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음악 감상교육에서 현대음악 적용을 위한 연구

        박선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음악은 객관적이고 새로운 정신세계를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와 표현기법에 의해 쓰여진 음악으로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학습을 제공하며, 미래의 음악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필요한 새로운 미적 감각을 갖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음악교과서는 현대음악의 비중이 매우 적고, 교육 내용 또한 매우 편협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현대음악의 감상 교육을 위하여 학습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행 고등학교 9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현대음악의 제재곡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고등학교에서의 체계적인 현대음악의 감상 교육을 위해 현대음악의 패러다임 변화를 연구하여 이를 기초로 현대음악 감상교육의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음악을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신음악, 중간음악, 아방가르드음악, 포스트모더니즘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음악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를 알아보았고, 제시된 학습지도안은 패러다임별로 1곡씩을 선정하여 구성되었다. 신음악 시기의 감상 제재곡으로는 쇤베르크의 「달빛에 홀린 삐에로」, 중간음악 시기의 감상 제재곡은 바일의 「서푼짜리 오페라」, 아방가르드 시기의 음악으로는 케이지의 「아리아」,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의 음악으로는 라이히의 「피아노 페이즈」이다. 선정된 제재곡은 패러다임별로 시대적 가치관과 음악적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는 곡들 중 고등학생 수준에 너무 어렵지 않으면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현대음악을 감상하는데 있어 폭넓은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현대음악의 사상적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것이다. Contemporary music expresses our emotional feelings more objectively than conventional music by means of non-traditional way, with innovative ideas and methods. It provides students with a chance to learn music more creative and progressive manner, which helps them have an aesthetic eye for music of upcoming future. However,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conducted in the schools of Korea allocates a small portion of current time to contemporary music and the contents are bi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ractical guidance to contemporary music appreciation that should enhanc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topic in experiencing more diversified and well organized approach.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will analyze the teaching materials of contemporary music. There are current 9 kinds of textbook have been officially recognized in Korea. The second part investigates the change of paradigm in contemporary music. This investigation will specify contemporary music as new music (neuen musik), middle music (mittlere musik), avantgard music and post-modernism music according to the steps of paradigm change. Also, focus will be plac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 and the suggest practical pieces for each periods. The selected pieces are as follows: new music- Pierrot Lunaire (Scho¨nberg), middle music- Die Dreigroschenoper (Weill), avantgard music- Aria (Cage), and post-modernism music- Piano Phase (Reich). The selected pieces consist not only of the typical mode and their contemporary thoughts representing each step of paradigm, but also ar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 which should induce the excitement of students.

      • 2010년대 한국 현대예배음악(CWM)의 새로운 경향에 대한 고찰

        임성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s Contemporary Worship Music(CWM) has mus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CCM, and it is primarily used as congregational praise in worship. In the 1970s, Christian clubs from domestic Korean universities introduced the overseas forms of ‘worship and praise,’ and it was further developed through related mission organizations and weekday meetings at mega-churches. The era of original songs began with the first album of Juchanyang Mission Team released in 1986. Moreover, the term, CCM, was first officially introduced through the CBS radio program, ‘Gospel Hour’ in 1989, thus initiating familiarity of terms specific to contemporary worship music. This study summarized the concept of contemporary worship music and studied related flows and trends of foreign and Korean music.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ountries, the analysis was divid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year 2000. Contemporary worship music was primarily developed within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Australia, and thus furthered its impact to South Korea. In regards to South Korea, the generational and cultural changes happening within foregin worship culture were accepted, and song creativity and originality were further developed. Regarding the flow of contemporary worship music, factors such as relevant modern music,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changes in the way of expressing lyrics have all had an impact as well. Since 2010, six organizations have been selected to represent