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에 관한 연구 : 7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이이라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3

        국내 출판 보도는 북 섹션화 이후 많은 발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문 간의 차별성이 없고 서평 수준이 낮다는 등 여러 비판을 받아 왔다. 하지만 출판 보도에 관한 학계의 실증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 연구는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의 특성과 신문사 간에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 요인을 분석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P. J. 슈메이커(P. J. Shoemaker)의 게이트키핑 모델을 기본으로 삼아, 게이트키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뉴스 가치 분석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유형과 내용에 있어서 어떠한 보도 경향을 보이는가? [연구 문제 2]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신문사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내는가? [연구 문제 3]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가 드러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7개 중앙 일간지(<경향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의 출판 기사를 내용 분석하고 출판 담당 기자들과 출판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각 연구 문제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유형과 내용에 있어 어떠한 보도 경향이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출판 보도(북 섹션)는 스트레이트 기사인 신간 안내와 서평이 대부분이었고 출판계 현안이나 이슈 등을 다룬 해설 기사는 그 비중이 적었다. 기명 기사보다 무기명 기사가 많았으며, 담당 기자가 주로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필진으로는 교수/강사가 비교적 많았고, 이들은 주로 서평과 칼럼을 썼다. 기사 소재는 대부분 책 자체였으며, 책을 만드는 생산 주체인 저자/번역자/편집자, 출판사의 경우� 그 비중이 낮았다. 출판 기사의 주요 정보원으로는 책, 저자/번역자/편집자, 출판 유통업체 등이었다. 다음으로 신문사 간의 출판 기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출판 보도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평과 1면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신문들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우선 신문들은 공통적으로 사회과학과 문학 분야의 책을 많이 다루었다. 책의 주제 유형으로는 비소설, 소설, 인문학류가 많았다. 국내 저작물보다는 외국 저작물을 더 많이 다루었고, 그 결과 저서보다는 번역서가 더 많았다. 대부분 담당 기자가 서평 기사를 다루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수/강사, 연구원, 평론가 등이었다. 긍정적 기사이거나 중립적 기사가 대부분이었고 부정적/비판적 기사는 드물었다. 서평 기사의 뉴스 가치를 시의성, 저명성, 갈등성, 인간적 흥미성, 근접성 등을 통해 알아본 결과 신문들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뉴스 가치 요소는 일반적으로 다른 뉴스들에서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뉴스 가치가 없거나 애매한 정도의 낮은 경향을 보였다. 2개 신문사 이상에서 다룬 책은 전체 서평 기사에서 다룬 책의 40%를 차지했다. 서평으로는 대형 출판사의 책이 비교적 많이 선정되었다. 1면에 실린 서평 톱 기사의 경우도 담당 기자들이 대부분 다루었다. 외국 저작물이 국내 저작물보다 많았으며, 이것은 전체 서평에서 다룬 외국 저작물의 비중보다 더 높았다. 1면 서평 톱 기사에서 신문 간의 중복되는 책은 1면에서 다루는 책의 20.8%를 차지했다. 1면 서평 톱 기사는 출판사 규모와 관계없이 차별화된 기획물을 내는 출판사의 책들이 주로 선정되었지만 대형 출판사들의 책들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문학 및 예술, 세계의 정치·사회·경제 문제, 인문적 교양 등의 이슈를 다룬 서평이 많았다. 출판 기사가 드러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출판 담당 기자와 출판인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신문의 출판 담당 기자들의 게이트키핑 과정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출판팀은 비슷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게재일로 인해 비슷한 일정 속에 업무가 수행되었다. 기자들은 주로 출판사가 보낸 책과 보도 자료를 통해 정보를 수집했다. 기자들과 출판인들은 속보성으로 인한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부족한 인력, 한정된 출판 지면, 협소한 외부 필진층, 시간 부족 등이 서평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들었다. 또 책의 선정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책의 내용, 참신성, 책의 완성도 등을 들었으며, 국내 저작물에 더 비중을 두고 다루고자 하지만 실제로는 외국 저작물이 더 많이 기사화되었다. 북 섹션이 신문 간에 차별성이 없는 원인으로는 기자들의 비슷한 가치관,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동일한 정보 채널 등을 들었다. 위와 같이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를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대부분 신문들의 출판 보도는 기사 유형이나 내용에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서로 다른 미디어 조직이지만 유사한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슈메이커가 설명한 게이트키핑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예를 들어 기사의 마감 시간이나, 게재일, 기사 유형, 정보 수집 채널, 인적 구조, 기자의 가치관 등이 신문사들 간에 거의 비슷했다. 다만 편집 정책에 따라 일부 차이를 보이는 경우(내고와 외고 비율 등)도 있다. 또한 서평 문제의 원인으로는 속보성에 따른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부족한 인력, 한정된 지면, 취약한 외부 필진층 등이었다. 뉴스를 선정할 때 작용하는 뉴스 가치는 신문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시의성, 갈등성, 인간적 흥미성, 저명성, 근접성 등 뉴스 가치 요소들은 대부분 없거나 애매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출판 기사가 다른 뉴스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간접적으로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일반 뉴스처럼 ‘속보성’ 등에 너무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문의 출판 보도는 신문사들이 북 섹션을 만들면서 많은 양적 및 질적으로 발전을 했으나 그 질적 수준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게이트키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차원의 요인들이 좀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될 때 질적 발전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evelopments in Korean 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since the start of the book sections. However critics attack the quality of the book reviews, saying that different papers deliver almost the same reports.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so far.