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숙아 합병증 발생과 혈중 활성 산화물 농도와의 관계

        김신혜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뇌실주변부 백질연화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이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및 조직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활성 산소와 세포 내 분자들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숙아와 정상 만삭아의 혈중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활성 산화물의 농도와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6주 이하의 미숙아 39명과 37주 이상의 정상 만삭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만삭아군에서 출생일 혈청 total hydroperoxide (TH)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숙아군에서는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삭아군과 미숙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하였고, 미숙아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혈액검사 소견, 뇌 초음파 및 뇌 자기 공명영상 소견, 임상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합병증이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window ver.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Ma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 로지스틱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0.05 로 하였다.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의 출생일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아군은 평균 186± 42 U.carr/L, 만삭아군은 157± 36 U.carr/L로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7). 미숙아군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의 출생일과 생후 7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출생일에는 합병증군 211± 37 U.carr/L, 비합병증군 168± 36 U.carr/L로 합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3), 생후 7일에는 합병증군 205± 64 U.carr/L, 비합병증군 188± 32 U.carr/L로 합병증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724).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과 정상 만삭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80).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인 재태주령, 5분 Apgar 점수, 동맥혈 가스검사의 PH, 출생일 TH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재태주령(Odds ratio 0.586, 95% CI 0.370-0.927, P=0.022)과 TH 농도 (Odds ratio 1.046, 95% CI 1.010-1.085, P=0.013)가 독립적으로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였다. 합병증이 발생한 미숙아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나 만삭아에 비해 출생일 혈청 TH의 농도가 높으며, 미숙아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는 미숙아 합병증 발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Total hydroperoxide (TH), free radical-mediated oxidation product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ree radical injur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e if preterm newborns are at increased risk for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term newborns, and to determine whether oxidative stress during postnatal first 1 week is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Serum TH levels of preterm infants (n=39)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erm infants (n=24) on the postnatal day 1. Among the preterm infants, serum TH levels of uncomplicated group (n=23)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complicated group (n=16) who developed oxygen radical related diseases on the postnatal day 1 and 7.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risk factors for oxygen radical injuries based on birth history, laboratory data, neuroimaging findings and clinical progress in two preterm groups.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were higher in the preterm infant group than the term infant group.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in the complicated preterm infa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uncomplica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H levels on postnatal day 7.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TH levels between uncomplicated preterm infants and term infants. Serum TH level on postnatal day 1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er morbidity after adjusting for gestational age, Apgar score (5 min), arterial blood gas analysis. Complicated preterm newborns are at increased risk for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uncomplicated newborns and term newborns. Oxidative injury during the prenatal or postnatal day 1 is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in preterm infants. Elevated TH levels on postnatal day 1 may have a value to predict clinical outcomes in preterm infants. Key words : Preterm, Oxygen radical disease, Total hydroperoxide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들의 당뇨병성 합병증에 대한 국민건강보험 진료비 연구

        조동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당뇨병은 지난 수십 년 간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과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가를 막론하고 공중 보건 문제 가운데 우선순위로 다뤄지는 중대한 사회적 유행병(social epidemic)이다. 당뇨병은 그 자체보다는 이로 인해 야기되는 합병증이 문제가 되며, 이러한 합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에 기여하고 국가 전체의 보건재정에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에서 합병증이 가져오는 국민건강보험 진료비의 규모를 확인하고 합병증 조절과 예방의 중요성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환자표본청구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로써 총 의료비(Sum All Medical) 접근법으로 포괄적 비용 산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된 명세서를 바탕으로 1년간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들 가운데 당뇨병을 주상병으로 가지는 환자이며, 합병증 동반 유형을 주요 관심 변수로 보아 환자를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인구사회적 특성 및 의료기관 내원 빈도, 세부진료내역 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연간 1인당 진료비 산출 시 하위항목으로 환자의 인구사회적 특성변수와 의료기관 특성 변수를 두었다. 