new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worship music. The organizations that started before 2010 are ‘Markus Worship’ and ‘Anointing’, and the organizations that started after 2010 are ‘J-Us’, ‘Welove’, ‘Isaiah61’, and ‘New Generation Worship’. For the purpose of research,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among musical, content,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musical characteristics, songs from 78 albums released in 2010 and from six of the organizations mentioned above were analyzed. Moreover, the representative song of the group was used for the part requiring additional analysis. For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contents and expression methods within the lyrics of released songs were analyzed, and for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fline worship and video contents through YouTube were used. From this research, new trends of Korean contemporary worship music during 2010 were as follows. First, a new genre of music was used. Based on modern rock, EDM-like music elements were utilized or a different music genre was used. Second, wider interval in musical notes were used. Contrary to traditional formats, a leap of seventh or wider interval and a high pitch of ‘F5’ or higher were used while also considering the nature of contemporary worship music. Third, the method of conveying the words of the song through the speaker was used. Rather than focusing lyrics on God, the themes of Christianity were expressed indirectly and figuratively. Fourth, a new expression was used within the lyrics. Literary elements were somewhat expressed through common words such as, ‘sympathy’ and words such as ‘time’ and ‘pierce’ were combined to express phrases such as ‘through time.’ Fifth, new performance methods were tried. More diverse performers appeared than before, and a performance method that focused on individual skills and artistic performance was attempted that contrasted with previous methods and roles. Moreover, the performance was attempted using a circular formation rather than a single-line formation, and through this, the boundary between the stage and the congregation was broken down, enabling the congregation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it analyzed the new trends in Korean contemporary worship music for only six groups within the year of 2010. However, considering that most studies on Christian music contain contents before 2010,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bout the contents of Korean contemporary worship music in 2010. 한국의 현대예배음악(CWM)은 CCM과 비슷한 음악적 특징을 가지며, 회중 찬양으로 주로 예배에서 사용되는 음악이다. 1970년대 국내 대학의 기독교 동아리를 통해 외국의 ‘경배와 찬양’이 소개된 이후 관련 선교단체와 대형교회의 주 중 모임을 통해 발전하였다. 1986년 발매된 주찬양 선교단의 1집 앨범을 통해 창작곡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1989년 CBS의 라디오 프로그램 ‘가스펠 아워’를 통해 처음 CCM의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면서 현대예배음악의 용어가 알려졌다. 본 연구는 현대예배음악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외국과 한국의 흐름을 연구하였다. 외국의 경우 2000년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영국, 호주를 중심으로 현대예배음악이 발전하였고, 이는 국내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내의 경우,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외국의 예배 문화와 음악을 수용하고 창작곡을 제작하며 발전하였다. 현대예배음악의 흐름에 관하여 시대에 따른 현대적인 음악, 새로운 매체의 등장, 노랫말 표현방식의 변화와 같은 요소가 영향을 주었다. 2010년대 이후 한국 현대예배음악의 새로운 경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대표적인 단체 6개를 선정하였다. 단체는 2010년 이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마커스워십’, ‘어노인팅’과 2010년대 이후 등장하여 활동한 ‘제이어스’, ‘위러브’, ‘아이자야씩스티원’, ‘뉴제너레이션워십’이다. 연구 항목으로 음악적 특징·내용적 특징·연행적 특징을 나누었으며, 음악적 특징을 위해 6개의 단체가 2010년대 발매한 78개 앨범의 수록곡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한 부분은 해당 단체의 대표적인 곡을 활용하였다. 내용적 특징을 위해 발매된 곡의 노랫말에 담겨있는 내용과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연행적 특징을 위해 오프라인 예배와 유튜브를 통한 영상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나타난 2010년대 한국 현대예배음악의 새로운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음악 장르를 활용하였다. 모던 록을 기반으로 EDM적인 음악 요소를 혼합하거나 이전의 기조와 다른 음악 장르를 활용하였다. 둘째, 높은 도약과 높은음을 사용하였다. 현대예배음악의 특성상 회중을 고려하여 지양하던 7도 이상의 높은 도약과 2옥타브 ‘파(F5)’ 이상의 높은음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형태를 벗어난 시도이다. 셋째, 화자를 통해 노랫말을 전달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기독교 음악의 주된 주제인 하나님에 관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보다 화자를 통해 간접적이고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노랫말 속 새로운 표현을 사용하였다. ‘공감’이라는 일상적 단어와 ‘시간’과 ‘뚫다’의 조합인 ‘시간을 뚫고’라는 다소 문학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대상을 표현하였다. 다섯째, 새로운 연행방식을 시도하였다. 이전보다 다양한 연행자가 등장하였고, 예배음악을 안내하고 인도하는 기존의 역할보다 다소 개인의 기량과 예술 행위에 초점이 맞춰진 연행방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일렬의 대형이 아닌 원형의 대형을 사용하여 연행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무대와 회중의 경계를 허물어 회중으로 하여금 더 능동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했다. 본 연구는 2010년대 한국 현대예배음악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에 관하여 6개 단체를 한정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갖는다. 