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 남대천을 중심으로

        남은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Gangneung Namdaecheon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s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liv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in the geography subject. In this study,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as us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eeds in geography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produced Jamboard worksheets using graphic organizer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instructors, and colleg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8.0. Also, environmental sensitivity show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were categorized using Atlas.ti 22.0 and visualized with network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an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studies and volunteer activities. In particular, when asked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s with environmental activities,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had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activities. However, thi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ractice of conservation behaviors.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students wanted was outdoor survey activitie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post-test improved compared to pre-test in all seve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such as sense of places, environmental skills, interest in ecosystems, awareness of water quality,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revealed that themes which were relavant to students’s affective domains emerged. Third, it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that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centered on urban r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long-term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of Namdaecheon River in Gangneung cultivated students’ competenies and career exploration. Instructors witnessed changes in the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lso, college student mentors who guid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improved their capabilities as pre-service teachers. Fourth, the Gangneung Namdaecheon River Care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in all areas of Namdaecheon understanding, various activity, interest, and futhrer study.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mprov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Namdaecheon Ri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ecosystem in the Namdaecheon River and mapp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conducted long-term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urban rivers, and presented educational materi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ccordingly, this study adopted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to gain a rich, detailed,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 specific context and phenomenon as the students dived into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 large group of students. Furthermore, expanding empirical research acros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To meet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Geographic Competencies requirements, it's crucial to incorporate activities that foster geographic information literacy, enhance spatial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promote global citizenship. Such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geography education. 본 연구는 강릉 남대천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리 교과에서 고등학생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과 더불어 참여 고등학생들이 거주하는 강릉지역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 환경 감수성,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잼보드 워크시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지도교사, 대학생 멘토들의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수집한 양적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문항별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인 인터뷰, 잼보드 워크시트, 스토리맵스 결과물에 나타난 환경 감수성 내용은 Atlas.ti 22.0을 활용하여 범주화하고 네트워크 뷰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에서 참여 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과 교육과정과 봉사활동과 같은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이전의 환경 관련 활동 경험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환경 관련 활동 전보다 환경 활동 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환경보전 행동의 실천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 고등학생의 과반수는 지리 교과에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바라는 환경지리교육의 교수학습방안은 야외조사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은 7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환경기능, 생물에 대한 흥미, 수질에 대한 인식, 환경보전의식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 중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은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잼보드 워크시트와 스토리맵스 결과물에서 관련 내용이 추출되었다. 셋째, 인터뷰를 통해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강릉 남대천 학습경험은 참여 고등학생에게 환경 감수성을 포함한 환경 소양을 함양시켰고 자기 역량과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도교사는 학생들의 환경 인식변화를 체감하였고, 고등학생을 지도했던 대학생 멘토들의 환경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예비교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 각 활동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 앞으로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참여 고등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고 특히, 남대천에서의 생태계 관찰 경험과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도화 학습에서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지리 과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한 장기간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인 남대천 리버케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든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자료를 함께 수집 및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 연구참여자의 다양성과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과 핵심역량인 지리 정보 리터러시, 공간적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력, 글로컬 시민역량을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예비 지리교원의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리교육에서의 환경 감수성과 관련된 다양한 실증적인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환경정의감 함양을 위한 지리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태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43

