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방송이 몽골 드라마에 미치는 영향 -시트콤 <세 친구>를 중심으로-

        강체첵 광운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910

        현대에 이르러 방송의 장르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르들 중 한가지로 드라마를 꼽을 수 있다. 2000년대부터 다른 아시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한류’ 열풍은 몽골을 관통했다. 몽골은 1566,600km² 지역에 300만 명 보다 적은 인구가 있으며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약 10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데, 도시와 지방의 차이가 없이 전기가 공급되는 곳이면 몽골의 어디서나 한국 드라마를 접할 수 있다. 현재 울란바토르에만 83 개 정도의 방송 채널이 운영 중이라고 기록되고 있으며, 따라서 300만 밖에 안 되는 인구에 비하여 많은 채널이 방송 중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 많은 채널들의 대부분이 단지 한국 드라마를 방송하고 있음으로서 문화적 지배를 우려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가 싶다.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한국 시트콤 <세 친구>와 2014년 몽골에서 인기가 있었던 시트콤 <세 친구>의 리메이크작인 <Gurvan naiz>를 비교·분석하면서 몽골 방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각 드라마의 등장인물(직업, 나이, 외모와 성격 등)을 비교·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인물관계 비교에서 나타난 차이점, 세 번째로 배경과 장소의 차이점, 네 번째로 스토리 등을 통하여 네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Gurvan naiz>의 외형적인 부분은 몽골 시청자의 이해와 선호도에 맞춰서 현지화 및 변화가 가해졌고, 내면적인 부분(context)은 기존의 <세 친구>와 연계되어 어느 정도 변화가 되었다고 평가한다. 결국 한국 드라마의 영향력이 몽골에서 시트콤 드라마의 초석이 되었다고 정의할 수 있으며 몽골의 드라마 발전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된다. 한·몽 시트콤 <세 친구>와 <Gurvan naiz>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재 몽골 방송 환경에서 리메이크 방식으로 제작된 시트콤 장르는 드라마 제작 경험과 전문적인 작가들의 부족으로 시청자들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품질의 좋은 작품을 만들지 못하고 있는 몽골 방송 환경에서 외국 문화의 지나친 범람을 피하면서 저렴한 제작비로 고품질의 작품을 빠른 기간 안에 시청자들에게 제공 할 있다는 많은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현재 몽골 방송에 맞는 방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몽골 드라마의 장르는 점차 다양해지고, 그 품질도 좋아지며 양적으로도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몽골 방송은 자기 특징과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Drama programs would be one of the most popular genres of the current TV programs. From 2000s, so called ‘Hallyu’ fever has penetrated in Mongolia like other Asian countries. Mongolia is a country of 1566,600km² in area with population of less than 3 millions. 1 millions or more of the population reside in the national capital Ulaanbaatar. However, regardless urban or rural areas, anywhere in Mongolia where electricity is supplied, Korean TV dramas are available to view. According to a record, currently about 83 channels are active only in Ulaanbaatar. Additionally, since most of these many channels are broadcasting only Korean TV dramas, it wouldn’t be an extraction if this is described as a dangerous case to concern for an cultural control.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ngolian broadcasting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n sitcom <Three Friends> highly popular in Korea in 2000s and <Gurvan naiz>, a remake show of <Three Friends> highly popular in Mongolia in 2014. First, characters (jobs, ages, looks, and personalities) between these two dramas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n, comparisons are conducted by focusing on four factors through found differences from comparisons of character relationships, backgrounds and places, and stories.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format of <Gurvan naiz> has been localized and changed following understandings and preferences of Mongolian viewers while the context of the drama has been changed in some degree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the original <Three Friends>. For such matter, the impact from Korean dramas can be defined to form a fundamental for sitcom dramas in Mongolia, and can be interpreted as positive for the drama development process in Mongoli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Korean and Mongolian sitcoms, <Three Friends> and <Gurvan naiz>, the current sitcoms produced as remake programs have a great deal of advantages that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with low costs in short periods of times to viewers while avoiding the excessive flood of foreign culture in the Mongolian broadcasting environment where Mongolian broadcasters are not available to produce good quality programs due to short of experiences and expert writers for the drama production. Therefore, such method would be evaluated to be suitable for the current Mongolian broadcasters. Also, recently, the Mongolian drama genres are gradually extensive in varieties and the program qualities are improved while rapid growth is made in the quantity. Therefore, the Mongolian broadcasting seems to go forward to a positive direction while expected to fi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 (The) Comparison of Television Drama’s Production and Broadcast between Korea and China

        Sheng, Tingyi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09

        Korean TV dramas, as important parts of the Korean Wave (Hallyu), are famous all over the world. China produces most TV dramas in the world. Both countries’ TV drama industries have their own advantages.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recommendations for drama production companies and TV stations, this paper analyzes, determines, and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TV drama production and broadcasting. Korea enjoys a higher degree of marketization than China, and the Korean TV drama industry enjoys the Korean government’s great support.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e screenwriter is at the center position and has great influence over the whole production team. The producer is also the directo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drama’s quality meets expectations. In broadcasting, the three main TV stations – SBS, KBS, and MBC – hold dominant positions.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broadcasting models according to broadcasting time and frequency. Further, the main types of dramas are family dramas and romantic dramas, and are based on the contemporary period. In China, the importance of the SARFT cannot be ignored. On one hand, the SARFT regulates the whole production process through strict censorship and regulation. Further, the SARFT also regulates dramas’ broadcasting model, broadcasting time, broadcasting players, and broadcasting content. Besides that, the SARFT also regulates broadcasting content by encouraging the broadcast of realistic dramas based on the contemporary period, and by requiring TV stations to broadcast Red TV dramas. By comparing the drama production and broadcasting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 we observe seve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The greatest difference in production is that Korean production is more efficient than Chinese production. As for broadcasting,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dramas is in diversity. Korean broadcasting models are more varied, but China’s broadcasting content is more diversified. The two countries also are similar across three main characteristics. First, both countrie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is is reflected in Korea’s shooting-while-broadcasting model and China’s production and broadcasting of more IP TV dramas. Second, both countries have their own main TV stations with dominant market positions. In Korea, these are SBS, KBS, and MBC. In China, they are the Five Star TV stations. As a result, access to audiences is important when broadcasting TV dramas. Last but not least, both countries mainly broadcast romantic dramas and family dramas set in the contemporary period.

