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전략 연구

        주주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재 세계적으로 정보사회의 발전과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시니어들의 의료 문제가 대두하면서 사회 및 경제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니어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고령화 문제가 점점 더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과학 기술 수단은 시니어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제공한다. 현재 시장에서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출시하였지만 신체 기능과 인지 능력이 저하되는 시니어 사용자에게 제품이 실제로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에 60세 이상의 중국 시니어를 대상으로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수용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모형 결과에 따라 디자인 전략을 제시했다. 기술수용모형은 새로운 정보기술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 행동과 태도를 연구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새로운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수용모형의 연구 대상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수용모형은 명확하고 간결한 이론과 엄격한 구조, 높은 효율성과 신뢰성, 변수 설정의 유연성 등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기술수용모형을 사용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분석했다. 먼저,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수용모형에서 디자인 요소와 사용자 인식의 구성 내용을 파악했다. 이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표본 검증 연구를 진행하고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수용모형에서 디자인 요소와 사용자 인식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가중치 분석을 통해 각 디자인 요소에서 사용자 수요의 우선순위를 분석했다. 그리고 수요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모형 결과와 디자인 요소의 가중치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응용을 통해 디자인 전략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수용모형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기능성이 유용성, 사용 편리성, 즐거움을 주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품 기능성 측면에서 유용성 인식은 건강의 모니터링 기능, 사용 편리성 인식은 조작 단계의 감소, 주요 기능의 강조, 기능 개수의 간소화에서 나타난다. 제품 기능의 쾌락성은 제품의 유용성과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품 심미성은 제품의 심미적 측면에서 인간공학에 적합하고 시니어의 신체적 정보, 인간과 기계 특징, 행동 습관, 제품의 각 기준 간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사용자 인식을 높일 수 있다. 사용 즐거움의 인식은 사용자가 제품의 미적 경험에서 감정적 쾌락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시니어의 미적 욕구와 선호도를 파악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시니어의 일상생활에서 제품의 사용 환경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미적 수요와 선호도를 파악하며 관련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셋째, 제품 상호작용성이 사용 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품 상호작용 측면에서 인터페이스 요소와 구성의 최적화. 간단하고 배우기 쉬운 인간과 기계의 인터액티브 방식, 합리적인 정보 구조, 정보 피드백의 강화, 간결하고 편리한 웨어러블 앱을 통해 사용 편리성의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제품 호환성이 편리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품 호환 측면에서 일상생활과 호환되고 사용 시 생리적 불편함을 해소하며 기기와 시스템 간의 원활한 호환을 이루는 것은 사용 편리성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가 있다. 시니어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수용모형의 개발은 향후 시니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디자인 전략을 제공하고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였다.

      • 개인의료기기의 표준화를 위한 헬스케어 프로파일 어댑터 설계

        조영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헬스케어 산업에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되면서 홈 헬스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이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이 자체 프로토콜을 가지는 비표준 의료기기와 비표준 매니저를 활용하거나, ISO/IEEE 11073 표준을 따르는 개인의료기기와 표준 매니저를 함께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표준 개인의료기기의 표준화를 위한 헬스케어 프로파일 어댑터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표준 의료기기와 표준 의료기기 간 통신을 가능케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자체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비표준 의료기기와 ISO/IEEE 11073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하여 프로토콜을 변환시켜주는 ZAM을 제안하고, 이와 ZigBee HC Profile로 통신하는 ZCM 및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정상적인 사용에 지장이 없다는 것을 응답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Recently, smart healthcare industry is growing rapidly because of the fusion of the healthcare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lso with the growth of healthcare industry, many kinds of services and systems are being studied. And almost all studies utilize non-standard PHD and non-standard manager, with it's own protocol, or they utilize the ISO/IEEE 11073 standard PHD and standard manager togeth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healthcare profile adaptor for standardization of non-standard PHD and propose the healthcare system to enable the communication between non-standard PHD and standard PHD by it. For this communication, we propose ZAM for conversion of the non-standard protocol to the standard protocol and also propose ZCM and gateway for communication with the ZAM by ZigBee HC Profile. Finally, we verify the no system interfere with normal use, by response time test.

