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교육교재 개발 연구 : 자연환경 영상 및 사진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전수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환경교육의 동향을 보면 지식과 기능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에서 가치관과 태도의 변화의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환경교육의 목적이 환경을 보호하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책임 있는 환경행동을 하는 시민의 양성에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야외·체험 학습프로그램의 개발이나 환경감수성을 측정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감수성을 개발하는 교재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에 대한 아름다움을 인식하는 것이 환경감수성을 함양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출발점으로 하여,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영상자료 활용을 통하여 환경감수성을 함양하는 교재의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기 위해 환경교육 관련서적과 학위논문, 환경교육학회지, 연구논문 등에서 환경교육의 성격, 목적, 목표, 환경교육에서의 환경감수성의 의의, 영상자료를 활용한 환경교육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미학관련 서적, 연구논문 등을 통하여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의 의의와 인간의 미적 태도, 환경미학의 성격, 환경교육에서의 환경미학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에서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을 활용한 환경감수성 함양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그 요소들을 고려하여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영상자료를 활용한 환경교육 교재를 구성하여 경기도 안양시에 있는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차시에 걸쳐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적용해보고 개발된 교재의 타당성과 효율적 적용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교육에서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환경감수성의 함양방안을 모색하여 적용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환경교육교재 내용의 확장을 기하였고,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구체화하기 위한 요소로 자연환경의 미학적 요소가 담긴 영상자료를 소재로 활용,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의 함양, 통합성의 고려, 토론활동을 통한 자기 환경화의 지향 등의 요소를 추출하였다. 연구 주제와 관련한 교재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교재 구성 및 내용 면에서는 통합성의 원칙이 고려되었고 수업활동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난 부분은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자연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형성, 자연환경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의 고취, 환경감수성의 함양, 지역 사회와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대한 애착심, 발표 및 토론활동을 통한 자기 환경화의 지향, 환경친화적인 의사결정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는 자연환경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구체화하기 위해 추구해야 할 요소들에 비교적 잘 접근되어 환경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교재로 생각된다. The current tren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marked with the transition from education with emphasis on knowledge and applicable skills to that with the emphasis on promoting positive changes in people's points of view and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foster the growth of environmentally educated and responsible citizens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ere are numerous ongoing developments of outdoor/field learning experience programs for building people'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lenty of research on methods of measuring it. However, insufficient amount of work has been put into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to promot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the idea that recognizing the beau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would help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has bee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ing multimedia and visual images of the beautiful nature to promote environmental sensitivity. I have looked into various book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dissertations, articles 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research paper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ground on the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s,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using multimedia materi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 have also studied the significance of nature's beauty, human's aesthetic attitude,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aesthetics in environment education through the related books and research theses. From such works, I have extracted the elements needed to materialize the plan of using nature's beauty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With these elements under consideration, I have organized instructional materials using multimedia data about nature's beauty, and have applied them to teaching some middle school 1st graders in An-yang-Si, Kyung-gi-do during their extracurricular activity period. While conducting this application three times, I have explored the validity and the effective use of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the improved recognition of the nature's beauty, the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e inspiration of interest and curiosity toward the environment,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inspiration of devotion toward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our country's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one's own view of the environment through discussions, the tendency to make environmental-friendly decisions and more. Judging from such results,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research have approached the elements we have to pursue to materialize the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refore, I think them suitable for practical uses in classes.