        오늘날 전 세계에서는 전 지구적 환경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경 문제가 발생하면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피해를 입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문제로 인한 피해는 국가적, 지역적 스케일에서 다르게 나타나며, 성별, 소득별, 세대별, 계층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환경정의’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등장하였다. 환경 개발을 통해 얻은 편익과 그와 함께 발생한 환경 문제의 사회적 부담이 공정하게 분배되지 않은 측면을 지적하였다. 기존의 지리학이 사회정의(social justice)와 공간적 정의(spatial justice)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지리학에서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또한 지리교육 분야에서도 환경정의에 관한 논의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좀 더 미시적으로 현행 교실 수업에서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교과서와 교육과정 등에서 환경정의적 관점을 찾아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정의에 대한 논의를 지리교육에 적합하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환경정의론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학교 지리 수준에서 환경정의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교과서, 교육과정 서술 그리고 환경정의감 함양을 위한 지리 수업 설계에 주목하였다. 먼저, Wenz의 동심원적 환경정의론을 고찰하였다. Wenz의 동심원적 환경정의론의 지리교육적 함의는 방법론적 차원에서 원칙을 세워 판단할 수 있는 절차,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지리 수업 설계 측면에서 의의가 있었다. 경합되는 가치들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그러한 결정을 하게 된 근거를 마련하여 주장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한다면 정의감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Wenz의 논의는 기본적으로 분배적 정의의 차원에 놓여 있어, 학교 지리 수준에서 재구성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물권과 비인간 동물권 즉, 환경적 차원에서 논의를 전개한 것은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지리학 모학문 분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환경정의 인식에 대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환경정의는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환경 문제에 대한 국가 간의 관계, 책임, 피해의 양상을 서술하고 있어, 환경정의에 대한 인식은 이미 내재되어 있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3학년 교과서에서 이러한 서술이 가장 잘 드러났다. 그러나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는 고등학교 사회에서 일부 드러났으나, 전자만큼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없었다. 이와 함께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지리 영역은 전부 선택 과목으로 위상이 내려갔기 때문에, 중학교 사회 영역이 아니면 환경정의에 대한 인식을 모든 학생이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환경정의감 함양을 위한 지리 수업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수업 설계에서는 전 지구적인 환경 문제인 지구 온난화를 주제로 하여, 투발루를 소재로 삼았으며, 도덕적 딜레마를 만드는 단계를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수업 단계는 ‘문제 인식 - 원인 및 책임 소재 파악 - 내면화 단계 - 해결책 모색’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 해결책 모색에서 정의의 원리를 통하여 학생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었다. 수업 전에 실시한 사전 설문 조사에서는 환경오염에 따른 피해를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받는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수업 후에 실시한 사후 설문 조사에서는 다수의 학생이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불공정하며,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수업 전과 수업 후의 학생들의 환경정의에 대한 인식을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환경정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후 진행한 사후 설문 조사와 학생 활동지를 바탕으로 하여 정의 유지형, 정의 함양형, 정의 방관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지리와 지리교육 연구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과교육 분야와 지리교육 분야에서 환경정의에 관한 수업 설계를 본격적으로 다루는데 있어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환경정의에 대한 연구는 교과서와 교육과정 분석에 그치고 있었다. 환경정의론을 지리 수업에 도입을 하게 되면, 지리과 환경교육의 영역을 확장하여 지리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마련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학교 지리에서 환경정의가 논의될 수 있는 여지를 찾아내었다. 중·고등학교 사회 및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내재되어 있는 환경정의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자들은 환경정의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졌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지리교육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의적 목표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환경정의의 논의를 포함하는 정의 교육은 기존의 가치 교육의 논의를 뛰어넘게 될 것이다. 정의 교육은 기존의 가치 교육이 지니는 형식적이고 병렬적 요인이 아닌 수직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으며, 실질적으로도 딜레마 상황과 같이 더욱 심도있는 사고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정의 교육은 기존의 가치 교육의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 가치 교육의 형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지리교육에서의 환경교육 : 갯벌의 가치에 관한 학습내용 구조화

        김성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환경관은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사고와 논리이며 지리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이 오랜 동안 추구하여 온 과제였다. 지리교과는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다루는 지리학을 모학문으로 하는 교과로서 환경 교육과 관련성이 매우 깊다. 그런데 교과서의 내용을 보면 환경과 관련된 내용의 언급은 많으나 환경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도 환경을 중심으로 조직되는 경우가 드물다. 현재의 시대적 요청이 환경교육을 중요시하는 만큼 지리교육에서도 관점을 바꾸어 '환경 중심 수업'으로 나아가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과밀 학급의 상황 속에서 환경 교육은 특별한 준비 없이 교사위주의 설명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현실이며 막상 환경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수업을 하려해도 마땅한 프로그램이나 수업 모형이 부족하여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환경교육이 제대로 수행되려면 각 단원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수업 모형이 있어야 현실적인 실천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지리교과에서 환경문제 수업조직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고, 그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론적 고찰로는 환경교육에 대하여 우선 알아보았다. 현대의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적 결과는 급속한 기술적 진보가 주된 원인이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은 환경에 대한 가치관, 또는 윤리 의식의 결여와 안이한 태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적, 정치적, 또는 법적인 측면에서의 개선만으로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나밖에 없는 지구를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즉, 교육을 통해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환경 윤리관 및 환경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더욱 근본적인 해결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환경교육이란, 환경의 질을 유지, 혹은 향상시키고 미래에 일어날 수도 있는 환경문제를 방지하는데 목적을 둔 일련의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bilisi학회에서 제안된 환경교육의 목표는 환경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 환경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 가치관을 확립하는 태도,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인식하기 위한 기술 습득, 환경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등 5가지를 들고 있다. 환경교육의 변천과정은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 태동기,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해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었던 성립기(1981년-1991년), 환경교육 부분에서 많은 활동이 전개된 정착기(1992년 이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리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함께 지리학과 환경교육에 관한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지리적 환경을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기에, 지리학은 공간 환경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통하여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이론 적 틀을 마련해 주어야 하는 책임을 지게 된다. 환경문제는 지역문제로 세분하여 접근함으로써 단계적인 방법을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지리교육을 할 때, 그 지역의 당면문제로 환경문제를 다루어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지리교육에서 환경교육이 차지하는 부분은 지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지리교과에서 여러 환경 관련 소재들이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지 않다. 