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고경영자의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바이오기업을 중심으로

        김홍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포용적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은 리더가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리더에게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의사소통의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개방적인 마인드를 가지며 다양한 의견을 구하고 각기 다른 의견을 수용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심리적으로 유능하고 조직내 효과를 일으키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과 조직신뢰(Organizational Trust)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와 포용적리더십이 자기관찰(Self-monitoring)과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인 조직시민행동(OCB)은 개인을 향한 조직시민행동(OCBI/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과 조직을 향한 조직시민행동(OCBO/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은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기반을 두고 설명하고 있다. 설정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바이오기업의 직장인들 중 20대 이상 사무직 및 연구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5부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이용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일반 회귀분석,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매개효과는 Baron & Kenny(1986)의 3단계 검증방법을 따랐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중심화를 통한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리더십은 심리적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은 OCBI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심리적주인의식은 OCBO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주인의식은 포용적리더십과 OCBI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주인의식이 포용적리더십과 OCBO의 관계에서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신뢰는 OCBI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신뢰는 OCBO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신뢰는 포용적리더십과 OCBI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신뢰가 포용적리더십과 OCBO의 관계에서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관찰은 포용적리더십과 심리적주인의식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찰은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신뢰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바이오기업의 리더들에게 포용적리더십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함으로써 포용적리더십 활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구성원들의 심리적주인의식 및 조직신뢰의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의 제고를 달성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조직의 성과 및 구성원만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난다. 보다 자세한 시사점은 결론과 논의 파트에서 다루어진다. Inclusive Leadership is an open-minded leadership that allows followers to easily access the leader in the process of a leader's interaction with followers, thus eliminat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Inclusive leadership having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shows whether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have a mediating effect and whether the inclusive leadership has an interaction effect with self-monitoring. The 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set up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y -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OCBI)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rganization (OCBO).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o verify the model, 405 copies of the data were sampled by a survey of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more of the bio firm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general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using SPSS 25.0. The mediating effect was followed by the three-step method of Baron & Kenny (1986),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ean centralization. The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lusive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It has also been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a relationship with OCBI, and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a relationship with OCBO as well. Second, it was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but psychological ownership did not have a medit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O. Third, inclusive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trust. It has also been shown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OCBI, and OCBO. Fourth, organizational trust has been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but organizational trust h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O. Finally, Self-monitor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lso, Self-monitor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by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on inclusive leadership, bio-enterprise leaders can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inclusive leadership, ultimately achieving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improvement of member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More detailed implications are addressed in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sections.

      •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추구행동의 조절효과

        박경애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직무몰입이 매개하는지와 피드백추구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용적리더십은 직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무몰입은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넷째, 피드백추구행동은 포용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을 국내 기업의 다양한 업종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1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통계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 분포 확인에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모형 평가에는 Cronbach α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변인 특성 파악에는 기술 통계 분석, 연구 변인 간 영향 관계 및 조절변인 조절 효과분석,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에는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포용적리더십은 직무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포용적리더십과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피드백추구행동의 하위 변인인 모니터링은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의 관계에서는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각 변인과 하위 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포용적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는 리더십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포용적리더십이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실증함으로써 포용적 리더십 연구를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직무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넷째, 포용적리더십은 매개변인인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며, 결국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며 포용적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검증함에 있어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다섯째, 피드백추구행동은 개인 성향, 내적 동기, 다양한 상황적 요인, 문화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관찰, 인터뷰 등을 병행하여 다양한 변수와 방법을 고려하여 그 효과를 탐색한다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nclusive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investigate whether job involv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Third, job involvemen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4, does feedback seeking behavior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total of 331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employees working in various industries of domestic companies.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3.0 and AMOS 23.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survey respondents, and Cronbach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mode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variable,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the effect of the moderating variable and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involv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monitoring, which is a sub-variable of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in this study,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proved that inclusive leadership is a leadership that promo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of inclusive leadership was expanded by demonstrating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Third, it was demonstrated that job invol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inclusive leadership raises the level of job involvement,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and it is confirmed that i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can be found. Fifth, feedback-seeking behavior can produc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individual disposition, internal motivation, various situational factors, and culture. It could be a more meaningful study.

