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플롯의 유형별 지도 연구

        김진경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소설을 가르치는데 있어, 플롯 교육의 중요성 및 그 유형별 지도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플롯 지도는 '줄거리 잡기'라는 단선적인 방법에 의존할 뿐 아니라, 형태론적 관점에 의한 도식적인 분석에 머물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주제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플롯의 유형별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플롯의 개념 및 유형과 그에 따른 작품을 선정하여 유형별 지도 방법을 살펴보았다. 플롯은 서사의 흐름을 하나의 통일체로 규제하며 소설을 하나의 의미체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기본원리로서, 작품의 부분들을 수렴하는 전체적인 작용 원리인 것이다. N. 프리드만은 서로 다른 플롯의 구조나 결과를 구별하기 위하여 세 가지 유형의 플롯을 설정하였다. 운명의 플롯, 성격의 플롯, 사고의 플롯이 그것이다. 첫째, 운명의 플롯은 주인공의 문제 해결 또는 주인공의 희망이 외부의 어떤 것을 얻지 못하는가에 달려 있고, 이것은 자신의 의지나 인식보다 외적 상황에 더 크게 의존하는 플롯이다. 둘째, 성격의 플롯은 주인공의 문제가 스스로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 있고, 최종적으로 자신의 결심이나 의지에 달려 있는 플롯이다. 셋째, 사고의 플롯은 주인공의 문제가 그의 인식이나 생각이나 믿음이 옳은가 그른가에 달려 있고, 최종적으로 인식이나 통찰이나 발견을 하는가 못하는가에 달려 있는 플롯이다. Ⅲ장에서는 각 유형에 따른 작품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플롯을 분석하여 보았다.「메밀꽃 필 무렵」은 전형적인 운명의 플롯을 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감상적 플롯에 해당하였다. 허생원은 공감적 인물로서 소극적이며 선하다. 그리고 그의 운명은 향상적으로 변화한다. 학습자는 텍스트를 읽어가면서 허생원에게 연민을 느끼다가, 끝에 가서 기대감과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동백꽃」은 전형적인 性格의 플롯을 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成熟의 플롯에 해당한다. 주인공인 '나'는 사춘기 소년으로, 소극적이며 내성적이다. '나'의 성격은 점순의 의도적인 행위에 자극을 받아 결말부분에서 향상적으로 변화한다. 학습자는 점순이라는 사춘기 소녀가 먼저 적극적으로 애정을 표현한다는 반어적 상황 가운데, 이를 깨닫지 못하고 있는 '나'의 미성숙이 독특한 갈등을 형성시킨다는 점을 발견하면서, 작품에 즐거움과 기대감을 유발시키는 것이 '성격'이라는 것을 깨닫게 유도된다. 「무진기행」은 전형적인 사고의 플롯을 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환멸의 플롯에 해당한다. '나'는 자기 이상에 대한 기본적인 관념은 가지고 있었으나, 현실에서 부딪히는 위협과 시련 등으로 인해 부조리한 인생을 살면서 신념을 잃어버리는 플롯이다. 여러 차례 무진으로 가는 사건과 그 때마다의 무진에서의 심리 갈등을 통해 주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결국 마지막 장에서 '나'는 무진과 심리적으로 완전한 이별한다. 텍스트는 외적 행동의 움직임보다는 심리적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므로, 학습자가 주인공에게 무진이 갖고 있는 함축적 의미를 다의적으로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플롯의 유형별 분석은 학습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텍스트에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지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탐색하여 보았다. 또한 기존의 플롯 지도가 안고 있는 한계인 형태론적 관점에 따른 '줄거리 잡기' 등 인과성을 중시하는 단선적인 방법인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주제론적 관점에 따른 유형별 플롯 지도은 한층 더 유의미한 지도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place stress on importance of the plot teaching and to present the guidance in the teaching of a novel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existing plot guidance only provides diagrammatic analysis in the morphologic perspective, not to mention it's primal reliance on the limited method, called "Understanding an outlin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of guidance of the plot according to the types in the thematic prospect. In the chapter II, a definition and pattern of the plot is introduced, and selected novels reveal the method of guidance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plot is a fundamental principle that regulating a narrative flowing as that of a united body, and enabling a novel continues to exist as a meaningful body. It is a general working principle that parts of the work are converged on. N. Friedman set up three types of plot, so as to classify the structure and result of each other types' plot. It is, the plot of fortune, the plot of character, the plot of thought. First, the plot of fortune is hinged on the problem solving of a protagonist or the extent of fulfillment of a protagonist's wish in accordance with exterior condition. This plot is dependent on the external circumstances more than his/her will or recognition. Secondly, the plot of character hangs on a protagonist's making-decision ability with his/her own will, and at last relied on a resolution and volition. Thirdly, the plot of thought rests on condition that his/her recognition, thinking or belief is right or wrong, and at last relied on recognition, insight or finding of a protagonist about the problem. In the chapter III, selected works, according to the types, is used to analyze the plot in a concrete way. 「Memilkkoch pil muryeop」is a typical of the plot of fortune, especially applicable to the sentimental plot. The character of 'Esquire Heo' is easily sympathized with a reader. He is conservative and good person. And his fortune changed improvingly. When a learner read along the text, they have a sympathy for Heo, and in the end, feel the sentiment of expectancy and pleasure. 「Dongbaekkkoch」is a typical of the plot of character, especially applicable to the maturing plot. A leading character, "I" is adolescent boy, being passive and introspective. The character of "I" has changed improvingly, spurred by the intentional action of Jeom-sun in the part of a conclusion. A learned is led to understand that the "Character" plays a critical role in creating pleasure and expectancy with the circumstances that immaturity of "I" forming the entanglement in the condition that an adolescent girl called Jeom-sun ironically take a initiative in representing an affection. 「Mujin-gihaeng」takes a plot of thought typically, especially applicable to the plot of disillusion. In this plot, though "I" got the basic concept for his ideal, but later on he lost his confidence by threat and ordeal faced in the real world. The theme is reinforced through many incidents of going to the Mujin and mental entanglement there at every time, and finally, "I"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ujin at the last chapter. Because the text is unfolding at the axis of mental entanglement rather than exterior action, a learner should l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the Mujin has in an ambiguous manner. The analysis of the plot according to the types is researched for finding one of the method that make a learner more active and interest in accessing to the text. And this paper takes a step further from the limited method the existing plot teaching has, like as "Understanding an outline" that is causational according to the morphologic perspective, in showing the meaningfulness of plot teaching in accordance with thematic view.

