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사조에 따른 가구디자인의 비교 연구

        최기선 明知大學校 産業奇術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International architectural trend has been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since disorganization of C.I.A.M. to wards the end of the 1950S. At that time the theory based on logical and aesthetic way of thinking penetrated the architectural trend of those days, which was connected to "Mannerism" and publiclyled Post-Modernism" It is found that "Post Modernism" embraced various kinds of people related to building like public, local inhabitants and architects and sought for solution in the practical way and attempted to harmonize with tradition in the above mainstream of thought these two trends of architecture of 20th century caused much change its inside, interior design according to the trend. The representative one of thorn is furniture design. Thus, this study tried to enlarge the width of understanding by looking into the location and meaning of furniture design in the trend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chitecture. As inquiry method, this study mainly analyzde and considered representative modernistic architects' furniture works and limited the range of furniture to chair. This study tried to inquire in to architects and their works in Post-Modern, concentrate upon the subject, "charles Jencks" defining Post-Modernism, make the symbolic language shown in Charles Jencks' concept of furniture design as norm for interpretation of design language in Post-Modernism Also this study considered domestic architects'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design by architectural trend in each period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inquiry are as follovo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furniture are as follows. First, they deny the past pattern and create new design. Second, they seek for deviation from decoration and rational practical use. Third, they definitely express the architects'Fourth, they accept furniture design by human environment. Those of post-midernistic furniture are as follovos. First, they reinterpret by giving meaning through modernistically understanding traditional element. Second they use eclectic expression with twofold code by accepting modernistic and ancient factors. Third, they show the signal meaning in symbolized decorations. Fourth, they show new design through reconstruction mixed with ancient factor. Th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two trends found in thos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stylistic defferences. That is they pursue contrary concept to ancient style and tradition. Second, there is a little different in rationalism and practical use of furniture Post-Modernistic furniture pursue somewhat exaggeration and decorative character. Third, there is different in architect's intent, the central point of loorks. Modernistic works emphasize architect's creativity while Post-Modernistic ones have a little applicability. Fourth, in the viewpiont of humanization, modernisic wohcs are mostly composed of human-environmental ones, Post-Modernistic ones approach in the viewpoint of human nature This study reached the above condusion in the comparative inquiry of furniture design according to modernistic and postmodernistic architectural trend, also wish to proceed more careful research on this though present one is quite in sufficient. 1950년 말엽 C.I.A.M의 해체이후 세계적인 건축 흐름은 여러 갈래로 나뉘어 졌다. 논리적이고 미학적인 사고 방식의 이론이 당시 건축 조류속에 파고 들었던 현대 건축의 태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면이『Mannerism』으로 연결되었으며 또 다시『Post-Modernism』을 대중적으로 이끌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사상의 주류속에서『Post- Modernism』은 대중과 지역주민, 건축가등 건물과 관계되는 여러부류의 사람들을 포용하면서 실제적인 측면에서 해결점을 찾고 전통과의 화합을 시도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20 세기의 두 건축 사조의 흐름에 따라 그 내부인 실내디자인도 추세에 따른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중 대표적인것이 가구디자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 사조속에서 가구디자인의 위치와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모더니즘에서는 사조를 대표하는 작가들을 가구작품 위주로 분석 고찰하며 가구의 범위를 의자에 국한 하였다. Post-Modern에서는 작가와 작품을 고찰하며, 작가들중『Post-Modern』을 규정하고 나선 Charles Jencks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Post-Modernism의 디자인 언어의 해석은「Charles Jencks」의 가구 디자인의 개념에서 보여지고 있는 상징적 언어를 규범으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작가들의 작품 또한 고찰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각 시대별 건축사조에 의한 가구디자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더니즘의 가구의 특징은 첫째, 과거의 양식을 거부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 하였다. 둘째, 탈장식적이며 합리적인 실용성을 추구하고 있다. 세째, 작가의 독창성 및 의도를 명확히 표출하고 있다. 네째, 인간환경에 의한 가구 디자인을 수용하고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 가구의 특징은 첫째, 전통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소화하여의미를 부여하여 재해석하고 있다. 둘째, 현대주의적 요소와 고전적 요소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2중코드에 절충적 표현이 나타난다. 세째, 상징화된 장식들에서 기호론적 의미가 나타난다. 네째, 고전요소의 결합과 재구성으로 새로운 디자인이 나타나고 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들에서 알수 있듯이 두 사조의 비교특성은 다듬과 같다. 