분석에는 t-test와 분산분석 및 카이제곱검정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국내 당뇨병 환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의 비율이 53.44%로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 분포로 보면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환자가 52.17%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환자수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건강보험 대상자가 전체 환자의 92.31%로 대부분에 해당하였다. 합병증 유형에 따른 당뇨병 환자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가 전체의 53.43%를 차지하였으며, 기타 합병증 단독과 기타합병증에 대혈관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군이 그 뒤를 이었다(18.74%, 15.24%). 대혈관 합병증을 단독으로 동반하는 환자는 전체의 11.26%였고, 미세혈관 합병증을 단독으로 갖는 환자가 1.09%,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을 모두 갖는 환자가 0.24%를 차지하였다. 합병증 유형별로 산출한 연간 1인당 진료비는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이 병존하는 환자에서 9,609,749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의 연간 1인당 진료비의 32.1배에 달하였다. 미세혈관 합병증을 단독으로 동반하는 환자에서 3,694,107원, 기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을 모두 동반하는 환자에서 1,710,196원, 대혈관 합병증을 단독으로 가지는 환자에서 1,587,316원, 기타 합병증 환자에서 477,359원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합병증이 없는 환자의 연간 1인당 진료비가 299,335원으로 가장 낮았다.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합병증 유형별로 소요하는 연간 1인당 진료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합병증의 발생으로 인해 크게 증가하는 비용 항목은 입원과 기타 및 검사 비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카이제곱검정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을 가지는 당뇨병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대혈관 합병증의 이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을 보였다. 살펴본 바와 같이, 당뇨병환자에서 당뇨병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함에 따라 진료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 개인의 가계 부담을 줄이고 나아가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어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과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Diabetes mellitus has been a priority in public health issues across all countries, with incidence and prevalence increasing steadily worldwide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Diabetes is problematic in terms of complication rather than itself, and this contributes to increased mortality from diabetes and causes excessive burden on the national health fina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care utilization and costs for complications caused by diabetes and to emphasize that it should be prevented and controlled adequately.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National Patient Sample (NP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This study conducted a macro costing with sum all medical approach and included patients with main diagnoses of diabetes mellitus between January 1, 2015, and December 31, 2015. Patients were classified under 6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lic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frequency of visits to the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cost for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 For the analysis, t-test,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Concern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males with diabetes mellitus was 53.44%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aged 40 to 65 years was 52.17% indicating major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al security, 92.31% of all patients corresponded to health insurance. Analysis of the patient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lication revealed that 53.43% of diabetic patients had no complications, followed by other complications alone (18.74%), both others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15.24%),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alone (11.26%),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lone (1.09%) and both microvascular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0.24%). The annual medical cost of diabetic patient with bo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major vascular complication was 9,609,749 won. Compared to patient with no complication, the cost of patient with both microvascular and macrovascular increased 32.1-fold. The annual medical cost of diabetic patient decreased in order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lone(3,694,107 won), both other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1,710,196 won),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lone(1,587,316 won), other complications alone( 477,359 won) and no complication(299,335 won). As a result of ANOV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groups. Cost for hospitalization was the dominant detail in annual medical cost.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consequence, diabetic patients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cidence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than those with no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s above, diabetic complications sharply raises the cost for treatment.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is very important in reducing the household budget and social cost in public health.

