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정서지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빛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타당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인가? 둘째, 정서지능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을 높여주는가? 셋째, 정서지능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수 점수의 변화는 비교집단,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프로그램 참여자는 충청북도 A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1차 참여자와 2차 참여자로 나누어 모집하였다. 1차 참여자 총 42명의 학생을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2차 참여자 총 36명의 학생을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무선 배치하였으나, 프로그램 실시 기간 중 2차 실험 집단원 중 1명이 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중도 탈락하게 되어 최종 실험집단은 11명이 되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변창진(1994), 박인우(1995), Sussman(2001)의 모형을 참조하여 김창대(2002)가 개발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총 10회기를 구안하였으며, 2~3일의 집중과정으로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검사 도구는 문용린(1996)이 개발한 성인용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2.0에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추수 검사의 정서지능 점수의 변화는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추수 검사에서 정서지능 점수의 변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의 향상된 정서지능은 추수검사까지 효과가 유지되었다. 넷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본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서지능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를 대학상담센터 등 상담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사전․사후․추수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지역사회가 다른 모든 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반복연구를 통해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전․사후․추수 검사에 따른 정서지능의 변화를 정서지능 척도 점수로 측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자신이 느끼는 정서지능을 간과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신이 느끼는 정서지능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는 질적인 질문지도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구조사의 반영으로 감정이입 영역을 회기 안에서 다루지 못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감정이입을 다룰 수 있는 활동을 추가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 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무인도를 이용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사례

        정세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maximiz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 which people need to conserve the environment and improve necessary knowledge, capability, attitude and value, the educational program must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special place as background to proceed. This program was to make participants to make decision what question they explore, how they investigate, and what they have learned. In order to draw critical mind, it looks into program characteristic and training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ll of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eps. The first phase was to develop the program. The second phase was to implement the program. The third phase wa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 from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The first phase, the overall plan for the program was progressed. Through th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field. and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ramework was designed to modify. The second phas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field. Explor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nd direct observation, the data (photos, video recording, questionnaire, interview instructors) were collected. The third phase, th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eatures of the program and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how much the program was well developed with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were as follows. Seven different content which covered the area of animals, plants, atmosphere, Marin 1, Marine 2, Astronomical and Geological were analyzed by the analyzing frame of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al objectives. One of the goals in Action & Participation: P, which was the direct experience of the target, was 55 % of the total counted objectives frequencies and it was the highest in the entire. Chapter 7 ‘In solving water shortage, Desalination' behavior and the challenges are high compared to other targets. One of the targets from Motivation: M, which is aiming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utilizing on the surrounded field, is highest in 56%. Chapter 2 ‘Land animals’ and ‘Coastal invertebrates’, Chapter 3 ‘In looking at the uninhabited summer constellations’, Chapter 4 ‘Geological Survey of uninhabited’ Chapter 5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elements uninhabited’ are higher compared to the others.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results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oal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formation & Knowledge, Awareness: K) of the program on the topic of the lecture was delivered sufficient knowledge about yourself. think that question. 96% of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action. 96% of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for the Function (Skill: S)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Value & Attitude: A) the question (specifically: books and place). Collection is the result of the instructor's interview.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an uninhabited island of the uniqueness of the presentation is to motivate. Students in Desert Island is providing for all things through direct contact and experience in the field emphasized. In addition, the interior of uninhabited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itself can be present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ble to mak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 with uninhabited island in order to run a successfu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are required. Second, the successful activities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eople must be trained in pre-workshop. Third, with uninhabited island for the suc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on uninhabited island a strengthening awareness should be changed. Thus, for the future research it needs more accessible to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 to provide a variety of thematic development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Presenting topics that complement the lack of inform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And nature preserves to find an uninhabited island in the value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a meaningful one. 