첫째, 양식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 양식및 전통에 대한 상반된 개념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가구의 합리주의와 실용성에 다소 차이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가구에서는 다소 과장과 장식성을 추구하고 있다. 세째, 작품의 중심점인 작가의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모더니즘 작품은 작가의 독창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포스트모더니즘 작품 에서는 다소 응용적인 경향을 띄고 있다. 네째, 인간화의 관점에서 모더니즘에서는 인간환경의 경향을 띈 작품이 다수를 차지하나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에서는 인간본연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모더니즘과 포스모더니즘의 건축사조에 따른 가구디자인의 비교 연구의 결론을 지우며 다소 미흡한 점이 많으나 추후 이에 대한 사려깊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한국영화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미장센 : 장준환, 이명세, 박찬욱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최상열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Post-modernism began in the US & France from 1960 & generalized worldwide through the 1970's & 1980's. Post-modernism, the compound word - post & modernism was first used by Arnold Toynbee. Post-modern is first referred to in relation to literature in 1971 by Ihab Hassan & in visual art by Charles Jencks characterizing the situation of architecture in 1970. Post-modernism is the term given to current society like the consumption society & post-industrial society collectively. In addition, the phenomenon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concept & the contradictory concept. These phenomena showed up through the culture of the public & time modification more than the realistic subject that they were showing. For example, they were expressed through the architecture of Modern, literature, Politics, philosophy, art, and movie. Particularly, the post-modernism at a movie can find a feature with the popularity of a movie in the various mode, which is like the Mise-en-scene of a movie & picturing technique. Assuming the obscure division between high class & popular culture, films seem likely to reveal postmodernism's indications. Also, we are able to take a condensed representation of its features in films through up to date technology. In this thesis, the popularity of the post-modernism movie, the characteristic lik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image medium has been mentioned. It concentrated on particularly, the Mise-en-scene of a movie and the case of the Western and case of the South Korean movie were compared and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Western, the case about the Mise-en-scene was given for example, 'alien', 'till the early morning in dusk', 'matrix' And 'Avatar'. And the films of Jang jun-hwan, films of the Lee Myung-Sae, and films of Park chan-uk were given with the South Korean films as the case. The post-modernism movie rejected the modernism format like the art film based on the popularity of the characteristic of a movie since 1960's and grew a force. On the other hand, achievements are small compared with the large-scale achievements that are the cultural growth and commercial success in western countries. Otherwise, Korean Post-Modern Films are altogether neglected from public viewing. Commercial success is rarely achieved. Thus, it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of Mise-en-scen with the Western films. 포스트모더니즘은 1960년대 미국,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1970, 1980년대를 거쳐 일반화되었다. Post와 Modernism의 합성어로, 아놀드 토인비 (Arnold Toynbee)가 최초로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를 사용하였고, 포스트모던 (Post-modern)이란 용어는 문학 용어와 관련하여 이합 핫산 (Ihab Hassan)에 의해 1971년 처음 사용되었다. 반면 시각예술 분야에서는 찰스 젠크스 (Charles Jencks)에 의해 1970년대 건축의 특징을 말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소비사회, 후기 산업사회와 같이 현대사회를 지칭하는 용어들 중 가장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또한 전통적 개념과는 상반된 개념으로 많은 차이점을 보이는 현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현상들은 주로 삶이라는 현실적 주체보다는 대중들의 문화적, 시대적 형태 변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예를 들면 현대의 건축, 문학, 정치, 철학, 미술, 영화 등을 통해 표출되었다. 특히 영화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영화가 갖는 대중성과 더불어 영화의 미장센, 촬영기법과도 같은 다양한 양식으로 그 특징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모든 고급예술도 대중적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특징이라면, 영화는 그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내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영화는 최신 테크놀로지를 사용해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특성을 가장 대중적으로 포괄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대중성이나, 영상 매체간의 상호 텍스트성과 같은 특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특히 영화의 미장센에 집중하여 서구의 사례와 우리나라 영화의 사례를 들어 비교 분석하였다. 서구의 경우에는 ‘에이리언’, ‘황혼에서 새벽까지’, ‘매트릭스’, '아바타‘를 예로 들어 그 미장센에 관한 사례를 들었으며, 우리나라 영화로는 장준환의 영화, 이명세의 영화, 박찬욱의 영화를 사례로 들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는 영화가 가지는 특유의 대중성을 기반으로 1960년대 이후 예술영화와 같은 모더니즘 형식을 거부하며 세력을 키워왔다. 반면 위에서 언급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는 문화적 성장과 상업적 성공이라는 큰 업적을 이끌어낸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는 극소수를 제외한 경우 모두 대중들에게 외면당하고, 상업적인 참패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그 미장센 분석을 통해 서구의 것과 비교분석하였다.