      • 제 2형 당뇨병 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의 관련성

        곽봉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당뇨병 합병증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연구는 혈당조절과 합병증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나아가 인구학적 특성, 건강상태 특성에 대하여도 밝혀지고 있으나 단면연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에 이환된 대상자가 이환된 후 치료를 시작하는 시기(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자격이 있는 대상자를 추적한 공단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만 30∼64세 성인 중 2004년부터 2007년 말까지 당뇨병에 이환된 대상자를 당뇨병 치료시작시기와 당뇨병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보정한 혼란변수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가족력이 있으며 사회 경제적 특성은 소득, 가입자구분, 건강상태 특성은 수축기 혈압, 공복혈당, BMI, 총콜레스테롤, 흡연여부, 음주여부, 주당 운동 횟수이다. 당뇨병에 이환된 사람 2,588명 중 829명(32.03%)이 2013년까지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당뇨병 치료시작군과 당뇨병 미치료군을 비교하였을 때, 여성, 연령이 높고 가족력이 있으며 직장피부양자일수록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수축기혈압과 공복혈당, 신체질량지수(BMI),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흡연을 하지 않고, 음주는 마시지 않을수록 당뇨병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당뇨병의 치료 시작 시기는 당뇨병 합병증이 있는 경우,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경우, 대혈관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 치료를 빠르게 시작하였다. 당뇨병 진단 시점부터 합병증이 발견된 사람이 47.29%였다. 혼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당뇨병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에는 1년 미만인 경우보다 당뇨병 합병증 Hazad Ratio가 0.48배(95% CI, 0.30-0.76)였다. 합병증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경우 치료 시작 시기에서의 공복혈당 수치가 정상인 군에 비하여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인 경우에는 합병증에 이환될 위험이 각각 1.59배(95% CI, 1.13-2.23), 1.72배(95% CI, 1.20-2.47)였다.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요인은 합병증 전체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일수록 높았으며, 음주를 매일 하는 경우는 위험도가 낮았다. 미세혈관합병증의 경우 연령이 50∼54세일 경우, 수축기혈압이 고혈압 1단계일 경우, 공복혈당이 126mg/dL이상일 경우에 위험도가 높았으며, 대혈관 합병증인 경우 남성,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에 의하여 당뇨병 관리는 공복혈당 조절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당뇨병에 이환되었으나 합병증이 없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당뇨병 치료 시작 시기와 합병증 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대규모의 코호트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or diabetic complications, erstwhile studies have so far been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glycemic control with complications. Some studies have dealt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but stood at the level of cross-sectional studies. At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with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ults aged between 30 and 64 who developed diabetes between 2004 and 2007 and were listed in the cohort sample databas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with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and diabetic complications. The corrected confounding factors were gender, age and family history; socioeconomic factors were income and insurance type. Health-related factors were sy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body mass index (BMI), total cholesterol, smoking, drinking and the weekly frequency of exercise. Out of 2,588,829 (32.03%) began to get treatment at least in 2013. Women, the elderly, people with family history and the dependents of employees with employer-provided health insurances accounted for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who began to get treatment, compared to people who did not begin. Moreover, people with higher systolic blood pressure or high BMI or a higher level of total cholesterol, nonsmokers and (virtual) nondrinkers made up a higher percentage of receivers. People with diabetic complications or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r macrovascular complications tended to get treatment earlier. In 47.29 percent, complications were detected soon after diabetes was diagnosed. The corrected confounding factors showed that the hazard ratio of complications was 48 percent (95% CI, 0.30 ? 0.76) higher in people who had not gotten treatment for at least 5 years than in ones who got treatment within one year. As regards diabetic complications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cidence rates were 1.59 times (95% CI, 1.13 ? 2.23) and 1.72 times (95% CI, 1.20 ? 2.47) higher respectively in people whose fasting blood sugar levels were measured at over 126mg/dL at the first treatment. Old age and a high fasting blood sugar level (over 126mg/dL) could be included in risk factors for diabetic complications. People who had drunk every day showed a low incidence rate. The incidence rate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was higher in people aged between 50 and 54 or ones whos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in stage I hypertension or whose fasting blood sugar levels were over 126mg/dL. The incidence rate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was higher in men and in elder people. The results show that controlling the fasting blood sugar level is important in diabetic control, and imply a need for a large-scale cohort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rting time for diabetic treatment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people who developed diabetes but did not get complications.

