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가족>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인성 형성 과정

        김효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에서 이루어진 <가족>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바람직한 인성 형성 과정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정의 부모에게 프로젝트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궁긍적으로 유아들의 인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가족>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접, 활동 결과물, 연구자의 일지, 소감문 등을 통하여 유아의 인성 형성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자신이 특별한 존재임을 인식하여 소속감, 가치감,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향상됨으로써 자존감이 증진되었다. 둘째, <가족> 프로젝트 상징화 주기 활동을 통하여 책임의식을 가지게 됨으로써 책임감이 증진되었다. 셋째, <가족> 프로젝트 활동에서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우러남으로써 예절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고 예의바른 태도가 함양되었다. 넷째, <가족> 프로젝트 활동에서 부모의 소중함과 감사함을 표현함으로써 효도의 본질적 개념을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족>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들의 바람직한 인성 형성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 방안 연구

        강아라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중에서도 대학 입학 후의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에서의 어려움과 필요, 흥미를 고려한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는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 숙달도와 교양 및 전공 영역에 대한 기초 지식, 비판적 사고력 등이 요구된다. 특히 인문·사회계열 전공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팀으로 진행하는 과제의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학습 기술과 학습 태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국인 대학생 중에는 부족한 한국어 실력, 학습 기술에 대한 지식 부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 시판 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는 일부 교재를 제외하고는 팀 과제를 연습할 수 있는 활동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연습 및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수업과의 차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실제성 있는 문제를 탐구하고 스스로 성찰하는 과정 속에서 필요한 학습 능력 및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때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프로젝트 수업의 특성을 정리하고, 절차를 검토하여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또한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활용 가능성과 필요성, 흥미 등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학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되는 학습 기술 및 활동에 대한 난이도와 필요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 프로젝트 수업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의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높은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 원리를 마련하여 모형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프로젝트 수업은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활발히 논의되지 않았던 외국인 대학생에게 적합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학문 목적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학습 능력과 태도, 지식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프로젝트학습 이론을 적용한 마이스터고등학교 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김진미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논 문 요 약 프로젝트학습 이론을 적용한 마이스터고등학교 영어수업에 관한 연구 김 진 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조 재 형)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이를 마이스터고등학교 영어교과 수업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생들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수준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천과제를 두었다. 첫째,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을 토대로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파악하여 학습주제를 선정하고 내용을 재구성하여 개별형, 모둠형, 통합형 3가지 프로젝트 수업 유형을 구안한다. 둘째, 유형별 프로젝트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에 따른 교사와 학생의 역할 및 교수․학습절차를 제시한다. 셋째,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평가와 직업기초능력 자가진단 검사를 실시하여 전․후를 비교하고, 프로젝트 수업 후 학습자의 반응을 조사하는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실험집단이 인식하는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한다. 이러한 실천과제를 통해 연구자가 기대하는 결과와 관련,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프로젝트 학습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방식에 비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가설 Ⅱ, 프로젝트 학습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학습자 자기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가설 Ⅲ, 프로젝트를 유형화하여 접근하는 것은 각기 다른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마이스터고등학교 2학년 76명을 대상으로 7개월간 유형별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검사와 직업기초능력 자가진단 검사를 사전, 사후로 투입하고, 사후 학습자 설문분석, 교사의 관찰일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프로젝트 학습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방식에 비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라는 가설Ⅰ은 채택되었다.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8.216점 향상되었고 유의한(p< .001) 결과를 보여 주었다. 2. 가설 Ⅱ ‘프로젝트 학습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학습자 자기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직업기초능력 자가진단 사후평가결과에서 사전 실시한 결과점수보다 모든 항목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유의한(p< .001) 결과를 보여 주었다. 3. 가설 Ⅲ ‘프로젝트를 유형화하여 접근하는 것은 각기 다른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학습자 설문과 교사의 관찰 일지를 분석해 보았을 때 프로젝트 3가지 다른 유형은 각기 다른 기술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반응이 있었다. 개별형 프로젝트는 자기주도적 학습, 창의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고, 모둠형 프로젝트는 대인관계 및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신장, 통합형 프로젝트는 대인관계 및 협동심, 정보기술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신장 등 대부분의 사회적 기술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학습자들의 반응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은 교사와 학생이 절충하여 흥미 있는 주제를 선택하여 모든 학습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하여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는 학생 중심 수업이기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향상에 기여하고 유형별로 분류된 프로젝트 활동에서 주제에 대한 개인적 탐구, 공동의 과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직업기초능력의 세부요소인 사회적 기술에 있어 창의적 사고, 협동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같은 인지적 기술, 의사소통능력, 정보기술 활용능력과 같은 도구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 중학교 1학년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 개발 및 적용

