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韓國傳統倫理에 있어서 忠孝思想의 現代的 定立模型에 관한 硏究

        윤대승 忠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the triangular position pattern through finding out the problems of the modern loyalty and filial piety. It was done mainly for the research of the theoletical background and the actual condition to the ideology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ecause tha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our traditional ethics as ell as that of human nature, however the complications in the view-point of value may be caused, it will be easily planted in our society, supposing that it is adapted and connected with our cultural life. Democracy, the modern ideal thought of mankind, is never be increased with the moral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refore, the idealogy of them will be alive democratically through a family. When trained by education and carried through local society, it'll be settled down to the morals of life. As the moral decadence in our modern society is rising high and much more social problems are increased, that traditional moral should be actually accepted and developed as quickly as possible is very desirable. Especially several phenomena of the moral decadence can be easily overcome if that of loyalty and filial peety is well developed traditionally in accordance with our modern society.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problem for developing our modern society properly that thos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should be settled down through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m, and it is believed that those of them should be grown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value. lst, a full understanding of the democratic theory and life style is a must for good fixation of the moral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we are in a present situation of not being familiar with democracy. 2nd, school education should be altered into that of seeking the dignity of human and personality. This is the royal road to settle the education of tha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to school education. 3rd, it is a great matter that they are eudcated democratically in schools, but in their family they are educated in Confucian way. It is believed that democratization of family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first of all. 4th, the decadence phenomena take place in moral because of the influence on material civilization in our society. therefore, tha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ought be settled down to get over such problems. 5th, because tha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like that of practice, it is proper that such an education must be practiced through daily life. Al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be associated with real practice. 6th, recognizing the basis of modern moral of loyalth and filial piety lies in the traditional ethics,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m should be done. 7th, the new program for the practical model of modern loyalty and filial piety must be planned continuously. That's why such a model is very changeable according to the trend of times.

      • 중국 곤곡과 한국 판소리 텍스트에 나타난 전통적 윤리 의식 비교 연구

        자오항 동신대학교 한국어교원학과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00559

        세계문화유산으로 나란히 등재된 곤곡과 판소리는 중국과 한국이 고대사회부터 공유해 온 윤리적 가치 규범과 정서를 그 주제와 배경으로 삼고 있다. 곤곡과 판소리는 음악과 문학, 연극의 특장을 살린 종합예술이며 동양의 우수한 정신문화도 함께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중국과 한국의 문화를 서로 이해하고, 공통의 전통적 정서를 회복하는데 발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곤곡 중에서도 극적 서사가 주류를 이루는 곤곡과 판소리를 비교해 그 속에 담긴 전통적 윤리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과 한국은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정신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적 윤리 의식에 있어서 동질성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정치적 격변과 체제의 차이로 심각한 문화 충돌 양상을 빚어왔다. 다행히 최근에는 경제적 교역에 따라 문화적 교류로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미래의 주역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의사소통을 이루며 문화 교류의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전통문화를 공유해 온 장구한 역사에 비하면 현대문화의 이반 현상은 극히 짧은 시간대의 일시적 상황으로 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과 한국 현대문화의 바탕에는 고대사회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집단적 정서로 다져진 전통문화가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점을 중시하고 중·한 양국이 유가 중심의 정신문화적 동질감을 나누어 온 곤곡과 판소리를 텍스트로 그 속에 담긴 전통윤리에 대해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중국과 한국의 전통적 윤리의식의 동질성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곤곡과 판소리에 담겨있는 전통적 윤리 의식을 각각 가족윤리, 사회윤리, 국가윤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만 곤곡과 판소리의 전문 영역인 음악과 예술적 깊이를 탐구하기 보다는, 그 극적 담화와 서사를 통해 그 속에 담긴 동양적 윤리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는 데 주력했다.