      • 중소기업 근로자의 다양성수용이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포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민연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4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ustomers and organizational members are diversified, and in the ESG management environment, securing DEIB(Diversity, Equity, Inclusion, and Belonging) and innovating within the company is an essential strategy for survival.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inclusive leadership on the effect of individual openness to diversity on innovation behavior in organizat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learning agility, innovation behavior, and inclusive leadership? Second, does learning agility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300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which account for about 99.8% of all businesses and must be more agile in change in order to have continuous growth and competitive advantag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diversity, learning agility, innovative behavior, and inclusive leadership, openness to diversity only affect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learning agility. Like inconsistent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effect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iversity, situation variables, and intervention variables. Second, openness to diversity suggests the importance of learning agility as a variable in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only through the medium of learning agility. Beyond simply having various backgrounds, organizational members can lead to innovative behavior when they are accompanied by a willingness to learn and an attitude to learn. Third, inclusive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and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openness to diversity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learning agility increased when inclusive leadership increased.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at the same level of diversity in the organization, differences in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perceive diversity affect performance, so it means the need to prepare education and selection criteria, systems, and rewards within the organization to increase openness to diversity.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divided openness to diversity in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learning aspec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hat integrates performance and learning. Third,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ors' inclusive leadership to enhance innovative behavior through learning agility was confirmed. Organization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that embraces differences and suggest the need for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education to foster competent inclusive leaders. 세계화 시대에 고객과 조직 구성원들이 다양해지고 ESG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 내 DEIB(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소속감) 확보와 혁신은 생존에 필수적 전략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 개인의 다양성수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포용적리더십의 조절효과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인적자원개발 측면에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다양성수용, 학습민첩성, 혁신행동, 포용적리더십 간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습민첩성은 다양성수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셋째, 포용적리더십은 학습민첩성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전체 사업체의 약 99.8%를 차지하고 지속적 성장과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 변화에 더 민첩해야 하는 국내 중소기업 근무자 300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수용, 학습민첩성, 혁신행동, 포용적리더십 각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다양성수용은 학습민첩성을 매개로만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관되지 않은 선행연구 결과들과 같이 다양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성의 유형이나 상황변수, 개입변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양성수용은 학습민첩성 매개를 통해서만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변수로써 학습민첩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단순히 조직 구성원이 다양한 배경을 지닌 것 이상으로, 학습에 대한 의지와 배우려는 자세가 동반될 때 혁신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포용적리더십은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수용이 학습민첩성을 거쳐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는 포용적리더십이 높아지는 경우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동일한 다양성 수준이라도 개인이 다양성을 지각하는 정도의 차이가 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성수용을 높이기 위한 조직 내 교육 및 선발 기준, 시스템, 보상 등 마련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둘째, 기존 선행연구들이 다양성수용을 조직성과 측면과 학습 측면으로 각각 나눠 연구된 것과 달리, 성과와 학습이 통합된 연구를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학습민첩성을 통해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한 상사의 포용적리더십 발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조직은 서로 다름을 수용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역량 있는 포용적 리더들을 육성하기 위한 조직 전략과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엘리트 스포츠선수들의 조직정치인식과 지도자의 리더십이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주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엘리트 스포츠선수들의 조직정치인식과 지도자의 변혁적·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가진다. 현대사회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생하는 조직정치 행위는 불가피한 현상으로써 이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태도와 조직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다른 조직에 비하여 위계질서가 강하고 규율과 규정이 엄격한 스포츠조직에서는 정치행위의 만연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그중 엘리트 스포츠조직의 지도자들은 선수들에게 있어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조직문화가 형성된다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따라 스포츠조직의 조직정치와 지도자의 리더십에 의한 선수들의 행동양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엘리트 스포츠조직을 대상으로 조직정치의 영향력을 실증하거나 지도자 리더십의 결정요인으로써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조직 중 엘리트 스포츠조직을 대상으로 엘리트 선수들의 조직적 요인의 조직정치인식과 리더십 요인의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포용적 리더십이 선수들의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검증을 위해 2019년 대한검도회와 한국실업검도연맹에 소속되어 있고 현재 실업팀 생활을 하는 엘리트선수 167명과 과거 실업팀 경험이 있는 은퇴선수 107명 총 2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선수들의 조직정치인식은 구성원들의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선수들의 자발적 조직참여와 적극적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지도자와 선수들 모두가 공정하고 체계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 둘째,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는데, 이는 학생선수들과는 달리 성인이 된 실업선수들에게는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포용적 리더십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을 때 유의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태도(조직침묵, 조직시민행동)와의 인과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점으로 보아 엘리트 실업 검도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용적 리더십에 비해 낮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상할 수 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침묵과 조직시민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릴 때부터 비교적 딱딱하고 위계적 문화가 형성되는 무도스포츠의 특성에 의해 보다 열린 자세로 선수들과 교감하는 포용적 리더십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엘리트 스포츠조직의 조직적 요인(조직정치인식)과 리더십 요인 (변혁적·포용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함께 밝히고 검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할 수 있다.