본 연구는 환경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국가 간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국민이 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지식․기능․태도․가치관의 환경교육의 목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특정한 장소를 배경으로 답사형식의 탐사활동이 아닌 “무엇을 탐사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참가자에게 숙고하도록 하며, 문제의식을 토출해내기 위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특징과 교육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1단계 프로그램 개발 단계, 2단계 적용단계, 3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의 3단계로 진행 하였으며 1단계에서는 주로 프로그램 운영의 전반적인 사항을 계획 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장에 초점을 맞춰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수정·보완하여 분석틀을 설계하였다. 2단계 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주제별 과제의 내용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본 프로그램의 특징, 적용 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직접 참관하고, 사진·비디오 촬영, 설문지, 강사의 인터뷰를 수집하였다. 3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코드화된 분석틀에 코딩작업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특징, 적용 후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7개의 주제, 동·식물, 대기, 해양1,해양2, 천문, 지질의 내용을 개별적인 분석의 결과, 행동 및 참여(Action & Participation : P)의 목표 중 직접적인 체험제공의 목표가 전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7 물 부족 해결 해수 담수화의 과제가 행동 및 참여의 목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기부여(Motivation : M)의 목표중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제시의 목표가 전체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제 2 육상동물 및 해안무척추동물, 과제3 무인도에서 바라보는 여름철 별자리, 과제 4 무인도의 지질조사, 과제5 무인도의 기상요소 분석의 주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과 강사의 교육 효과로는 환경교육의 목표에 대한 설문 결과 정보 및 지식의 목표(Information & Knowledge, Awareness : K)의 주제별 강의를 통하여 충분한 지식 전달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질문에 96%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기능(Skill : S)과 가치 및 태도(Value & Attitude : A)를 묻는 교재와 장소의 적절성을 묻는 대답에 각각 96%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강사의 인터뷰를 통한 본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로는 충분히 무인도가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제시를 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접촉제공을 통하여 현장에서의 체험을 강조하며 환경 관련 자료 수집 및 해석 능력을 함양하고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인도생태탐사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결론과 제언을 내릴 수 있다. 첫 번째 무인도를 이용한 성공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적용의 전후에 있어서 사전교육 및 사후교육이 보강되어야 하며 두 번째, 성공적인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기획하는 사람과 강의 내용을 개발하는 사람, 그리고 운영하는 사람들의 전체적인 워크숍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세 번째 무인도를 이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인도에 대한 인식부터 강화되고 변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는 환경교육의 목표에 더욱 접근하기 위하여 다양한 과제를 제시하고 주제별 내용의 통합적인 개발 틀을 제시하여 주제별 내용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인도와 같은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자연 그대로 보존이 되어 환경교육으로 가치가 있는 다양한 장소들을 찾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에 따른 PPL 효과 측정 : 침입성과 설득지식모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희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오늘날 급격한 매체 환경의 변화로 기존의 4대 매체(TV, 라디오, 신문, 잡지)를 통한 전통적인 형태의 광고들이 그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 4대 매체가 누려왔던 시장에서의 우월성이 약화되고 있는 반면, 케이블 TV, 온라인, DMB, IPTV 등의 뉴미디어 광고비는 끊임없이 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용자들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긍정적 역할을 수행했던 직접광고가 노출의 증가에 따른 광고 혼잡도와 시청자의 광고 회피 현상 등에 의해 그 역할이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4대 매체를 통한 전통적 방법의 광고 만으로도 충분히 수용자에게 접근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급격한 매체 환경의 변화로 광고시간동안 채널을 바꾸는 재핑(zapping)을 통한 수용자의 선택적 회피와 광고혼잡도로 광고 상표나 광고 메시지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콘텐츠 안에 브랜드 혹은 제품을 삽입함으로써 상업적인 의도를 최대한 감추고,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면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할 수 있는 PPL(Product Placement)이 등장하였다. PPL이란 TV, 영화, 라디오 등에서 다양한 매체의 성격에 맞게 조절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프로그램 안에 브랜드 로고, 특정제품 등을 배치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의 인지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광고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광고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PPL은 전형적인 광고의 형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수용자들로 하여금 거부감 없이 제품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큰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와 PPL 효과(PPL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연결시켜 보고자 하였다. 또한 침입성과 설득지식을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와 PPL 효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조절 변인으로 가정하여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가 높을 수록 PPL 효과가 더 높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특히, 여기서 침입성과 설득지식이 조절적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2(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 고 vs. 저) X 2(침입성 : 고 X 저)와 2(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 고 vs. 저) X 2(설득지식 : 고 X 저) 집단 간 요인 설계를 구성하였으며, 수도권 거주 20대-40대 표본 23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높을 때, PPL 효과(PPL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아질수록 PPL 효과(PPL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높으면 침입성에 대한 지각이 낮아져 PPL 효과가 높에 나타났지만,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아지면, 지각하는 침입성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체로 PPL 효과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설득지식이 높을 때 PPL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프로그램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아질수록 설득지식 효과도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PPL 효과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득지식 수준과 침입성 수준을 조절변수로 하여 PPL 효과와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 연구