그리고 기독교 음악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이 2010년대 이전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2010년대 한국 현대예배음악에 관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미술과의 연계를 통한 현대음악 감상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배성경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현대음악 감상을 위해 미술과의 연계를 통한 현대음악 감상 학습 방안에 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20세기 음악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인상주의 · 표현주의 · 원시주의 음악을 중심으로 이와 유사한 사조의 미술 작품을 연계함으로써 음악의 시각화와 통합적인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현대음악은 다양한 시대 문화를 반영하는 산물로서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경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현대음악의 다양한 음악적 소재와 표현 양식은 창의적인 학습활동에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의 학교 음악 교육은 현대음악의 비중이 매우 적고 교육내용 또한 매우 편협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현대음악이 갖고 있는 창조성과 혁신적인 내용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음악에 대한 심미적 안목과 창조적 표현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이와 더불어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특히, 음악과 다른 창조활동과의 연관성은 모든 시대에 있어 왔고, 어떤 시대의 음악이든지 그 안에서 당시의 사회상은 물론 다른 예술에서 표현된 경향들이 나름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이므로 다른 분야와 함께 살펴봐야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인상주의 작곡가 드뷔시(Achille Claude Debussy:1862~1918)와 인상주의 화가 모네(Claude Monet:1840∼1926)의 관계, 표현주의 작곡가 쇤베르크(Arnold Schönberg:1874∼1951)와 표현주의 화가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의 관계, 원시주의 작곡가 스트라빈스키(Igor Fedorovich Stravinsky:1882∼1971)와 원시주의 화가 마티스(Henri Matisse:1869∼1954)의 관계를 연관지어 살펴봄으로써 두 예술의 내적 · 외적 이념과 형식적인 면에서의 동질성 및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대음악이 학교 수업에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음악 교과내용에 다른 시대의 음악과 더불어 현대음악을 적절한 비율로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음악 교사들의 현대음악에 대한 이해와 지도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져야 하고, 현대음악에 관한 부족한 학습자료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1945년 이후 현대음악에 관한 지도 방안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강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20th century, new reform was made due to new paradigm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main stream of music was also re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new trend of the world. The new style of music, so called modern music, was developed to express the subtle and complex emotions of human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The modern music is composed with new ideas and technical methodologies, not with conventional methods, to express objective and new mind. This therefore provides the creative and experimental education to students, and helps them attain new aesthetical sensibilities which are needed to accept the music culture in the future. The conventional music should not be always emphasized in that art reflects the current trend in the era. Since students can take a good opportunity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life style through the modern music, it is very important to adequately educate the modern music at school. However, teaching the modern music is often excluded at schools because it is very different with the conventional music and hard to find the normal music rules. It is hard to find any consistency of the modern music even in the text books due to exclusion of the modern music and curriculum inadequately prepared for each grade. It is therefore inevitable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the stream and style of the modern music and obtaining the overall view of the music. This study presents the teaching guidelines, in particular for first year students in high school, to provide opportunities of learning not only the modern music but also music composed in other periods an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 creative thought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odern (contemporary) music composed since 1945.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provide the effective teaching skills, secondl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usic composed since 1945 and finally to introduce the modern music to students in high school. This study firstly, intends to find out the concepts, distinctive features and educational values of the modern music through available references, secondly, to present the problems of modern music teaching appeared in the current 8 kinds of music text books, thirdly, to propose the adequate music to strengthen the existing textbook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proposed music is 'structure 1' by Pierre Boulez, '4 minutes 33 seconds' by John Cage and 'Drumming' by Steve Reich. Finally,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guidelines are proposed for teacher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usic. The three music are