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역량과 윤리적 간호역량이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민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intention of nurses as well as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6 nurses who worked and provided direct nursing car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Y City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July 17 to August 6, 2023. The survey wa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at comprised measurement tools for general and patient safety accident-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patient safety competenc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Result: The participant’s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was 61.28±26.27 points, intention to report adverse events was 85.31±17.32 point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was 3.51±0.43 points, patients safety competence was 3.97±0.40 points, and ethical nursing competence was 3.17±0.34 points.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2.34, p=.020) an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r=.20,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r=.23, p<.001), and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accidents definitions (r=.26, p<.001) and reporting system (r=.26, p<.001). Intention to report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ognition of patient safety accidents definitions (r=.16, p=.009) and reporting system (r=.20, p=.00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tention to report near misses (β=.30, p<.001) and adverse events (β=.35, p<.001) increased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0.5% (F=9.24, p<.001) and 12.7% (F=8.42,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o improve the intention to report patient safety accidents,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and familiarity with the reporting system should be emphasized in the nurses’ training program. Furthermor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nurs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윤리적 간호역량 및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Y시 소재 일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56명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 17일부터 2023년 8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보고형 설문으로, 일반적 특성 및 환자안전사고 관련 특성,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역량, 윤리적 간호역량,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 측정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61.28±26.27점, 위해사건 보고 의도는 85.31±17.32점이었고,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51±0.43점, 환자안전역량은 3.97±0.40점, 윤리적 간호역량은 3.17±0.34점이었다. 대상자의 근접오류 보고 의도는 결혼상태(t=2.34,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r=.20, p=.001), 총 임상 경력(r=.23, p<.001), 환자안전사고 정의에 대한 인지 정도(r=.26, p<.001),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에 대한 인지정도(r=.26,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위해사건 보고 의도는 환자안전사고 정의에 대한 인지정도(r=.16, p=.009), 환자안전사고 보고체계에 대한 인지정도(r=.20, p=.002)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 근접오류 보고 의도(β=.30, p<.001)가 높았으며 회귀모형 설명력은 20.5%이었다(F=9.24, p<.001).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β=.35, p<.001) 위해사건 보고 의도 또한 높았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2.7%였다(F=8.42, p<.001). 결론: 환자안전사고 보고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 보고에 대한 중요성과 보고체계에 대한 정보를 교육 내용에 포함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

        김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Although the importance of ensuring a safe environment for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has been emphasized repeatedly,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done among ICU nurses. Since ICU nurses play a vital role at ensuring patient safety, an effort to accurately measure the statu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re necessary. Thus,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CU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study has been done by cross-sectional survey, using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HSOPSC) tool(AHRQ, 2004),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Self-Evaluation(PSCSE) tool developed by Lee & Jang(2012). Participants were 165 ICU nurses from 1 tertiary hospital and 3 secondary hospital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cored an average of 3.13±0.63. Teamwork within unit was the highest, and nonpunitive response to error was the lowest score between the patient safety culture components.Participa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score was average 3.77±0.43. Nurses in tertiary hospital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atient safety culture than nurses in secondary hospitals. Nurses in tertiary hospital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than nurses in secondary hospitals. Nurses who have nursing experience of 3~6 years, or more than 9 year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than nurses with nursing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Nurses who have ICU nursing experience 3~6 years, or more than 9 year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than nurses who have ICU nursing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has been found betwee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Significant predictors for participa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feedback & communication about error,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taffing from patient safety culture, and ICU nursing experi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deeper insight for further research at improving ICU nurses’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정도와 환자안전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 인식 정도와 환자안전역량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환자안전역량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도구로는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의료연구품질관리부(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04)에서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HSOPSC) 도구를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와 성영희(2007)가 한글로 번안한 도구와 Lee와 Jang(2012)이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장해나(2013)가 이를 수정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Patient Safety Competency Self-Evaluation(PSCSE)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병원중환자간호사회 소속, 서울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1곳과 경기, 인천 지역의 종합병원 3곳에서 자료수집 시점에 근무하고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 중 편의표본 추출하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했고, 분석은 SPSS 25.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중 여성이 92.1%, 연령은 30세 미만이 67.3%, 교육 정도는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가 90.3%, 근무 부서는 내·외과 통합 중환자실이 39.3%, 총 임상 경력은 평균 5.35±4.66년, 중환자실 근무 경력은 평균 4.98±4.10년, 환자안전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은 있는 경우가 96.4%,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경우, 교육 횟수는 평균 1.27±0.75회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13±0.63점이었고, 각 요인별로는 부서내 팀워크 3.67±0.83점,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 3.57±0.74점, 과오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3.27±0.98점, 의사소통의 개방성 3.13±0.79점, 조직학습 3.10±0.68점, 부서간의 환자전송 3.06±0.77점, 병원 경영진의 태도 3.01±0.89점, 부서간의 협조체계 3.00±0.85점, 직원배치 2.75±0.61점, 과오에 대한 비처벌적 대응 2.66±0.79점이었다.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77±0.43점이었다. 3.