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와 광둥어의 단모음 대조 연구

        증, 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에서는 음향음성학적 실험의 차원에서 한국어와 광둥어 단모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을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광둥어의 모음체계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모음체계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는데 시대, 지역, 그리고 세대에 따라 단모음의 수에 차이가 나타난다. 광둥어의 모음체계도 한국어와 같이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광둥어의 모음에 대한 논의는 단모음의 장단을 인정하느냐에 따라 단모음의 수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광둥어와 표준 중국어와의 차이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해 한국어와 광둥어 단모음의 조음적인 특징을 검토하였다. 실험 자료는 주로 한국어와 광둥어 사전에 수록된 단모음 단어 중에서 상용어를 채택하였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실험 참여자는 한국인 남녀 화자 각각 4명이며 출신 지역은 수도권이고, 광둥어권 화자는 태어날 때부터 광둥어를 사용하는 중국인 남녀 각각 4명이며 출신 지역은 광둥성 및 중국 홍콩이다. 녹음은 Praat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한국어와 광둥어의 단모음 음성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실험결과를 기초로 통계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광둥어의 단모음을 대조·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광둥어의 단모음의 포먼트 값을 t-검정을 이용하여 대조·분석하여 양국의 단모음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포먼트 분포도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광둥어 단모음의 공통점과 뚜렷한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 결과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 한·중 이중모음 대조 연구

        안, 노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에 나타나는 조음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1장은 이 논문에 연구 목적,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서술하였다. 제2장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모음체계와 분류 방법에 관한 논의들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한국어의 모음체계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있는데 시대, 지역, 그리고 세대 등 차이로 인해 표준발음법과 실제 발음을 기준으로 하는 현실 발음이 형성되었고 모음의 수에 차이가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어의 모음체계는 단모음, 이중모음 및 삼중모음으로 나뉜다. 중국어의 모음에 대한 논의는 단모음을 발음할 때 생기는 변이 때문에 단모음의 수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이중모음으로만 형성되는지 삼중모음도 인정되는지 등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3장은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모음의 조음적인 특징을 검토하였다. 실험 자료는 주로 한국어 표준국어대사전과 중국어 신화사전에 수록된 이중모음 단어 중에서 상용어를 채택하였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실험 참가자는 한국인 남녀 화자 각각 3명이며 출신 지역은 서울과 경기도이고, 중국인은 표준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국인 유학생 남녀가 각각 3명이며 출신 지역은 중국 북방이다. 실험자들은 모두 부산대학교 재학생들이다. 녹음은 Praat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 음성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4장은 제3장의 실험 결과를 기초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을 대조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의 각 측정 지점의 포먼트 값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대조 분석하여 양국의 이중모음은 어떤 특성을 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모음의 이동 방향을 뚜렷하게 제시하였다. 제5장은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 결과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원순모음 오류에 대한 연구 : 중국 북방방언 화자 중심으로

        이금월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在外语学习过程当中,虽然学习语法与词汇也都非常重要,但为了能够更好地交流,也应重视发音教育。因为在外语学习的初级阶段,一旦不正确的发音形成了习惯,就难以纠正了。 本文通过语音学实验探究中国韩语学习者是否因为母语/o/而影响了韩语圆唇母音的习得。 在第一章中,通过整理先行研究,本文提出了中国韩语学习者不能很好地辨别、发音韩语/ㅗ/,/ㅜ/的现象,并且推测这是由于中文/o/与韩语圆唇元音相近,但却并不是单元音而引起的。 在第二章中,总结了韩语圆唇母音与汉语拼音/o/的特点。韩语中的两个圆唇母音的发音位置非常近。而/o/在传统观念当中是单元音,但实际上/o/的发音经常伴随着一个很短的/u/的发音,因此/o/是复合元音,即复韵母,发音接近于/uo/。 第三章中,通过实验结果我们可以知道,TOPIK高级韩语学习者能够正确地发出元音/ㅗ/,而初级学者的发音则与韩国人有一定的差距。并且中国韩语学习者大体上都能够正确地发出元音/ㅜ/。从实验结果可以看到,中国人的/o/发音的起点在韩国人的/ㅜ/元音的发音范围内,所以这也就说明了/o/前面带有一个很短的/u/的发音。所以中国韩语学习者在学习韩语圆唇母音的确是受到了母语/o/的影响。 在第四章当中,本文对于中国韩语学习者的圆唇母音的学习提出了具有针对性的教育方案。因为/o/是复韵母,但很多人意识不到这一点,所以在学习韩语圆唇母音前可以提醒学习者,并且强调韩语圆唇母音在发音时发音器官是保持静止状态的。另外从实验结果可以看出,中国人的圆唇母音的发音接近于韩语元音/ㅓ/,所以建议在学习圆唇母音时与/ㅓ/进行对照,以便更好地感受它们之间的差别。 