      •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 이후 발생한 담도계 합병증에 관한 비교

        김태협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목적: 간 이식 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은 비교적 흔하면서 이식 간과 환자의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담도계 합병증을 보고한 산발적인 연구들에 따르면 뇌사자 간이식술은 8~30%,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대부분 연구가 성인과 소아를 포함한 것이지만 6~23%로 빈도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뇌사자 간이식술과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직접적인 담도계 합병증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인데, 이에 비교적 많은 수의 사체, 생체 이식술이 시행되는 단일센터에서의 각 이식술에 따른 담도계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1992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된 간이식 수술 119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예들에서 사체, 생체 간이식술 종류와 담도계 합병증(담도 협착, 담즙 유출, 담도담석)의 빈도를 조사한 후, 합병증이 발생한 수술 예들에서의 담도 문합방법, 합병증 발생 때까지의 기간과 치료법, 경유두적인 접근을 하였을 때의 일차적인 치료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198예의 수술 중 161예에서 뇌사자 간이식술, 1,037예에서 생체 부분간이식술이 시행되었다. 이 중 374예(31.3%)에서 담도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뇌사자 간이식술은 15예(9.3%- 담도협착;12, 담즙누출;3, 담도담석;6, 6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359예(34.6%- 담도협착;330, 담즙누출;40, 담도담석;30, 41예는 2개의 합병증이 나타났다.)로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합병증이 의미있게 많았다(p<0.001). 합병증이 발생한 예들에서 담도 문합방법은, 담도-담도 문합과 담도-장 문합이 뇌사자 간이식술은 각각 15, 0예이었고,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각각 299, 140예(80예는 담도-담도와 담도-장 문합이 동시에 이루어졌다.)이었다. 뇌사자 간이식술은 수술 후 중앙값 33주째, 생체 부분간이식술은 중앙값 17주째에 합병증이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9). 뇌사자 간이식술 11예, 생체 부분간이식술 178예에서 합병증 치료를 위한 첫 시도로서 경유두적인 접근법이 선택되었고 일차적인 치료 성공율은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9예(81.8%)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53예(29.8%)로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성공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01). 결론: 간 이식수술 후 담도계 합병증 발생은 뇌사자 간이식술에 비해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합병증의 종류에 있어서는 담즙누출, 담도담석은 생체 부분간이식술과 뇌사자 간이식술에서 발생빈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담도협착은 생체 부분간이식술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담도계 합병증을 내시경적으로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생체 부분간이식술의 담도계 합병증이 뇌사자 간이식술의 경우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biliary complications (BC)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T) are common and affect the outcome of grafts and mortality of patients. According to scattered studies, the incidence of BC was 8~30% in cadaveric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DLT) and 6~32%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though studies of LDLT included adult and child. However, the direct comparison of BC among adults was rare, so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C after CDLT and LDLT in one center that many cases of LT has been performed. Methods We investigated 1,198 cases of LT that were performed from Oct. 1992 to Mar. 2006 in Asan Medical Center, Korea, retrospectively. After cases were divided into CDLT and LDLT, we compared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BC (biliary stricture, bile leak, biliary stone), the method of biliary anastomosis,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the treatment for BC, and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of transpapillary approach. Results In 1,198 cases, 161 CDLT and 1,037 LDLT were performed and BC was developed in 374 cases (31.3%). To be concrete, there were 15 BC (9.3%-biliary stricture;12, bile leak;3, biliary stone;6, 6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CDLT and 359 BC (34.6%-biliary stricture;330, bile leak;40, biliary stone;30, 41 cases had 2 complications) after LDLT; BC after LDLT wer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p<0.001). In the aspect of biliary anastomosis within BC cases, all 15 cases of CDLT performed duct to duct anastomosis (DD) while 299 cases of LDLT performed DD and 140 cases of LDLT performed hepaticojejunostomy (HJ) (80 cases were performed DD and HJ simultaneously). The median period of LT through occurrence of BC was 33 weeks in CDLT and 17 weeks in LDL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89). For the treatment of BC, transpapillary approach was chosen in 11 CDLT and 178 LDLT case. The primary endoscopic success rate after CD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fter LDLT (81.8%-9 cases vs. 30.9%-55 cases,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C after LDLT was higher than that after CDLT. The incidence of bile leak and biliary ston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CDLT and LDLT, however, biliary stricture was mo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fter LDLT.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BC after LDLT was more difficult, in the aspect of endoscopic management.

