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會話的 造形性을 3次元的 空間槪念으로 變容한 作品硏究

        한은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32287

        조형의 기본 형태 단위가 되는 점, 선, 면에 있어서 점의 연결은 선을, 선의 연결은 면을, 면의 연결은 입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점, 선, 면의 합성 또는 조립이 어떤 단위 형태를 창출하게 되는 것 처럼 평면과 입체는 상호 유기적 관계로 존재한다. 이와같이 공통적이면서 상대적인 고유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평면조형과 입체 조형이 각 표현 영역의 경계를 넘어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도록 함을 본 조형작업의 목적으로 하였다. 평면조형은 2차원적 공간을 의지(依支) 처(處)로 하여 선과 색으로써 표현하는 것으로 그 표현 대상은 무한하나, 시각적인 것에 한정되는 질감과 양감, 고차원적 차원관을 2차원적으로 수렴하는 가상공간을 이미지로 정착시킨 묘사된 환영(幻影)이다. 또 한정된 감상거리와 각도만을 가지고 있어 정적인 관찰태도를 유발하는 직접적 제작 방식의 정신적 조형물이다. 입체조형은 공간성이 증폭된 3차원의 조형물로, 촉각적으로도 지각되어지는 질감과 양감, 깊이의 특질을 지니는 실제적 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 그 표현 대상의 제한은 있으나 보다 직접적이고 실체적이면서 구체성을 인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시점이 존재해 동적 관찰 태도를 유발하는 조형형태이다. 이같은 평면조형과 입체조형의 각 고유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뛰어넘어 새로운 조형의 영역으로 확대하려는 시도가 근대회화에 나타났다. 그것은 평면에 Matie′re를 첨가하여 물질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난 papier colle′에서 시작되어 대상과 묘사된 이미지 사이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이라는 개념에서 실제 사물을 순수한 조형 요소로 보게 된 collage로 이어지게 된다. 응용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어서 평면적인 회화에서 3차원성을 추구하기 위한 시도로 입체적인 기성의 사물들을 조합해 새로운 생명과 美를 갖게 하는 assemblage로 확장되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현대 회화에서 나타나는 평면과 입체의 상호 보완성이라는 조형적 특성에 공감대를 같이하여. 2차원의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대상을 3차원의 공간에 실제 사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로 상반되는 듯한 두 기존 조형 양식이 만나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제작 방법으로 평면을 물리적으로 변환시켜 3차원의 공간속에 일부분으로 관여하게함으로써 평면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상태, 즉 입체성을 나타내게 하였다. 평면에 묘사된 이미지는 일상적인 것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적인 것은 인간과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계에 놓여 있기에 이를 통한 인간 삶의 단편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확산된 공간미를 형상화하는데 주력하여, 도자조형에서 표현 양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하고, 진정한 정신적 해방을 표출하여 근원적 조형 사고의 반영 요구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In a dot, a line, and a plane which are basic units of plastic form, the linking of dots forms a line, the linking of lines a plane, the linking of planes a solid, and the composition or the combination of dots, lines, and planes organize some forms, and thus planes and solids exist as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So, I made it the purpose of this plastic work that the plane plastic and the solid plastic which have both common and relative peculiarity of their own would have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beyond the boundary of each expression realm. The plane plastic expresses with lines and color having two-dimensional space as its support, and its expression objects are limitless, but the expression is that of the sense of quality and quantity which is limited to the visual thing, and is a described phantom which fixes the virtual space which converges the high-dimensional into the two-dimensional as an image. And, it has only limited distance and angle of appreciation, so it is a spiritual plastic thing of direct making method which causes a static observing attitude. The solid plastic is a three-dimensional plastic thing in which the nature of space is amplified, and has a real space which has the sense of quality and quantity which can be felt tactually and the property of depth. And, its objects of expression are limited, but they are what are more direct, substantial, and concrete, and it is the plastic form which cause a dynamic observing attitude as it has many visual points. There appeared a trial in modern paintings that intended to expand the plastic realm into a new one jumping over the native possibility and limitedness of the plane plastic and the solid plastic. It started from Papier Colle which appeared as a tendency to pursue material nature adding Matie're to planes, and continued to Collage which considers real things as pure plastic elements from the concept that the object and the described image are not separate ones but the same one. Furthermore, the application realm was more enlarged into Assemblage which gives a new life and beauty by combining solid ready-made things as a trial to pursue three-dimensional nature in plane paintings. As shown above, this study, sympathizing with the plastic property of mutual complement of a plane and a solid, made the existing two plastic styles which seem to be contrary to each other meet and combine by converting the objects which are immanent in two-dimensional space into real things in three-dimensional space. As a making method for this, I changed the plane physically to participate in three-dimensional space as a part, making the plane assume a new state, that is, solid nature, escaping from plane nature. The image described on planes took usual things as its objects. This is to express the fragments of human lives through usual things because they have a close and direct connection with human beings. Thus, I, concentrating my effort on giving shape to the spatial beauty which was expanded from two-dimension into three-dimension, pursued a new possibility of expression style in ceramic plastic and tried to be faithful to the requirement of reflecting fundamental plastic thought by expressing a true spiritual liberation.