본고는 음향음성학 실험을 통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국어 /o/의 영향으로 인하여 한국어 원순모음 발음 오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ㅗ/를 /ㅜ/로 발음하는 오류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중국어 /o/가 단모음이 아니라는 것이 이러한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추측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원순모음과 중국어 /o/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원순모음은 발음 위치가 가까이 분포한다. 중국어 /o/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단모음이지만 실제로는 /o/와 /u/의 성격을 다 가진 이중모음이다. 3장에서는 음향음성학 실험 결과를 통해서 중국어 /o/와 한국어 원순모음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그들의 발음 위치를 대조하였다. 결과는 중국인의 /ㅗ/ 발음은 고급 학습자가 한국인과 가깝고 초급 학습자는 한국인의 발음과 좀 거리가 있다. 중국인의 /ㅜ/ 발음은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3장에서의 포먼트 분포를 보면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o/ 발음의 시작점이 한국인의 /ㅜ/의 범위에 있다는 것이 /o/ 앞에 짧은 /u/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중국어 /o/는 한국어 원순모음 오류 원인 중의 하나이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어 /o/는 이중모음이라는 사실을 알려 준 후에 원순모음을 가르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중국인의 /o/ 발음이 /ㅓ/와 비슷하므로 연습 단계에서 같이 비교하면서 교육하도록 하였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중모음 교육 방안 연구

        왕, 정정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本文主要的&#30740;究目的是&#38024;&#23545;&#29616;在&#30740;究上&#23578;且欠缺的中&#38889;二重母音&#36827;行比&#36739;后,&#38024;&#23545;中&#22269;留&#23398;生在&#23398;&#20064;&#38889;&#35821;二重母音&#26102;,二重母音&#21333;&#29420;&#21457;音,‘&#22768;母+二重母音’,‘二重母音+尾音’,‘&#22768;母+二重母音+尾音’&#21457;音&#26102;所&#21457;生的&#38169;&#35823;&#36827;行分析,&#24182;&#25214;出其原因后,模&#25311;出有效的&#25945;育方案。 本文在第一章,&#32490;&#35770;中主要&#38416;述了&#38024;&#23545;二重母音的&#30740;究目的及必要性,回&#39038;&#36804;今&#20026;止有&#20851;中&#38889;二重母音&#23545;比&#30740;究方面的先行&#30740;究,然后在本章的最后&#38416;述了本文的&#30740;究方法以及每一章&#33410;的&#27010;要。 第二章中,本文&#23545;中&#38889;的母音&#20307;系&#24635;&#20307;的&#36827;行了比&#36739;分析,&#24182;&#24635;&#32467;出中&#38889;二重母音的相似点和不同点。其&#32467;&#35770;&#20026;中&#38889;的二重母音中,&#31867;似的&#21457;音只有4&#20010;。分&#21035;是&#38889;&#35821;的/야, 얘, 와, 워/和 中文的/i&#593;, ie, w&#593;, wo/ 。&#20174;此可以&#39044;&#27979;出,中&#22269;&#23398;生在&#23398;&#20064;&#38889;&#35821;二重母音的&#36825;4&#20010;音&#26102;,所出&#29616;的&#38169;&#35823;&#26497;少,相反,除&#36825;4&#20010;&#21457;音之外,在&#23398;&#20064;其余的二重母音&#26102;&#20250;出&#29616;&#35768;多&#38169;&#35823;。 第三章中,&#23545;在&#38889;&#22269;正在&#23398;&#20064;&#38889;&#22269;&#35821;的初&#32423;中&#22269;&#23398;生15名和中&#32423;中&#22269;&#23398;生15名,共30名&#23398;生&#36827;行&#24405;音&#35843;&#26597;。&#23454;&#39564;的&#20869;容是以&#22269;&#35821;&#22269;立院&#36873;定的初&#32423;,中&#32423;&#35789;&#27719;目&#24405;&#20026;基准做了&#35843;&#26597;卷。通&#36807;&#23454;&#38469;&#24405;音&#26469;分析中&#22269;&#23398;生在&#23398;&#20064;&#38889;&#35821;二重母音&#26102;所出&#29616;的&#38169;&#35823;&#31867;型。其&#32467;&#35770;如下: 1)初&#32423;,中&#32423;的中&#22269;&#23398;生在&#21457;w&#38454;的二重母音&#26102;,明&#26174;比&#21457;j&#38454;二重母音是所&#21457;生的&#38169;&#35823;多,因&#20026;/의/受其&#21457;音&#35268;&#21017;制&#32422;的影&#21709;,初&#32423;&#23398;生在&#21457;&#624;&#38454;二重母音&#26102;,无法掌握/의/的&#21457;音&#35268;&#21017;,因而&#21457;生的&#38169;&#35823;要比中&#32423;&#23398;生多。 2) 初&#32423;&#23398;生因&#20026;&#23398;&#38889;&#35821;&#21457;音比初&#32423;&#23398;生的&#26102;&#38388;短&#24456;多,所以&#21457;半母音的&#26102;&#38388;比&#36739;&#38271;,因而&#23548;致&#35753;人感&#35273;是在&#21457;&#20004;&#20010;&#21333;母音。 3)初&#32423;&#23398;生因&#20026;&#23545;&#35789;&#27719;的&#35748;知程度非常少,所以&#21457;音&#26102;&#27809;有中&#32423;&#23398;者熟&#32451;。但是在&#21457;某&#20010;音的&#26102;候,初&#32423;,中&#32423;&#23398;&#20064;者都无法&#35782;&#21035;,因而&#23548;致&#35768;多&#38169;&#35823;. 4)初&#32423;,中&#32423;&#23398;生受母&#22269;&#35821;的影&#21709;,常&#20250;出&#29616;代替的&#38169;&#35823;。比如,'유명'&#36825;&#20010;&#21333;&#35789;在中文里&#35835;/유밍/(有名),&#24456;多&#23398;生原封不&#21160;的就&#35835;成了&#27721;字音。 5)初&#32423;,中&#32423;&#23398;生大多&#25968;都无法&#21306;分/얘/와 /예/, /왜/와 /웨/외/&#36825;&#20960;&#20010;&#21457;音。 