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튜브를 활용한 자율적 영어학습을 위해 학습자가 기대하는 교사 역할

        김민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자율적으로 영어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교실 밖에서도 영어공부를 하는 것은 학습자의 자율성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어교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교실 밖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학습에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데 중요한 책임이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주로 교실 안과 밖에서의 학습자 자율성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주력했고, 테크놀로지,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유튜브를 활용하여 교실 밖에서 자율적으로 영어공부를 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역할에 대하여 연구한 국내 사례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가 교실 밖에서 자율적으로 유튜브를 활용해 영어학습을 하는 데 필요한 교사역할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 지역의 두 개 중학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참여자는 학습자 256명과 현직 영어 교사 23명이며, 한 개 중학교에서는 교사가 유튜브 채널을 직접 운영하며 유튜브를 영어수업에 활발히 활용하고 있었다. 인터뷰는 각 중학교의 영어교사 총 2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학교 학습자의 유튜브 사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은 하루 평균 유튜브를 사용하는 시간에 비하여 유튜브를 영어학습에 활용하는 시간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둘째, 자율적 유튜브 활용 영어학습을 위해 중학교 학습자들은 정서, 능력 및 행동지원 영역에서 모두 교사가 실제 하고 있는 것보다 더 적극적인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학습자와 교사가 각각 유튜브 활용과 관련한 학습자 자율성 발달을 위해 교사에게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관련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중 일부는 교사가 유튜브를 활용한 영어 듣기전략과 같은 학습방법을 공유해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나 교사는 이러한 역할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활용 영어학습을 위한 학습자 자율성 발달을 위해 교사가 정서, 능력 및 행동지원 영역에서 모두 더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을 도와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교사는 영어학습에 유튜브 활용 가능성과 유용성을 명시적으로 인식시켜주고 그 방법을 지도해 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영어학습에 유용한 공신력 있는 유튜브 채널운영이나 영상 제작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It is a critical role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to exert autonom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In the case of language learning, the use of technological tools and resources is heavily involved outside the classroom. Using technology, especially YouTube, for learning English outside the classroom has a great influence on learner autonomy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Thus, it is a major responsibility for English teachers to develop the learner autonomy and attitude needed for learning with YouTube beyond the classroom.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learner autonomy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and only a few domestic researches have focused on learner and teacher perception of teacher ro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 roles necessary for autonomous English learning with YouTube outside the classroo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given to English learners (n=256) at two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Teacher participants (n=23) were randomly collect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An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2 teacher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e YouTube for English learning much less compared to the time spent on YouTube in general. Second, students expected greater involvement from teachers in supporting autonomous learning with YouTube. Third, the study found tha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expected significant teacher roles for developing learner autonomy in using YouTube for English learning. Lastly, there was an inconsistent finding between learner and teacher perceptions of teacher roles. Learners expected teachers to share listening strategies necessary for leaning with YouTube, while teachers didn’t.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teachers active involvement, which includes affection, capacity, and behavioral support, in promoting autonomous English learning with YouTube outside the classroom. The study also calls for teachers’ greater awareness of the usefulness and possibility of YouTube and of the various roles their students expect them to play. Lastly,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trusted YouTube channel or videos to share, which is helpful for learners’ autonomous English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송이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미용 실기교육과 관련하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온, 오프라인 미용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실증조사는 2020년 12월 22일부터 2021년 1월 14일까지 서울·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413부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 나이는 만 19세 이상∼21세이하, 학년은 2학년, 대학 유형은 2~3년제 전문대학교, 전공은 헤어, 전공선택 동기는 적성, 흥미, 졸업 후 희망 진로 유형은 취업, 전공 만족도는 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 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은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 3가지 요인으로, 블렌디드 러닝은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 암기적 특성 4가지 요인으로, 학습 몰입은 학습 집중, 학습 흥미 2가지 요인으로, 교육 만족도는 교육 효과, 교육 내용 2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학습자 특성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학습 집중,학습 흥미의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특성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서 학습 가치, 학습 효능감, 학습 애착이 높은 사람들은 교육 효과, 교육 내용의 교육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학습 집중과 학습 흥미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블렌디드 러닝이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가 블렌디드 러닝으로 학습할 때 수업 내용, 의사소통, 인지도가 높을수록 교육 효과가 높아지고, 수업 내용과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교육 내용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으로 미용 실기 과목을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미용업은 현장 경험이 매우 중요한 만큼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디자이너, 산업체 대표들과 협업하여 현재 유행에 맞는 실전 활용 시술 팁,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이사항, 문제점 해결방안에 관련된 교육 영상을 제작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은 원활한 의사소통과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에서 미처 습득하지 못한 학습 내용을 다른 경로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환경이 중요하다.