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미가 6장 1-8절 주석적 연구 : 페르시아 통치기를 배경으로

        박근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35

        국문 초록 미가 6장 1-8절 주석적 연구 박근재(구약학 Th. M)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가 6장 1-8절은 종교의 참된 본질을 보여주는 미가서의 가장 유명한 본문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종교 관련 통계 결과는 우리나라 사람 들이 종교 자체에 큰 불신과 회의를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적인 예가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종교인구 비율이 50% 이하로 떨어진 것 이다. 이러한 결과 때문에 기독교 내에서는 자성의 소리가 높아졌고 동시 에 참된 기독교의 본질을 자문하게 되었다. 미가 6장 1-8절은 시대를 초월 하여 그 본질을 잃어버린 채 세속화되고 형식화된 종교에 염증을 느끼는 현세대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가서는 12예언서 연구 경향과 비슷하게 두 가지 흐름 속에서 연구되어 왔다. 본문의 역사적 생성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통시적(diachronic) 연구와 최종 본문이 지닌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공시적(synchronic) 연구가 그것 이다. 연구자는 이 경향을 참고하여 미가서 연구사를 나름대로 크게 두 가 지로 정리했다. 첫째는 미가서의 진정성 또는 통일성을 인정하는 견해이다. 곧 미가서 전체를 기원전 8세기 미가의 말로 인정하고 연구하는 학자들 또 는 미가서 전체의 통일성을 인정하고 그 신학적 주제와 의미를 찾으려는 학자들이다. 둘째는 편집비평적으로 접근하는 견해이다. 곧 기원전 8세기 미가 시대부터 포로 이후 시대에 걸쳐 미가서가 수집, 편집, 보충의 과정을 거쳐 최종형태가 되었다고 전제하고 각 본문의 역사적 정황을 추적하는 학 자들이다. 연구자는 위 연구방법 중 후자인 편집비평적 시각에서 미가서 6장 1-8절 각 절을 주석하면서 본문의 생성 시기를 상정할 수 있는 근거들을 찾아보 았다. 사용되는 어휘들, 신학적 주제들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자들의 견해를 검토한 후 페르시아 시대 유다 땅으로 돌아온 바벨론 포로들이 당면한 과 제를 본문의 ‘삶의 자리’(Sitz im Leben)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페르시아 통치기 전후의 유다 포로들을 둘러싼 국 제적 상황과 귀환 공동체가 직면한 유다 땅의 국내적 상황을 정리했다. 특 별히 바벨론 포로기에도 유지되었던 성전중심주의와 제2성전 복원에 걸었 던 희망과 좌절, 더불어 율법의 등장과 그 역할에 집중하여 정리했다. 최종적으로 페르시아 통치기 귀환 공동체가 직면한 삶의 상황에 비추어 미가 6장 1-8절의 의미를 조명해보았다. 첫째, 귀환 공동체는 제2성전에 걸었던 희망의 좌절을 경험하였다. 미가 6장 3절에서 “내가 무슨 일로 너를 괴롭게 하였느냐”는 야웨의 질문은 백 성들이 “야웨가 우리를 괴롭게 하셨다”고 고발했음을 전제한다. 이처럼 야 웨를 고발할 정도로 강한 불만과 반발은 제2성전에 유일한 희망을 걸었던 귀환 공동체의 좌절을 반영한다. 바벨론을 떠날 때부터 성전완성에 이르기 까지 그들은 여러 어려움을 감내했다. 성전만 완공되면 예언자들이 선포했 던 대로 하나님이 역사하시리라, 지금의 삶을 돌파할 축복의 전제조건이 되어 주리라 확신했다. 그러나 제2이사야의 원대한 비전도 학개, 스가랴의 청사진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2성전 완공 이후에도 삶은 제자리걸음이었 고, 희망들은 꺾여 짓밟혔다. 그들은 완전히 지쳐버렸다. 야웨를 향한 인내심 은 완전히 고갈되었다. 그것이 페르시아 통치기 귀환 공동체의 현주소였다. 둘째, 율법 중심 공동체로의 전환이다. 제2성전 완공과 더불어 한층 고조 되었던 성전제의에 대한 열망은 민족의 종말론적 대망이 좌절됨과 더불어 한풀 꺾이고 말았고, 이것은 공동체의 정체성마저 흔드는 위기로 이어졌다. 율법 중심 공동체로의 전환은 이렇게 약해진 정체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제 의를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그렇게 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하는 것처럼 보였다. 미가 6장 6-7절을 보면 희생제물의 가치와 희생의 강도가 극단적 으로 상승하는데, 이는 그들의 극단적 죄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귀환 공동체는 비참한 현실의 책임을 야웨에게 돌렸지만, 율법은 오히려 그들의 죄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깨닫게 해주었다. 율법이 강조되면 될수록 끊임없이 속죄해야 하는 인간의 절박함이 고조되었고, 이는 6-7절의 속죄 를 갈구하는 예배자의 태도와 어울려 보인다. 셋째, 포로기 이후 귀환 공동체가 느낀 엄청난 실망과 좌절은 심각한 사 회적, 도덕적, 종교적 해이와 일탈로 이어졌다. 율법으로 말미암아 희생제 물에 대한 열망은 증가했을지 모르지만, 성전 밖에서는 여전히 약자들이 강자들에게 짓밟혔다. ‘공의를 행하기, 친절을 사랑하기, 신중하게 네 하나 님 옆에서 걸어가기’라는 미가 6장 8절의 메시지는 야웨 종교의 참된 본질 을 알려준다. 그것은 ‘드리는 제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드리는 자의 삶’에 있다. 예언자는 그것을 상실한 귀환 공동체를 다시금 일깨워준다. ABSTRACT The Exegetical Study of Micah 6:1-8 Park, Geun Jae(Th. M) The Graduate School Hansei University Micah 6:1-8 is the most famous text in the book of Micah showing the true nature of religion. The religious statistics of the 2015 Population Housing Census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how that the Korean people have great disbelief and skepticism about religion itself. Proportion of religious population has fallen below 50%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survey began. These results brought of magnetism in Christianity and simultaneously ask its true nature. Micah 6:1-8 evokes sympathy for the present generation, which has lost its essence and fed up with secularized and formalized religions. Similar to the trends of the study of the 12 prophets, the research of Micah has been progressed in two streams. Diachronic, which focuses on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text and Synchronic, which focuses on the final text. Therefore, the study history of