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ayes 인자를 이용한 모수의 다중 검정 : AR(1)모형에서 자기회귀계수의 검정과 포아송평균 모수의 검정

        김경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Bayes 인자(Bayes factor)를 이용하여 모형에 대해 다중 검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AR(1) 모형의 자기회귀계수에 대한 다중검정 및 포아송 모형의 평균 모수에 대한 다중검정에 적용한다. 각 모형의 모수에 대한 사전분포로는 무정보적 확률분포(noninform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를 가정한다. 사용된 Bayes 인자로는 AR(1) 모형에 대한 검정에서는 일반적인 Bayes 인자, 그리고 포아송 모형에 대한 검정에서는 디폴트(default) Bayes 인자가 사용되었다. 또한 디폴트 Bayes 인자로는 O'Hagon(1995)에 의한 부분 Bayes 인자(fractional Bayes factor: FBF)와 Berger, Pericchi(1996, 1998)에 의한 내재적 Bayes 인자(intrinsic Bayes factor: IBF)들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Bayes 인자들을 이용하여 각 모형에 대한 사후확률을 계산하고, 이러한 이론적인 결과를 모의실험한 자료와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잘 부합되는지를 검토한다. In this paper the multiple testing method of a parameter using the Bayes factor is considered. This method is applied for the autoregressive parameter in AR(1) model and the mean parameter in Poisson model. As prior distributions of parameters in each model, noninformative priors are assumed. As the used Bayes factors a usual Bayes factor in testing of AR(1) model and default Bayes factors in testing of Poisson model such as the fractional Bayes factor(FBF) by Ohagon(1995) and the intrinsic Bayes factor(IBF)s, the arithmetic IBF(AIBF), the median IBF(MIBF) and the geometric IBF(GIBF) by Berger & Pericchi(1996, 1998). Next, posterior probabilities of each competitive model are computed us ing the above Bayes factors. Finally, to check whether these theoretical results are correct, simulated data and real data are applied.

      • 혈전 및 동맥경화의 형성인자 억제물질 탐색에 關한 硏究

        이현섭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혈소판은 정상적인 지혈작용에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손상된 혈관에서의 혈전 형성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소판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인해 생성되는 혈전은 동맥경화로 대표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혈소판의 과도한 활성 억제는 혈전증 및 동맥경화증을 예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소판기능을 억제하여 혈전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품의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소판 기능 억제가능 물질인 Bay11-7082와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혈소판이 응집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조사하였다. 또한 억제가능물질 중 더 좋은 효과를 보인 것이 혈소판응집 억제시 어떠한 기전을 통하는지도 알아보았다. Bay11-7082와 EGCG는 collagen이 유인하는 쥐 혈소판 응집 반응을 농도 의존적으로 강하게 억제시켰다. 혈소판응집반응에서 응집이 최고로 억제되는 농도는Bay11-7082가 EGCG보다 25배나 낮음을 알 수 있었고, Bay11-7082가 EGCG와 비교하여 혈소판 기능 억제능에서 더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Bay11 -7082를 선택하여 혈소판을 collagen으로 자극시킨 후 혈소판응집반응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하는 cAMP, cGMP, TXA2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 인자로 작용하는 cAMP, cGMP의 생성량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0μM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소판 응집 촉진인자로 작용하는 TXA2 생성량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히 10μM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ay11-7082가 cAMP, cGMP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TXA2의 생성량을 감소시킴으로써 collagen 유인 혈소판 응집반응을 저해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Bay11-7082가 혈전 및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latelet plays important roles not only in normal haemostasis but also thrombus formation in vascular injury. Excessive activation of platelet is a factor of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it is important that suppress excessive activation of platelet for curing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Thus, anti-platelet drug is necessary for therapy of vascular disease. In this study, we observed Bay11-7082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effected to platelet aggregation and detail mechanism. Collagen-induced rat platelet aggregation was markedly inhibited by Bay11-7082 and EGCG in a dose-dependent manner. On platelet aggregation, max efficacy concentration of Bay11-7082 is lower than EGCG about a twenty-fifth. Thus, after platelet was stimulated by collagen under a various concentration of Bay11-7082, formation measured regulating factors of platelet aggregation, cAMP, cGMP and TXA2.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ay11-7082, especially 10μM of Bay11-7082, cAMP and cGMP contents is elevated. And TXA2 contents decreased by reducing Bay11-7082 concetration, especially 10μM of Bay11-7082.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y11-7082 inhibits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by elevating the levels of both cAMP and cGMP, reducing TXA2 contents. As a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Bay11-7082 might have anti-thrombotic and anti-athrogenic effects in rat.

