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복의 여밈에 대한 연구

        이주옥 숙명여자대학교 1986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의복은 앞면에 트임이 있어서, 이것을 여며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 衣服을 착용하자면 신체구조상 머리가 통과되어야 하기 때문에 트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고, 이 트임을 서로 교차하여 주는 것을 여밈이라고 한다. 本 硏究는 韓服의 특성 중 여밈에 대한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여밈의 종류와 방법을 분석기준하여 그 時代的 變遷 및 用途別, 性別, 階層別 차이를 분석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여밈은 두 가지 특성으로 파악될 수 있는데, 하나는 여밈의 종류이며 다른 하나는 여밈의 방법이다. 여밈의 종류란 트임을 교차하여 포개는 방향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말하며 한복에서 나타나는 여밈의 종류에는 좌임, 우임, 합임이 있다. 여밈의 방법은 트임을 포개어 여미기 위한 장치를 말하는데, 한복에서 나타나는 여밈의 방법에는 帶에 의해 여며지는 방법, 옷고름과 같이 의복에 끈을 부착하여 묶어서 여미는 방법, 옷고름과 매듭단추의 혼합형, 옷고름과 대의 혼합형, 단추에 의한 방법, 바지에 여미는 방법, 치마에 여미는 방법 같은 것들이 있다. 2. 여밈종류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고찰해 보면 삼국시대의 임에 관한 것은 자료가 가장 풍부한 고구려고분벽화를 통해 살펴본 결과 좌임, 우임, 합임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연대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357년의 冬壽墓고분벽화에서 우임과 합임의 例가 보이고 있으며, 연대가 5세기말에서 6세기초로 알려진 각저총에서 좌임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5세기에는 좌임, 우임이 공존하다가 6세기이후부터는 한복은 주로 우임으로 입어온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볼 때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우임이 일반적이며, 좌임의 例는 수의의 경우에 조사되고 있다. 3. 임의 종류에 대한 性別, 階級別차이는 有意性이 인정되지 못하고 있으나, 用途別 차이는 고려시대 이후 일반적인 경향에 대한 차이가 인정되기 때문에 각 종류에 대한 용도별 분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좌임에는 일상적이 아닌 특수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로 壽衣인 경우에는 좌임을 사용하고 있다. 상례라는 것은 특히 격식이 까다롭고 전통고수적이며 변화에는 매우 부정적이기 때문에 좌임에는 선조의 제도를 그대로 고수하려는 강한 전통성이 담겨져 있는 것 같다. 둘째, 우임은 현재까지 한복에 주로 입혀져 왔으며, 우임에는 日常的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고, 그것은 특수성에 반대되는 뜻이다. 셋째, 합임은 관혼상제의 의복과 巫服과 같은 의례용 복식에 사용되고 있으며, 의례복식은 그 자체가 의례를 상징하고 거기에는 신앙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의례는 전통고수적이며 세대를 통해서 전승되고, 거기에 수반되는 복식 또한 한세대 또는 몇 세대 전의 형식을 보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초기의 의복형태는 직선절개형에서 발전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고, 직선절개형도 입으면 합임의 형태가 되므로 합임이 전통고수적이며 세대를 통해서 전승되는 儀禮服飾에서 나타나고 있는 점과 임제형태의 발전과정을 통해서 미루어 보아 합임이 임제의 시초가 아니었나 생각되어 진다. Front opening has been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nstumes. This opening has been closed in so many various ways; closing directions and closing devices which are so-called closing systems. This paper aimed at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sing system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The characteristics of closing system was found by the alalysis of closing directions and closing devices in many historical data. I conclud as followings. 1. Closing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front opening is closed. There have been three types of closing direction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the left type and the right type and central type. Closing devices mean the devices which are used to close front openings. There have been used various closing devices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belt, attached belt, botton, the composite type of attached belt and botton, the composite type of belt and attached belt. 2. In studying the changes of closing directions that occured in each ara;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here existed all types of closing directions,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central type. These facts are gained by the analysis of wall paintings in Go-Gu-Ryo tomb. Since A.D. 6 Gentry the right type has been generally used, but some special cases such as grave-clothes and ceremonial clothes showed the left and the central type. 3. In studying the different uses of closing directions between the kinds of clothes and between sexes and between social class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es and between social classes cannot be found. But the difference between uses may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The distinctive features between the kinds of clothes are suggested as followings. 1) The right type has been generally used through all of the ages. It means that the right type is used in the common daily life clothes. 2). The left type was generally used with the right type before A. D. 6 centry, but after that age it has been used only in case of grave-clothes. Grave-Clothes is used in a funeral servic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remony in Korea. So I think that the left type may be remained as a tradition in such a persistent case. 3) Just like the left type, the central type did not appear in common daily life clothes after A. D. 6 centry. After this age, central type has been used mainly in two cases; one is in the ceremonies of coming 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ral worship; the other is shaman-clothes. These two cases are ceremonial occasions which have persistent tradition. Supposed that the original form of opening be straight, the central type is thought to be the original type of closing direction.