      •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 특성

        차오이쥔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포스트모더니즘은 정치, 사회, 문화의 방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 철학 담론으로써 1960년대 미국과 프랑스의 문화운동 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성해방, 여성운동, 흑인인권운동 등의 사회 운동과 기존 전통예술을 부정하는 전위예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 며, 해체와 후기구조주의 사상에 기반을 둔다. 20세기 중반의 전 세 계 예술사조와 사상 및 이념에 영향을 미친 포스트모더니즘은 1980 년대를 넘어서 중국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국은 1970년대 후반 개혁개방을 선언하면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시작하였고, 이러한 사 회적 배경 속에 서구의 이념인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 동시 에 중국 문예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본 논문은 서구의 민주주의와 다른 사회체계인 중국의 사회주의에서는 어떻게 포스트 모더니즘을 수용하고 발전시켰을까? 그리고, 영화, 영상 분야에서는 어떠한 특성이 드러나며, 특히, 본 논문의 핵심 연구 대상인 애니메 이션 영화에서는 어떻게 중국 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이 내재되었 고, 중국의 사회가치가 반영되었을까? 라는 연구질문에서 시작된다. 1990년대 중국 문예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은 본질주의와 반 본질주의에 대한 토론으로 전개된다. 또한, 중국 의 시장경제 개혁 배경과 세계화의 조류에 힘입어 포스트모더니즘 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중국 사회생활과 사상문화의 각 방면에 영향 을 미치며 중국 현대 문화의 형성에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전개는 첫째,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196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성향과 발전과정에 대해 여러 관련 학 자의 이론을 중심으로 그 특성에 대해 논한다. 둘째, 포스트모더니 즘 사조가 중국의 문예, 영화, 애니메이션 등 영상문화에 어떠한 영 향을 미쳤는지 이론적 의의와 실천적 가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 째, 포스트모더니즘 사조가 중국 현대 문화 형성과 더불어 애니메이 션 영화의 연출에 어떠한 특성으로 표출되는지 <영웅의 귀환, 2015>, <대어해당, 2016>, <대호법, 2017>, <백사연기, 2019>, <나타지 마동강세, 2019>의 5편에 대한 사례분석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으로 구성되며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문헌연구는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과 중국의 영상문화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문헌연구는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 (Algirdas Julien Greimas)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또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연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의 영상 “모방 문화“ 관점을 살펴보고, 포스 트모더니즘 학자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cois Lyotard), 위르 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자크 라캉(Jacques Lacan), 질 들뢰즈(Gilles Louis Rene Deleuze), 미셀 푸 코(Michel Foucault),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프레드릭 제임 슨, 이합 핫산(Ihab Hassan), 데이비드 레이 그리핀(David Ray Griffin), 헨리 지록스(Henry A Giroux), 리차드 로티(Richard Rorty) 의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 의 매체에 대한 관점과 발터 벤야민(Walter Bendix Schoenflies Benjamin)의 아우라(Aura)에 대해 분석한다. 중국의 영상문화에 내재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대해서 1990 년대 문예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중국의 사회가치와 어떻게 혼합 되고 발현되는지 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1970년대 중반까지 다양한 혁명의 정치적 배경과 1980년대 이후의 사회현황 을 배경으로 한 영화체제 및 영화 콘텐츠의 특징의 변화를 분석했 다. 중국 설립 이후 중국 영화가 인민공사화 운동, 문화대혁명 및 개혁개방 이후 각 정책에 따라, 영화 스타일의 특징도 변화한다. 특 히 4세대 감독 이후 5세대 감독부터 6세대 감독까지의 영화 내용과 장르의 다원화이다. 또한 6세대 감독의 영화 작품들이 점차 나타나 는 즉흥식, 카니발식, 콜라보레이션, 패러디의 포스트모더니즘 특징 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 매개체,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에 대한 연구와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관한 연구로 전개된다. 21세기 이래 중국의 여러 영화는 절충주의적 경향을 보였 으며, 이야기에 대한 해체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의 표현 형식을 이 용하여 모호와 불확실한 예술적 경향을 형성하였다. 