      • 포용적 리더십이 서비스 접점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및 번영감의 조절효과

        김지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현장의 최전방에서 근무하는 고객 접점 사원에게 포용적 리더십의 리더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배태성의 매개와 번영감의 조절효과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직무배태성은 포용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는가 셋째, 번영감은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간 관계를 조절하는가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서비스 접점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12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포용적 리더십이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용적 리더십의 하위요소 3가지 중 개방성에 대한 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과 유용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독립변인인 포용적 리더십과 매개변인인 직무배태성 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용적 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유용성을 제외한 개방성 및 접근용이성이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독립변인인 포용적 리더십과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직무배태성은 완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용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포용적 리더십이 직무배태성을 거쳐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이다. 넷째, 독립변인인 포용적 리더십과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매개변인인 직무배태성 간 영향관계에서 번영감은 강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보이진 않았지만, 리더의 개방적인 자세가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서비스 접점 직원에게 적절한 권한과 책임 부여가 조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국내에서 번영감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번영감이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서비스 접점 현장에서 포용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을 강화하는 요인들의 영향을 실증분석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급변하는 인적서비스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 서비스 기업의 관리자와 리더는 서비스 접점 현장에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개선 및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customer contact employees working at the forefront of the service sit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hriving at work. The research question was first, inclusive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job embedded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ird, thriving at work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In order to verify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service contact workers, and a total of 312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PSS 23.0, 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the survey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dependent variable. Among the three sub-elements of inclusive leadership, leadership in open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ubordinates, but the ease of access and usefulnes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sive leadership, and the parameter, job embeddedness. Among the sub-elements of inclusive leadership, openness and ease of access, excluding usefulnes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ob embedded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job embeddedness as a parameter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 direct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job embeddedness is significan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and job embeddednes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thriving at work had a reinforcing and moder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nclusive leadership did not show a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leader's open attitude could lea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uggested that appropriat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riving at work has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in a situation where prior research on thriving at work is insufficient in Korea. Third, it is significant that inclusive leadership in the service contact field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factors that strength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apidly changing human service environment, managers and leaders of service companies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he service contact site and strive for improvement and growth.

