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할리우드 3D SF영화의 한·중 수용자 만족도 연구

        마소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068

        近年来,从好莱坞电影的票房在世界电影市场一直占据领先地位,与其精良制作技术、庞大的产业规模、背后的资金实力是分不开的。随着电影技术的飞速发展,先进的制作技术带来的华丽特殊效果,3D放映技术带来更好的视觉体验,好莱坞众多演员,电影的故事情节,以及电影周边产业等,都是给观众群体带来较高满足度的要素。3D制作技术和3D放映形式广受观众的好评。尤其是在表现科幻元素电影时,给人更好地空间感受。同时好莱坞电影中包含着多元化的文化,更易于被世界各地观众接受。东亚地区是好莱坞电影的全世界第二大市场,本论文以中国和韩国观众为调查对象,研究在中韩两国不同的文化背景下,观众对于好莱坞3D SF电影的满足度进行了研究。 通过问卷调查的数据结果表明:首先,年龄中国和韩国观众大部分集中在20-50岁,这一部分年轻人对好莱坞3D科幻电影有极大的关心。两国观众有着共同点,喜爱自己的文化,同时也接受好莱坞外来文化。 首先,中韩观众普遍认为,好莱坞电影中包含了越来越多的东亚元素,使得观众对好莱坞电影的喜爱度增加。对于好莱坞电影占据了世界最高的市场份额,中韩观众一致认为视觉特效是首要原因。好莱坞电影高满足度的原因是优良的制作技术以及东亚文化的融合。 第二,好莱坞3d科幻电影的观众满足度。从故事情节、视觉效果、明星、宣传、电影周边,网络产业等外部因素的影响进行调查分析。中国观众对视觉效果和放映厅环境有更高的关注度,而韩国观众对电影内容,故事情节的构成因素有非常高的满意度。中国观影人数多,人口密度大,所以这方面考虑因素比较多。中韩观众对4D电影的体验,和相关产业的发展有很高的期待。 第三,好莱坞3D科幻影片在东亚的成功因素主要是因为东亚大众的多样的文化媒体,观众积极使用新媒体的原因分析。尤其是,好莱坞3D科幻电影的空间感的临场体验,中韩观众都关注与视觉效果。 世界电影市场中,东亚的市场占据越来越重要的地位。本论文以电影制作技术和电影产业为中心,对好莱坞在韩国和中国的电影产业和观众满足度进行研究以及对未来的发展提出展望。 关键词: 好莱坞3D科幻电影 中韩观众 满足度 최근 몇 년간 할리우드 영화는 동아시아 관객의 만족도를 위해 스크린의 크기, 영상의 몰입감, 콘텐츠의 다양화를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였다. 동아시아의 영화 시장의 점유율에서 줄곧 일등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흥행에도 성공했다. 이는 우수한 제작 기술과 큰 산업 규모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있는 할리우드 시스템에 동아시아 마케팅을 더하여 집중한 결과였다. 이는 다양한 대중문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동아시아 관객에게 볼거리 많은 3D 특수시각효과와 시각 체험, 이국적인 할리우드의 월드스타 배우들, 동서양을 아우르는 탄탄한 스토리에 많은 관객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본 논문은 할리우드 영화의 동아시아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한국과 중국 관객을 연구 대상으로 할리우드 3D SF영화에 대한 관객 만족도를 연구했다. 한국과 중국 관객 340명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 범위는 20-50세이며 연령대별 만족도의 상이한 점도 있지만 전체적인 연구 조사에 따른 결과는 한·중 관객은 문화적인 차이는 있지만 매우 할리우드 3D SF영화에 관심이 높다는 것이다. 첫째, 한·중 양국의 관객 문화는 다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지만 양국의 문화의 차이점이 큰 편이다. 한국의 문화 분위기에서 사랑과 가족관계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스토리가 더 중요한다. 중국의 문화 분위기에서 역사와 웅장한 장면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특수효과를 더 중시한다. 그리고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며 다원화 문화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 문화를 흡수하는 데에 한국보다 정도 더 크다. 둘째, 양국 관객은 자국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다. 동시에 선진 기술과 문화에 대한 열망이 매우 높고 이에 할리우드 테크놀로지에 대해 매우 관심이 많다.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동아시아 마케팅에 적극적이다.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관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우수한 제작 기술과 타 지역의 문화 융합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할리우드 3D SF 영화에 대해 관객 만족도의 통계 분석 요인으로는 스토리, 시각 효과, 스타, 홍보, 영화의 주변 네트워크 산업 등 영화 내외적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중국 관객은 현란한 시각효과와 상영관의 편이성을 매우 고려하고 있으며 한국 관객은 영화 콘텐츠 스토리의 구성을 매우 높게 만족도 요인으로 본다. 그것은 중국 인구수가 많기 때문에 상영관의 관객밀도가 영화를 볼 때 고려하는 요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한·중 관객이 모두 3D SF 영화를 관람하기 위한 편이성을 고려하고 있었다. 이에 따른 4D 체험 공간에 따른 의자, 스크린 등 관련 산업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있어야겠다. 넷째, 할리우드 3D SF 영화가 동아시아 관객에게 성공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동아시아 대중의 다양한 문화 매체를 선택 할 수 있는 한계와 새로운 미디어에 적극적 사용자의 반응을 가지는 국민정서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할리우드 3D SF 영화의 공간감에 프레젠스 몰입감에 대해 한·중 관객 모두 시각 효과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세계 영화 시장에서 동아시아의 시장은 더욱 무게 있는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다. 부족하나마 이번 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와 산업 중심에서 한국과 중국이 선점할 수 있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를 산출하는 기반으로 양국의 영화 산업에 대한 이해와 관객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자 한다. 주제어 : 할리우드 3D SF영화 한·중 수용자 만족도 Recent years, the satisfaction of Hollywood 3D SF film including screen, projection and diversified contents are aiming at kㄷeeping a positive marketing. Hollywood film accounts for the top film marketing share, box-office and awareness in the world. Hollywood films involve great manufacturing technology, large industry scale and are given high amount of funding. Film industry is developing rapidly; 3D technology and VFX have attracted many audiences. Especially, it gives audiences better space perception to experience the SF elements. Hollywood films contain multi-cultures and are easy to be accepted by audiences who come from all over the world. Actors, actresses and good stories also have a good remark by audiences. This article chose 340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to be respondents and research the satisfaction of Hollywood 3D SF films. The main age range is from 20 to 50 years old. Although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pay high attention to Hollywood 3D SF films. Firstly,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are proud of their own cultures and focus on advanced technology, so they ar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in Hollywood 3D SF film. Hollywood film industry aims at to expand East Asian market with great technology and culture fusion. Secondly,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have high satisfactions in story, special effect, stars, film publicity, film industry and network industry. Because of the density of population, Chinese audiences expect special visual effects and great environment of cinema. Korean audiences focus on the factors of story structure.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expect 4D technology to create a sense of three-dimensional. Thirdly, the successful factors are diverse media cultures and audiences experience in East Asia,especially, the successful factor is the sense of space of Hollywood 3D SF film. Both of Korean and Chinese like great visual effects. East Asia film market becomes an influential market in the worl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entre of film technology and industry. Korea and China account for the highest marketing share in East Asia. So the research based on Korean and Chinese will play a valuable role in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s film industry. Key word : Hollywood 3D SF film, Korean and Chinese audience, satisfaction