현대 SNS(Social Network Service)인 브이로그(vlog)와 틱톡(더우인/抖音)의 등장과 사 용을 통해 중국 포스트모더니즘 영상 예술 발전의 필연성을 살펴본 다. 중국화의 “사조화(师造化)“와 서양화의 “모방설(模仿说)“을 설명 한 표현 기법으로 중국과 서양 애니메이션의 예술경향을 분석했다. 문헌연구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에 내재된 공통적인 특징과 영화, 영상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요약해낸다. 이 를 기초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이 중국 애니메이션에 어떠한 특성으로 표출되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연구에서는 포스 트모더니즘 사조가 중국 애니메이션 제작에 끼친 영향과 나타난 특 징은 첫째, 1990년대 이후 21세기의 애니메이션 창작에서 더욱 뚜렷 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 애니메이션은 점차 단순한 교훈과 예술 형 식의 결합에서 예술 미학과 상업이 공존하는 측면으로 변화하고 있 다. 애니메이션 영화인 <영웅의 귀환, 2015>, <대어해당, 2016>, <대 호법, 2017>, <백사연기, 2019>, <나타지마동강세, 2019>는 조형, 인 물 성격과 줄거리에서 다원화와 복잡성을 연출했다. 하이퍼텍스트로 기존의 법칙을 뒤집고, 전통 애니메이션의 주요 특징을 변형시켰다. 여성상과 대중 영웅, 양성 이미지를 재창조하는 추세이다. 내용적으 로는 엘리트주의와 계급성, 숭고성에 대한 해체가 시도되었으며, 또 한 선악, 미추 등 이원 대립 패턴의 해소가 있었으며, 개인의 운명 과 욕망 표현에 주목한다. 또한, 네 편의 애니메이션은 아이러니, 게 임식, 경의를 표하는 마음으로 원작을 모방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다섯 편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사례 분석 대상으로 삼아 중국 포스 트모더니즘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의 영역을 넓 힐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리라 생각 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중국 문예와 영화 영상, 그리고 애니메이션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은 시의 적절하며, 학술적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를 통한 미술교육 방향에 대한 탐구

        함영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근대(近代) 시기 동안 한국 미술교육의 전반적인 목적을 요약하자면, 그것은 모더니즘 체계 내에서 ‘표현으로서의 미술이론’에 전적으로 입각한 것이었다. 이 이론은 미술실기 자체가 개인적인 즐거움과 쾌락, 정서의 발달과 해방감을 주는 방법으로 간주하며 주로 심리학적 이유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미술교육에서 도구주의적 입장을 취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표현중심 교육과정’은 어린이의 개인적인 감정 상태와 창의성을 끄집어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함축하는 하나의 문제점은 미술에서 자아표현을 고무함으로써 미술 실기에서 개인적인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잘못된 전제를 믿는 반지성적 태도를 낳았으며 미술교육의 목적과 기능에 하나의 정설을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일반 미술계와는 달리 학교에서 가르치는 미술은 반드시 어린이의 인성과 창의력의 계발에 관여해야 하며, 어린이 미술은 어린이 미술로서 신성시되어야 하는 그만의 양식이 있다는 믿음이 바로 그것이다. 더 나아가 미술교육에서 실기가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은 언제까지 변하지 않는 진리가 되어 있다. 이런 경향은 서양미술교육의 역사에서 어린이들의 개성과 독창성, 정서 순화에 기여한다면서 미술이 교육에서의 위상을 주창하였던 20세기 초와 중반에 해당되는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현상이었다. 서양에서는 이 자아표현을 교수법으로 내세운 ‘표현주의’가 진실로 인성교육이나 창의력의 계발에 기여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사학적 미사여구만 되풀이함으로써 미술교육 발전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으로 판단하여 미술 교육 역사의 다음 장을 펼쳤을 정도다. 그런데도, 이 ‘표현주의’ 이론의 전통은 오히려 한국과 일본에서 고정 불변의 이론이 되어 반세기가 넘도록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미술교육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다. 즉 미술교육의 목표는 바로 창의성 또는 인성 계발이라는 등식을 성립시킨 것이다. 미술이론과 교육학이 사회․문화적 배경인 시대에 맞게 변화를 거듭해야하고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가 고정된 설(說)이 있을 수 없다는 점에서 봤을 때, 기존의 미술교육은 여러 모로 한계점이 드러나 부적절하다.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사회 변화에 따른 세계관의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교육에서의 변화를 필연적으로 수반해야만 한다. 이에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현 시대의 흐름과 경향성을 올바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미술교육학 논의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원화된 사회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흐름인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형성과정, 사상적 배경, 개념적 특성을 고찰하고 그것에 영향을 받은 현대 일반 미술계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포스트모던 시대의 초등미술교육에 적용할 미술교육의 새로운 방향, 실천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포스트모던 미술교육의 새로운 접근방향으로 시각문화학습으로서의 미술교육, 창의적 인지작용으로서의 미술교육, 다문화 교육과정으로서의 미술교육, 간학문적 접근으로서의 미술교육, 상징적 문화 생산으로서의 미술교육을 제안하였다. 