      • 디자인 활용을 위한 한국 전통 나무이미지의 상징성과 조형성 분석

        조애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00540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나무이미지의 상징성과 조형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 전통 나무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전통 시문학 및 전통 회화에 나타난 나무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여, 나무문양의 상징성 분류체계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선정된 전통 나무문양의 상징성을 분석하여 그 상징성에 따라 한국 나무문양의 형태 및 색채를 분석하였다. 둘째, 유물별 형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형태 특성에 대한 조형적 분류체계를 구조화하여, 선정된 전통 나무문양의 형태특성을 분석했으며, 한국 나무문양을 이루는 대표적 형태를 유물별로 제시하였다. 셋째, 색채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 유물에서 선정된 전통 나무문양의 색상 및 색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한국 나무문양을 이루는 대표적 색채를 유물별로 제시하였다. 한국 나무이미지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모두 1,027개였다. 자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자료를 모두 포함했으며, 특히 전통유물에 나타난 소나무 문양과 대나무 문양, 버드나무 문양을 구체적 대상으로 하여 시기적으로 고구려에서 조선시대에 이른 유물로, 도자기와 민화, 목공예, 금속공예, 자수를 대상으로 하였다.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한국 나무문양의 상징성은 윤리와 탈속, 길상, 생명력, 여성성으로 도출되었다.2. 도자기에는 대나무 문양이 많았다. 형태로는 3단위 약화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기하학적 형태의 추상적 표현도 상대적으로 많았다.3. 민화에는 소나무 문양이 과반수이상 나타났으며, 형태로는 3단위 약화적 표현이 많았다. 유물 가운데 사실적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소나무 문양에서는 상징적 의미가 담긴 추상적 표현도 많이 나타났다.4. 목공예에서는 대나무 문양에 많이 나타났다. 형태로는 3단위 약화적 표현이 많이 나타났으며, 약화적 표현이 많이 나타났으며, 유물 크기와 문양 형태가 긴밀한 연관성을 지녔다.5. 금속공예에서는 대나무 문양이 많이 나타났다. 형태로는 1단위 약화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6. 자수에서는 소나무 문양이 많이 나타났다. 형태로는 3단위 약화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사실적 표현도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나무문양이 다른 상징부속물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7. 상징성별로 한국 전통 나무문양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면, 모든 상징문양에서 형태적으로 3단위 약화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내용적으로는 길상적 내용을 상징하는 문양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윤리문과 탈속문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다. 버드나무 문양으로만 상징되는 생명력문이나 여성성문이 나타난 빈도는 매우 낮았으나, 그 문양들은 버드나무의 고유한 특징을 잘 나타내주었다.8. 한국 전통 나무문양의 색채특징을 살펴보면, 7.5YellowRed를 중심으로 YellowRed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Yellow가 그 다음으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 다음에는 Red과 GreenYellow, PurpleBlue의 순서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전체 유물의 나무문양 이미지에서 가장 적게 나타난 것은 Purple이다. BlueGreen도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한국 전통 나무문양의 tone의 특징을 살펴보면, dkg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데 반해 b나 v는 매우 적게 나타나, 나무문양의 색조는 저명도 저채도로 표현되었다.9. 상징성별로 한국 전통 나무문양의 색채특징을 살펴보면, 윤리문은 YellowRed와 Yellow, Red, PurpleBlue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특히 PurpleBlue는 도자기에서 대나무 문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윤리문의 색조는 저명도 저채도로 많이 표현되었고 고명도 저채도의 색조도 많이 나타났다.10. 탈속문은 YelowRed와 Yellow, Red, GreenYellow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자연을 표현하는데 많이 사용되었다. 무채색의 비율이 높았다.11. 길상문은 YellowRed와 Yellow, Red, GreenYellow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길상문은 복을 누리며 오래 살고 싶은 사람의 마음을 담아 나무문양을 여러 장생문양과 함께 표현하였다. 길상문의 색상분포와 색조분포는 나무 전체의 그것과 유사한 비율을 나타냈다.12. 생명력문 색상은 YellowRed와 Red, GreenYellow, RedPurple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무채색이 나타나지 않았고, 저명도 중채도에서 저채도로 많이 표현되었다. 화려하지 않지만 안정되면서도 생동하는 미를 느끼게 하였다.13. 여성성문양은 YellowRed와 Red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고명도 중채도 내지 저채도로 표현되어 맑고 부드러운 색감을 느끼게 하였다.이 연구는 한국 전통유물에 나타나는 나무문양의 상징성을 문학과 예술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소나무와 대나무, 버드나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각 유물에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 가운데 형태특성과 색채특성을 분석하여 상징적 특성과 형태특성, 색채특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고유문양으로서의 나무문양의 가치적 측면을 재정립 하였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한국 개신교계 신종교의 윤리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을 중심으로

        임웅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35007