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news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and analys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se features. Based on Shoemaker's Gatekeeping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the gatekeeping process along with news valu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this study tried to answer. [Question 1] What trend Korean papers follow in reporting article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s? [Question 2]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apers in their reporting? [Question 3]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ports? In o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analysed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of Korea's 7 major dailies, which are Kyunghyang Daily, the Dong-A Ilbo, the Munhwa Ilbo,the Chosun Ilbo, Joongang Daily, the Hankyoreh and the Hankook Ilbo. The in-depth interview of the reporters and major publishers was conducted. The followings are what have been found in answering those questions. When it comes to the trend among Korean papers in reporting books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s, it was concluded that most articles in the book section were straight ones and they were about new books and book reviews. The reports on issues of the publishing industry was small in their proportion. A larger number of articles was without by-lines and they appeared to have written by reporters in charge of the book section. Outsider contributions were mostly made by professors to book reviews and columns. Authors, translators, editors and publishers, who are responsible for book publishing, were major sources of news rather than the subjects of reports. Next, book reviews and front pages of the book section, which account for most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ere analys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articles of different papers and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reports were similar in that they dealt with books on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Most frequently reported categories were fiction, nonfiction and the humanities. Translated books appeared more than Korean ones. Most book reviews were made by reporters followed by professors, researchers and critics. Majority of articles had positive and neutral tones and they were rarely negative and critic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pers when it comes to news value of articles when they were analysed in terms of timelessness, prominence, conflict, human interests and proximity. However these factors influencing news value were not found strong unlike in other news articles. 40% of reviews were about books appeared in more than two newspapers. Most books for review were those published by major publishers and reviews were made by reporters in charge of the book section. The proportion of translated work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books in the review section. Books reported in 20.8% of headline article on the front pages of the book sections was shown in more than two newspaper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ublishers, books that were made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s were most likely to make it to the headline of the book sections. But still, books from major publishers made up a significant proportion of book reviews. Literature, the art, global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as well as knowledge on the humanities were most frequently dealt with issues in book reviews. In an in-depth interview of reporters and publishers, those factors that influenc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ere identified. Reporters of different newspapers were found to follow similar gatekeeping proces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eople in a team responsible for the book section nor in the deadline for articles, which meant they should follow the same schedule. Reporters collected information for their articles through books and materials provided by the publishers. Reporters and publishers cited 'new book oriented reporting,' lack of personnel, limited space of the book section, lack of outsider contribution and time constraints as the reasons that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book reviews. The contents, novelty and the level of perfec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reporters in their selection of books for review. Despite the focus on Korean books, foreign works appeared more often in papers than Korean ones. The study suggested that reporters' similar value, 'new book oriented reporting' and the same information source made most book sections of different newspapers look almost the same. Based on the analysis of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of Korea's major newspapers, it was concluded as followings. Most articles on books were almost the same in terms of their type and contents in different newspapers. Reasons for this was because reporters of different papers go through the similar gatekeeping proces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gatekeeping process of Shoemaker's Gatekeeping Model also had no difference in different papers. These factors were the deadline of articles, the day of reporting, the channel for information collection, personnel structure and reporters' value. However, there were small difference in,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reporter's contribution and that of outsiders depending on the policy of editors. 