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접근한 주한외국인 거주자의 임대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김혜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주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주택 임대사업은 최근의 경기회복과 국내에 진출하는 외국기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장기 체류하는 외국인 거주자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외국인의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저금리 시대에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어 틈새 재테크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대 주거공간의 공급은 입지 및 주거형태 등에 따라 제한돼 있어 상당히 부족한 편이며, 대부분의 임대 주거공간이 외국인 거주자들의 문화적·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대다수의 외국인 거주자들은 문화적 환경의 차이와 주거 시설 등의 미비로 주거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 주거에 대한 인간의 행태나 만족의 정도는 개인의 특성이나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며, 문화권이나 생활관습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할 때, 우리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거주자에게 그들의 생활 및 요구에 일치하며 질적으로 우수한 임대 주거공간 연구의 필요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의 주생활과 주공간의 실태에 대한 파악 및 분석의 내용과 주거공간 내 프라이버시 확보에 관한 연구는 향후 외국인용 주거공간의 계획에서 주요한 준거틀이 될 수 있다. 이로써 수익성을 고려한 외국인 임대주택을 계획하는 사업 투자자에게 외국인 거주자들을 위한 임대 주거공간 계획의 기초적 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문제의식을 통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내용을 기술하여 연구의 진행을 위한 조사의 내용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주한 외국인 임대주택의 이론적 고찰로써 법조문의 고찰을 통한 주한 외국인의 정의 및 그들의 법적 지위를 고찰하였고, 서울시 통계자료를 통하여 주한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의 분포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외국인 임대주택 시장의 현황과 공공기관에 의해 이루어졌던 주한 외국인용 임대 주택 공급에 대한 내용과 그 평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민간에 의해 공급되고 있는 외국인용 주택의 현 상황에 대한 것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주한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공간에서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하고, 기존문헌을 통하여 설문에서 나타난 외국인 주거의 주 요구 실태를 알아보았으며, 국내와 외국의 주거공간 구성의 특징과 상호비교를 통하여 주한 외국인 거주자들이 원하는 공간구성에 관해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파악한 주한 외국인 거주자들의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분리배치에 대한 그들의 요구는 주거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내포하였다.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여기는 그들의 사고는 건축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인식시킨다. 제5장에서는 주한 외국인이 선호하는 지역인 용산구 한남동에 성공적으로 건축되어진 외국인을 위한 임대 주거공간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이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한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합목적성의 주거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분석되어져야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임대주거 공간은 건축 또는 실내공간 구성과 개념의 정립이외에 우선적으로 장소성에 대한 분석과 그들의 정주성을 고려한 세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시대, 장소, 문화 그리고 과학기술의 변화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성 연구가 필요하며, 그들의 파티 문화에 적합한 공동공간의 가변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우리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가족현황, 선호 유형공간, 사생활 보호 측면 특성 등 거주자의 사고와 행위에서 표출되어진 공간의 기능적 특성이 분석되어져야 한다. 넷째, 공간의 기능을 충족시키는 물리적 지원성에 대한 분석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국내 거주 외국인들은 주거단지내의 서비스시설을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른 거주자 편의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문화적 행위를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 시설 등이 필요하다. 여섯째, 외국인 임대주거공간 계획 시 프라이버시 확보에 대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이는 시각적·청각적 뿐만이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 사생활 보호에 대한 건축 및 실내공간 계획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와 아울러 외국인을 겨냥한 주택사업의 성공적 진행을 위하여 수요자의 현황 분석과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주거 유형을 선호도, 그리고 주거 공간 내 물리적 요구사항 등을 분석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향후 보다 활발하고 다양한 외국인의 주거연구를 통해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house lease business in trend that is increasing also when is long-term abroad that stay because abroad corporation which advance in the recent economic recovery and domestic is increasing steadily to a foreigner in korea. Demand for foreigner's residing equipment is real condition that is increasing by big width and shows high earning rate in low interest period and is getting into the spotlight by windage means for financial technology under these situation. But, supply between lease residing space that do to foreigner is insufficient fairly having been limited according to location and residing form. Most lease residing space for foreigner residents is not considering aspect of environment and culture. So, a great number of foreigner residents are going through inconvenience in housing life by unpreparedness of difference of cultural environment and residing equipments. It is being various according to sense of values as many as individual's special quality about human's form or satisfaction about residing. When consider that difference is according to life custom as many as cultural area, connote necessity of superior lease residing space research qualitatively agreing in their life and request to foreigner resident who inhabit in our country. Research about privacy security can become important authority cited formality in plan between abroad quotation lease residing space hereafter in inhabiting grasping about foreigner's housing life and actual conditions of main space and contents of analysis and residing space in our country through this paper. Do by purpose that ready basic model of lease residing space plan for foreigner residents to business investor who plan foreigner rental house which consider profitability herewith. Confirm necessity of research and describe objective of research, sphere of research and contents and clear contents of investigation for progress of research on background of research and mode of problem. Investigated a main foreigner's justice and their legal positions through legal profession inquiry ancient temple as theoretical ancient temple of a foreigner rental house, and grasped distribu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a foreigner resident's residing through seoul city statistical data. Also, recognize about special quality of contents about one abroad quotation rental house supply and the plane that consisted by foreigner rental house market's present condition and institution, and described thing about present situation of abroad quotation house which is supplied by the common people. Searched main request actual conditions of foreigner residing that grasp general property in a foreigner resident's space, and appear in question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described about space composition that a foreigner residents want through property of domestic and foreign residing space composition and reciprocity comparison. Example between lease space for foreigner built successfully on Yongsan-gu a southeast that is area that a foreigner prefers investigation and analyze. Finally, It is adjusted compendium and conclusion of these research.