如果&#23398;&#20064;者的&#35828;&#35805;&#20064;&#24815;是把嘴&#38271;大&#26469;&#35835; /얘/和 /예/的&#35805;,那&#20040;&#35843;&#26597;卷里所有&#36825;&#20004;&#20010;因都&#20250;&#21457;成/얘/,相反,如果&#23398;&#20064;者的&#35828;&#35805;&#20064;&#24815;是把嘴巴&#24352;的&#24456;小,嘴唇向&#20004;&#36793;稍微伸&#38271;的&#35805;,那&#20040;&#35843;&#26597;卷里所有&#36825;&#20004;&#20010;因都&#20250;&#21457;成/예/。 /왜/和 /웨/외/也是一&#26679;的道理。 6)初&#32423;,中&#32423;&#23398;生中有相&#24403;&#25968;的&#23398;生&#21333;&#29420;&#35835;&#38889;&#35821;二重母音&#26102;&#24456;&#26631;准,但是在加上尾音后,再&#35835;&#38889;&#35821;二重母音&#26102;&#20250;&#21457;生代替的&#38169;&#35823;。&#21457;生&#36825;&#31181;&#38169;&#35823;的情&#20917;不&#36827;在加上尾音之后,&#21333;&#29420;&#21457;音,‘&#22768;母+二重母音’,‘二重母音+尾音’,‘&#22768;母+二重母音+尾音’&#21457;音&#26102;都&#20250;出&#29616;&#36825;&#26679;的&#38169;&#35823;,&#24403;然在&#21333;&#29420;&#21457;音,或是在&#21333;&#35789;和文章中也一&#26679;。 7)初&#32423;,中&#32423;&#23398;生在&#21333;&#29420;&#21457;音,‘&#22768;母+二重母音’,‘二重母音+尾音’,‘&#22768;母+二重母音+尾音’&#21457;音&#26102;,根据分析&#32467;果其排列&#39034;序如下:(/의/除外) 初&#32423;: 얘< 예< 와< 야< 외< 여=요< 웨< 유< 위< 왜< 워< 의 中&#32423;: 예< 와< 야< 얘< 유< 위< 외< 여< 웨< 요< 워=왜< 의 第四章中,根据&#23454;&#39564;的&#32467;果,&#38024;&#23545;&#25945;育二重母音&#21333;&#29420;&#21457;音的&#39034;序以初&#32423;'얘< 예< 와< 야< 외< 여=요< 웨< 유< 위< 왜< 워< 의'的&#39034;序&#20026;基&#30784;&#36827;行&#23398;&#20064;。/의/因其自身有&#21457;音&#35268;&#21017;制&#32422;,所以放在最好&#23398;&#20064;。在&#36827;行&#21333;&#29420;&#21457;音&#25945;育之后,因&#23398;&#20064;&#23545;二重母音的&#25340;&#20889;或&#21457;音&#36824;&#20026;掌握好,所以以/야, 여, 요, 유/, /얘, 예/, /워, 위, 웨, 왜/, /와, 외, 의/的&#39034;序,在&#21333;&#29420;&#21457;音,&#35789;&#27719;和文章中&#36827;行大量的&#32451;&#20064;。‘&#22768;母+二重母音’&#21457;音中&#23545;于/외/和/의/&#36827;行&#23545;照&#32451;&#20064;。特&#21035;是&#23545;/의/的&#21457;音&#35268;&#21017;&#36827;行&#32451;&#20064;。最后加上尾音后,再以/양, 영, 용, 융/, /결, 숄/, /완, 왠, 왼/, /원, 윈, 웬/, /된, 흰/, /관, 괜, 권/分&#21035;在&#21333;&#29420;&#21457;音,&#21333;&#35789;和文章中&#36827;行大量的&#32451;&#20064;。 由于&#26102;&#38388;及能力有限,此&#30740;究得出的&#32467;&#35770;受到了&#24456;大的限制,&#31508;者望在以后能&#22815;&#32487;&#32493;在此方面&#36827;行更深的&#30740;究,&#25193;大&#30740;究的范&#22260;,希望能&#23545;中&#38889;&#20004;&#22269;的&#35821;言&#23398;&#30740;究提供一&#20010;更加精&#30830;的&#36164;料。

      • 경상남도 중학생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임수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경상남도 중학생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A Study on South Kyungsa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 High Vowels 영어교육전공 임 수 현 지 도 교 수 이 동 명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 인지 및 대응(mapping)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인지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가 영어 고모음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남 방언의 특징이 피실험자의 영어 고모음 인지 및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또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으로 도출된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전설 긴장 모음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모음 /U/에 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표준어를 구사하는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경남 방언 화자의 영어 고모음 발화에 관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경남 방언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징이 영어 고모음의 인지 및 대응(mapping)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상남도 중학생 영어 학습자는 영어 긴장 모음을 영어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 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언어를 교육할 때 목표 언어의 모음체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영어 고모음의 인지 및 대응 측면에서 볼 때 경남 방언 모음체계에 맞는 별도의 영어 모음 발음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지는 않더라도,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에게 현재의 단순히 모방하여 발화하는 발음교육에서 벗어나 모국어(L1)와 제2언어(L2) 간의 모음체계에 대한 차이점부터 우선 교육시켜야 할 것이라고 본다. 주요어: 영어 고모음, 한국어 모음, 경남 방언, 긴장 모음, 이완 모음, 인지 실험