      • Exchange flows and residence time in Gwangyang and Jinju Bays with contrasting topography

        곽명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6

        Gwangyang and Jinju Bays, which are located in south coast of Korea, have different topographies. Gwangyang Bay is deep but Jinju Bay is shallow. The volume of Gwangyang Bay is 3.7 times that of Jinju Bay. Gwangyang Bay is connected to the open sea through the wide and deep Yeosu Channel. Jinju Bay is relatively isolated from the open sea due to narrow and shallow Changseon and Daebang Channels blocked by small islands. Two bays are interconnected by a narrow and deep Noryang Channel. Long-term current observations were taken in the narrow Noryang Channel during large discharge and small discharge periods. The residual mean flow in the channel over the observation period showed a baroclinic two-layer flow as in an estuary during the large discharge period, whereas barotropic flow was present during the small discharge period. During the large discharge period, the upper layer of water flowed continuously westward, whereas the lower layer flowed eastward. Hydrographic data observed along the channel showed that Gwangyang Bay water was relatively saline and denser during the large discharge period. This spatial difference in water density might be the result of a large inflow of discharge into Jinju Bay and relatively strong mixing between the water in Gwangyang Bay and the open sea. The salinity in the more isolated Jinju Bay was lower. Simple analytical model calculations showed that horizontal density difference during the large discharge period could drive the surface current flow westward, whereas that of the dense water of the lower layer in Gwangyang Bay flow eastward through the Noryang Channel. The two–layer flow in the Noryang Channel was simulated using the 3D numerical model. Sensitivity experiments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the river discharges, wind, heat flux and tide on the formation of the two-layer flow were conducted. Model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the river discharge is dominant in the formation of the two-layer flow. The effects of wind and heat are relatively weak. The tide induces the vertical mixing, which causes the mean flow more complicated spatially. Residence time is an important parameter for evaluating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and bays. The residence times of two neighboring Gwangyang Bay and Jinju Bay, were calculated for winter and summer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Gwangyang Bay with much industrial development, has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is deep, whereas Jinju Bay which is primarily used for aquaculture, is shallow. River discharge in the two bays is high in summer and low in winter, in par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ast Asian Monso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both bays are vertically homogeneous during winter but stratified in summer. The mean residence time in Gwangyang Bay is more than 20 days in winter due to its large volume, but less than 5 days in summer due to increased gravitational circulation driven by large volumes of river discharge and a horizontal density gradient. However, the mean residence time of Jinju Bay is less than 5 days in both seasons due to its small volume and shallow depth. These results reveal that Gwangyang Bay is vulnerable to industrial pollution during winter, but that it may efficiently remove pollutants in summer. The shallower Jinju Bay is likely to remain free from the anthropogenic eutrophication caused by nutrient inputs from aquaculture due to its short residence time year-round.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한 광양만과 진주만은 각각 전형적으로 수심이 깊고 얕은 만이다. 광양만의 전체 부피는 진주만보다 약 3.7배 크다. 광양만은 수심이 깊고 폭이 넓은 여수 수로를 통해 외해와 연결되고, 진주만은 폭이 좁고 수심이 얕은 창선 수로와 대방 수로를 통해 외해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이 두 만은 폭이 좁고 수심이 상대적으로 깊은 노량 수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두 만의 강 방류량은 동아시아 몬순으로 인해 여름에 많고, 겨울에 적다. 강 방류량이 많은 시기와 적은 시기 동안 폭이 좁은 노량수로에서 장기간 유속 관측이 이루어졌다. 관측 기간 동안 수로의 평균 잔차류는 강 방류량이 많은 기간 동안 경압성 2층 흐름을 보였으나, 강 방류량이 적은 기간에는 순압성 흐름이 존재했다. 강 방류량이 많은 기간 동안 표층의 물은 서쪽으로 계속 흘렀고, 저층은 동쪽으로 흘러 갔다. 수로를 따라 관측된 수온과 염분을 살펴보면, 광양만은 강 방류량이 많은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염분과 밀도가 높았다. 많은 양의 강 방류량이 진주만으로 유입되는 반면, 광양만은 외해와 비교적 강한 혼합으로 인해 두 만의 밀도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상대적으로 고립된 진주만의 염분은 더 낮았다. 간단한 해석 모델 계산에 따르면, 강 방류량이 많은 기간 동안 수평적인 밀도 경사가 표층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흐름을 일으키는 반면, 광양만 저층의 고밀도 수괴는 노량수로를 통해 동쪽으로 흘렀다. 3차원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노량수로에서 관측된 경압성 2층 흐름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강 방류량, 바람, 열속 그리고 조석을 조절하여 각 실험별로 모델을 수행하였다. 강 방류량의 효과는 노량 수로의 경압성 2층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바람과 열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조석의 효과는 수직 혼합을 강하게 만들어 노량수로에서 흐름을 복잡하게 만들었다. 체류 시간은 하구나 만의 특성을 물리적, 생화학적 특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차원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상반된 지형을 갖는 광양만과 진주만의 체류 시간을 계산하였다. 광양만은 많은 산업 단지가 발달해 있고,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고, 부피가 크다. 반면, 진주만은 수심이 얕고, 양식 산업이 발달해 있다. 두 만의 수온과 염분은 겨울에 수직 혼합으로 수직적으로 일정하고, 여름에는 성층으로 인해 수직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광양만의 평균 체류 시간은 큰 부피로 인해 겨울에 20일 이상이었고, 여름에는 많은 강 방류량과 수평적인 밀도 경사로 인해 중력 순환이 강해지면서 5일 이하로 계산되었다. 진주만의 체류 시간은 겨울과 여름 모두 5일 미만으로 짧았고, 이는 적은 부피와 얕은 수심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겨울철 광양만은 체류 시간이 길어 산업 단지로부터 유입되는 오염 물질에 취약하고, 상대적으로 진주만은 수심이 얕아 계절에 상관없이 양식으로 인한 인위적인 부영양화로부터 위험이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 마산만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오염현황과 잠재적인 오염원으로서의 도로먼지에 관한 연구