      • TV 드라마 제작비와 시청률이 후속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S.T와 VOD 서비스를 중심으로

        오상익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94

        This study analyzed how ratings of network TV dramas and production cost would effect achievement of after market of dramas. There are various after markets derived from one TV drama, but this study focused on O.S.T and VOD that can be calculated. For O.S.T the study calculated sales based on reporting by Music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and information of recording company. For VOD to gather lots of information, the study focused on specifically SBS dramas that started VOD commercial servic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research of production cost and rating of dramas from three networks and analyzed co-relation with two after markets of dramas the study gets following conclusion. First,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cost of dramas and ratings show that as production cost goes up ratings goes up. Even though high production cost does not guarantee high ratings overall, to get better result it is important to make high quality dramas with lots of production co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ratings and after markets, VOD service ha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ratings. Also, O.S.T. has correlation with ratings. Therefore, ratings effects on after markets of dramas. Through analysis of early ratings and after markets the result shows that VOD service shows high correlation with all kinds of ratings including average ratings. Thus, early ratings would be important measurement that can predict VOD usage. However, for O.S.T. early ratings is insignificant. To analyze factors other than ratings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ype and telecasting times of dram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entire series volume is not a significant factor that effects achievement of after market of dramas. However, for O.S.T drama that is about twenty volumes has more chance to be successful rather than daily drama that has larger volume. Also, drama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aily drama, weekly drama and weekend drama and analyzed correlation with after markets and three different categories. As a result, for VOD there was some difference among these three different kinds of dramas and volumes of dramas. Since VOD has high correlation with ratings, the study looked into VOD sales based on drama ratings pattern. As a result, there was a apparent characteristics of early loyalty of VOD. In other words, VOD is a service that requires extra cost. Thus loyalty for the program should be built first and this loyalty would create possible consumer for the VOD later. Even though, ratings goes down as the drama goes on early loyalty that has been built would flow into VOD service purchase as drama goes toward the end. However, when the ratings goes up later, loyalty toward the drama would be relatively low then it would not create VOD sales. Thus, early loyalty is very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 the VOD sales. Television dramas are not one-time contents that only create advertising profit any more, rather they are contents that achieve One Source Multi-Use with various additional products or windowing strategy. Moreover, as Korean dramas get popular in foreign markets their markets are expended and have more chance to get additional profit from foreign markets. Therefore, systematic analysis and sophisticated producing are required and also, continuous concern and study need to back up ''Drama Industry'' that has been risen as core broadcasting contents. 본 연구는 지상파 TV 드라마 시청률의 크기와 제작비 투입정도가 드라마로 파생되는 후속시장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연구이다. 하나의 드라마를 통해 발생될 수 있는 후속사업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나 본 연구는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한 O.S.T.와 VOD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O.S.T.는 방영 종료 후 3개월까지의 판매량을 ‘한국음악산업협회’가 공시한 음반 판매량과 해당 O.S.T. 발매 음반사의 내부자료를 근거로 산정하였고 VOD 서비스 매출의 경우, 많은 자료 확보를 위해 가장 먼저 유료화가 정착된 SBS 드라마에 한해 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지상파 3사 드라마의 제작비와 시청률을 조사하고 두 가지 후속 시장과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드라마 제작비와 시청률간의 상관관계는 검증결과 제작비를 많이 투입한 드라마가 시청률도 높게 나와 재정투입이론을 증명하였다. 반드시 높은 제작비가 높은 시청률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는 드라마가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제작비 투입 예산을 늘려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균 시청률과 후속시장의 관계에서도 VOD서비스는 시청률과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O.S.T.와도 상관관계가 증명되어 시청률이 후속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초기 시청률과 후속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VOD는 평균 시청률과 마찬가지로 모든 시청률이 그 성과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초기 시청률이 VOD 이용량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임을 시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드라마 O.S.T.의 경우는 초기 시청률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초기 시청률만으로 성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청률 외에 드라마 후속시장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드라마의 횟수와 유형에 따른 후속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먼저 드라마의 방영 횟수에 따른 분석결과, 드라마의 총 분량이 드라마 후속시장 성과를 결정하는 근거로 볼 수 없다고 나타났으나 O.S.T.의 경우 20회 전후의 ‘트렌디 드라마’가 총 방영횟수가 많은 일일 드라마 류 보다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방영시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일일드라마, 주간드라마, 주말드라마 등 세 가지 그룹으로 드라마 유형을 나누고 이에 따른 후속시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라마 횟수와 마찬가지로 통계적 의미를 논할 수 없는 결과를 보였으나 VOD의 경우 드라마 방영시간이나 유형에 따라 성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었다.앞선 분석을 통해 시청률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인 VOD를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드라마 시청률 패턴에 따라 VOD 매출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VOD의 초기 충성도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VOD는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매체로 시청결정 과정이 매우 엄격해 높은 충성도가 형성되어야만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단 충성도가 형성되면 등락 변화의 폭이 시청률의 변동만큼 크지 않으며, 시청률이 후반 하락하더라도 초기 충성도가 드라마 최종에 가까워지면 VOD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후반 상승의 경우 후반에 형성된 충성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VOD로 이어지지 않았듯이 VOD 매출은 드라마의 초기 충성도가 매우 중요한 성과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제작비와 시청률이 후속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나타났듯이 TV 드라마는 더 이상 광고수익만을 창출하는 일회성 콘텐츠라 할 수 없다. 이제는 드라마 방영 중 또는 종영 후에 파생되는 다양한 부가 상품 내지 창구화를 통한 수익창출로 ‘원 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Use)’를 실현하는 전형적인 콘텐츠로 발돋움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국내시장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한국의 드라마가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드라마를 통한 새로운 부가수익 창출기회는 확대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정량 이상의 제작비 투입이 양질의 프로그램을 생산하고 이는 가시적인 시청률 성과로 나타나며, 시청률은 다시 후속시장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핵심 콘텐츠로 부상한 국내 ‘드라마 후속시장’의 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시청률 외에 다양한 후속시장의 성공요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분석과 정교한 기획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의욕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방송 콘텐츠의 해외 시장에 관한 연구 : 한류의 지속적 확산을 중심으로