      • 플롯을 활용한 소설 표현교육 방안 연구

        이선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 plot plants life into many novels, and it's an important literary device which helps form unified-meaning context. In addition, through the expressing education of novels, depending on each school's 'literature' curriculum and the learning stage of development, it progressively refines the learner's literary experience and may improve expressive abilities. As the 7th Korean language and creative education was introduced, not only were the accepting aspects of novels, but also the productive aspects, which are referred to as expressing activit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Since then, the 2011 amendment 'literature' curriculum has captured the basic philosophy and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and for the needs and supply of the changing times and training, it has become one of the selected subjects restructuring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training courses. In accordance with the course content tailored to the goals of 'creative humanity education', focusing on the functions and role of acceptance and production activities,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that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and creative thinking by the learners was suggested for 'literature' curriculum. However, the reality of school education is that there are lack of textbook reviews and specific training plans for plots, and the plot is being taught as if it is a provision and a secondary element.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roblem by determining the pattern of plot education inside the high school's 『literary』 textbooks, whilst studying the nove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expressing education procedure and learner hydro-logical response. A plot is the forming principle of a novel and an aesthetic structure, thus, education is essential in a novel. 'Plot making (plotting)' is a 'production' activity that the learner must experience so that the learner can arrange and learn the novel's internal structure principle, as well as the learner's literary-expressing activity for discovering the dynamic aspects of the narrative and reconstructing or creating the plot voluntarily. In this paper, the information system of this plot education leads to the 'real' novel text, and a ‘knowledge-expression-attitude' was set up by arranging the details into sub categories. In the 'knowledge' step, a novel work analyzed by utilizing the four mythos plot type of Northrop Frye was presented as a means of learning materials for the learner's full-scale expressing activity. Northrop Frye's 4 mythos is life's cyclical symbols and movements shaped into the aspects of literary plot, and are projected and developed with the structure of life and nature as a comedy and tragedy, rising structure and falling structure in literature. Northrop Frye's plot type is a story written before genre existed, divided with 4 mythos that consist of categories of literature, such as romance, comedy, tragedy, irony and satire. The novel <Wings> is the Mythos of spring equivalent to the comedic plot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ncreasingly escapes the oppressive and colonial society surrounding himself and starts to crave his original self. <Baettaragi> is a summer mythos that applies to plot of romance, and the story is about a wandering person who lives a fateful life in a background of the ocean of which nostalgia unfolds. <Gwangyeom Sonata>, the fall of Mythos, has a plot of tragedy. The main character's surreal power is optically saturated in an artistic way as it acts as a multiple, then eventually gets punished in the end. <Spring, Spring> is a winter Mythos and applies to the irony plot. The main character repetitively struggles through frustration and tragedy in an undesirable situation and circumstance, but decides to approach those problems in a humorous manner rather than trying to solve it aggressively. Through the 'expression' set, the learner actively and creatively participates the former principl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along with motivation, they gain confidence and learning excitement. As for the 'attitude' step, while the plot's creation and critique becomes more regulated, the overall awareness of one's self and the world arises, as well as plac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s literature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the plot education, the learner can accommodate a variety of hydro-logical responses, let alone growing a real and effective expression skill.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novel's genre trait and utilize the plot, which is known 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principle of the literature shaping, and also to participate in the fictional world subjectively. Understanding the novel's plot has a purpose of identifying the thematic significance of the work and the creative intentions of the artist, therefore using the plot will ultimately lead to an improved expressive skill and creative literature in everyday life. 플롯은 소설 속의 여러 이야기들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하나의 통일된 의미맥락 형성을 돕는 중요한 문학적 장치이다. 이와 더불어 소설의 표현교육을 통해 학교의 ‘문학’ 교과 과정과 학습 발달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학습자의 문학적 경험을 구체화하며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창작교육이 도입되면서 소설의 수용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산적 측면, 즉 표현활동이 중요시되었다. 그 이후 2011 개정 ‘문학’ 교과는 7차 교육과정의 기본적 이념과 체제를 담았고 변화하는 시대와 교육의 수요·공급을 위해서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한 선택과목 중 하나이다. ‘창의 인성 교육’의 목표에 맞춘 교과내용에 따라 ‘문학’ 교과는 수용과 생산활동의 기능 및 역할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학교교육의 현실은 플롯에 대한 교재 검토와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미비하고, 플롯을 규정적이고 부차적인 요소처럼 가르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등학교『문학』교과서 내 플롯교육의 양상을 찾아 그 문제점을 진단하였고, 플롯을 활용한 표현교육의 절차와 학습자의 문학적 반응을 고려한 소설의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였다. 플롯은 소설 작품의 형성 원리이며 미적 구조이기 때문에 소설교육에서 필수적이다. ‘플롯짜기(plotting)’는 학습자가 거치는 ‘생산’활동 측면, 즉 소설 내부의 구조 원리를 직접 배열하고 터득하는 과정과 함께, 서사의 역동적인 측면을 발견하고 스스로 플롯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하는 학습자의 문학 표현화를 위한 활동이다. 본고에서 플롯교육의 내용체계는 ‘실제’인 소설 텍스트를 우위로, ‘지식-표현-태도’를 하위범주로 하여 세부내용을 설정하였다. ‘지식’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본격적인 표현활동을 위하여 노드롭 프라이의 네가지 미토스 플롯 유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소설 작품을 학습교재의 방편으로 제시하였다. 노드롭 프라이의 네가지 미토스는 삶의 순환적 상징과 움직임을 문학적인 플롯의 양상으로 형상화시킨 것으로 문학에서 희극과 비극, 상승구조와 하강구조로서 삶과 자연의 모습을 투영하고 전개한 것이다. 노드롭 프라이의 플롯 유형은 장르 발생 이전의 이야기 문학의 범주, 즉 로맨스, 희극, 비극, 아이러니와 풍자의 네가지 미토스로 나눠진다. 소설〈날개〉는 봄의 미토스로서 희극의 플롯에 해당되며, 주인공은 자신을 둘러싼 억압적이고 식민지적인 사회에서 점점 벗어나 본연의 자아를 갈구하게 된다.〈배따라기〉는 여름의 미토스, 로맨스의 플롯에 해당되며 주인공은 편력을 통해 노스탤지어가 펼쳐지는 바다를 배경으로 숙명과 같은 삶을 살아가게 된다.〈광염소나타〉는 가을의 미토스, 비극의 플롯에 해당되며 주인공이 지닌 초현실적인 힘은 예술적으로 광포화되고 복수로 작용하면서 결국 파국에 처한다.〈봄·봄〉은 겨울의 미토스, 아이러니의 플롯에 해당하며 주인공이 바람직하지 못한 사태와 상황 속에서 좌절과 시련을 거듭하지만 자신의 문제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보다 해학적으로 다가가는 모습을 보인다. ‘표현’ 단계를 통해 학습자는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전 학습 과정의 주체로서 참여하며, 동기부여와 함께 학습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된다. ‘태도’ 단계에서는 플롯의 창작과 비평을 생활화하면서 자아와 세계를 총체적으로 인식하고 공동체의 문학 문화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플롯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한 문학적 반응을 수용하고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설의 장르적 특질을 이해하고 문학 형상화의 구조적 원리인 플롯을 활용하여 소설적 세계에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소설의 플롯에 대한 이해는 작품의 주제적 의미와 작가의 창작 의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플롯을 활용한 문학의 표현능력 향상과 창작 생활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 소설의 플롯 교육 방안 연구