Micah is summarized into two point of views. The first is to acknowledge authenticity or unity of the whole, recognizing the entire text as Micah’s own word of 8th century B.C. or admitting the unity of the whole text and seeking the theological subject and meaning. The second is to approach the text in a position of redaction criticism,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xt has become the final form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editing and supplementing between the period from the time of the prophet Micah to post-captivity and trace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each text. This research sought to comment on each of the verses of Micah 6:1-8 from the latter's point of view, looking for the time that the text was made or edited. After reviewing the vocabulary and theological themes used and the views of preceding researchers, the confronted issues of the Babylonian captives who returned to the land of Judah in the Persian period, has been presented as Sitz im Leben of the text. Based on this text commentary, this research has summariz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surrounding the people of Judah before and after the Persian reign and the domestic situation of the land of Judah faced by the returning community.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emple-centrism that has been maintained even through the exile period, the hope anchor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second temple and their defeat, the emergence of the Torah and its role. Finally, this research illuminates the meaning of Micah 6:1-8 in the light of life faced by the community members of the Persia reign era. First, the returned community experienced defeat of hope which they laid on the second temple. Yahweh’s question in Micah 6:3, “How have I burdened you?” presupposes that the people accused “Yahweh troubled us.” Their strong dissatisfaction and backlash, thus accused of Yahweh, reflects the frustration of the only hope that has been laid on the second temple by the returned community. From leaving Babylon to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they endured many difficulties. Assuring that God would work as the prophets proclaimed, and it would be a precondition for the blessings that would break through this life. But neither the second vision of Isaiah nor the blueprint of Zechariah was fulfilled. Their lives did not improve, and the hopes were picked and crushed. They were totally exhausted. Patience toward Yahweh ran out. That was the present address of the returning community of the Persian reign. Second, transition to a Torah-based community. The high desire for temple offerings in addi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temple eventually broke off because of the frustration of the nation’s eschatological expectation. This brought identity crisis to the community. Transition to a Torah-based community strengthened the weakened identities, and resulted in strengthening the offering and thus seemingly overcome the crisis of the community. In Micah 6:6-7, the value of the sacrifice and the intensity of the sacrifice appear to be extremely high, reflecting their extreme guilt. The returning community gave Yahweh the responsibility of miserable reality, but the Torah made aware how heavy their sins were. The more the Torah was emphasized, the greater the desperation of humans to constantly atone. This seems to associate with the worshiper's desire for the atonement of verse 6-7. Third, the enormous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felt by the returning community after exile led to serious social, moral and religious harms and deviations. The Torah may have increased the desire for sacrifices, but outside the temple still the weak were trampled by the strong. The message of Micah 6:8, “to act justly, to love mercy, and to walk humbly” reveals the true nature of Yahweh's religion. It is not in the ‘offering’, but in the ‘life’ of those who offered. The prophet awakens the returning community who los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