각 대단원별로 자원, 인구, 도시, 환경문제 등을 구분하여 다루고 있지만, 그 단원간에 긴밀한 연계없이 '문제와 대책' 내용이 중복되고, 내용의 심화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리적인 내용 중에서 환경교육으로 다룰 부분을 정하여 수업의 내용 구조화를 구상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었다. 지리적 학습문제의 선정에 있어서는 첫째, 학생의 경험이나 흥미, 둘째, 사회적 현실이나 요구, 셋째, 지리교육의 기본개념, 넷째, 학습주제(교육과정)에의 적합성이라는 요소, 마지막으로 알맞은 교수 방법 선정 등을 고려하여, '갯벌'에 관한 주제를 선택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갯벌에 관한 이론적 고찰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제 수업내용의 구조화에 들어가려고 하는데, 여기서는 Dewey의 반성적 사고과정에 기초한 문제해결학습을 지리에 적용하여 추상적인 개념이나 학문으로서의 지리를 구체적인 생활경험으로서의 지리로 연결시키려 노력하였다. Dewey는 반성적 사고를 5국면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제안단계·문제설정단계·가설설정단계·추리작업단계·행동에 의한 가설검증 단계이다. 이상을 바탕으로 실제 지리 수업에 활용할 학습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는데,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제안단계 - 갯벌 비디오 감상. 갯벌에 대한 개념이해 ② 문제설정단계 - 환경 파괴의 단면 소개 - 갯벌의 이용에 대해 학습 ③ 가설설정단계 - 간척을 하지 않았다면 어떤 상황이었을까? - 갯벌의 가치에 관한 학습 ④ 추리작업단계 - 간척사업으로 인한 환경변화(예: 시화호) - 외국의 경우 어떻게 간척사업을 진행하고, 지금은 어떤 추세인가? ⑤ 행동에 의한 가설 검증 단계 - 생태 관광을 떠나 보자. - 답사 후 갯벌의 이용에 대한 생각 적어보기. 국토 면적 확대 및 농경지 확보를 위해 간척 사업을 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갯벌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대로 보전해야 할 것인지, 양자 택일 하여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는 시간 갖도록 한다. 이상으로 문제가 되는 내용을 잘 구조화시키면 지리교육에서 가치교육까지 겸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시킬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A view of the environment is the thoughts and logics between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and also a task which seeked by various learning. The curriculum of geography has a deep relation with a education of the environment. There are many references about the environment in a text book, but not focused in the environment. In the education of the geography, we must change to the environment focused class as today's request. In the situation of the over crowded class, it is presented by one teacher. Also, it is very hard to find a program or model. Therefore, we must seek various programs or the model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orm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s environment education. As a theoretical study, this will find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result of the modern society for the environment, the improvement of skill is a main reason. However, the real factor is a lack of the perspective of the environment ethics of awareness and confortable behavior. Therefore, it is hard to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technique, politics and legal basis. Through the education, we must change the perspectives of the environment 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each one of u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a series curriculms to keep up the environment's quality, to improve it and to prevent the problems for our future. Geographical environments are included the human activities, geography has a responsibility to make a theory of foundation through the structual analysis for a space environment.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 could be solved to approach in detail. When teacher will teach, he can use the immediate problem in his local area. In this view, the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to the geographical education. However, the reality of the geography's curriculums are not organized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conception. For the selection of topic, this thesis studied 'tidal flat' to the consider student's experience or interesting, society's reality, the general idea of geography education, the fitness of the studying topic and the right selection for teaching way. In this study, I develope geography lesson plan for the problem solving learning which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more easily. By using this model, teachers can design their instructional activities more efficiently and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Particularly, I think that this article can be a good tool for geography teachers who are going to evaluate performance assessment.

      •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환경단원 분석

        김은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work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content of environmental issues in the Geography textbooks from 1st to 7th curriculums, and to analyze how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dealt with in the Geography textbooks of high school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arison with the Science textbook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Though geography had been one of the core subjects of the high school education, geography is now only a part of social studies in the recently introduced 7th national curriculum system. Furthermore Teaching of geography by the non-geography majored teachers disinclined the students to study the geography subject. Environmental education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geography curriculum have placed more emphasis on effectiv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natural resources, but the current geography textbook allows more pages in educating the negative aspect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ollutions, and is also willing to inform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creasing the pages of environmental issues in both geography and science textbooks have succeeded, especially in the field of science text book,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Compared to science textbook, the lack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es is found in the geography textbook. Unifying geography subject and the social studies caused the decrease of both geography lecture time and the amount of the taught content. But time-spatial approach on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geography still guarantees the unique geographical identity. Holistic approaches within the regional scale upon the environmental issues should be presented and discussed with relevant data set and methods in the future geography textbook. The obj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But men exploited and developed nature excessively and now those activities have caused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at threaten men's safe.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sults that come out in the course of changing the surface of the earth. Accordingly, If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regions that gives a grand views of our country are suggested on the textbook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era and place through total study about that, the ident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in geographic education.