      • 노약자를 위한 행동인식 기반의 능동형 헬스케어 시스템

        고설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인 문제에 대한 대책이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의식에 의한 자신의 신체를 제어할 수 없는 노인을 보호하는 또 다른 직업군이 필요로 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자제력이 없는 노인을 무인으로 감시하고 보호하는 능동적 헬스케어 시스템(Healthcare System)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목적을 둔다. 그 방법으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노약자들의 상체 기울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약자들의 자세와 행동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정상적 행위에 벗어나는 이상 행동을 포착하고 돌발 사태에 대비하는 능동적인 보호 장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노약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있을 센서 모듈(무선 송신 부 포함), 센서로부터 무선으로 기울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헬스케어 서버 모듈을 구현하였다. 헬스케어 서버 모듈은 데이터 수신 부분과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자세 및 행동을 추정하는 행동 판단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구현된 센서 모듈은 피 실험자에게 부착한 후 실제 기울기 데이터를 전압 값으로 헬스케어 서버 모듈에 전송한다. 서버 모듈은 행동 판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자세와 행동 정보를 추출한다. 추가적으로 노약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욕창 방지 기능 및 빈혈 혈압에 의한 쓰러짐 관리 기능을 개발한 후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황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센서 모듈은 노약자가 항상 몸에 지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필수 조건이다. 또한 시스템은 노약자와 헬스케어 서버 사이에서 능동적인 정보 전달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센서 모듈의 소형화, 경량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병원, 실버타운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직접 적용될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간호인이 다수의 노약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에도 초점을 두었다. 병원, 실버타운과 같은 서비스 산업은 노약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의무가 있다.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약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이 정보를 활용하여 더욱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s a system which analyzes postures, and behavior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tilt data collected in a hospital and silver town using a tilt sensor. The sensor module including RF(Radio Frequency) transmitter module, which is always attached on the elderly' body, and the health-care server module, which receives the tilt data, and analyzes it from sensor module, have been actualized. Actualized sensor module sends the measured tilt data to the health-care server module after it is attached on subject's body and the server module analyzes out postures and behaviors from the data sent by behavior inference application. In addition, after it analyzes specific behaviors of the elderly, it is applied to the system so that it can be detected. Miniaturization, and lighter-weight are necessary to the sensor module in this paper because it is supposed to get attached on the elderly's body all the time. Furthermore, the system should transfer the right information actively from the elderly to the server module. In this paper, especially miniaturizing and making the sensor module lighter-weight are focused for the elderly'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of the system is improved, in order that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service industry, such as a hospital and silver town that are responsible for offering a high quality service to the elderly. If the system is able to get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out invading their privacy, they can offer a higher quality service.

      • 기대일치모델을 적용한 디지털헬스케어 앱의 품질과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모바일 건강관리 앱 중심으로

        김지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디지털기기의 사용량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모바일 건강관리 앱이 등장하였다. 디지털기기를 활용한 건강관리는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관리도 가능하게 하였으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모바일 앱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규모가 증가되고 있음에 따라 모바일 건강관리 앱을 통해 개인 스스로 건강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되며 디지털헬스케어 앱 시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을 파악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관리 앱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디지털헬스케어 앱 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 요인을 파악하고 기대일치모델을 활용하여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을 위해 2024년 4월 1일부터 2024년 4월 8일까지 모바일 건강관리 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372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행태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은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로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은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라고 명명하였고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과 지각된유용성의 관계로 시스템품질을 제외한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 지각된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과 기대일치의 관계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요인 전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대일치는 지각된유용성, 앱 품질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유용성도 앱 품질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앱 품질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을 도출하고 모바일 건강관리 앱 품질이 지각된유용성, 기대일치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앱 품질 만족으로 이어져 지속이용의도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모바일 건강관리 앱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고객의 긍정적인 사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헬스케어 앱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헬스케어 산업의 물류 자동화 적용에 관한 연구 : 탐색적 질적 연구 : 헬스케어 기업 인터뷰