        권진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 g ram (KIIP)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s Korea society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s are provided by each ministry. Among the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Ministry of Justice's KIIP are provided by native speak Korean-speaking teacher to learners who do not speak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uch as nationality, purpose of stay, study purpose, gender, and age. At this point, in order for leaners to quickly adapt and become independent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rough successfu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ol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hav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s important, but the studies have been in insufficient. Here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o move in the correct direction by measur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intercultural sensibi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 I IP based is sugges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utilize the statistical strengths, an online questionnaire w as conducted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IIP to measure their background,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intercultu ral sensitivity, and a final survey of 113 teacher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alysis of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alculated by IBM SPSS 25 program. Here are results. First,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K IIP w as 4.09 out of 5 on average. By sub-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competency of respect w 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flict management,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Second,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overall intercultural competence increased as the number of foreign languages that they can communicate other than Korean increased. Third,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IIP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n conclusion, it w as confirmed that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KIIP can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through teacher education centered o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 teacher's own voluntary and long-term development. As a follow-up study, it w as suggests that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working on various educational fields, such as the KIIP Korean social understanding teacher and the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is necessary. 본 연구는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을 진단하고 상호문화역량 증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행되면서 각 정부 부처별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육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습자들, 즉 출신 국적과 국내 체류 목적, 학습 목적, 성별, 연령 등이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과 한국어가 모국어인 한국인 교사가 한 교실 내에서 교육을 진행한다. 이때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성공적인 한국어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우리 사회 구성원으로 빠르게 적응하고 자립하기 위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호문화역량을 갖춘 한국어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이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상호문화를 바탕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과 상호문화 감수성을 측정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 증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다문화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인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사의 배경 특성, 상호문화역량과 상호문화 감수성 측정을 위해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최종 113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정,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은 5점 만점에 전체평균 4.09로 나타났다. 상호문화역량 하위 구성 요소 중에서 존중 역량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갈등관리, 성찰, 의사소통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배경 변인 중에서 한국어 이외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외국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상호문화역량이 높아졌다. 셋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 상호문화 감수성은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은 상호문화 감수성을 중심으로 하는 교사 교육과 교사 스스로의 자발적이고 장기적인 계발을 통해 상호문화역량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이해 교사와 대학 부설 언어교육기관 등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어교사의 상호문화역량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흡연 남자 중학생을 위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지영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smoking behavior of middle-school boy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2008 to September, 2008.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1 (5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 posttest2 (21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15 students.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twice only during the first week), one hour per session for five weeks. Data was measured 3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5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21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by SPSS WIN 14.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number, percentage,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1.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moking Self-efficacy' was supported(F=13.37, P= .000). 1-2.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moking Profit' was rejected(F=2.60, P= .135). 1-3.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moking Loss' was supported(F=16.24, P= .000). 2-1.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nicotine dependence' was supported(F=20.40, P= .000). 2-2.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behavioral change of smoking' was supported(F=19.89, P= .000). 3-1.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Urine Nicotine Level' was supported(F=22.49, P= .000). 3-2.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Respiration CO Level' was supported(F=22.48, P= .000).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stopping the schoolboys' smoking behavior and this cessation was maintained continually. So I hope that smoking teenagers can positively use this program to stop smoking. 