        하성용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extensively studied areas in Korea for its long history of contamination. For many years, this area has been the recipient of various environmental damages because of rapidly growing urban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AHs contamination in Masan Bay. And one of representative PAH non point sources, road dust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ir contribution of PAH pollution loads into this bay. The distribution of PAHs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surface sediment from Masan Bay. Overall concentrations of sixteen PAHs in surface sediments were in the range of 55 – 1,052 ng g-1(mean value; 166 ng g-1). Spatially, inner bay showed higher PAH levels than the outer bay, indicating that their source was located inside the bay where industrial complex and urban area were located. Also, Sewage discharge area showed relatively higher PAH concentration than other outer bay region. This study'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conducted in 1997. In 1997, average PAH concentration in inner-bay was 680 ng g-1,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is study. PAH levels in outer bay also decreased from 361 to 86.5 ng g-1. Haengam Bay, near to Masan Bay, also showed similar decreasing trend.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is region. Sewage treatment plant and sewage collection system were discussed as major contributors for reducing PAH contamination in this region. Source recognition index using phenanthrene/anthracene and fluoranthene/pyrene indicated that burning of fossil fuel is the major source of PAHs. But, the signal of petrogenic sources was also found at the inner part of the bay and near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 concentrations of alkylated PAHs in the inner bay are in the range of 80 – 428 ng g-1 (mean value of 162 ng g-1),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outer bay (mean value; 47.20 ng g-1). Double ratio using C2-phenanthrene/C2-dibenzothiophene versus C3-phenanthrene/C3-dibenzothiophene indicated that marine fuel was the major source of PAHs in the Inner bay. Road dust is washed away by rain event into a stream or river without proper treatment. It is deposited on river-bed or marine sediments and has harmful impacts on surrounding ecosystem. To effectively manage PAHs contamination not only point sources like sewage, waste water but also non point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Urban road dust related PAHs were determined in three different regions, heavy traffic area, industrial region, and residential area in Masan, Chanwon and Jinhae Cities according to their particle size. Urban road dust related PAHs from heavy traffic,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 were in range of 280 – 332, 8.62 – 79.9, and 4.10 ㎍ m-2, respectively. PAHs in six-stage size segregated road dust particles in three regions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 reflecting their dust input sources. The PAHs concentration in urban road dust per unit area was in the order of heavy traffic areas > industrial complex areas > residential area. In general, smaller particle contained higher PAHs than large particles. Together