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會話的 造形性을 3次元的 空間槪念으로 變容한 作品硏究

        한은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32287

        조형의 기본 형태 단위가 되는 점, 선, 면에 있어서 점의 연결은 선을, 선의 연결은 면을, 면의 연결은 입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점, 선, 면의 합성 또는 조립이 어떤 단위 형태를 창출하게 되는 것 처럼 평면과 입체는 상호 유기적 관계로 존재한다. 이와같이 공통적이면서 상대적인 고유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평면조형과 입체 조형이 각 표현 영역의 경계를 넘어 상호 유기적 연관성을 가지도록 함을 본 조형작업의 목적으로 하였다. 평면조형은 2차원적 공간을 의지(依支) 처(處)로 하여 선과 색으로써 표현하는 것으로 그 표현 대상은 무한하나, 시각적인 것에 한정되는 질감과 양감, 고차원적 차원관을 2차원적으로 수렴하는 가상공간을 이미지로 정착시킨 묘사된 환영(幻影)이다. 또 한정된 감상거리와 각도만을 가지고 있어 정적인 관찰태도를 유발하는 직접적 제작 방식의 정신적 조형물이다. 입체조형은 공간성이 증폭된 3차원의 조형물로, 촉각적으로도 지각되어지는 질감과 양감, 깊이의 특질을 지니는 실제적 공간을 가지고 있다. 또 그 표현 대상의 제한은 있으나 보다 직접적이고 실체적이면서 구체성을 인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시점이 존재해 동적 관찰 태도를 유발하는 조형형태이다. 이같은 평면조형과 입체조형의 각 고유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뛰어넘어 새로운 조형의 영역으로 확대하려는 시도가 근대회화에 나타났다. 그것은 평면에 Matie′re를 첨가하여 물질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난 papier colle′에서 시작되어 대상과 묘사된 이미지 사이가 별개의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이라는 개념에서 실제 사물을 순수한 조형 요소로 보게 된 collage로 이어지게 된다. 응용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어서 평면적인 회화에서 3차원성을 추구하기 위한 시도로 입체적인 기성의 사물들을 조합해 새로운 생명과 美를 갖게 하는 assemblage로 확장되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현대 회화에서 나타나는 평면과 입체의 상호 보완성이라는 조형적 특성에 공감대를 같이하여. 2차원의 공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대상을 3차원의 공간에 실제 사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로 상반되는 듯한 두 기존 조형 양식이 만나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제작 방법으로 평면을 물리적으로 변환시켜 3차원의 공간속에 일부분으로 관여하게함으로써 평면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상태, 즉 입체성을 나타내게 하였다. 평면에 묘사된 이미지는 일상적인 것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적인 것은 인간과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계에 놓여 있기에 이를 통한 인간 삶의 단편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확산된 공간미를 형상화하는데 주력하여, 도자조형에서 표현 양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추구하고, 진정한 정신적 해방을 표출하여 근원적 조형 사고의 반영 요구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In a dot, a line, and a plane which are basic units of plastic form, the linking of dots forms a line, the linking of lines a plane, the linking of planes a solid, and the composition or the combination of dots, lines, and planes organize some forms, and thus planes and solids exist as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So, I made it the purpose of this plastic work that the plane plastic and the solid plastic which have both common and relative peculiarity of their own would have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beyond the boundary of each expression realm. The plane plastic expresses with lines and color having two-dimensional space as its support, and its expression objects are limitless, but the expression is that of the sense of quality and quantity which is limited to the visual thing, and is a described phantom which fixes the virtual space which converges the high-dimensional into the two-dimensional as an image. And, it has only limited distance and angle of appreciation, so it is a spiritual plastic thing of direct making method which causes a static observing attitude. The solid plastic is a three-dimensional plastic thing in which the nature of space is amplified, and has a real space which has the sense of quality and quantity which can be felt tactually and the property of depth. And, its objects of expression are limited, but they are what are more direct, substantial, and concrete, and it is the plastic form which cause a dynamic observing attitude as it has many visual points. There appeared a trial in modern paintings that intended to expand the plastic realm into a new one jumping over the native possibility and limitedness of the plane plastic and the solid plastic. It started from Papier Colle which appeared as a tendency to pursue material nature adding Matie're to planes, and continued to Collage which considers real things as pure plastic elements from the concept that the object and the described image are not separate ones but the same one. Furthermore, the application realm was more enlarged into Assemblage which gives a new life and beauty by combining solid ready-made things as a trial to pursue three-dimensional nature in plane paintings. As shown above, this study, sympathizing with the plastic property of mutual complement of a plane and a solid, made the existing two plastic styles which seem to be contrary to each other meet and combine by converting the objects which are immanent in two-dimensional space into real things in three-dimensional space. As a making method for this, I changed the plane physically to participate in three-dimensional space as a part, making the plane assume a new state, that is, solid nature, escaping from plane nature. The image described on planes took usual things as its objects. This is to express the fragments of human lives through usual things because they have a close and direct connection with human beings. Thus, I, concentrating my effort on giving shape to the spatial beauty which was expanded from two-dimension into three-dimension, pursued a new possibility of expression style in ceramic plastic and tried to be faithful to the requirement of reflecting fundamental plastic thought by expressing a true spiritual liberation.