      • 20대 중국 여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과 한류 및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해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87

        한국 패션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내 한류열풍은 이들 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패션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 20대 여성들을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하고, 이 집단들 간의 의복 구매행동(패션 정보원, 구매 장소, 쇼핑성향)의 차이를 밝히고,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라이프스타일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패션 라이프스타일 20문항과 패션 정보원 14문항, 구매 장소 8문항, 쇼핑성향 13문항,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브랜드 구매의도 각각 3문항씩, 그리고 인구통계에 대한 8문항을 측정하였다. 북경, 상하이, 심천, 그리고 서안 등에 거주하는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에서 4월 20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9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LSD, 교차분석(Chi-square)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문항들은 개성 추구와 심미성 추구, 브랜드 추구 및 경제성 추구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에 따라 군집 분석한 결과에서 경제/개성 추구집단, 심미/브랜드 추구집단,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개성 추구집단이 정보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쾌락적 쇼핑성향과 편의적 쇼핑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에 따라 구매 장소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분집단들에 따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개성 추구집단은 한국과 한류 선호도, 한국패션 선호도 및 한국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무관심집단이 네 요인들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과 한국 선호, 한류 선호가 한국패션 선호와 한국 패션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패션 선호에는 한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의도에는 한국패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와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추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 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뿐 만 아니라 한국 패션 선호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fashion companies are actively planning to advance into Chinese market as a means to grow as a global company, and the Korean Wave craze in China is providing great opportunities for them. As su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Chinese consumers and study the attitude of Chinese consumers on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brands. So far, however,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consumers, and also the studies on attitude towards Korea,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are very inadequate. In order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by such fashion businesses, this study intended to subdivide Chinese women in 20s by fashion lifestyle,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fashion informant, location of purchase, shopping inclination) between such groups, and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lso, it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on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surve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measured 20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14 questions on fashion informants, 8 questions on location of purchases, 13 questions on shopping trend, and 3 questions each on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8 questions on 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women in 20s living in Beijing, Shanghai, Shenzhen, Xian and such from April 11th to April 20th, 2011, and total 391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18.0 software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LSD, cross analysis (Chi-square) and such.