      • 한⋅중⋅일관객의 영화 수용 특성에 대한 비교문화론적 연구 : 문화차원 및 문화가치체계를 중심으로

        백해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4191

        A Study of Comparative Cultural on How the Audiences of Korea, China and Japan Distinctively Receive the Cinema : With a Focus on Cultural Dimensions and Cultural Value Systems This is a comparative cultural study on the Korean, the Chinese and the Japanese cinemas and their respective audiences. The goal is to identify the cultural traits and pursued values that each national cinema implies as well as the cultural traits and values of respective audiences, in order to look at how films generate social significance and impact. This will eventually help us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hence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to continue the exchanges of cultural contents going forward. The researchers of comparative culture argue that we should identify cultural traits by comparing the intrinsic values, not the appearances of a culture. And they use cultural models and value systems to compare values that are intrinsic cultural traits. While a cultural model is a deductive approach that constitutes cultural dimensions for problems that universally appear around the world and compares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m, a value system is an inductive approach that identifies and compare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ultures. Both approaches are employed in this study. A cultural model works well in analyzing cultures from universal standards and in understanding national particularities through differences, and therefore can cover not only Korea, China and Japan but also any other countries in comparison. Meanwhile, a value system study works well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values of each country and hence in broadly analyzing the distinctive traits of individual cultures. This study uses both approaches for an in-depth analysi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Yet the existing, West-centered cultural models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Eastern cultures, with issues in the study’s targets and contents. That is why this study reconstitutes the values-focused cultural models suggested by Kluckhohn, Hall, Hofstede and Trompenaars and then adds the cultural dimensions of East Asian universal values, or traditional East Asian ideologies. By doing this, the study eventually forms a cultural model with eight cultural dimensions: human traits;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class; norms; achievement; time perception; view of nature; and traditional East Asian ideologies.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bility and diversity of values, comparisons are done with various approaches rather than with binary oppositions.