        민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636

        한류란 대만,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불고 있는 한국의 드라마, 가요, 영화 등의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적 인기와 이에 의해 촉발된 한국 문화와 한국 사회에 대한 관심과 동경을 포괄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서, 그 현상의 근저에는 방송기술 발전에 따른 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아시아 지역에서의 콘텐츠 수요의 급증이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적 요인으로는 1990년대 중반이후 민영 방송인 SBS의 등장이후 지상파 3사의 치열한 시청률 경쟁과 Cable-TV 등장 등 제작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국의 영상 산업이 크게 발전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춘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작하게 되었다는 점과 국외적으로는, 대표적으로 중국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덩 샤우핑의 중국의 개혁, 개방이후 중국의 급속한 시장경제 전환에 따른 소비 패턴의 변화와 위성방송, 디지털 매체 등의 기술 발전 추세에 따른 매체의 증가로 콘텐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던 시점에 우수한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적기에 공급됨으로서 절묘하게도 한류의 기반을 공고히 다지게 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a$$a이외에도 한류의 진원지인 동아시아에서 불고 있는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 적인기의 요인으로는 같은 유교 문화권 및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정서적 공감이 훨씬 높아 미국 등 서구 프로그램에 비해 시청 흡입력이 높다는 점과 한국 문화 콘텐츠가 서구의 선진 문화의 장점을 잘 소화한 후 한국적 요소를 잘 가미하여 제작함으로서 미국 등의 문화를 그대로 수용하기 부담스러웠던 중국의 경우에 한국의 문화가 어느 정도 문화적 충격과 혼란을 막아 주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봄으로서 한국 방송 콘텐츠의 편성을 허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경제개발 도상국인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자신들의 정치, 경제적발전의 이상적 모델을 한국에서 찾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1970년처럼 경제발전이 최대 과제인 동아시아의 국민들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접하며 그들 또한 한국처럼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된 점 등이 한류의 선풍적 인기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다.$$a$$a한류의 확산 단계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국가별로 한류의 확산 단계가 각기 달리 전개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한류의 초기에는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한국 선호 현상’으로 넓게 해석되고 있어 한국의 상품, 한국인 등 한국 자체를 동경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가별 한류확산의 단계를 살펴보면 제1단계인 ‘한국 대중문화 유행단계’는 한국의 대중문화와 한국 스타에 매료되어 열광하는 단계로서 멕시코, 이집트 등의 국가이며 제2단계인 ‘파생상품 구매단계’는 일본, 대만, 홍콩 등과 같이 한국의 대중문화 및 스타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발전하며 제3단계인 ‘한국 상품 구매단계’에서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전자제품, 생활용품 등 일반적인 한국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서 중국, 베트남 등이 대표적이다. 다음 단계인 제 4단계는 ‘한국 선호단계’로서 한국의 문화, 생활양식, 한국인 등 ‘한국’ 전반에 대해 선호하고 동경하는 단계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한류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 콘텐츠 시장의 탄탄한 기반과 고품질의 콘텐츠 공급이 필수적이다.$$a$$a문화 콘텐츠 중에서도 TV드라마는 매체 특성상 만국 공통으로 수용자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아온 장르로서 장르의 특성이 ‘문화 근접성’개념에 따라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가까운 국가의 수용자들에게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동기가 되었음을 이번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화권의 ‘한국 대중문화 선호 순위 조사’나 ‘한국 방문의 주된 요인’ 등의 인식 조사, 국내에서의 ‘한류 열풍 요인 조사’ 및 ‘한국 방송 콘텐츠의 수출 실적’ 등에서도 TV드라마의 역할이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TV드라마를 중심으로 일기 시작한 한류의 영향으로 기존의 부정적이고 어두웠던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국가 이미지로 탈바꿈하게 됨으로서 국가 전체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경제 성장의 모범국가로 부각되고, 일본에서는 한국, 한국인에 대한 큰 인식의 변화가 초래되었고, 대만에서는 1992년 국교 단절이후 중단되었던 한국과 대만간의 정기 항공 노선의 재개 등의 실질적 효과를, 베트남에서는 월남전의 상처를 배우 장동건 한 사람의 인기만으로도 과거를 용서하겠다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TV드라마 등의 문화 콘텐츠의 위력이 대단함을 보여 주고 있다. 그 밖에 경제적인 효과로는 유형, 무형의 효과가 발생하여 정확한 통계를 제시하기 어려우 경제적 효과도 대단히 클 것으로 한국무역협회 등은 내다보고 있다.$$a$$a그러나 한류의 성공적인 정착과 확산의 이면에는 적지 않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어 이를 타개하지 않으면 한류의 지속적인 유지와 확산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류에 편승한 지나친 수익추구 현상의 하나로 거론되는 한국의 일부 대중문화 종사자들의 ‘금전 제일주의’가 프로그램의 수출 가격 인상을 가져와 이미 대만 등의 국가에서는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장치를 마련, 시행 중이고 일본의 경우는 2005년 가을 편성부터 한국 드라마의 편성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등 한류확산에 따른 각국의 정서적 거부감이 증대하고 있어 이제는 종래와는 다른 차별화된 접근 방식과 전략으로 임해야 한다.$$a$$a따라서 한류의 지속적인 유지와 확산을 위해서는 <겨울 연가>, <대장금> 등과 같은 킬러 콘텐츠 프로그램(Killer Contents Program)들이 계속 국제 시장에 공급될 수 있는 문화 콘텐츠의 제작역량 강화와 한류관련 콘텐츠 산업 기반의 강화가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아울러 한류의 일방적 확산에 대한 수용 국가들의 정서적 거부감이 증대됨에 따라 국가 간의 문화교류 확대를 통해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여 함께 성장하는 문화 공동체 의식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a$$a ''Hanryu'' or Korean trend is a kind of comprehensive socio-cultural phenomenon encompassing the interests in and yearning for the Korean culture and society, ignited by such Korean popular culture as drama, pop songs and films only to sweep the Asian regions including Taiwan, China, Japan and Vietnam. The phenomenon is caused decisively by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s in Asia for new media contents, which may well be attributable to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he broadcasting technologies. Internally, since mid-1990''s when the private broadcasting SBS was launched,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began to compete fiercely with each other for program rating, and later cable TV channels joined the competition only to change the environment for production of programs, and as a consequence, nation''s moving image industry would develop remarkably to allow for continued production of competitive quality contents. One of the major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occurred in China, externally. Since Deng ShaoPing''s reform and open-door policies, China began to rapidly transform herself into a market economy, and as a result, their consumption patterns changed with development of satellite broadcasting and digital media, and after all, their demands for media contents had been increasing steadily. Thus, Korean excellent cultural contents could be supplied timely to China only to consolidate the ground exquisitely and decisively for Hanryu or the Korean trend.