      • 대퇴동맥천자를 통한 뇌혈관조영술의 합병증 분석

        김시훈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연구배경: 뇌혈관조영술은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술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술기 자체의 침습성으로 인해 국소와 전신 및 신경학적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그 위험성은 기존의 연구를 통해 명백히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단일기관에서의 시행된 뇌혈관조영술의 합병증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고 기존에 발표된 유사 연구와의 유의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단일기관에서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 받은 1,346명의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과 영상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모든 뇌혈관조영술은 숙련된 뇌혈관중재수술의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대퇴동막천자를 통한 카테터(catheter)의 삽입으로 시행되었다. 의료진은 지혈 이후 한 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였으며 4시간 이후부터는 병동에서 합병증 발생 유무를 관찰, 기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0.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예측변수로는 나이, 동반질환, 시술의 적응증이 포함되었고 다변수 분석을 통해 종속변수(합병증)와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률은 1.71%로 기존의 다른 연구들에서 보고된 발생률(0.9~4%)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구적 손상 또는 사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여타 연구에서 보고된 발생률(0.3~1.3)에 비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인 서혜부혈종의 경우 2.0%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발표한 4.2% 보다 적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각 적응증에 따른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 빈도는 죽상동맥경화성 뇌혈관질환(2.7%), 지주막하출혈(1.9%)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일과성 허혈발작의 병력이 있었던 경우 뇌혈관조영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대퇴동맥천자를 이용한 뇌혈관조영술은 뇌혈관질환을 진단하는 침습적이고 유용한 검사인 동시에 과거보다 합병증의 빈도가 적어 매우 안전한 시술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신경학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뇌혈관질환이 적응증일 경우 시술 자체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유형과 상대적 위험지각이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황영지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5

        연구목적: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합병증 유형과 상대적 위험지각에 따른 교육요구도 정도를 파악·비교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의 당뇨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교육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조사연구이며, 연구 대상자는 G시 소재 대학병원의 내분비내과에 내원하는 환자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77명이었다. 자료는 K 대학교와 G 병원 두 곳에서 동시에 IRB를 통과한 후 2016년 12월 10일부터 2017년 2월 10일까지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특성, 교육 요구도, 상대적 위험지각정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적 위험지각 측정도구는 원 저자에게 사용 허락을 받았으며, 번역-역번역 작업과 전문가의 검토를 거쳤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합병증이 없는군, 고혈압, 시력저하, 발 이상 감각 등의 합병증이 있는 군, 그리고 실명, 발 절단, 암,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증을 경험하는 군으로 총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교육요구도, 합병증 유형, 상대적 위험지각 정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합병증 유형, 상대적 위험지각 정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차이는 ANOVA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요구도와 상대적 위험지각 정도, 합병증 유형과 상대적 위험지각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합병증 유형과 교육요구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병증 유형과 상대적 위험지각을 포함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상대적 위험지각만이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제2형 당뇨병 대상자는 합병증 유형이 아닌 상대적 위험지각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간호사가 당뇨 교육을 수행할 때 모든 대상자에게 동일한 교육 자료나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대상자의 위험지각 정도에 따라 좀 더 세밀하게 고안된 개별화된 교육 중재가 대상자의 당뇨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합병증 유형에 따른 교육 요구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점은 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어떤 요인들을 더 규명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일 병원 외래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확대 적용을 위한 반복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와 함께 이러한 후속연구들을 통해 나온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과 중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겠다.