      •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

        천행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omplementary aspects of mor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use of moral education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help develop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how moral emotions and moral judgments relate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most studies are focused on what factors affect environmental sensitivit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data of 150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the SPSS 28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of the study subjects. Seco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ccording to gender, and the ANOVA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gra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cheffe post-test.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emotions, moral judg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as a dependent variable to find out the effect of each area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o find out the variables with decisive explanatory power among the sub-factors of each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sensitivity, moral emotion, and moral judgme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ral learning methods and tools that have been studied to cultivate moral emotions and moral judgment can be used as a metho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judgment, but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emo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which are sub-areas of moral emotions, have a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than negative emotions and have a high explanatory power. Considering this, it was foun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by including elements such as empathy and sympathy, which are positive emotions,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nd tools to stimulate human shame and guilt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rd,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between moral emotions and sub-elements of moral judgment tha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environmental sensitivi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reas where the averag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low.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ccurred in empathy, which is a sub-factor of moral emotion, rule independence, and univers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moral judg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ols, and programs that can compensate for low-level sub-factors considering gender will help reduce th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environmental moral sensitivity. However, in previous studie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emo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elements in the cognitive domain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re was a study tha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behavior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ad a correlation, but there was no empirical proo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and sub-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of relying only on literature research that environmental sensitivity would be related to moral emotion and moral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can help develop research on emotional, emotional, cognitive, and judg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by clarifying the clear correlation between emotion, judgment, and sub-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sensitivity. Furthermore, by specifically sugges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it suggested moral emotions representing emotions and emotions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representing cognition and judg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의 간의 상관에 대한 것이다.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판단력이 환경감수성에 대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혀 도덕교육과 환경교육의 상호 보완적인 측면과 도덕적 감수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도덕교육방법론을 환경교육에 활용하는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이 환경감수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으며, 대다수의 연구가 어떤 요소가 환경감수성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집중돼 있어,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초등학교 남녀 학생 150명의 자료는 SPSS 2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 환경감수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학년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검정을 실시한 후 Scheffe 사후검정 결과로 학년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환경감수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영역 하위 요인 중 결정적인 설명력을 갖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환경감수성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감수성과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이에 도덕적 감정, 도덕적 판단력을 배양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다양한 도덕과의 학습법과 도구들이 환경감수성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환경감수성은 도덕적 판단력과도 정적 상관관계를 갖지만, 도덕적 감정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특히 도덕적 감정의 하위 영역인 긍정적 감정이 부정적 감정보다 더 강하게 환경감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 점을 고려해 환경감수성을 기르기 위해 환경 파괴로 인한 인간의 수치심, 죄책감을 자극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 도구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인 공감과 동정 같은 요소를 포함시켜 교수학습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 보다 환경감수성을 기르는 데는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환경감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요소 간의 성별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환경감수성의 평균이 낮은 영역에 대해 남녀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해 환경감수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도덕적 감정의 하위 요인인 공감, 도덕적 판단력의 하위 요인인 규칙독립성, 보편성에서 남녀 학생간의 차이가 발생했다. 따라서 성별을 고려해 낮은 수치를 보이는 하위 요인을 보완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 도구,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남녀 학생간의 환경감수성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교육 분야에서 환경감수성과 환경책임행동, 환경도덕민감성 등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에 있어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환경감수성과 갖는 관계, 또 인지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판단력의 요소들과 환경감수성이 갖는 관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환경책임행동과 환경감수성의 관계가 상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가 있었지만 환경감수성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감정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 및 그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입증 연구는 부재하였다. 그리고 환경감수성이 도덕적 정서, 도덕적 인지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하는 문헌적 연구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감수성과 관련한 감정, 판단력과 그 구성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간의 분명한 상관관계를 밝혀 환경교육에 있어 감정, 정서적인 측면의 연구와 인지, 판단력 측면의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연구대상,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한계를 구체적으로 제언함으로써 향후 환경감수성 배양을 위한 감정과 정서를 대표하는 도덕적 감정, 인지와 판단력을 대표하는 도덕적 판단력 및 그 하위 요인들과 환경감수성의 관계를 보다 분명하게 탐색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 드로잉 활용 생태환경 웹툰제작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최진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paper aimed to learn how to use the digital drawing program through the ecological environment webtoon production project program using digital drawing to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to produce visual content called webtoons.