        한국에서 전파되고 있는 신종교들은 사회적인 시각과 모임의 특성상 정확한 통계를 집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신종교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주장하는 교리적인 특성을 종합해 볼 때 한국의 신종교는 단군계, 동학계, 유교계, 불교계, 그리스도교계, 외래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 발생은 조선의 멸망과 제국주의 일본의 한일합방, 그리고 외세의 간섭 등과 연관이 있다. 현대 한국의 여명기에는 한민족을 일제의 침략과 수탈, 그리고 외세의 간섭이 아닌 정치적인 독립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민족주의자들이 있었던 반면에, 종교를 통해 현실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인 유토피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민족주의자들이 있었다. 특히 종교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던 민족주의자들은 불교의 미륵사상과 민중 속에 흐르고 있는 정감록의 정도령 사상, 그리고 성서에 나오는 말세의 메시야 사상과 습합하여 신종교 운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런데 그 특징은 창교주를 중심으로 신종교의 조직이 형성되고 교리와 제의를 갖추게 된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천도교, 증산교, 원불교, 대종교를 열거할 수 있다. 개신교계 신종교의 역사를 살펴보면 김성도의 새주파, 백남주의 원산 예수교회, 황국주의 새 예루살렘 순례단을 통해 김백문의 이스라엘 수도원과 정득은의 삼각산 기도원으로 연결되고, 다시 문선명의 통일교와 박태선의 천부교(전도관)로 이어져 내려오다가 이 논문의 중심주제인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의 이만희에게 연결된다. 메시야 사상과 연결된 한국 개신교계 신종교의 활동은 대부분 반세기를 넘지 못하고 단체의 간판을 내리게 된다. 신종교의 창교주는 대부분 자신이 성서에 예언된 말세의 메시야를 뜻하는 구원자로 가르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현세의 고통과 죽음에서 구원을 받고 영생을 얻기 위해 추종자가 되었으나, 호언장담했던 모습과는 정반대로 자신의 죽음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창교주는 맥없이 생을 마감한다. 따라서 창교주의 죽음은 더 이상 신종교 단체가 존재할 명분을 상실하게 만든다. 신종교들의 비윤리적인 활동이 스스로 멸망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특히 개신교 계통의 경우 신종교들의 비윤리적인 특성을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메시야 운동과 연관된 한국 개신교계 신종교들은 ‘인류의 죄악이 음란에서 비롯되었다’라는 성적 모티브와 연결된 교리를 주장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 해석은 전통적인 그리스도교가 가지는 ‘인류의 타락’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실낙원과 복락원의 과정을 ‘성’과 연관시켜 실현시킨 인물로는 원산 예수교회의 백남주, 새 예루살렘 순례단의 황국주, 그리고 삼각산 기도원의 정득은, 통일교 문선명, 전도관의 박태선, 기독교 복음 선교회의 정명석 등이 있다. 이들은 성서에 기록된 인간 타락의 과정을 루시퍼(사탄)와 하와(해와)의 성적인 관계로 해석하고, 창교주와의 성관계를 통해서만 인간의 죄를 해결 받으며, 구원과 영생을 누리는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고 주장하여, 신도들과 성관계를 맺는 비윤리적인 행태를 보였다. 한국의 전통윤리 및 사회 분위기에 비추어 볼 때 이들의 행태는 받아들이기 매우 어려우며, 사회적으로 많은 지탄을 받게 된다. 결국 전교활동을 접거나 ‘성관계를 통하여 유토피아를 실현 한다’는 교리를 교묘하게 수정하여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신종교에 심취한 신도들의 가출과 이혼, 그리고 가정불화는 또 다른 형태의 비윤리적인 문제이다. 위의 사회적인 문제는 특히 황국주와 그의 신도들이 새 예루살렘 순례행위를 했을 때 나타났으며 문선명과 그의 신도들이 초창기에 통일교를 창립할 때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이만희의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에서도 그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은 창교주와 신도들과의 부적절한 성과 관련된 문제는 확연하게 드러나거나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없지만, 이혼과 가출 그리고 가정불화의 문제는 심각할 정도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윤리적인 모습을 보이는 신종교 단체들은 하나같이 헌법에 명기되어 있는 ‘종교의 자유’라는 명분 속에 숨어 활동하고 있다. 신종교도 하나의 종교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사회에서 신종교도 ‘종교의 자유’라는 법의 보장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가출이나 이혼 그리고 가정불화를 암암리에 조장하거나 발생시키는 신종교를 법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 현재 ‘종교의 자유’라는 명분을 가장 잘 이용하고 있는 단체 중의 하나가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은 가족들이 가출한 가족을 찾으러 오거나, 이혼과 가정불화의 문제로 항의하러 왔을 때 가족 구성원들 간의 해결해야 할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 간부들이 중간에 나서서 ‘종교의 자유’라는 법을 적용하여, 가족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도리어 가족구성원들을 법적으로 고소하거나, 반대활동을 하고 있는 피해자들까지도 무더기로 고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현상들은 사회·윤리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리스도교는 전통적으로 성서에 토대하고 있는 정의와 사랑을 기본적인 윤리덕목으로 삼아 왔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사회윤리적 측면인 공의, 공동선, 세계평화를 강조해 왔으며, 동방정교회는 금욕적 절제, 내적 기도, 노동, 그리고 청빈의 삶을 통해 자기를 부정하고 하느님과의 연합을 추구하며 죄악을 이기고 정의를 실현하고자 노력해 왔다. 프로텐스탄트 교회는 하느님의 은혜 안에 있을 때 인간은 선한 존재가 되며, 성직과 세속직은 모두 하느님께서 주신 귀한 소명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은 모든 직업에 충실해야 함은 물론 사회개혁에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의와 평화, 그리고 사랑을 실천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인류를 구원할 메시야라고 자칭하는 신천지 교회의 이만희에게서는 참 메시야의 속성인 정의, 용서, 사랑의 모습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십자가상에서 반대자들을 용서하고 인류의 죄를 대신해 죽은 구원자 예수의 모습과는 달리 거짓과 고소를 통해 반대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잠재우려 하고 있다. 