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다른 학습자들과도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다양한 SNS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와 소통의 부재를 느끼지 않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용 실기 과목은 섬세한 교육이 요구된다. 학습자 개개인 특성을 고려한 1:1 멘토와 매칭을 통해 일률적인 학습 관리 방식이 아닌 학습하는 데 있어 다소 뒤처지는 학생 모두 끝까지 학습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받고, 수업 시간 이외에도 부가적인학습 내용에 관한 도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블렌디드 러닝은 동일한 교사 실재감을 주기에 한계가 있다.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실기 과목 학습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별그룹 활동을 통해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학습 능력이 각기 다른 학생들로 그룹을 형성하여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도와가며 원활한 학습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때 각자 본인의 학습 자세를 동영상 촬영하여 교수자에게 지도받는 맞춤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 미용학과 학생 대상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으므로차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지역과 다양한 대상으로 표본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본 연구의 변인인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요인 구성이 학습집중, 학습 흥미, 교육 효과, 교육 내용으로 구성이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코로나-19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 '을/를' 대치 오류 양상 연구 : 서술어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김진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substitution error patterns by the Korean learners in Korean particles such as ‘i/ga’ and ‘eul/leul’ focusing on the corpus of learners and analyzing those patterns based on the predicates, thereby elucidat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rror patterns of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It is able to verify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rough the importance of particles in the grammar of Korean and the necessity of error analysis of the learners. The particle in Korean is not only an important grammatical element that represents the grammatical relationship within a sentence but also one of the elements tha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n agglutinative language and the grammatical system of Korea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the element that reveals errors frequently in the writing and speech of the learners, and many different forms of errors appear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In order to analyze these learner errors, this study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thus far by categorizing them into 3 domains such as studies in the particle error analysis, in the use patterns according to particle factors, and in the corpus-based particle error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verify not on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studying on analysis of particle errors by the Korean learners but also the necessity of studying errors centered on the predicate analysis. For a further concrete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particle system, particle errors, interlanguage analysis, and hypotheses for error analysis, which are all considered the fundamental discussions, and employed them as the basis for the study. In this study, the corpora of the Korean learners were sampl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in particular, the written language corpora of the learners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speaking zones, which are the languages with a lot of learners based on the linguistic zones of the error annotation corpu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error frequency by a particle type among the total particle errors in each language zone, the study was conducted on ‘i/ga’ and ‘eul/leul’, which exhibit the errors in a higher frequency in all 3 language-zone. Analyses of particle errors and predicates were performed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predicates with a higher frequency that are shown in the errors of Korean particles such as ‘i/ga’ and ‘eul/leul’ were selected by language zone and by proficiency,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case in us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is researcher, the predicate that is descriptive for each error case was annotated, and each predicate was classified over two times. Based on the results, the error patterns on the predicates and particles were analyzed, and it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 learners of each language zone and the root causes of the error that appears in common.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rom the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qualitatively analyzed the predicates and particle errors in the case sentences that frequently show particle errors for learners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which have a large number of language learners, with regard to a large scale of corpora in learners. Second, it elucidated the root causes of particle errors that appear in many different learners' native languages, and third, it suggested the necessary educational plans. 본 연구는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조사 ‘이/가’, ‘을/를’ 대치 오류 양상에 대해 파악하고 서술어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권별 학습자 오류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조사는 문장 내에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문법 요소로, 한국어의 교착어적 특성과 문법 체계를 잘 보여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시에 학습자의 작문 및 발화에서 빈번한 오류가 나타나는 요소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여러 형태의 오류가 나타난다. 이를 통해 학습자 조사 오류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자 오류 분석을 위하여 조사 오류 분석 연구, 조사 선택 요인에 따른 사용 양상 연구, 말뭉치 기반 조사 오류 연구로 선행 연구를 분류하고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 조사 오류 분석 연구의 의미와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서술어 분석을 중심으로 한 오류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본적 논의가 되는 조사 체계와 조사 오류, 중간언어 이론, 오류 분석 가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하였으며, 학습자의 수가 많고 오류 주석 말뭉치가 충분히 구축된 언어인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의 문어 말뭉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각 언어권에서 나타나는 전체 조사 오류 중 조사 형태별 오류 빈도를 산출하여 세 언어권 모두에서 고빈도 오류로 나타나는 조사 ‘이/가’와 ‘을/를’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조사 오류 분석과 서술어 분석을 하였다. 먼저 언어권과 숙달도별로 조사 ‘이/가’와 ‘을/를’ 오류에서 나타나는 고빈도 서술어를 선정하고 각 용례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오류 용례에 대해 서술어가 되는 용언을 주석하고 각 용언에 대해 두 차례에 걸친 분류를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서술어와 조사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언어권별 학습자의 조사 오류 특징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오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많은 언어권인 영어권, 중국어권, 일본어권 학습자에 대하여 빈번한 조사 오류가 나타나는 용례 문장의 서술어와 조사 오류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하고, 여러 언어권에서 나타나는 조사 오류 원인을 밝히고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지도 방안 연구 : 윤흥길 「장마」를 대상으로