또한 방향에 따른 미술교육 실천 방안을 학습내용, 학습방법, 교수․학습활동, 교사교육으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포스트모던 미술교육의 과제 및 한계점을 제시하여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상에서 제안된 미술교육방향, 실천 방안들은 ‘표현으로서의 미술’로 정형화되어져 있던 우리나라 미술교육이 21세기의 세계화, 다원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는 미술교육으로 나아가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 포스트모더니즘을 기초한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권재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1960년 이후에 예술의 전번적인 분야에 폭넓게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은 이성중심 형이상학적 진리관을 거부하고 그 대안적 차원으로 다원주의를 제기하였다. 바로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는 다문화미술교육은 사회적, 비판적, 역사적 시각에서 접근한다. 즉, 탈정전화를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다문화 미술교육의 기본 배경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을 먼저 제대로 이해하고 이 사상이 현대사회에 요구되고 있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을 구성하였다. 2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를 다루었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고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을 살펴봄으로써 시대론적, 인식론적 개념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해 논하였다. 다문화 미술교육의 배경과 필요성을 논하고 다문화 미술교육에 관련되는 학자들 맥피, 스미스, 스터, 등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다문화 교육의 한계점을 이야기하였다. 4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문화미술교육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문화 미술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개념인 다원론과 결정적인 연관을 맺고 있다. 그러나 실제 다문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이 많은 부분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학설과 상충되고 오히려 모더니즘과 연결될 수 있다고 한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슬리터와 그랜트가 발견한 다문화 접근을 살펴 포스트모더니즘과 다문화 미술교육의 관련성을 다시 한 번 다루게 된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 한 여러 접근 중 사회재건주의적 접근 방법이 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가장 잘 받아들인 접근 방법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에서 다문화 미술교육의 기본 배경이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 논리에 그 바탕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다문화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자아존중의식 혹은 새로운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긍정적 자아의 정체성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교육이다. 우리나라는 다문화 미술교육이 발생한 미국만큼 인종과 민족이 다양한 나라는 아니다. 그러나 분명 우리나라 역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이민자들이 늘어나면서 점점 다양한 문화가 도입되거나 새롭게 생성되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문화적인 갈등 안에서 편견과 차별을 넘어 자아를 세워나갈 수 있게 돕는 교육은 필수적이다. 또한 새로운 문화 혹은 자신과 다른 문화에 대해 유연하고 진지하게 받아 들이는 인간을 만들어 내는 교육 역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발전시키는데 미술교육은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Postmodernism emerging over the all of the fields in 1960 refused metaphysical truth point of view and raised the Dawin for an alternativ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ffected by postmodernism approaches with social, historical and critical views. It means that postmodernism is backgound for basic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postmodernism and exam influence on multicutural art education required in modern society. The Construc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 Chapter 2 is for understanding postmodernism . This chapter covers the background ,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By