      • A는 두께가 있는 납작한 표면이다

        조상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5

        나는 이 글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전시켜온 작업의 내용과 이를 전개해온 주요 경로를 살펴본다. 1장은 1884년 에드윈 A. 애벗의 소설 『플랫랜드』에서 주인공 사각형이 스페이스랜드에서 온 이방인 구를 만나 평면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자신이 사는 플랫랜드와 그곳의 거주자들을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얻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이야기를 빌어 오랜 기간 평면 매체로 취급되어 온 회화의 형식을 재고한다.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평면은 두께가 없는 납작한 표면이다)’라는 평면의 일반적 정의를 변용해 괄호 안 단어를 제거함으로써 면의 3차원적 속성을 드러내고, 회화의 차원을 흐리는 동시에 각인하고자 한다. 2장과 3장은 “표면의 재현”과 “표면의 구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2장, “표면의 재현”은 표면을 사물로 인식하게 된 시점과 이로 인해 시작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작업 과정과 방법론을 서술한다. 3장, “표면의 구축”은 종이로 면을 쌓는 감각을 체득하면서 구체화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작업 과정을 서술하고, 표면과 지지체의 연계를 밝히며 회화의 표면에 관한 고찰을 이어간다. 4장은 회화를 캔버스에 밀착한 두께가 있는 표면으로 강조하고, 칼 안드레의 수평 조각을 예로 들며 2차원적 속성과 3차원적 속성을 포괄하는 회화의 차원을 되새긴다. 이로써 회화라는 평면 매체를 입체로 결론짓고 회화라는 플랫랜드를 다시금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열며 글을 맺는다. Through this paper, I look at the contents of my work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2016 to 2020 and the main process that has been progressed. The first chapter begins with Edwin A. Abbott’s novel, 『Flatland』 in 1884.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A Square met a stranger Sphere from Spaceland; he breaks away from two-dimensional thinking and gains the possibility of taking a fresh look at Flatland, where he lives, and its residents. With this story, chapter 1 reconsiders the form of painting that has been long treated as a two-dimensional medium. Like the title of this paper, By chang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plane,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nto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t reveals the three-dimensionality of a plane; it blurs and sharpens the dimension of the painting. Chapter 2 and 3 consist of “Representation of a Surface” and “Construction of a Surface”, respectively. Chapter 2, “Representa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work from 2016 to 2017 after I was recognized a surface as an object. Chapter 3, “Construc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of work from 2018 to 2020 which was taking shape by acquiring the sense of layering surface: paper and continues to consider the surface of the painting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pport. Chapter 4 emphasizes painting as a surface with thickness adhering to canvas and restates the dimension of painting that encompasses two-and three-dimensional attribute, taking Carl Andre’s horizontal sculpture as an example. With this, I conclude that painting generally defined by two-dimensional medium is three-dimension based on the flatness. And I finish this paper ope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look at the painting, “Flatland”, again in a new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