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총 환자안전문화 인식 점수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총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총 임상 경력 3년~6년 미만과 9년 이상인 간호사의 총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총 임상 경력 3년 미만인 간호사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중환자실 근무 경력 3년~6년 미만과 9년 이상인 간호사의 총 환자안전역량 점수는 중환자실 근무 경력 3년 미만인 간호사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환자안전문화 인식의 요인 중 과오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 조직학습, 직원배치의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반적 특성 중 중환자실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안전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 인식 정도와 환자안전역량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증진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조직 의사소통 만족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모영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ttitude toward, and knowledge of incident reporting,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 This descriptive study was approved by University W’s Bioethics Committee (WKIRB-202306-SB-038). Nurses who had more than six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at either general hospitals or higher-level hospitals in Provinces J and C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via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ne 15 to July 15, 2023, and a total of 190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4.0. Results: The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 total of 190 nurses with an average age of 31.99±8.07, 95 (50%) of whom were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129 (67.9%) were single, 115 (60.5%) were non-religious, and 169 (88.9%) were general nurses. Regarding the completion of patient safety education within the past year, 175 (92.1%) responded “yes.” In ter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112 (58.9%) responded “yes” to whether an incident was reported within the past year, and 165 (86.8%) ha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an incident. Among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majority 99 (52.1%) were employed at a tertiary hospital, and 141 (74.2%) held a bachelor’s degree. A total of seven years clinical experience was the most common, with 80 (42.1%) participants (overall average 8.64±8.20 years). A total of 77 participants (40.5%) had more than 3 to less than seven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their current department, with an average of 3.15±3.07 years. Second, patient safety competency had an average score of 3.90 out of 5 points, and the sub-domains scored the highest in the order of patient safety skill, attitude, and knowledge. The average score for attitude toward incident reporting was 3.62 out of 5 points, and the sub-domain scores were in the order of belief in improvement, intention of report, and worry about appraisal. Knowledge toward incident reporting had an average score of 3.75 out of 5 poin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veraged 3.12 points out of 5, and among the sub-domains, communication with superiors and organizational integrity scored the highest and lowest, respectively.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had an average score of 4.25 out of 5 points, with accuracy of patient identification scoring the highest and communication the lowest among the sub-domains.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religion (t=2.13, p=.035), highest level of education (F=3.27, p=.040), work experience in current department (F=4.10, p=.008), work department (F=22.91, p<.001), and size of medical institution (F=-3.15, p=.002). Fourth,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display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y (r=.57, p<.001), knowledge of incident reporting (r=.42, p<.001),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35, p<.001), and attitude toward incident reporting (r=.15, p=.037). Fif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atient safety competency (ß=.49, p<.001), and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nal medicine unit (ß=.43, p<.001), integrated medical-surgical unit (ß=.21, p=.002), intensive care unit (ß=.20, p<.001), and having seven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ß=.16, p=.008) were influencing factors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at orde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1% (F=15.50, p<.001). Conclusion: Patient safety competency, working in internal medicine, integrated medical-surgical,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having seven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were confirmed as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need to be recognized and provide patient safety educ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Keywords: patient safety competency, patient safety accidents, communicati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nurses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역량,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W대학교 생명윤리 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여, 승인(WKIRB-202306-SB-038)을 받은 후 진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J도와 C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이상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를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7월 15일까지였고, 총 19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전체 19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1.99±8.07세로 20대가 95명(50.0%)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129명(67.9%), 종교가 없는 대상자는 115명(60.5%)명,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69명(88.9%)이었다.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교육 이수 여부는 ‘있음’이 175명(92.1%),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사건 보고 유무는 ‘있음’이 112명(58.9%),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사건 직ㆍ간접 경험 유무는 ‘있음’이 165명(86.8%)이었으며, 의료기관의 규모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재직 중인 대상자가 99명(52.1%)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141명(74.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경력은 7년 이상이 80명(42.1%)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8.64±8.20 년이며, 현 부서 근무경력은 3년 이상∼7년 미만이 77명(40.5%)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3.15±3.07년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90점이었고, 하위영역의 점수는 환자안전 기술, 환자안전 태도, 환자안전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점이었고, 하위영역의 점수는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 보고의도, 평가활용에 대한 우려 순으로 나타났다.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5점으로 나타났다. 조직 의사소통 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12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상급자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높았으며, 조직의 통합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4.25점으로 하위영역 중 정확한 환자확인이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는 종교유무(t=2.13, p=.035), 최종학력(F=3.27, p=.040), 현 부서 근무경력(F=4.10, p=.008), 근무부서(F=22.91, p<.001), 의료기관의 규모(F=-3.15,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상자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역량(r=.57, p<.001),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r=.42, p<.001), 조직 의사소통 만족(r=.35, p<.001),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r=.15, p=.037)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영향요인은 환자안전역량(ß=.49, p<.001)과 일반적 특성 중 내과계 병동(ß=.43, p<.001), 내외과 통합병동(ß=.21, p=.002), 중환자실(ß=.20, p<.001)에서 근무하는 경우, 현 부서 근무경력이 7년 이상(ß=.16, p=.00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51%이었다(F=15.50, p<.001). 결론 : 본 연구결과, 환자안전역량, 근무부서 중 내과계 병동, 내외과 통합병동,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경우, 현 부서 근무경력 7년 이상인 간호사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무 부서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인식하고, 조직적인 차원에서 환자안전교육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사고, 의사소통, 환자안전간호활동, 간호사