        정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설은 문학의 여러 장르 가운데 가장 인간의 삶의 모습을 가장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재현하는 문학 형태이므로 우리는 소설을 통해서 인간 삶의 여러 양상을 돌아볼 수 있고, 삶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설 교육은 그 의의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는 문학 수업의 목표가 ‘인간의 다양한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심미적 정서를 기른다’고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소설 지도가 학습자의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습자의 주체적인 수용과 그 능력의 향상을 위한 지도 방안으로, 소설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양상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면서 소규모 집단의 협동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간접 체험의 폭을 서로 공유하고 확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학습자 중심의 소설 감상 지도에 대한 새로운 교육적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 소설 교육이 띠고 있는 성격을 고찰하여 그 성격에 부합하는 소설 교육의 목표를 정립하고 학습자 중심 소설 교육의 기존 이론들을 분석하여 개괄적 접근 단계, 분석적 접근 단계, 형성적 평가 단계, 제2차 학습 단계, 종합적 평가 단계에 이르는 새로운 지도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위 지도 방안을 고등학교 국어 교과의 소설 텍스트인 윤흥길의 「장마」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위에서 마련한 방안의 교육적 가능성과 효용성을 검증해보았다. Since the novel is a literary form which depicts our human life in the most specific and direct way among various literary genres, we can reflect on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or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our life by reading novels. In this context, education on novels is clearl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a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pecifies that the goal of the literary class 'lies i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diverse lifes comprehensively and culturing of an aesthetic emo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guidance of novel reading should be centered about learners' activiti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helping learners appropriate the novels subjectively and enhance their reading ability. To this end, learners' responses to novels were positively accepted, while learners could share their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a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hen, new pedagogics to guide learners in their novel reading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are obliged to review the nature of novel education and set a goal for novel education.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theories about learner-centered nove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reby, a new pedagogic model consisting of overviewing, analytical approach, assessment, secondary learning stage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stage was suggested. And the model was applied to Yun Heung-gil's <Rainy Season>, a novel text listed on high school textbook to test its educational effects and validity.

      • 영어 말하기 분산연습이 말하기 능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초등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지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nglish speaking distributed practice on speaking ability and interest for elementary English learner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distributed practice with contrasting massed practice, speaking ability was divided into four areas: speech fluency, grammar, pronunciation accuracy, and vocabulary. In order to find out the above problems, 120 sixth-grade student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waseong-si, Gyeonggi-do,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distributed practice) and a control group (massed practice) and conducted an experiment. 60 experimental groups (distributed practice) divide the learned content three times a week at 2-3 days intervals and practice in a distributed manner, and 60 control groups (massed practice) practice intensively by concentrating the learned content once a week. A total of 24 regular English classes (40 minutes) were done for 8 weeks, and all practice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were the sam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distributed practice) and the control group (massed practic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interest of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hrough t-verification of the independent sample are as follows. Regardless of the learner's speaking level, distributed practice showed a greater effect on English speaking ability than massed practice. As a result of dividing this by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stributed practice and massed practice for upper-level learners, while middle-level and lower-level learners had a more positive effect in distributed practice than massed practice. As a result of MANOVA analysis of variance by dividing speaking ability by each detailed area, distributed practice improved in all detailed areas of speaking ability (speech fluency, grammar, pronunciation accuracy, and vocabulary) regardless of learner level. However, dividing this by level, in the case of high-level learn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istributed practice and massed practice in four area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ddle and lower-level learn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ed practice groups, and conducting distributed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our areas, in the order of