또한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은 세계평화와 공동선과 같은 사회윤리 문제에는 거의 관심이 없고 오직 신도들로 하여금 신천지 증거 장막성전의 위계질서에만 복종하게 하여 가출, 이혼, 폭행, 가정불화, 학업포기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양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비도덕적인 신종교 현상들은 제 일차적으로 기성종교의 책임임에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회적 물의를 자행하고 있는 신종교를 정부차원에서 외면하는 것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기성종교의 각성은 물론 정부에서도 비윤리적인 신종교에 대해 적극적인 감시와 제재를 강화해야 할 것이고, 기존의 공신력 있는 종단학교를 통하거나 대학교의 종교학과 혹은 신종교 연구기관을 새로 설립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신종교를 깊숙이 연구케 하여 국민들을 이단사설, 혹세무민하는 거짓 가르침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할 것이다. It is very difficult to collect accurate statistical data of new religions being spread in Korea due to the social viewpoints of th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atherings. Considering the goals pursued by them and the doctrinal characteristics maintained by them, the new religions seen around Korea include the Dangun, Donghak, Confucianism, Buddhism, Christianity, and a foreign group.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in Korea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llapse of the Chosun Dynasty,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the interferences of foreign forces. At the dawn of modern Korea, some nationalists tried to expel the Japanese during their invasion and similarly tried to stop the exploitation of Korea and the interferences of foreign forces. All of these actions garnered a spirit of independence in Korea toward becoming a politically independent nation, and others attempted to solve real problems and create a social Utopia through religion. Those nationalists who attempted to create a new nation through religion, in particular, embarked on a movement of new religion by negotiating with the Maitreya thought of Buddhism, the Jeongdoryeong thought of Jeonggamrok that permeated through the people, and the Messianism of the end of the world in the Bible. These new religions can be characterized by building up an organization around their founders with doctrines and rituals. Good examples include Jeungsando, Wonbulgyo, Daejonggyo, and Cheondogyo.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new religions continued through Kim Seong-do's Saejupa, Baek Nam-ju's Wonsan Jesus Church, Hwang Guk-ju's New Jerusalem Pilgrims, Kim Baek-mun's Israel Monastery, Jeong Deuk-eun's Samgaksan Prayer House, and even to Moon Sun Myung's Unification Church and Park Tae-seon's Cheonbugyo(Jeondogwan). The history has also been passed down to Lee Man-hee who created the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that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Connected to Messianism, the activities of the new Protestant religions in Korea mostly came to an end in less than half a century as the organizations fell apart. The founder of each new religion, in most cases, teaches his followers that he is the savior or the Messiah in the end of the world foretold in the Bible. Wishing to be saved from their mundane pain and death and to have eternal life, many people become his followers. Contrary to his big promises, however, he cannot even deal with his own death and passes away helplessly. The death of the founder eliminates any cause for the organization of the new religion to go on.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new Protestant religions drove themselves to destruction by engaging in unethical activities. Specifically, the uneth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Protestant relig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w Protestant religions in Korea that are related to Messianism started with an argument involving a sexual motive that "the source of mankind's sin is lewdness," but the interpretation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rruption of mankind" argued by traditional Christianity. Those who are related to the process of a paradise lost and regained through "sex" include Baek Nam-ju of the Wonsan Jesus Church, Hwang Guk-ju of the New Jerusalem Pilgrims, Jeong Deuk-eun of Samgaksan Prayer House, Moon Sun Myung of the Unification Church, Park Tae-seon of Jeondogwan, and Jeong Myeong-seok of the Christian Gospel Mission. They all interpreted the process of human corruption in the Bible as sexual relations between Lucifer(Satan) and Eve and insisted that "it is only through sexual relations with the founder that people can be forgiven for their sins and enter the Heaven of salvation and eternal life." In fact, the founders demonstrated extremely unethical behavior by having sex with their female followers, which is hardly acceptable in Korean society with its unique atmosphere. Thus, they