        김지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소설의 플롯 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소설의 수용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롯은 방만하게 흐를 수 있는 이야기를 하나의 통일체로 규제하면서, 이야기를 하나의 의미체로서 존재하게 한다. 플롯을 전체 맥락 속에서 서로의 긴밀한 연관 관계가 만들어내는 하나의 의미 연결망으로 보고, 이를 체계화하여 주제를 형상화하는 주제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작품의 성격을 분석하는 장치로써 플롯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노스롭 프라이가 주장한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각 관점별로 네 가지 플롯 유형을 분류한 로만스, 비극, 아이러니, 희극을 각각의 작품 <배따라기>, <무녀도>, <봄․봄>, <학>으로 플롯 분석하였다. 로만스 플롯은 이상세계에 대한 욕망을 품고 시․공간을 초월하여 꿈을 쫓는 한 전형적인 인물의 일생을 다룬다. <배따라기>의 인물은 순진무구한 유아적 심성의 소유자로 자신이 쫓는 이상향을 위해 모험과 편력을 일삼는 낭만주의자이다. 로만스의 전형적인 인물은 누구나 할 것 없이 윤리적으로 자신과 대립하는 적을 갖는다.「배따라기」에서는 맺힌 회한을 풀기 위해 방랑 생활을 하는 자기 자신이 된다. 주인물의 성격묘사는 로만스의 중심 형식인 변증법적 구조를 따른다. 처음에는 자신의 오해로 아내와 아우의 가출을 야기시켰고, 자신의 과오에 대한 확인과 자책의 과정을 거친 뒤 반성의 길에 들어선 것이 정확하게 변증법적인 발전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비극의 플롯은 작중인물의 인간관계나 사건 자체를 서로 대립적인 힘의 관계로 이끌어 결국 상황의 붕괴나 관계의 파괴와 분열을 상징하는 파국적 하강구조를 따른다. 「무녀도」는 모화와 욱이가 종교적 대립과 투쟁의 결과로써 두 사람의 죽음이 발생하고, 그러한 사태의 결과로써 졸지에 두 혈육을 잃은 낭이는 어디론가 떠남의 운명을 물려받게 되는 비극의 플롯을 지닌다. 바로 여기서 비극의 플롯에서 주인물이 가지는 특유의 장려함과 고양감이 있는 영웅성이 드러난다. 무녀도는 비극적 플롯에 의해 그 상징구조가 지탱되고 있으면서도 변증법적 지향성을 미약하게나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변증법적 비극의 플롯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이러니의 플롯은 바람직하지 못한 사태나 상황 속에서 좌절과 시련을 거듭하는 고난형의 주인공 이야기이다. 이 유형은 사태의 진전이나 발전적인 변화 대신에 처음의 상황으로 되돌아 가버리고 마는 사태의 지속적인 악순환이나 개선의 결핍 양상을 띤다. 「봄․봄」에서 비극의 영웅성과는 구별되는 너무나 인간적인 인물이 나온다. 아이러니의 본질은 인간의 정신구조나 삶의 심층 속에 혹은 우주나 자연의 질서 속에 내재된 모순되고 상반된 가치나 의미를 동시에 제시할 때 발생한다. 이야기의 기본적인 대립상황에서 발견되는 순수한 부조화의 아이러니, 그리고 절정부분에서 반전을 통해 발견되는 극적 아이러니, 마지막으로 이들을 총체적으로 수렴시켜 얻는 일반적 아이러니가 존재한다. 희극은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에서 바람직한 상황으로, 처음의 상황보다 결말의 상황이 발전 ․ 개선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희극을 전개하는 방식은 방해꾼들에게 역점을 두는 방식이 있고, 또 하나는 발견과 화해의 장면을 가져오는 데 역점을 두는 방법이다. <학>의 부인물인 덕재는 반동인물로써 주인공 성삼과 대립적 관계에 있다. 덕재의 살인 행위가 오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성삼의 인식에 변화가 생긴다. 그리하여 친구 덕재의 역사적 억압의 자아를 회복시키고 잃어버린 동질성을 찾는 과정 속에 학의 형상화를 통하여 소설의 가장 극적 순간을 그려냈다. 이렇듯 희극의 결말구조는 플롯의 역전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바람직한 상황으로 상승하는 결말구조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희극의 플롯에서는 작중인물의 일관된 성격보다는 이러한 갑작스런 반전 작용에 의해서 작중인물의 성격이나 윤리가 개선되거나 발전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 연구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상호 작용을 통해 심화 ․ 확장해 나갈 수 있는 플롯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소설을 읽는 재미를 갖게 하고 작품의 능동적인 감상을 통해 내면화를 이루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플롯 교육의 수용․생산 활동으로 소설의 플롯을 파악하는 과정 속에 개입하게 되는 독자의 추론 과정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추론적인 사고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사건들을 인과적으로 연결하는 힘을 기름으로써,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된다. 또한 인과관계를 통해 연결된 사건들을 플롯에 의해 주제를 형상화시키기 위해 조화롭고 통일성 있는 이야기로 만들면서, 학습자는 통합적인 사고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플롯을 통한 내면화 유도 학습은 학습자의 다양한 사고 과정의 양상들을 텍스트의 근거에 맞게 사고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플롯을 통한 소설을 체험하고 육화하는 내면화의 전단계적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플롯 교육이 학습자가 능동적인 태도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at offering the detailed method for the novel’s reception education by preparing the plan for the novel’s plot education. The plot limits a story that can be randomly flown in a unified organization, allowing the story exist as a meaning module. I established the basis of plot as a devi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rk by acceding in the thematic perspective that considers the plot as a semantic network that is closely produced by mutual association relationship in the general contexts, systematizes this and symbolizes the theme. Based on the theory maintained by Northrop Frye, I analyzed the plot of romance, tragedy, irony, drama that classified the four plot types by perspective in the respective work of < Baetaraghi >, < Shaman Dance >, <Spring․ Spring>, <Crane>. The romance plot treats of a typical man’s life that searches for dream above the time and space with his desire towards the ideal world. A character of <Baetaraghi > has purely innocent and infantile soul, who is a romanticist that does nothing but adventure and wander through for his own Utopia. All the typical character of romance has an enemy that faces ethically with himself. In「Baetaraghi」he becomes himself that lives a wandering life to release the grudge smoldered in his heart. The characterization of main character depends on the dialectical structure, the central form of romance. In the beginning he caused his wife and brother’s leaving home due to his own mistake, and entered to the reflection after his passing the confirmation and self-accusation, which shows exactly the dialectical development. The plot of tragedy depends on the catastrophically falling structure that leads the human relation of characters or its event in the conflicting strength and symbolizes the destruction and division of the collapse or relation of the situation. 「Shaman Dance」has the plot of tragedy that Mohwa and Uk dies as a result of religious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Nang that lost two flesh and blood because of this situation is inherited the destiny of leaving for any place. Here, it is appeared the heroism of the character’s own magnificence and highness in the plot of tragedy. Shaman Dance can be understood in the dialectical plot of tragedy in that its symbolic structure is maintained by the plot of tragedy but shows a little the dialectical directivity. The plot of irony is of the suffering character’s story that repeated frustration and trials in an undesirable situation or circumstances. This type shows the vicious cycle continued that returns to the initial circumstances instead of its advance or developed change, or the lack of improvement. In「Spring․ Spring」a character so human is appeared that is identified from the heroism of tragedy. The essence of irony is occurred when is presented the contradictory and opposed value or meaning in the human mental structure or deep structure of life, or in the order of planet or of nature at the same that. The irony is divided in the irony of pure disharmony discovered in the basic conflict situation of story, the irony of tragedy discovered through the reversion in the climax, and finally the general irony obtained by collecting them in sum. The tragedy shows the developed and improved end of the initial circumstance from the undesirable circumstance to the desirable circumstance. There is one mode that develops the tragedy such as one that lays emphasis on troublesome people, and the other that lays emphasis on bringing the scene of discovery and reconciliation. Deokjae, the repudiated of < Crane > is a reactionary figure, who is in confrontational relation with the main character of Seongsam. Discovering the fact that Deokjae’s murdering is a misunderstanding, Seongsam’s recognition is changed. So, it drew the most dramatic moment of the novel through the visualized crane in the course that he recovers his friend, Deokjae’s historical repression ego and found the lost homogeneity. Like this, the end structure of traged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nd structure which the undesirable circumstance returns to the desirable circumstances by reversion of plot. Therefore, it is to know that in the plot of comedy, the character or ethic of the main character should be improved or developed by such sudden reversion than consistent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This research has meaning in that allows the learner organize the active meaning, enjoy reading the novel with the plot education that can deepen and extend through the interaction, and form the internalization through the active observation of the work. Observing the lecturer’s reasoning process that intervenes in the process that understands the plot of novel with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plot education it extended the learner’s inferential thinking skill. The learner will extend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thinking by cultivating the power to connect the cases in casual condition. Also, by making the connected cases through the casual condition in harmony and unity in order to visualize the theme by plot, the learner will be able to increase his integrated thinking skill. The internalization induced learning through the plot allows the learner think various aspects of thinking process to the textual basis and make rational judgment. Therefore, it has the pre-contemplating character of internalization that experiences and incarnates the novel by plot. So, I could see that the plot education could be the important teaching method in that the learner joins with active attitude.