speech fluency, pronunciation accuracy, vocabulary, and grammar. Finally, it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interest in speaking English when practicing distributed rather than massed practice for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same result was found when examined by dividing it by learner leve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imed at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distributed practice, which is more frequent, is effective, and regular tests are used as a way for teachers to naturally induce them. Second,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between distributed and massed practice for each area within English speaking, teachers should use them appropriately according to educational inten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learning tools that reflect these principles is required. Third, there was no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for high-level learners by learner level, but since distributed practice was confirmed to be more advantageous for middle and low-level learners, teachers should mainly use distributed practice, but continuous counseling and feedback should be continued so that learners can learn through their own methods. Key words: Elementary school, English speaking, Distributed practice, Ma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말하기 분산연습이 말 하기 능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해보려는 것이다. 특히 분 산연습을 이와 대조되는 집중연습과의 비교에 초점을 맞춰 말하기 능력을 발 화유창성, 문법성, 발음정확성, 어휘구사력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학습자 의 말하기 수준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연습 횟수가 각 영역 및 수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에 주목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 6학년 학생 120명을 각 60명씩 실험집단(분산연습)과 통제집단(집중연습)로 선정하 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분산연습) 60명은 영어 말하기를 2-3일 간격 으로 일주일에 3회로 나누어 분산적 방법으로 연습하는 집단이고, 통제집단 (집중연습) 60명은 영어 말하기를 일주일에 1회로 몰아서 집중적으로 연습하 는 집단이다. 8주간 총 24차시 영어과 정규수업시간(40분)을 활용하였으며 실험 집단(분산연습)과 통제집단(집중연습) 간에 연습의 횟수를 제외한 모든 연습 활 동, 수업 방식, 총 연습량 등은 같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실험 전·후의 두 집단에 대한 영어 말하기 능력 및 흥미도를 독립표본의 t-검증을 통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말하기 수준과 관계없이 살펴보았을 때에는 영어 말하기 능력에대해 분산연습이 집중연습보다 더 큰 효과를 보였다. 이를 수준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상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분산연습과 집중연습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중위수준과 하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집중연습보다 분산 연습에서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말하기 능력을 각 세부 영역별로 나누어 다변량 분산분석한 결과,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말하기 능력의 모든 세부 영역(발화유창성, 문법성, 발음정 확성, 어휘구사력)에서 분산연습을 통해 더 큰 향상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를 수준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상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네 영역에서 분산연습과 집중연습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중위와 하위수준 학습자의 경 우 분산연습과 집중연습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분산연습을 실시하는 것이 네 영역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발화유창성, 발음정확성, 어휘구사력, 문법성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집중연습보다 분산연습을 할 때 영어 말하기 흥미도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학습자 수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 번째, 초등 영어교육에서 지향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자주 연습을 시행하는 분산연습이 효과적이며, 교사가 이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주기적인 테스트의 활용 등이 있다. 두 번째, 말 하기 능력 내에서도 각 영역별로 분산연습과 집중연습 간에 그 효과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기에 교사는 교육적 의도에 맞게 이들을 적절히 활용 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원리가 반영된 교재 및 학습 도구의 개발이 요구 된다. 세 번째, 학습자 수준별로 상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두 방법 간에 유의 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위수준과 하위수준 학습자의 경우 분산연습이 더욱 유리함을 확인하였기에 교사는 말하기 연습을 보다 자주 실행할 수 있도록 하 되,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 담 및 피드백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핵심단어: 초등영어학습자, 영어 말하기, 분산연습, 집중연습, 말하기 능력, 흥미도

      • 日本語學習者におけるスタイル切換え能力の發達 : 韓國語母語話者を對象として

        이길용 大阪大學 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7807

        제2언어습득자가 목표언어를 사용하여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문법능력 (grammatical competence), 사회언어능력 (sociolinguistic competence) , 스트라테지능력(strategic competence)을 습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로 일본어를 습득하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바리에이션 이론(variation theory)을 바탕으로, 스타일시프트(style shift)라는 사회언어능력의 습득과정을 고찰하였다. 스타일시프트능력은 사회언어능력의 일부분으로, 화자가 상대방이나 말하는 상황과 관련하여 적절한 언어형식과 표현을 선택하여 구사하는 능력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스타일시프트를 대조분석한 후, 이를 베이스라인으로 하여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타일시프트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구사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이며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사는 한국내에서 일본어의 문법능력을 습득하고, 일본에서 일본어를 학습하는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횡단적・종단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에 관한 지식을 「일본어 사용과 생활에 관한 네트워크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친한 친구와의 대화(casual 담화)와 초면의 상대자와의 대화(formal 담화)를 3-4개월 단위로 녹음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먼저, casual 담화와 formal 담화에 있어서 스타일시프트의 실태를 고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일본어사용능력이 낮은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구사할 수 없으며, 교육기관에서 배운 formal한 언어 변종(variety)만을 사용한다. 반대로 일본어사용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구사한다. 2.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가 중복되는 부분부터 습득해 나간다. 중복되는 부분이란, 정중한 표현, 응답・맞장구 표현 등이다. 이는 학습자가 모어인 한국어의 언어사용규범에서 스타일시프트를 행하여야 한다고 인식하는 표현들이다. 3.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한국어에서만 스타일시프트를 행하는 부분(명령 표현, 금지 표현, 욕설 등)을 일본어로 전이(transfer)하지 않으며, 일본어에서만 보이는 스타일시프트(접속조사, 종조사 등)를 습득해 나간다. 4. 즉,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는, 모어인 한국어의 언어사용규범을 바탕으로 하여, 일본어만을 재료로 하여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습득해 간다. 다음으로, casual 담화와 formal 담화에 있어서 스타일 시프트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그 습득과정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 학습자는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를 행하려는 의식이 강하다. 이는 모어인 한국어의 사회언어적규범을 적용한 결과로, 심리적 전이 (psychological transfer)가 습득을 촉진시키는 예이다. b. 학습자는 일본어의 복잡한 형태적 처리를 간략화한다. 간략화를 할 때는, 일본어의 기존 습득 형식(noda形式)을 이용하는데, 이는 과잉적 일반화(overgeneralization)의 일종이며, 과정적 전이(transfer in developmental process)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c. 일본어의 스타일시프트에 대한 강한 의식과 형태적 처리의 간략화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언어형식의 간략화를 우선한다. d. 스타일시프트능력의 발달은,「학습언어 복제기」「독자체계 구축기」「목표언어 체계기」의 3단계가 인정되며, 그 습득과정은, 모어의 사회언어적규범을 최대한 활용하고, 목표언어의 형태를 간략화하여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등, 학습자의 창조적인 지적 활동과정이다. 종래의 제2언어습득연구는 학습자의 문법능력습득이 주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회언어능력의 습득과정을 규명하였다. 일본어의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습득과 그 교육에 응용할 수 있다.