      • 이란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교육 연구

        Nasrollahi, Vahid Rez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이란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중에서도 이중모음 발음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최근 한국 대중문화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로 이어지는 가운데 교육부의 2018년 통계에 따르면 이란인 유학생들의 숫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교육 내용과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의 오류를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오류의 양상과 원인을 밝혀내고 그에 따른 교육 내용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외국어 학습 분야에서 학습자는 모국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이 바로 발음이다. 언어마다 특징이 있는 발음은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에 대한 이해가 밑바탕이 될 때 보다 더 효과적인 발음 교육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 발음 습득을 고찰하기 위해 대조분석가설(CAH), 음성학습 모델(SLM), 오류 분석을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이란어의 모음체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습득에 대한 어려움과 오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과 이중모음이 들어있는 단어의 발음에 대한 인식 조사와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 인식 조사는 이란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발음할 때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요소는 무엇인가?’와 ‘이중모음 발음 습득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를 발음할 때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요소는 이중모음이 93.54%로 가장 많았고, 자음이 6.44%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상당수가 ‘음성자료를 듣고 따라하는 것’이 이중모음을 바르게 발음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선택했다(15명). 다음으로 앞에서 인식 조사를 했던 유학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모음 발음 오류 분석도 실시하였다. 단음절 이중모음과 2음절 단어로 된 이중모음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한국인 원어민 화자 2명이 듣고 오류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와 더불어, 조사 대상인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 31명 중 15명을 선정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 15명과 이중모음 발음을 비교하였다. 이들의 모음 발음을 Praat를 활용하여, 두 집단의 제2포먼트(Formant 2)값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집단 간 발음의 차이를 비교·대조 분석한 결과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 간 첫 번째 안정구간에서 유의한 차이(유의확률 p<0.05)가 있는 이중모음은 /ja, je(ㅒ), jʌ, we(ㅚ), jo, wi, ɰi/ 8개로 나타났다. 이는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 모어 화자와 다르게 이 8개의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SPSS의 MANOVA 검정을 통해 밝혀 낸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 발음 오류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음 장의 이중모음 발음 교육 내용을 마련을 위한 토대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교육 설계를 하였다. Praat와 웹 기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 교육 방안에 대하여 교수‧학습에 대한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더 정확하고 올바른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방안과 지도안을 모색하였다. 앞으로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발음 교육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더 많은 방법과 이란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를 고려하여 발음 순서까지 제공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diphthong pronunciation out of Korean pronunciation acquisition by Iranian(Pers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organize corresponding teaching-learning measures. Recently, the interest toward Korean pop culture is naturally resulting in people wanting to learn Korean and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Iranian students in Korea is gradually increasing. At this point,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ching characteristics of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and coming up with education contents and measures is urgent. Thu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Korean diphthong pronunciation errors, identify aspects and causes of errors based on detailed analysis, and propose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s