examing postmodernism , postmodernism is considered as a concept for epistemology. Chapter3 comments on art education : Background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necessity, scholars regarding art education . In addition to , It presents the way for acess, the limit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hapter4 consider relative between postmodernis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Muticultural is decisively to do with the Dwin which is core concept for postmodernism. But actually , program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lash with postmodernism in most part, rather modernism apply with that. Therefore, It presents multicultural access founded by Seater and Grant. In these analysis, It implicated that the basic background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based on the logic behind the Dawin.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o develope students' positive identities for coping with new environment. Korea doesn't have various race and ethnic like America. But Korea is getting 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ies. So new cultures has been introduced by them.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educate for right identities without discriminations and prejudices. Also, Education for accepting rightly different cultures for us is needed. Art education will be the core role to develope and accept various cultures.

      •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대안으로서의 경험적, 참여적 예배에 대한 연구

        구아름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post: 뒤의 또는 반대의, modernism: 모더니즘) 시대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은 하나의 시대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는 것이며, 그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과 사고체계, 표현 방식, 의사소통의 방식 등도 변화했다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은 각 사회가 처해있는 여러 상황에 의해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영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한 사회 안에 완벽하게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더니즘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과도기적 상태에 있다. 분명한 것은 오늘의 한국 사회 안에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 했다는 것이고 상당히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예배 안에서도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이 세대속의 교회는 마치 외국 문화 속으로 진입한 선교사들이 그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그들과 함께 생활하고,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그들의 옷을 입고, 그들의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기독교 이후 세대라 불리 우는 이머징(emerging) 세대들을 접할 때 그들의 삶에 이미 널리 퍼진 세계관을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 교회는 불변의 진리와 영원한 목적에 중심을 두고 있어야 하지만, 시대와 사람들의 가치관이 끊임없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민감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의 전환은 예배의 패러다임에도 전환을 가져왔다. 그것의 대안으로 이머징(emerging) 예배, 블랜디드(blended) 예배, 영국의 대안(alternative) 예배 등이 주목받고 시도되고 있으며 한국도 한국적인 풍토에 따른 대안을 찾아 변화하는 시대에 드려지는 예배에 대하여 반응해야 할 것이다. 분명히 예배는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지만 하나님을 체험하고 경험하는 예배의 결과로 복음이 구도자들에게 전해지기 때문이다. 성만찬이나 교회력 등의 기독교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예전들을 새롭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재정립하고, 예배의 공간이나 예술 등의 사용들을 통해서 변화하는 문화적 코드(code)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물론 시도에 있어서 교회 전체에 영향이 미칠 정도의 지나친 변혁을 시도한다거나 공동체 안에서 충분한 동의와 의견 수렴이 없는 상태에서 몇몇 사람들만의 변혁은 옳지 않지만, 새로운 예배는 시도되어야 한다. 최선을 다해 우리의 모든 것을 드려 드리는 예배가 하나님께 드리는 최고의 응답이기 때문이다.