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were comprised of factors for pursuit of personality, pursuit of aesthetic aspect, pursuit of brand,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and from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y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aesthetic aspect/brand pursuing group, and fashion-indifferent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used the most informants and had high tendency of hedonic shopping and convenience-driven shopping, and the location of purchase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per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sub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fashion-indifferent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all four factors. Fourth,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factors and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on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Korean fashion brand, preference of Korean Wav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On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And the factors of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ere found to have not only direct influence but also indirect influence through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 韓國巫服의 變化에 관한 硏究 : 降神巫服 袍를 중심으로

        김은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32239

        우리나라 무복(巫服)은 크게 화려하고 다양한 중부지역의 강신무복(降神巫服)과 거의 특별한 형태를 지니지 않고 간소화된 남부지역의 세습무복(世襲巫服)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굿거리에 착용되고 있는 강신무복이 굿거리를 주관하는 무당의 의도와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전통성을 잃어가고 있는 현실을 주시하고, 통시적 관점에서 그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무복의 형태변화는 불가피한 것이지만 변화 속에서도 전통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의 명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현대의 굿거리에 착용되고 있는 강신무복의 형태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 및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우선 한국무속관련의 서적과 논문 및 고문헌의 기록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고 다음으로 문헌과 풍속화에 제시된 무복의 그림이나 사진 및 박물관에 소장된 전통무복의 형태를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대 강신무를 황해도 굿과 서울굿으로 대별하여 현재 각 굿을 수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당이 착용하는 무복의 형태를 분석하고 한국 전통복식 포와 전통무복에 비추어 그 변화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문헌조사 박물관소재 실물답사, 현재 굿거리 현장참관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무당이 신을 모셔놓고 행하는 굿거리는 행하는 시기나 목적, 규모가 다르며 모시는 제신에 따라 무복의 유형이 다르고 그 명칭 또한 다를 수는 있지만 착용하는 방식에는 일정한 기본형이 있다. 예컨데, 표의(表衣)인 포는 전통복에서 일습을 갖추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복에 있어서도 원삼에는 화관을, 장삼에는 고깔을, 철릭에는 흑립을, 동다리에는 벙거지를 조합하여 신격화(神格化)하였다. 구체적으로, 대거리 ·구릉거리에서 입는 무복인 철릭(天翼)은 조선시대 융복(戎服)으로 정착되어 상하 구별없이 착용되었고 전정 중에는 공복(公服)으로 착용되던 것으로 굿거리에서는 최영장군이나 억울하게 죽은 문무백관의 신(神)을 상징하고 있었다. 제석거리 ·칠성거리에서 입는 무복인 장삼(長衫)은 출산을 관장하는 신을 상징하고 있었다. 성조거리에서 착용하는 무복인 원삼(圓衫)은 원래 궁중에서 왕비나 공주가 각기 색과 문양을 달리하여 사용하였는데 굿거리에서는 가옥을 관장하는 가정을 지켜주는 신을 상징하고 있었다. 만신말명거리에서 입는 무복인 몽두리(蒙頭里)는 서민남녀의 백색장삼이었는데, 굿거리에서는 무업(巫業)을 하다가 죽은 무당의 조상신을 상징하고 있었다. 별성거리 ·신장거리에서 입는 무복 동다리와 전복은 높은 벼슬을 했던 무관의 혼령을 상징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현대무복으로 착용되는 포의 변화양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형태면에서 현재 무복은 전통무복에 비해 품이 더 풍성하고 소매가 길어져 있었다. 이는 신의 권위와 위엄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보아진다. 반면 포의 길이는 전통무복보다 전체적으로 더 짧아졌으며 여밈을 위해 고름 대신 매듭단추를 이용하고 있는 것은 무당의 동작을 편하게 하려는 의도에 기인한 기능적인 변화로 추정할 수 있다. 1900년대부터 소매의 진동부위에 아귀를 내어 손을 꺼낼수 있도록 한 것 역시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로 볼 수 있으며, 포의 옆길과 뒷길에 트임을 준 것 역시 같은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러나 활동에 필요한 여유를 위해 전통복식에서처림 무를 부착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트임을 두는 것은 포의 자락을 이용한 춤사위 동작을 통해 굿거리의 시각적 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 수도 있으나 현대 무복제작자들이 이론적인 지식없이 단편적으로 전통무복의 구성방법만을 모방하여 제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무복을 착용하고 굿을 행할 때 활동성이 강조되면서 동작을 편하게 하고 굿거리 중 춤사위의 효과를 위해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구성요소면에서 무복에 사용되는 문양이나 장식기법이 의미가 전통무복에서보다 과장되고 현란하다는 것이 주시되었다. 무복의 색은 오방 색에서 유래되었으며, 청색, 백색, 적색, 녹색, 황색으로 철릭(天翼)에는 홍색, 쾌자(快子)에는 청색, 장삼(長衫)에는 백색, 원삼(圓衫)에는 녹색, 몽두리(蒙頭里)에는 황색이 사용되고 있었다. 원래 무복의 색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대 굿거리에 착용되는 무복의 색은 무당의 개성에 따라 선택되고 있었다. 이는 주술적인 의미보다는 관객을 몰입시키기 위한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색의 선택이 다양해 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중요한 구성요소라 볼 수 있는 무복의 소재가 주로 값싼 합성섬유였기 때문에 전통복식에서와 같은 고유한 전통미를 느낄 수가 없었다. 셋째, 착용역할면에서 굿거리별 포의 종류는 성산거리에서 남색철릭을 입었으나, 현대 굿거리에서는 홍색철릭을 주로 입으며, 대감거리 ·도당거리 · 구릉거리에서는 남색철릭을 착용하였다. 조선시대 조상거리 굿은 소창의와 평상복을 착용하였으나 현대에 오면서 황색 몽두리나 평상복에 전복을 착용하여 무복이 일치하지 않고 통일성 없이 다양해졌다. 창부거리에서 입는 무복 원삼은 현대 굿거리에서는 전통 원삼과 전통 활옷이 혼용되어 굿거리에 따라 다르게 변형되고 있었다. 이러한 착용에 따른 포의 의미나 역할이 시대에 따라 변화된 것은 무당이 중거리 주신(主神)의 의미를 다르게 표현하기 때문이거나 무복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보였다. 