$$a$$aBesides, the sensational popularity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sweeping the East Asia or the epicenter of Hanryu may have been attributabl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the region has long belonged to Confucian and mandarin culture; thus, the East Asian people may be easily sympathized with the Korean culture emotionally, being attracted more to it rather than the US or Western culture. After all, our cultural contents have been exquisitely produced by digesting the advantages of the advanced Western culture and adding up the Korean attributes to them. So, in case of China who could feel it difficult to accommodate the Western culture intact, the Korean culture may well have played a role of buffer to relieve them of cultural shock and confusion, and therefore, the obstinate Chinese authorities seem to have allowed for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to be reorganized into their broadcast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such East Asian developing nations as Vietnam have been looking for their ideal economic development model in Korea. Another reason for the sensational popularity of the Korean culture in this region is that these nations whose foremost priority is put on economic development as Korea did in 1970''s seem to hope to develop themselves like Korea, while being motivated by the Korean popular culture.$$a$$aIn view of the cultural industry, we can see that Hanryu has been spreading differently for each stage. At the earlier stage, it meant popularity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but now, it is interpreted widely into ''a phenomenon in favor of Korea'', which is like to develop into yearning for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commodities and people. In view of the stages for spread of Hanryu, at the first stage when ''the Korean popular culture began to be fashionable'', Mexicans and Egyptians were enthusiastic for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stars, and at the second stage when ''derivative commodities began to be popular'', Korean commodities associated with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stars began to attract consumers in Japan, Taiwan and Hong Kong. At the third stage when ''Korean commodities began to be sold in great quantities, Korean commodities including electronics and living appliances began to be distributed widely in China and Vietnam. At the fourth stage when ''Korea begins to be loved'', the Korean culture, life style and people would be loved and yearned for. For a successful Hanryu,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olidate the ground for our cultural contents markets, while continuing to supply quality contents.$$a$$aAmong the cultural contents, TV dramas have been loved much world-wide by nature. Owing to such a nature of TV dramas as a cultural genre, they may well have appealed more familiarly to the people living in the territories near Korea in geographic and cultural terms; TV dramas were most influential in such surveys as ''Priorities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Major Reason for Visiting Korea'' conducted in the Chinese cultural sphere or ''Major Causes for Hanryu Syndrome'' and ''Exports of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conducted in Korea. As it is, owing to the influence of Hanryu which began to whirl around the TV dramas, the past negative and dark image of Korea have been replaced with a dynamic and attractive national image only to conduce to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Korea is highlighted as an economic growth model in China, while the image of Korea and her people has been greatly changed in Japan. In Taiwan, the regular flight routes between Korean and Taiwan stopped since severance of the diplomatic relation in 1992 was reinstated owing to Hanryu, and our cultural contents including TV dramas are powerful enough for Vietnamese to exclaim ''We will forgive Korea for their misconducts during the Vietnam War because we love the Korean actor Jang Dong-gun''. Other economic effects of Hanryu cannot be enumerated in details here due to lack of precise statistics, but Korea Trade Association and other relevant organizations feel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Hanryu can never be ignored.$$a$$aHowever, such a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spread of Hanryu has been accompanied by various problems; if they should not be solved appropriately, popularity of Hanryu would not sustain. In particular, the extreme commercialism or ''mammonism'' on the part of our popular culture people has resulted in higher pricing of the programs exported, and as a reaction to it, such nations as Taiwan is already operating a mechanism to protect their culture industry, and Japan began to reduce or stop the Korean dramas for their TV programs since autumn, 2005. Namely, each nation''s emotional sense of refusing Hanryu seems to gain strength, requiring us to use other differentiated approaches and strategies for Hanryu.$$a$$aHence, in order to sustain and spread our Hanryu, it is deemed necessary to reinforce our capacity of producing the cultural contents and consolidate our industrial ground for the cultural contents so that such ''Killer contents programs'' as ''Winter Sonata'' or ''Jewel in the Palace'' can be supplied to the international culture markets continuously. In addition, since foreign nations are more and more refusing Hanryu emotionally because of its unilateral sprea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strategies whereby mutual consensus would be formed to grow into a sense of cultural community through expans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a$$a

