결과적으로 종교적 구원론의 핵심이며 세속 교육의 관점에서는 도덕교육의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불안의 개념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의 다른 저작, 예컨대 『그리스도교의 훈련』, 『죽음에 이르는 병』, 『이것이냐 저것이냐』에 이르게 되면 도덕교육과 관련된 많은 자료와 방법론을 터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위대한 사상가 및 사상체계라고 할지라도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비판될 부분이 있기 마련이라는 것은 이미 상식에 속한다. 따라서 키에르케고르가 훌륭한 천재적 실존철학의 비조라 할지라도 어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한계점도 노정 할 수 있다고 본다. 천학비재한 논자의 비판이 키에르케고르의 의도를 완전히 오해하고 왜곡할는지는 몰라도 논자의 의문점은 다음과 같다. 키에르케고르의 '불안 개념'론은 심리학·인간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이라고는 하지만 일반적 의미에서의 심리학 또는 인간학적 관점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특정 종교인 그리스도교 심리학, 혹은 성서해석학적 접근이라고 보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 이러한 그의 접근법과 논리는 현대의 종교다원주의 사회에서 수용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인간의 실존의 구성 요소로서 '불안'을 부각시켜 그것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은 그의 탁견이지만 비그리스도교의 영역까지 포괄하기에는 명백히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고 매우 독단적인 주장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