      •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이숙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은 의료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특히 안전사고 발생 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환자실에서 환자안전문화의 형성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조사하고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중환자실의 환자안전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G광역시 소재 상급 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with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전체 평균 3.55±0.41점이었으며, 조직 차원, 부서 차원, 개인 차원의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하위요인 중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3.91±0.56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 우선순위가 3.05±0.7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성별(t=2.09, p=.039)과 중환자실 근무경력(F=2.71, p=.04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전체 평균 3.81±0.46점이었으며, 영역별로는 태도 영역 4.03±0.45점, 기술 영역 3.91±0.54점, 지식 영역 3.50±0.6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환자안전역량은 직위(t=-2.13, p=.035)와 안전업무 담당경험(t=2.45,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총점과 환자안전역량 총점(r=.662)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수준은 아직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안전문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본인의 실수를 인정하고 안전사고 발생 시 보고를 격려하며 이를 비난하지 않는 비처벌적 조직문화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고, 간호사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환자안전을 우선순위에 둘 수 있도록 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안전 관련 교육 이수와 더불어 직접 환자안전 업무를 담당해 봄으로써 환자안전 기술의 습득 및 역할에 대한 책임감 부여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patient safety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for quality of medical service provided by medical institutions, it is essential to form patient safety culture and promote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intensive care units (ICUs) where any safety accidents can gravely affect lives of pati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into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ICU and identify the relevance between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to provide base data for promoting patient safety at ICUs. This study us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 a descriptive research. It took 130 subjects among nurses working in the ICU for adults at a superior general hospital located at G metropolitan city and measured the awareness over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apability of the subjects in the period from October 12, 2015 to October 16, 2015 by using the Korean Patient Culture Survey Instrument for Hospitals of measurement device for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technical analysis, t-test, ANOVA with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3.55±0.41 and the sco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organization, department, and individual. Perception on leadership marked the highest score of 3.91±0.56 among other factors, and patient safety priority marked the lowest at 3.05±0.70.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consid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at the ICU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gender (t=2.09, p=.039) and working career for ICU (F=2.71, p=.048). 2) An overall average score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the ICU was 3.81±0.46, and Attitude marked 4.03±0.45 followed by 3.91±0.54 for Skull and 3.50±0.66 for Knowledge. Analysis of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at the ICU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over total patient safety competency in working position (t=-2.13, p=.035) and working experience in safety management (t=2.45, p=.016). 3) Total scores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ICU (r=.662)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ICU was not sufficient. The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culture would require acknowledging mistakes by each individual, encouraging reporting when accidents occur, and making efforts in creating non-punishment organizational culture that does not criticize reporting, and conversion of awareness among nurses is also necessary to prioritize patient safety while they are at work. It can be effective for nurses to take safety education courses and also get themselves involved in patient safety-related tasks to acquire patient safety skills and feel responsible over patient safety as well as reinforce patient safety competency. This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comprehensive program to promot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es at ICU.

      •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피로, 공감피로, 소진 및 환자안전역량의 관계

        심성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levels of alarm fatigue,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ir relationship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patient safety competency. From April 6 to May 5, 2023,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adult intensive care nurses at S University Hospital, a certified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a total of 11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alarm fatigue of the study subjects was 3.74±0.62 points. The question ‘False alarms occur frequently in my practice ’ had the highest score of 4.17 ± 0.67, and 104 (89.7%) of the subjects responded ‘yes’ or ‘very much’.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 'I feel confident in adjust monitor alarm parameters in order to reduce false alarms' had an average score of 2.24 ± 0.73, with 36 subjects (31%) responding 'yes' or 'very much', showing the lowest score. 2. The study subjects'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scores were 28.04±4.87 points and 29.62±6.47 point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patient safety competency score was 3.98±0.35 points. The total score average for each patient safety competency sub-area was 4.32±0.35 points for ‘attitude’, 4.01±0.43 points for ‘technology’, and 3.07±0.72 points for ‘knowledge’, showing that competency was highest in the order of technology, attitude, and knowledge. 3.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alarm fatigue, 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wo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compassion fatigue (t=-4.65, p<.001) and burnout (t=-2.41, p=.044) than men, and the degree of burnout differed depending on education level (F=3.62, p=..030). Second, in the case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ject's age (F=3.75, p=.007),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areas of patient safety attitude, patient safety technology,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measuring, patient safety attitude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 department, and work experience, but patient safety skill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nsive care unit work experience. (F =3.424, p=.036).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fatigue among gender, age, education level, working department, and work experience.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larm fatigue,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the study subjects, the higher the alarm fatigue, the higher the compassion fatigue (r=.19, p=.034)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r=.20, p=.028) was high. Compassion fatigu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burnout (r=.35, p<.001)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r=.18, p=.047), so the higher the compassion fatigue, the higher the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In the case of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higher the burnout, the lower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r=-.26, p=.00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afety attitude, patient safety technology,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which are sub-areas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patient safety attitude and alarm fatigu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20, p=.027), Burno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r=.