        곽한나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헬스케어 산업은 물류 및 공급망 관리에서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도전 과제로는 헬스케어 제품의 복잡한 유통 구조, 노동 집약적인 물류 운영, 낮은 물류 자동화 도입 율 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통해 헬스케어 부문에서 물류 자동화의 적용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3개의 다양한 헬스케어 기업(제조업체/수입업체 3곳, 도매업체 2곳, 병원 3곳, 의원 2곳, 약국 2곳)의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인터뷰는 현재의 물류 프로세스, 물류 자동화의 정도, 물류 자동화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여 물류 자동화 적용 방향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헬스케어 기업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회사 규모에 따른 주문량과 재고 수준을 고려한 물류 자동화 도입 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A Study on Application of Logistics Automation in Healthcare Industry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 Healthcare Company Interviews Hanna Kwak Department of Global Logistics The Graduate School of Glob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Chung-Ang University The healthcare industry faces a situation that necessitates innovative solutions to enhance efficiency and accuracy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Challenges include the complex distribution structure of healthcare products, labor- intensive logistics operations, and the low adoption rate of logistics auto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logistics automa- tion in the healthcare sector through an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 dology.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key stakeholders from a total of 13 different healthcare companies, including 3 manufacturers/importers, 2 whole- salers, 3 hospitals, 2 clinics, and 2 pharmacies. These interviews aim to gain insights into the current logistics processes, the extent of logistics automation, and perceptions of logistics automation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logistics automation appl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takeholders in healthcare companies with criteria for the introduction of logistics automation, taking into account order volumes and inventory leve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Key words: Logistics automation, Healthcare industry, Qualitative exploratory research, Interviews, Logistics automation direction map