'New book oriented reporting,' lack of personnel, limited space of a book section, lack of outsider contribution were among the reasons suggested to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book reviews. News value, which determined the choice of a news ite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aper to paper. However, news value factors such as timelessness and prominence, conflict, human interests and proximity were found to be non-existent or it was hard to tell whether they exist or not. This meant analysis of reports on books required different approaches than that of other reports. For example, 'promptness' was not as crucial as it was in other cases. Korean news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have developed significantly in terms of its volume and quality. However, the quality of the reports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With positive chang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gatekeeping process, the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ill see an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에서 독자 리뷰가 도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이버 북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문상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65

        미디어 수용자는 과거에 비해 웹2.0시대에 더욱 능동적인 이용자가 되었다. 이는 인터넷이라는 미디어를 통해 프로슈머라는 소비계층으로 진화하였기 때문이다. 인터넷 환경의 소비자는 능동적으로 정보를 검색, 공유하고 있으며 공급자, 생산자는 이를 마케팅으로 활용하고 있다. 프로슈머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찾아 커뮤니티라는 온라인 공동체를 찾게 되었다. 최근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구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가장 오래된 미디어인 도서는 한 나라의 문화적 척도로 여겨지기 때문에 내용적으로 사회, 문화적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이고 또 다른 출판 산업의 기반인 상업적 상품의 역할 또한 중시하고 있다. 로지피들러의 말대로 미디어는 지속적으로 새로이 출현하고 있으며 기존 미디어와 경쟁하며 결합, 상생하고 있기에 미디어 모포시스 시대에서 출판 산업 또한 마케팅 관점에서의 타 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본 연구는 최근 출판 마케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와 관련해서 ‘이용과 충족이론’에 입각하여 능동적 수용자인 커뮤니티 이용자 3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 같은 동기를 갖는 집단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구전의 특성인 방향성과 유형은 물론이고 도서의 종류를 더해 각기 다른 8가지 조작 메시지를 통해 도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를 알아보았다.연구 결과, 집단의 특성에 따라 세 개의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 동기 유형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자기개발의 동기, 정보추구의 동기, 긴장완화의 동기이다. 자기개발 동기집단은 타인과의 경쟁에 이기기 위해, 타인과의 대화를 위해 인격을 쌓고 자신감을 쌓기 위해 커뮤니티를 이용했으며, 정보추구의 동기집단은 전문적이고 유익한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 독서 커뮤니티를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긴장완화의 동기집단은 현실을 피하고 시간을 때우기 위해 이용하는 특성이 있었다. 이들 동기집단은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에 차이를 보였다. 긴장완화, 자기개발, 정보추구 순으로 커뮤니티를 자주 방문하였으며, 긴장완화, 정보추구, 자기개발 순으로 자주 게시물을 작성하여 긴장완화의 동기집단이 가장 활발하게 커뮤니티 활동을 전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온라인 구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문학서와 정보서, 두 종류의 도서에 대해 각각 긍정적이면서 주관적, 긍정적이며 객관적, 부정적이면서 주관적, 부정적이며 객관적인 독자 리뷰를 조작하여 총 8개의 메시지로 33~38명에게 처치 실험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인 메시지가 긍정적인 메시지 보다 도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서가 부정적 메시지에 영향을 덜 받고 긍정적 메시지에 영향을 더 받아, 문학서에 비해 정보서를 호의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형에 있어서는 객관적 유형의 메시지가 주관적 유형의 메시지 보다 도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를 통해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구전의 특징에 따른 영향을 감안하여 효과적인 도서의 론칭 이벤트나 구전 발생장소로 온라인 독서 커뮤니티를 활용한다면 홍보 및 마케팅 활동에 있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time of the web 2.0, a media consumer who becomes a more active user than before has evolved into a prosumer through the media, so called “the interne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 consumer searches and shares information actively and a provider and producer makes the most of it for the marketing. A prosumer will visit the online community so as to find out more objectiv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Many studies have been doing about the on-line diffusion as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ffusion in point of the accessing process and the scope of extending.As the book, one of the oldest Media is regarded as a cultural barometer, it plays social and cultural role in the content and it also fills the commercial role of products as a base of the publishing business. In the point of marketing view, the study about other media will be needed in the morphosis world because the new media, as Roger Fiddler mentioned, has appeared continuously, combined and coexisted with the competition of the existing media.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is study has been made about the online book community in order to find out the motivation of online book community user, the characteristic of the same motivated group, and the consumer’s attitude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book by conducting the online experiment on the community user whose population numbered in 323 and by using the different 8 massages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book.As a result, there are three types of motivations in the on-line book commun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group. They are the motivation of self-development, the motivation of pursuing information, and the motivation of relief in tension.The motivation group of self-development put the community to use as a way of winning the competition with other people, building up their personality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others, and gaining the self-confidence. The motivation group of pursuing information used the community to get the