and measures. In the field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re the most affected by their native language pronunciation. Pronunciation, which has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respective languages, can generate more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outcomes only when understanding of native language pronunciation by learners becomes a basis. In order to examine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acquisition by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the Sound Learning Model, and error analysis. In addition, in a bid to analyze the vowel systems of Korean language and Iranian language, difficulties and errors of pronunciation acquisition by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discussed. Perception survey and error analysis regarding Korean language diphthongs and pronunciation of words containing diphthongs by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conducted. First of all,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vowel pronunciation perception survey for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survey asked 31 beginner level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wo questions: 'Which do you find the most difficult when pronouncing Korean language?' and 'Which method do you think is the most effective when it comes to acquiring diphthong pronunciation?' As a result, the factors which they found the most difficult when pronouncing Korean language were diphthong (93.54 percent) and consonants (6.44 percent). Next, with regard to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pronouncing diphthong, most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hose 'listening to and repeating audio materials' (15). Next, diphthong error analysis targeting 31 international students who underwent previously mentioned perception survey had been conducted. The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in two parts - monosyllable diphthongs and diphthongs comprised of dissyllabic words - and two native Korean listeners judged whether they were incorrect or not. Furthermore, after selecting 15 out of 31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ir diphthong pronunciations had been compared with 15 native Koreans. The Formant 2 values had been estimated and analyzed by using their diphthong pronunciations.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pronunci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diphthongs with significant difference(Probability of significance p<0.05) in the first stability sec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ad been found as the following: /ja, je(ㅒ), jʌ, we(ㅚ), jo, wi, and ɰi/. This implies that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ndergo difficulties in pronouncing these 8 diphthongs unlike native Korean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iphthong pronunciation errors by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rough MANOVA examination of SPSS and used them for organizing next chapter's diphthong pronunciation education contents. Chapter IV designed Korean language diphthong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Chapter III. This study proposed actual case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when it came to Korean diphthong pronunciation education measures using Praat and web-based multimedia. This resulted in various education measures and teaching plans for more accurate and proper Korean language diphthong pronunciation by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llow-up studies providing pronunciation order after taking into account more methods to efficiently deliver pronunciation education contents for Iran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Iranian language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