chosen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odern music after 1945 which explain the main stream of modern music history. First of all, total serialism is a method or technique of composition expressing duration, pitch and dynamics based on atonal music developed in early 20 century. Since the modern trend comes from serialism developed through atonal music, it may be easy enough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modern music in relation with twelve-tone technique. In particular, 'structure Ⅰ' by Pierre Boulez has reproduced with avant-garde factors, and thus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music because the piece has mathematically organized of 12 serial, phonetic, dynamics and timbre. This therefore help students understand total serialism and experience the musical research, operation and transform. Incidental music has strength being able to improve mor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than any other methods. '4 minutes 33 seconds' by John Cage is well known music and can be easily found in many text books. The theme of the music is auditors and the music emphasizes the aspect of scene arts, participation arts. Furthermore, students are able to obtain various ideas by making and listening of incidental music, and develop the corporatism by group activities. Minimal music, excluded in the common 8 text books, is the latest trend of modern music. Minimal music is not a new stream of music and found in Cannon, Chaconne, Passacaglia and Variations in which the theme is transformed and developed.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 of music, find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amongst music, even though minimal music is different in the development of pattern and proposals. With 'Drumming' by Steve Reich, students can easily perform the music by themselves using continuous and repetitive movement. Student are easily involved in a music class by tapping their body. Through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of the above three music trends and pieces can provide students more interest and comprehension about modern music after 1945. The students also can obtain confidence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strongly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music education in teaching modern music after 1945,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Furthermore, this study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world and culture through the modern music, and aesthetical sensibility and open minded thinking can be obtained to accept the future music culture. 본 논문은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 일부 제한된 시대만을 다루는 현재의 음악교육에 있어 다양한 시대에 걸친 음악수업을 통하여 폭넓은 정서를 향유하고 그를 통하여 창의성의 신장 및 동시대 작곡가의 음악을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1945년 이후 작곡된 현대음악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에게 현대음악을 소개하고 직접 경험하게 하기 위해 1945년 이후의 현대음악에 관한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을 통해 현대음악의 개념과 특징,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현행 고등학교 8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현대음악 관련 부분을 분석하여 그 실태와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소홀히 다루어졌던 현대음악사 후반부에 관한 내용 보완 및 교육적 유용성을 가지는 세 가지 사조를 선택하여 가장 적합한 악곡을 선정하였다. 제시한 악곡은 피에르 블레즈의 「Structure Ⅰ」, 존 케이지의 「4분 33초」, 스티브 라이히의「Drumming」이다. 셋째, 제4장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현대음악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한 실제적인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ㆍ학습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제재곡의 선정 기준에 있어서는 현대음악사 후기인 1945년 이후 작곡된 작품들로 서양음악사의 큰 흐름을 말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성격을 지닌 곡인 동시에, 학생들에게 교육적 유용성을 지닌 작품들로 선정하였다. 먼저, 총음렬주의는 20세기 초 무조음악의 탄생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더 기법적으로 보완이 이루어지면서 셈여림, 강세, 다이내믹 등 음악의 효과적인 표현 요소들까지도 작곡가의 하나의 계획아래에서 작곡이 이루어졌다. 무조음악에서 시작하여 음렬주의로 발전하고 이것이 새로운 하나의 사조를 탄생시켰기에 학생들이 경험하는데 있어 12음 기법부터 연계해서 이해하기 쉬운 장점을 지니며, 다양성이라는 현대음악의 특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피에르 블레즈의 「Structure Ⅰ」은 고전주의의 이상이었던 구조를 아방가르드적인 요소를 가지고 재현시킨 작품으로 12개의 음렬, 음가, 강약, 음색이 계산적이고 수학적으로 조직되어 있어 학생들이 이론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쉽게 다가갈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총음렬주의의 구조에 대해 파악하고 탐색, 조작, 변형하는 음악적인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우연성음악은 창작의 어느 기법보다 사고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활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존 케이지의 「4분 33초」는 교과서에 많이 실려 있고 학생들에게 잘 알려진 곡이며, 관객을 작품의 주제로 활용하여 현장예술, 참여예술의 측면이 강조되어 있어 예술의 본질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연성음악을 감상하고 직접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고 사고력 향상과 모둠별 활동을 통한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미니멀음악은 가장 최근의 경향이나 8종의 어느 교과서에도 이에 관한 언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니멀음악은 새로운 요소가 아니라 역사 속에 있는 대위법적인 음악이나 돌림노래, 작은 패턴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캐논, 샤콘느, 파사칼리아, 주제를 변형시키고 발전시키는 변주곡에서 엿볼 수 있다. 