      • A는 두께가 있는 납작한 표면이다

        조상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5

        나는 이 글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전시켜온 작업의 내용과 이를 전개해온 주요 경로를 살펴본다. 1장은 1884년 에드윈 A. 애벗의 소설 『플랫랜드』에서 주인공 사각형이 스페이스랜드에서 온 이방인 구를 만나 평면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자신이 사는 플랫랜드와 그곳의 거주자들을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얻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이야기를 빌어 오랜 기간 평면 매체로 취급되어 온 회화의 형식을 재고한다.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평면은 두께가 없는 납작한 표면이다)’라는 평면의 일반적 정의를 변용해 괄호 안 단어를 제거함으로써 면의 3차원적 속성을 드러내고, 회화의 차원을 흐리는 동시에 각인하고자 한다. 2장과 3장은 “표면의 재현”과 “표면의 구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2장, “표면의 재현”은 표면을 사물로 인식하게 된 시점과 이로 인해 시작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작업 과정과 방법론을 서술한다. 3장, “표면의 구축”은 종이로 면을 쌓는 감각을 체득하면서 구체화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작업 과정을 서술하고, 표면과 지지체의 연계를 밝히며 회화의 표면에 관한 고찰을 이어간다. 4장은 회화를 캔버스에 밀착한 두께가 있는 표면으로 강조하고, 칼 안드레의 수평 조각을 예로 들며 2차원적 속성과 3차원적 속성을 포괄하는 회화의 차원을 되새긴다. 이로써 회화라는 평면 매체를 입체로 결론짓고 회화라는 플랫랜드를 다시금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열며 글을 맺는다. Through this paper, I look at the contents of my work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2016 to 2020 and the main process that has been progressed. The first chapter begins with Edwin A. Abbott’s novel, 『Flatland』 in 1884.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A Square met a stranger Sphere from Spaceland; he breaks away from two-dimensional thinking and gains the possibility of taking a fresh look at Flatland, where he lives, and its residents. With this story, chapter 1 reconsiders the form of painting that has been long treated as a two-dimensional medium. Like the title of this paper, By chang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plane,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nto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t reveals the three-dimensionality of a plane; it blurs and sharpens the dimension of the painting. Chapter 2 and 3 consist of “Representation of a Surface” and “Construction of a Surface”, respectively. Chapter 2, “Representa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work from 2016 to 2017 after I was recognized a surface as an object. Chapter 3, “Construc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of work from 2018 to 2020 which was taking shape by acquiring the sense of layering surface: paper and continues to consider the surface of the painting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pport. Chapter 4 emphasizes painting as a surface with thickness adhering to canvas and restates the dimension of painting that encompasses two-and three-dimensional attribute, taking Carl Andre’s horizontal sculpture as an example. With this, I conclude that painting generally defined by two-dimensional medium is three-dimension based on the flatness. And I finish this paper ope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look at the painting, “Flatland”, again in a new way.

