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傳統服飾이미지의 世界化를 위한 硏究

        최은경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세계화는 21세기의 주요 흐름으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세계화에 기인해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 21세기 정보화, 개방화 시대인 현대는 글로벌 시대로 문화와 생활 양식이 범세계적으로 일원화되는 가운데 세계패션의 흐름은 다양화, 국제화의 추세를 따르고 있다. 특히 전통이미지를 재발견하고자 하는 노력, 즉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창출은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 패션계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각 디자이너의 내부에 존재되어 있는 각 국의 고유전통을 바탕으로 차별화 된 것과 함께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신뢰성을 겸비한 디자인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세계화 연구를 위해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한 후, 설문구성에 있어서 타 문화권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국전통이미지 요소에 대한 선호도 비교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고로 본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은 2차에 걸쳐 인터넷 설문과 설문지법으로 이루어 졌다. 1차 조사는 설문지법으로 설문구성에 있어서, 대상선정의 타당성을 위해,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전통복식, 생활한복,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37명과 내국인 58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국인 26명(70.27%)과 내국인 49명(84.48%)이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디자이너들의 패션작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다. 설문지의 구성은 자료 수집의 단계로 1차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국내·외 컬렉션지와 패션잡지, 인터넷, 작품집, 기타 다양한 매체를 통해 1993년부터 2003년 현재까지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한국전통이미지를 활용한 이영희 외 37인의 작품사진 2,056점을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현재와 가장 근접한 2000년 S/S부터 2004년 S/S까지의 작품사진 1,732점을 위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소재, 색, 문양, 장신구별 분류에 가장 근접한 1,003점을 1차 선별하였다. 의류학 전공교수와 전공자 5인의 도움을 받아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소재, 색, 문양, 장신구 별로 분류하되, 의류학 전공자 1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색에서 가장 전통적인 형태 및 평면구성과 천연염색을 이용한 전통 색을 현대복식에 주로 활용하여온 디자이너로 선정된 이영희와 서양적 패턴으로 인지되어있는 입체구성에 한국전통이미지 요소를 활용하여온 설윤형 외 36인의 작품사진으로 구분하여, 두 부류로 분류하였다. 자극물 선정을 위해, 수집 분류된 자극물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조사하되, 의류학 전공자 15인과 비 전공자 27인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와 색의 요소에선 이영희 작품사진과 설윤형 외 기타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으로 분류된 것을, 그 외 소재, 색, 문양, 장신구 요소는 디자이너 구분 없이 선호하는 곳에 스티커를 붙이는 방법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 중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별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 18개의 자극물을 추출하여 2차 설문에 사용하였다. 제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설문과 설문지법으로 동시에 시행되었으며, 한국의 전통이미지 요소를 이용한 국내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을 전통 이미지 별로 분류하여, 서양인과 동양인으로 구성된 10대 이상 남녀 외국인 211명과 내국인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외국인 205명과 내국인 236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자료로 한복의 인지도 및 복식에 활용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실증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연구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외국인 응답자 205명중 51.22%, 국내인 236명중 100%가 한복을 알고 있다 라고 답하였고, 외국인 동서양 권역별로 추출한 결과 동양권 68.29%, 서양권 46.63%가 알고 있다라고 하였다. 그 밖의 인구통계적 변인별 비교분석 결과 외국인 전체와 동·서양권역별 모두 30대 이후에서, 결혼 유무에선 기혼, 성별에선 여성, 직업별에선 전업주부, 직장인, 학생의 순으로 전업주부의 인지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착용의 경험 유무를 분석한 결과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응답자 105명 중 30.48%, 국내인 236명중 95.76%가 한복을 착용해본 경험이 있다라고 답하였다. 외국인 동서양 권역별로는 동양권 17.86%, 서양권 34.21%가 경험이 있다라고 답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인별 비교분석결과 내·외국인과 서양권에선 20대, 동양권은 30대 이후가, 결혼 유무에선 내·외국인, 권역별 모두 기혼, 성별에선 내·외국인, 동양권 모두 여성, 권역별 서양권은 남성, 착용경험이 많은 것으로, 한복 인지도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한복의 미에 대한 평가 분석결과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응답자 105명 중 95.24%, 국내인 236명중 99.15%가 한복이 아름답다라고 답하였고 동서양 권역별로 추출한 결과 동양권 92.86%, 서양권 96.05%가 한복이 아름답다라고 답하였다. 넷째,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입기 편한가를 질문한 항목으로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그결과 한복의 착용감 및 활동성에 대한 평가 분석결과는 내·외국인 대부분,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입기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의 기초 단계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별 선호도를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형태별로 본 내부형에서 전반적으로 유, 상의 형태 응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단법과 봉제방법에 의한 외부형 선호도에서는 내·외국인 전체와 외국인 서양권은 보편적으로 서양양식에 전통미가 가미된 것을 선호 하였으나, 외국인 동양권과 외국인 30대 이후의 경우에는 전통양식에 서양요소가 가미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소재에 있어, 소재의 종류별 선호도의 분석 결과, 내·외국인의 경우 내국인은 모시, 외국인은 견-사-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 동·서양권역별의 경우는 외국인 동양권은 견-사-라를, 서양권은 모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20대의 경우 내국인은 모시, 외국인은 면을, 30대 이후의 내국인은 니트(면·모), 외국인은 견-사-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재혼합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내·외국 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의 경우 모두, 단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색에 있어, 오방색의 종류별 선호도에 있어서는 내국인은 청녹색계열, 외국인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 동·서양권역별의 경우, 외국인 동양권은 청녹색계열, 서양권은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20대와 30대 이후 모두 내국인은 청녹색계열, 외국인은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염색방법의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 모두 천연염색·자연색·수공염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의 조화 선호도 는 내·외국인 모두 대체적으로 유사색조화를 가장 선호 하였으나. 외국인 동양권은 무채색 조화를, 20대 외국인의 경우는 대비색 조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덜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문양에 있어, 분석 결과 문양의 종류별 선호도는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였고, 외국인 동양권은 동물문, 서양권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양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 또한, 20대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이었고, 30대 이후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 나타나 문양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티브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별 모두 자연주의 모티브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홉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제5 요소인 장신구에 있어, 장신구 품목별 선호도는 내·외국인 모두 요대를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별 모두 선호도의 순서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으나 요대를 가장 선호하였다. 현대화 품목별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 연령별 30대 이전과 이후에서 모두 전통장신구를 현대적 감각의 목걸이에 응용한 것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열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요소 선호 이유 분석 결과, 내국인들은 “한국전통이미지와 서양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아름답다.”가 가장 높았고, 외국인들은 “내 스타일이나 취향에 잘 맞는다.”가 가장 높았다. 한국 전통이미지 선호 이유로, “한국전통이미지와 서양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아름답다.”와 “내 스타일이나 취향에 잘 맞는다.” 그리고 “색상과 디자인이 아름답다.”라는 대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위와 같이 비교분석된 한국전통이미지 요소들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고 전통적인 표현을 함으로써 세계인에게 친근감있게 다가가는 우리나라 특유의 디자인을 창조해 나가는 것은 한국전통이미지의 세계화를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 Recently, we underwent a major change caused by globalization. The 20th Century is the era of mass information and there is an open-door policy in each country due to globalization. Under the globalized circumstances, the tendency of the world fashion is toward diversity and becoming international. In order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countries must rediscover the traditional images while still inventing new identities.