      • 프라이버시 권리에 기초한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 해석과 가벌성 범위에 관한 연구

        김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As we follow various studies on the crime of housebreaking, we come across a conflict between the right to housing theory and the theory of de facto tranquility regarding the protection of the legal interests of housebreaking. Legal interest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scope of criminality for housebreaking,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rticles that clearly explain what the difference is between the concept of right to housing and the concept of de facto tranquility. In this situation, the Supreme Court changed its opinion from the standpoint of judging housebreaking based on the resident's will, saying that since the legal interest in the crime of housebreaking is de facto peace, housebreaking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act of conduct. The confusion caused by this did not easily subside, and resul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re were conflicting opinions, separate opinions, and opposing opinions in subsequent housebreaking rulings. Attempts to resolve the above confusion must first begin with defining the two concepts based on the essence of housing rights and de facto tranqui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at differentiation there is between the two legal interests and determine what should be the legal interest of housebreaking. The legal interest of housebreaking has changed over time. Moving beyond the era when housing was perceived as a space within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in a male-dominated culture, today's residential space is where the right to privacy was born and has value as a space that must be completely protected. Our criminal law was deeply influenced by German criminal law. Germany's home invasion crime takes the right to housing as a legal interest and guarantees the right to make free decisions about housing on the basis of personal rights. The two essences of the right to privacy are also free decision-making and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The German home invasion crime contains the essence of the right to privacy, and its essence has continued into our criminal law. It is an accurate analysi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found that the basis of home invasion is the right to privacy. The two essences of the right to privacy, freedom and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s, have active and passive aspects. Among the legal interests of housebreaking, the active aspect of the right to housing is emphasized as the free exercise of the right to dominate one's residence, and the de facto tranquility, which is maintaining peace by protecting oneself from the interference or disturbance of others, is emphasized as the defensive aspect. Therefore, both the right to housing and de facto tranquility are protected legal interests in the crime of housebreaking. Today, the importance of the right to housing as a protected legal interest is increasing in that citizens expect criminal law about housebreaking to play an active role. The right to housing based on the right to privacy clarifies the leg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ommon area as a protected legal object for home invasion, which is a crime related to personal legal interests. This is because, when looking at housing rights, the common area is no different from the exclusive area in that it is a space where residents' free decision-making rights regarding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housing must be protected. However, if one follows the theory of de facto tranquility, the tranquility protected in public areas is closer to public tranquility than the individual tranquility enjoyed in private spaces,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character of social legal interest. Additionally, the right to housing can protect the active exercise of free decision-making rights regarding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housing. Currently, the Supreme Court does not consider entry into spaces such as restaurants, stores, and government offices as housebreaking even if the person enters for criminal purposes as long as the conduct is peaceful. However, if the right to housing is considered a protected legal interest, the purpose of entry, entry status, and prohibited items can be restricted, as in Germany. Violation of these access conditions can be assessed as a violation of housing rights. This results in protecting the right to make free decisions regarding the governance and management of space and giving residents the power to protect the peace and safety they enjoy in their own space. Today, the