      • 고등학교 사회와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김애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환경교육이 여러 교과에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교과 간 내용 중복과 내용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 중복과 누락의 문제는 교육과정 상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행 환경교육에 있어서 내용 중복과 누락 문제를 분석하고 지리교과의 교과 특수적인 환경교육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지리)의 환경 내용과 환경교과의 환경 내용이 어떻게 변천되어 구성되어 왔으며, 현 교육과정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환경 관련 내용을 사회과(지리)와 환경교과에서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교과 간 내용 중복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환경교과와의 차별성을 가지는 사회과(지리) 환경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사회과(지리)는 전반적으로 특화된 환경교육 내용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사회과(지리)에서는 주로 인간 생활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고 있으며, 환경교과에서는 자연환경 그 자체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각 교과별 특성에 부합하는 환경교육 내용들로 볼 수 있다. 둘째, 8종 ‘사회’ 교과서의 전개 방식이 ‘대단원명-단원개요-중단원명-학습목표-소단원명-본문-탐구활동-심화학습-단원 마무리’의 순서이다.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경우 전개방식이 ‘대단원명-단원개요-중단원명-학습목표-소단원명-본문-탐구활동-단원 마무리’의 순서이다. 그러나 '생태와 환경'교과의 경우 심화학습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는 '생태와 환경'교과가 아직까지 선택교양교과여서 필수교과인 사회과(지리)의 교과서에 비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바를 담아내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Ⅳ단원은 대부분 교과서가 전체 면수 비중 중 8.2%를 차지하였다. 제5차 교육과정까지 환경에 관련된 단원내용이 23.8%까지 증가하는 추세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 감소하는 추세이다 다시 소폭 증가하였다. 중단원별 비중은 ‘3. 환경오염’ 단원이 평균 27.3%로 이것은 자연지리 분야에서 환경이 차지하는 비중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여러모로 커진 것과 맥락을 함께 한다.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경우, A교과서가 305면, B 교과서는 220면으로 두 교과서의 면 수 차이가 75면에 이른다. 교과서 총면수에 대한 Ⅰ단원의 비중은 A교과서가 9.2%(28면)로 가장 높다. 넷째,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서는 대단원과 중단원 구성은 8종 교과서 모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소단원 구성은 교과서마다 차별성을 보인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소단원 아래 다시 소주제를 두어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소단원 제목도 요점 중심으로 간단히 기술하기도 하지만 서술형, 은유형, 의문형 문장을 사용하는 등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경우, 대단원 6개와 중단원 20개로 이루어져 있다. 소단원 숫자는 A교과서가 79개, B교과서가 49개로 두 교과서의 단원 구성에 수적인 차이가 30개로 차이가 컸다. 다섯째,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중 도표, 사진, 그림, 지도 등 학습 자료를 가장 많이 제시한 E교과서와 가장 적은 D교과서와의 총 개수의 차이가 39개로 그 격차가 컸다. 환경 분야라는 단원 특성상 Ⅳ단원은 사진자료가 52.7%로 압도적으로 많다. 그 외 도표가 14%, 그림이 18.3%, 지도가 25.4%로 사진자료에 비해 비중이 낮다. '생태와 환경' 교과서의 경우, C교과서의 사진이 240개로 가장 많으며 사진의 비중이 다른 교과서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학습 자료별로는 사진자료가 평균 33.1개로 전체 학습자료 중에서 절반이 넘는 61.4%를 차지한다. 환경 분야라는 특성과 관련되어 그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도표가 평균 9.5개로 전체 학습자료 중 21.5%를 차지하고 있어 사진 다음으로 비중 있는 학습 자료임을 알 수 있다. 환경내용은 범교과적인 지식과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지만 독립교과로서의 환경이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만큼 여건이 성숙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현재 환경교육은 독립과목으로 편제되어 있으면서도 각 교과별 환경교육이 가능하도록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각 교과에서는 동일한 내용을 다루게 되어 불필요한 중복이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상의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교과끼리의 중복된 내용이라 할지라도 교과의 특성을 살린 접근방식과 내용구성이 필요하다.