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hat designers in each country should be able to suggest the design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ir own but differentiated at the same time. The design should attract people in all over the world. Unfortunately there were no precedent researches, documents or an analysis about the preferences of non-Korean consumers for Korean traditional images. Therefore, the data of this thesis were gathered by doing two times of the Internet polls and the questions given to the participants. For the first research, 37 non-Koreans and 58 Koreans answered the questions and they were asked to choose the best picture of the designers' works. As a result, 26 non-Koreans(70.27%) and 49 Koreans (84.48%) preferred the works which contained the modern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o collect the material for the survey, 2,056 art pictures by 37 people who practically us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on their works, included a designer Lee Young Hee, were collected from fashion magazines, the Internet, the works of designers' and the media from 1993 to 2003. For the first assortment, 1,003 pictures were selected among the 1,732 pictures from S/S 2000 to S/S 2004 and these selections have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such as shapes, material, color, patterns and ornaments. With the assistance of 5 students, majoring Clothing and Nutrition, and a professor of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those pictures are classified by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stated above. Then they are assorted by two categor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 which has done by 10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and the precedent research. One of the categories is Lee Young Hee who has used the traditional shapes, plain structures and colors by using natural dyeing method in her works. The other is Sul Youn Hyung and other 36people who have applied three-dimension structure, known as the western pattern, and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o their works. Then 15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and 27 non-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participated to choose the best picture of works which has used the traditional shapes and colors except Lee Young Hee's and Sul Youn Hyung's. And to sort out the material, colors, patterns and ornaments they put the stickers on the pictures they prefer. Overall 18pictures were selected to be used the second research. The second research was done by doing the Internet polls and the questions given to the participants. The pictures of designers' works were classified by the traditional images and 240 Koreans and 211 foreigners joined the survey.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recognition of Hanbok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used in the dress, the responses of 205 foreigners and 236 Koreans were analysed. Refer to the following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for the recognition of the Hanbok, 51.22% of the 205 non-Koreans and 100% of the 236 Koreans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Hanbok. And 68.29% of the non-koreans participants from eastern area and 46.63% from western area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Hanbok. The vital statistic result indicates that the people in their thirties have high recognition of Hanbok. Also, married people, women know better than single people and men. And the housewives are highly aware of Hanbok than workers or students. Secondly, 30.48% in the 105 foreign participants and 95.76% in 236 Kore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s of wearing Hanbok. In foreign participants, 17.86% were the eastern people and 34.21% were the westerners. This result shows that the western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the eastern people in their over 30's have experienced of Hanbok. Also, married people and women know better than single people and men. Thirdly, 95.24% of the 105 foreign participants and 99.15% of the 236 Kore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thought Hanbok was beautiful. The 92.86% of eastern people and the 96.05% of western people agreed the beauty of Hanbok. Fourthly, to find out the convenience of wearing Hanbok,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Hanbok answered that it was not convenient to wear in a daily life. Fifthly, for the first step of globalization the elements of Korean Images, the comparison analysis of had been d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eople prefer the shapes of 유,상 for the interior shape and all participants prefer the traditional style in the western style for the exterior shaper such as cutting and sewing. The Eastern foreign participants and the foreigners who are in their thirties like the western style in the traditional style. The sixth, or the material preferences, Korean participants care for ramie fabric and the foreigners care for cotton. And the people from East and the westerners prefer silk-Sa-Ra. Also the Eastern foreigners prefer silk-Sa-Ra and Westerners prefer wool. According to the result, all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ramie fabric and the foreigners prefer cotton. The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hirties prefer cotton or wool and the foreigners prefer silk-Sa-Ra. All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prefer the single material in the mixture of the materials section. Seventhly,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he choose the for the color they like among the 5 colors given. And the result shows that all the natives prefer bluish color and the foreigners prefer reddish color. Also, eastern foreigners like bluish color and western foreigners like reddish color. In the preference of the process of dying the materials, all participants prefer natural dying methods, natural colors, a handiwork dying methods. Generally, all participants prefer the harmony of the similar colors and the eastern foreigners like the harmony of achromatic colors and the foreigner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the contrasted colors. Eightly, The patterns of animals are loved by the natives and the foreigners like the naturalistic motives . The eastern foreigners are fond of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western foreigners are fond of the naturalistic motives. All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foreigners prefer the naturalistic motives. The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hirties prefer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foreigners prefer the naturalistic motiv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natives and foreigners, eastern and western foreigners have a slightly different preferences of the motives. Nine, the most preferred ornaments are the belt and this is preferred by Koreans, eastern and western foreigners. And all the participants like the modern necklace which has adopted the traditional style. Finally, to figure out why they like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the natives said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look beautiful with the western images." and the foreigners said "Those suit my style and taste.". The reason why people prefer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ar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look beautiful with the western images.", "Those suit my style and taste." and "The colors and designs are beautiful."