with source recognition index,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major PAH sources in the road dust are vehicle emission related PAHs. In addition, relatively high level of alkylated PAHs and dibenzothiophene suggested that PAHs are also derived from petrogenic sources, such as used crankcase oil. PAHs input through creeks and sewage treatment plant have been calculated. Sum of PAHs loads from Masan creeks was high than those of other cities and sewage treatment plant. In total, riverine input of PAHs into Masan Bay was estimate at about 16.4 kg year-1. Sum of PAHs loads from urban runoff, which were calculated using road dust related PAHs was 0.43 – 1.19 kg year-1. Road dust as the potential source of PAHs, which contribute 14.6 – 16.4% of total riverine input should be manage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Masan Bay. 2004년에 마산만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PAHs의 오염 현황을 파악하였다. 주로 하천과 항만에 인접한 내만 정점에서 높은 ∑PAHs가 검출되었고 알킬 치환된 PAHs 또한 내만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외만에서는 하수처리장 방류구 주변정점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어 마산해역에 점오염원으로 확인되었다. 이전 연구 (1997)와 비교 결과 마산만의 퇴적물 내 PAHs는 2~4배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된 요인으로 해역관리를 위해 육상에서는 하수관거의 정비 및 설치로 직접 유입되던 폐수를 고도처리시설을 가동하는 하수처리장을 통해 처리하고 해상에서 해양 환경 정화 활동과 감시활동 강화로 선박에 의한 사고나 투기를 방지함으로서 퇴적물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산만 퇴적물은 주로 연소기원에 의한 PAHs유입이 대부분이고 알킬 치환된 PAHs로 보았을 때 내만에 위치한 정점에서는 선박활동이나 도시환경에서 발생한 유류기원 형태의 PAHs유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도시환경을 통한 마산만 해역으로 PAHs유입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 먼지를 조사하였다. 도시환경에서 도로먼지의 오염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로 이용특성과 도로먼지의 입자크기에 따른 PAH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도시 도로먼지 내 PAHs의 농도는 교통량 많은 지역> 공단지역 > 주거지 순이었다. 입자 크기에 따른 총 PAHs의 농도는 도로이용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입자 크기가 세립해 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단위 면적당 PAHs의 농도 분포는 전체 입자 중에서 입자의 무게 함량비가 우세한 입자크기에서 높은 PAHs 농도를 보였으나, 공단지역의 경우 입자의 양과 무관하게 세립한 입자로 갈수록 높은 PAHs 농도특성을 나타냈다. PAHs의 특정 화합물들의 조성비 및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오염원 판별 결과, 도로 먼지 내 PAHs의 오염원은 주로 연소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자동차 운행에 의한 오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도로 먼지내 PAHs가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는 양을 추정하기 위하여 먼저 하천을 통한 PAHs 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산만으로 유입 가능한 하천을 통한 연간 PAHs 유입량은 마산에 위치한 하천> 창원에 위치한 하천> 덕동 하수처리장> 진해 하수처리장> 진해에 위치한 하천 순으로 나타났다. 하수처리장의 경우 방류수의 연간 방류량은 최대 이지만 낮은 PAHs의 농도로 인해 부하량이 높지 않은 반면에 미처리 하천수의 경우 높은 PAHs 농도와 연간 유입량이 높음으로 인하여 PAHs의 유입량 또한 우세하게 나타났다. 하천을 통한 PAHs 오염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비점원 오염원인 도로 먼지 내 PAHs의 기여도는 대략 14.6~16.4 %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도로 먼지는 마산만 PAHs오염에 기여하는 잠재적인 오염원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마산만에서의 PAHs 오염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점오염원 위주의 관리와 함께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비점오염원 중 하나인 도로먼지의 강우를 통한 하천으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수 분리 관거의 설치를 확대하고 하수처리장에서 처리 후 해양으로 방류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암세포의 성장 억제에 대한 BAY61-3606 및 SR2640의 병용효과