either closed down their organizations, heavily attacked by society, or continued their operation by revising the doctrine of "Creating a Utopia Through Sexual Relations." Secondly, there were other forms of unethical issues concerning the new religions as the deeply involved followers left their homes, got divorced, or got into family trouble. Those social problems took place when Hwang Guk-ju and his followers engaged in the acts of the New Jerusalem Pilgrimage and Moon Sun Myung and his followers formed the Unification Church. Similar phenomena were also witnessed in Lee Man-hee's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Although there is no certain evidence or an official report that the founder had inappropriate sexual relations with some of the followers, its social problems have apparently reached a severe level with many cases of divorce, leaving home, and family troubles among the followers. The organizations of new religions engaging in unethical activities all hide behind a cause called "freedom of religion"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 Since a new religion is still classified as a religion, it is entitled to "freedom of religion" by the law in Korea, which means that there are no legal grounds to legitimately punish a new religion that secretly manipulates or causes the followers to leave home, get divorces, or get into family trouble. One of the organizations that make the best use of the "freedom of religion" cause is the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When families visit the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to look for their children who left home or to make a protest regarding a divorce or family issue caused by it, the executives wave the card of "freedom of religion" and do not listen to the demands of the families despite family problems. To one's dismay, they even file legal suits against the families and the victims who are taking actions against them. These are all serious problems both socially and ethically. Christianity has traditionally declared justice and love based on the Bible as its fundamental ethical virtues. The Roman Catholic Church has emphasized just morality, common good, and world peace as social and ethical aspects. The Eastern Orthodox Church has asked believers to deny themselves, pursue a union with God, dispel sins, and realize justice through the poor but honest lives of ascetic abstinence, internal prayer, and labor. The Protestant Church has demanded that Christians should work hard at all kinds of jobs, take active part in social reform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us realize just morality, peace and love since humans can be good in the blessing of God and both sacred and secular professions are precious callings bestowed by God. However, Lee Man-hee of the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who is a self-claimed messiah to save mankind, displays no attributes of a true messiah at all, including justice, forgiveness, and love. Contrary to Jesus, the Savior, who forgave his opponents on the cross and sacrificed himself for the remission of human sins, he attempts to bury the voices of those who protest against him through lies and lawsuits. His Shinchonji Tabernacle of the Testimony has little interest in social and ethical issues like world peace and common good and forces the followers to obey its hierarchy, contributing to mass social problems such as leaving home, divorce, assault, family trouble, and giving up one's study. Although one cannot deny that the primary accountability for these immoral new religions lies on the existing relig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government is also problematic in that it has ignored their contribution to social problems. In addition to an awakening on the part of the old religions, th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its aggressive watch and control on the unethical new religions and encourage scholars to study new religions in-depth through existing reliable schools of religious orders, colleges or universities with a religion major, and research institutes on new religions so that people can be actively protected from heretical doctrines and false teachings of new religions that delude the world and deceive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