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ha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we need to reorganiz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create our unique designs. Then it will be one of the strategies to globaliz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 한국전통매듭의 조형성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이가민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각 시대의 문화적 산물에는 그 시대만의 독특한 시대성을 띠고 있어, 우리는 시대의 종교적·정치적·경제적·사회적인 요소에 따라 특징을 나누기 마련이다. 그러나 어느 시대에서도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개념이나 원리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에 따라 예술은 발전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세계의 조화는 형태와 수에 명백하게 드러나 있으며...”라고 한 어느 고전학자의 말처럼 모든 산물은 형태와 수학적 관계들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어느 시대의 예술품도 형태와 수학적 원리에 따라 분석하고 재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공예품인 한국전통매듭을 선정하여 전통매듭의 조형적 특징을 전체적인 형태와 수학적 원리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전통매듭의 패턴화로 현 시대의 다양한 분야에의 접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패턴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알아보았으며, 매듭의 정의 및 시원과 한국전통매듭의 역사를 고찰하였고, 한국전통매듭의 구성요소의 종류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성요소에서 보여지는 형태의 시각적 요소와 수(數)의 조형적 원리를 토대로 매듭의 패턴화를 시도하였으며, 매듭의 조형성을 활용하여 여러 디자인 분야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하여 관계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사진자료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형(形)과 수(數)의 조형적 원리를 토대로 하여 단순화시킨 매듭의 패턴을 패턴디자인의 구성원리에 기초하여 배열, 제작하였다. 작품은 총 38가지의 매듭 중에 생쪽매듭, 매화매듭, 국화매듭, 나비매듭, 가락지매듭, 가지방석매듭, 파리매듭을 위주로 하였으며 술과 끈목의 형태의 간략화를 통한 패턴화를 시도하였다. 패턴화한 매듭의 디자인 적용은 텍스타일 디자인의 패턴의 종류와 전개방법을 따랐으며 Adobe Illustrator CS3와 Adobe Photoshop을 사용하였고, 제시한 디자인은 총 9점이며, Mapping 작업은 의상, 도자기 및 타일, 패션잡화, 벽지 및 페인팅, 패브릭제품으로 분류하였으며 총 21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턴디자인은 패턴의 형태와 구도, 패턴 반복에 의한 모티브의 배치 및 각도, 색채, 질감 등을 계획하여 골격을 갖추는 작업이다. 둘째, 매듭은 인류문화의 시작과 함께 발전해온 뿌리 깊은 조형물로서, 한국전통매듭은 삼국시대부터 매듭의 형태가 완성되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장식적인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셋째, 전통매듭은 끈목, 매듭, 술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끈목에는 주로 견사를 많이 사용하였다. 끈목은 가닥 수에 따라 6종으로 구분하며, 술은 8종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매듭은 약 38종이며 궁중과 민간, 지방에 따라 명칭의 차이가 있다. 넷째, 형(形)과 수(數)는 패턴이 구성되기 위한 가장 기초가 되는 요소이며, 이는 한국전통매듭에도 적용되는 사항이다. 다섯째, 전통매듭은 현재에도 다양하게 접목되어지고 있으며 매듭에서 보여진 형(形)과 수(數)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문양으로 재탄생시켰다. 여섯째, 전통매듭은 형(形)과 수(數)로 기호화가 가능하며, 현대에도 적용되는 패턴디자인을 만들 수 있었다. 또한 인테리어나 의상, 패션잡화 등에 가상 적용시켜 봄으로서 활용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얻은 한국전통매듭 패턴의 조형성을 잘 조합하여 디자인 개발에 적용한다면, 보다 다양한 한국적 감성의 현대적 디자인 개발에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flecting the spirit of its own age, every cultur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religiou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ere are some ideas or principles which couldn't be changed all time that have led to development of art. As a classicist says , "Harmony of the world is apparently marked by forms and figures...", every substance can be construed as shapes and mathematical relations. In other words, it can be significantly deduced that works of art through all ages could be reinterpreted by those ideas. Therefore, the present paper is concerned with investiga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Kno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forms and mathematical principles, and exploring probabilities that Korean Knots with various patterns can combine in diverse design areas. This paper is theoretically analysed a concept and a principle of pattern design and examined a definition, an origin and a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Knots.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sorts and characteristics on elements of traditional knots and attempted to suggest patterning of knots by using the ideas of visual elements of forms and mathematical fundamentals Furthermore, this paper offers the possibility of making products by exploring some cases used these pattern with formative aesthetics in this daily lives. This paper draws on a number of literatures and photographs of reference works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dwelling upon composition principles of the pattern design, it provides some simplified patterns based on formative principles of forms and figures. It is mainly addressed seven knots among 38 knots - Saengchok maedeup(cloverleaf knot), Maehwa maedeup(apricot flower knot), Gukhwa maedeup(chrysanthemum knot), Nabi maedeup(butterfly knot), Garakji maedeup(ring knot), Gajibangseok Maedeup and Pari Maedeup - and set out patterning by simplifying forms of Sul(tassel) and GgeunMok(galloon). Applying the knots patterned to design employs development methods and sorts of pattern of textile design and uses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The total number of designs offered here is nine and mapping work is done with 21cases - clothes, ceramics, tiles, fashion accessories, wall papers, painting, fabric items. The conclusion provided above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First, pattern design is work for shaping by using forms and structures of pattern, arrangement and angles of motives based on repeated patterns, color, texture, etc. Second, the Korean Knot, which is the artwork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human culture, had been completed the form of knot in the age of the Three States and has been utilized for decorative purposes in the Koryo and Joseon Dynasty. Third, the traditional knot consists of galloon which is mainly used by silk thread, knot which is classified into six sor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rands and tassel which comes down eight sorts. There are about 38 kinds of the knot, which are difference between royal and folk, and central and local. Fourth, the factor that forms and figures are basic elements to make up all of patterns, can apply to the Korean Traditional Knot. Fifth, traditional knots are being combined diversly and recreated in free-form by using forms and figures. Sixth, it can be possible to symbolize the traditional knot and to make the pattern design that can be applied at the present. Moreover, this paper shows availability by applying to interior design, clothes, fashion accessories, and so on.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 combining formative aesthe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Knot Pattern and applying to development of design, we could utilize the ideas as significant resources in developing some modern designs with korean sensitivity.