      • 포스트모더니즘의 극복을 위한 교회공동체의 과제 연구

        유순이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제까지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과 그것이 교회공동체에 나타나는 현상과 교회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용어상 모더니즘 다음에 오는 현상으로서 모더니즘이 가지고 있는 이성과 절대 진리, 객관성을 부정하며 시작되었다. 70년대 이후 이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어휘는 건축, 문학비평, 철학, 문화와 사회 전반에 걸쳐 사용되면서 급속하게 우리의 사고에 파고들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이후’, ‘탈’, ‘해체’등의 다양한 의미를 제시하며 모더니즘의 절대적 진리와 절대적 개념, 신적계시나 전통적 세계관을 거부하고 상대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는 이원론적 세계관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세계관은 기독교에도 영향을 미쳐 탈 중심화, 탈 규범화, 해체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기독교의 절대 진리를 부정하며 진리의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은 교회 건물 형식에서도 나타나게 되었는데 기능을 중요시 했던 모더니즘의 건물 양식은 소비자의 구미에 맞추려는 듯 포스트모더니즘의 교회 건물 양식은 쇼핑 몰과 테마 공원의 형태로 나타났다. 예배의 형식에 있어서도 열린 예배와 사이버 예배등의 다양화로 나타나 논쟁이 되었으며, 다원주의와 종교다원주의, 상대주의의 영향으로 도덕성의 파괴와 해체와 허무의 시대를 낳게 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세계관은 절대적인 가치가 무너지고 가치상대론과 더불어 감성적이고 의지적인 자아로 감각적인 삶을 추구하며 공동체는 해체되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냉소주의는 허무와 쾌락의 가치를 추구하게 되었다. 한상진, 총신대논집, p. 126. 이처럼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와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교회 공동체는 기독교에 대한 대안으로서 말씀에 근거한 진리의 선포와 예수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선포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종교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던 상대주의에 대응하기 위하여 말씀의 진리로 무장해야 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회는 공동체는 신앙공동체로의 회복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형상을 목표로 삼는 전인격적인 그리스도인의 양성과 사랑공동체로의 회복을 통하여 성경적 세계관에 입각한 바른 실재의식의 회복과 신앙과 사랑의 건강한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 Grapus 그룹의 Poster Design을 중심으로

        김수미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포스트모더니즘의 출발은 모더니즘이 끝났다는 인식에서부터 비롯되지만 모더니즘의 형식들을 모방 인용하면서 그 형식을 보완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절충주의의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복잡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미학적 문제 이상으로 정치적인 것과 결부되어 있어 논의 범주 또한 광범위하다. 프랑스의 디자인 그룹인 그라푸스(Grapus)의 그래픽 디자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특징을 찾을 수 있는데, 이런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은 '다원주의', '패러디', '대중문화의 수용'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하는데 '다원주의(Pluralism)'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는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어떤 특정한 시대에 지배적인 하나의 운동이 존재하는 문화개념이 아닌 여러 미술이 같은 순간에 병존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문화개념이 다.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표현상의 특징중의 또 하나는 모더니즘의 모작이다. 그것은 또한 패러디(Parody)라는 용어로 정의되기도 하는데 패러디는 물론 현 양식의 중복성을 뜻하지만 이미 사용된 양식의 부분 '인용'이나 하나의 형식을 그대로 빌려오면서 내용을 바꾸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얻은 효과는 왜곡, 부정, 풍자등의 방법을 통해 보다 비판적인 이념을 정립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현대미술과 디자인에서 이런 경향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은 분명 모더니즘을 반복하는 일면을 가지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모더니즘의 역사주의를 계승하는 절충주의(折衷主義)의 형식으로 후기현대 문화의 소산물로 여겨지는 것이다. Grapus 그룹의 포스터도 큐비즘에 영향을 받기도 했고, 다다의 포토몽타주, 미래주의의 타이포그래피의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은 대중문화와 통속미술을 새롭게 평가하였다. 통속적 이미지는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고 쉽게 이해되는 성질을 가진 대중문화의 한 특성으로 Grapus 작품에 부각되어 나타난다. 통속적 이미지들은 주로 인간의 본능적인 측면, 감상적인 측면에 호소하는 경향이 발견되는데, 이는 죽음과 폭력, 성과 사랑, 농담과 코믹, 꿈과 환상, 눈물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Grapus 그룹의 작품에서는 농담과 코믹의 해학성과 꿈과 환상성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나타나는데 이것은 대중예술의 특징이며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요인이다. Post-modernism origin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nd of modernism but also is characterized by the eclecticism that it supplements, succeeds to, and develops the forms of modernism while imitating and citing them. And since post-modernism characterized by complexity is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issue beyond the aesthetic issue, the scope of its discussion also is very extensiv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can be searched in Grapus, France design group. Pluralism,'parody,'and the accommodation of mass cult can be cited as thes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In the first place, it is thought that the term of pluralism is still most appropriate in