act of observing or filming the intimate life of a residential space using a drone or telephoto lens is not considered an intrusion into the body. As a result, they are not punished for housebreaking. However, if the essence of home invasion is considered to be the right to privacy, the above act becomes a direct violation of protected legal interests. It is the same illegal act as entering a residence with one's body. Since the use of bodily functions is equivalent to overcoming boundaries by body, it should be considered housebreaking crimes. In the case of housebreaking, the key to determining intrusion is the intention of the resident. The right to privacy provides a clear basis that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intrusion in home invasion crimes should be the resident's will. The right to privacy is formed in an individual's private area that should not be exposed, but private life that is discl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subject of privacy can no longer be protected. Therefore, the resident's intention serves as the primary criterion for determining intrusion. However, if the doctrine of infringement of will is adopted, restrictions are necessary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depends on the expression of intention, so the standards are ambiguous. The presumptive intention must be externally displayed or objectively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Additionally, in cases where explicit intention and presumptive opposition exist simultaneously, such as when permission to enter is obtained through deception, explicit intention must take precedence. However, if, first, the presumptive objection is objectively recognizable, second, the part where the mistake occurred is closely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protected legal interests, and third, if the place of entry is a space such as a residence where privacy rights are strongly protected or a prison where access is strictly restricted, the crime of housebreaking may be established based on presumptive intent. Another problem that arises when using expression of intention as the standard for judgment is conflict of intention between co-residents. Co-residents have an obligation to respect the entry and intents of other co-residents. Therefore, unless there is a fundamental infringement on protected legal interests, access should be permitted. If the entry is for the purpose of violating a legal obligation, or if the entry infringes new legal interests, a fundamental infringement on the legal interests of other co-residents may be recognized. Freedom of residence and tranquility are expressed as “basic rights that are like gatekeepers at the forefront of basic freedom.”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home invasion as the right to privacy is a first step toward responding to the request for active protection of residential spac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an individual's life and body. 주거침입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을 따라가다 보면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에 관한 주거권설과 사실상의 평온설의 대립을 만나게 된다. 보호법익은 주거침입죄의 가벌성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주거권과 사실상의 평온 개념의 차이는 무엇이며, 어떤 이유에서 가벌성이 차별화되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주는 글을 찾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은 사실상의 평온이므로 거주자의 의사를 중심으로 주거침입을 판단하던 과거와 달리 객관적·외형적 행위태양에 의해서 침입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선고되었고, 그로 인해 야기된 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후속 주거침입죄 판결에서도 다수의견, 별개의견, 반대의견이 대립하는 구도를 낳기에 이르렀다. 위와 같은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먼저 주거권과 사실상의 평온의 본질에 입각하여 두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두 법익 사이에 어떤 차별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무엇이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이 되어야 하는지 정해야 한다.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왔다. 남성중심적 문화 속에서 주거를 가장(家長)의 권한이 미치는 공간으로 인식하던 시대를 넘어 오늘날 주거공간은 프라이버시권이 태동한 곳이자, 완전하게 보호되어야 할 공간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우리 형법은 독일 형법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독일의 주거침입죄는 주거권을 보호법익으로 삼아 인격권의 토대 위에서 주거에 관한 자유로운 결정권을 보장한다. 프라이버시권의 두 가지 본질 역시 자유로운 결정과 인격권 보호에 있다. 독일 주거침입죄는 프라이버시권의 실질을 담고 있고, 그 본질은 우리 형법에까지 이어졌다. 헌법재판소가 주거침입죄의 기초가 프라이버시권에 있다고 본 것은 정확한 분석이다. 프라이버시권의 두 가지 본질인 자유로운 결정과 인격권 보호는 적극적 측면과 소극적 측면을 가진다.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 중 주거권은 주거의 지배에 관한 자유로운 권리의 행사라는 적극적 측면이 강조되고, 사실상의 평온은 타인의 간섭이나 방해로부터 자신을 방어하여 평온을 유지한다는 방어적 측면이 강조된다. 프라이버시권 본질과 연결된 주거권 및 사실상의 평온은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을 구성한다. 오늘날 시민들은 주거침입죄에 적극적 역할을 기대한다는 점에서 보호법익으로서 주거권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프라이버시권에 기초한 주거권은 공용부분을 개인적 법익에 관한 죄인 주거침입죄의 보호법익 객체로 파악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해준다. 