      • 한국전통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노양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modern society, a broad range of diverse cultures quickly exchange and develop together. In order to understand and succeed Korean culture in this flow of globalization, we must understand traditional arts and reproduce them in modern sens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reflect Korean ancestors' thoughts and figurative and existed on daily commodities and in every part of their lives. Thus, it has abundant educational values for the modern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courage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broad artistic experiences to foster students' potential creativity and original expressions and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 of textile design lectures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or this purpose, the meaning and aesthetic value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extile design were examined through preceded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 Then, the 7th high school fine arts curriculums and textbooks were examined in term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extile design. By doing so, I adopte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o design textile design classes that stimulate students' interests in new textile design with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aesthetics and enhance overall educational effect of high school arts classes. In result,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ith Korean traditional aesthetics represent Korea's traditional lifestyles, emotions, and ideologies in various aspects of our lives. Also, textile design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nd makes our wardrobe design and interior environments more beautiful and enriched. Using them, we can foster students' aesthetic observation of various commodities in our lives. I found that various materials, unique expressions, and liberal figurative composition of textile design and the traditional beauty, value an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could be creative teaching tools for topics relating to traditional arts. Second, in result of analyz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extile design related contents in the 7th High School Fine Arts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helpful descriptions and information on materials, techniques, and handling that directly assist artistic activities for students to use for their artistic creations. In additio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re considered as references and are not applied to actual activities of creation although they are widely used in various aspects. In result, students are not very interested in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ird, a textile design class was designed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7th High School Fine Arts Textbook. The class design involved four sessions of integrative study of all contents. First, the 1st session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on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Various objects that us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re observed in terms of design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Second, the 2nd and 3rd sessions considered ‘textile design through creativ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se sessions were focused on designing traditional patterns with creativity and originality using various expressions and materials. The 4th session focused on ‘appreciation,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completed pieces’ and on enhancing aesthetic senses while criticizing art and applying new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patterns to actual objects. Through these textile design sessions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students would enhance interests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would feel the ideologies and emotions of Korean ancestors by examining and symbolism and figuration of the patterns.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pride in traditional music, they would enhance awareness in tradition and would possibly foster abilities to use tradition in everyday life.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technique in textile design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ut various other traditional elements of Korea c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educational values and brought into classrooms to observe and share with students. By doing so, art education would be enhanced in quality and depth. As traditional art is expected to be emphasized in education, it should be broadly considered in various other subjects.

      • 한국전통스파의 서비스 품질 및 지각된 가치가 이용객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찜질방을 이용하는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이군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찜질방은 목욕 및 건강을 위한 공간에서 나아가 다양한 문화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여가공간이다. 찜질방 체험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웰빙 트렌드와 함께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육체적 피로와 각종 질병, 스트레스 등으로부터 회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장소로 이용되고 있어, 한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 역시 찜질방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인들의 한국 방문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3년 방한 중국인 입국자 수는 430만 명을 돌파하여 최대 방한 송출국으로 부동의 1위였던 일본을 추월하고 1위로 부상하였다. 한편, 중국인들은 한국전통스파의 여러 기능적, 감정적, 웰니스 가치를 인식하면서, 한국 방문시 찜질방 체험을 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한 중국관광객들이 한국전통스파인 찜질방을 경험하면서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과 가치 그리고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전통스파의 개념 및 서비스 품질 항목들과 한국전통스파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한국전통스파의 서비스 품질과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 상호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요인분석결과, 한국전통스파의 서비스 품질은 3개의 요인인 ‘스파시설’, ‘직원서비스’, ‘스파독특성’으로 도출되었고, 지각된 가치는 3개의 요인인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웰니스 가치’으로 각각 도출되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전통스파의 서비스 품질은 한국전통스파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전통스파의 시설, 직원서비스, 그리고 독특성 요인은 감정적, 기능적, 그리고 웰니스 가치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전통스파 상품의 지각된 가치는 방한 중국인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전통스파의 방문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Jjimjilbang(Korean traditional spa) is a bath and healthy compound leisure space. Latest well-bing has been topic and well-bing cultural phenomenon can be seen. Jjimjilbang is helpful to alleviate physical fatigue and a variety of diseases, pressure, etc. The arrivals of Chinese tourists to South Korea have increased rapidly. In 2013, 4.30 million Chinese tourists visited Korea. Chinese tourists exceeded Japanese tourists and became the largest inbound market for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Chinese tourists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spa. Based on previous studies Korean traditional spa's concept,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value were deriv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service quality was delineated 3 dimensions (‘spa facility’, ‘staff service’ and ‘uniqueness’). Perceived value was delineated 3 dimensions (‘function value’, ‘emotional value’ and ‘wellness valu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values on visito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Korean traditional spa. Specifically,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spa's facility, staff service and uniqueness on function value, emotional value and wellness value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Finally,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spa's perceived value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on Chinese tourists' satisfaction which influenced their revisit intention.