-.19, p=.034), and patient safety technology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30, p<.001). 5. Variables that affect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the study subjec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β=.3665, p<.001), and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burnout (β=-4.420, p<.001) and alarm Fatigue (β=2.692, p=.008) and compassion fatigue (β=2.572, p=.011) both appeared to be influential factors. Among these, burnout was measured 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patient safety competency, with an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25.8%.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among the variables affecting patient safety competency, burnout was confirmed to be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patient safety competency. Accordingly, I think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and reduce nurses' burnout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y.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at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there may be differences in various factors such as size, organizational cultur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mong hospitals,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lize and interpret the results of this study. B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domestic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arm fatigue,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it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ement strategies to improve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reby improving patient safet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알람피로, 공감피로, 소진, 환자안전역량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1개 상급종합병원인 S대학교병원의 성인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3년 4월6일부터 5월 5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으며, 총 116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s분석과 단계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평균평점 3.74±0.62점이었다. ‘위양성 알람이 자주 발생한다’문항이 4.17±0.6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측정되었으며 대상자 중 104명(89.7%)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위양성 알람을 줄이기 위하여 알람 셋팅을 잘 할 수 있다’의 문항은 평균 2.24±0.73점으로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에 응답한 대상자는 36명(31%)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연구 대상자의 공감피로와 소진의 점수는 각각 28.04±4.87점, 29.62±6.47점이었고, 환자안전역량은 평균평점은 3.98±0.35점이였다. 환자안전역량 하위영역별 총점평균은 ‘태도’가 4.32±0.35점, ‘기술’이 4.01±0.43점, ‘지식’이 3.07±0.72점으로 나타나 기술, 태도, 지식 순으로 역량이 높았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 공감피로, 소진, 환자안전역량 차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공감피로(t=-4.65, p<.001)와 소진(t=-2.41, p=.044)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수준에 따라 소진의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F=3.62, p=..030). 둘째, 환자안전역량의 경우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75, p=.007), 하위영역인 환자안전태도, 환자안전기술, 환자안전지식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 ,환자안전태도와 환자안전지식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무부서, 근무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자안전기술이 중환자실 근무경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F=3.424, p=.036). 셋쩨, 알람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근무부서, 근무경력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연구 대상자의 알람피로, 공감피로, 소진과 환자안전역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알람피로가 높을수록 공감피로(r=.19, p=.034)와 환자안전역량(r=.20, p=.028)이 높았다. 공감피로는 소진(r=.35, p<.001)과 환자안전역량(r=.18, p=.047)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공감피로가 높을수록 소진과 환자안전역량이 높았다. 소진과 환자안전연량의 경우 소진이 높을수록 환자안전역량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r=-.26, p=.004). 환자안전역량의 하부영역인 환자안전태도, 환자안전기술, 환자안전지식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태도와 알람피로는 양의 상관관계(r=.20, p=.027), 소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19, p=.034), 환자안전기술 또한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30, p<.001). 5. 연구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적 특성에는 연령(β=.3665, p<.001)이 있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변수 소진(β=-4.420, p<.001), 알람피로(β=2.692, p=.008), 공감피로(β=2.572, p=.011)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소진이 환자안전역량에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측정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으로 25.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소진이 환자안전역량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간호사의 소진을 다루고 감소시킬 수 있도록 대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환자안전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단,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만 진행되어 병원마다 규모나 조직문화, 간호업무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알람피로와 공감피로, 소진과 환자안전역량의 관계를 규명한 첫 국내연구인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환자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효선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6

        최근 환자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의료인의 환자안전역량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가장 가까이에서 24시간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의 정도를 측정 및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지 작성을 통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측정도구로는 비판적 사고성향은 고금자(2003)가 수정한 도구, 문제해결능력은 전석균(1994)이 번역한 도구, 자기효능감은 홍혜영(1995)이 번역한 도구, 환자안전역량은 장해나(2013)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고 2014년 10월 14일에서 11월 4일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였고, 대상자는 수도권지역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73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의 총 19문항으로 문항평균은 3.43점이었다. 하부영역별 평균은 객관성이 평균 3.5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적열정과 건전한 회의성영역이 평균 3.09점으로 가장 낮았다. 2.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은 5점 만점의 총 21문항으로 문항평균은 3.54점이었다. 하부영역별 평균은 개인통제력이 3.6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하부영역에서는 접근회피가 3.58점, 자신감이 3.4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의 17문항으로 문항평균은 3.58점이었다. 4.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45문항으로 문항평균은 3.75점이었다. 하부영역별 평 균은 환자안전태도가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기술이 3.73점, 환자안전지 식 3.3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5.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과 비판적 사고성향(r=.493, p<.001), 문제해결능력 (r=.616, p<.001), 자기효능감(r=.475, p<.001)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r=.666, p<.001), 자기효능감(r=.541, p<.001) 그리고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r=.619, p<.001)간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따라서 지각된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환 자안전역량이 높고,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6.