      • 플롯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 17세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정보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need and ways to use the concept of plot in literature education by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s of classic novel plots focusing on the 17th-century novels. “Plot,” which is a key term in theories of the novel, is a concept distinct from “story,”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literary value and completeness of narrative. However, in literature education, the concepts of “plot” and “story” have been used without much distinction,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lot and specific ways to understand it. Given that a plot is an index that allows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temporality and causality of a literary work and is an objective and clear standard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work, it is a tool that promotes the learner’s novel analysis and communication, so there is a need to educate about it more actively. Thus, this study organized the concept of plot, at the level distinct from story, into “causal arrangement of events” and “structure of making organic meaning.” In this case, “events,” “causality,” and “arrangement” become surface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plot type, and based on them, it was considered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depth contents that the plot contains and the plot’s macroscopic form. The base factors that make up in-depth contents include desire, discourse, and conflict, and the attributes of ba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ed events, method of organizing causality, and arrangement method. And finally, as the plot type that can serve as an index for understanding the macroscopic form and meaning of the plot, single-plots such as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or multi-plots such as “cross-over plot” and “integrated plot” of the two single-plots can be set. The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have the semantic role of “order establishment” and “alternative search” respectively. The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have the semantic role of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respectivel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xamine various plot types of individual works and impart meanings. Plot-oriented novel education designed based on the propositions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securing probability in classical novels, allows the learner to experience the effect of a plot as an immersion mechanism for a novel, and prepares specific ways to consider configuration in a discussion on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four novels of the 17th century as materials for plot education. They are “Honggildongjeon,” “Sassinamjeonggi,”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series. These four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y restructured issues in reality by introducing the narrative world “family(家),” constructed the logic of the narrative worl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ssibility and inevitability, and looked for an effective arrangement method to maintain tension in the narrative scope that became broader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plot should be discussed in the 17th-century nove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rface factors and base factors comprehens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plot type and meaning of the four works, “Honggildongjeon” had a divergent plot that explored an alternative world of “family,” and “Sassinamjeonggi” had a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value of patriarchal order which supported “family” and at the same time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posing by addressing such order sharply. “Changseongamuirok” had an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solv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order of “family” construct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nd “Sohyeonseongrok” series had a convergent plot that limite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s the ideal order of “family” was established. In each work, the plot not only secured intimacy based on family relations of the narrative world “family” and the real world but also gave a lesson and interest to the reader by combining the faith in the reality’s order and curiosity about an alternative world. The results of analysis become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structure for classical novel plot education. This can be set in two directions, “education on narrative structuring by understanding plot types” and “education on theme exploration through organic interpretation of plot.”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 in the two directions through voluntary activities of the learner, this study considered it effective to design “inquiry learning” for finding out how and why the plot is configured. To concretize this into educational contents, a procedure was prepared in four steps, “concept learning about plot,” “setting a hypothesis based on the story summary,”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and “elaborating the theme interpretation by utilizing plot.” From among these,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is carried out by “collecting evidence based on surface factors, evaluating the hypothesis based on base factors, and drawing of plot types and experience of plot effect.” These education contents will not only increase understanding of a work by guiding the leader to figure out the plot type and meaning organically but also have a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me of a new work. 본 연구는 17세기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고전소설의 플롯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문학교육에서 플롯 개념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론의 주요 용어인 ‘플롯(plot)’은 ‘스토리(story)’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서사의 문학성과 완결성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학교육에서 ‘플롯’은 ‘스토리’ 개념과 큰 변별성 없이 사용되었으며, 플롯의 본질적 특성이나 구체적 파악 방식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였다. 플롯은 작품의 시간성과 인과성을 파악하는 벼리이자 작품 해석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명료한 기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소설 분석 및 소통을 촉진할 도구가 되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롯의 개념을 스토리와는 구분되는 층위에서 ‘사건의 인과적 배열’과 ‘유기적 의미 부여의 구조’의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때 ‘사건’과 ‘인과성’, ‘배열’이라는 요소는 플롯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표층적인 요인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플롯이 담지하는 심층적인 내용과 플롯의 거시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심층적인 내용을 이루는 기저 요인으로는 ‘욕망’, ‘담론’, ‘갈등’이 있으며 이 요인들의 속성은 강조되는 사건의 성격과 인과의 조직 방식, 배열 방식과 각각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최종적으로 플롯의 거시적 형태와 의미를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한 플롯 유형으로는 ‘수렴형 플롯’, ‘발산형 플롯’과 같은 단일형 플롯과, 두 단일형 플롯이 결합된 ‘교차형 플롯’, ‘통합형 플롯’의 복합형 플롯을 상정하였다. 