      • 일제하 방송소설 연구

        송민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635

        방송소설은 대동아 전쟁 시기에 '방송소설'이라는 명칭으로 라디오에서 낭독되었던 방송의 소설판으로 현재까지 밝혀진 것은 44편에 이른다. 본 논문은 1940년부터 라디오 소설에서 방송 소설로 표기되었던 명칭의 변화에 주목하고, 일제 말기 총력전 체제하에 방송소설이라는 명칭으로 발표된 작품들만을 엄밀한 의미에서 방송소설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방송소설이 총력전 체제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해, 작품 속에서 이분법적 구도로 대비되는 인물 묘사 방식이나 서술자의 태도를 멜로드라마적 양상으로 파악하고 그 점을 구명하려고 하였다. 방송소설의 발생에는 1930년대 유행한 대중소설과 초창기 라디오 방송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우리 나라의 대중소설은 신문매체와 결합하여 시작되었는데, 일제가 전시 하 물자절약 차원에서 민간지를 강제 폐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자 신문을 통해 소설을 접할 수 없게 된 독자층은 라디오에 더욱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일제가 방송선전전의 중요성을 간파하면서 방송소설은 일제의 총력전 체제 속에서 철저하게 도구적 서사로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작품의 질보다는 전시 준비 과정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작품들만이 라디오를 통해 흘러나올 수 있었다. 총력전 체제는 모든 사람들을 공동의 운명이란 슬로건 아래 하나의 국가 공동체의 신민들로서 결합시키고자 했다. '강제적 균일화' 정책은 비정상적이고 이성적이지 못한 전쟁의 상황에서만 가능하였는데, 이러한 긴급 의식 속에 노출된 청취자층은 라디오를 통해 하나의 특수한 공동체를 형성한다. 효율적으로 형성된 청취자군은 속도 초과에 대한 열망과 목표를 가지게 되었고, 일제는 청취자를 대동아 공영의 물질적 발판으로 삼았다. 라디오를 통해 상상적으로 형성된 청취자는 일제가 구축해 놓은 전시 체제 속으로 자연스럽게 귀속되면서 일제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주입시킨 규율로 말미암아 획일적인 인간형으로 전락했다. 획일적인 인간형의 결과물은 어린 소년과 총후봉공을 담당할 식민지 여성 그리고 스파이, 이 세가지를 통해 도출되는데 일제는 이러한 시선 장치를 통해 개별자와 개별자의 거리를 소멸시키고 국민들을 강제적으로 '균일화'시킨다. 일제는 전시 체제를 구축하면서 조선에 의식적으로 조작된 담론을 심어 놓는데, 『방송소설명작선』에 드러나는 이분법적 구도는 인물을 묘사하는 방식이나 서술자의 태도 역시 참과 거짓, 적과 아, 선과 악이라는 이항 대립적인 결과물을 낳는다. 이때에 생겨난 과잉된 감정과 강력한 파토스는 멜로드라마가 추구하는 자극적인 선동의 감정과 잇닿아 있다. 절대자에 의한 충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인공의 죽음을 심미화 시키거나 인물형과 전쟁에 대한 주인공의 인식을 중심으로 도덕적 양극화의 구조 즉, 선과 악의 대비를 그려내는 것이다. The broadcasting novels are the novel editions of the broadcast which was read aloud by the name of 'the broadcasting novel' in the times of the total-war, and 44 volumes have been unearthed up to now. In this paper I paid attention to only the works marked as ‘the broadcasting novel' in the radio stories broadcasted since 1940, and stipulated only the works which was made public by the name of the broadcasting novel under the total-war as the broadcasting novels in a strict sense. Therefore this study begins in the hypothesis that the broadcasting novel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orming of the total-war system, and intend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character description or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compared in the works as the melodramatic aspect and examine that point closely. In the origination of the broadcasting novel, the popular stories widely liked in 1930's and the early stage radio broadcasts played an important role. Korean popular story began in the combination with the newspaper media, but Japanese imperialism forced to stop the commercial publishing to save resources under the war, so readers who could not read the stories through the newspapers had to listen intently to the radio. As the Japanese penetrated the importance of the broadcasting propaganda war, the broadcasting novel put down roots completely as the instrumental narration. Thus, without the consideration to the quality of the works, only the works that could be made use effectively in the process of the war preparations were able to flow through the radio. The total-war system intended to combine everyone as the subjects of one national association under the slogan of common destiny. The policy of 'coercive uniforming' would be possible in the condition of the abnormal and irrational war, but the radio listeners exposed in this emergency consciousness built up one special association through the radio. The listening group formed efficiently had the fervent hope and the goal about speed excess, the Japaness imperialism made the audiance a material footing of the total war. The audience who was formed imaginatively through the radio reverted into the war-system construc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sank to the uniform human because of the discipline infused in the various routes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outcome of the uniform human extracted through three sorts: young boys, colony women taking charge of 'Chong-hu-bong-gong', and spies, but the Japanese imperialism exterminated the distance among the individuals and forced to 'uniform' a member of nation. As constructing war-system, the Japanese imperialism set manipulative argument consciously into Korea, and in works binomial confrontational composition as truth and false, enemy and our force, or virtue and vice appeared in method of describing character or attitude of the narrator. The excessive emotion and strong pathos arised in this time were connected to stimulative agitational feeling that the melodrama pursued. For example, one beautified the death of a protagonist as the means to represent the loyalty to the absolute, showed the character and the recognition of a protagonist about the war as the structure of the moral dualism through the contrast of virtue and vice.