      • 學習者 中心의 詩 指導 方法 硏究

        조미자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존의 시 교육이 시험을 전제로 한 확일적인 시분석과 지식 전달 위주의 교사 중심 수업으로 학습자의 시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과 향유가 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그 대안을 학습자 중심의 시 수업에서 찾고자 하였다. 문학교육 가운데서도 시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작품을 수용하고, 감상하게 하여 시의 세계를 체험시켜서 시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키우고 참된 삶을 가꾸어 나가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용이론의 적용을 통한 문학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학의 본질에 맞는 교육을 제공한다는 점과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용이론을 바탕으로 시 단원의 작품을 자세히 읽고 제대로 감상하는 데 필요한 시적 능력과 시의 이해를 심화 확대하고 시적 감동을 내면화할 수 있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 지도 방법으로 학습자 활동을 위주로 한 교수_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계획단계 - 진단단계 - 지도 단계 - 평가단계 - 내면화단계’ 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흐름에서 학습자 활동이 주가 되는 단계인 지도단계와 내면화 단계를 강조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지도단계는 `전체적 접근- 부분적 접근- 종합적 접근`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내면화단계는 시적 체험의 심화와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전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와 총괄평가 문항을 분석 비교하였는데 학습자 중심의 시지도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활동에 학습자의 대부분이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였으며 시 감상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이 연구가 의미있음을 입증하였다. 시 교육은 수용자인 독자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예술적 체험을 하고 작품 세계에 공감하며 감동을 받았을 때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교육에서의 시 학습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 세계를 접하게 함으로써 시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키우고 삶의 총체적인 모습을 탐구할 수 있도록 작품을 폭넓게 감상하게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겠다. 바람직한 시 지도는 지나친 분석과 주입식 설명 위주의 교사 중심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수용자 편에서 해석하고 감상하여야 하며, 학습자 스스로 시 해석 방법을 터득하도록 교사는 조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시 단원을 기준으로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논의에 한계가 있었으며, 탐색된 지도과정은 개선 보완될 여지가 많다.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시 지도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효과적인 시 지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find poetry education alternatives in student-oriented instruction based on the idea that active acceptance and enjoyment of poetry by students are impossible through existing instruction methodology focused on only examinations and utilizing uniform poetry analysis and mere knowledge delivery teaching leaded by the teacher. The purpose of poetry education is to allow students to improve poetic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nd cultivate their lifes by accepting and appreciating various literary works.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a application of the acceptance theory can provide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essence of the literature which is intended in new curriculum, and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lecture more actively and voluntarily. This research, based on the acceptance theory, proposes the instructor-study model focused on the student's activities as a poetry instruction method which can provide students with independent and active learning capability required to internalize the poetic impression and also with poetic capability needed to read and appreciate poetry appropriately. Overall steps of the model are divided into the 'Planning', 'Diagnosis', 'Instruction', 'E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The model had been applied to the actual lecture concentrating on the 'Instruction' and 'Internalization' steps at which students' activities are the center of lecture. Education step was implemented by dividing the step into 'overall approach', 'partial approach' and 'comprehensive approach' and internalization step was implemented so that the deepening and augmentation of poetic experience could be achieved.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s and summative evaluation ques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n it was verified that this was a very meaningful study/research as most people were satisfied with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t witch learners-centered poetry education was applied and they answered this activities could help to improve the good-eye for poetry. When readers, as accepters, feel some artistic experiences upon relating their own lifestyle while spreading their imagination and were impressed by sympathizing with the world of art, the poetry education can be done. Therefore the direction of poetry education in school is letting the students think the piece of poetry broadly to raise their poetic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nd to explore the whole aspect of life by showing them the various poetry worlds. Excessive analysis and teach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cramming system of explanation is not the proper poetry education. The teacher must interpret and read the poem in accepters mind and help the students to learn the interpreting method for poetry by themselves. Because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poetry in a junior high school, there were some limits existed for argument and teaching process is still open to future improvement. I hope various studies about poetry education are performed to accomplish effective poetry education from now on.