주거권을 중심으로 보면 공용부분도 주거의 지배·관리에 관한 거주자의 자유로운 결정권이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전용부분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상의 평온설을 따를 경우 공용부분에서 보호하는 평온은 사적 공간에서 누리는 개인의 평온보다 공공의 평온에 가까워 사회적 법익의 성 격을 벗기 어렵다. 또한 주거권은 주거의 지배·관리에 관한 자유로운 결정권 행사를 보호할 수 있다. 현재 대법원은 음식점, 상점, 관공서와 같은 공간에 범죄 목적으로 출입하더라도 행위태양이 평온하다면 침입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거권을 보호법익으로 삼을 경우 독일과 같이 출입 목적, 출입 신분, 반입금지 물품을 제한하고 출입조건을 위반한 경우 주거권 침해로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공간의 지배·관리에 관한 자유로운 결정권을 보호하고 자신의 공간에서 누리는 평온과 안전을 지켜낼 수 있는 힘을 거주자에게 부여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오늘날 드론이나 망원렌즈를 이용해 주거공간의 내밀한 생활을 관찰하거나 촬영하는 행위는 신체의 침입으로 평가되지 않아 주거 침입죄로 처벌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거침입죄의 본질을 프라이버시권으로 볼 경우 위와 같은 행위는 보호법익에 대한 직접적인 침해가 되며 주거 내부로 신체가 들어간 것과 동일한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를 지닌다. 신체의 기능이 들어가는 것도 경계의 극복에 해당하므로 주거침입죄가 성립한다고 볼 수 있다. 주거침입죄에서 침입 판단의 핵심은 거주자의 의사에 있다. 프라이버시권은 주거침입죄에서 침입을 판단하는 기준이 거주자의 의사가 되어야 하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한다. 프라이버시권은 노출되지 않아야 할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서 형성되는데 프라이버시 주체의 의사에 따라 외부에 공개된 사생활은 더이상 보호대상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거주자의 의사는 일차적인 침입 판단 기준으로 작용한다. 다만 의사침해설을 채택할 경우 범죄의 성부가 의사표시에 의존 하여 기준이 모호하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추정적 의사는 외부로 표시되거나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인식가능해야 한다는 제한을 두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기망을 통해 출입승낙을 받은 경우와 같이 명시적 의사와 추정적 반대의사가 동시에 존재하는 사안에서는 명시적 의사를 우선하되, 추정적 반대의사가 객관적으로 인식가능하고, 착오가 발생한 부분이 보호법익 침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출입 장소가 프라이버시권 보호가 강력히 요구되는 주거나 출입이 엄격히 제한된 교도소와 같은 공간이라면 추정적 반대 의사에 따라 주거침입죄를 인정할 수 있다. 의사를 판단기준으로 삼을 경우 나타나는 또 다른 문제점은 공동거주자 사이의 의사의 충돌이다. 공동거주자 사이에는 다른 공동거주자의 출입과 의사를 존중할 의무가 있으므로 보호법익에 대한 본질적 침해가 없는 이상 수인하여 출입을 허용해야 한다. 만 약 해당 출입행위가 법적 의무에 위반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출입을 통해 새로운 법익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다른 공동거주자의 법익에 대한 본질적 침해를 인정할 수 있다. 주거의 자유와 평온은 “기본적 자유의 맨 앞에 있는 문지기와 같은 기본적인 권리”라고 표현된다. 주거침입죄의 본질을 프라이 버시권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개인의 생명·신체의 안전과 직결된 주거 또는 건조물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 프라이버시권의 법적보호에 관한 연구

        황수경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7

        프라이버시의 권리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자유와 행복추구에 대한 불가결의 구성요소로서 사생활의 보호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인격적 諸이익의 총체, 또는 자기에 대한 정보를 통제하는 권리이다. 종래에는 「혼자 있게 할 권리」 라는 소극적 개념으로 인식되었으나 컴퓨터, 정보은행 등의 등장으로 인한 오늘날의 정보화사회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권리로 끌어 올릴 것이 요구되고 있다. 매스 미디어의 발달과 그에 따른 상업주의 경향으로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는 빈번히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위기 상황을 감안하여 우리헌법은 제 17조에서 프라이버시를 권리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보호소송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그 이유는 Garison이 지적했듯이 첫째,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법적보호의 대상이 되겠느냐는 의구심, 둘째, 프라이버시권 침해 그 자체를 피해자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셋째, 소송으로 인해 정신적·물질적 보상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소송을 한다는 자체가 결과적으로 더한 프라이버시 상실의 결과를 유발하지 않을까 라는 염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국민의식은 하루 속히 拂拭되어야 하겠다. 그리하여 헌법이 규정한 권리 위에 잠만 잘 것이 아니라 미국의 경우에 그러했듯이 사법부의 끊임없는 노력과 의회의 충분한 활동, 그리고 일반국민들의 집요한 권리투쟁을 통해서 이 권리를 수호하고 향유함으로서 인격의 자유로운 발전을 기하고 행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e right of privacy to preserve one's dignity to be treated as a human being is a right which allows one to be protected from the intrusion of others. As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progresses, the question about the right of privacy needs to be raised to the more positive aspect of right for the respect and happy-pursuing of the individual. Today, this right is needed more because of the growing infringement of the private life by mass media and the enterprise without certain standard. Although this right is regulated in article 17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hardly illegal actions about the invasion of the privacy. The reason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expectations; such injuries are not protected by law, by the fact that many invasions of privacy are not perceived by victims and by the feeling that legal remedies are inappropriate, in part because the initiation of legal action itself involves the additional loss of privacy. These inadequate reflections should be disappeared. We should not keep this right as a written form, but should use it as a true right by continuing effort of the judicature and the parliament as in the U.S.A., and by ceaseless striving to acquire this right by the individuals.