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 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해결능력(β=.398)이 환자안전역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β=.157), 일반적 특성 중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 (β=.149, p=.004), 비판적 사고성향(β=.124) 순으로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에서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되며, 환자안전사고 보고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및 시행을 통해 환자안전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 :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이정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focusing on one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tient safety activities so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standards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W University Hospital. It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nalyses how nurses’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 affects patient safety activitie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220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J province. As a research tool,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measur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Park et al. (2013) for measuring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hospital medical staff. The importance placed on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originally developed by Lake (2002) and subsequently adopted into Korean by Cho et al. (2011). For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 tool developed by Lee (2012) for nursing students was used; it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Jang (2013) on practicing nurses.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activities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format tool adopted by Park (2013) from the contents of the 6 domains in the 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IPSG) among the medical institution assessment items developed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21 to October,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Differences in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while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 hoc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subjec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were female (187 subjects, 95.9%) aged 31 years or younger (123 subjects, 63.0%), and the mean age was 31.79 years (±8.86). As for marital status, 131 subjects (67.2%) were unmarried and 152 subjects (78.0%) had a bachelor’s degree (4-year university graduates). General nurs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with 177 subjects (90.8%). Most subjects had a total clinical experience of 3 years or less (65 subjects, 33.4%). As for the current working unit, there were 56 subjects (28.7%) each for general ward and intensive care unit, 88 subjects (45.1%) saying that they had 1 to 3 years of experience in the current working environment. Regarding experience with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assessment, 148 subjects (75.9%) responded “Yes” and 191 subjects (97.9%) said that they had been given patient safety training. Second, for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the mean score was 3.78 (±0.51) out of 5; among the subdomains, perception had the highest score with 4.08 (±0.56) points while confidence had the lowest with 3.63 (±0.58) points.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3.04 (±0.52) points out of 5 on average, with the highest score of 3.31 (±0.52) points for the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and lowest score of 2.56 (±0.69) points for sufficient manpower and material support among the subdomains. Patient safety competence showed a mean of 3.83 (±0.45) points out of 5, among the subdomains, patient safety attitude had the highest score with 3.96 (±0.44) points while patient safety knowledge had the lowest with 3.29 (±0.70) points. Patient safety activities showed a mean of 4.40 (±0.50) points out of 5; among the subdomains, the highest and the lowest scores were found for high-risk drug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mong medical staff with 4.53 (±0.59) points and 4.05 (±0.75) points, respectively. Thir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t=5.12, p<.001), marital status (t=5.29, p<.001), level of education (F=5.48, p=.005), position (t=5.46,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 (F=10.55, p<.001), and experience with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assessment (t=2.85, p=.005). The difference in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t=2.10, p=.037), position (t=2.70, p=.008), total clinical experience (F=5.20, p=.001), and current working environment (F=3.03, p=.019). Patient safety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3.04, p=.003), marital status (t=2.98, p=.003), level of education (F=5.78, p=.004), position (t=3.73, p<.001),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F=6.14, p<.001). Patient safety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2.85, p=.005), marital status (t=2.91, p=.004), position (t=2.91, p=.004), total clinical experience (F=3.47, p=.009), experience in current working environment (F=3.36, p=.020), and experience with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assessment (t=2.41, p=.018). Fourth, when the correlations among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importanc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44, p<.001), patient safety competence (r=.61,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35,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e (r=.28, p<.001) while patient safety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59, p<.001). Fift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es are as follows: more than 15 years of total clinical experience(β=-.24, p=.027), patient safety competence (β=.62, p<.001). With more than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patient safety competency 36% of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explained (F=13.23, p<.001). The factor that influ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most was patient safety competence. Conclu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was 36%, followed by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of 15 years or more. Therefore,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for university hospital nurses to continuously build clinical careers and extend their working period, a systematic and diverse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 and evidence-based nursing guidelines are needed so that a system that can support patient safety competency can be provided. Furthermore, continuous attention and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patient safety competencies. 목적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를 조사하고,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환자안전관리 활동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는 W대학교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J도 소재의 W대학교병원 간호사 220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박미정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Lake (2002)의 도구를 조은희 등(2011)이 한글로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역량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이남주(2012)의 도구를 임상간호사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장해나(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에서 개발한 의료기관 평가항목 중 국제환자안전목표(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IPSG) 6개 영역과 부합하는 내용을 설문지 형태로 개발한 박현희(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09월에서 10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역량,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분석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역량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187명(95.9%), 연령대는 31세 미만이 123명(63.0%)이고, 평균 연령은 31.79세(±8.86)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131명(67.2%)이었고, 교육수준은 대졸이 152명(78.0%)이었다. 직책은 일반간호사가 177명(90.8%)으로 가장 많았고, 총 임상경력은 3년 미만이 65명(33.4%)이었다. 현재 근무부서는 일반병동과 중환자실이 각각 56명(28.7%)이었으며, 현 근무부서 경력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88명(45.1%)으로 가장 많았다.