      • 독사 교상 후 발생한 전신적 합병증 : 혈액학적 합병증과 신경학적 합병증을 중심으로

        박은정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살모사’ (Korean Agkistrodon species) 교상으로 생기는 전신적인 합병증 중, 혈액학적 합병증과 신경학적 합병증을 중점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10년 동안 아주대학교 병원과 건국대학교 충주 병원에 뱀교상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추가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독사 교상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나이, 성별, 교상 시기, 교상 부위 등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록하였고, 교상의 중증도를 확인하기 위해 교상의 정도와 크기,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여부, 신경학적 합병증이나 혈액학적 합병증의 유무 및 기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사독제의 사용 시기 및 사용량, 항콜린에스테라아제의 사용 시기 및 사용량, 수혈 유무 및 수혈량, 재원 기간 등을 확인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총 170명의 환자가 최종대상이 되었다. 혈액학적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는 22명(12.9%)으로, 이중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였던 환자는 8명(36.4%), PT/aPTT 지연이 발생했던 환자는 11명(50%), 혈소판 감소증과 PT/aPTT 지연이 모두 발생한 환자는 3명(13.6%)이었다. 혈소판 감소증의 유지 기간은 평균 4.5±1.8일 이었고, PT/aPTT의 지연 기간은 평균 5.1±1.8일이었다. 신경학적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는 35명(20.6%)이었으며 이중 어지러움증이 16명(45.7%), 복시나 시야 혼탁이 발생하였던 환자는 19명(54.3%)이었다. 신경학적 합병증이 발생하였던 환자들의 평균 증상 유지 기간은 6.9±1.8일 이었으나, 항콜린에스테라아제를 사용한 환자의 평균 증상 유지 기간은 3.4±0.6일 이었다(p=0.001). 독사 교상에 의한 혈액학적 합병증과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률은 이전의 국내 다른 지역에서 시행된 연구들의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혈액학적 합병증의 경우 초기 소견이 정상일 수 있으므로 교상 후 1-4일 동안 추적 경과 관찰이 필요하며, 신경학적 합병증의 경우 항콜린에스테라아제의 사용에 의해 신경학적 합병증 지속 기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국내 독사 교상에 의한 혈액학적 합병증과 신경학적 합병증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치료 인자 분석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전국적인 다기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근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합병증에 따른 영양상태 분석

        강민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skeletal muscle mass index, and the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March to October 2019 at hospitals specializing in colorectal-anal diseases in Daegu, Korea. Sixty-one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1.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the ratio of men was higher (78.7%), and the ratio of participants aged 19-39 was highest (67.2%). Regarding typ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rohn’s disease was 52.5% and the participants who were more than overweight were 41.0%. At the time of survey, there were more participants who were in remission state (59.0%), and the participants who had intestinal/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were 49.2%. Among intestinal complications, abscess was the most common, and 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were in order of malnutrition, articular diseases, liver/biliary diseases, anemia and pulmonary embolism.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participants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type of dise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anthropometric results. Metabolic equivalents, which is a variabl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but when categorized into low/middle/high level,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3. Regarding the participant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tion of diagnosis and the ratio of participants using of biological agents. In the laboratory measurements, only the albumin was significant. 4. The participants’ frequency of breakfast, regular meals, overeating and eating o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aversion food. 5. Mean servings per week of ramen and fruit juice were higher in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mean sevings per week of sunsik/powder made of mixed grains and vegetables (cabbage and on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without complications. Regarding intake of nutr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min E, vitamin B6,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and all of them were lower in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A.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skeletal muscle mass index, it was shown that lean mass and hand grip strength (HGS) affected positively, and that female, presence of family history, and higher body mass index (BMI) affected negatively. In the main results,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had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of diagnosis and lower serum albumin than participants without complications,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ing the management of disease as the duration of diagnosis gets longer.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ramen and fruit juice and lower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complications, intake of vitamin E, vitamin B6,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was also low, so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icro nutrient intake.