      • 프라이버시權利의 侵害와 救濟

        박경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igut of privacy has been developed in England an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Common law itslf is not necessarily helpful to develop the right of Privacy.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entail the recogntion of new right and the common Law, in its eternal youth, grows to meet the demands of society.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of privacy ; personal autonomy, emotional release, self-evaluation, limited and protected communication, the personal right, the unassignable right, etc. The more the technology develops, the more the impersonalization deepeens and the privacy diminishes, We live in the transparent society where we can find no place to hide ourselves. The 'Right of privacy is, we can say in general, the right to be let alone. But in the information-oriented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the right of privacy shall be defined in a positive way. That is, the right of privacy is the data subject's right to control information about himself. ; Privacy is the claim of individuals, groups, or institutions to determine for themselves when, how, and to what extend information about them is communicated to others. Investigat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ight of privacy, from the early stage of the right of privacy to up-to-date, followings have served as a basis of Judical decision ; National law, law of property, doctrine of implied Contract, law of slander and libel, Constitutional law, etc……. I also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privacy and classified them as follows ; Associational privacy, right to Anonymity, inviolability of person marital privacy, private possession of obscene materials, right to abortion, privacy of counsel or right to access to records, to check its accuracy, to control over its dissemination, and revise the misinformation on one's personal data, etc. The law of privacy comprises four distinct kinds of invasion of four different interests of the plaintiff. These four torts are as follows ; 1. Intrusion upon the plaintiff's seclusion or solitude, or into his private affairs. 2. Public disclosure of embarrassing private facts about the plaintiff. 3. Publicity with places the plaintiff in a false light in the public eye. 4. Appropriation, for the defendant's advantage, of the plaintiff's name or likeness. In the chapter V. I pondered over the limitation of the right of privacy. In any single case of privacy tort, the important problem is to balance two opposing interests. On the one hand, we are urged to uphold the right of free speech and the rift of society to know the truth. On the other hand, we have to protect the sensibilities of the individual from the brash and vuglar attention of the mob. To find a point where the r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right of society are in equibilium, I examined the following tests which had been adopted by the court in the United States ; waiver of privacy, public interest and public figure. In Chaper VI, I've tried to analyze a respect of clash between the state power and the right of privacy and the way of remedy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rivacy. In conclusion, i thought the concept of the right to privacy in modern welfare state shall be defined in a positive way. And I suggested the enactment of the privacy act which remedies for privacy torts and validities of the right to the privacy among individuals. It is not too much to emphasize that coping which such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ctively and positively is the basis condition of the advancement as a modern country, together with the aspect of securing individual human right.