흡연은 국내·외적으로 큰 질병부담을 안겨 줄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공중보건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 남자의 흡연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오히려 남자 청소년의 흡연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흡연 청소년의 금연행동변화를 스스로의 의지와 힘으로 실천하도록 자기조절 금연프로그램의 실시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을 통해 흡연 남자 중학생의 흡연관련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실험 전, 실험 5주 후, 실험 21주 후로 진행된 단일군 시계열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D중학교에서 재학중인 흡연 남학생 15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7월 9일부터 동년 12월 2일까지 이었다. 연구도구로 실험도구는 이영자(2004)가 개발한 5&6금연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을, 측정도구로는 신성례(1999)가 개발한 흡연자기조절효능감 도구를, Velicer, DiClement ,Prochaska, Brandenburg(1985)이 개발한 흡연의사결정균형을 김수진(199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Fagerstrom(1978)가 개발한 니코틴의존도는 보건소금연클리닉에서 수정보완한 도구를, DiClemente, Prochaska, Fairchrst, Velasquez, Rossi(1991) 개발한 단축형 금연행위변화단계를 임은선(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소변코티닌은 Smokescreen Colorimeter로, 호기일산화탄소는 MicroⅢ Smokerlyzer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제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가설검증은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사후검정은 LSD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제 1가설 : ‘대상자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이하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전후의 시기별로 인지적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1-1, 1-2, 1-3가설). 1-1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전후의 시기별로 흡연자기조절효능감 정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 10.73±3.47, 실험 5주후 ; 15.93±2.21, 실험 21주 후 ; 14.86±2.61점으로 시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1-1 가설은 지지되었다(F=13.37, P= .000). 1-2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전후의 시기별 흡연이익의사결정균형 정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 20.80±3.76, 실험 5주 후 ; 18.13±3.29, 실험 21주 후; 19.46±3.11점으로 시 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제 1-2 가설은 기각되었다(F=2.60, P= .135). 1-3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전후의 시기별 흡연손실의사결정균형 정도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18.80±3.50, 실험 5주 후 ; 23.53±3.13, 실험 21주 후; 21.13±1.72점으로 시기 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1-3 가설은 지지되었다(F=16.24, P= .000). 제 2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 참여전후의 시기별로 행위적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2-1, 2-2가설). 2-1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전후의 시기별 니코틴의존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3.60±1.72, 실험 5주 후 ;0.80±0.86, 실험 21주 후 ; 1,53±1.68점으로 시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2-1 가설은 지지되었다(F=20.40, P= .000). 2-2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 전후의 시기별 금연행위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1.40±0.63, 실험 5주 후 ;2.93±0.701, 실험 21주 후 ; 2.73±0.70점으로 시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2-2 가설은 지지되었다(F=19.89, P= .000). 제 3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 참여전후의 시기별로 생리적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3-1, 3-2가설). 3-1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 전후의 시기별 소변코티닌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 1.44±1.60, 실험 5주 후 ;0.26±0.24, 실험 21주 후 ; 0.40±0.22점으로 시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3-1 가설은 지지되었다(F=22.49, P= .000). 3-2 가설 : ‘대상자는 금연프로그램에 참여 전후의 시기별 호기일산화탄소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전 ; 7.02±3.16, 실험 5주 후 ; 1.66±1.11, 실험 21주 후 ; 4.46±2.5점으로 시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제 3-2 가설은 지지되었다(F=22.48, P= .000). 따라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 프로그램은 흡연 남자 중학생의 흡연행동을 금연행동으로 변화, 지속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이용한 금연프로그램을 흡연 청소년에게 금연효과를 달성하도록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기대한다.

      •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동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ner child and non-violence communication to the parent effica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or parents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150 parent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on 3 middle or high school in A city (Experimental group=76. Control group=74).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ner child and non-violence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program after the experiment.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th and December 30th, 2013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two times: prior to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χ2-test, paired t-test, and t-test using SPSS/IBM PC+ program.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parent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 efficacy (t=1.815, p<0.05), close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adolescent (t=2.707,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ner child and non-violence communication for parents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parent effica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with larger and varied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Key words: Parent education program, parent efficac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A시 소재 3곳의 중고등학교 학부모 중 교육에 참여를 희망하는 실험집단 76명과 통제집단 74명으로, 2013년 10월 2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회에 90분씩 총 6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 특성 및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모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사전-사후 검사와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동질성이 확인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에 따라 부모효능감과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효능감 총점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후 평균값은 3.39점이었고, 통제집단은 3.23점으로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의 부모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하부요인인 개방적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의 사후 평균값은 3.56(점이었고, 통제집단은 3.49점으로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폐쇄적 의사소통은 실험집단의 경우 2.28점인데 비해. 통제집단의 경우 2.50점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이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폐쇄적 의사소통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향후 가족 내 심각한 갈등이나 정서·행동 문제를 지닌 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 볼 것을 기대한다.