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keletal muscle mass index but there is a potential possibility of low skeletal muscle mass index due to other factors, so it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o have continuous nutrition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근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합병증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대구지역의 대장·항문전문병원에서 실시되었고 최종적으로 61명의 대상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의 비율이 더 높았고(78.7%), 연령의 분포는 19-29세의 젊은 연령층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44.3%). 질환의 종류는 크론병이 52.5%로 나타났고 과체중 이상인 대상자는 41.0%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 시점에서 관해상태인 대상자의 비율이 더욱 높았으며(59.0%) 장내 및/또는 장외 합병증을 보유한 대상자는 49.2%로 조사되었다. 장내 합병증의 분포는 농양이 가장 많았고, 장외 합병증은 영양불량, 관절질환, 간/담관질환, 빈혈, 폐색전증 순으로 조사되었다. 2. 합병증에 따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과 질환의 종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신체 계측치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활동 관련 변수인 주당 대사당량의 수준은 합병증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낮음, 보통, 높음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3. 합병증에 따른 대상자들의 질환 관련 특성에서는 질병 이환기간과 생물학적제제의 사용자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혈액성분 분석치에서는 알부민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4. 합병증에 따른 연구대상자들의 아침식사, 규칙적인 식사, 과식 및 외식의 빈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식품 거부감에 있어서도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5. 합병증에 따른 식품(음식)의 주당 섭취빈도를 비교하였을 때, 라면과 과일주스의 주당 섭취빈도는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높았고, 선식/미숫가루/생식과 일부 채소류의 주당 섭취빈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은 비타민 E, 비타민 B6,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6. 근육지수와 일반사항, 질환 관련 사항, 신체 계측 및 혈액성분 분석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악력은 긍정적인 영향을, 성별이 여성이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합병증이 있는 군은 합병증이 없는 군에 비해 질병 이환기간이 길고 혈중 알부민 농도가 낮은 반면 염증 관련 지표가 상승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질병관리를 개별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합병증이 있는 군은 라면과 과일주스의 섭취빈도가 높고 채소류의 섭취는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비타민 E, 비타민 B6,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의 섭취량이 저하되어 있어 미량영양소 섭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합병증의 존재는 근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기타요인들에 의해 근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기에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지속적인 영양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추적조사 연구

        황현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논문은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추적조사를 연구하여 합병증 특성을 파악해보자 시행되었다.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를 이용하였으며,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본 연구에 필요한 자격 DB, 질병 DB, 청구명세서 DB를 모두 가지고 있는 448,066명 중 2002-2003년 당뇨병 및 합병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제외한 294,496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2004년부터 30세 이상 대상자를 기준으로 매년 그 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E11.9]을 진단받은 환자 1,444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당뇨병 합병증은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신장질환 합병증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각 년도 별 당뇨병 합병증 발생인원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60대에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합병증이 많이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소도시에서 가장 많았다. 년도 별 당뇨병 합병증 발생률은 3%-4%로 나타났다. 각 년도 별 당뇨병 합병증 발생 결과를 보면 심혈관질환, 신장질환보다는 뇌혈관질환 합병증이 많이 발생했다. 2004년은 전체 합병증 중 72.2%, 2006년은 58.7%, 2008년은 70.9%, 2010년은 76.2%, 2012년 61.5%가 뇌혈관질환 합병증이었다. 첫 번째 합병증 질환별 결과를 보면 심혈관질환 합병증은 남자에서 많았으며, 연령으로는 6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30대에서 가장 적었다. 뇌혈관질환 합병증은 여자에서 많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합병증 질환별 결과는 심혈관질환 합병증은 남자에서 많았으며, 첫 번째 합병증 환자 대비 30대에서 많았다. 뇌혈관질환 합병증은 남자와 여자가 비슷했으며, 60대에서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발생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당뇨병 합병증 발생은 사망률 및 삶의 질과 관련이 있으므로 합병증 발생 및 진행을 늦추는 것이 환자에 있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당뇨병 진단 이후에 혈당을 조절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만, 음주, 운동 등과 같인 생활습관을 관리하고 당뇨교육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는 많은 결과가 있다. 또한 소득과 경제수준, 직업이나 연령 등 다양한 사회적 계층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여러 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당뇨병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간이식 후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른 사망과 합병증에 관한 연구

        김중권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ample cohort data from 2002 to 2013. The mortality rate and biliary tract complications (biliary stenosis, bile outflow, and biliary gallstones) were analyzed to provide data for lowering the health management and mortality of liver transplant patients in the future. Among the subjects register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ample cohort, the subjects were selected after removing duplicate patients from those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using the code for severe or wounded disease or liver transplantation with the surgical code between 2002 and 2013. After that, the final subjects were designated after a wash-out period of 2 years. The socioeconomic level required for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time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value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was calculated from 2 