      • 포용적 리더십이 중소 콘텐츠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과 성장마인드셋 및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박영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the job embeddedness of employees in small and medium-sized content business companies, and whether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justice can moderate the variables’ relationship.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issues examined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job embedded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justice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To verify the study issues,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content business companies in Korea. Through the survey, a total of 307 online survey responses were received and analyzed. The survey has 54 questions which are consisted of 9 questions for inclusive leadership, 16 questions for job embeddedness, 6 questions for growth mindset, 13 questions for organizational justice, and 10 question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survey analysis, statistical programs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moder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inclusive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job embedded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both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justice showed synergistic moderating effects. It implies that if the employee has the higher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 has the higher organizational justice, the tendency to increase has been strengthened.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job embeddeness,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academic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iveness of inclusive leadership on job embeddedness was demonstrated. Second, the study shows a synergistic moderating effect of the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improving job embeddedness. Thir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showed a synergistic moderating effect on job embeddedness.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that especially emphasizes inclusion among various types of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has been demonstrated. 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targeted the content business companies which has fewer existing study cases, compared with the other business groups. The followings are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executives need to make efforts and support strengthening inclusive leadership of management posi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help existing employees strengthen their growth mindset through enough experiences of growth and achievement for their job in the organization, and to recruit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growth mindset. Third, it is necessary to specify a system for fair distributive process so that employees do not leave the organization due to dissatisfaction and stress about unfair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airness of compensation and treatment based on continuous communication, coordination, and respect between organizations and employee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Further, the study direction was proposed based on limitations and complementary points identified in the research and analysis process. 본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이 중소 콘텐츠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를 성장마인드셋 및 조직공정성이 조절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 문제로 포용적 리더십의 직무배태성에 대한 영향,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조절효과, 그리고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중소 콘텐츠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7건의 온라인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포용적 리더십 9문항, 직무배태성 16문항, 성장마인드셋 6문항, 조직공정성 13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10문항,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변인 간 영향 관계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포용적 리더십의 증가는 직무배태성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간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과 조직공정성 모두 강화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성장마인드셋과 조직공정성 모두 높은 상태일수록 증가 경향이 강화되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간 관계에서 조직공정성 하위변인 중 절차공정성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의 직무배태성에 대한 긍정적 효과성을 밝혀낼 수 있었다. 둘째, 직원의 성취, 성장에 대한 발전적인 신념인 성장마인드셋의 직무배태성 향상에 대한 강화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직원들의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 인식이 직무배태성에 강화조절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 중 특히 포용성을 강조하는 포용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간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기존 연구 사례가 적은 콘텐츠 산업군을 다뤘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 콘텐츠기업의 관리 직급과 경영진은 포용적 리더십의 강화를 위한 노력과 지원을 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조직구성원들이 성장 및 성취경험을 통해 성장마인드셋을 강화하도록 돕고, 성장마인드셋의 중요성을 감안한 인재 채용이 필요하다. 셋째, 불공정성에 대한 불만과 스트레스로 인해 구성원들이 조직을 이탈하지 않도록, 보상체계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조직과 구성원 간 지속적인 소통과 조율, 존중을 기반으로 보상 및 처우의 공정성을 높여나가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 진행 과정에서의 제한점 및 보완점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직원몰입을 매개로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피드백 추구행동의 조절효과

        박지수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친사회적 행동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다섯째,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한 총 282부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직원몰입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변인 간 영향을 완화시키는 완화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리더는 최근 관계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는 포용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과의 관계는 의사소통에 대한 개방성 및 유용성을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리더는 구성원과의 의사소통 방식, 관계의 질을 점검하여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 리더는 포용적 행동과 더불어 직원들이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즉 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정서적 경험의 질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social Behavior, which means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has an impact o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between the two side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to induce pro-social behavi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set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effect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employee engageme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members' pro-social behavior? Fourth, Do feedback-seeking behaviors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working for domestic companie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 total of 282 survey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effect the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i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t is confirmed that employee eng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Fourth, feedback-seeking behavior does not appear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Fifth, feedback-seeking behavior has a buffering effect that mitigates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lead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relational leadership, an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so that they can put it into action. Second, since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is formed based on openness and usefulness to communication, the leader should make an effort to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by checking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Third, leaders must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engage with inclus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in which members can posi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rganization.

      • 창업기업 경영자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서운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19