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유무는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48명(75.9%)이었고, 환자안전 교육유무는 ‘있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191명(97.9%)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8(±0.51)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인지가 4.08(±0.56)점으로 가장 높고, 자신감이 3.63(±0.5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은 5점 만점에 평균 3.04(±0.52)점이였으며, 하위영역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이 3.31(±0.52)점으로 가장 높고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이 2.56(±0.69)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83(±0.45)점이며, 하위영역 중 환자안전태도가 3.96(±0.44)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지식이 3.29(±0.70)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4.40(±0.50)점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고위험 약물관리 4.53(±0.59)점이 가장 높았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이 4.05(±0.75)점으로 가장 낮았다. 셋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차이는 연령(t=5.12, p<.001), 결혼상태(t=5.29, p<.001), 교육수준(F=5.48, p=.005), 직책(t=5.46, p<.001), 총 임상경력(F=10.55, p<.001),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유무(t=2.85, p=.005)에 따라 유의하였다. 간호근무환경은 성별(t=2.10, p=.037), 직책(t=2.70, p=.008), 총 임상경력(F=5.20, p=.001), 현재 근무부서(F=3.03,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역량은 연령(t=3.04, p=.003), 결혼상태(t=2.98, p=.003), 교육수준(F=5.78, p=.004), 직책(t=3.73, p<.001), 총 임상경력(F=6.1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연령(t=2.85, p=.005), 결혼상태(t=2.91, p=.004), 직책(t=2.91, p=.004), 총 임상경력(F=3.47, p=.009), 현 근무부서 경력(F=3.36, p=.020),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유무(t=2.41,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역량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간호근무환경(r=.44, p<.001), 환자안전역량(r=.61, p<.001), 환자안전관리 활동(r=.3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근무환경은 환자안전역량(r=.2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관리 활동(r=.5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총 임상경력 15년 이상(β=-.24, p=.027), 환자안전역량(β=.62, p<.0 01)과 함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36% 설명하였다(F=13.23, p <.001).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역량이었다. 결론 :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6%였으며 환자안전역량, 총 임상경력 15년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병원 간호사가 임상경력을 지속적으로 쌓고 재직기간을 늘리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환자안전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구비될 수 있도록 충분한 행정적 지원, 근거기반의 간호지침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환자안전역량 강화에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임상전담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역할갈등, 근무환경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허정화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Patient safety i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at leads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 so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patient safety competency for clinical nurses to deliver care to patients in the front-line. In particular, it is more important for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who are taking in delegated roles to them from physicians in order to safely provide health c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role conflict, practice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safety competency in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52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working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Deagu, Ulsan, South Korea after obtaining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4, 2021 to March 31, 2021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sealed. Prior to survey, the researcher obtained a written consent from the subjects after sufficiently explaining the purpose, method,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s.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measured with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 Patient Safety Survey’(H-PEPSS) developed by Ginsburg et al. (2012), and translated by Son et al. (2019). Self-leadership was measured with tool developed by Manz (1983) and modified by Kim (2002). Role conflict measurement tool was used, developed by Kim & Park (1995) and revised by Lee (2006). For practice environment,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itially by Poghosyan et al. (2013) and revised by Ryu et al. (2020) for 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5.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subject's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55.30±9.56 points (range: 16-80), and mean score was 3.46±0.60 (range: 1-5). The degree of self-leadership of the subjects was an mean value of 65.67±8.85 points (range: 18-90) and a mean score of 3.65±0.49 (range: 1-5). The mean value of the subjects' role conflict was 129.18±18.79 (range: 34-170), and the mean score was 3.80±0.55 (range: 1-5). The mean of the subject's practice environment was 72.43±12.84 (range: 29-116), and the mean score was 2.50±0.44 (range: 1-4). 2.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t=-2.102, p=.037), and whether having regular educational program for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t=-2.404, p=.017). 3.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 (r=.451, p<.001), and practice environment (r=.427, p<.001). On the other han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ole conflic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r=-.120, p=.142). 4.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self-leadership (β=.362, p<.001), and practice environment (β=.330, p<.001). These variables explained 29.5% of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tailored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and to develop training program to promote self-leadership for them. In addition, it is needed to consider how to improve the practice environment so that it enhances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s. In further research, it is suggested to repetitively examin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role conflict. 환자안전은 의료의 질을 유지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환자와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임상전담간호사는 의사의 업무 중 일부를 위임받아 확장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로 안전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환자안전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전담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셀프리더십, 역할갈등, 근무환경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 소재 1개 대학병원, D광역시 소재 2개 대학병원, U광역시 소재 1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상전담간호사 152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2월 4일부터 동년 3월 31일까지였으며,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승인을 득한 후 시행하였다.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여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역량은 Ginsburg, Castel, Tregunno, & Norton (2012)이 개발한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 Patient Safety Survey, H-PEPSS)를 Son, Lee, & Ko (2019)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셀프리더십은 Manz (1983)가 기업구성원을 대상으로 개발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김한성(2002)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역할갈등은 김문실과 박상연(1995)이 개발한 간호사의 역할갈등 측정도구를 이혜진, 강영실, 최은숙(2006)이 진료협력간호사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근무환경은 Poghosyan, Nannini, Finkelstein, Mason, & Shaffer (2013)가 개발한 전문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Nurse Practitioner Primary Care Organizational Climate Questionnaire, NP-PCOCQ)를 유미정, 인우영, 조은희(2020)가 한국 임상전담간호사에 맞게 번안하고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Independent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정도는 평균 55.30±9.56(도구범위: 16-80), 평균평점 3.46±0.60(척도범위:1-5)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정도는 평균 65.67±8.85(도구범위:18-90), 평균평점 3.65±0.49(척도범위:1-5)이었다. 