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was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from the inside and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these activities. Art has generally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hange in ar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innovative and scientific. In particular, digital drawing has become a new art tool that attracts attention in various fields due to its many irreplaceable advantages, and is also suitable for use as an art teaching tool in school classes aimed at digital transformation. Accordingly, this paper sought to cultivate students' ability to use digital drawing programs through an ecological environment webtoon production program using digital drawing and to utilize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imed 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the theme of webtoon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 theoretical background, utiliz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drawing, an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using digital drawing and the necessity of an ecological environment webtoon production project program to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dition, 10 typ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revised in 2015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incumbent art teacher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webtoon production expression classes due to difficulties in teachers' access to classes and lack of class hours, even though smart devices became common as a teaching too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this study was needed to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ability to use digital drawing tools to respond to the media era, and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rough webtoon production.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d in Chapter 2 and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 ecological environment webtoon production project program using digital drawing to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to derive results. This program organized classes based on six-stage project learning methods, and each program efficiently conducted classes by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response-oriented learning methods, direct teaching method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s, and discussion and discussion methods. In addition, video data to elicit responses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activity papers that can organize students' thoughts and pla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eachers' direct digital drawing demonstration for program learning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class. Chapter 4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lass application and survey to deriv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webtoon production class using digital drawing to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uggested ways to revitalize it.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served through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cognize sustainable environmental protection methods. Second, the ability to think about the story according to the topic has improved. Third, the ability to use digital drawing tools has improved. Fourth, creativity and convergence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the production of webtoon-type works. In this way, it was found that learners were able to create webtoons under the them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using digital drawing and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these production activities. This paper suggested three ways to further revitalize this program with educational effects in the school field: first, strengthening cartoon directing and storytelling guidance, seco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use various digital drawing tools, and third, strengthening copyright awareness and ethical awareness. This program is meaningful as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at not only allows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convergent attitudes suitable for the future era by cultivat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digital drawing, but also allows students to recognize the world's relationship based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본 논문은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 드로잉 활용 생태환경 웹툰 제작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드로잉 프로그램의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웹툰이라는 시각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생태환경에 대한 가치를 내면으로부터 이해하고 환경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미술은 대체로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해 왔으며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의 미술의 변화는 혁신적이고 과학적이다. 특히 디지털 드로잉은 대체할 수 없는 장점들이 많아서 각종 분야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미술도구로 자리 잡았으며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하는 학교 수업에서 미술 교구로 사용되기에도 적합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드로잉을 활용한 생태환경 웹툰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드로잉 프로그램 활용 능력을 함양하고 더불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생태환경의 중요성’을 웹툰의 주제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디지털 드로잉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활용 방법 및 특징, 그리고 디지털 드로잉 활용의 미술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 드로잉 활용 생태환경 웹툰 제작 프로젝트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학교 현장의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분석하고 현직 미술 교사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가 학교의 교구로 보편화됨으로써 디지털 드로잉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수업 접근의 어려움, 수업 시수의 부족 등을 이유로 웹툰 제작 표현 수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태전환교육에서의 핵심 역량인 환경감수성, 미디어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드로잉 도구 활용 능력, 웹툰 제작을 통한 창의·융합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석한 이론적 배경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 드로잉 활용 생태환경 웹툰 제작 프로젝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했다. 본 프로그램은 6단계 프로젝트 학습법을 기반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각 프로그램은 반응중심 학습법, 직접 교수법, 창의적 문제 해결법, 토의·토론법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연계하여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했다. 그리고 생태환경에 대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영상자료와 학생들의 생각을 정리하여 제작 과정을 계획할 수 있는 활동지, 프로그램 학습을 위한 교사의 직접적인 디지털 드로잉 시범을 통해 수업의 이해도를 높였다. 4장에서는 수업 적용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 드로잉 활용 생태환경 웹툰 제작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보호 방법을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주제에 맞는 스토리 구상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디지털 드로잉 툴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웹툰 형식의 작품 제작을 통해 창의·융합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학습자들은 디지털 드로잉을 활용하여 생태환경을 주제로 웹툰을 제작하고 이러한 제작 활동을 통해 환경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본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서 더욱 활성화하려는 방안으로 첫째, 만화적 연출 및 스토리 작법 지도법 강화, 둘째, 다양한 디지털 드로잉 툴 활용 기회 제공, 셋째, 저작권 인식 및 윤리 의식 강화의 세 가지를 제시했다. 본 프로그램은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디지털 드로잉 이해 및 활용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미래 시대에 부합하는 창의·융합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뿐 아니라 생태환경 웹툰 제작을 통해 학생들이 환경감수성을 바탕으로 나와 세계의 관계를 인지하고 환경 우선적인 태도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전환교육으로써 의의가 있다.