        박성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정규 수학 수업 시간에 적용해 보고 개발된 자료가 수학과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2015)은 수학과의 핵심역량으로 문제해결력,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을 제시하며 구성의 주요 특징으로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 학습 과정 평가 강화,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들고 있다. 이러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는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설정한 개발의 기본 방향과 Thomas(2000)의 프로젝트 특징 다섯 가지 준거, 그리고 Intel Innovation in Education(2004)의 효과적인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을 바탕으로 7가지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 개발 준거를 설정하였다.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 개발 준거를 바탕으로 작성한 설문지와 학생 활동 자료, 면담 자료를 개발된 자료에 의한 수업이 수학과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검사도구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설문지는 Likert 척도에 의한 빈도와 백분율로, 학생 활동 자료와 면담 자료는 질적 사례 분석하여 설문지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Intel Innovation in Education(2004)에서 제시한 학습 목표 설정, 추진 질문 개발, 평가 도구 개발, 수업 설계의 4단계를 거쳐 설계하였다. 학습 목표 설정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의 학습 목표와 수학 교과의 핵심역량을 참고하여 프로젝트를 탐구하는 능력과 문제해결, 추론, 창의·융합, 정보처리를 인지적 영역의 목표로, 의사소통과 태도 및 실천을 정의적 영역의 목표로 하였고 이러한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프로젝트 주제를 ‘생활 주변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탐구 포스터 만들기’로 하였다. 추진 질문 개발 단계에서는 ‘실생활에서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로 설정하여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의 지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정리, 분석할 수 있고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가 어떠한 의미로 우리 실생활 속에 스며들어 사용되고 있는지 경험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목표를 기준으로 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프로젝트 활동 전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도구(자기 평가, 모둠 구성원 평가, 모둠 간 평가, 교사 평가)를 제작하였다. 마지막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고 이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7차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였다. 7차시의 프로젝트의 구성은 1차시는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와 모둠별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역할 분담, 2차시와 3차시는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내용 학습 및 프로젝트 활동 준비, 4차시는 자료 수집과 자료 정리, 5차시는 자료 분석과 모둠 토의를 통해 프로젝트 해석과 결과 도출, 6차시는 포스터 만들기, 7차시는 발표 및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수업에 필요한 프로젝트 안내문과 활동지, 교수·학습 지도안도 함께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도움을 주었다. 이렇게 개발된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가 수학과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강원도 소재의 S중학교의 1학년 1반 22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주간 7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후에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모둠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반성적 질문 위주의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 자료가 수학과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 집중력에 도움이 되며 친밀감이 높지 않은 동료와의 모둠 형성이 새로운 교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모둠 활동에 더욱 책임감 있는 행동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프로젝트 수업을 적절한 연계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할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교육의 주체로 학생이 중심이 되고 학습 과정을 중시하며 교육의 전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이 하루 빨리 정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개발된 프로젝트 수업 자료에 의한 수업은 핵심역량 함양에 긍정적이 효과가 있다. 셋째, 개발된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은 실생활과 관련되고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주제로 학생들의 호기심과 동기를 효과적으로 유발한다. 넷째, 개발된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 수업으로 탐구학습, 협동학습, 토론학습, 발표학습, 교사 및 동료의 피드백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가능한 수업이다. 다섯째, 개발된 기하 팀 프로젝트 수업은 프로젝트의 모든 과정을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교사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산출물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평가에 반영함으로써 과정을 중시하는 수업이다. 교실에서 수업과 학습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학습의 주체인 학생에게 달려있다. 학생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나와 다른 의견을 지닌 모둠 구성원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의견을 좁혀나가며 공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해결책을 찾고 산출물을 만들어 모두에게 발표하는 프로젝트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학습의 주체가 되며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들을 키워나갈 수 있고 자신이 다룬 실생활 문제를 수학적으로 사고하여 답을 찾고 다시 실생활 문제의 답으로 환원하는 과정을 통해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 그리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낄 것이다.