수렴형 플롯과 발산형 플롯 유형은 각각 ‘질서 실현’과 ‘대안 탐색’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으며,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과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은 각각 ‘문제 제기’와 ‘문제 해결’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플롯 유형과 의미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작품별로 다양하게 마련된 플롯에 대하여 보다 설득력 있고 타당한 해석을 꾀할 수 있다. 이상의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구안한 플롯 중심 소설 교육은 고전소설에서 개연성을 확보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소설의 몰입 기제로서 플롯 장치의 효과를 체험케 하며, 내용을 중심으로 한 주제 논의에서 형상을 고려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롯 교육의 제재로 17세기 장편소설 네 작품을 선정하였다. <홍길동전>,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연작이 그것이다. 이 네 작품은 모두 ‘가(家)’라고 하는 서사 세계를 상정하여 실제 현실의 문제를 재구성하였고, 가능성과 필연성의 원칙에 따라 서사 세계의 논리를 구축하였으며, 전대에 비해 넓어진 서사 편폭에서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배열 방식을 모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은 17세기 장편소설에서 플롯을 논의해야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네 작품의 플롯 유형과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표층 요인과 기저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홍길동전>은 ‘가(家)’의 대안 세계를 탐색하는 ‘발산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사씨남정기>는 ‘가(家)’를 지탱하는 가부장적 질서의 가치를 보여주면서도 균열 또한 첨예하게 다루어 문제 제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창선감의록>은 ‘가(家)’의 바람직한 질서 실현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문제 해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소현성록> 연작은 ‘가(家)’의 이상적 질서가 실현되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수렴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각 작품들에서 플롯은 ‘가(家)’라는 서사 세계와 실제 세계의 가족 관계를 바탕으로 친숙감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현실 질서에 대한 믿음과 대안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나름대로의 비중으로 조합함으로써 독자에게 교훈과 흥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고전소설 플롯 교육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토대가 된다. 이는 ‘플롯 유형의 이해를 통한 서사 구조화 교육’과 ‘플롯의 유기적 해석을 통한 주제 탐구 교육’의 두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향의 교육이 학습자의 자발적인 활동을 통해 성취되도록 ‘플롯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와 ‘왜 이러한 플롯이 구성되는지’를 밝혀내는 ‘탐구학습’의 방법을 참고하여 플롯 교육을 설계하였다. 이를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플롯에 대한 개념 학습’, ‘스토리 요약을 통한 가설 설정’,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플롯을 활용한 주제 해석의 정교화’와 같이 크게 네 단계의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 중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단계는 다시 ‘표층 요인을 중심으로 한 근거 수집’, ‘기저 요인을 중심으로 한 가설 평가’, ‘플롯 유형의 도출과 플롯 효과의 체험’으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플롯의 유형과 의미를 유기적으로 파악하도록 안내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작품의 서사 구조와 주제를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한 전이력 있는 분석틀이라는 점에서 문학교육적 의의가 있으리라 본다.

      • 내러티브 설교의 반전플롯(Reversal Plot) 연구 : "나단(삼하 12:1-15)과 베드로(행 2:14-42)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박진석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반전플롯(Reversal Plot)을 연구하면서 일반적으로 살필 수 있는 문학적이거나 수사학적인 연구는 가능하다. 그러나 내러티브 설교는 먼저 성경 속에 있는 내러티브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성경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반전플롯과 그 내용을 먼저 살피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구약의 사무엘하 12:1-15에 나타난 다윗을 향한 나단의 메시지와 신약의 사도행전 2:14-42의 유대인을 향한 사도 베드로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그들 청취자의 회심을 위해 반전플롯이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었는지 살핀다. 한 개인으로서 또 성공한 왕으로서 다윗에게 다가서는 나단의 짧지만 강력한 도전의 메시지는 다윗의 생각을 반전시키고 그 자신을 하나님 앞에 무릎 꿇게 하였다. 그것은 나단이 가진 의도적인 메시지에 의하여 반전된 것이었다. 이와 같은 다윗이 '무장해제'되어 하나님 앞에 무릎 꿇게 된 것은 나단의 반전적인 메시지를 통해서 '다리놓기'라는 반전 내러티브의 목적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았던 유대인들,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께서 역사적으로 부활하셨고 또 하나님께서 하늘로 승천하고 승귀하게 하셔서 이제 유대인뿐 아니라 전 세계 열방 민족의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다는 사실은 당시에 예루살렘에 모인 그들 유대인들의 생각을 완전히 반전시키는 놀라운 메시지였던 것이다. 사도 베드로의 담대한 수사법적 선포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진 예언의 말씀은 유대인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구원의 길에 대해 새롭게 눈을 뜨게 해 주었다. 그것은 사도 베드로의 메시지를 통해서 그들 유대인들이 그리스도의 세계로 넘어가는, 사도 베드로의 '다리놓기'라는 반전 내러티브의 목적이 이루어진 현장이었으며, 완고한 유대인들에게 오순절 성령강림의 사건을 그리스도 중심으로 선포하므로 '무장해제'시킨 반전 내러티브였던 것이다. 내러티브 설교에 있어 이와 같은 반전플롯의 특징은 개인이든 집단이든 그들의 생각과 철학을 바꾸어 하나님의 세계와 그리스도의 세계로 자신을 회심하고 반전시켜 구원의 길을 발견케 한다. 그리고 죄악된 세상에서 하나님을 대면케 한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함에 있어 좀 더 효과적으로 청취자들에게 말씀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적절한 플롯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명작과 졸작의 경계에 플롯(Plot)이 있다"는 말이 있다. 좋은 작품일수록 그 플롯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설교도 ‘하나의 작품’에 비교할 수 있다면 당연히 그 플롯도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설교자는 하나님의 주신 말씀을 재료로 세상과 청중에게 하나님의 메시지를 담아내는 작품을 만드는 사람이다. 세상과 청취자들은 그 말씀을 통해 세상에서 반전된 하나님의 세계를 만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내러티브 설교에 있어 반전플롯의 가치는 신학적인 것뿐 아니라 청취자의 삶을 변화시키려는 강력한 도전의 설교 내러티브를 만들어 준다. 이제 설교의 한 형태로써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는 한국교회의 설교강단에 반전플롯의 연구가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복잡한 현대 사회 속에서 하나님께서 보여주시는 구원의 길을 발견하게 만드는 사도적 메시지로써 내러티브 설교의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내러티브 설교에 있어 반전플롯의 가치는 문학적 내러티브의 반전 가치만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강력한 수사학적 장치가 필요해서 요청하는 것만도 또한 아니다. 그것에는 좀 더 깊은 신학적인 이유까지 있는 것이다. 가치관과 세계관, 개인의 삶의 목적까지 반전시킬 수 있는 것이 내러티브설교의 반전플롯의 목표이다. "가로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행 2:37)" It is possible to study of literal and rhetorical in wrestling with Reversal Plot, but Narrative Preaching is on the premised in narrative of the Scripture. So, to look at Reversal Plot and contents of Biblical narrative is meaningful. In this thesis, I will take a look of Nathan's message to David in Old Testament II Samuel 12:1-15, and Peter's message to Jewish in the New Testament Acts 2:14-42 in relation with audience's conversion. Nathan's powerful and short message to the successful king David make David's thought reversed and knelt down before God. It is, of course, reversal by intentional message of Nathan. This disarmed of David and knelt down to God is due to accomplished of purpose of Reversal Narrative, called "Building Bridge." To those Jewish who have crucified Jesus, Jesus' historical resurrection and ascendent into heaven, so the fact of being the Lord and Saviour of all the world is really wonderful Reversal message of Jewish people those who are gathered at Jerusalem. Peter's bold rhetorical proclamation and prophet word of re-interpretation with Christ-centered made Jewish open their eyes. It was accomplished spot of the purpose with Reversal Narrative, called, "Bridging," so the Jewish move over to Christian world through his message, and also stubborn Jewish are 'disarmed' through the event of Pentecostal's Holy spirit. The characteristics of Reversal Plot in Narrative preaching change one's thought and philosophy whether individuals or group, so it makes one to find God's world and Christ world. And they meet God in sinful world. Thus preacher may use of proper plot for making hearer rooted God's Word into daily life. An old saying, "There is a plot between the masterpiece and the poor work which means, I think, the Plot is so important. If we think sermon is 'a kind of work,' the plot is much significant. Preacher is the person who are producing the Work through God's message to this world and congregation. The world and listeners encounter reversed God's world in this secular world through the Word. So, the value of Reversal Plot in Narrative preaching makes powerful sermon narrative for not only theological aspects but also audience's actual life. I hope this study maybe a valuable approach to Korean pulpit in terms of narrative preaching. So in this complicate society, God's redemptive way show us the apostolic message through it. Also, its value in narrative preaching is not mentions only literal reversal plot or neither powerful rhetoric installation. There is more theological reason deeply. Value and world view, and also the purpose of individual's life will be reverse through Reversal Plot in narrative preaching. "Brethren, what shall we do?(Acts 2:37)"