      • 환경동화의 결말 분위기가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과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 동화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최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ood of the end of environmental fairy ta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that can enhanc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in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study, 102 students who are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l located in Seocho-gu, Seoul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and after the preliminary test with the inventory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it allowed one experimental group to read 8 environmental fairy tales with a positive ending mood and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to read 8 environmental fairy tales with a negative ending mood for about three weeks, respectively, and then the post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The mood in the end of environmental fairy tales was classified into a positive ending mood and a negative ending mood depending on how students feel after reading the contents of the ending. Environmental fairy tales that create a positive ending mood end with contents such as the overcom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living together with people and nature(animals and plants), which makes readers feel positive emotions such as satisfaction, hopefulness, and happiness. Environmental fairy tales that create a negative ending mood end with contents like that nature is destroyed, or characters become unhappy due to human greed, making it possible for readers to feel negative feelings such as angry, hopeless, and depress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y and post-test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First of all, environmental fairy tales that create a positive ending mood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overall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sensibility by categor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the environmental fairy tales with a positive ending mood influenced the overall environmental attitude and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ach area in a more favorabl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ach subject, the environmental fairy tales with a positive ending mood were more effective in the gene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energy, and water resources, and those with a negative ending mood were more effective in the recycl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imal protection-related topics, meaning that the mood of the end of fairy tales did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animal protection. In conclusion, the mood of the end of environmental fairy tales had an influence on the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inclusion of proper environmental rea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learning theme or target within or outside the environment-related classroom will likely enhance students’ environmental sensibility and environmental attitude in a positive direction, and if students continue to do activities about reading environmental books, it is thought to ultimately increase students’ practical orient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동화의 결말 분위기가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과 환경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자료의 선정과 환경 교육 방법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I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명을 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환경감수성 및 환경태도 검사지로 사전 검사를 한 후, 한 실험집단에는 긍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를, 다른 실험집단에는 부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를 각 8편씩 약 3주 동안 읽게 한 후 사후 검사를 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환경동화의 결말 분위기는 학생들이 결말 내용을 읽고 어떤 기분이나 감정이 드는지에 따라 긍정적 결말 분위기와 부정적 결말 분위기로 구분 지었다. 긍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는 환경문제의 극복, 사람과 자연(동식물)이 공생하며 살아가는 등의 내용으로 마무리되며, 이를 읽고 만족스러움, 희망적임, 행복함과 같은 긍정정서를 느낄 수 있다. 부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는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자연이 파괴되거나 등장인물이 불행해지는 등의 내용으로 마무리되며, 이를 읽고 화남, 절망적임, 우울함과 같은 부정정서를 느낄 수 있다. 연구 결과, 두 실험집단 간의 사후검사 분석 결과, 환경감수성과 환경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긍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가 환경감수성 전체와 범주별 환경감수성 신장에 더 효과가 있었다. 환경태도를 살펴보면, 긍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가 환경태도 전체와 영역별 환경태도의 변화에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주제별 환경태도에서는 환경일반, 환경오염, 에너지, 수자원에서는 긍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가, 재활용에서는 부정적 결말 분위기의 환경동화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보호 주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동물보호 태도 형성에 있어서 동화의 결말 분위기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동화의 결말 분위기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환경 관련 수업내외에서 학습 주제나 목표에 따라 적절한 환경 독서 자료를 투입하면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일상에서도 환경 독서 활동을 꾸준히 한다면,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실천적 성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특활반 운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우석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Environmental education has so far dealt mainly with cognitive areas. The ultimat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or ecological education is not limited to knowledge but to induce environment·friendly behaviors. To achieve the goal, students need to have new perception on nature and the environment. They should see the environment not as a physical being but as a living organism, and see it not with