        장희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암은 발생 부위와 형태, 전이능과 상태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누어 지며 각각의 암 종에 따른 치료법 또한 해당 암에 맞추어 개발되어왔다. 그에 따라 최근 항암제 연구는 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해당 암세포만 공격하는 표적 치료제가 각광받기 시작했다. 표적치료제는 일반 항암제 보다 더욱 효과적인 암세포 억제와 더불어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정상세포 손상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예후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본 연구에 이용한 항암 표적 치료제는 BAY61-3606과 SR2640 두가지의 약물이다. BAY61-3606는 Spleen tyrosine kinase(Syk) 저해제이며, 유방암에서 Mcl-1의 발현을 하향시켜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결과가 있다. 또한 SR2640은 leukotriene D4 및 E4 수용체 길항약으로서 천식과 알르레기 비염의 치료제로 흔히 사용되는 montelukast와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가 암세포에서 Bcl-2에 작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암세포에서의 BAY61-3606 및 SR2640의 병용처리는 세포 성장을 억제시키며 세포 이동능을 저해한다. 또한 세포의 주기에 영향을 미쳐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SR2640이 Sky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BAY61-3606은 SR2640으로 인하여 감소된 Syk의 인산화를 다시 억제시키며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Syk는 인산화를 통하여 그 하류 기전인 PI3K/Akt 작용기전을 활성화시키며 이는 Mcl-1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Syk억제는 PI3K의 감소로 이어지며 Mcl-1의 발현을 억제시킨다. 또한 SR2640의 경우 CysLT₁수용체의 길항작용을 통하여 PI3K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상기 Mcl-1의 감소와 더불어 prostaglandin(PG)의 생성 억제를 통한 Bcl-2의 저해 효과 또한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은 두 약물의 병용처리가 Bcl-2 family의 세포자멸사 억제효과를 저해하여 암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Cancers are classified into a few ways: by where they originate, their forms, metastatic potential, and condition. Treatments have been developed for each cancer type. Anticancer drug research has investigated and focused on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recently and the targeted therapy designed to attack specific types of cancer cells has become at the center of attention as well. This targeted therapy is a cancer growth inhibitor,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common anticancer drugs and it also minimizes affecting normal cells during anticancer treatment process and is more likely to have favorable prognosis for patients. Two drugs, BAY61-3606 and SR2640, were used as anticancer targeted therapeutic agents in this study. BAY61-3606 is a Spleen tyrosine kinase (Syk) inhibitor that results in down regulating Mcl-1 expression in breast cancer and inducing apoptosis. Furthermore, SR2640, as a leocotriene D4 and E4 receptor antagonist, has a mechanism like montelukast, which is common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and recently, leocotriene receptor antagonist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for Bcl-1 in cancer cells. Research results have been announced that it acts on 2 and affects cancer cell growth suppression. Combined treatment of BAY61-3606 and SR2640 in cancer cells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inhibits cell migration. Furthermore, it affects the cell cycle and induces apoptosis, which appears to be a phenomenon manifested by SR2640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Sky and BAY61-3606 repressing the decreased Syk phosphorylation by SR2640. Syk activates its downstream mechanism, the PI3K/Akt functional group, by phosphorylation, which increases Mcl-1. Thus, Syk inhibition leads to a decrease in PI3K and inhibits Mcl-1 expression. In addition, SR2640 reduces PI3K activity through CysLT₁ receptor antagonism,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Mcl-1 reduction, inhibits Bcl-2 by inhibiting prostaglandin (PG) production. Combination of both drugs inhibits anti-apoptotic effect of Bcl-2 family and induces apoptosis of cancer cells