      • 플롯을 활용한 소설 창작 지도법

        최성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학생들이 소설의 플롯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미 있는 경험을 소설로 창작해 보도록 지도하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의 플롯은 텍스트의 의미 생산과 작품의 미적, 예술적 형상화에 기여하는 핵심 원리이면서 소설을 창작할 때 작가가 어떻게 써야하는 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 서는 제대로 된 지도 방법이나 지도 단원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롯에 주목하게 되었다. 우선 교육과정에서 소설 창작 교육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창 작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습활동 내용 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소설을 창작할 수 있도록 플롯의 논리를 이해하고 학습 동기 를 유발하기 위해 만화와 시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소설의 플 롯 지도 단계를 플롯 추출하기, 스토리 환원하기, 플롯 재배열하기로 제시하였다. 소설의 플롯에 대해 이해하게 된 학생들에게 본격적으로 소설을 창작할 수 있 도록 교사가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핵심사건으로 플롯 만들기, 플롯 유형에 맞추어 소설 쓰기, 제시문으로 소설 쓰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지도 방법을 적용하여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한 소설 창작 동아리 학생들의 창작물을 지도 사례로 살펴보았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최다(最多) 수록된 하근찬의 수난 이대 를 바탕으로 총 10차시의 소설 창작 수 업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플롯을 활용하여 소설을 창작해 본 학생들은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타인의 삶에 대해 관심 갖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has an aim to find the method to have a student understand the plot of a novel and write a novel with his or her own meaningful experiences. A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plot of a novel because it is a core principle to contribute to produce the meaning of a text and embody a work aesthetically and artistically and give an answer to an author how to write a novel. However, I get to concentrate on a plot because there is no proper teaching method and unit at school. At first, I probed how an education for writing a novel had changed, and analysed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y aroun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for grasping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education. Moreover, I proposed cartoons and poetry to motivate a student to understand the logic of a plot and study it. Besides, I presented teaching steps of a plot, extracting a plot, returning a story, and rearranging the plot. Additionally, I suggested making a plot with core events, writing a novel by a plot type, writing a novel with a given sentence. I taught 20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of writing a novel club with above-mentioned methods. Furthermore, I made 10 teaching plans for writing a novel on the basis of Suffering Two Generation by Geunchan Ha, the most frequently textbook-contained novel. I anticipate that the students who have written novels using plots reflect their lives and understand others’ lives and sympathize them.

      • 염상섭 소설의 이중플롯 연구 : 초기 장편 소설을 중심으로

        오윤호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는 1920년대 초에서 30년대 초까지의 염상섭 '장편소설'을 이중플롯으로 분석하여 그 서사적 전략과 재현 양상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텍스트에 대한 구조화 과정으로서의 이중플롯에 대한 이해와 서사 재현 양상과 관련해 서사주체의 담화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중플롯은 '이중double'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모호성 때문에 서사 층위와 텍스트 의미 해석 등 여러 이론적 시각에서 논의되었다. 이중플롯에 대한 접근은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세계 인식 안에서 서사적 재현에 대한 다층적 의미구조를 타당하게 하는 시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플롯은 '행위의 모방 혹은 사건의 인과적 결합 원리'로 말해져 왔다. 그러나 플롯 개념은 서시의 중심 사전 간의 기능적 결합 관계나 그 행위 구조에 관한 구조적 기술로 플롯을 이해하려는 관점으로부터 서사의 주제적 의미와 정서적 효과를 환기시키는 서사 구성 요소의 전체적이고 역동적인 조직화 원리로 플롯을 규정하려는 방향으로 이론적 변화를 보여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플롯은 대상을 지각하고 해석하고 욕망하는 서사 주체가 서사적 구성요소와의 상호 관련성 안에서 형성하는 가능 세계, 즉 서사적 공간의 내재적 원리이다. 서사 주체의 인식의 한계와 과도한 의도성은 서사적 리얼리티를 깨뜨리게 되고, 서사적 진행을 뒤틀어 놓는다. 따라서 독자는 자신에게 제시되는 서사적 사실에 동화되기보다는 객체화되고 모호한 관계로 서사적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즉, 이중플롯은 서사주체의 인식의 한계로 인한 객관화되고 모호한 서사적 리얼리티를 전제로 한다. 이중플롯으로 소설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첫째 서술 주체에 의한 서술 재현 양상을 밝히고, 둘째, 서사의 전체적인 흐름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서사적 갈등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염상섭 장편 소설의 이중플롯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서사 주체의 현실 인식과 해석이 어떻게 서사적 재현 양상으로 드러나는 지를 밝히는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염상섭 장편 소설에 있어서 몇몇 재현 양상을 구분하였고, 개별 텍스트 분석에 들어가서는 이러한 재현 양상이 어떻게 텍스트에 주제적·의미적으로 구조화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재현 양상은 인물 서술 층위에서 인물 내면 심리의 서사적 반복이다. 내면적 갈등을 겪고 있는 인물의 행위와 심리가 서사적 사건 혹은 서사 구성 요소의 관계가 반복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두드러진 작품들로는『만세전』, 『해바라기』, 『너희는 무엇을 어덧느냐』, 『사랑과 죄』 등이다. 이 직품들의 주요한 서사적 갈등은 '선택'이다. 주인공들은 사회 비판적 인식에 기반한 능동적 현실 참여와 혐오스러운 현실로부터 도피하고자 하는 이중 심리 사이에서 선택 지연을 경험하며, 이러한 심리적 갈등이 서사적 반복 행위로 나타난다. 두 번째는 서술자의 강력한 서술적 권위에 의해 인물들의 욕망이 좌절되는 현실 인식의 환유적 재현 양상이다. 이러한 경향의 작품은 『사랑과 죄』, 『二心』, 『광분』이다. 이 작품들의 주요한 갈등은 인물들의 욕망과 서술자의 권위적인 서술의 대립이다. 서술자는 서사적 현실을 재현하고 있다는 의식이 강하며 견고한 도덕적 세계관으로 인물들의 삶을 비극적으로 이끌어나간다. 세 번째는 인물의 서술과 서술자의 서술이 매우 착종된 형태로 나타나는 가치 훼손의 다중 발화 양상이다. 이러한 문체적 특징이 두드러진 작품으로는 『만세전』, 『광분』, 『삼대』, 『무화과』 등이다. 이러한 작품들의 주요한 갈등은 '서사 주체가 그들이 경험하는 현실을 어떻게 오해하고 조작하는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서사 주체의 현실 인식은 매우 이중적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이중적 현실 인식은 이야기 과정에서 표면적으로 가족관계의 갈등을 다루고 내면적으로는 정치적인 탄압과 이에 대한 저항 의식이 은폐되거나 서사적 침묵으로 처리되어 나타난다. 염상섭 장편 소설의 이중플롯에 대한 연구는 '허구'와 '이야기하기'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이루어졌으며, 서사 구조가 단순한 사전 분석에 끝나지 않고 그 안에 인간의 심리적 차원이 도입되어 서사 주체의 현실 지각과 해석의 과정이 서사 재현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염상섭 소설의 이중플롯은 양가적이고 상대적인 서사적 현실을 이야기하는 재현 과정에서 자기 합리화의 토대를 미련하려는 서사 주체의 자기 혐오 의식이 구조화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narrative strategy and presentation mode on Yeom Sang Sub's Novel that was published from early 1920s to early 1930s by Double-Plot. So, it would be presupposed that we must understand Duoble-Plot as a process to structuralized texts and characteristic of narrative-subject in discourse. For double has a great of means, Double-Plot was argued in various theoretical aspects to define narrative level and to interpret a meaning of text Approaches to double-plot are those which expect the multilayered meaning-structure of narrative-presentation by plural cognition of narrative world Since Aristotle, Plot was suggested as an imitation of an action or a organization principle which connect facts of narrative world (events) by chronology and causality. But recently, the conceptual change of plot consists of a shift from