      •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지리영역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 연구 : 지역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윤재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343

        오늘날 인류가 해결해야 할 5가지의 기본과제로 핵문제의 해결, 인종차별 문제의 해결, 종교 대립의 해소, 인권침해의 추방, 그리고 환경문제의 해결을 들고 있다. 이중 앞의 4가지 문제는 해결 의지만 있다면 곧바로 그 효과가 나타나고 원점회귀가 가능한 것이지만 환경문제는 그렇지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다행히 대개의 국민들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있으며, 경제발전 속도를 늦추더라도 환경문제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여기고 있다. 또한 수많은 환경민간단체들과 함께 정부도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노력들이 사후대책에 그치고 있어 근본적 해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敎育'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부각되어졌다. 이에, 학교에서는 관련교과를 통해 분산교육을 실시하였고 더 나아가 6차 교육과정부터 중·고등학교에 '환경'과를 독립·신설하였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로 인한 선택률 저조로 학교 환경교육은 장애에 부딪히고 있고 관련교과를 통한 분산교육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하겠다. 지리과는 환경과가 독립하기 전까지 생물과와 함께 환경교육에 가장 중요한 관련 교과로 인정받아 왔다. 관련교과를 통한 분산교육이 절실한 지금, 인간과 관련하여 보다 종합적으로 환경문제를 다룰 수 있는 지리과를 통해 환경교육이 보다 강화되어야 마땅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통한 개선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중학교 사회1 교과서의 지역지리를 중심으로 한 지리 영역과 중국의 중학교 지리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중국은 역사적·지리적으로 한국과 매우 밀접한 나라로, 베이징-서울-도쿄를 연결하는 이른바 베세토(BeSeTo)의 역할과 협조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임을 생각하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는 나라이다. 특히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볼 때, 서풍계에 속해 있는 한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이웃나라인 만큼 중국의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라고 하겠다. 연구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사회(지리) 교과서 6권을 선정하였으며, 내용, 활동, 삽화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에서 환경교육 내용 분석은 '①자연환경, ②인공환경, ③인구, ④산업화/도시화, ⑤자원, ⑥빈곤/전쟁, ⑦환경오염, ⑧자연재해/환경변화, ⑨환경보전과 대책, ⑩환경위생, ⑪환경윤리, ⑫ESSD, ⑬건전한 소비생활'의 13개 영역으로 구성된 분석틀을 사용했다. 이 13개의 영역을 다시 '환경의 구성', '환경문제의 원인', '환경문제',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의 4개의 대영역으로 그룹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내용을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과 중국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모두 '자연환경'과 '인공환경' 영역이 전체 환경교육 관련내용의 절반을 넘었고, '환경문제의 원인' 및 '환경문제'와 관련한 영역들의 내용 비중도 대체로 비슷했다. 그러나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한국이 '환경위생'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 대해, 중국은 '환경보전과 대책', 'ESSD'를 제외하고는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아 양국이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도 단원별로 교육 내용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문제로 지적되었다.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과 관련한 영역들 중에는 세계지리 단원을 통해 더욱 교육적 효과를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세계지리 교육에서는 '환경보전과 대책' 이외에는 내용이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학생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에서는 양국이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은 전체 활동 수에 대한 환경교육 관련 활동 수의 비율 면에서는 한국보다 1.5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간 편차가 심하고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균형성 면에서는 한국에 훨씬 못 미치고 있었다. 한국은 중국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영역에 걸쳐 환경교육 관련 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과 관련해서는 부족함이 많았고, 각 영역 안에서도 일부의 주제만을 강조하는 편향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삽화자료를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과 중국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한국이 비교적 다양한 삽화자료를 통해 여러 영역에 걸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대해, 중국은 '자연환경'과 '자원'에만 삽화가 집중하고 있고 삽화의 질도 상당히 떨어져 시각자료를 통한 환경교육에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게다가 한국은 환경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환경윤리'와 관련한 삽화가 잘 제시되고 있어, 삽화가 지리 환경교육을 위한 보조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중심적인 역할까지도 충분히 해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지리교과를 통한 환경교육은 한국이 보다 균형 있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용, 활동, 삽화 모두에서 '환경보전 대책 및 실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지리 환경교육의 현실을 다시 돌아보고 보다 체계적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교과가 환경교육의 대표적 분산교과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리교과에 맞는 환경교육 분석틀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 지리과를 통해 가르칠 수 있고 또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환경교육 내용을 뽑아내어 새로운 분석틀을 만들고, 이에 따라 지리 환경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칠 수 있어야 겠다. 둘째, 보다 현실적인 지리 환경교육이 되기 위해서 ESSD와 같은 현실성 있는 교육과, 환경교육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올바른 환경관 정립 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겠다. 셋째, 환경교육이 지식보다는 가치·태도 교육과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생각할 때, 학생의 직접적인 활동을 통한 환경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겠다.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has magnifi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ly, even though environmental class was newly established as a selective subject i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decentralized education through the relevant subjects is not still dwindling. Before environmental class was newly made, geography had been recognized, along with biology,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environmental education. When decentralized education through relevant subject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we should enhanc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geography which could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 gener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geography as a decentralized subject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found out through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Secondly, researcher shed light on the problem of geography, environmental education by investigating into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eek the measure of it. To that end, researcher analyzed geography sections of social studies 1 texts in the middle school to whic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as being applied and chose the chinese geography texts as comparative materials. China, suffering from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s also had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out school class and conduct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subjects of science, geography. etc. Two nations' six