      • 光陽灣과 駕莫灣의 海洋學的 特性

        김영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80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analyze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lements in Kwangyang Bay and Kamak Bay from 1984 to 1985. For this study the author established three stations in Kamak Bay, two stations in Kwangyang Bay and investigated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phosphate-P, nitrite-N, nitrate-N, ammonium-N, total-N, and plankton in February, April, June, October, September, and November. Their results are as follows. The water temperature of Kamak Bay is higher than that of Kwangyang Bay. In February, the sta.1 of the inner bay is lower about 2.7℃ than the sta.5 of the outer sea. Therefore this phenomenon shows that water temperature increases in proportion to air temperature. Salinity is 24.5‰, lowest in Kwangyang Bay in September because of the influx of lots of land water, and it is 34.0‰ highest in Kamak Bay in February. pH is low in summer whe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large. The range of pH is narrow, and the average pH of the two sea areas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sea water. Dissolved oxygen is 7.57cc/ℓ in February, which is the highest amount, and 4.71cc/ℓ in September, the lowest amount.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resulted from the consumption of a large amount of dissolved oxygen that is related to oxidization of organic matter and breathing of plants and animals. Chemical oxygen demand is higher in September than in April, and it seems to be related to precipitation and water temperature. The amount of phosphate-P is 1.52㎍-at/ℓ in Kwangyang Bay, 0.86㎍-at/ℓ in Kamak Bay, and is larger in February than in November. This results from water temperature and the influx of land water. Phosphate-P, total-N, and a nutrients prevail in Kwangyang Bay,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resulted from the influx of a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The amount of plankton is large in Kamak Bay, and is largest in winter. This fact shows that plankton increases very much in wint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lowest, and dissolved oxygen is highest amount.

      • 순천만과 함평만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에 관한 연구

        김종국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4

        Intertidal zone affected by tidal action are dynamic ecosystems, providing foods and habitats for many organisms. Macroinvertbrates, vital part of these ecosystems, have advantages that evaluate and assess conditions of marine and estuarine environment. The study about spatial and temporal fluctuations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s essential to understand intertidal eco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macroinvertebrates communities in intertidal area of Hampyeong Bay and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October in 2010. The stations in Hampyeong Bay consist of two rocky shore transect lines (H1, H2) and one sand-mud flat transect line (H3) and the stations in Suncheon Bay consist of one station that including two vegetative communities (S1-1, S1-2), Suaeda japonica and Phragmites communis, and one mud flat transect line (S2). Hampyeong Bay appeared difference between each communities according to sediment type. In St. H1 and H2, the macroinvertebrates comprised a total of 79 species and showed the mean density was 1339.2 ind./0.25m2, biomass was 426.28 g/0.25m2. Stations of rocky shores appeared certainly zonation according to the tidal level. Chthamalus challengeri, Balanus albicostatus, Littorina brevicula at the high intertidal zone, Littorina brevicula, Modiolus elongatus, Balanus albicostatus at middle intertidal zone, polycheates at low intertidal zone were dominated. The low intertidal zone on general rocky shore have growth with brown algae but those of H1 and H2 consisted with mud sedimentary layers. Macroinvertebrates of H3, sand-mud flat, comprised a total of 75 species and showed the mean density was 285.9 ind./0.25m2 biomass was 19.33 g/0.25m2. Sand-mud flat (H3) dose not appear zonation such as rocky intertidal zone (H1, H2). Polychaetes emerged with highest mean density and gastropods emerged with highest biomass. The sediment of Suncheon Bay is consisted with mud sedimentary layer. Macro- invertebrate community comprised a total of 25 species and showed that the mean density was 19.5 ind./0.25m2, biomass was 7.37 g/0.25m2. Invertebrates were irregularly distributed in mud flat of S2. Crustraceans appeared high mean densities in all study stations of Suncheon Bay. When compared Suaeda japonica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number of species occurred, mean density and biomass on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are higher than those on Suaeda japonica communities because of high productivity. Long term study based on a regular sampling period are necessary to confirm fluctuation aspects and fine features of invertebrate communities in Hampyeong Bay and Suncheon Bay.