      • 생산자로서 드라마 수용자와 수용자로서 드라마 생산자 : <옥탑방 고양이>를 중심으로

        주용진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622

        Entering the era of audience sovereignty, this study was launched from growing interest in how media text producers read and accept texts that viewers wrote. So to spe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who were mediated to the viewer board due to internet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 have chosen the popular <The Cat of the Penthouse> among media texts, which has obviously raised a storm of a social issue. I have examined viewers'' reactions about the media text and their comprehension mode which appeared on the <The Cat of the Penthouse> internet viewer board. Also, the process of viewers'' opinions reaching the producers was traced, and reactions of producers were understood, as well as whether if not they accepted the opinions. The following are subjects of study. Subject 1. How do viewers comprehend media texts, and how isboard texts produced? Subject 2. How do broadcasting stations accept board texts produced by viewers, and how does this affect media text production of producers? To solve Subject1, we examined 30,011 cases of viewer opinions on <The Cat of the Penthouse> in order to grasp viewers'' reactions and comprehension modes. For Subject2, we investigated whether viewers'' opinions were reflected and whether there were gate-keeping stages when preparing reports, through analyzing viewer-opinion related reports inside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interviews with report producers. Moreover, we had a serious interview with media text producers to investigate whether theyaccepted company-internal reports and viewer board opinion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viewers were making compliments, complaints, deep criticism and suggestions about media texts, not to mention immediate respons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results of viewer opinions from the internet board. Viewers owned information about broadcast contents jointly by viewer boards, even on clothes, property and more. They were trying to read the soap opera in a more appropriate way by comparing each others'' commentaries. Secondly, examining viewers''<The Cat of the Penthouse> comprehension with ''living together (before marriage)'' and ''scholarship discrimination'', they were making compliments about the selection of a subject material such as ''living together''which is realistic and is becoming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were strong complaints that the soap opera showed only the bright side of ''living together''instead of describing it more deeply. Also viewers showed dissatisfaction about making fun of junior college students just for amusement. Like this, viewers are thinking soap operas as a way to induce positive results from social debate by choosing realistically controversial material, not just as an entertainment show. They are continuously presenting their thoughts to producers using the viewer board. Thirdly, the broadcasting station looks like it is applying viewers''opinions to viewer-related internal reports such as dailyreports and weekly reports through many forms. However, this is not exactly working out well. Daily reports are limited due to opinion rallying on the day of broadcast, and the summary of the report takes up most of the weekly report, which seems to be the limits of weekly reports. Also, weekly report''s analysis of the main three broadcast stations'' program boards is programmed only in the first week, so including viewers'' opinions on the whole broadcast program was impossible. Fourthly, there are two problems on preparing reports. One is that the people who produce reports work limited by contract. The other is that reports are produced for management. Work was not substantial when producing reports because of discriminated personnel affairs. Moreover, viewer-opinion related internal reports were not for appropriatelydelivering viewer opinions to producers, but for management to simply keep a look on viewer opinions. The report form and production mechanism was not appropriate for expressing viewers'' opinions and thoughts. Lastly, producers scarcely accepted viewers'' opinions. They doubted about the usefulness of the viewer board itself, which is the product of viewers. The point that viewer opinions were mostly too emotional, gossiping simply about like and dislike was on of the main reasons. Another was that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the writer; the scripts were from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Producers are using the viewer board only to correct technical flaws such as flies in the ointment. There are not any special comments based on viewer opinions from inside the broadcasting station neither. As internet use becomes more common, viewer participation and demands by viewer boards are going to bother producers more. Therefore broadcasting stationproducers and management must change their recognitions on viewer boards, and put internet boards into practical use as an interactive communicating method with viewer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including simple feedback, producing and program advertisement. 본 연구는 시청자 주권시대를 맞이하여 미디어 텍스트 제작자들이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시청자들이 생산해낸 텍스트를 어떻게 읽고 수용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였다. 즉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초래된 시청자게시판으로 매개된 시청자와 제작진과의 역학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텍스트 중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옥탑방 고양이>를 선택하였다. <옥탑방 고양이> 인터넷 시청자게시판에 나타난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과 독해 양태를 알아보고 시청자의견이 제작진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제작진들의 게시판에 대한 반응과 수용여부를 파악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시청자들은 미디어 텍스트를 어떠한 방식으로 독해하며, 어떠한 게시판 텍스트를 생산하는가? <연구문제 2> 방송사는 시청자들이 생산한 게시판 텍스트를 어떻게 받아들이며, 이는 제작자들의 미디어 텍스트 생산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옥탑방 고양이> 시청자의견 30,011건을 분석하여 시청자들의 반응과 독해 양태를 파악하였다. 연구문제2를 위해 방송사내 시청자의견 관련 보고서 분석과 보고서 제작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시청자의견의 반영 여부와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 단계별 게이트키핑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미디어 텍스트 제작진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내 보고서와 시청자게시판 의견 수용 여부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자 의견을 분류한 결과 시청자들은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즉시적 반응뿐만 아니라 심도 있는 비평과 제언 및 칭찬, 항의를 하고 있었다. 시청자들은 시청자게시판을 통해 방송 내용뿐만 아니라 연기자들에 대한 정보와, 의상, 소품 등에 대해서도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로의 해독에 대해 비교하며 더 나은 방향으로 드라마를 읽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로, 동거’와‘학력차별’로 시청자들의 <옥탑방 고양이> 독해를 살펴본 결과, 시청자들은‘동거’와 같이 현실적이며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소재 선택에는 많은 칭찬을 하고 있었지만 ‘동거’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고 밝은 면만 그리는 태도에 대해서는 강한 항의를 하였다. 또한 드라마의 재미를 위해 전문대생을 희화하는 지점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했다. 이처럼 시청자들은 드라마가 재미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논란이 되는 내용을 소재로 채택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적 토론을 유발해 긍정적인 합의점을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게시판을 통해 이러한 그들의 생각을 제작진들에게 계속 주지시키고 있었다. 셋째로, 방송사는 일일보고서, 주간보고서 등 시청자관련 여러 형태의 사내 보고서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담으려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시청자 의견이 잘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방송 당일의 의견 규합 중심으로 인해 일일보고서의 한계가 있었으며, 일일보고서의 요약이 주간 보고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일일보고서의 한계가 그대로 이어졌다. 또한 주간보고서의 방송 3사 프로그램 게시판 분석도 방송 첫 주에만 행해져 방송 프로그램 전체에 걸친 시청자 의견은 담고 있지 못했다. 넷째로, 보고서 제작에 있어서 문제점은 보고서 작성자들이 계약직이라는 한계와 보고서가 경영진을 위해서 제작된다는 점이었다. 인사에 있어 차별적 대우로 인한 사기 저하로 인해 보고서 제작 시에 있어 업무에 충실도를 높이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제작진에게 시청자의견을 제대로 전달하려는 목적이라기보다는 경영진들이 시청자들의 생각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수준에서 시청자의견 관련 사내 보고서를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고서 형태와 제작의 메커니즘이 시청자들의 의견과 생각을 담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제작진들은 시청자들의 의견을 거의 수용하고 있지 않았다. 시청자들의 생산물인 시청자 게시판에 대한 효용성 자체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시청자들의 의견이 대부분 단순 호불호의 감상적 의견이며, 글쓴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제작진들은 옥의 티와 같은 기술적 실수 지적에만 시청자 게시판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방송사 조직 내에서도 시청자 의견을 바탕으로 제작진들에게 특별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인터넷의 이용이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게시판을 활용한 시청자들의 참여와 요구는 제작자들에게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방송사의 제작진과 경영진은 시청자게시판에 대한 인식전환을 해야 할 것이며 인터넷 게시판을 활용해 시청자의견에 대한 단순 피드백뿐만 아니라 제작과 프로그램 홍보 등 전 과정에 걸쳐 시청자들과 대화할 수 있는 쌍방향 통로로 활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The effects of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export on the country’s overseas consumer goods trade