volumes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geography) text book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d researcher analyzed these books, subdividing contents, activities, and illustrations. The analysis of the text books is composed of 13 parts. ① natural environment, ② artificial environment, ③ population ④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⑤ natural resources, ⑥ poverty/war, ⑦ environmental contamination, ⑧ natural disaster/environmental change, ⑨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evice, ⑩ environmental hygiene, ⑪ environmental ethics, ⑫ ESSD, ⑬ sound consuming life. After the analysis of text books, researche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Korea and China have the similar leve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tents. This research shows that both nations should further enhance the 'measur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specially, Korea lags behind China in the world geography. Secondly, the analysis of activities shows that China is 1.5times as high as Korea is in the ratio of activities relat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hina, the variation in each section is severe and few activities have been done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ducation. Even though Korea makes efforts in more various fields than China does, it still lacks i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actice' education. And it shows biased features focusing only on some topics in each section, which need fixing. Thirdl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lies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illustrations. While Korea conduc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n various fields through illustrations, China focuses only on illustration relat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sources. And the quality of illustrations are very coarse, which reveal many proble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capitalizing on visual materials.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 has conducted th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the core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ively well through the illustration. Overall, Korea has more balanced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geography class. However, n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gap with China, the underdeveloped n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we should look back on the reality of geographic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ke more efforts to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Researcher suggest the following things based on this research to make more desirable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Firstly, the analyzing frame fitting for geography should be constructed newly and we must compose the contents and teach the pupils according to that frame. Secondly, we must put emphasis on such education related with measures and practices as ESSD, which is called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hirdly, considering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uts priority not so much on mere knowledge as on view and attitud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must be further enhanced.

      • 고등학교 물환경 교육 교재 연구

        김진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27

        물은 인류에게 있어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물은 생존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인류는 이를 통해 문명을 발달시켜 왔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 도시화 및 인구의 폭발적 증가 속에서 물환경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물환경 문제는 수질오염, 물 부족, 생태계 교란, 국제적 분쟁 등으로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닌 세계의 문제로 부각되었다. 교육은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방법이다. 특히 지리교육은 지역을 바탕으로 한 인간과 환경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어 물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측면과 인간과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리교육을 통한 물환경 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지리영역을 단원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의 물환경 내용은 물관련 지형 및 자연현상과 인간의 활동과 관계되어 나타나는 물환경 문제를 언급하고 있으며, 하천, 호수, 습지, 해양 등의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 사례는 교과서마다 비중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보다 통합적인 부교재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접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물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어 학습자로 하여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을 이해하게 하고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물환경 문제해결방법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었다. 셋째, 4종의 사회 교과서의 물환경 문제의 시각자료를 조사한 결과 교과서간 수적인 면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A 교과서가 11개로 가장 많았으며, C 교과서는 3개로 약 4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부족한 시각자료를 보충하기 위한 방법 및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물환경 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물환경 체험교육 프로그램과 지리조사를 이용한 물환경 교재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육을 통한 물환경 교육 교재는 지역의 물환경 조사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물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올바르게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지리조사를 통한 학습교재는 조사의 목적, 방법, 내용의 기준을 제시하여 물환경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조사능력을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이 많지 않은 물환경 내용을 교재를 통해 학습하게 하여 학습자의 인식과 지식의 폭을 넓혀주어야 할 것이다. 물환경 교육은 환경교육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교육이다. 