      • A Study on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s for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 연안수질환경 개선을 위한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연구

        劉민旭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3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넓은 갯벌과 기수역(blackish water zone)을 형성하여 어류의 산란지로 이용되고 염분 농도가 서로 다른 서식처를 가지는 동식물이 존재하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학적으로 보존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마산만은 한강의 하구와 같은 큰 하구는 존재하지 않지만 창원천, 남천, 삼호천 등의 하천이 유입되고 봉암갯벌이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과 해수가 접하는 감조하천과 만은 조위에 의해서 수리적 특성이 변하는 부정류의 성질을 갖는다. 조위에 의한 흐름과 담수 유입뿐만 아니라 넓은 수면위의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흐름과 염수와 담수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물리적 현상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마산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반폐쇄성 수역으로 외해인 진해만의 입구로부터 9 km 북으로 위치하고 있다. 해역의 넓이에 벼해 만의 입구가 1 km 미만으로 좁아지는 병목 형태로 해수의 교환율이 정상해역의 40%에 훨씬 못 미치는 약 15%에 불과하다. 마산만 연안유역에는 대규모 공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100만에 이르는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다량의 오염물질이 만으로 유입되고 있다. 마산만의 느린 유속과 낮은 해수교환율은 만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외해로 배출하지 못하고 축적시키는 역할을 하여 만의 오염을 가중 시키고 있다. 투자에 비해 오염의 정도가 개선되어지지 않고 있는 마산만에서의 오염물질의 축적과정을 해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으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과정을 모의하였다. 하천에서 유입된 오염물질의 2차원 거동 해석을 통해 오염물질의 축적과정과 조위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마산만의 대표적 유입하천인 창원천, 남천, 삼호천에서 유입된 담수와 오염물질의 거동을 2차원 흐름해석 모형인 RMA-2와 2차원 오염물질 이송·확산 모형인 RMA-4를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또한 해양방류모형인 CORMIX model을 이용하여 마산·창원하수처리장의 해양방류시설의 희석률을 모의하였고, 이를 RMA-4 모 형에 적용하여 해양방류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이송·확산 과정을 모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마산만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반폐쇄성수역의 느린 유속에 의해 외해로 배출되지 못하고 만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n estuary, where fresh water and sea water meets forming a broad range of tideland and blackish water zone, is used as fishes' spawning area. Here, there are animals and plants having habitats with different salinity, which gives the region with high species diversity and ecologically high value of preservation. Although it does not have a river mouth as big as that of Han-river, situated on the Bongam tideland, Masan-bay also has the inflows of Changwon stream, Nam stream, Samho stream and more on. Generally tidal river and bay, where river and sea water meets, has an unsteady flow in which the hydraulic characteristic changes by the tide. On top of currents led by tidal wave and inflow of fresh water, numerous physical phenomenon occurs concurrently in complex, such as currents generated by air current of broad water surface or by density gap between salt water and fresh water. Masan-bay is a representative semi-enclosed sea of Korea, situated 9km north of the open sea, Jinhae-Bay's mouth. Compared to width of the sea area, the mouth of this bay with bottleneck form is no more than 1km, in which the exchange rate of sea water merely reaches 15% - far less than that of normal sea area which is 40%. A grand-scale industrial complex is located on the coast river valley of Masan Bay with a population reaching up to a million, and consequently, a vast amount of pollutants are continuously flowing into the bay. The slow current speed of Masan Bay and low water exchange rate fails to discharge the pollutants to open sea, accumulating and aggrava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bay. It is an important task to explain the accumulation process of the pollutants in Masan Bay, where the contamination degree do not seem to improve, compared to the extent of investment. In this study, we have simulated the advec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pollutants generated from rivers flowing in to Masan bay. Through the two-dimensional fluid analyzation of the inflow pollutants from the river, the study examines pollutants accumulation process and influence of tide. The study uses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s model, RMA-2 and two-dimensional pollutant advection·diffusion model, RMA-4 to develop a simulation imitating the hydraulic behaviors of fresh water and pollutant flowing in from the major inflowing stream of Masan Bay, Changwon stream, Nam stream, and Samho stream. It also simulates the dilution rate of Masan·Changwon sewage plant's ocean wastewater discharge system using CORMIX model, which is an Ocean wastewater discharge model. Finally, the study applies this result for RMA-4 model in order to simulate the advection·diffusion process of ocean discharged water from sewage plant.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recognizable that the pollutant flowed into Masan Bay fails to be discharged out into open sea due to the slow ocean current speed of semi-enclosed water area, but continuously accumulates on interior of the b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