      • 빅데이터 시대의 프라이버시 : 윤리적 가치와 보호 방안

        설재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what the ethical value and meaning of privacy in the age of big data, and seek better ethical protection strategy. Privacy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t that time, decisional privacy or properietary privacy was main issue. In comparison, in the early 21st century, informational privacy is main issue among various dimensions of privacy. There are many reasons why informational priv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dimension of privacy, b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s been an important factor. Big data technology is also closely related to informational privacy. Warren and Brandeis argued right of privacy in their treatise “The Right to Privacy”. Privacy discussions begin with this treatise. Some theorists argued that privacy claims could be reduced to the right to life, the right to liberty, the right to not be hurt or harmed, and property rights. But compared with the right of privacy OR the right to liberty OR the property right in privacy itself, it can be found that it is an independent concept that does not return to personality, liberty, or property. Furthermore, the meaning of privacy can be re-examined, considering the nature that privacy needs to be protected, not exercised like personality, liberty, or possession, and that privacy can only be perceived through what is reflected to be something like information, decisions, or possessions. The meaning of re-examined privacy overlaps three attributes, 1) irreplaceability, 2) attachment, and 3) to support self or identit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re-examined privacy, it is worthy to build character and maintain self-esteem. In addition, privacy helps to form a sane social relationship. In the age of big data, informational privacy is especially highlighted among many dimensions of privacy. Informational privacy can be extracted by analyzing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using profiling technology.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al privacy can be distinguished. This paper argues that informational privacy, no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subject to be protec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ICT to the present, the ethical principles laid out to protect informational privacy are transparency and agency. The contents of Fair Information Practice Principles(FIPPs) in 1973 and Resolution on profiling in 2013 consist of the principles of transparency and agency. The principle of transparency is needed to gauge the benefits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 by big data technology and the risk of being infringed on informational privacy. The principle of agency is necessary to gauge the responsibilities of data users. Examples of current privacy protection legisla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r informational privacy are European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The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 of the United States, ou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rivacy by Design and Default. Current privacy protection legislations mainly focus 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not be reached by protect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the protection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weighing it against social values. But according to the meaning of privacy re-examined in this paper, informational privacy needs to be protected fir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al privacy.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case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of brutal criminals or sex offecders should be disclosed or not. This paper attempted to distinguish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be disclosed and the privacy of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In another instanc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open to the public contact tracing information of confirmed covid-19 cases. Similarly, this paper attempted to distinguish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be disclosed and the privacy of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disclosed. According to the meaning and value of re-examined privacy, it could be distinguished which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ivacy and which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privacy. In addition, the transparency and agency of big data utilization will be secured. The complementary strategies proposed by this paper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use of big data. 본 논문은 빅데이터 시대의 프라이버시가 갖는 윤리적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지를 재규명하고, 보다 나은 윤리적 보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라이버시가 논의되기 시작한 20세기 초에는 프라이버시의 여러 측면 가운데 결정 프라이버시 혹은 소유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과 비교해 지금 21세기에는 프라이버시의 여러 측면 가운데 정보 프라이버시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정보 프라이버시가 프라이버시의 중요한 측면으로 부상하게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빅데이터 기술 역시 정보 프라이버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권리」라는 논문을 계기로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권리는 생명권, 자유권, 소유권, 신체의 안전에 대한 권리로 환원될 수 있으니 프라이버시도 다른 개념으로 환원된다는 비판이 있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자체를 프라이버시권, 자유, 소유와 비교했을 때, 프라이버시가 인격의 일부, 자유의 일부, 소유의 일부에 해당하지만 인격이나 자유나 소유로 환원되지는 않는 독자적인 개념임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프라이버시는 인격이나 자유나 소유처럼 행사하고 발휘되는 게 아니라 보호될 필요가 있다는 속성과, 반드시 어떤 정보나 결정이나 소유물과 같은 것으로 드러난 것을 통해서만 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의 의미를 재규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의미는 1) 고유하기 때문에 대체불가능하고, 2) 나에게 소중하기 때문에 애착의 태도를 보이고, 3) 자아와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도록 지지하는(support) 세 가지 속성이 중첩된 것이다.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의미에 따르면 프라이버시는 인격을 형성하고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될 필요가 있는 가치이다. 또한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어야 온전한 사회적 관계의 형성이 가능하다.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어 프라이버시의 여러 측면 가운데 특히 정보 프라이버시가 부각된다. 빅데이터 기술 가운데 특히 프로파일링 기술을 활용하여 수집된 개인정보를 분석하면 정보 프라이버시의 추출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의미에 따르면 개인정보와 정보 프라이버시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보호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상은 개인정보가 아닌 정보 프라이버시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지금까지 정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제시되는 윤리적 원칙은 투명성과 주체성이다. 초기에 제시된 정보처리의 공정성의 원칙의 내용과 최근에 이루어진 프로파일링에 대한 결의의 내용은 투명성과 주체성 원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빅데이터 기술에 의한 개인정보의 활용으로 발생하는 혜택과 정보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위험을 가늠하기 위해서 투명성의 원칙이 필요하고, 데이터 활용자의 책임을 가늠하기 위해서 주체성의 원칙이 필요하다. 개인정보 또는 정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현재의 보호 방안의 예로 유럽연합의 개인정보 보호법, 미국의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 법률, 우리나라의 개인정보 보호법,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전적 보호 장치가 있다. 현재의 보호 방안은 주로 개인정보 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 방안으로는 정보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왜냐하면 개인정보를 보호할 때 사회적 가치와 비교하여 보호 범위를 책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개념에 따르면 정보 프라이버시는 사회적 가치보다 우선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공개가능한 개인정보와 공개해서는 안되는 프라이버시를 구분해야 한다. 현실 사례인 신상정보공개 심의위원회의 결정을 바탕으로 흉악범의 개인정보 공개와 성범죄자의 개인정보를 공개하는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이 기여하고자 하는 바는 신상정보공개 심의위원회에서 공개하기로 결정하는 개인정보의 내용 가운데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정보와 해당하지 않는 정보를 구분하고자 한 것이다. 다른 예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보건 당국에서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어떤 동선 정보가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정보인지를 구분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의미와 가치에 따르면 어떤 개인정보가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정보이고, 어떤 정보는 프라이버시에 해당하지 않는 정보인지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재규명한 프라이버시의 의미에 기반하면 빅데이터 활용의 투명성과 주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이 제시한 보완 방안은 빅데이터의 활용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프라이버시 侵害의 民事法的 救濟에 관한 硏究