special, useful, and new information. Lastly, the motivation group of relief in tension used to pass away their time and to get out from the reality.These motivation groups show the difference in their activity in the online book community. The study shows the motivation group of relief in tension takes an active role on the online community because these motivation groups visit the online community for the relief in tension, the self-development, and the pursuit the information, and write on the board in the community for the relief in tension, the pursuit the information, and the self-development in order respectively.To measure the online buzz effect, this research based on two kinds of book- literature and information book-has been done against 33-38 people by using the different 8 massages manipulated as being positive and subjective, positive and objective, negative and subjective, and negative and objective respectively.The result shows that a negative message has more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intention of purchasing a book than a positive thing. It also shows that the information book is evaluated friendlier than literature because the former has less influence of negative message and more influence of positive message. The consumer’s attitude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book would be affected by objective messages rather than subjective ones.This study is useful to make the concrete plan in the marketing in case that the motivation of the user in the online community would be identified, and the online book community would be applied for the buzz marketing place or launching event for the book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 How interaction shapes production : a comparison of the long eighteenth century British book market and twenty-first century Korean Web novels

        이승빈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석사

        RANK : 232010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the digitalization of literature has occurred. Web novels are a new form of literature that has emerged due to this digitalization but are considered to be disparate from other forms of literature. Some of the features of web novels that make web novels distinctive are that web novels are published and read within literary platforms, are published as serials, and have comment sections for discussion.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se features, which seem distinctive to web novels, can actually be found in other literary eras, and especially examines the British book market of the long eighteenth century for comparison. Specifically, it delves into how booksellers, sequels, and book reviews from the long eighteenth century can form a parallel with literary platforms, serializations, and comments of web novels. Moreover, throug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ifferent eras, this study argues that reader opinions, represented by book reviews or comments, can influence the production of subsequent works such as sequels or future episodes. To compare the two different eras, this study discusses diverse works from the long eighteenth-century British book market, such as John Bunyan’s The Pilgrim’s Progress, Daniel Defoe’s Robinson Crusoe, Samuel Richardson’s Pamela, Fanny Burney’s Evelina, The Monthly Review, The Critical Review, and The Analytical Review, as well as web novels such as Shing Shong’s Omniscient Reader’s Viewpoint, Ryu-Eungaram’s Tyrant of the Tower Defense Game, Chugong’s Solo Leveling, and Emperor Penguin’s Swordmaster’s Youngest Son. Through analy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ritish book market of the long eighteenth century and modern Korean web novel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unfamiliar aspects of Korean web novels through a relatively more familiar topic, the long eighteenth-century British book market.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ims to create a basis for approaching web novel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deconstruct the boundaries set between web novels and other literary forms. 현대의 기술 발전과 함께 문학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며 웹소설과 같은 새로운 문학 형식들이 등장하였으나, 웹소설은 다른 문학들에 비해 이질적이라는 인식이 이어져 왔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이 되는 웹소설의 특징으로는 문학 플랫폼에서 출판되고 읽힌다는 것, 연재의 형식으로 출판된다는 것, 그리고 댓글창의 존재를 꼽을 수 있는데, 이 논문은 이 요소들이 실은 다른 시대의 문학에서도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는 요소들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긴 18세기의 영국 도서 시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특히 서적상, 속편, 그리고 서평이라는 긴 18세기 영국 도서 시장의 특징들이 문학 플랫폼, 연재라는 출판 형식, 그리고 댓글이라는 웹소설의 특징과 유사함을 보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더욱이, 서로 다른 이 두 시대를 비교함으로써 이 논문은 서평이나 댓글의 형태로 드러나는 독자의 의견이 속편이나 다음 에피소드와 같은 차후의 작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 두 시대를 비교하기 위해 이 논문은 존 번연의 『천로역정』,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사무엘 리처드슨의 『파멜라』, 프랜시스 버니의 『에블리나』, 『먼슬리 리뷰』, 『크리티컬 리뷰』, 그리고 『애날리티컬 리뷰』과 같은 긴 18세기 도서 시장의 작품들과 싱숑의 『전지적 독자 시점』, 류은가람의 『디펜스 게임의 폭군이 되었다』, 추공의 『나 혼자 레벨업』, 황제펭귄의 『검술명가 막내아들』과 같은 웹소설들을 분석한다. 긴 18세기 영국 도서 시장과 웹소설의 공통점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웹소설의 익숙하지 않음 비교적 익숙한 주제인 긴 18세기 영국 도서 시장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이해를 통해 웹소설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바탕을 생성하고, 다른 시대의 문학들과 웹소설 사이에 놓인 경계선의 해체의 시도를 목적으로 한다.