their eye but with their mind. The present study examined environmental sensitivity, which is an affective area that bases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s. Many of previous researches on the environment attempted to induce environmental behaviors by making children have more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but contrary to the existing approaches, it has been found that activities cultivating sensi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behaviors. Thus, in order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program designed to be executed for 2 years (3 semesters), and applied it to an environmental extracurricular activity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nvironmental sensitivity can be summarized into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aesthetic understanding-appreciation-expression abilitie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is an ability to consider and understand others’ situation or position first, and aesthetic understanding-appreciation-expression abilities are abilities to feel beauties and express the feelings in a sensible way. In order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we designed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for 2 years (3 semesters). The theme of the 1st semester program is plant. The program was designed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in natural environment through showing animations related to trees, and the ‘My Tree’ project was linked to programs ‘Adopting a Tree’ and ‘Talking with Trees’. In addition, plant map making is an activity to examine plants, aiming at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theme of the 2nd semester program is animal.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make children familiar with and interested in animals by showing movies related to animals and to cultivate sensitivity through animal-related song singing and making activities. The 3rd semeser program was designed to lead children to come closer to the natural environment using soil easily found around us, and to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drawing characters of sunlight, air, water, etc., making environmental newspapers,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doing the 1st semester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students began to perceive plants, which had not been significantly meaningful to them. They came to watch trees and flowers with interest, and showed keener curiosity about trees, flowers and wild plants that they had failed to recognize before. As a result, plants, which had looked unremarkable, gradually emerged as meaningful objects. Second, in the 2nd semester program related to animals, students began to attach meanings to living organisms. They felt with their mind and saw with their eye that plants and animals are not separated from them but are living together with them in the same space and time. They showed interest in ants that they found on their way home, and were excited with animals and insects, to which the children had not paid attention before. They came to feel interest in the world out of their understanding that the world is beautiful because all in the world have life. Third, with the 3rd semester activities, when the children were asked about what they had seen and felt on their way to school, they began to make expressions not only on plants and animals but also on their surprise at bright sunshine in the morning, their thanks to clean air, their interest in the changing shape of clouds in the sky, etc.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led learners to see nature as a life and view and understand it with their mind. In addition, i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find the beauties of th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ducation in the environment, by the environment and for the environment should cultivate environmental sensitivity, which is an ability to find changing beauties in the environment itself and share such feelings. 지금까지의 환경교육은 주로 인지적 영역을 다루어 왔다. 환경교육 혹은 생태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연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환경을 물리적인 존재가 아닌 유기적인 생명체로 보고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게 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책임있는 환경행동을 위한 바탕을 이루는 정의적 영역인 환경감수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을 많이 알게 함으로써 환경행동으로 나아가도록 하였는데, 그러한 의도와는 대조적으로 감수성을 함양하는 활동들이 환경행동을 하는 데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해 2년 동안 3개 학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특활반에 이 프로그램들을 적용하였다. 여러 연구를 통해서 환경감수성은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심미적인 이해?감상?표현능력으로 정리될 수 있었다. 감정조망수용능력은 타인의 처지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해 보고 이해하는 역지사지의 능력이며, 심미적인 이해?·상·표현능력은 아름다운 것을 느끼고, 그 느낌을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러한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2년(3개 학기)에 걸쳐 운영할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1학기 프로그램의 주제는 식물로서, 나무와 관련된 에니메이션 감상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하였고, 내 나무 정하기에서는 나무 입양하기, 나무와 대화하기의 프로그램으로 연결시켰다. 그리고 식물 지도 만들기를 통해 학생들이 식물을 관찰하는 활동으로 환경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2학기 프로그램의 주제는 동물이며, 동물과 관련된 영화 감상으로 동물에 대한 친근감과 관심을 가지게 하였고, 동물과 관련된 노래 및 만들기 활동을 통해서 감수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3학기 프로그램은 주위에서 쉽게 접하는 흙을 통하여 자연 환경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자연과 관련된 빛, 공기, 물 캐릭터 그리기, 환경신문 만들기 활동 등으로 환경감수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관련지은 첫 번째 학기 활동을 하면서 학생들이 평소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식물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등교할 때 학생들이 나무와 꽃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쳐다보게 되었으며, 예전에는 알아채지 못했던 나무, 꽃, 들풀들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며, 학생들에게 평범해 보였던 식물들이 점차 의미를 지닌 주체로서 부각되었다. 