      • 중국 맥주 광고의 시지각 자극 요소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한?중 맥주 브랜드별 SNS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주페이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67852

        인터넷 및 뉴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 전달이 훨씬 더 편리하고 효율적이 되었으며, 사람들은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고 통신이 훨씬 더 편리해졌다. 여러 미디어는 정보 전달을 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SNS 광고 역시 변화와 통합 속에서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시지각 요소는 복잡한 인식 단계를 포함하는 표현 방법으로서 사람들의 생활에서 빠질 수 없으며, SNS 광고의 인식 및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SNS 광고 제작에서는 시지각 요소를 활용하여 소비자 인식을 자극하고 소비자 공감을 유발하며, 동시에 제품 정보 및 기업 및 브랜드의 문화 내포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 맥주 브랜드 SNS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유형이 시지각 요소와 수용자 반응 간 상호 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문제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를 통해 (시각 요소, 청각 요소), 광고 소구 (이성 소구, 감성 소구, 혼합 소구), 수용자 반응 (인지 반응, 정서 반응, 행동 반응)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5개의 한국 맥주 브랜드의 SNS 광고 및 5개의 중국 맥주 브랜드의 SNS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념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 모델을 구성하였고, 다른 광고 소구 유형의 조절 하에서, 시지각 자극 요소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에 거주하는 585명의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조사 결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 연구, 사례 분석 및 실증 분석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중 맥주 SNS광고사례 분석의 연구 결과는 한국 맥주 광고가 혁신과 활력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 창의적 요소와 재미있는 이야기가 수용자의 주목을 쉽게 끌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국 맥주 광고는 뚜렷하고 대담한 색상, 과학 기술 이미지 요소, 그리고 팝 음악을 활용하여 정보 전달을 강화하며, 한국 문화, 예를 들어 음식, 음악, 엔터테인먼트 등을 깊이 이해하고 적용한다. 또한, 중국 맥주 광고는 제품 전시와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더욱 중점을 두며, 실제 인물과 현장 촬영을 더욱 활용하여, 일상 장면과 인물 이야기를 통해 공감을 이끌어내고, 중국 문화 요소와 색상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데 능숙한다. 둘째, 한‧중 차이분석의 연구 결과는 한국이든 중국이든 맥주 광고에서 시각적 요소에 있어서, 중국 수용자는 대체로 색채이 선명하고 움직임 요소가 풍부한 시각 디자인을 선호하며, 문화적 요소와 감정 표현이 담긴 그래픽 이미지와 타이포그래피에 더 깊은 공감을 보인다. 반대로, 색채이 너무 어둡고 단조롭거나 그래픽 이미지와 움직임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타이포그래피이 너무 밀집된 경우에는 수용자의 반감이나 시각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청각적 요소에서는, 빠르고 밝은 리듬의 배경 음악과 명확한 음성 표현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너무 시끄럽거나 날카로운 음향 효과는 수용자의 수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광고 소구에 있어서, 이성적 소구(예: 제품 특성 및 장점)는 수용자의 인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성적 소구(예: 감정 공감 및 이야기)는 수용자의 정서 반응을 유발하기 더 쉽다. 그러나 광고는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너무 직접적인 소구나 과도한 감성화는 수용자의 반감을 유발하고 광고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셋째, 조절 효과의 검증 결과로 보면, 시각 요소와 청각적 요소 모두 수용자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광고를 설계할 때 이 두 가지 요소를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이 두 가지 요소의 효과는 광고의 소구 방식(감성, 이성 또는 혼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시각적 및 청각적 요소를 사용할 때 광고의 소구 방식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광고에서,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 모두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광고의 성격과 목표 수용자에 따라 적절한 소구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강한 감정 반응을 유발해야 하는 광고의 경우, 감성적 소구가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반면에, 수용자에게 심도 있게 생각하게 해야 하는 광고에서는 이성적 소구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동시에, 혼합 소구는 효과적인 전략이며, 이는 수용자의 감정 반응과 인지 반응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소구 방식들은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의 효과에 대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적 소구는 시각적 요소의 영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반면 이성적 소구는 청각적 요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구 방식을 선택할 때, 이것이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광고를 설계할 때, 광고의 구체적인 내용과 환경에 따라 균형을 맞춰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해 디자인 측면에서 구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실증 연구 결과를 통해 이러한 요소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밝혀냈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과 실증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이 점에서 본 연구의 결론은 일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이론 및 실증 연구 결과에 대한 일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Since information dissemin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new media technology, people can obtain mor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multimedia technology, and the communication has become more convenient. Thanks to the information transfer through multiple media synthesis, SNS advertising has achieved rapid growth in change and integration. In addition, as a method of expression containing complex cognitive stages, visual perception elements are indispensable in people's lives,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on and promotion of SNS advertisements. In the production of SNS advertisements, people use visual perception elements to stimulate consumers' awareness and trigger their resonance. At the same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cultural connotation of the company and the brand should be effectively conveyed. Therefore, taking the SNS advertisement case of Korean-China beer brand as the center,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ype of advertising