      •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문학교육 방안과 효과성 검증

        박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1960

        본 연구의 목적은 실효성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시와 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실제 교수학습과정을 거친 후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작가-텍스트-독자’의 순으로 진행되던 기존 문학 교육의 틀을 변용하여 학습자 간의 소통을 강조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시하여 개방적인 분위기 속에서 능동적으로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한 바를 창의적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에 대한 이해, 흥미, 관심, 문학적 감수성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와 매체 활용 프로젝트 학습이 시 감상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서평 쓰기 프로젝트 학습이 소설 감상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문제를 다음의 연구 단계를 거쳐 실제 적용하고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Ⅰ장에서는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바라보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실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 절차와 원리, 학습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이론적 근거의 타당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과 목표,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Ⅲ장에서는 프로젝트 학습의 질적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교수학습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구의 대상 및 방법, 연구 설계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안이 실제 학습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차시별로 요구되는 학습 모형과 절차, 전략, 실제 수업에서 적용된 결과물을 통해 교수 학습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시 영상 만들기와 협력적 대화를 통한 서평쓰기 활동이 문학교육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프로젝트 학습 사후 검사를 바탕으로 시와 소설 학습 능력 및 흥미, 관심, 동기 유발과 같은 정의적 영역과 감상 능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에서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살펴보고 연구의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의 활동 후 인터뷰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 영상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의 학습능력 향상, 문제해결능력, 동료 학습자와의 협력적 의사소통과 의사결정능력, 자기효능감과 책임감의 고취,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 충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독서활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객관적이며 타당한 근거를 들어가며 작품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프로젝트 학습 모두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등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가 문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 after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to in-class poetry and nove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emphasizes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is presented to the students to give them an opportunity to read the work of literature voluntarily and express it in a creative way in a free atmosphere without any intervention.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media and poetry have a positive impact upon students' ability to appreciate poetry and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area? Second, will the project-based learning through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writing of book reviews have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apacity to appreciate novel and their emotional area? A summary of the process for verifying these objects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it is going to be examined that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lied in the study. And It is presented for the reality of project-based learning in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chapter Ⅱ, it is going to be examined t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ocedures, principles, and the role of the teacher of project-based learning. Also,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basis is going to be checked. Lastly, educational content, curriculum-based learning goals, and the problem in 2009 Revised Curriculum will be examined. In Chapter Ⅲ, the research methods and qualitative research proposal for the study of the project will be presented. The students to be studied,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design will be introduced first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the study will be specifically presented. In Chapter Ⅳ, the general procedure and the method applied in the real lear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gram, the procedures, and the strategies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outcomes by actual application to th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hapter Ⅴ,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analyzed and interpreted. An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media in the poetry education improves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with fellow learners, self-efficacy and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gives positive influence and interests to students. Second, the project-based learning through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writing of book reviews help learners to immerse themselves in reading activities. Also it improv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abilit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works with a reasonable basis. Based on such findings, it can be confirmed that both of the projects can become effective method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literature classes as an effective project-bas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