둘째, 두 번째 학기에 동물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생물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식물과 동물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공간과 같은 시간 속에서 같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마음으로 느끼면서 눈으로 보기 시작하였다. 학교에서 집으로 갈 때 지나가는 개미를 보고 관심을 가진다거나, 평소에 관심이 없었던 동물과 곤충들을 보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상이 아름다운 것은 이 세상 모든 것들이 살아있는 생명을 지녔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세번째 학기의 활동을 하면서부터는 등교하면서 보고 느낀 것을 물어보았을 때 친구들의 옷이나 아침에 봉사활동을 하는 아이들의 달라진 모습을 표현하던 예전과는 달리 점점 식물과 동물과 관련된 표현은 물론, 아침의 맑은 햇살을 신기해하고 맑은 공기를 고마워하며 하늘의 구름이 변화하는 모습에 관심을 가지고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연을 생명으로 보고 나의 감정처럼 조망해 보면서 자연을 이해해나가도록 하였다. 또한 환경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마음을 가지도록 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환경 속에서 환경에 의한, 환경을 위한 교육은 그 자체에서 변화하는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인 환경감수성이 계발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심미감과 정서 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동정과 연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보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강원도 K군에 소재한 두 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4명으로 실험집단은 유아 12명(남아: 7명, 여아: 5명)이며, 통제집단은 유아 12명(남아: 6명, 여아: 6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을 경험하였으며, 실험 처치는 2023년 3월 22일부터 2023년 6월 13일까지 총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환경 감수성 검사’와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경 감수성 검사는 강영식(2012)의 유아용 환경 감수성 검사 도구를 김은정(2013)이 수정·보완한 것으로 본 연구자가 일부 수정·보완한 도구이다.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는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 검사를 허윤정(2001)이 수정․번안한 검사 도구이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뺀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 감수성에는 차이가 있었다(p<.05). 즉,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은 민감성(p<.05), 심미감 및 정서 안정(p<.05), 동정과 연민(p<.05)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는 차이가 있었다(p<.05). 즉,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정과 연계한 환경기념일 중심의 환경 교육활동은 자연 친화적 태도(p<.05), 환경 보전 태도(p<.05)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이가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환경감수성과 생태그림책의 관련성은 무엇인가? 둘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셋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은 환경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첫 번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그림책은 시각적 교육 자료로써 아동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므로 정의적 영역의 교육에 알맞은 자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생태그림책은 야외체험식 환경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 자연에 대한 생생한 간접 경험을 제공하며, 생태그림책을 읽으며 환경에 감정이입 되고 정서적으로 관계를 맺게 된다. 따라서 환경에 감정이입 되어 환경에 대한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느끼는 능력인 환경감수성을 기르는 데 생태그림책은 효과적인 자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 환경수업을 구안하기 위해 환경부가 발표한 ‘2014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 개발 연구’를 분석하여 환경 교육 목표와 내용 체계를 확인하였다. 9개의 내용영역에 맞는 9회기의 수업을 구안하였으며, 총 56권의 생태그림책 목록을 작성한 후 현직 교사들과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9회기 동안 활용할 17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또한 황정현 외 9명(2004)이 편찬한 ‘국어교육과 교육연극 방법과 실제’를 참고하여 교육연극 활동을 선정하였으며, 그 중 오판진이 제안한 ‘교육연극을 적용한 동화 교수-학습 절차’를 환경수업에 맞게 수정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렇게 구안 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을 서울시 용산구에 있는 C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각 회기별 2차시씩 총 9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이 학급은 남학생 10명, 여학생 11명, 총 21명이며, 맞벌이 가정이 대부분으로 평소 자연을 접할 기회가 많이 없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정량적인 자료로서 이현민(2010)이 개발한 환경감수성 검사지를 수정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으며,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종속표본 t검증’을 시행하였다. 정성적인 자료로는 참여자 소감문 및 활동지, 연구자의 관찰일지, 사후 서술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환경감수성 반응을 살폈다.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을 한 뒤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은 환경감수성 전체(p < 0.001)와 세부영역인 환경수용(p < 0.01), 기대감(p < 0.001), 거부감(p < 0.01), 분노(p < 0.001)의 모든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둘째, 환경감수성의 성장은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으로 이어진다. 이는 연구 대상의 소감문과 사후 서술형 설문지, 연구자의 관찰일지에서도 드러나며, 환경감수성 영역 중 환경에 앞으로 기여하겠다는 마음인 ‘기대감’ 영역이 가장 많이 향상됨에서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감수성 성장만을 목표로 하는 수업활동 설계가 아닌 환경 교육 목표를 고르게 달성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환경수업에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이라는 수업 방법적 측면을 달리하여 이것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 환경수업을 하였을 때 이러한 수업 방법은 환경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으로까지 발전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이 연구에서 구안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연극 활동은 환경부가 제시한 모든 환경 교육 내용 영역과 목표를 다루고 있으므로 학년 교육과정 내용과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한다면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 忠南大學校 校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연령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에 참여한 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집단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또한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 참여 전과 후의 식습관과 환경감수성에 연령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충청남도 K군에 위치한 J어린이집 만 1,2세 14명, 만 3세 15명, 만 4세 15명, 만 5세 18명 총 6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같은 지역의 O어린이집 만 1,2세 14명, 만 3세 12명, 만 4세 16명, 만 5세 18명 총 6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고, 실험처치는 2012년 4월부터 11월까지 텃밭 가꾸기 총 16회, 산책 활동 총 