appeal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elements and audience responses. For the purpose of validate the research questions systematically, firstly, the paper concludes the following from the prior research: (visual elements, auditory elements), advertising appeals (rational appeals, emotional appeals, mixed appeals), and audience responses (cognitive responses, emotional responses, and action responses). Secondly, taking five SNS advertisement cases of Korean-China beer brand and five SNS advertisement cases of Chinese beer brand as the research object, it conducts case studies. In addition, it constructs a research model through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concept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visual stimulus elements on audience response under the moderating of different types of advertising appe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85 ordinary consumers residing in China,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empirically analyzed. Therefor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rough the process of literature study, case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found from the research results of the SNS advertisement cases of Korean-China beer brand that Korean beer advertisements are full of innovation and vitality, and their creative elements and interesting stories can easily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What used by Korean beer advertisements are clear and bold colors, technological image elements, popular music to enh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as well as in-depth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Korean culture, such as food, music, entertainment, etc. While Chinese beer ads pay more attention on product presentation and brand image building, and are better at using real people and on-site filming, which can arouse sympathy through routine scenes and character stories and use Chinese cultural elements and colors to convey messages. Secondly, it can be shown from the results of the Korean-Chinese difference analysis that, from the aspect of visual elements in beer advertisements, Chinese audiences generally prefer visual designs with bright colors and rich dynamic elements, and have a deeper resonance with graphic images and typography that contain cultural el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contrary, audience disgust or visual fatigue may be aroused if the colors are too dark, too monotonous or overusing graphic images and motion, or if the font typography is too dense. In terms of auditory factors, audiences seem to prefer background music with fast pace and clear speech expression, while the overly noisy or shrill sound may affect audience reception. In terms of advertising appeals, rational appeals (e.g., product features and benefits) can trigger cognitive responses of the audiences, while emotional appeals (e.g., emotional resonance and stories) are more likely to trigger emotional responses of the audiences. However, audience disgust may be aroused by advertisements that are too direct in their appeal or overly emotional while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the credibility of the advertisement may be reduced. Thirdly, in terms of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moderating effect, both visual and auditory factors should be fully utilized when designing advertisements since they have an important impact on audience response.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 effect of these two factors may be influenced by the type of advertisement appeals (perceptual, rational, or mixed). Appropriate adjustments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type of advertising appeals when using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The appropriate type of appeals in advertising should be chos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target audience, because both emotional and rational appeal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Emotional appeals may be a better choice for ads that need to trigger a strong emotional response. Conversely, rational appeals may be more effective in ads that need the audience to make in-depth thinking. At the same time, mixed appeal is also an effective strategy, which can trigger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from the audience. However, different appeals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For example, emotional appeals can enhance the influence on visual factors, while rational appeals can weaken the influence on auditory factors. Therefore, what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choosing the way of appeal is th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Therefore, balance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ent and environment of the advertisement when designing an advertisement.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ituent elements specif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rough case study, and reveal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elements through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carries out both case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certain significanc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ome enlightenment for the futur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