      • 노인급식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경기도내 무료경로식당을 중심으로

        정명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경기도 관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무료경로식당을 대상으로 하여 시설현황과 프로그램의 실태를 살펴보고 특히 무료경로식당을 담당하고 있는 운영주체에 따라, 전문전담인력, 자원봉사자의 활용정도, 프로그램의 수와 평균이용자의 수 등이 서로 상관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 4월 27일에서 7월 20일까지 경기도내 무료 경로식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9.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물리적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 40평 이하의 협소한 공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료경로식당의 1/ 3 정도가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무료경로식당의 설립은 종교와 관계 있는 시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의 재정상태를 보면 전체 시설의 80%(54기관)가 운영비의 80%를 외부 지원금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의 현황을 살펴보면 남자 노인보다 여자 노인이 더 많이 이용하며 일일 이용자 수는 평균 100명에서 150명을 수용하는 시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급식횟수는 대부분 주5회 실시하고 있으며, 식품구입은 지정업체 이용과 시장에서의 직접구입이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경로식당을 도와주는 자원봉사자의 수는 시설 운영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봉사자들의 종교적인 배경이 자원봉사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관이나 노인복지관 등에서 운영하는 경로식당들이 노인들에게 급식이외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경로식당 프로그램의 개발은 전문사회복지사와 자원봉사자들을 확보하여 이용노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료경로식당의 시설은 식사를 하는 공간으로만 한정하여 사용하기보다는 다양한 노인복지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전문유급인력을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무료경로식당의 최소인력은 프로그램관리와 자원봉사프로그램을 운영할 노인복지전공 사회복지사 1인, 노인영양과 건강을 관리하는 영양사 1인, 조리사 1인, 적어도 50명당 1인의 조리보조원이 필요하며 회계관리를 위한 전문인력도 필요하다. 셋째, 무료경로식당의 발전가능성은 자원봉사자의 관리, 교육, 활용에 따라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현재 무료경로식당 운영과 관련된 재원은 주로 정부의 공적 부담금과 후원자들의 후원금이다. 이와 같은 재원의 구조로는 경로식당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고용할 수 없기 때문에 좀 더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무료경로식당의 경우 지도감독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기준이나 운영지침이 분명하지 않다. 무료경로식당운영에 관한 법적 제도 마련과 지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 e how the free meal service is provided and to examine the status of program operation in terms of kitchen facilities, working staff, finance, and the elderly persons who are using the free meals. Findings are as follows : 1. Kitchen and dining space of those free meal service is very small. Most of them have less than 40 pyung. And about one- third of them has no place of their own. They are using temporary space. 2. Most of meal service programs are found during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crises sponsored by religious groups. However, currently almost all of the programs are now receiving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3. Among the meal service users, more females rather than males are using the service. The average participants in daily meal programs are between 100- 150 in most of programs. 4. The meals are served 5 days a week for those who are 60 and older, free of charge. Meal service providers purchase their food either from designated grocery stores or directly from the grocery market. 5. Volunteer s who are serving food are import ant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meal programs and many volunteers came from religious organizations such as churches. 6. Among those meal service program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offered more additional services such as health education and recreational programs for the elderly participants. In order to improve the free meal service programs, a few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 1. Free meal programs should not be limit ed providing just meals but be expanded to accomodate a variety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s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s. 2. To accomodat e a variety of programs, working staff are needed including a profes sional social worker, dietician, cook, and many volunteers. 3. The number of elderly participants in the meal program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volunteer s helping the elderly. Thus the regular recruit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volunteers are needed for the successful free mean kit chen programs. 4. Currently, the free meal programs are financed mostly by the government. It is less than adequate support. Financial support should be upgraded to fully operate the meal program with staff to provid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elderly. 5. There is no clear standards or regulations available for the facilities of free meal service kitchen. There should be a proper guidance and support for the existing free meal programs.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 연구 :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황아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943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이 근래에 들어 급증하고 있다. 현대사회가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학교교육은 그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고 탈학교교육을 부르짖는 입장까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사회교육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학교교육의 보완적 기능은 물론 대안적 기능 및 학교교육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연장선상에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즉, 사회교육은 학교가 사회의 제반문제를 전적으로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이를 만회하고자 하는 데서 얻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정규교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적인 교육활동을 의미하며,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성인과 노인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좁은 의미의 사회교육을 전제로 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에서의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미술관은 미술품을 수집, 보존하여 일반 대중의 즐거움과 교육을 위해 공개,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설립된 항구적 시설을 의미한다. 미술관은 비영리적이고 공익적인 조직으로 영리를 추구하는 갤러리(gallery)와는 구분된다. 미술관은 학교의 미술교육과 달리 표현 뿐 아니라 미술사, 감상과 비평교육까지 가능하며 전문인력 확보에 유리한 사회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고 각 미술관을 비교분석을 통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개념과 역사, 조직, 사회교육의 정의와 사회교육관련 법규, 성인학습자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미술관 일곱 곳과 국외미술관 일곱 곳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 살피고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성격과 방향을 분석을 통해 시사하는 바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미술관의 성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은 교양교육의 차원과 전문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주로 실기강좌와 이론강좌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공립 미술관의 경우는 실기강좌와 이론강좌 모두가 실시되지만 일부 사립미술관은 미술사와 관련한 이론강좌만 실시되고 있었고 양자 모두 일반인을 위한 교양교육의 차원의 강좌만이 진행되고 있었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삼성미술관은 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비교적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교육담당자(Educator)의 경우는 삼성미술관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대부분 미술학이나 미술사를 전공한 큐레이터들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 비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해외 미술관의 경우, 모던 아트 뮤지엄과 휘트니 미술관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었다. 