제시되는 방식이나 패턴의 발전 변형과정은 다르지만 역사속의 음악들과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 나가면서 학생들은 전체적인 음악의 흐름을 알 수 있게 된다. 스티브 라이히의「Drumming」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하는 움직임 안에서 학생들이 직접 리듬을 연주해보고 신체 타악을 활용하는 수업을 통해 모든 학생들이 쉽게 음악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음악적인 지식이 없는 학생들도 쉽게 연주기법을 익혀 소리 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 제시된 세 가지 사조와 각각의 제재곡들로 인해 학생들은 1945년 이후의 서양음악에 대해 이해하고 직접 체험하고 연주하는 기회를 통해서 현대음악에 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음악에 대한 자신감, 창의력 등을 심어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1945년 이후의 현대음악과 관련한 음악교육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어 현대음악 지도에 있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이 되어 다양한 활동 영역에서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수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시각과 방안들에 대해 생각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서는 현대음악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의 시대적ㆍ문화적 상황을 알고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 문화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미적 감각과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갖출 수 있을 것을 기대 해 본다.

      • 통합적 접근방법을 이용한 현대음악 지도방법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백희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현대 작곡기법을 이용한 창작 지도방법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백 희 진 음악은 사람의 느낌과 생각을 소리를 통해 표현하고 예술적인 아름다움이나 감동 등을 음미하고 즐기는 예술로, 사람은 음악활동을 통하여 미적 경험과 즐거움을 얻고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게 된다. 또한 음악은 사회 문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각 세대의 음악가들은 저마다의 예술적 사고를 가지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통의 고정관념과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나날이 급변하는 다양성의 시대로 변화하였다. 더욱 빠르게 변화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음악양식이 탄생함에 따라 교육과정도 변화하게 되어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하여 창의성을 계발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며 생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이처럼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현재 음악교과서에서 현대음악과 관련된 작품이나 내용의 비중이 무척 적은 실정이다. 현대음악은 시대에 따라 새로운 기법이 탄생하여,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것을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여 상상력과 독창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교육방법이다. 학생들이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실험적인 음악을 접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의 존재함을 알고 자신만의 새로운 음악을 창작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겨 미래의 창조적인 학생으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조성음악만을 가르치려하기 보다는 현대음악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현대음악을 소개하고 가르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기존의 8종 교과서와 개정된 3종 교과서의 현대음악 영역별의 빈도수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각 시기별로 작품을 선정하여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이해 영역을 통합하고 개별 학습과 모둠 학습을 적절히 혼합하여 효율적인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정된 음악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대의 현대음악을 경험하려는 노력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다양한 기법을 생활 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 음악교육을 기대해본다. A Study on Creation Teaching Methods by Means of Contemporary Composition Techniques - With the First Grade High Schoolers As the Subject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A Major of Music Education BAEK, Huijin Music is an art that expresses a person's feelings and thoughts with sounds and delivers artistic beauty and deep emotions. Humans encounter aesthetic experiences and joy through musical activities, and develop musical talents and potential creativity. In addition, music is a reflection of social cultures. Musicians in each generation possess their own artistic thoughts and pursue things new trying to get out of fixed ideas and customs as time passes. Such drastic changes now come to the contemporary trend of variety. As changes in the society become faster, more various music styles have been born and curriculums have been changed accordingly. Thus, it has become the aim of music education to help students experience music of various eras and cultures so that they can develop creativity and abilities of appreciation in daily life. While curriculums aim at teaching music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relatively little importance is put on works and contents related to contemporary music in music textbooks. Contemporary music is a teaching method appropriate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creative and experimental activities and enhance imagination and creativity with new techniques of the time. As students experience new experimental musics, they realize that there are various styles of music and come to desire creating their own music, which will help them grow as a creative stud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eachers