a view of understanding plot as a functional relation of connecting main events or a structural description of action-structure to a view of defining plot as a energetic and organization principle of narrative elements which call attention to the thematic meaning and emotional effect in narrative. From this point of view, plot is an internal principle of narrative space; a possible world that is formed by narrative-subject that perceive, interpret, and desire objects in association of narrative elements. The limit of cognition and excessive intention of narrative-subject break narrative-reality and frustrates narrative-progress. So, Readers do not assimilate into narrative facts readily that are telling to reader, but regard narrative facts as an objective and ambiguous relation. The objective and ambiguous narrative-reality caused by the cognitional limit of narrative-subject is a precondition for Double-plot. To analyze a novel-text. by double-plot, we first have to define narration- presentation mode descrived by a narrator and second find narrative-discords to follow or resist the total narrative-progress. To study the Double-Plot of Yeom Sang Sub's Novel is to reveal how the cognition and interpretation of narrative-subject to narrative-reality come into narrative-presentation. In this thesis, I have arranged representation-modes in such a reason that it is related to narrative discord and tried to reveal how the representation-modes of Yeom Sang Sub's novels are structured in thematic and meaning through analysis of a each text The first representation-mode is narrative-repetition of the internal psychology of persons on a character-narration level. The Action and psychology of a person who experiences internal discord repeat an action or a structural relation of narrative elements. There are Before March 3 grass-roots movement, Sunflower, What did you get? and Love and crime which have markedly this mode. The main narrative comflict of these novels is the choice. Protagonists experience choice-delay between a psychology to participate in the sociality with critical consciousness and a psychology to escape from disgusting reality, and this choice-delay is presented as narrative-repeat action. The second presentation-mode is the metonymy presentation of reality-perceive in the way which narrator's authority frustrates charaters' desire. There are Two hearts and To run madly which show markedly such a mode. Main comflict of novel is the opposition happened between characters' desire and narrator's authority. Three-person Narrator himself has a faith to draw the narrative world with a concrete and moral worldview and then it's result make characters' life be tragic. The third presentation-mode is plurality-speak-presentation that is compounded of person's narration and narrator's narration. This mode is suggested in the following: Before March 3 grass-roots movement, To run madly, Three generations, and A fig. Main conflicts of these novels starts from the question; how do narrative-subjects misunderstand and operate the reality which is experienced by themselves. Therefore, the subject's cognition of the reality is constituted of dual attitude. The dual cognition of the reality in story, telling awakens the contradiction of narrative truth. In the structure of texts, the dual cognition of the reality is treated as troubles in family internally and silence concealed the rejection against the political oppression in stories A study of the double-plot about Yeom sang sub's Novel is discussed in fictionality and story-telling with critical view, and analyzed the progress in which is presented the narrative-subject's cognition and interpretation to narrative-reality on character's psychology level. In conclusion, the double plot of Yeom Sang Sub's Novel is structured by the self-hatred consciousness of narrative subject to form the basis of self-rationalization in telling about the ambiguous and contradictional narative-reality.

      • 애니메이션의 변신 플롯에 관한 연구 : <미녀와 야수>, <공주와 개구리>를 중심으로

        임연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구성에 있어서 변신 플롯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본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변신에 대한 선행연구의 재고찰과 변신 플롯의 극적 구조와 유형들을 이론화하고,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공주와 개구리>에서 변신 플롯이 어떻게 구조화 되어있는지 심화 분석한다. 21세기는 디지털 사회로 전환되면서 영상산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OSMU(One Source Multi Use) 마케팅에 적합하여 많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애니메이션이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애니메이션은 표현 영역이 넓고, 과장까지 할 수 있어 상상력을 보다 극대화하여 가상을 현실처럼 구현할 수 있다. 이런 특성에 의해 실재와 가상이 교차되는 이야기와 변신을 서술구조의 주요 요소로 사용한 애니메이션들이 수없이 제작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이야기로 구성된 시나리오이다.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는 실사 영화와 달리 작품 장르에 따라 표현이나 그 작법을 달리해야 하고 비약과 과장 그리고 애니메이션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흥행성과 관객의 몰입 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변신 플롯의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변신 플롯에 주목한다. 왜냐하면 변신과정을 통해 획일화되고 규격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서 의사소통의 단절로 소외되고 한계를 절감하는 현대인들의 새로운 자아가 되고 싶은 변신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감성을 자극하는 서사구조로 관객들의 정서를 최고조로 고양시킬 수 있다. 변신 플롯은 인간의 심리나 내적 변화를 주로 다루는 마음의 플롯으로 변신주체자인 프로타고니스트와 희생자인 안타고 니스트 이 두 주요인물의 갈등으로 인해 이야기가 전개되고 사랑에 의해 변신주체자의 저주가 풀리며 이야기가 해결 된다. 본 논문은 변신 플롯을 기본 구조로 삼고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공주와 개구리>의 작품 분석 결과 변신 플롯은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할 때 작품성과 흥행성 이 두 가지 요소를 강화시킬 수 있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상의 작품들에서 변신 플롯은 우선 인물의 심리와 내면을 주로 다루며 감성을 자극하여 관객들의 몰입 감을 높이고 있다. 또 클라이맥스의 변신장면에 의해 관객들의 정서를 최고조로 고양시키며 극적 즐거움을 극대화시킨다. 마지막으로 외모와 마음을 변화시키는 사랑의 위대함을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변신 플롯의 적극적인 활용이 애니메이션의 흥행성을 높이고 관객의 몰입 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플롯의 체계적인 분석에 도움이 될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변신 플롯 애니메이션의 활발한 제작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thesis is about analyses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 plot and its roles. So, there are review on precedents and theory of dramatical structures and styles in transformation plot, and how to structuralize transformation plot in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The princess and the frog>. As it is changing into the digital society in 21st century, visual entertainment is on the rise. Most of all, animations, which is proper to OSMU(One Source Multi Use) Marketing have received wide attention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because of a higher value added business. Animations, which are able to express freely, have wide forms of expression, and abilities to even exaggerate to realize fiction as reality by maximizing imagination. Like this, there are lots of animations which have mingled fiction and reality or have main structural narrative, transformation plot. Nowadays, the technology of cinema has been getting better by developing the technology of digital, above all things, it's needed to prepare scenario with creative ideas and stories. Animation scenario differs from actual image movie. So, it's supposed to be different ways to express or produce according to genres, and involve leaps of logic, exaggeration