따라서 물환경에 대한 다양한 내용과 활동을 지닌 교재 개발 연구가 앞으로 활발하게 진행될 때 실질적인 물환경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ater is the essential one for the humankind. But industrial development, urbanization and the explosive increase of the population, the problems of the water environment have begun to emerge. The problem of the water environment has come to a forefront as a global problem, not a problem of one country, due to water pollution, water shortage,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international dispute and the lik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to resolve this environmental problem. Especially, geography education can be said to be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between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the human as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region. Accordingly, geography education needs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educational material of the water environment through geography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First, the content of the water environment in the textbook mentions the problem of the water environment appearing in relation to the water-related topography and natural phenomenon and human activity in the textbook. It presents diverse cases such as rivers, lakes, marshes, oceans and groundwater. Students need to meet with diverse cases through the more integrated auxiliary textbook because each case shows the difference in weight in each textbook. Second, a alterna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presented as the method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water environment. And the textbook induces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region in which we are living and presen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water environment induced by human activities.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visual material of the water environment problem in the four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reat numerical difference between textbooks. The ‘A’ textbook illustrated 11 visual materials, while the ‘C’ textbook illustrated 3 visual materials. Therefore, there was a fourfold difference between th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thod to supplement insufficient visual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has been conducted to resolve the educational problem of the water environment in the textbook and meet the necessity for the educa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educational material of the water environment through geography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learner make a correct presentation about the measure to resolve the water environment problem caused by human activities through survey on the water environment of the region. Second, teaching material through geographical survey would help acquire a basic knowledge about the water environment and enhance the ability to survey by presenting the criterion for purpose, method and content of survey. Third, teaching material should broaden the learner's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contents of the water environment not much dealt with in the textbook. The educa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is the most central one. According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extbook containing diverse contents and activities about the water environ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ater environment education when it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 경안천의 환경지리적 분석 : 경관 변화와 수질 환경을 중심으로

        최성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팔당호로 유입하는 경안천을 환경지리적인 관점에서 유역의 경관 변화와 수질 환경을 분석하고 수질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안천의 시대별 하계망의 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경안천의 수질오염원을 살펴보고 오염원의 개선책을 분석함으로써 팔당 상수원으로 유입하는 경안천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구 지역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행한 1:50,000 지형도의 성남, 양평, 수원, 용인 도엽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경안천의 경관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1930년대, 1960년대, 1980년대, 그리고 현재의 지형도와 지질도, 수치지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경안천 유역의 경관 변화, 오염 현황과 오염원 분석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지역에 대한 문헌 조사, 현장 답사, 지역 주민들과의 면담을 병행하였다. 경안천 유역의 시대별 하계망 변화를 분석해보면 팔당 상수원으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하천에 제방을 축조하거나 하천 부근에 시가지의 분포가 많이 증가하였다. 즉 경안천 유역의 토지 이용은 1990년대 이후 인구 증가로 인한 시가지 및 취락이 급격하게 증가한 만큼 농경지 및 삼림이나 초지는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안천의 오염이 더욱 가속화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경안천의 수질오염원은 인구 증가로 인한 생활하수의 증가와 낮은 하수도와 하수관거 보급률, 가축사육으로 인한 축산폐수, 산업화로 인한 산업폐수 등의 점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으로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시가지 및 도로 증가 등이 있다. 그리하여 팔당 상수원으로 유입하는 경안천의 수량은 1.6%에 불과하지만 오염 비중은 16%에 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오염원 중 인구증가로 인한 오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도시, 농지, 산지 등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는 것이다. 토지계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이다. 이와 같은 점오염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과 같은 환경기초시설의 신ㆍ증설이 시급한 실정이며 비점오염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점오염원 저감 시설 설치를 확대하거나, 하천의 수질 정화 능력이 높은 생태하천으로의 복원이 필요해 보인다. 그동안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리는 주로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수질오염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관리 없이는 하천 수질 개선에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미 조성된 금어천이나 경안천 상류 5개 권역에 조성할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은 하천 오염도가 심한 지천의 수질 개선 효과는 있을지 모르나 하천 내에 습지를 조성하고 있어 경안천 본류의 흐름에 지장을 주어 우리나라와 같이 홍수 발생 빈도가 큰 곳에서는 급격한 수위 상승을 가져오고 홍수로 인한 피해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편마암 산지 사이를 흐르는 경안천의 특성을 살려 경안천 본류 자체를 곡류시켜 하천 유수 자체에 의한 수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경안천 하류에 조성한 경안천 습지 생태공원이나 조성 예정인 습지는 팔당호로 유입하는 경안천의 수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나 이곳에 습지를 새로이 조성하려면 기존에 거주하면서 농경에 종사하는 농민들이 생업 터전을 잃을 수 있어 기존 농민들의 생계 수단을 확보해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팔당호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팔당호 주변의 습지나 수초재배섬은 하천 수질 개선 효과가 좋으므로 이러한 습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잘 보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팔당호 주변의 농경지에서 무분별한 농약 사용으로 팔당호가 오염되고 있다. 이곳의 오염 물질은 곧바로 팔당호로 유입되므로 팔당호 주변의 농경지에서는 친환경 농법 등을 강제로 시행하게 하는 제도적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또한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시행하는 토지 매수 사업을 ‘선(先) 생태 복원계획 수립, 후(後) 토지 매수’ 가 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수변 인접지역, 습지ㆍ수변녹지 조성이 필요한 지역, 오염물질 다량배출 토지 등을 강제 매수를 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경안천은 도시화ㆍ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증가로 인한 토지 이용 변화로 하천 경관이 변화되었으며 경안천 유역은 이러한 인구 증가로 인해 오염이 심화되어 팔당 상수원을 위협하게 되었다. 