need to consistently develop ways to effectively teach comtemporary music, rather than teaching tonal music that students are familiar with, in introducing and teaching contemporary music. This study examines the number of pieces of contemporary music in each area in existing 8 textbooks and 3 revis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selected are works in each time, integrated are the area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and combined are individual learning methods and comprehensive learning methods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pla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fforts in music education to present contemporary music from various eras, rather than pursuing a limited range of music,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ques in daily life.

      • 고등학교 1학년 음악수업의 현대음악 감상지도 방법 : 스트라빈스키 (Igor Stravinsky)「봄의 제전」에서 리듬을 중심으로

        이돈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음악 학습은 학생들에게 창의력과 사고력을 길러주며, 예술적 표현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음악세계에 대한 안목을 더욱 넓혀주어 풍요로운 음악적 삶을 영유할 수 있게 해준다. 무엇보다도 현대음악의 실험성과 다양성 및 창조성은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도울 수 있고 그에 따른 음악활동은 창의성을 계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현대음악에 접근하기는 쉽지 않지만 현대음악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동 시대의 정신 사조를 대변해줌으로써 이것을 학습시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대음악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다양한 개념적 이해와 활동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이것의 낯선 음향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감상학습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 현대음악과 미술의 연계성을 통한 고등학교 감상영역 지도방안연구 : 인상주의, 표현주의, 원시주의를 중심으로

        이자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0세기에 들어오면서 급격하게 발전한 물질문명의 변화는 사회를 비롯한 문화의 전반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며 격변기를 맞이하게 된다. 수세기 동안 확장되어 거대해진 서양음악 양식은 20세기 초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적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20세기의 음악은 한 시대를 규정짓는 일련의 특징을 가지기 보다는 개성을 가진 다양한 양식들을 추구하여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다양성의 시대로의 대전환을 이룬다. 현대음악이 당시의 사회상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분야와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함께 발전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현대음악을 바르게 이해하고 교육적 가치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범시대적, 범문화적 관점에서의 학습이 고려되어야 하며, 시대에 부응하는 창의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현대음악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대음악의 근간을 이루는 현대미술과의 연계성을 통해 현대음악과 현대미술의 공통된 특질을 찾아보았다. 또한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8종 교과서의 현대음악 감상곡의 수록곡을 가지고 실제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대음악을 대표하는 인상주의, 표현주의, 원시주의의 작품 중 1곡씩을 선정하여 각 사조의 회화가 지니는 이론적 배경과 함께 2차시의 수업지도안을 단계적으로 구상하였다. 수업에서 다룰 제재곡은 드뷔시의「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쇤베르크의「달에 홀린 삐에로」, 스트라빈스키의「봄의 제전」으로 실제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작품과 평가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위의 내용에 따라 본 연구자는 교과서 내 균형적인 제재곡의 수록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행위를 도모하고,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의 제고 및 지도력 향상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하여 종합적 음악성의 함양을 지향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참된 음악의 가치를 깨닫고 예술적 독창성을 향유할 수 있는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음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심미적인 체험이 요구되며 더욱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수업모형설계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being more developed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t brings such an impact which is not only influencing the culture but the society as whole, the material civilization has faced a sudden dramatic change. For the centuries, Western music style has expanded in greater size and various musical attempt was made by the composers in early 20th century. Therefore, Music of the 20th century has transformed to an era which is pursuing variety of uniqueness and creative diversity rather than defining the set of characteristics of its own. In a view that modern music was developed not only with the society but also with the organic relationship in many other arts shows, to fully understand and learning the educational value of modern mus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an-epoch and pan-cultural approach to meet the needs of creative education. For this reason, this thesis first consid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dern music. Then,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contemporary art which is the foundation of modern music, the thesis tries to show the common features between modern Music and modern art. And also with the listed appreciation music in 8 kinds of primary education textbooks from 7th educational course, thesis presents substantial teaching