      • 신표현주의 회화의 미학적 고찰 -질 들뢰즈의 탈근대적 예술론을 바탕으로-

        이향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6734

        본 논문은 신표현주의 회화가 보여주는 고유한 감각의 미학적 가치를 질 들뢰즈의 탈근대적 예술론을 바탕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는 예비 작업으로 주체와 대상을 이원적으로 분리해왔던 전통 철학에서 벗어나 칸트로 대변되는 근대 인식론으로부터 출발하여 감성의 위상을 최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린 들뢰즈의 감성론을 밝힌다. 이어 차원의 전복이라는 탈근대적 논제 아래 힘과 이미지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부각시킨 들뢰즈의 감성론의 시각으로 비가시적인 힘을 감각의 구현을 통해 가시화시킨 회화들을 포착한다. 이를 이루기 위해 본고는 먼저 시각과 감성의 위상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변해 왔는지 그 맥락을 추적한 다음, 이 역사적 맥락을 완전히 뒤집는 탈근대적 예술론을 들뢰즈의 감성론을 중심으로 분명히 한다. 존재론적 담론을 재현과 구상이 아닌 생성과 창조의 영역으로 옮겨놓은 들뢰즈는 역사 속에서 줄곧 물질적이고 미약한 존재로, 따라서 그 위상이 열등한 것으로 파악되어 온 감각을 복권시킨다. 이처럼 감각을 복권시킨 들뢰즈에게 있어서 사유를 확장시키는 영감의 원천은 이성적인 것들이 아니라 감각이며, 바로 이 감각을 구현하는 예술이 된다. 그리고 예술 중에서도 특별히 회화는 감각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더 이상 단순한 2차원적 평면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회화는 이제 존재론적 사건이 그 위에 새겨지는 장으로서 기능한다. 들뢰즈에 따르면 존재는 곧 힘이며, 인간은 존재인 이 힘의 관계로부터 탄생한 하나의 양태에 해당한다. 예술은 바로 이 비가시적인 힘의 포착, 그리고 이 포착을 위한 감성의 선험적 훈련을 특별한 과업으로 지닌다. 예술의 이 특별한 과업 성취를 위한 훌륭한 실마리를 우리는 들뢰즈의 관점을 따라서 비가시적인 힘을 시각적으로 가시화시킨 감각을 즉자적 존재로 세우는 회화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제 회화는 힘인 존재가 우리의 신체를 통해 발현된 사건으로서의 감각을 그 안에 담는다. 바로 이러한 들뢰즈의 예술론과 회화론을 바탕으로 본고는 신표현주의 회화를 면밀히 분석한다. 신표현주의 회화는 형상을 와해시킴으로써 유기적인 기관들을 해체하고 변조를 통해 가능한 변형들을 화폭에 담아내는 일에 성공했다. 즉 유기적인 기관들 아래 감춰진 기관 없는 신체를 가시화하고, 강도로 이루어진 강렬한 신체를 드러내는 일에 성공한 것이다. 이를 통해 신표현주의 회화는 근대적 재현으로부터 벗어난 감각적인 현존을 직접적으로 추출하여 그 자체로 담아낸다. 신표현주의 회화가 보여주는 이와 같은 주체의 해방, 즉 주체의 분열적인 생산이 필연적으로 야기하는 고정된 주체로부터의 탈주는 기존의 근대적 구조와 체계를 파괴하는 욕망의 탈주선을 그리면서 신표현주의 고유의 새로운 감각, 탈근대적 감각을 탄생시킨다. 본고는 이처럼 들뢰즈의 탈근대적 예술론과 회화론의 관점에서 신표현주의 회화 전체를 조망하는 시도를 한다. 그리고 이 시도를 통해 다각도의 탈근대적 사유를 제안하고 회화의 과제를 새롭게 규명한다. 본고의 이러한 작업은 경험의 원초적 발생지점인 감각으로부터 우리의 감성이 다른 능력들과 관계 맺는 과정을 밝혀주고, 또 이것이 예술적 경험으로 승화되는 과정까지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리하여 이 작업은 기존의 전통 철학에서는 결코 접근할 수 없었던 빈칸들을 들뢰즈와 함께 메워가면서 궁극적으로 감성과 예술이 통합되는 과정과 이 통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unique aesthetic value of neo-expressionist painting's sensibility based on Gilles Deleuze's postmodern theory of art. To achieve this goal, it begins by mov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dualistic separation of subject and object in philosophy, starting from Kant's modern epistemology and elevating the status of sensibility to its highest level, as illuminated by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It then captures paintings that visualize the invisible for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en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which highlights the problem of force and image under the postmodern theme of the fold of dimensi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traces the historical context of how the status of vision and sensibility has changed over time, and then clearly defines a postmodern theory of