      • 전통의상의 사회 문화적 접근을 통한 <미술과 생활> 수업방안 연구 : 18세기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의상을 중심으로

        고현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인간의 삶은 사회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미술은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의 과정으로써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지고 교육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 이에 대한 반성과 사회적 요구, 철학적 변화, 구성주의 교육관 등의 영향에 힘입어 교육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미술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교육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에 대한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11-12학년에 해당하는 선택과목인 <미술과 생활>이 바로 그 한 예이다. 제6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과 생활’ 영역이 국민공통기본교과인 <미술>에서는 ‘미적체험’ 영역으로 새롭게 구성되었고, 선택과목에서는 <미술과 생활>이라는 독립된 과목으로 제시함으로써 선택, 이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미술과 생활의 중요성에 더욱 무게를 두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교육과정 상의 중요성에 부합될 만큼 패러다임과 과목에 대한 이해, 수업에 필요한 자료의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선택과목에 대한 연구는 <미술>교과와의 구분이 모호하고 선택과목이라는 현실적 상황에 부딪혀 현장에서의 연구와 적용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술교육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의 관점에서 <미술과 생활>의 수업방안을 제안하였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미술과 미술교육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에 대한 이해에 중점을 두었는데, 패러다임의 이해를 위해 포스트모던 미술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해 언급하고, 미술교육의 사회 문화적 접근의 관점을 바탕으로 전통의상을 통한 미술교육의 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시대와 생활상을 반영하는 복식미술을 통해 미술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을 이해하고, 다른 문화와의 차이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그래서 인접해 있는 중국, 일본의 18세기 전통의상을 함께 비교하여 고찰하였는데, 18세기의 조선후기, 중국 청대, 일본 에도시대의 사회, 문화상을 이해하도록 하고 복식의 원류와 종류, 대표적 전통의상의 조형적 특성 등을 비교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의 이해, 미술 창작, 미술 감상의 세 영역이 연계될 수 있도록 수업계획안을 구성하였다. 미술의 이해 영역은 토론을 통한 “복식미술의 사회 문화적 맥락성의 이해하기”와 모둠별 과제학습을 통한 “18세기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의상 바로보기”로 구성하였고, 미술 창작 영역은 영상극이라는 표현방법을 이용한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의상을 활용한 시대극 만들기”로, 미술 감상 영역은 모둠별 작품의 감상을 통해 “한국, 중국, 일본 전통의상의 아름다움을 찾아 내면화하기”로 구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써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을 교육, 문화, 정치, 경제와 같은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교육함으로써 미술을 통해 사회를 이해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우리의 전통문화 뿐 아니라 주변국의 문화에 대해 그 ‘다름과 같음’을 이해함으로써, 문화에 대한 열린 시각을 갖게 하고 더욱 애호․향유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모둠별 학습활동을 통해 협동의 의미를 몸소 체험하여 알고 모둠내 자신의 역할을 통해 사회성을 기르며, 토론활동을 통해 민주적이고 통합적인 사고 를 가능하게 한다. 넷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시각문화를 활용한 수업방안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 자유로운 사고를 통해 매체를 스스로 선정하여 계획하고 구성함으로써 창의성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전통 인형극에 대한 가치를 재탐색하고, 한국, 중국, 일본의 시대극 형식의 인형극을 통해 문화를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영상제작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영상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여섯째, 전통의상의 형태만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국한된 전통미술교육이 아니라 전통의상에 깃든 한국인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미의식과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전통문화 미술교육 방법의 오류를 인식하고 새로운 수업방법 모색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일곱째, 이해, 적용 및 감상·비평 능력과 표현력을 함양함으로써 미술이 손재주와 감정에만 치우친 학문이 아니라 사고와 감정이 조화된 창조적인 활동이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다. 우리는 이제, 변화하는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적극적인 자세로 미술교육에 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술교사는 삶에 대한, 삶을 통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서의 실제적인 교수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을 올바로 이해하게 하고, 나아가 자신의 삶으로 이끄는 미술교육으로의 전환에 힘을 모아야 하는 것이다.

      • 한국전통음식 활용에 대한 학교급식 영양사의 의식 조사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정정아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광주 · 전남지역에 근무하는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학교급식에 활용실태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전통음식을 학교급식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광주 · 전남지역 영양사로 502명이었다. 조사 도구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9문항,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의식 13문항, 한국전통음식 71종에 대한 활용실태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test,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의식에서 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영양사의 연령이 높고 근무경력이 많은 경우와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사인 경우 높은 수준으로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에 대해 알게 된 동기는 사회 및 대중매체나 학교교육, 책, 가정교육 순이었고, 전통음식에 대한 자긍심은 높았으며, 연령과 근무경력이 많은 경우에 자긍심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전통음식을 좋아하는 이유는 입맛에 맞고 고유음식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전통음식을 학교급식에 제공하기 어려운 점으로는 조리과정이 복잡하여 조리 시간이 오래 걸린 것과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음식을 학교급식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리방법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통음식을 활용한 학교급식 표준조리법 작성에 대한 필요성은 광주지역 영양사가 전남지역 영양사보다, 근무년수 5~11년 미만의 영양사인 경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준조리법 작성은 대한영양사협회, 학교영양사, 교육인적자원부, 식품영양전공교수, 복건복지부 순으로 주관하여 제작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2. 학교급식에서 전통음식의 활용은 명절 때와 평상시에 활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많은 영양사의 경우에 평상시에 활용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한국전통음식을 세계화하는 데에 대한 인식은 맛에 중점을 두고 경제성, 저장성, 영양, 모양과 색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영양사들이 식단에 전통음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통음식에 대한 연수의 필요성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기혼자, 근무 년수가 많은 영양사들이 연수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3. 한국전통음식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다양한 상품개발, 조리방법의 다양화, 의식변화, 홍보 순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교급식 식단 구성에 있어서 영양사가 기혼이고 연령과 교육경력이 많은 경우 한국전통음식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급식에서 한국전통음식의 활용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이었고, 밥류에서는 보리밥> 콩밥> 오곡밥> 팥밥> 밤밥 순으로 보리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품요리는 비빔밥> 콩나물밥> 영양밥 순이었다. 면류에서는 만두국> 떡국> 수제비> 칼국수 순이었고, 죽류에서는 닭죽> 팥죽> 호박죽> 순으로 닭죽이 가장 높게 활용되고 있었다. 국 · 찌개류는 된장국> 김치찌개> 육개장> 콩나물국 순으로 된장국과 김치찌개가 높은 활용도를 보였으며, 찜 · 조림류는 돼지갈비찜 · 닭찜> 달걀찜> 깻잎찜 순으로 나타났으며, 볶음류는 돼지고기볶음> 잡채> 불고기> 오징어볶음 순이었다. 전 · 구이류는 생선구이> 해물파전 · 부추전> 애호박전 순이었고, 생채 · 숙채류는 콩나물과 오이생채> 숙주나물과 시금치나물> 무생채> 호박나물 순으로 나타났다. 