      •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의 체제적 인과분석

        이은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체제접근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인과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다섯 가지였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정 요인들을 도출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및 성과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 문항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셋째, 경기도 소재 ‘ㄱ’ 대학에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넷째, 설문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이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연구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방법, 교육내용, 대학교육지원이었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육방법, 자기효능감, 대학교육지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정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방법, 대학교육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기 인식이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교육환경과 대학환경을 포괄하는 대학교육지원도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는데, 이는 성인학습자 신입생이 경험하는 학교의 다양한 지원이 학업적, 정서적 안정감과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느꼈음을 의미한다. 교육방법이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을 제공하고, 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교수학습환경이 학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의사소통능력과 교육내용은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다루다 보니 양질의 상호작용과 적절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 시간 및 내용의 양적, 질적 측면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횟수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자아발전을 위해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숙달하는 과정에서 학업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갖게 되며, 성공적인 정서적응으로 이어져 학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동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하는 일부 성인학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대학교육 맥락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대학의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하여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들이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관련된 학습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환경 특성의 모든 요인을 포함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잠정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성과와의 관계를 체제적으로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학업지속의향은 학습자가 스스로 인지한 정도를 자기보고식 설문 응답을 통해 측정한 점수이므로 실제 학업지속 여부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이 종료된 후 연구대상자의 실제 학업지속 여부를 추적하여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학습자 몰입(engagement) 이론 기반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개발 및 교수·학습 설계 원리

        이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다양한 기술이 학교 교육에 활용되고 있으며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수·학습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해 외국어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목표 언어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도구 중에서 인공지능 챗봇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학습자 몰입(engagement)이라는 구인이 교육학 연구 및 제2언어/외국어교육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학습자 몰입이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 몰입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고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나타난 몰입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 몰입에 효과적인 인공지능 챗봇 매개 초등영어 교수·학습 설계 원리와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몰입 향상을 위한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설계 및 활용 방안은 무엇인가? 1) 챗봇 활동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인공지능 챗봇 설계방안은 무엇인가? 2) 챗봇 모드에 따른 효과적인 적용 방법은 무엇인가? 3)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효과적인 인공지능 챗봇 운용 형태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및 모형은 무엇인가? 1)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대화문 설계 원리는 무엇인가?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 강화 방안은 무엇인가? 3)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H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 학습자 47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 기반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수업에 사용될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반복형, 문답형, 대화형 활동의 언어 중심 발화 활동과 과업형 활동인 과제 중심 발화 활동으로 이원화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총 13개 단원(주제)의 말하기 수업에서 크게 챗봇 활동유형, 챗봇 모드, 교수·학습방법 및 챗봇 운용 형태의 3가지 이슈에 따라 3개 학급을 각각 연구반과 비교반으로 설정하여 운영하였다. 