years before liver transplantation to the time of liver transplantation. The age of each subject was divided into 45 years or younger, 45 to 55 years old, and 55 years old or older. According to income level, variables were defin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groups, 0-1, 2-8, and 9-10, and regio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etropolitan areas,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Death and biliary tract complications were classified as complications if biliary stenosis code (K83), bile outflow code (K85), and biliary gallstones code (K87) were diagnosed as columnar or injury disease until December 31, 2013, the last follow-up date. The comparison according to death and complications during liver transplantation of study subjects was estimated by the survival curve by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log-rank method was used to check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between morbidity and disease. To analyze the risk factors, the un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the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 to control for confounding variables. In terms of dea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death decreased as income increased, 0.97 times for middle income and 0.72 times for high income, compared to low incom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two points, CCI scored 3-5 points 1.13 times and more than 6 points 1.40 times, and the risk of death increased as the CCI score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0.87 times higher for middle income and 0.66 times higher for high income compared to low income, indicating that the risk of complications decreased as income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CI scored 3-5 points 1.71 times and more than 6 points 2.11 times, and the risk of death increased as the CCI score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death or complic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occurrence decreased as income increased, 0.94 times for middle income and 0.74 times for high income, compared to low incom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CI scored 3-5 points 1.43 times and more than 6 points 1.93 times, and the risk of death increased as the CCI score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isk of death and complications decreased as income increased, and the risk increased as the CCI value increased. In order to reduce the direct health impact of individual financial barriers on mortality and complica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level of local residents by effectively allocating physical and social resources in the region and reducing the regional disparity through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will be.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기간 내 간이식 수술을 한 대상자에게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찰슨 동반상병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에 따른 사망률과 담도계 합병증(담도 협착, 담즙 유출, 담도 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간이식 환자들의 건강관리와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에 등록된 대상자중 2002년에서 2013년 사이에 주상병, 부상병 코드로 간이식을 받거나 수술 코드로 간이식을 시행한 사람에서 중복된 환자를 제거한 후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 후 2년의 wash-out 기간을 거쳐 최종 대상자를 지정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수준은 간이식을 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찰슨 동반상병지수의 값은 간이식 시행 2년 전에부터 간이식 시행 시점까지로 계산하였다. 각 대상자의 나이는 45세 이하, 45세에서 55세, 55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소득은 소득수준에 따라 0~1분위, 2~8분위, 9~10분위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변수를 정의하였고, 지역은 수도권, 광역시, 지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수술 후 주상병이나 부상병으로 담도 협착 코드(K83), 담즙 유출 코드(K85), 담도 담석 코드(K87)를 한번이라도 진단 받았다면 합병증으로 분류하였다. 사망 및 담도계 합병증 발생 기간은 간이식 시행부터 발생까지의 일수와 발생이 되지 않은 경우 마지막 추적일인 2013년 12월 31일까지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간이식 시 사망과 합병증에 따른 비교는 Kaplan-Meier method에 의한 생존곡선으로 추정하고 Log-rank method으로 상병간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간이식 이식 후 사망과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Un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시행하여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혼란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여 상대위험도를 추정하였다. 사망과 관련해서 소득의 경우 저소득에 비해 중간소득은 0.97배, 고소득은 0.72배로 소득이 증가할수록 사망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CCI는 2점 이하에 비해서 3-5점은 1.13배 6점 이상은 1.40배로 CCI점수가 증가할수록 사망위험도는 높아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합병증은 소득의 경우 저소득에 비해 중간소득은 0.87배, 고소득은 0.66배로 소득이 증가할수록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CCI는 2점 이하에 비해서 3-5점은 1.71배 6점 이상은 2.11배로 CCI점수가 증가할수록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사망 또는 합병증의 소득의 경우 저소득에 비해 중간소득은 0.94배, 고소득은 0.74배로 소득이 증가할수록 발생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CCI는 2점 이하에 비해서 3-5점은 1.43배 6점 이상은 1.93배로 CCI점수가 증가할수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망, 합병증 모두 소득이 증가하면 위험도가 낮아지고, CCI 값이 높아질수록 위험도는 증가하였다. 개인의 재정적 장벽이 간이식 후 사망률과 합병증 발생률에 미치는 직접적인 건강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역의 물리, 사회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환경조성을 통한 지역 간 격차를 줄임으로써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향상 도모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