art, centered on Gilles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that completely overturns this historical context. Deleuze, who shifted the ontological discourse from representation and figuration to generation and creation, rehabilitates sensibility, which has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a material and minor existence and thus inferior. For Deleuze, who restored sensation in this way, the source of inspiration that expands thought is not rational things but sensation, and it is art that embodies this sensation. Among the arts, painting, in particular, should no longer be considered a mere two-dimensional plane because it visually embodies and sustains sensation. Painting now functions as a field where ontological events are engraved upon. According to Deleuze, existence is essentially force, and humans correspond to one modality born from the relationship of this force of existence. Art holds the special task of capturing this invisible force and the a priori training of sensibility for this capture. Following Deleuze’s perspective, a great clue for accomplishing this special task of art can be found in painting, which establishes sensation, visually materializing this invisible force, as an immediate existence. Painting now encapsulates the sensation as an event where existence, as force, manifests through our bodies. Based on Deleuze‘s theories of art and painting, this study conducts a detailed analysis of neo-expressionist painting. Neo-expressionist painting has succeeded in dismantling organic structures by disintegrating forms and capturing possible transformations within distortion. In other words, it has succeeded in visualizing a body devoid of hidden institutions beneath organic structures and revealing a vivid body composed of intensity. Through this, neo-expressionist painting directly extracts and encapsulates a sensory existence liberated from modern representation, moving away from the confines of modern reproduction. The liberation of the subject depicted in neo-expressionist painting, rooted in the fragmented production of the subject, draws a departure from the fixed subject. This act of breaking away from a fixed subject is a trajectory of desire to dismantle existing modern structures and systems, thus giving birth to a unique new sense within the realm of neo-expressionism. This study attempts to view neo-expressionist painting as a whole from the perspective of Gilles Deleuze's postmodern theories of art and painting. Through this endeavor, it proposes multi-dimensional postmodern thoughts and redefines the tasks of painting. This work illuminates how our sensibility, originating from sensation as the primal site of experience, relates to other faculties and how this relationship is sublimated into artistic experience. Thus, this paper, in collaboration with Deleuze, fills the gaps unapproachable by traditional philosophy, ultimately showcasing the process and specific examples of how sensibility and art integrate.