      • 자원제약을 고려한 프로젝트 일정계획에서 활동의 품질과 기간 및 비용 간 트레이드오프 문제 : 선택 가능한 모드가 복수인 경우

        김갑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943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하려면, 잘 계획된 프로젝트 일정을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잘 계획된 프로젝트 일정일지라도 내부 및 외부의 환경에 의해 활동의 기간과 비용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전체 프로젝트의 기간과 비용에도 영향이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일정문제에 품질을 활동에 포함한다면, 보다 현실적인 일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일정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 기간과 비용의 트레이드오프 문제는 자원의 제약식정도로 반영되었고, 품질은 반영되지 않거나 일정한 수준으로만 반영되었다. 따라서 선행활동의 품질이 후행활동의 기간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제약을 고려한 프로젝트 일정문제에서 선행활동의 품질이 후행활동의 기간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는 프로젝트 일정문제에서 활동들이 지닌 속성이나 제약조건을 반영한 품질과 기간 및 비용 간의 트레이드오프 문제이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일정문제에서 제시된 모형을 가상으로 적용하기 위해 문제를 수리적으로 모델링하였고, 프로젝트 일정계획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한 후 코드화 하였다. 또한, 연산시간에 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해 열등해의 품질을 상한으로 적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과 휴리스틱 알고리즘에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휴리스틱 알고리즘은 이웃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최적화 알고리즘의 탐색시간은 활동의 크기에 따라 연산시간이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휴리스틱 알고리즘에서 제시된 해와 최적해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활동의 수가 증가되면서 오차의 범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리스틱 알고리즘 간의 비교에서 알고리즘 모델을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하느냐에 따라 제시하는 목적함수 값이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따라 제시하는 목적함수 값이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원제약을 고려한 프로젝트 일정문제에서 활동에 대한 품질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현실적인 프로젝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학적 수식과 최적화 알고리즘, 휴리스틱 알고리즘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프로젝트 일정문제에서 다루지 않았던 선행활동의 품질이 후행활동의 기간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다루었다는 것이 연구적 의의라 하겠다. To successfully complete a project, the company carried out well planned project scheduling. The quality of time and cost for activities in the project network may change, even with the same time and cost invested, due to the internal or external environment, and this affected the time and cost of succeeding activities. There are yet to be any studies that consider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quality of such preceding activities affects the time and cost of oneself and succeeding activities, so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blem of quality, time, and cost tradeoffs in terms of the problem of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time, cost, and starting time of succeeding activities by applying quality to activities that form projects. The time and cost of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selected mode and quality, and time and cost of succeed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the quality of preceding activities. Simply put, the time and cost of succeeding activities were not independent from the quality of preceding activities, with quality existing as a medium. This was an problem of quality tradeoffs which reflect the properties or restrictions of the activities, along with the problem of project scheduling. It involved supporting decision making in regards to project execution by reflecting objects values with cost minimization into the project. Results of the optimum algorithm search time revealed that operating time grea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ctivity. Also, the reliability between heuristic algorithms is the result of how much it differs compared to the optimum solution, and the range of error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activity number. Simply put, depending on what model and how that model was designed by heuristic algorithms, this implied that the reliability with the optimum solution could change.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that supports a more realistic project decision making by applying quality to the existing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in the fact that it deals with how the quality of preceding activities, which were not dealt with in the existing project scheduling problem, affects the time and cost of oneself and succeeding activities.