이와 같이 현대 굿거리에서 착용하는 강신무복은 세부적으로 무복의 제작 및 착용법 등에서 많은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무복이 축술적, 연극적인 특별한 분위기를 위해 무당의 임의적인 의도와 개성에 따라 적당한 모방과 개조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Korean shamanism is the core of the traditional folk religion. It has had a great effect upon the formation of Korean mind, and its magical power remains unabated even today. It can be divided into two basic types, namely Gangsin-mu(spiritual shaman) and Seseup-mu(hereditary sha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ystem of the Korean Gangsin-mu shaman's costume and its formative character and to fine out the traditional follow patterns of government officials' attires and court dresses meaning of it. Shaman's ritual costumes and their wearing methods and decorations are symbolized variety meaning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frence between original shaman's costume and modern shaman's ones. It produces the point of common characters and different one. For my research of this goal, I largely used books, visited museums to examine shaman's costume, and participated in performing shaman's rituals. The shaman's performing rituals reflected the kind of costume as a service for the deity as well as time, goal, and scale. But their wearing Method is the same definite basic style. For example, covered costume(pyo-ui) takes Won-sam with hwa-kwan(flower crown), take Chang-sam(buddhist monk's clothes) with Go-kal(monk's cap), take Dong-da-liwith Bung-kea-jee(cap), take Cheal-lik with hung-lip(black cap) like the wearing method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s. In detail, Cheal-lik that wore shaman's costume during Dae-geari, Koo-lung-geori rituals wore as Yung-bok in Chosun dynasty, during war wore Kongbok. This Cheal-lik shaman's costume symbolized General Choi Young or gods of dead high official members, Chang-sam that wore shaman's costume during Jae-suk-geori. Chil-sung-geori rituals symbolized the god of birth control. Won-sam that wore shaman's costume during Sung-cho-geori symbolized the god of protection of house and home. This won-sam was worn by queen and princess in royal palace riginally. Mong-doo-ri wore shaman's costume during Man-shin-mal-myung-geori rituals worn symbolized dead shaman. Dong-da-li and Cheal-lik that wore shaman's costume during Byul-sung-geori. shin-jang-geori symbolized soul of a dead military officer. The overall shape of variety 'Po's in modern times are similar to the traditional ones, but they differ greatly in size, detail color, and ornamental design. My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 of shaman attires, and als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their shap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leeves of the modern shaman's costume differ greatly to those of the traditional one. The wide sleeves make the width of the clothes broader. It is believed that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leeves are aimed at showing off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the gods. The sleeves have slits in the armholes, which can allow the hands to be drawn out easily. In addition, the knot buttons are used in the modern costumes. Both sleeves and buttons are based on difffrent formation skills from those of the traditional costumes. The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changed for the visual effects while spiritual rituals were being performed and for the easy of movement as well. 2. Modern shaman's costume used adornment and figure skill is more brilliant than traditional ones. The color of shaman's costume originates from five colors(blue, white, red, green and yellow). These colors used respectively in the old days were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ncepts. The colors of the shaman's costume indicates the rank differences in the order of yellow Mong-doo-li, green Won-sam, red Cheal-lik, blue Cheal-lik. Qae-ja, white Chang-sam. The orders are determined by the gods. The color of the shaman's costumes are a positive expression of divine power and shows the shaman's incantatory ability. This change mean a more accentuated visual effect than incantatory meaning. Another reason for color change is also the shaman's costume material. A kind of constituent element uses synthetic fiber in modern times. 