      • '역동적 양가성'의 회화 표현 연구 : - <빛나는 어둠> 연작을 중심으로 -

        임성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879

        양가성(ambivalence)의 개념은 동시대에 이르러서는 물질과 의미의 분리 불가능성인 얽힘(entanglement)으로서의 실재를 설명하는 캐런 바라드(Karen Barad, 1956-)의 역동적 언어와 텍스트상의 체험이 그것을 포착하는 경계를 넘어서는 의미들을 통해 그 삶을 지속하게 하는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 1895-1975)의 생성적 대화 형식, 그리고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s)의 자기 유사성과 카오스를 시간의 비가역성으로 이해하는 복잡계 과학관(complex systems)에 의해 한 가지 의미로 국한할 수 없는 창발적이고 융합적인 속성으로 확장되고 있다. 단순한 통일성 원리나 중심 원리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경험적 시간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되어 기존의 질서와 구조를 새롭게 재구성하고 생성하는 동시대 창발(emergence)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자연과 세계에 대한 선형적인 인과관계와 기계론적 접근을 거부하고 확률론적이고 비결정론적인 실재의 구조에 의한 존재의 환원 불가능한 본질로 규명되고 있다. 따라서 양가성은 기존의 개념을 초월한 내재적 총체로서 삶과 실재의 근본적 작동 원리이면서 단순한 대립으로 묶이기보다 삶을 움직이고 무엇인가를 생산하는 역동적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양가성의 역동성을 주요 테마로 다루고 있는 연구작품에서 연구자의 내성적 경험을 은유하는 빛과 어둠은 그 주된 요소이며 해석 불가능한 형태로의 무작위적인 반복, 중첩의 복잡성과 비선형적 차원의 잠재성을 보여주는 ‘프랙탈적 현실’과 무질서와 질서 사이에서 이행되는 복잡계의 창발 현상에서 비롯된 회화 표현으로 발전된다. 생성의 양극 혹은 하나의 생성 과정에 얽혀 있는 두 측면으로 비결정성(indeterminacy), 상호보완성(complementarity), 전일성(holism), 가역성(reversibility) 등을 포괄하는 내재적 얽힘으로 해석된다. 자유와 불안, 삶과 죽음 사이의 어떤 원초적 대립도 전제하지 않고 개별적이고 상충적으로 존재하는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오히려 시작부터 끝까지 함께 기능하고 존재하고, 그것들의 공통 요소에 기반을 둔 더 큰 집합체로 나아가는 변환이며 양 측면 모두가 생성의 시작이자 원인인 동시에 생성의 결과인 ‘빛나는 어둠’이다. 이는 회절 패턴 구조와 파동의 간섭 운동으로 형태이면서 동시에 형태가 아니고 무형이면서 동시에 무형이 아닌, 무형태 속에 이미 그 형태를 내포하면서 끝없이 변이하고 생성하는 양가적 과정의 포착이다. 구체적인 형식에 있어서 같은 내재적 동적 과정 속에서 공동구성되고 고리 패턴으로 계속하여 반복되는 흐름의 표현인 ‘빛꼬리’와 ‘회오리’, ‘너울’의 이미지는 불완전한 원형(circles)의 무한한 반복성과 순환의 장으로 구성된다. 시각자질의 역동적 안배에 의해 그 형태, 색상, 구조가 고정되지 않는 만곡과 벡터의 불안정한 변화 그리고 감가 밀도와 감가 강도가 결합된 역동성을 드러내며 동시에 예측 불가능한 비평형(nonequilibrium)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질서로 나타난다. 이는 에너지 자체가 밀려들어오고 또 용솟음쳐 나가는 하나의 광대한 양자 장(quantum field)으로 합류되며 결코 대칭적인 짝으로 분리되지 않고 내부-작용(intra-action)의 구조적 성질에서 볼 수 있는 연속성과 불연속성, 내포적 움직임과 외연적 움직임, 약동, 무한성, 공동결연(conjunction) 등의 내용을 갖는 역동적 양가성을 추상 회화로 표현한 패턴들이다. 또한 생명의 초미립자들의 이음들이 수도 없이 부딪치고 충돌하는 움직임을 보이며 그 사이에서 파장과 회절 에너지를 일으키고 소용돌이 운동으로 휘몰아치고 깊이를 알 수 없는 공간과 살아 움직이는 시간 속에서 엉켜서 상승하는 강도를 통해 차원을 확장하면서 실재를 향한 전일적 방향으로의 끊임없는 운동성을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세계의 지속적인 재구성과 얽힘, 관계성으로 전개되고 그 근원과 심연을 알 수 없는 내재적 질서를 은유하는 ‘빛나는 어둠’은 프랙탈적이고 복잡계적인 형식의 역동적 구성원리를 통해 모순되는 상태들이 서로 결합하여 전 공간으로 확산되며 우주의 거의 모든 요소에까지 진동하고 모든 불확실성이 새로운 세부 사항과 구조가 생겨날 수 있는 창발 시스템을 내포한 역동적 양가성으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연구작품이 동시대적 회화 언어 안에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와 동시에, 사물의 진실과 가치를 살피게 해 주고 깊은 심연에 뛰어들어 보이지 않는 데로 이끄는 종교적 신념을 함축하는 <빛나는 어둠> 연작을 중심으로 한 역동적 양가성의 회화 표현 연구는 과학, 철학, 문학, 예술학에 입각하여 추상 회화의 이해에 있어서 융합적이고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e concept of ambivalence has evolved into an expansive and convergent property in contemporary discourse. This expansion is articulated through Karen Barad’s dynamic language describing the inseparability of matter and meaning, Mikhail Bakhtin’s creative dialogic form allowing texts to persist through meanings beyond their own boundaries. Additionally, it