      •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의 심리적 영향

        정희원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평창올림픽 대비를 목표로 운영한 프로젝트대표팀의 선수를 대상으로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의 특성과 심리적 영향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평창올림픽팀에 발탁된 스피드스케이팅선수 4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범주화한 내용을 바탕으로 반구조화 인터뷰 질문을 제작하여 개방형 설문에 참여하였던 연구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연역적으로 전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은 팀성격, 팀구조, 심리적 경험, 경기력 변화에서 특성을 가진다. 팀성격은 훈련 환경, 훈련 수준, 훈련 분위기, 지도자 관심의 측면에서 특수성이 나타났으며, 팀구조는 선수 구조, 팀 운영, 팀 인식, 팀워크 측면에서 특수성이 나타났다. 심리적 경험은 선수자존감, 훈련몰입, 심리적 부담의 측면에서 특수성을 경험하였고, 경기력 변화는 경기력 향상, 경험 확장의 특수성을 동반하였다. 둘째,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은 긍정적,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심리적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영향은 경기력 향상, 동기유발, 심리적 도약, 심리적 안정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영향은 부정적 환경인식, 소속감 약화, 심리적 압박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에서 경기력 향상은 훈련 환경, 경기력 향상인식, 경기경험 축적, 상대분석능력, 경기력 보완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동기유발은 외적보상, 훈련태도 변화, 경쟁심, 동기부여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심리적 도약은 자부심, 자신감, 집중력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심리적 안정은 가능성 발견, 유능감, 여유, 의지 강화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부정적 영향에서 부정적 환경인식은 훈련 불만, 외적보상 불만, 지도력 불만, 환경 불만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소속감 약화는 내부 경쟁의식, 팀 부적응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고, 심리적 압박은 부담감, 불확실한 미래, 자신감 저하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은 팀성격, 팀구조, 심리적 경험, 경기력 변화의 특성을 갖고, 선수에게 경기력 향상, 동기부여, 심리적 도약, 심리적 안정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환경인식, 소속감 약화, 심리적 압박의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선수들이 인식하는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의 특성을 탐색 및 구체화하고,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심리적 영향을 긍정적, 부정적으로 나누어 도출하고 구체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대표팀 발탁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더불어 프로젝트팀 운영의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arching for the features and psychological effects from experience of the selected athlete to a project team that was in preparation for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 The resources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a open-ended survey targeting 43 speed skaters who had been selected to the project team and those contents were categorized with inductive analysis. The in-depth interviews whose semi-structured inquiries were made up with the categorized contents were conducted for the 5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urvey. The result data from the the in-depth interviews was analyzed in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organized in deductive method. The specific substance of produced research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exprience of selection to the project team has characteristics of the team trait, team structur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chang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team trait features environment for training, level of training, atmosphere of training, and attention from coaches. The team structure is shown as team member, management of team, recognition of team, and teamwork.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has peculiarities of self-esteem of athlete, immersion in training, and psychological pressure. In addition, the change of athletic performance is shown as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and expanded experience. Second, the experience of selection to the project team psychologically has an effect on positive and negative ways. The positive effect is shown as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motivation, psychological advance, and ment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ffect is shown as negative recognition of environment, reduction in a sence of belonging, and psychological pressure. In the positive impact of the experience above, the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is specifically classified as a circumstance of training, recognition of improved performance in competitions, accumulation of experience of contests, analysis ability for competitors, and supplement for performance. The motivation is sorted into extrinsic reward, change of attitude to training, competitive spirit, and creation of motive.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advance is classified as self-esteem, confidence, and concentration in detail. The mental stability is sorted into detection of possibilities, competence, composure, and reinforcement of will. In the negative impact of the experienc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environment is classified as dissatisfaction with training, dissatisfaction with extrinsic reward, dissatisfaction with leadership of coaches, and dissatisfaction with environment. The reduction in a sence of belonging is sorted into competitive spirit of interior and maladjustment to teams.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pressure is classified as pressure of performance, uncertain future, and reduction in confidence. In the last analysis, the experience of selection to the project team features team trait, team structur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chang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s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motivation, psychological advance, and ment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negatively affect negative recognition of environment, reduction in a sence of belonging, and psychological pressure as well.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spec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of selection to the project team that athlete recognizes, draw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from the experience in parts of positive and negative ways.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you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election to project teams in depth, utilized as a base resource for the management of project teams.