3. On the kinds of Po in the shaman's performing ritual, the modern shaman's costume wored red Cheal-likk but in the original wore deep blue Cheal-lik in Dae-gam-geori. Do-dang-geori. and Koo-lung-geori as well as Sung-san-geori. The Cho-sang-geori ritual in the Chosun dynasty wore So-chang-ui and plain clothes. But in the modern times there is variety without coordination. The modern shaman costumes are similar to the traditional ones in overall shape, but details have great differences. The shaman's costume have been developed through imitation and remodelling for the creation of spiritual, theatrical, and special atmospher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piritual rituals.

      • 韓國老人의 衣服構成을 위한 體型 硏究

        함옥상 慶北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박사

        RANK : 232239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elderly in our country has become a social concern in various ways. The problem of clothing for the elderly is one of major concerns to them for improving their life environment.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empirical studies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the elderly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body types by the measurements and the silhouettes of their photographs an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patterns in order to make clothes more suitable for the elderly. The questionnaires that and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82 elderly men and 483 women. Photographs of them were also taken to analyze silhouettes of the bo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ody measurements by sex, men's occupation, the relationships among parts of the body and Rohrer index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measurement of the elderly in their 60'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elderly 70's regardless of sex. · The measurements of the elderly man who were mental worker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elderly man who were physical workers. · There are slightly high correlationship in the height measurements and the girth measurements. but low correlationship in the width measurements. · The results of classifying elderly bodies into 3 types by Rohrer index are shown in Table 12 & 13. 2. Based upon the major measurements and the established angles by the silhouettes of photograph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elderly clothing construction, the estimating functions for response variables are derived. The coefficients of these equations are significant as 1% level of significance by F-test, these equations are appropriate for fitting response measurements. 3. As each size of the clothing for the elderly is decided, the measurements of each response items needed for the clothing construction are evaluated by the estimated functions. The numerical results are shown in Tables 48, 49, 62, 63, 66, and 67.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bodies by the silhouettes of photographs are as follows: · The elderly in their 70's tend to have more bent back and knees than those in their 60's, and the upper trunks and the abdomens of the elderly in their 60's are more protrusive than those of the elderly in their 70's. · According to shapes of backs, the type A of body is approximate 50% and the type B, C and D decreased in that order regardless of sex. · According to shape of abdomens, the percentage of the type II is 49.1% in elderly women and 21% in elderly men. This fact shows that elderly women have more protrusive abdomens than elderly men in general. The percentage of the type II in the elderly in their 70's is lower than that in the elderly in their 60's. · According to men's occupations, the percentage of the type A in elderly men who were mental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physical workers, and the percentage of the type II in elderly men who were mental workers(31%) is higher than that of physical workers(19%). Thus elderly men who were mental workers are likely to habe more protrusive abdomens than elderly men who were physical workers. ·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abdomen has little relation to the number of children borne by elderly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