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품의 표면디자인에 관한 연구 : DB구축과 UD개념의 적용을 중심으로

        송성일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2286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세계적인 휴대전화 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데는 뛰어난 '디자인'이 한몫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재선정과 후가공 기술, 즉 표면디자인 기술은 현대 모바일 기기의 생명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신상품 개발 시 디자인에 적용할 신소재 및 혁신적 가공법을 찾아 적합하게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은 제품 개발 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같은 신제품 개발에 있어 제품의 이미지와 성격 그리고 환경에 맞는 신소재와 가공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내 교육기관이나 실제 실무에서도 이렇다 할 지침서나 체계적인 Data Base가 부족한 실정이다. 표면디자인 기술의 Data Base 구축은 실제로 표면디자인을 제품에 적용해야하는 디자이너들에게 방대한 양의 소재들과 그 하나하나에 적용되는 표면디자인의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도록 함은 물론 적절치 않은 표면디자인의 적용으로 인한 생산비용의 출혈을 미연에 방지하고 학교에서의 획일적인 재료의 선택과 후가공으로 실무와는 떨어진 비효율적인 학습능률을 개선하고자 보다 심층적인 기술습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의 정보공유와 습득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기존의 표면디자인 영역이 심미적인 부분을 통한 외형 디자인의 충족이었다면 이번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표면디자인을 통한 사용성 및 감성기술로의 영역까지 확대해 보고자 DB구축과 UD개념 적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A superior 'design'takes an important role in recent mobile phone industry of large companies in Korea that they stand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ly well-known mobile phone companies. Among them, selecting materials and after processing technology, in other words, surface design is essential partof modern mobile machinery. Thus, a proper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and innovative processing method to design is very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a new product. However, although it is important to have new materials and processing methods that are proper for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a new product, not sufficient guide books or databases are availabl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in practical businesses in Korea. The purpose of constructing database for the surface design technology is to let designers who actually are responsible for adapting surface designs to products to learn massive amount of materials and surface design knowledge for each and every material, to prevent occurring of production cost wasting that can be incurred from adapting improper surface designs, and to improve inefficient school education system that has an uniform material and after processing method selection which is far different from practical business so tha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get technology in depth using on-offline information sharing and acquisition. Likewise, focusing on DB construction and adoption of UD concept, this study did not stop at the stage where existing surface design satisfies only external design through aesthetic point of view, but it also adopted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expanded into usability and emotion technology field using surface design.

      • A는 두께가 있는 납작한 표면이다

        조상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8

        나는 이 글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전시켜온 작업의 내용과 이를 전개해온 주요 경로를 살펴본다. 1장은 1884년 에드윈 A. 애벗의 소설 『플랫랜드』에서 주인공 사각형이 스페이스랜드에서 온 이방인 구를 만나 평면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자신이 사는 플랫랜드와 그곳의 거주자들을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얻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이야기를 빌어 오랜 기간 평면 매체로 취급되어 온 회화의 형식을 재고한다.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평면은 두께가 없는 납작한 표면이다)’라는 평면의 일반적 정의를 변용해 괄호 안 단어를 제거함으로써 면의 3차원적 속성을 드러내고, 회화의 차원을 흐리는 동시에 각인하고자 한다. 2장과 3장은 “표면의 재현”과 “표면의 구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2장, “표면의 재현”은 표면을 사물로 인식하게 된 시점과 이로 인해 시작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작업 과정과 방법론을 서술한다. 3장, “표면의 구축”은 종이로 면을 쌓는 감각을 체득하면서 구체화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작업 과정을 서술하고, 표면과 지지체의 연계를 밝히며 회화의 표면에 관한 고찰을 이어간다. 4장은 회화를 캔버스에 밀착한 두께가 있는 표면으로 강조하고, 칼 안드레의 수평 조각을 예로 들며 2차원적 속성과 3차원적 속성을 포괄하는 회화의 차원을 되새긴다. 이로써 회화라는 평면 매체를 입체로 결론짓고 회화라는 플랫랜드를 다시금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열며 글을 맺는다. Through this paper, I look at the contents of my work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2016 to 2020 and the main process that has been progressed. The first chapter begins with Edwin A. Abbott’s novel, 『Flatland』 in 1884.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A Square met a stranger Sphere from Spaceland; he breaks away from two-dimensional thinking and gains the possibility of taking a fresh look at Flatland, where he lives, and its residents. With this story, chapter 1 reconsiders the form of painting that has been long treated as a two-dimensional medium. Like the title of this paper, By chang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plane,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nto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t reveals the three-dimensionality of a plane; it blurs and sharpens the dimension of the painting. Chapter 2 and 3 consist of “Representation of a Surface” and “Construction of a Surface”, respectively. Chapter 2, “Representa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work from 2016 to 2017 after I was recognized a surface as an object. Chapter 3, “Construc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of work from 2018 to 2020 which was taking shape by acquiring the sense of layering surface: paper and continues to consider the surface of the painting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pport. Chapter 4 emphasizes painting as a surface with thickness adhering to canvas and restates the dimension of painting that encompasses two-and three-dimensional attribute, taking Carl Andre’s horizontal sculpture as an example. With this, I conclude that painting generally defined by two-dimensional medium is three-dimension based on the flatness. And I finish this paper ope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look at the painting, “Flatland”, again in a new way.

      • 디지털 건축에서 표면의 유연성과 구축성에 관한 연구

        손창현 서울市立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32237

        디지털 건축에서 표면의 유연성과 구축성에 관한 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