15회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식습관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김두례(2001)의 식습관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환경감수성 측정을 위해서는 강영식, 김용숙(2012)의 연구에서 사용된 환경감수성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은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 유아의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 참여 전과 후의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 측정도구의 일치하는 항목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초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과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별로 분석한 것으로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을 실시한 만 1,2세의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식사 위생과 식사 행동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만 3세와 만 4세는 식사 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만 5세는 식사 행동과 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식사 행동에서는 전 연령에서 효과가 있었고, 높은 연령의 유아에게는 편식습관 개선에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감수성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값 차이가 크질 않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의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 참여 전과 후의 식습관과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차이점을 비교한 것으로 활동을 실시한 이후, 모든 연령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과 환경감수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특히 만 5세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다른 연령의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연령의 유아에게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의 변화를 위해 유아교육 기관에서 지속적인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길고양이 체험 험이 성인의 환경감수성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박은수 삼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길고양이(feral cat) 체험 경험이 환경감수성 및 인간의 정서(자존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413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얻었으며, 모아진 자료는 t-test와 Pearson 상관관계, 분산분석을 실행하여 각 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길고양이 체험 경험 여부와 더불어 길고양이 인식도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여 길고양이 인식도의 점수를 수집하고, 환경감수성과 자존감, 우울감의 척도를 통해 각 요인의 점수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길고양이 인식도가 높은 사람이 길고양이 인식도가 낮은 사람보다 환경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고양이 체험 경험이 인간의 불안정한 정서와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외의 연령, 거주 지역, 성별, 반려동물 양육 경험 여부, 길고양이 케어테이커(caretaker) 경험 여부가 환경감수성, 길고양이 인식도, 정서(자존감, 우울감)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대의 길고양이 인식도와 우울감이 가장 높았으며, 30대의 환경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거주지역에 따른 환경감수성, 길고양이 인식도, 정서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길고양이 인식도, 환경감수성, 우울감을 나타냈다. 반려동물 양육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높은 길고양이 인식도를 나타냈다. 길고양이 돌봄 경험 여부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높은 길고양이 인식도와 환경감수성을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 길고양이를 정의하고 환경생태학적인 관점에서 길고양이 돌봄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며, 길고양이를 주체적으로 돌보는 케어테이커의 개념을 정립하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통해 사회가 전반적으로 윤택해질 수 있게 제언하는 점과 제도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에 연구 의의가 있다.

      • 중등미술교육에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조명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오늘날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인류공동체로 일컬어지는 지구촌 세계 속에서 환경의 인식변화와 특성을 살펴보고, 미술교육적 대응으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을 제시하였다. 환경은 미술영감의 원천이며, 무한한 창조적 잠재력을 지닌다. 미술은 환경과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기 때문에 미술수업은 환경감수성을 함양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현된 미술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의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고,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통찰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연구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6년 현재 충청북도 청원에 위치한 미호 중학교 2학년 2개 반 각 35명을 대상으로 수업설계 및 지도가 이루어졌다.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환경감수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시사점을 찾고, 중학교 미술교육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틀을 마련하고, 현행 미술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해 미술교육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고,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별로 수업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중등미술교육에서 환경감수성의 함양을 구체화하기 위해 추구해야 할 요소로 자연과 조형의 아름다움, 자연미와 조형미의 조화, 환경보존, 환경문제, 환경과 생명의 소중함, 환경에 대한 감정이입, 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환경감수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해본 결과, 미적체험 영역은 수업 시수에 대한 한계로 인하여 교과서를 단순히 눈으로만 보고 지나갈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각 학년마다 제시하는 내용이 비슷하여 차별성이 없었다. 표현영역에서는 주로 자연과 조형의 아름다움만이 표현의 주제나 소재가 되어 환경감수성을 함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감상영역에서는 환경감수성과 관련한 작품이 특히 부족했으며, 교과서에 있는 대부분의 작품이 대지미술이고 환경을 창조적으로 응용은 했으나 단순히 재료적 측면과 미술의 영역을 넓히는 활동에 그쳤다. 또한 몇몇 작품은 환경에 직접적인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등 미술교육에서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기위해 추구해야 할 요소를 각 미적체험, 표현, 감상 영역별로 지도안 및 구상카드, 발상카드, 학습보조 자료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제 수업에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협동적인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지도를 통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을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면서 환경과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환경친화적 태도를 형성하고 환경 보존의식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감수성의 핵심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며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의식에 있다. 보고, 만지고, 듣고, 느낄 수 있는 체험과 현장교육을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창의적인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후속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