and facts of animation. It's inevitable to applicate transformation plot to create animation scenario which can get highly box office records and attraction to audiences. This study is focusing on transformation plot, because it may be a chance to make contemporary men meet another egos through transformation. They feel senses of alienation and limitation owing to communications gap in this society, which is unified and standardized. This makes audiences' sensibility reach their climax owing to narration structure, which can stimulate feelings. Transformation plot treats human mentality and its internal change. Therefore, two main characters : the protagonist who transform independently and the antagonist who is a victim, conflict each other and stories are developed, and then transformed character is released from curse by the power of love, finally it is solved to finish. This thesis has studied on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The princess and the frog>, which are appreciated cinematical quality and money making works in Disney animations. It shows that transformation plot has narration structures to reinforce two factors both cinematical quality and money making works. With these, transformation plot treats human mentality and its internal change, so stimulate feelings of audiences to absorb deeper. Also, It has audiences' sensibility reach their climax while they're watching at the scene of transformation. At last, it shows the great power of love which can change appearance and ment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a proposal of theoric background which can helps vitalizing use of transformation plot get a higher box office record, audiences absorb deeper and plots analysed systematically.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transformation plot animations to be appeared on the basis of this thesis.

      • 애니메이션의 구출플롯에 관한 연구 : 디즈니 애니메이션(몬스터주식회사, 니모를찾아서)을 중심으로

        이주영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6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구매력 증대 및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기대에 따른 소비의 고급화 등으로 인해 문화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나의 성공한 애니메이션들은 결국에는 One source Multiple use 로써 DVD/비디오, 게임, 음악, 캐릭터, 완구, 출판, CF 등의 다양한 산업을 창출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애니메이션 생산면에서 세계 제 3위의 애니메이션 제작 강국으로 급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술적으로는 급성장했지만 흥행과 완성도면에서는 헐리우드 애니메이션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그것은 애니메이션 영화의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와 영화의 아이디어다. 애니메이션을 흥행에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시나리오가 중요한데 애니메이션 시나리오는 실사 영화와 달리 작품 장르에 따라 표현이나 그 기법을 달리 해야하고 비약과 과장을 포함 할 수 있어야 한다. 배우 없이 캐릭터가 등장하지만 오히려 캐릭터의 갈등을 극명하게 표출시키는 동작이나 효과를 시각적으로 강렬하게 표현 할 수 있어 캐릭터 자체만으로 실사보다 더 과장되고 분명한 성격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관객의 몰입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시나리오의 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플롯이 사용되어져야 한다 훌륭한 플롯은 대립하는 세력과의 끊임없는 갈등이 이어지지만 주제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하며 최근 애니메이션 작품의 양상은 예전과 달리 내용전개가 빨라야 한다. 이러한 요소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것이 구출의 플롯이다. 현대인은 차분한 것 보다 강한 충격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애니메이션 시나리오의 구성은 동적이면서 빠른 전개를 갖는 구출 플롯의 사용이 용이하다. 구출 플롯은 행동의 플롯으로 프로타고니스트, 희생자, 안타고니스트의 세 등장인물의 역동성과 갈등에 달려 있다. 이렇듯 구출 플롯의 중요성은 최근의 현대인의 생활 패턴에 따라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디즈니 사에서도 애니메이션 기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스토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작품을 상영해왔는데 그 중 <몬스터 주식회사>와 <니모를 찾아서>는 3-4년의 스토리 제작 기간을 거친 비교적 최근의 작품이면서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인정받은 작품들로 구출 플롯을 기본틀로 삼은 작품이다. 이와같이 잘 쓰여진 구출 플롯은 시나리오 전체에 활력소로 작용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애니메이션에 몰입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을 조성해 주고 자연 애니메이션의 흥행과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애니메이션 영화 기술의 표방을 오히려 애니메이션 영화에서의 시나리오 부재의 인식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의 우려가 있었고 이에 애니메이션 표현 기술은 기본적으로 전제되는 조건에서 탄탄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열중하는 방향으로 애니메이션 영화의 제작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경쟁력을 갖추고 많은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를 주는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독창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야하고 기회력 및 장착력을 재고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cultural industry hsa been developed b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ique, increased purchasing power and gentrified consumption because of expectation on increased life quality. Finally One successful animation created numerous industries with one source multiple use, For example DVD/Viedo, game, music, character, toy, book and CF, etc. But Korean animation industry has many problem in spite of rapid growth for the 3th animation manufacture in the world. Aspect of techique, It accomplish rapid growth. But Aspect of box-office and completion, It is different from Hollywood animation. It means that development of animation technique is important, but story and idea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The scenario is important for success of animation. The animation scenario is different from cinema with technique and expression according to category of works. Though characters show up without actor, Animation express more exaggerated and evident personality with character itself than cinema. Because It strongly express that the motion and effect make trouble with character visual. Besides, Various plots must be used for scenario structure which made immersion of audience strengthen. The great plot has a continuous trouble with apponent group but it makes topic body out and newly animation production type has more rapid continuity of story than old times. Plot about escape guarantees such factors. The modern people expect strong shock than equanimity. And then plot on escape which has raid flowing story and motion, is useful with structure of animation scenario. The plot on escape is plot of body. It depends on trouble and activity with three characters who are antagonist, protagonist and victim. The importance of plot on escape is recognized according to life style of the modern people. The Disney company which knows importance of animation technique as well as one of animation story has produced many animations, <Monsters Inc.>, <Finding Nemo> are relative recent animation which were made story for about 3-4 years. It had a basic frame which had plot on escape and recognized both box-office power and characteristic movies. The great plot on escape helps scenario active and concentrates animation under a good condition, it is good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box-office power and completion. Many animation producers worried about absence of scenario due to ostentation on animation technique. we must set up a animation production with great scenario under the assumption that animation technique is basic. If we want to produce animation which gives hope and dream many people with competitive power, most of all, We will make a characteristic animation and improve a completion of animation with good projection and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