따라서 경안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점오염원 개선을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과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생태하천으로의 복원과 경안천 하류에 습지를 조성하거나 기존의 습지를 잘 보전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천 관리를 생태적인 하천관리지침을 만들어 시행하고 지역 주민들의 경안천 유역 환경 보전 노력이 더해진다면 경안천은 건강하고 깨끗한 하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ise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Gyeonganche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its landscape changes and water quality in the environmental geographical aspects. In order to devis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this study focused on keeping track of the drainage network changes, the land use changes and the water pollutants of Gyeongancheon flowing into Paldang Reservoir for water supply source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With the purpose to analyze the landscape changes of Gyeongancheon as well as to assess the pollutants and the degree of water pollu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ea covering the various range of Seongnam, Yangpyung, Suwon and Yongin Cities and Counties according to topographical map of 1:50,000 scale issu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lso,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topographical maps, geological maps, numerical maps and the air photographs according to the times as follows : 1930s, 1960s, 1980s and the current age.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came with the bibliographical work on this subject, the region visiting and the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living in the areas. After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environmental geographical changes around Gyeongancheon, this study suggests the idea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Gyeonganche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rainage network changes of Gyeongancheon through the times, there was not much changes of the stream flowing into Paldang Reservoir but the bank constru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owns appeared around Gyeongancheon. With the aspects of land use near Gyeongancheon, the distribution of towns and communiti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population has grown since 1990s while the number of arable lands, forests and grasslands has decreased. These activities results in the acceleration of the pollution of Gyeongancheon. When it comes to the pollution sources of Gyeongancheon, both point source polluta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are increasing. As for point source pollutant, there was tremendous increase of living sewage caused by the increase of population, sewage caused by livestock raising, industrial sewage from the industrialization and a lack of separating system between drain and sewage pipes. Non-point source pollutant generated by rapid urbanization is also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construction of towns and roads. As a result, while the quantity of Gyeongancheon flowing into Paldang Reservoir is not more than 1.6%, the pollution level reaches to 16% amount. Living sewage caused by population growth accounts for much of the pollutants of Gyeongancheon and the influx of pollutant from the ground, non-point source pollutant, is the next. To control point source pollution, infrastructures for the environment such as an end-point sewage facility are needed to be constructed immediately. And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ant, a reduction facility should be expanded and otherwi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shy land for high quality of water as well as restoration to the ecological river which has better self purification capacity. So far, water pollution has been tackled, centering on a point source pollutant. But, there must be a limit o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unless the adequate and prompt measures over non-point source pollutant are taken, which plays considerable major role in water pollution. Even though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which has already been made at Geumeo stream and is supposed to be made at five areas of the upper Gyeongancheon,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its stream in which the pollution level is serious, its wetland disturbs the mainstream flow of Gyeongancheon, so that the water level rises dramatically and the damage caused by a flood increases, especially in South Korea where the river overflows annually. So, it is desirable to meander the mainstream of the river and use its hydropower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that Gyeongancheon valley located on the gneiss region. Also, although wetland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lower Gyeongancheon and the planned wetland construction is likel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intersection between Lake Paldang and Gyeongancheon, residents living and making a living in these area seem to be deprived of their ground of living. So, it is primary to consider the measures for securing the foundation for peasants to make a living. The wetland and aquatic plant cultivation island in Lake Paldang should be preserved in that they play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n the other hand, careless use of pesticides in the region of Lake Paldang is contaminating the river. For the more advanced regulat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use kind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ethod in the area of Lake Paldang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that contaminant of the area flows into Lake Paldang directly. In addition, land purchasing project implemented by Han River affiliated institut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hould be designed to be ‘First ecological restoration plan, next buying related land’, so that the water side areas, zones need to be developed into the grass wetland, and land discharging great quantity of pollutants can be purchased without any difficulty. In conclusion,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 number of population has increased and caused the change of the land use and landscape of Gyeongancheon. Furthermore, population growth near Gyeongancheon has aggravated pollution and it seriously affects Paldang Reservoir.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Gyeongancheon, expansion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y, restoration of ecological river, and constructing wetland on the lower reach of Gyeongancheon or keeping the existing wet land in good condition are required. Gyeongancheon will become more clean and fresh if it is well restored like natural river. Along with managing the river under the ecology guideline, residents in the area should do their best to preserve the regional environments around Gyeonga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