        Most people will 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 policies and investments in funds are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start-up companies. It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preceding studies that support projects and investm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start-up companies. However,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growth and survival of start-up companies need to be identified from an internal factor or an internal perspective, not only from external support. Representative internal factors include managers and members. In this study, the internal factors necessary for the growth and survival of start-up companies were set a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which is explained by openness, accessibility, and ease, and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of start-up company member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test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start-up companies under 7 years since establishment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a total of 209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clusive leadership of the lead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members of the start-up company.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leader's listening to new ideas or problem situations, accessibility including discussion on problem-solving methods, members' requests, and ease of discussion are helpful for members' confidence in their tasks and strong affirmation of their abiliti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The openness, accessibility, and ease of leaders experienced or perceived by members mean that memb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s strengthened. Third, the self-efficacy of memb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fidence and belief in the task reinforc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Fourth,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inclusive leadership increases self-efficacy, which in turn promotes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the inclusive leadership of start-up managers creates positive result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inclusive leader rati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tart-up company managers confirm that the leader's actions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members, and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or reinforce them. 창업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 및 자금 투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부분의 사람은 동의할 것이다. 창업기업의 성장에 있어 지원사업 및 투자금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하지만, 창업기업의 지속적 성장 및 생존을 위한 필요 요인은 외부적 지원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 요인 또는 내부적 관점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내부적 요인으로는 경영자, 구성원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성장 및 생존을 위해 필요한 내부 요인을 개방성, 접근성, 용이성 등으로 설명되는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과 창업기업 구성원의 심리적 관점인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포용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간의 직접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포용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간의 간접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들의 관계 분석과 가설 검정을 위해 대구·경북에 위치한 7년 미만 창업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209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은 창업기업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새로운 아이디어나 문제상황에 대한 리더의 경청, 문제해결방법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 접근성, 구성원의 요청, 상의 등의 용이성은 구성원의 과업에 대한 자신감, 능력에 대한 강한 긍정 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성원이 경험 또는 인지하는 리더의 개방성, 접근가능성, 용이성 등은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과업에 대한 자신감, 믿음 등은 조직에 대한 몰입을 강화시킨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포용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즉, 포용적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이는 다시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합하자면 창업기업 경영자의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긍정적 성과를 창출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포용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창업기업 경영자는 리더의 행동이 구성원의 성과를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 또는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포용적 리더십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

        권영인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이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간의 영향관계와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매개효과로 가지는가?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 조직공정성은 조절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표본은 국내 기업에서 재직중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4월16일부터 5월12일까지 약 4주간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방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66명이 응답했고, 불성실한 응답없이 266명의 모든 데이터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직공정성이 강화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성원이 포용성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리더와 구성원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 직원몰입을 이끌어내야 하며 포용적 자세는 기업과 사회 그리고 개인 모두에게 필요한 덕목이자 경쟁력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몰입을 향상시키고, 포용적인 행동에 기여하는 바, 조직의 성과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불확실한 시대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필수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직공정성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구성원들은 친사회적 행동으로서 직무 수행 외 이타적인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의 관계형성에 주목하고 리더의 포용적 행동과 조직공정성의 공정함을 강화시키는 요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Does organizational fairness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Samples for verifying research problems were targeted at office workers in domestic companies, and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mobile questionnaires for about 4 weeks from April 16 to May 12, 2022. The survey was answered by 266 people, and all data from 266 peopl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out 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went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nclusive leadership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strengthened and controlled the positive (+) effect o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required to support leaders to demonstrate inclusive leadership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embers can work with inclu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and members to induce employee engagement,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that inclusive attitude is a necessary virtue and competitiveness for companies, society, and individu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boss' inclusive leadershi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an uncertain era because it is expected to improve members' engagement and contribute to inclusive behavior, leading to the expans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t can be predicted that members who percei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fairness at a high level can strengthen altruistic behavior other than job performance as pro-social behavior. Therefore, organizational lead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focus on factors that strengthen leaders' inclusive behavior and fairness in organizational fairness.

      • 포용적 리더십과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최호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직장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각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포용적 리더십과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포용적 리더십이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의 직장인으로부터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된 가설인 조직후원인식이 포용적 리더십과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후원인식과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며, 조직후원인식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를 통해 포용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쳐 조직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조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리더나 관리자들이 포용적 리더십을 개발하고, 그 리더십을 실행할 때는 부하직원이 조직의 후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리후생 확대와 적절한 책임과 권한위임을 통하여 조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주제어 : 포용적 리더십,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 조직후원인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f workplace bosse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toward indivisuals(OCBI)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POS) in this relationship. Through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and also to analyze the mechanism from inclusive leadership to OCBI. To verify the hypothesis, 33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to analyze them. The hypothesi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POS,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OCBI.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S and OCBI, and PO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CBI.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lead 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