      • 대형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에서 위험인식과 기회주의 행동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창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All activities in a construction project involve various risks that must be managed in order to control the project. Risks can negatively affect the success of a project by reduc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which in turn can lead to project failure due to cost and time overruns and poor quality. In addition, opportunism occurs in all activities of companies, especially in construction projects. Opportunism is an activity that seeks the interests of the other party at the expense of the other party, such as quality degradation and information distortion, and can hinder project performance. An important cause of opportunism in construction projects is perceived risk. A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is a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 that has a long business period, requires huge budgets and resources, involves various stakeholders and the processes of each field are closely interconnected. So it is very likely to occur risk factors and opportunism due to human factors and contractual problems in the project. In order to prevent this possibility, cooper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opportunistic behavior on project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operation in this relationship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large-scale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participant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risk perception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pportunistic behavior, and it was confirmed that opportunistic behavior among participating companies could occur even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Second, it has been proven that risk percep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portunistic behavior and projec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opportunistic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Fourth, coopera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isk and project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operation, the less negative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when risk factors occur. As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cooperation in risk perception and opportunistic behavior situations was confirmed, and second, effort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risk factors and opportunistic behavior were recogniz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effective cooperation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Lastly, this study is a case of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workers, and provided a basis for reference in future related academic research and project implementation. 건설 프로젝트의 모든 활동에는 프로젝트를 통제하기 위해 관리해야 하는 다양한 위험이 수반된다. 위험은 프로젝트의 성능을 저하시켜 프로젝트의 성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용과 시간이 초과되고 품질이 저하되어 프로젝트가 실패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모든 활동에는 기회주의가 발생하며 특히, 건설 프로젝트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기회주의는 품질저하, 정보왜곡 같은 상대방을 희생시켜 당사자의 이익을 추구하는 활동으로 프로젝트 성과를 저해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기회주의가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은 인지한 위험 때문이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사업기간이 길고, 막대한 예산과 자원이 투입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대형건설 프로젝트로, 각 분야별 공정이 밀접하게 상호 연계되어 인적요인과 계약적 문제로 인한 위험요인과 기회주의 행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참여 조직들 간 협력이 프로젝트의 성공의 필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대형 원전건설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문헌고찰을 통하여 위험인식과 기회주의 행동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협력의 조절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번 연구는 원전건설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인식은 기회주의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원전건설 프로젝트에서도 참여사간 기회주의 행동이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위험인식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기회주의 행동과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에서 기회주의 행동은 프로젝트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과위험과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에서 협력은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협력이 높은 조직일수록 위험요인이 발생해도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첫째, 위험인식과 기회주의 행동상황에서 협력의 조절적 영향을 확인했고, 두 번째로 위험요인과 기회주의 행동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셋째,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협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원전건설 프로젝트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사례로 향후 관련 학술연구와 프로젝트 수행시 참고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 바다체험 프로젝트학습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변화 : 충청남도 도서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나계화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시기에 학습하는 방법과 스스로 학습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심어 주기 위하여 바다체험 프로젝트 학습활동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도서지역 초등학생들에게 바다체험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체험프로젝트 학습 실시하기 전 후 실험집단의 자기주도적학습력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자기 주도적 학습력에 차이가 있는가? 2-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솔선수범에 차이가 있는가? 2-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책임감에 차이가 있는가? 2-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습열성에 차이가 있는가? 2-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미래지향적 자기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2-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2-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기평가력에 차이가 있는가? 2-7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개방성에 차이가 있는가? 2-8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청남도 D시 도서지역의 두 초등학교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바다체험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하였다. 도서지역 초등학생을 선택한 이유는 그들의 학습환경이 외부로부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능력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실험집단에게는 자기주도적학습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체험프로젝트 학습을, 통제집단에게는 교사 주도하의 일반수업을, 2007년 3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주 2-3시간씩 18주에 걸쳐 40시간 실시하였다. 