      • 헬스케어 산업생태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창운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According to the model of behavioral psychologist Abraham Maslow, the healthcare industry has the most basic, social infrastructure, and public good characteristics that can satisfy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needs. And, according to Michael, G. Jacobides, the present is the era of the Ecosystem Economy. In the mid to long term, the fate of individual companies in the ecosystem may change depending on the outcome of wars between ecosystems. However, since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scope of the ecosystem differ from person to person and there is no advantage in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the ecosystems of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and compares them with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1)As i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indicators of Industry ecosystems are defined by Moore, J. F. and Iansiti, M. and Levien, R. 2)The scope and unit of the Industry ecosystem were set as 23 industries(medium classification) of the 10th KSIC Manufacturing(large classification). 3)The research data of the Industry ecosystem was prepared based on the same standards for all industries, and the statistical data with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selected, while the analysis results using time series data for more than 10 years including the recent year for trend comparison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niche creation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niche creation_input_R&D investment ranks in the top 5, niche creation_process_patent ranks in the top 11th, niche 9creation_process_intellectual property ranks in the top 5, niche creation_output_export ranks in the top 31st out of 64 SITC items. Second,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the robustness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robustness_Input_new entrants ranked in the top 22, robustness_process_surviving companies ranked in the top 22nd, and robustness_process_exit companies ranked in the top 2nd, robustness_output_sales are in the top 18th position. Third,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the productivity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productivity_input_gross value-added to total assets is in the top 12,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 is in the top 4, and productivity_output_ROA is in the top 3. In conclusion, when 23 Industry ecosystems based on the KSIC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research data, niche creation_input_R&D investment(top 5), niche creation_process_intellectual property(top 5), robustness_process_exit companies(top 2),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top 4), and productivity_output_ROA(top 3) sectors are judged to be competitive in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and niche creation_process_patent(top 11), niche creation_output_export(top 31/64), and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top 12) occupy an intermediate posi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Robustness_input_new entrants(top 22nd), robustness_process_surviving companies(top 22nd), and robustness_output_sales(top 18th) sectors are judged to require expansion of competitiveness in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전 세계가 코로나 팬데믹에서 경험했던 바와 같이 사람들은 안전이 확보된 이후에야 사회경제적 활동을 위해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헬스케어 산업의 사회적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커질 것이고,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갖춰 나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기적으로는 개별 기업 단위의 성장이나 경쟁력 확보도 가능하고 중요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생태계 간 전쟁의 결과에 따라 생태계에 속한 개별 기업의 운명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생태계 경제(Ecosystem Economy)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른 산업들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생태계의 개념 정의와 범위가 사용하는 사람마다 달라 이를 서로 비교하는 이점이 없으므로, 본 연구는 동일한 기준과 잣대로 산업들의 생태계를 들여다보고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와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1)선행 연구들과 같이 산업생태계의 개념과 평가 지표는 Moore, J. F.와 Iansiti, M. and Levien, R.의 정의에 따르고 2)산업생태계의 범위와 단위는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제조업(대분류)의 23개 산업(중분류)으로 설정하여 비교 기준의 통일성을 확보하였으며 3)산업생태계의 연구 데이터 역시 전체 산업에 대해 동일한 기준과 잣대로 작성되고, 데이터의 신뢰성도 담보된 법정 통계 자료들을 선택하는 한편 중장기적 추세 비교를 위하여 최근 연도를 포함한 10년 이상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혁신성은 R&D투자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허권 확보나 수출 확대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헬스케어 산업의 특허는 튼실한 기초연구가 토대가 되어야 가능하고, 헬스케어 분야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극히 보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임상을 거쳐 안정성이 확보된 이후에야 의료기관들이 자유롭게 채택,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혁신성 있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국내외 판매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산업생태계의 신규진입기업 수는 한 나라의 출생률(Birth Rate)과, 퇴출기업 수는 사망률(Death Rate)과, 존속기업 수는 경제활동인구(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와 개념과 의미가 비슷하며, 저 출산과 고령화로 15세~64세의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인구절벽(Demographic Cliff) 현상으로 전 세계가 고민하고 있다.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강건성을 살펴보면 인구절벽과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으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헬스케어 기업들의 매출 역시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전 세계가 인구절벽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인간을 대체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 등의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하듯, 헬스케어 산업과 기업의 육성 및 기술개발에 필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부의 중장기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이 필요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건성이 필요하며,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혁신성이 필요하다. 즉 생존, 지속가능성 및 성장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은 생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생산성은 투자된 총자본이 1년 동안 어느 정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자본생산성(Productivity of capital)은 평균 수준이지만 생산과정의 전반적인 효율성 향상을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or Multifactor Productivity)과 총자산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손실을 만들어 냈는지를 나타내는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은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결론적으로 23개 산업생태계를 기준과 잣대가 통일된 연구 데이터로 상대 비교하였을 때 혁신성_Input_R&D투자(상위 5번째), 혁신성_Process_지식재산_산업재산권 보유/활용(상위 5번째), 강건성_Process_퇴출기업(상위 2번째), 생산성_Process_생산성(상위 4번째), 생산성_Output_수익성(상위 3번째) 부문은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며, 혁신성_Process_지식재산_특허권 보유/활용(상위 11번째), 혁신성_Output_수출(상위 31번째/64개), 생산성_Input_생산요소 투자(상위 12번째) 부문은 중간 위치를 점하고 있어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경쟁력 유무를 판단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강건성_Input_신규진입기업(상위 22번째), 강건성_Process_존속기업(상위 22번째), 강건성_Output_매출(상위 18번째) 부문은 헬스케어 산업생태계 경쟁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 건강관리서비스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연구

        정상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한민국의 GDP대비 의료비 지출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질의료비 증가율 또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보험사의 손해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건강보험 재정은 악화 및 가계의 의료비 부담은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적 의료패러다임은 사후적 치료에서 사전적 관리(예방)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헬스케어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동이 건강상태(만성질환 수)와 의료비 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보험사의 헬스케어서비스 시장 진출 필요성과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균형패널자료를 고정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운동을 하는 사람은 향후 의료비와 만성질환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민영보험이 건강보험상품에 헬스케어서비스 기능을 가미할 경우, 예방을 통한 의료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보험회사는 고객이 건강할 경우, 건강보험 상품 자체의 손해율이 경감되기 때문에 헬스케어서비스를 다른 경제주체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다만, 국내 보험회사들의 헬스케어서비스는 주요국의 보험회사들에 비해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보험회사는 동질의 헬스케어서비스를 가장 낮은 가격으로 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보험회사의 헬스케어서비스 시장에의 진출을 적극 장려해야 하며, 보험회사 스스로도 더욱 적극적으로 다양한 헬스케어서비스를 개발·제공해야 한다.