대상자의 역할갈등 정도는 평균 129.18±18.79(도구범위: 34-170), 평균평점 3.80±0.55(척도범위:1-5)로 나타났다. 근무환경 정도는 평균 72.43±12.84(도구범위: 29-116), 평균평점 2.50±0.44(척도범위:1-4)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역량 정도는 일평균 근무시간 (t=-2.102, p=.037), 임상전담간호사 대상 정기교육 유무(t=-2.404, p=.017)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은 셀프리더십(r=.451, p<.001), 근무환경(r=.4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역할갈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r=-.120, p=.142). 4.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β=.362, p<.001), 근무환경(β=.330, p<.001)으로, 이 변인들의 환자안전역량에 대한 총 설명력은 29.5%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임상전담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환자안전역량이 증가하고, 정기교육이 있는 경우 환자안전역량이 높으므로 임상전담간호사의 상급실무 및 환자안전과 관련된 정기교육 제공, 셀프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 근무환경 개선에 대한 다각적 노력을 통해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상전담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와 일평균 근무시간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가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5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가야 (지도교수 : 이영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해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은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수학습 설계 단계인 ADDIE 모델(Branch, 2009)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환자안전관리활동 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도 소재의 G대학교 간호학과 29명과 C도 소재 D대학교의 간호학과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군은 4주간 주 1회 웹 기반 교육 플랫폼을 통해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중재 교육이 없었다. 자료수집은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환자안전관리활동 의도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역량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1 가설은 지지 되었다(F=204.52,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은 사전에 비해 사후(t=-4.63, p&lt;.001)와 추후(t=-1.00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1.00, p=.317)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2. 제 2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2 가설은 지지 되었다(F=131.47,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은 사전에 비해 사후(t=-4.70, p&lt;.001)와 추후(t=-11.59,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1.34, p=.180)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3. 제 3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3 가설은 지지 되었다(F=22.07,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는 사전에 비해 사후(t=-3.47, p&lt;.001)와 추후(t=-3.71,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0.35, p=.726)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4. 제 4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4 가설은 지지 되었다(F=31.57,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사전, 사후, 추후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사후(t=-4.63, p&lt;.001)와 추후(t=-4.63,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2.12, p=.034)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5. 제 5-1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통제행위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통제행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5-1 가설은 지지 되었다(F=77.26,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통제행위는 사전에 비해 사후(t=-4.67, p&lt;.001)와 추후(t=-8.83,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1.00, p=.317)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제 5-2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5-2 가설은 지지 되었다(F=52.48,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사전에 비해 사후(t=-4.30, p&lt;.001)와 추후(t=-7.19,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추후(t=-1.73, p=.083)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6. 제 6 가설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의도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의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 제 6 가설은 지지 되었다(F=40.79, p&lt;.001). 실험군 내에서 시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 시점 간 비교를 한 결과 실험군의 환자안전관리 의도는 사전, 사후, 추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사전에 비해 사후(t=-4.25, p&lt;.001)와 추후(t=-4.27, p&lt;.001)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사후에 비해 추후(t=—1.00, p=.317)에도 유의하게 효과가 지속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에 대한 기술,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점수, 환자안전에 대한 지각된 통제행위, 환자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 환자안전관리활동 의도를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례기반의 환자안전역량 강화프로그램이 향후 간호대학생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핵심어 : 사례기반학습, 표준화 환자, 환자안전, 환자안전역량, 간호대학생 Development and effects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Ga Ya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Jin Lee, RN., Ph.D.)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Branch, 2009), an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based on Ajzen's (1991)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 nursing students from G University in Province G and 30 nursing students from D University in Province C.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n 4-week interven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a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through a web-based education platform for 100 minutes once a week for 4 week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for 4 week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rveyed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ended, and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knowledge of patient safety, skills of patient safety, attitude of patient safety, subjective norm of patient safety, perceived behavior control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ing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t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Win Statistics 25.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f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In addition, to test the normality of each variable,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homogeneity test for the prior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Mauchly's test of sphericity was performed and then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ccording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point and group was also confirmed. For further testing, the pre- and post-measurement values, pre- and post-post measurement values, and post- and post-post measurement valu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using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patient safety competenc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knowledge of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point was significant supporting the first hypothesis (F=204.52,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ment time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knowledge of patient safety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4.63, p&lt;.001) and post-post(t=-1.00 p&lt;.001) compared to pre-,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1.00, p=.317).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patient safety skill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skills of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points was significant, supporting the second hypothesis (F=131.47,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time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patient safety skills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4.70, p&lt;.001) and post-post(t=-11.59, p&lt;.001) compared to pre-,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1.34, p=.180).