김치류는 배추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갓김치 순이었고, 후식류는 계절과일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나타난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한국전통음식 활용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높은 수준이었고, 학교급식 식단 활용도도 높게 나타났으나, 학교급식에 한국전통음식을 활용하기 어려움 점으로 조리과정이 복잡하고 학생들의 기호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아 전통음식의 복잡한 조리과정을 간편화하고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여 학생들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에 활용되는 한국전통음식 표준조리법의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hool food service nutritionists' consciousness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to hold the problem of it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utilization on the traditional food in school food serv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502 nutritionists in Ga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e questionaire consisted of 9 questions concerning socio-demogra phic variables, 13 questions concerning the awareness for traditional Korean food, and 71 types of food for use of the traditional food. Data were collected by SAS program,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rom it. Also, one-way ANOVA, t-test, and χ^(2) were examin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recognition on traditional Korean food in awareness about the traditional Korean food as the pursuit of learning about society and population was generally high, and it was remarkable to the nutritionists who are in old age and have worked as it for a long term. The motive how they became to know traditional Korean food was through media, school education, books, and home education in order. Also, the nutritionists who are older relatively or have worked for a long term have pride on the traditional food. The reason why they liked the food was that it suited their taste and it was our traditional foo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rovide the food to school food service because the cooking process is complex, and students don't prefer it. Accordingly, the improvements of recipe need at once to use traditional Korean food in school food service. The utritionists in Gwangju than Jeonnam province felt the need to make a standard traditional Korean food recipe, and the need was expecially highest among nutritionists who have worked from 6 to 10 years. They pointed out that the standard recipe would be made by Korean Nutritionists' Association, the nutritionists working at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professors majoring in Food & Nutri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order. 2. It appeared that traditional Korean food in school food service has to be used at traditional Korean holiday and ordinary times. The nutritionists worked for a long term answered that it is used at ordinary times. Good taste is most important in order to globalize traditional Korean food, and then economy, storage, nutrition, and colour of it in order are important, they responded. Also, the study and training for traditional food is needed to use it in school food service, and the nutritionist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 married, or worked for a long time appreciat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training. 3. School education, various product development and recipe, awareness change for it, and constructive marketing are needed in order to uphold and develop the traditional food in order. The nutritionists who are married and have high education consider the traditional food in making out a menu. 4. The rate of use on the traditional Korean food in school food service was generally high, the most used rice were Boribop(boiled rice and barley), Kong bop(boiled rice and beans), Okeukbop(boiled rice mixed with five grains), Potbop(boild rice and red-bean), Bombop(boiled rice and nuts) in order. In regard to one-dish meal, Bibimbop(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was most offered, Kongnamulbop(boiled rice and bean sprouts), Youngyangbop(boiled rice a nd nutritious mixtures) were offered in order. As regards noodles, Mandu soup(a bun stuffed with seasoned meat and vegetables), Thuck soup(a Korean soup with a bar rice cake), Sujebi(a Korean soup with dough flakes), Kalkuksu(cut noodles) were offered in order. In porridge, Dalkjuk(chicken porridge), Potjuk(red-bean porridge), and Hobakjuk(pumpkin porridge) were most offered in order. Among soup and pot stew, Toenjang(soy bean paste) stew, Kimchipot stew, Yukgaejang(hot shredded beef soup), Kongnamul soup were offered in order. For steamed dish and hard-boiled food, Galbijim(beef-rib stew), chicken stew, egg stew, green perilla stew were most offered in order. The most widely offered pan-boiled food was pork boil, and then Japchae(a mixed dish of vegetables and sliced meat), Bulgogi(thin sliced barbecued beef), pan boiled octopus were offered in order. As regards a fried food or a grilled food, grilled fish, fried sea food with a stone-leek, fried a leek, fried a green pumpkin were offered in order. In regard to cooked vegetables, Kongnamul(bean sprouts), cucumber salad, Sukjunamul(mung-bean sprouts), spinach salad, radish salad, pumpkin salad were served most in order. Among lots of Kimchi, cabbage kimchi, Kakduki(sliced [cubed] radish kimchi), Youlmu(young radish) kimchi, Gat(leaf-mustard) kimch were provided in order. Regarding desserts, seasonable fruits were served highly.

      •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의 전통성 증진방안 연구

        정일환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더불어 서울시를 비롯한 자치단체에서는 외국도시와 교류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외국도시와 교류사업의 하나로 일회성 행사보다는 우리나라의 문화를 외국에 알릴 수 있는 한국전통정원 조성사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그동안 외국도시에 있는 한국정원 조성사례를 통하여 앞으로 외국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은 우리의 전통성이 제대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정원문화를 정확히 알릴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연구논문은 대상지가 외국이라는 지리적으로 불리한 여건 때문에 그동안 많지 않았다. 한국전통정원 조성사업은 우리 문화를 외국에 알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기존 논문에서는 대부분 한국성, 전통개념 등을 분석한 설계 위주로 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비롯한 공공기관에서 외국도시에 조성한 한국정원을 중심으로 조성목적 및 경위, 부지의 여건, 전통성 표현, 사업의 성과를 조사하는 등 기존의 논문과 차별성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호암미술관 희원, 월미공원 전통정원 조성사례와 외국도시에 조성된 한국(서울)정원 8개소의 사례를 조사하여 전통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외국도시에 조성하는 한국정원 조성공사는 양국간 문화적∙법적 차이 등으로 국내에서 시행하는 것보다도 어려운점이 훨씬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외국도시에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하려면 기존에 추진하였던 시행과정 중 시행착오를 겪었던 사항을 참고하여 계획한다면 문제점을 최소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통정원을 외국도시에 조성한 이후 유지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는 현지에서 알려주거나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기에 준공식이 끝나면 많은 사람들의 관심 밖으로 멀어져 갈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조경관련 학자, 조경설계 및 시공 전문가, 공무원, 조경학과 학생 등 조경전문가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통성 표현, 시스템적인 유지관리 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논문의 연구결과는 전통정원 조성계획 단계, 전통정원 조성 단계, 전통정원 유지관리 측면으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첫째, 전통정원 조성계획 단계에 있어서는 해당국가의 공원조성 관련 법규 등을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고, 한국의 정서가 흐르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로운 공간이면서도 환경친화적이며 현지공원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국정원에 식재할 조경수목 선정은 우리나라 전통정원에 적합한 수종이면서 현지에서 생육이 잘되고 구입이 용이한 수종을 선정하여야 사업에 차질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전통성 재현을 위한 전통시설물의 형태는 원형을 따라야 하며, 기능에 대하여는 현지여건 등 정원 컨셉에 맞추어 재해석 할 수도 있겠지만 가능한 외국의 현지인들에게 우리문화를 정확히 알리기 위하여 원형에 가까워야 한다. 