자기주도적학습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Gu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 보고 형식의 자기주도적학습력 질문지를 이동조(1999)가 초등학생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기주도적학습력 검사는 총 48문항으로 하위영역인 솔선수범, 책임감, 학습열성,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평가력, 개방성, 자아개념으로 구성되었다. 바다체험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하기 전과 후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따른 실험집단의 변화를 알아보고 체험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t검증을 실시하고 교사의 면담, 참여관찰, 학생일기, 학습일지 등을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에서는 솔선수범, 책임감, 학습열성,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평가력, 개방성, 자아개념, 하위요소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하위요소인 솔선수범, 책임감, 학습열성,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평가력, 개방성, 자아개념에 고루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바다체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능동적,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개별 또는 공동 사고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기르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길러진다. 둘째, 바다체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력, 발표력 등이 많이 신장되었다.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던 학생이 바다체험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자발적 참여와 능동적 활동을 하게 되어 학습활동에 몰입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이 서로 토의를 하면서 학습과제를 해결하여 공동사회를 경험하고 소속감과 협동심이 길러지게 된다. 교사 자신도 바다체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의 세계를 더욱 이해하게 되었고 바다체험 프로젝트 주제에 따른 다양한 학습방법을 터득하고 학습자 주도의 학습으로 운영하게 되여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자질을 증진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바다체험프로젝트 학습이 도서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기르는데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연구결과를 다양한 주제로 확장·적용하여 다양한 교과와 특별활동에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웃’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의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변화

        김계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know that if there are any positive changes of a second grade student through applying ‘neighbor project’. For this project, we observed 30 peoples in S elementary school, Grade 2nd Class A. The researcher objected quietly inside of classroom. They analyzed the class log, video recording of the class process, survey, and interview log. The ‘Neighbor’ project was outlined by the project theory of Katz and Chard’s knowledge, skill, disposition and feeling change. In ‘Neighbor’ Project, it analyzed the linguistic, society, music, environment, and etiquette. In the first process we analyzed the basics of ‘neighbor’ and made the question lists. The subtitle of this project is ‘neighborhood’, ‘with neighbor’, ‘Our clean town’. At the closure, we exhibit the result of the whole projec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changes which the student had in knowledge, skill, disposition and feeling. First, students can learn knowledge through the projected curriculum. They could brainstorm knowledge through, talking with elders, internet search and read the topic-related books. And above all they gained knowledge which they never had before via project exhibition naturally. Second, the student has increased their power in how to express or present their opinion. Before the project they were shy in expressing and didn’t know what to do but after the project their knowledge of presenting themselves has increased highly. Third, the students showed they want to challenge another new project after this one. Those who participated the interview said they feel interviewing is hard but want to do again later. And above all, they found the motives while watching their other friends presenting. Fourth, students has received tons of achievement feelings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themselves. They earned confidence too. Normally students get a lot of help from their surroundings but they just didn’t realized it. But with this project of trying to get their neighbor better in very different ways they found the gratitude to their neighbor.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이웃’ 프로젝트 학습을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봄으로써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며,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2학년 A반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이웃‘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학습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이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교실이라는 유의미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참여 관찰을 하였다. 관찰 내용과 면담 기록, 서술적 설문조사, 수업의 과정을 녹화한 동영상 자료, 수업일지와, 학습일지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웃’ 학습의 분석 틀은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학습 목표를 참고하여 ‘이웃’ 프로젝트 학습 내용에 맞게 지식, 기술, 성향, 감정의 변화를 분석준거로 하였다. ‘이웃’ 프로젝트 학습 준비 단계에서는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학습 내용 영역을 언어, 사회, 예절, 음악, 무용,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시작 단계에서는 ‘이웃’에 대해 알고 싶은 사항을 중심으로 주제망을 만들고 이에 따른 질문 목록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소주제를 ‘이웃사촌’, ‘이웃과 함께’, ‘깨끗한 우리 마을’로 나누어 활동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전 과정을 통해 얻은 학습 결과물을 전시하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크고 작은 변화들을 지식, 기술, 성향, 감정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된 책을 읽거나, 어른들과의 대화, 인터넷 검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과제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 및 모둠 학습 결과 보고서나 작품 발표 전시회를 통해 보고, 듣고, 상호평가 하면서 그동안 알지 못했던 지식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과 표현 기술이 향상되었다.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하기 전에는 표현 기술이 소극적이고 미숙하였으나, 이웃 알기 프로젝트 학습 후에는 의사소통 기술과 표현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서로 협동하는 과정에서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학습활동을 하면서 다른 친구들의 발표하는 모습을 보고 후속 학습에 대한 도전의식과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인터뷰를 하는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힘들었지만 다음에 또 하고 싶다고 반응하였고, 학습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던 학생들은 자신도 학습에 참여해 보고 싶다는 적극성을 보여 주었다. 넷째,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아이디어가 교사와 모둠 친구들에게 인정받고 수용되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평소 주변 이웃 사람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면서도 그 사실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있었으나, 이웃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하는 여러 과정을 통하여 이웃에게 고마운 마음을 갖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