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attitude scores toward patient safe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points was significant, supporting the third hypothesis (F=22.07,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ng between measurement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3.47, p&lt;.001) and post-post(t=-3.71, p&lt;.001) compared to pre-,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0.35, p=.726).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subjective norm scores for patient safe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norms of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points was significant, and the fourth hypothesis was supported(F=31.57,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time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subjective norm for patient safety increased pre-, post-, and post-post,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4.63, p&lt;.001) and post-post(t=-4.63, p&lt;.001),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2.12, p=.034). 5. The Fifth-1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perceived control behavior scores for patient safe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ifference in perceived control behavior for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points was significant, and hypothesis 5-1 was supported(F=77.26,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ng between measurement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erceived control behavior of patient saf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4.67, p&lt;.001) and post-post(t=-8.83, p&lt;.001) compared to pre-,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1.00, p=.317). The Fifth-2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higher performance confidence scores for patient safe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time point was significant, and hypothesis 5-2 was supported(F=52.48,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ment time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performance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4.30, p&lt;.001) and post-post(t=-7.19, p&lt;.001) compared to pre-test,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1.73, p=.083). 6. The Six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will have a higher intention scor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inten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ime points was significant, and the sixth hypothesis was supported (F=40.79, p&lt;.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ment time points to identify changes over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inten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creased from pre- to post- and post-po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ost-(t=-4.25, p&lt;.001) and post-post(t=-4.27, p&lt;.001) compared to the pre-test, and the effect continued significantly in the post-post(t=—1.00, p=.317) compared to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patient safety, skills of patient safety, attitude of patient safety, subjective norm of toward patient safety, perceived behavior control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ing patient safety, and inten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us, it is suggested that in future this program case-based patient safet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can be expanded and applied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Keywords : Case-based learning, Standardized Patient,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competency, Nursing student

      •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채우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논문은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안전간호활동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4일부터 12월 7일까지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급 이상 9개 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88명을 편의표집 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역량은 Lee(2012)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안전간호활동의 정도는 이금옥(2009)이 개발하고 이유정(2011)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93±.43점으로 중상 정도의 수준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태도 영역 4.22±.44점, 기술 영역 3.83±.49점, 지식 영역 3.49±.67점이었다. 대상자의 안전간호활동 정도는 5점 만점에 평점 4.07±.51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안전간호활동의 하위영역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영역은 환자확인 영역(4.20±.52점)이었고, 가장 점수가 낮은 영역은 안전한 환경 영역(3.50±.86점)이었다.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환자안전에 관한 교육 이수 여부, 환자안전 관련 활동에의 참여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간호활동 정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 역시 환자안전에 관한 교육 이수 여부, 환자안전 관련 활동에의 참여 여부였다.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812, p<.001)를 보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이 높을수록 안전간호활동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설명하는 요인은 환자안전역량 태도, 지식, 기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모델에 포함된 변수는 응급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총 66.6%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74.282,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환자안전역량 중 지식 영역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므로, 간호사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세부 주제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관 치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안전간호활동 중 안전한 환경 영역의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보아 환자안전을 위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데에 더욱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환자안전에 관한 교육 이수 및 환자안전과 관련된 활동에의 참여가 환자안전역량 및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교육을 이수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환자안전역량을 함양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의 정도와 관계, 그리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응급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Patient safety is emphasized every day in nursing practice. Because the emergency room is a place where patient safety is in high-stakes, it is an important task of emergency nurses to reduce errors and improve patient safe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188 emergency nurses in 9 hospitals over 2 months.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ed instruments that measured nurse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the safety nursing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was mid-high grade, with a mean score of 3.98±.43 out of 5. Particularly, the attitude domain was the highest, at 4.21±.44, and the knowledge domain was the lowest, at 3.49±.67. The score of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 at 4.07±.52 out of 5 points. In particular, the score of sub-category, "patient identification" was the highest, at 4.20±.52, followed by infection prevention (4.19±.57) and fall prevention (4.17±.65). Emergency nurses who participated in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activities showed high scores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Participa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positive correlated (r=.812, p<.001).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the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of the patient safety, and those factors explained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66.6% (F=74.282, p<.001). DISCUSSION: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mergency nurses' safety nursing activitie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patient safety competency. Thus, institutional efforts of implementing continuous and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s to advance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reinforcing emergency nurses'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