method. Freshmen of the high school were the target and by selecting one song from each Impressionism, Expressionism and Primitivism, the thesis tries to draw gradual map of each featur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it. The songs which will be covered in class are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 of Achille Claude Debussy, "Pierrot Lunaire op. 21" of Arnold Schoenberg and "The Rite of Spring" of Igor Fedorovich Stravinsky. And these are the songs which are practically being able to teach in school. Moreover, concrete evaluation sheet is also included in the thesis. According to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I as a researcher, try to set a plan in building synthetic musicalit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selecting balanced music for the textbook,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ability of teacher about modern music and relation with other school are suggested. If realizing the true value and enjoying the artistic originality through education to be happened. It will be in need of correct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also more efficient teaching model for class has to be developed.

      • 20세기 후반 현대음악을 활용한 고등학교 음악과 수업지도안 : 구체음악, 전자음악, 음향음악, 우연성음악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Concrete Music, Electronic Music, Sound Music and Chance Music

        김민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해 왔다. 특히 20세기 현대에 들어서는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그 어느 때 보다도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관습을 벗어나 더욱 새롭고 독창적인 음악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다양한 음악 양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서양음악의 가장 큰 전통적 양식이었던 조성음악이 붕괴되고 음 소재가 확장되었으며, 전자기기를 활용한 전자음악이 등장하는 등 현대의 음악 양식은 저마다 개성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현대음악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시대를 이해하는 안목을 기르고, 현대음악이 가진 음악적 특성을 통해 창의성, 사고 역량 등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현장은 고전과 낭만시대와 같은 일부 제한된 시대의 음악을 주로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교과서에서도 현대음악의 다양한 작품을 제재곡으로 다루고 있으나 다른 시대의 음악에 비해서는 그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러한 현실은 교사와 학생들로 하여금 현대음악에 대한 접근을 낯설게 하고 더 나아가 현대음악 학습의 부재, 서양음악의 학습과정 중 시대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재고하며, 현대음악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이며, 제재곡은 현대음악의 다양한 사조 가운데 20세기 후반의 경향인 구체음악, 전자음악, 음향(음색)음악, 우연성음악 작품가운데 교과서에 실린 곡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20세기 후반의 사조를 선택한 이유는 아방가르드 음악으로 대표되는 이 시기 음악의 특성이 학생들의 음악적 사고를 확대시키고 창의성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현대음악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이 현대음악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현 시대를 이해함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sic has been developed with a lot of changes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ime. Especially, music went through more rapid changes than ever before in the 20th centur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advancement in science technologies. Composers sought fresher and more unique music escaping from traditional customs and as a result, a variety of musical styles were created. Tonal music, which was the biggest traditional style of western music, collapsed, materials of sound expanded and electronic music using electronic equipments appeared. This displays that musical styles of modern times have their ow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eaching students about this contemporary music is very significant in education, since this helps in developing an ability to understand the same age, and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y, based 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usic. However, music education in Korea mainly puts emphasis on music of some limited ages, such as the Classical age and the Romantic age. Though textbooks include diverse works of contemporary music, the proportion is extremely low, compared to music of other ages. This may make teachers and students become unfamiliar with modern music and lead to an absence of modern music learning or the severance of age during contemporary music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and to suggest a teaching guidance plan using contemporary music. The class targets first-year students in high school and among various trends of contemporary, concrete music, electronic music, sound(tonal) music and chance music that are explained in textbooks, were chosen as musical pieces for this study. The reason why the trends of the late 20th century were chosen is music of this age is useful in expanding musical thinking of students and developing creativity.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learning contemporary music would arouse interest in modern music and help in developing a capability to lead the future by understanding modern times.