      • IoT 기반의 스마트 헬스케어 적용 및 사례분석

        홍수형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smart healthcare services capable of healthcare and medical services are increasing anytime, anywher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implementation examples of IoT-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and healthcare monitoring devices, and examined the definition, configuration, and devices of IEEE 11073 PHD, an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or personal health devic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ases applied to the medical service and the medical industry, we looked at the problems at hand and sought ways to develop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Given the trend of smart healthcare industry and overseas development case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or smart healthcare develop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mart healthcare companies and to enter overseas markets. Seco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ithin the scop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 웨어러블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상중 동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하여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측정에 대한 외부의 자각 없이 자유스러운 생활 속에서 측정 가능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환자로부터 산소포화도 데이터(산소포화도 값, 심장 박동수, PPG 파형)를 측정하기 위해 저전력, 초소형의 웨어러블 펄스 옥시미터를 구현하였으며, 웨어러블 펄스 옥시미터는 반사형 프로브, 산소포화도 모듈, 그리고 무선 센서 노드로 구성된다. 산소포화도 모듈과 프로브는 ATmega128L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3V 전원에 적합하도록 제작하여 측정하였으며, TinyOS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무선 센서 노드는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패킷을 구성하여 서버 PC에서의 모니터링과 데이터 처리 및 저장을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서버 PC에서는 LabVIEW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된 산소포화도 데이터가 실시간 모니터링 되며, PPG 파형의 2차 미분 분석을 통해 동맥혈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가속도 맥파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제 연령대별 실험을 통해 가속도 맥파에 의한 혈관 탄성도의 수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웨어러블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산소포화도 데이터를 모니터링과 가속도 맥파의 검출로 인한 혈관의 탄성도의 분석을 통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pulse oximeter based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f oxygen saturation from a patient, a small size and low power consumption wearable pulse oximeter was designed. Information of oxygen saturation collected by wireless sensor node was transmitted wirelessly to a base-station for storage and display purposes via wireless sensor network. Wireless sensor nodes were programmed by TinyOS application to perform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LabVIEW server program was designed to monitor information of oxygen saturation and process the measured PPG(Photoplethysmogram) signals to APG(Accelerated plethysmogram) signals by appling second order derivatives. PPG signals are simple and cost effective technique to measure blood volume change. As an application of PPG technique, the second derivative of PPG was introduced for monitoring arterial condi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APG signals can precisely describe the features of an individual’s PPG and be used as estimation of vascular elasticity for blood circulation.

      • 헬스케어 산업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행동 조사

        유성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헬스케어 산업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으며 전 지구 온도상승은 인간 건강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건강과 직결된 기후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개인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인의 의식과 가치를 높이고 전문적인 책임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본 연구는 헬스케어 산업 전문가들의 기후변화 인식과 대응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소속기관 유형별과 연구 분야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헬스케어 산업 전문가 1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헬스케어 산업 전문가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아 기후변화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소속기관 유형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 .05) 연구 분야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p< .05). 둘째, 헬스케어 산업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행동을 소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대응행동은 소속기관 유형별 및 연구 분야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셋째,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ESG 경영 관련 대응행동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r= -.430)를 갖고 있으며 기후변화 인식과 보건의료시설 관련 대응행동에서도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r= -.435)를 보였다(p< .001). 이를 통해 헬스케어 산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기후변화에 초점을 맞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아울러 헬스케어 산업 전문가를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한다. The healthcare industry,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growth industry, emits greenhouse gas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rising global temperatures are also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human health. The fundamental solution to climate chang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health, is to identify the level of individual awarenes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to help raise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valu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hav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action of healthcare industry experts on climate chang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17 healthcare industry expert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action, as well as the different awareness from several types of institution and research field. Firstly, th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mong healthcare industry experts was relatively high, indicating that they were well aware of climate change. The level of climate change awareness did not show differences by type of institution(p> .05) but there was differences by research field(p < .05). Secondly, it was found that health care industry experts showed passive action to climate chan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imate change 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or research field(p> .05). Thirdly, the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ESG management related action have a distinct negative(-) correlation (r= -.430), and their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action related to health care facilities also have a distinct negative(-) correlation(r= -.435)(p< .001). Through this, it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cusing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climate change and strengthen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nd raise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on educational content for healthcare industry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