둘째, 전통정원 조성 단계에서는 현재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통관문제 등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알리기 위하여 예산 등 일정부분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현지에서 시행하는 공사는 능력이 있는 전통장인이 직접 시공하여 한국전통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일반인이 이해하기 힘든 방지 등 전통시설은 설명하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현지인들에게 우리 문화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유럽인들은 우리나라 정자와 같은 목조건축물과 석조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단청에 대하여 호기심을 가지고 있어 1개소 정도는 단청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통정원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공원조성 계획단계에서부터 협약서에 명시하여 시스템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파손되기 쉬운 전통시설물은 예비자재를 충분히 확보하여 시설물 인계시 관리기관에 제공하고 현지외국인의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기존 시설물을 노후화 될 때까지 계속 유지하기 보다는 시대에 적합한 전통요소를 5년 또는 10년 단위로 재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우리의 다양한 전통문화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주이용대상인 현지인의 이용증진을 위하여 정원 안내책자나 영상물 등을 준비하고 행사유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주요어 : 한국전통정원, 전통성, 자연관, 교류사업, Abstract In addition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autonomy organizations including Seoul city, is gradually increasing the exchange programs with foreign cities. Rather than just one-time events with foreign citi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s coming to fore as a method to inform Korean culture to a foreign country. When considering this matter, it is very important for upcoming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to properly 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studying the cases of previously created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ed to deliver accurate Korean gardening culture to the foreigners. Due to the disadvantaged conditions, where the target region is foreign countries, there weren’t much research studies done 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foreign cities. Korean traditional garden projects are important for the nation as it’s publicizing the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are mainly done on the designs, which analyzed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Korean style. This study have placed differentiation with the other existing studies and studied the purpose and prehistory of establishment, the condition of the project sites, the traditional expression and the result of projects based on the Korean gardens in foreign cities, which are established by Seoul cities or other public organizations. And, we took this opportunity to come up with a plan to improve traditions by studying the Hee-won traditional garden in Ho-Am Museum, Wol-mi Park, and 8 Korean (Seoul) gardens in foreign cities. Due to the leg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tablish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a foreign city is much difficult than working in domestic. Therefore, if trial and error from previous cases is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foreign cities, then the problems will be minimized. Also, since there is no way to check the maintenance after completing a construction for traditional garden in foreign cities, unless they visit the project sites or someone in project site informs them, it is out of people’s attention. Therefore, we’ve researched and analyzed traditional expressions and systematic maintenance plans through surveying landscape professionals such as landscape associate scholars,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professionals, government, landscape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plann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develop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and maintenance of traditional garden. First, an adequate review of local laws related to garden establishment is required at the plann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these gardens should be a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lace where Korean emotions are well expressed and must be an environmental friendly and should form a harmony with the other local parks. The selection of landscape trees for Korean gardens should be the one,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should grow well and easy to purchase in that country so it will occur less disruptions.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facilities can be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local conditions and the concepts of garden; however, in order to present traditions of Korea, the forms of traditional facilities must follow original form. Second, the local governments, which currently promote these projects, may have limitations on clearance issues; therefore, in order to inform Korean traditional culture properly, the government must provide supports on budget or other issues during the developing phase of traditional garden. The construction at foreign cities must be done by master craftsman to ensure Korean traditions and must place informational signs on tradi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actively inform Korean culture to the foreigners. Especially, Europeans are very interested on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such as Korean pavilion, which is hard to find from wooden structure or stone buildings, therefore, there must be at least one Dancheong in Korean gardens. Third, in the aspect of maintai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systematic maintenance requirements must be indicated on the agreement form since the planning phase of the traditional garden. The fragile traditional facilities must secure sufficient reserve materials and given to the local maintenance organization onc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There is a need to publicize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of Korea, therefore, rather than keeping the existing facilities until it age, establishing a reconstruction plan for every 5 or 10 years will be great idea. 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interest of the main audiences, the local residents, there must be informational booklets or audio visual about the garden and should host various events. Key-words : Korean traditional gardens, traditions, nature view, exchange programs

      • 한국 전통 건축속에 내재된 시김의 미에 관한 사진 표현 연구

        안경실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의 전통 건축은 자연의 정신을 담았다. '배산임수(背山臨水)'라는 아름다운 그림을 건축으로 실현한 것이다. 등 뒤로는 산이 펼쳐지고, 집 앞으로 내가 흐르는, 그 자체의 한 풍경화가 바로 우리의 건축이었다. 자연 속의 집. 자연 속에 집을 지은, 자연과 함께 어울어진 삶이 바로 우리 조상들의 삶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서구 자본주의는 우리의 자연관을 고민없이 밀어내버렸다. 서구적 합리주의와, 그것을 키운 서구적 세계관이 우리의 새로운 가치인 양 곳곳에서 그 모양새를 드러내고 있다. 그로 인해 우리는 이 시대 문화 사회적 정체성의 상실감은 물론, 한국 문화를 바라보는 기준 조차도 상실해 버린 실정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오늘날의 서구는, 진정한 정신의 가치를 찾기 위해 오히려 우리 동양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오늘날의 체계화되고, 발달된 세계문명을 자신들이 이루어왔다고 자부하던 그들이, 자연과 인생의 멋진 동반 관계를 이루어 오던 우리 동양 고전 가치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사실은 참으로 의미 깊은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사상의 근원지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 역시 우리의 정신 가치를 이끌어 왔던 그 소중한 가치에 대하여 올바른 눈을 떠야 할 때다. 우리의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그것을 한국적 맥락으로 이해해 갈 때, 비로소 우리 것으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이루어가야 한다는 우리의 임무를 다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참 안타까운 것은 우리의 사진 역사가 서구의 그것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속에서도 특히 한국 전통 건축 사진은 찾아보기가 어려웠으나 몇몇 선배님들의 한결같은 노력으로 한국 전통문화 사진의 명맥을 이어 왔고, 근래에 들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진계나 건축계에서 한국 전통건축 사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조상들의 자연과 융화된 삶이 가장 잘 묻어있는 한국 전통건축 사진을 김영기 선생이 피력한 '시김의 미'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바라보고자 한다. '시김'이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뤄지는 깊은 맛을 이름이다. 시간의 변화, 한정되지 않은 시간의 흐름 속에 한결같이 이어져 내려오는 우리의 삶, 얼, 정신이 스스로 삭아 인간의 마음을 엮어 내면을 만들어 간다. 