        야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04

        본 논문은 한국 방송 프로그램이 소비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소비재 분야에서 교역량을 늘리는 데 기여하였다. 더욱이2013년부터 시작된 신인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의 폭발적인 인기는 세계 속 한류의 영향을 급속도로 확산시키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은 더욱 촉진되고 있고, 한국 소비재는 새로운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 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의 문화는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전 세계에 그 영향력을 퍼뜨릴 만큼의 보편성 또한 아울러 갖고 있다. 한국의 음악과 드라마는 젊은 소비자들이 좋아할 만큼 상당히 트렌디하지만, 동시에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소비자들 또한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이다. 한류는 드라마, K-POP, 뷰티 스타일 등 다방면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줌으로서 한국 문화 팬들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본 연구는 소비재 수출을 촉진하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결정요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한류가 소비재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프로그램 수출 채널로서 지상파 방송과 방송채널 사용사업자를 다룬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두 수출 채널 각각과 그 합계 값을 모두 분석하여 어떤 장르가 교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어떤 제품군이 한류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본다. 특히 2009년부터 2019년이라는 기간 설정은 방탄소년단(및 블랙핑크)의 성공에 따른 한류의 돌풍적 변모와, 이에 따른 아시아 이외 지역에서의 한국 상품의 상승된 인기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역전쟁이 방송프로그램과 소비재무역간의 상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그동안 한국 TV 프로그램의 수출은 주로 지상파 방송 채널을 통해 이루어져왔지만, 최근에는 방송 채널 사용 사업자가 지상파 방송 채널을 능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수출에 있어서는 드라마가 가장 인기 있는 장르였으며, 그 외의 다른 장르는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양이 수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별로는 여전히 아시아권이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콘텐츠 수입액은 하향세를 지속하고 있다. 반면 현재 2위를 달리고 있는 북미는 수입량을 점점 늘리고 있다. 다음으로는 유럽이 뒤따르고 있으나, 앞의 두 지역과는 큰 격차를 두고 있다. 국가별로는 한국 콘텐츠 수출의 주요 대상국으로서 일본, 중국, 미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가 있었다. 한국 티비 쇼와 한국 소비재의 수출 패턴을 비교한 결과, 한국 티비 쇼의 패턴과 특정 소비재 수출 패턴 간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두 수출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총소비재 수출, 제품군 (미용, 의류, 신발, 장신구, 주방세제, 식품, 전자, 컴퓨터, 스마트폰)별 수출과, 장르별 (드라마, 오락,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영화, 음악, 교육, 교양, 뉴스) 및 수출채널별 (지상파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 그의 합계) 한국 콘텐츠 수출 간의 상관관계를 중력모형을 활용하여 확인한다. 데이터 세트에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77개국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총 상품수출과 TV 프로그램 수출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품군별 분석에 따르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소비재로 판명된 모든 제품이 실제로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수출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트한 상품 중에서 가장 강한 상관관계는 뷰티 상품(화장품), 신발, 세제, 식품 순으로 나타났다.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앞의 4개 상품군만큼 강하지 않은 다른 상품 그룹은 의류, 전화기 및 전화기 액세서리, 개인용 컴퓨터, 가전 제품 및 장신구로 나왔다. 자동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한국의 방송 프로그램 장르를 보면 드라마, 오락, 교양, 음악 순으로 수출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프로그램을 장르별, 수출채널별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전체 콘텐츠 수출액만으로 테스트할 때는 보이지 않던 세부적인 모든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무역전쟁의 타격을 입은 두 년도 (2018년과 2019년)를 생략하는 방법을 통해 상관계수의 변동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미중 무역의 영향이 있었으며, 이는 한국 프로그램과 소비재 수출 상관 지수의 변화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변동에도 불구, 한국 프로그램 수출과 소비재 사이의 상관관계는 여전히 유의미한 것으로 보였다. 두 년도를 생략했을 때, 대부분의 영향을 받는 제품 그룹 순위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특별히 교양 부문에서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던 숨겨진 유의미한 상관 계수가 드러났다. 또한 t년으로 분석된 한국 소비재 수출에 대해 1년 차이(t-1년)로 분석한 콘텐츠 수출 변수와의 시차상관 분석 역시 시도하였다. 이 분석 모델 역시 한국 콘텐츠 수출과 한국 소비재 수출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전 테스트의 결과를 다시한 번 확인시켰다. 한국의 콘텐츠 수출과 소비재 무역이 실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기 위해 소비재 수출(제품군별)과 콘텐츠 수출(전체, 장르, 수출 채널별)에 국한하여 이질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대부분의 회귀분석 결과가 콘텐츠 수출과 상품 수출 사이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앞의 분석 결과의 유효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논문의 결과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분석된 데이터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공식 수출만을 나타내며 많은 국가의 불법 무료 스트리밍을 포함하지 않는다. 