incorporates the self-similarity of fractal dimens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chaos as the irreversibility of time in complex systems, resulting in an emergent phenomenon that defies confinement to a singular meaning. Ambivalence, in this context, is not determined by unified logics or central principles but is rooted in emergent principles that constantly change and develop in empirical time. It reorganizes existing orders, rejecting reductionist and mechanistic approaches to nature and the world, and is identified as the irreducible nature of existence by the probabilistic and non-deterministic structure of reality. Ambivalence surpasses conventional concepts, functioning as an immanent totality and a fundamental mechanism of reality. Its dynamic nature extends beyond simplistic binary oppositions, actively propelling and generating life. The research project explores the dynamic of ambivalence, with dark and light serving as metaphors for the researcher's introspective experience. This introspection has transformed into a painterly expression grounded in 'fractal reality,' capturing the spontaneous repetition of enigmatic forms, the intricacy of superposition, and the potential inherent in nonlinear dimensions. Originating from the interplay of complex systems oscillating between disorder and order, this artistic expression embodies a dynamic structure intricately linked to the generation of life. The research project articulates the dynamic of ambivalence through abstract paintings, characterized by 'light-tail,' 'vortex,' and 'wave' patterns that collectively forge a realm of boundless repetition and circulation. The dynamic arrangement of visual features remains in a perpetual state of flux, owing to the erratic variations in vectors and curvatures, and this instability gives rise to a novel order marked by unpredictable nonequilibrium. These abstract artworks serve as an illustration of 'dynamic ambivalence,' where energy converges into an expansive quantum field, exhibiting a continuous ebbing and flowing. Notably, the compositions evade symmetrical pairings, embracing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s well as intensive and extensive movements, reflecting a multiplicity inherent in the nature of intra-action. In conclusion, the series 'The Light Beyond the Dark' serves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implicate order unfolding in ongoing reconfiguratings, entanglements, and relationalities of the world. Positioned within contemporary pictorial language, in that these paintings are interpreted as 'dynamic ambivalence,' where contradictory states coalesce and resonate throughout space, and every uncertainty becomes an emergent system, giving rise to new detail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dynamic composition and formal principles of fractal and complex systems.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painterly expression of 'dynamic ambivalence' in the 'The Light Beyond the Dark' series, draws on science, philosophy, literature, and art, offering a convergent and novel interpretation of abstract painting in the context of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