이는 연구 방법 및 결과의 다각화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고자 실행연구 기반 혼합연구 방법의 설계와 적용에 따른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 말하기 활동 동영상, 교사 관찰지 및 수업일지, 학습자 자기 인식 몰입 설문 및 반구조화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 자료는 주제 분석, 담화 분석을, 그리고 양적 자료에 해당하는 학습자 자기 인식 몰입 척도형 설문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의 1)에 해당하는 챗봇 활동유형에 따른 학습자 몰입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형 발화 활동에서는 인공지능 챗봇이 주는 신기 효과에 의해 학습자의 언어 인식도가 증가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에게 지루함과 탈 과업 행위를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문답형 발화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발화 오류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고 주의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자의 언어 구사력이 발화 수행에 영향을 미쳐 학습자의 행동적, 정서적 반응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활동에서는 인공지능 챗봇과의 대화 중 문제가 나타났을 때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서 의사소통의지가 확인되었다. 셋째, 대화형 발화 활동에서는 창의적 발화 시도를 통한 인공지능 챗봇의 특징을 탐색하는 학습자들의 모습이 나타났다. 반면,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발화 자유도의 부재에 따라 과업 집중도 저하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한편, 해당 활동에서 학습자들은 상호작용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넷째, 과제 중심 발화 활동 중 조사하기 활동에서는 챗봇 구조의 복잡성과 수행요구 발화량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조사하기 활동에서는 학습자 몰입의 인지적, 행동적, 사회적 영역이 정서적 영역에 다양한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여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과제 중심 발화 활동 중 역할놀이 과업에서는 발화 연습이 아닌 미션 수행에 초점을 둔 행동이 나타났다. 그리고, 챗봇 활용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반복적인 성공을 경험한 학습자들에게서 말하기에 자신감을 보이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첫 번째 연구 문제의 2)에 해당하는 챗봇 모드에 따른 학습자 몰입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공지능 챗봇의 모드는 음성-문자 이중 모드와 음성 단일 모드의 두 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챗봇 모드에 따라, 그리고 동일 차시 내에서 모드의 적용 방식에 따라 학습자 몰입에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음성-문자 이중 모드에서는 시·청각적 정보를 동시에 활용한 의사소통 활동을 시도하는 모습이 두드러졌으며 학습자들은 태블릿과 일대일 상호작용을 하면서 인지적, 행동적으로 몰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사회적 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성 단일 모드에서는 학습자가 청각적 정보만을 활용하여 대화를 진행해야 하였으므로 챗봇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인지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여러 대의 인공지능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와 학습자의 탈 과업 행위에서 유발된 소음이 음성언어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들의 전략적 행동이 발견되어 의사소통전략 측면에서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발화 성공 여부에 따라 정서적 몰입양상이 상이하였다. 셋째, 동일 차시 내에서 활동유형에 따라 모드를 전환하여 언어 중심 발화 활동에서 음성-문자 이중 모드를, 과제 중심 발화 활동에서 음성 단일 모드를 적용한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몰입도가 인지적, 행동적, 사회적, 정서적 영역에서 음성 단일 모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두 가지 모드를 동시에 경험한 학습자들에게서 각각의 모드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다양한 양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둠 활동에서 나타난 사회적 몰입의 상이한 인식 및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습자에게 모드 선택권을 제공한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성이 두드러지는 모습이었다. 더욱이, 두 가지 모드를 모두 활용하여 반복적인 발화 연습을 시도하는 학습자들이 많아지면서 학습자 발화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발화 성공에 따른 정서적 몰입을 높게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더불어, 또래 학습자 간 소통이 많아지고 서로의 말하기 수행과정에 관심을 나타내는 모습도 확인되었다. 이어서 첫 번째 연구 문제의 3)에 해당하는 교수·학습방법 및 챗봇 운용 형태에 따른 학습자 몰입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교수·학습방법을 체계화하고자 크게 개별 맞춤형 학습, 협력 학습, 스테이션 학습, 게이미피케이션의 4가지를 적용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 챗봇의 운용 형태를 개별형, 협력형, 상호관찰형, 모둠형의 4가지로 선정하여 각 교수·학습방법 적용 단계에서 통합하여 운영하였다. 첫째, 개별 맞춤형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개별 발화 연습 과정에 초점화된 행동을 보였으며,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력 학습에서는 메타인지 사고 및 상호관찰을 통한 학습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하위 학습자의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발화 기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셋째, 스테이션 학습에서는 학습자에게 활동의 진행 순서와 수행 정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됨에 따라 학습자들에게서 다양한 행동 양상이 발견되었다. 또한, 수행 성공과 스테이션 전환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정서적 만족을 느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스테이션 활동을 수행할 때 교사가 협력 활동을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이 부담을 느끼거나 불편한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넷째, 게이미피케이션에서는 학습자가 미션 수행을 위해 인지적 각성 상태를 나타냈다. 한편, 보상 시스템과 같은 외재적 요인은 학습자의 학습 관련 행동을 강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자들은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에 흥미와 즐거움을 느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수행과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협력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챗봇 활동유형, 챗봇 모드, 교수·학습방법 및 챗봇 운용 형태에 따른 학습자 몰입양상을 토대로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 원리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대화문 설계 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대화문 설계를 위해서는 피드백 제공 방안을 고려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 크게 상호작용 극대화를 위한 피드백과 오류수정을 통한 정확성 유도를 위한 피드백으로 나누어 세부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대화문 설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챗봇을 의인화하는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는 방법과 학습자 발화를 챗봇이 재진술 하는 대화 상황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하여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는 소재를 활용해 대화문을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셋째, 학습자 수준에 따른 대화문 설계가 필요하다. 