        金周憲 全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the high growth of information, modem society give us many convenient things on the country, organization and private sphere. On the other hand, it brings out very complex problems. That is invasion of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worst thing is its invasion types are diversified and it was anticipated that it will bring out frequently in the future. In this paper, I studied legal character and limitation of privacy. And compare with each nation's legislations. After that I would like to study judical relief that focus on the compensation claim. In the chapter II. I reviewed general theory of privacy, As a rule, limitation of privacy is relative with freedom of expression more than anything else. Right of privacy means not guarantee of its right unrestrictly but do not intrude of others right and do not violate of social morality, public welfare and rule. In the chapter III. Described history and legislation of privacy law that compared with United States of America, United Kingdom, Germany, Sweden, Japan. In the chapter IV. As a core of this paper, studied the types of the invasion of privacy and the ways how to relieve it. The types are based on the theory of William L Prosser, he divided it into four types. That is intrusion upon the plaintiff's seclusion or solitude, public disclosure of private facts, publicity which places plaintiff in a false light in the public eye and appropriation of the plaintiff's name or likeness. If we call his classification is classical types, invasion types in the modem society is abusing and secret gathering of personal information, etc. And I studied plaintiff's name or likeness as a relative issues. On the conclusion Privacy is the right that protect people's internal and mental profit highly, The concept of privacy on the modem society should be interpretate positive right. Its invasion is disturb other's feeling. Therefor its protection would be possible by high level of culture. Privacy contains person's characteristic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ver its damage when it was invaded. For its recovery we should approve not only compensation as a post recovery but also right to claim to elimination and correction.

      • 프라이버시 계산요인과 프라이버시 관리요인이 개인의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의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개인의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프라이버시 관리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검정하고, 프라이버시 계산 요인들이 개인의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관계에서 프라이버시 관리변수들의 조절영향을 검정하였다. 서울∙경기지역 거주 중인 20~60대 성인남녀 36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시나리오 기반 반복 가상실험(scenario-based repeated-measure quasiexperiment)의 결과, 정보종류(일반정보, 유전정보, 정신질환정보), 요청목적(마케팅목적, 연구개발목적, 환자케어목적), 요구주체(병원, 제약회사, 정부∙공공기관, 생명보험회사)와 같은 프라이버시 관리 요인들에 의해 개인의 건강정보 제공의도는 달라지고 있었으며, 정보종류와 요구주체, 요청목적과 요구주체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정보침해우려, 전자매체신뢰, 부정적 감정과 같은 프라이버시 계산 요인들 중 전자매체신뢰만이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종류, 요청목적, 요구주체로 구분된 프라이버시 관리 변수 중 요구주체가 개인정보침해우려, 전자매체신뢰, 부정적감정이 각각 건강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장 큰 조절영향을 가지고 있었다. 요청목적은 일부 조절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정보종류는 조절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가 향후 헬스케어 산업을 활성화하여 사회적, 개인적 이득을 제고하고자 할 때, 그 기초가 되는 개인들의 건강정보 제공동의를 활발하게 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건강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요청주체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며, 병원이나 정부•공공기관과 같은 비영리 기관이 건강정보의 요청주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자는 모든 종류의 건강정보를 민감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건강정보의 종류에 따라 활용을 제한하는 것 보다는 모든 종류의 건강정보 전체에 대해 철저하게 정보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소비자들은 해외 선행연구와는 달리, 자신의 건강상태가 부정적이라고 하여 특별히 건강정보의 제공을 꺼리지 않고 오히려 병원이나 제약회사가 정보제공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건강정보 제공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비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헬스케어 생태계에 참여를 제한하는 것 보다는 적극적인 참여대상의 확대를 통해 해당 산업을 활성화하여 개인적∙사회적 이익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CPM) factors and Privacy Calculus factors to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Health Information(PHI) in the context of healthcare ecosystem. Also, it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PM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alculus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disclose PHI. We conducted scenario-based repeated-measure quasiexperiment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who reside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results reveal that all CPM factors such as type of information(general/ genetic/mental), requesting purpose(marketing/research/patient care), and requesting stakeholder(hospitals/pharmaceutical company/government/life insurance company)directly influence to the intention to disclose PHI. Also, interactions are observed between type of information and requesting stakeholder as well as requesting purpose and requesting stakeholder. With regard to Privacy Calculus factors, only the medium trust has 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disclose PHI and not for privacy concern and negative emotion. Out of 3 CPM factors, requesting stakeholder has the greates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alculus factors and the intention to disclose PHI. The findings suggest that requesting stakeholder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ncourage customers’ participation in the newly discussed healthcare system. In order to increase social and individual benefits by means of getting more participation from customers, it is desirable that the requesting stakeholder of PHI would be non-profit organizations such as hospital, government or public agencies to secure more willingness of PHI from people. Also, as customers perceive all PHI are sensitive, regardless of the type of PHI, it is implied that extensive information gathering and utilization, instead of excluding sensitive information or critical patients’ records, is recommended which is substantial to invigorate the healthcare industry.