      • Luigi Nono『중단된 노래(Il canto sospeso)』의 분석 및 감상 지도 방안 : Ⅵ악장을 중심으로

        서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는 급격한 변화에 맞추어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삶과 같이 음악예술 또한 많은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음악사에서 바로크와 고전, 그리고 낭만 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음악이 등장하기까지 음악은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과 서로 다른 사회적 관습과 신념 및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 현대의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현대음악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즉, 현 시대에 일어났던 사회적 운동 또는 정치를 이해하지 않고는 현대의 예술을 참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이렇듯 각 시대의 속성들은 각 음악의 특수성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현대음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12음 기법은 새롭게 시도된 기법으로 당시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후 베르크와 베베른을 거치면서 12음 기법은 음고 뿐만 아니라 음색, 강도, 음가, 리듬 등의 요소까지 확대한 이른바 전음열기법을 탄생시킨다. 이러한 전음열기법에 기본을 두고 Nono는 작품 <중단된 노래>에서 전음열기법을 변화, 발전시켜 자유롭게 적용하였다. Nono는 작품을 통해 현대음악의 전위적인 음악어법과 함께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현실 참여적 음악의 성격이 잘 드러나도록 발전시켰고, 가사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어 인성의 기악화에 무게를 두었다. 또한 가사의 내용에 따라 악기와 합창을 분리시켜 배치하다가 나중에는 작품 속에서 살인자와 희생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 등 음악이라는 요소 안에서 많은 사건과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징적으로 계속하여 나타났던 점은 다음에서와 같이 볼 수 있다. 첫째, 중심부를 기점으로 음가나 다이나믹 그리고 음열에서까지 대칭되는 부분을 많이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독특한 음향 효과를 위해 가사를 세분화하여 모음과 자음을 각각의 다른 성부에 배치시키는 등 다양한 표현을 위해 과감하게 시도하는 점은 이 후 후대 작곡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하여 선정된 <중단된 노래>의 감상 지도 방안은 단순히 듣기 활동에서 나아가 새로운 음악기법에 대해 익히며 현대음악이 가지는 특징 및 음악 외적 요소인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교 음악교육을 통하여 인간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 활동을 전개하고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음악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음악 학습의 단계별 지도 방법을 정하고, 각 단계에 따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감상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관련 지도방법을 통해 현대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고 의견을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였다. 둘째, 음악 외적 관련 지도방법으로 작곡가 Nono의 생애 및 작품이 쓰여진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악보관련 지도방법으로 가사의 내용을 이해하고 가사를 통해 인성과 오케스트라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구조 및 구성요소 관련 지도방법으로 <중단된 노래>에서 쓰여진 작곡 기법인 전음열을 이해하고, 피보나치 수열이 어떻게 변형되어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예를 찾아보며 전체적 악곡 구조와 구성 요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종합적 이해능력을 평가하는 단계로써 전체 악곡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며 비판적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생들이 학교 음악 수업에서 현대음악을 감상할 때 새로운 음악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음악 내적 요소뿐만 아니라 외적인 부분까지 이해할 수 있는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본 지도 방안이 다른 현대음악 제재곡의 지도에도 적절히 활용되어 보다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수업이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