대영박물관은 미술관 직원이나 프리랜서 교육담당자가 프로그램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었다. 미술관의 운영에 있어 미술관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잘 고려되어 대중과 친숙한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례 연구의 결과 국내 미술관의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기본적으로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은 대중을 미술관으로 유인하고 홍보하며 미술소비자를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에서 비롯되는 요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며 계층별 연령별로 나뉘어 개발되어야 한다. 전문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의 형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교수-학습과정이 강조되는 현재의 실기나 이론위주의 강좌들은 학교교육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은 컴퓨터나 인터넷이 없으면 생활이 힘들 정도로 컴퓨터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Web을 기반으로 사이버 교육을 기획하거나 소장품 혹은 전시 작품과 관련하여 CD롬 타이틀 등이 개발, 보급하는 등의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지금처럼 각 미술관의 홈페이지에서 소장품을 찾아보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 프로그램으로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술 장르(문학이나 음악)와 전시를 연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미술관이 사회가 요구하는 복합문화센터의 역할을 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역할을 하게 된다. 넷째. 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각 미술관이 미술관 인력을 선출할 때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교육전문 인력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이 보다 전문적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져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효율성이 더해져야 한다. Critics about school education are recently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and diverse change of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reveals its limitation and some cried for an post-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the social education is exten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roles of social education are preservative as well as the alternative function in the prolong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In other word, social education is a idea to support school education when it is unable to fulfill various social needs. Extended meaning of the social education includes all organized educational activities besides the formal school education and the limited meaning of it is only includes the adults and old people who do not attend a school. This paper is focused on a limited means of social education groping the possibility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for adult. Museum is defines as a permanent Facility for public benefit by collecting and preserving art works to exhibit, promoting general public enjoyment and education. Museum is different from gallery for it is non-profitable and public interest organization. Not like an art education from school, museum is able to teach history of art, savor of works, as well as practice criticism and it is an institution of social education remunerative for securing specially trained people. This study is perceiv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Museum and groping a way to future improvement by discovering problems in museum education progra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museum. To begin with, the definition, history, structure of museum as well as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 of social education have been looked up in the reference documents and books. Also, characters of adult learners and roles of museum as a soci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This paper is focus on studying critical point of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domestic museums along with research and analyz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ven domestic museums and seven foreign museums. Education program for adult in Korean museum is divided by liberal arts and professional dimension. Public museum often have the theory and skill courses but some private museum is limited on theory courses only. However, the courses are literally a liberal art dimension in both cases.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Samsung Museum comparatively well separated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courses among all. An Educator who develops and manages the educational program in museum was not likely found except Samsung Museum. Curators, who studies history of art or aesthetics took the place most of the time. The education programs in museum are passively carried out compares to the importance of its need. Foreign Museums, Museum of Modern Art and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for example are well organized with several programs for different people such as elders and disables. In case of The British Museum, freelance educator and museum employees involves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useum work together on public considered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museum. Result of above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e improvement ideas of the adult education in domestic museum reaches to few points list as follow: First of all, basically museum related people mu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once again. Museum education program induces people and play important role of expending and reproducing art consumer. Secondly, museum must understand special traits and diversity of adult learners. The program developer must actively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adult learners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social classes and age groups. Also, mor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curriculum must follow. Thirdly, changing form of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structing and learning centered courses of skill and theory class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Nowaday, Computer based life style become so common that life with out Internet and computer is unthinkable for many people. Therefore, searching for new ways such as planning of cyberspace education based on web and developing CD ROM title related to displayed art works of the museum is necessary. It is also great improvement nowadays that we could look up the possessed art works of specific museum through Internet. However, developing original education program to stimulate the interest for learning must be introduce soon. Also, provide new programs such as exhibition with different genre of art is recommendable. Museum will function greatly as a multi-literary center which society demands from it. Lastly, specially trained people must be secured. If each museum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they must hire professional educator. In order to renew the education in muse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by specialist will elevate efficiency of program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