      • 전자상거래의 프라이버시 정책 인식이 개인정보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다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policy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Publishing online privacy policy on the internet web site is aimed at building trust in consumer and reducing the concern about provi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E-commerce companies place online privacy policies on their web sites to build trust in the privacy for consumers. FIP(Fair Information Practices) principles reflect a subset of the OECD guideline and are based on five elements: notice, access, choice, security, and enforcement. FIP principles play a major role in social contract with internet users as they provide both notice and consent. This research uses the FIP principles to measure the privacy policy awareness.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s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privacy policy awareness of E-commerce website, privacy trust, and privacy risk. A higher level of privacy policy awareness influences privacy trust and privacy risk. Because privacy policy aims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 higher level of privacy trust i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n the E-commerce website. A lower level of privacy risk is related to a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on the E-commerce website. Personal disposition to trust refers to an individual trait that leads to expectations about trustworthiness. This i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trust. This study found that disposition to trus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policy awareness and privacy trus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cy policy awareness, privacy trust, and privacy risk.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those companies who want to build privacy trust and to reduce privacy risk.

      • 프라이버시 데이터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정적 비교 : UX 디자인 관점의 사용자 분석

        정글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지털 서비스의 발전이 멀티 페르소나를 지원하는 초개인화 시대로 도약함에 따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개인 데이터 수집 활동이 전투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토대로 고객의 잠재적 니즈까지 계산된 신규 서비스가 산업의 중심이 되고 있다. 기업은 서비스의 질을 높인다는 명목 하에 사용자에게 프라이버시와 밀접하게 연관된 데이터에 대한 수집 동의를 요구하며, 사용자는 서비스를 온전히 사용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며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기업은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자신들의 알고리즘 기반으로 재가공하고 개인의 선호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추천 콘텐츠, 분석 자료, 데이터 시각화 제공 등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혜택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는 대부분 기업의 일방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한 결과를 통보 받는 것으로 기업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데이터만을 안전하게 수집한다는 명확한 근거를 알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수집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특정 데이터의 분석 과정과 결과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판단할 수 없다. 이는 정보의 비대칭을 발생시키며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충분히 공정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결국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본인의 데이터에 대한 결정권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입장과 관점에 맞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직관적인 프라이버시 인터페이스 사례를 선정하고 사용자 연구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경험을 검토하고 정의하는 것이다. 사용자 조사는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선정된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정과 태도 그리고 행동 요인을 파악하였다.조사 결과 침해되는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면서도 막상 본인의 데이터 관리에 소홀한 역설적인 사용자 경향을 뜻하는‘프라이버시 패러독스’현상을 넘어, 프라이버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감정과 인식의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프라이버시 데이터의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경향을 4가지 기준을 통해 경향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라이버시 경향 모델로 제안하였다. 이후 프라이버시 사용자 경향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실무 디자이너의 검토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결정권을 향상하고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공정하게 수집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디자인 체크 리스트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 수용 모델 요인을 참고하여 신기술에 대한 수용도와 사용자 경험 측면을 결합시켜 새로운 관점으로 프라이버시 데이터 수집을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인터페이스 시각화 관점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혁신적 신기술이라 볼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산업과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윤리적 측면을 함께 언급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연구이다. 또한,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통해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 수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