둘째,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연차보고서는 매년 상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결측변수 발생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객관적 한류의 영향을 측정하는데 있어, 한국정부와 특정 국가 정부 사이의 정책 기인적 무역 특혜의 존재는 방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가 결론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한류가 무역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에 정부가 지속적으로 한류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류는 초기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국 정부가 미국 영화를 영화관에서 자유롭게 상영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이후 한류에 큰 충격이 있었다. 소비자들이 미국 콘텐츠, 미국 제품으로 매우 빠르고 대규모로 이동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당시 한국 정부가 미국 영화의 수용에도 불구, 한국이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또 그 혜택을 얼마든지 누릴 수 있다고 예상했던 오판에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한국문화산업국을 설립하였고, 콘텐츠 및 문화 관련 업무를 관리하고 본격적으로 국내 대기업의 재정 지원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후 이러한 한국 정부의 노력은 한국 영화, 드라마 및 기타 유형의 콘텐츠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는 데에 주춧돌이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는 한류홍보를 공식 활동 중 하나로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부는 2020년 11월 COVID-19 전염병 시기에 한류를 돕기 위해 "온: 한류 페스티벌"이라는 온라인 및 부분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콘텐츠 영역에서의 비즈니스 미팅과 같은 활동만 아니라 전 세계 시청자들을 위해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무료 K-POP 콘서트를 개최했다. COVID-19 전염병 이전에도, 대한민국 외교부가 주최하고 다른 정부 기관이 지원하는 창원 K-POP 월드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 역시 한국 문화, 소비재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했다. 이 페스티벌은 전 세계 K-POP 팬들이 그들이 좋아하는 한국 스타를 커버하고, 국내 우승자들에게 한국에서 열리는 결승전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탤런트 경연 대회이다. 또한 특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도 한류의 힘을 유지하고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모색하고 있는데, 코리안 타임에 따르면 2021년 6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한류 주요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한국 콘텐츠 산업에 대한 잠재적 보조금, 수출 장벽 완화, 세제 혜택에 대해 논의 한 바 있다. 결론으로, 한류와 한국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한국 정부는 위에서 언급한 창원 K-POP 월드 페스티벌이나 “ON: 한류 페스티벌”과 같은 행사를 더 많이 개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 이유는 이러한 행사는 비즈니스 미팅 조직의 형태로 직접적인 비즈니스 지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부 무료 한류 콘텐츠 또는 콘서트까지 제공하여 전 세계 더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어 콘텐츠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문화 팬들에게 무료로 한국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류를 지원하는 또 다른 방법은 업계의 직접적인 산업적 경제적 지원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부 세금 혜택이나 보조금 등이 있을 수 있다. 또 하나의 옵션은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한국 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를 촉진하는 한국어 및 문화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This thesis provides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Korean broadcasting programs on consumer goods export of the country.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check the dependence of Korean consumer goods export in general and by product groups (beauty goods, clothes, footwear, imitation jewelry, cleaning agents, food, electronics, computers, smartphones, cars) on Korean content export by genre (drama, documentary, animation, movies, music, education, refinement, news) and by channel of export (terrestrial broadcasting, broadcasting channel operation and in total). The study finds that among the goods that have been proved to indeed be dependent on Korean programs export there are beauty goods, food, personal computers, phones and accessories, footwear, and cleaning agents. Cars have almost no correlation whilst for imitation jewelry, clothes, and home electronics the correlation is positive but much weaker than for previously mentioned product groups. Among the genres of Korean programs dramas, entertainment, refinement shows, and music influence the growth of export the most. This thesis also examines the effect of the US-China trade war on correlation fluctuations by omitting 2017 and 2018 in the analysis revealing that despite some shifts significant positive dependence holds with most affected product groups being the same as for full-time span. Moreover, the research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lagged correlation with content export variables includ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a one-year g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