그렇다면 우리는 대상을 어떻게 관찰하여 그 본질을 바라볼 수 있을까? 그 길은 주관적 요소나 시간의 경계에 구속됨이 없이 사물이나 대상을 관찰하여 본질을 이해하려는 태도, 관조의 태도일 것이다. 관조는 계시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고 했다. 관조는 일상적으로 부딪쳐오는 사물들과의 접촉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삶을 주관하려는 정신을 수반한다. 이미 오랜 세월 우리의 숨결이 묻어있는 한국 전통건축에서 우리는 '시김의 미'를 어떻게 관조하고 발견할 것인가! 마음의 눈을 열고, 본질을 깊이 있게 바라보는 마음속에서 한국의 건축미는 그 참 모습을 드러내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contained the spirit of nature. Our architecture style was a landscape itself which back of house is a mountain and front of house is a river. The spirit of nature represents this beautiful picture. The house was inside of nature and the life of ancestor was inside of the house. But, when modern times comes, the western capitalism is changed our views of nature by us. The western rationalism and the western view of the world speak for our new spirit. Following as this change, we are losing our cultural and social identity. A basis of looking at korean culture is being lost in our ages. However, ironically nowadays western is turning their eyes towards asia to seek the true worth of spirit. This fact gives a important meaning for us. A western people who has a pride of structural and developing civilization world becomes adapt theirselves to our spirit of nature. Although we live in the origin of oriental spirit, today is when ourselves open our eyes towards a oriental spirit. When we understand rightly our traditional culture and find our own korean style, we will be able to conduct our duty that the general worth of people should accomplish to ours. But, our picture history is more shorter than western one. It's sad reality for us. Specially, it was hard to find out picture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Fortunately, with endeavor of several seniors, pictur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 be connected continuously. Nowadays following as increasing a concern about a traditional korean culture, people who is in either at a party of picture or at a party of architecture are having many interests about this. Thus, our thesis deals with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picture which represents very well combinations of nature and our ancestor lives as a view of 'beauty of see-gim'. 'See-gim' is announced by Dr. Young-Kee Kim'. A beauty of 'See-gim' means the beauty developed as passing by times. A change of time is being made our lives and spirits. This spirit developing as times consists of our mind. How can we look at a basis of objects without relation of times? This answer is that we push away a prejudice and have to watch a object without our personal opinion and a restriction of time. When we can overcome the difference of time, we can see the basis of object for the first time. Contemplation or meditation is needed to us for observing an object. Contemplation has also a character of apprentice. This is not a contact with a object but a spirit of life transcending a time and a space. We have to open our mind towards difference of times. For the first time, we will be able to find out and contemplate a beauty of 'See-gim' in our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in this mind we should watch deeply about a basis of object. Finally, through this attitude, we will be able to see the true beauty of korean architecture.

      •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교수학습지도 방안

        유영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주변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이 이어져 오는 훌륭한 전통문화들이 많다. 우리의 전통문화는 우리민족의 원형적 특질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접목하여세계 속에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잠재된 미의식이 내재 되어있다.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로서 다양한 문화와 정보들이 제공되며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흐름 속에서 우리들은 각자의 개성을 찾고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 시켜 나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요즘 들어 주변 국가들의 역사왜곡과 한류열풍으로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이해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미술 교육에 있어서 우리의 전통문화 중 한민족의식이 반영된 창조적 정신활동의 소산인 한국 전통문양에 대한 올바른 의미 인식과 한국 전통문양의 아름다움을 현대의 생활과 연결하여 독특하고 미적 감각을 창조해내어 이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한국 전통문양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교수학스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 방법과 내용으로 첫째, 한국 전통문양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한국 전통문양의 개념과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고, 종류들을 분류하였다. 둘째, 현재 중할생들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문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현행 중학교 7종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전통문양에 대해 분석하고 실태를 파악하며 한국 전통문양과 관련된 예시작품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새로운 학습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 결과물인 학생 작품들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여 현행 미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되어야 할 점, 깨달은 점을 수록하였다. In our surroundings, there are many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s whose long history and tradition have been handed down. Our traditions and cultures not only show the archetypal features of our nation but also contain the latent aesthetic consciousnes that can enhance the position of the Korean culture in the world by adding a new culture to them. The 21th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computerization, when a diversity of cultures and inforamtion are provided and shared, In theis stream of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proceed to find out our own individuality and accept and develop our traditions and cultur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have the accurat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s due to the distortion of Korean history by surrounding countries and the heated wave of Korean trends in these days. So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Art Subject of Middle School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It si intended to help students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correct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product of creative spiritual activity reflecting the antional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in our traditions and cultures, in their art education, and create and enjoy the piculiar and esthetic sense by connecting the bearty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ith the contempirary life. In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deeloped as follows: First,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understrand the concept and symbolic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classify their kinds. Second,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apttern fot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t sought to analyze the Korean traditional aptterns shown in seven kinds of arts textbooks of middle school, idetify their realities, analze the exhibited works realted to Korean traditional patterns, present a resultant new teaching-learning plan and apply it to actual school. And it included the art works of the students surveyed, the outcome of actual school. Finally, it present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described the problem of current art education, improvements and the points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