상위 학습자를 위해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의사소통 구문을 다양하게 포함한 과제 중심 발화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중위 학습자를 위해서는 언어 중심 발화 활동을 통해 충분히 발화 연습을 진행한 뒤 과제 중심 발화 활동 경험을 점진적으로 늘려갈 필요가 있다. 하위 학습자를 위해서는 교과서 대화문을 기반하여 상호작용 연습이 가능한 대화문을 설계하고, 세밀하게 활동을 안내하는 등의 교사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대화문 설계를 위해서는 챗봇 실행, 지시문 제시, 대화, 피드백, 잡담 나누기, 마무리의 6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진 챗봇 대화문 설계 프레임워크를 적용할 수 있다.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경험 증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멀티모달리티 구현이 필요하다.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문자 정보를 통합한 의사소통활동을 적용하면 언어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외국어 학습에 효과적인 기능을 아이콘으로 제작하고 학습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시문 기능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인공지능 챗봇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앱의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심미적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 몰입 향상을 위한 학습자 경험 설계를 위해서는 포인트, 레벨 시스템, 리더보드 등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챗봇 매개 초등영어 교수·학습 모형인 CAMP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CAMP 모형을 동일 차시 내에서뿐만 아니라 동일 단원 내에서, 그리고 단원 통합 학습의 층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설계 원리를 예시하고자 단원 설계 및 단원 통합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CAMP 모형에서는 맥락, 지원, 매개, 표현의 4단계에 따른 학습 흐름과 각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챗봇 활동유형, 챗봇 모드, 교수·학습방법 및 챗봇 운용 형태를 제안하였다. 둘째, 단원 설계에서는 주제별로 구성된 초등영어 교과서 내의 개별 단원 학습 과정에서 초등영어 학습목적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교수·학습을 진행할 때 언어 기능의 위계에 따라 각 차시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발화 활동의 종류와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단원 통합 설계에서는 개별 단원을 2개 이상 진행하고 나서 학습한 구문을 복습할 때 적용 가능한 2차시 분량의 수업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가 각 단원에서 배운 표현을 반복 학습하고 상기하여 목표 구문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흐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챗봇을 초등영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연구 과정에서 발견된 학습자 몰입양상에 근거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설계 원리와 모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교실 기반 실행연구에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실 기반 이론을 생성함으로써 추후 초등영어교육에서 인공지능 챗봇을 제작하고 활용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EFL 환경의 상황적 제약을 극복하고 학습자 몰입을 극대화하여 초등영어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 발맞춘 혁신적인 외국어교육의 구현 및 실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원격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환경 특성의 학습몰입에 대한 이중매개효과 연구 : 몰입조건과 몰입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형준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요인과 학습환경 특성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학습몰입 조건요인과 학습몰입 경험요인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학습몰입의 종속변인과의 매개효과와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원격 성인학습자 182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를 구성하였다. 목적표집의 방법으로 활용하여 54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학습자 특성요인, 학습환경 특성요인, 학습몰입 조건요인, 학습몰입 경험, 학습몰입 결과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한 결과, 성별은 학습자 특성요인, 학습환경 특성요인, 학습몰입 조건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로 이용하는 원격학습 매체수단은 학습자 특성요인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로 수행하는 원격학습 유형은 학습환경 특성요인과 학습몰입 결과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습몰입 결과요인(자기목적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학습환경 특성요인의 지각된 유용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몰입 조건요인 중 즉각적 피드백과 도전과 능력의 조화가 영향요인이었고, 학습몰입 경험요인 중 자의식의 상실, 통제감, 행위-의식의 통합, 시간 감각의 왜곡의 하위변인이 학습몰입 결과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자 특성요인과 학습몰입 조건요인, 학습몰입 경험요인, 학습몰입 결과요인의 이중매개 모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넷째, 학습자의 특성요인-학습몰입 조건요인-학습몰입 결과요인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특성요인-학습몰입 경험요인-학습몰입 결과요인 간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환경 특성요인-학습몰입 조건요인-학습몰입 결과요인뿐만 아니라, 학습환경 특성요인-학습몰입 경험요인-학습몰입 결과요인 간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환경 특성요인이 학습몰입 조건요인을 매개로 하여 학습몰입 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관계 뿐만 아니라, 학습환경 특성요인이 학습몰입 경험요인을 매개로 하여 학습몰입 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성별 변인은 조절된 매개효과 변인으로 구명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격학습을 평생교육 차원에서 논의하면서 New Normal, Untact 시대에 한국사회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평생 원격교육은 안드라고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여섯 가지 이론적 전제인 학습자 경험 역할의 중요성, 학습동기, 학습 성향, 학습준비도, 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내용을 원격학습에서 적용함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맞춤형 학습설계로 학습의 몰입도와 학습 성과를 높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