expla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ound throughout the post-modern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This is not the cultural concept that one dominant movement exists in a particular era but the cultural concept meaning that several forms of art exist at the same moment. One of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is the imitation of modernism. It is also defined as the term of parody, which of course, means the overlapping nature of the current style but means changing the content while citing a part of the already used style or borrowing one form of it. The effect obtained by doing so acts very effectively to establish the more critical method through such methods as distortion, negation, satire, and the like. This trend can be easily found in contemporary art and design, and post-modernism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the post-modem culture in the form of eclecticism that it ultimately succeeds to the historicism of modernism at the same time that it clearly has the repeated facet of modernism. This characteristic is found 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which indicates that post-modernism was influenced not only by Cubism but also by the photo-montage of Dadaism and the typography of futurism. And post-modernism made a fresh estimation of mass cult and popular art. A popular image finds expression as it is highlighted in the work of post-modernism as one characteristic of the mass cult that triggers the interests of the masses and is of the easily intelligible nature. It is discovered that popular images have a tendency to appeal largely to the instinctive aspect and the sentimental aspect of human beings, which can be analyzed as death and violence, sex and love, joke and comic, dream and illusions, tears, and the like. Ggapus group shows joke and comic, dream and illusions, interacting among things. These are characteristics of popular art and factors of post-modernism, showed graphic design.

      • 포스트모던 미술의 저작권 문제 연구

        조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발생, 개념, 논리, 성격, 사회적 배경 및 특성을 저작권과의 연관 속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특성을 알고, 이와 관련하여 저작권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와 저작권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저작권은 미술에서 건강한 발전과 작가의 작품 창작에 있어서 가장 정상적인 덕목인 정정당당(正正堂堂)과 창작성과 개별성을 존중받기 위한 꼭 필요한 요소이다. 작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외형적인 겉모습만이 아니라 작품 자체를 뒷받침해주는 저작권과 관련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미술의 발전과 흐름에 따라 미술문화에 대한 관심과 미술작품의 가치는 높아지지만, 미술 저작물과 저작자는 이러한 미술시장의 발전과 미술저작물의 가치상승에 따른 보호와 적절한 권리를 보장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미술저작물과 저작자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부족하고 미흡한 반면 미술시장의 확대방안에 대한 연구에만 중점이 두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은 다원화된 새로운 미술을 보여주며 차용과 복제, 복합성을 지니는 성향을 고려하였을 때, 이와 관련한 저작권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를 파악해야하며, 어떠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지 알아보아야한다. 차용미술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 패러디와 패스티쉬를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특성상, 저작권과 관련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과 위조의 문제, 표절과 차용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다. 이에 따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과 저작권의 문제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부분은 본 논문에서 연구되어야할 부분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개념과 특성을 정확히 알고 이와 저작권을 관련지어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과 의도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과 저작권의 관련성과 해석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있어서 저작권의 의미를 보다 효력 있게 만들어, 저작권의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 사회, 문화적 현실을 반영하는 역할과 가능성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있어서 저작권은 무엇을 말하는가와 어떠한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는지는 본 논문에서 논의해야할 핵심적인 부분이다.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 도시를 주제로 한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황현숙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1960년 미국과 프랑스에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은 70년대와 80년대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일반화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에는 이성을 도구로 합리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모더니즘이 주된 흐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을 통한 참혹한 살상의 경험 그리고 대중적인 지지를 받는 인사들의 암살이나 개발에 따른 환경의 무분별한 급속한 파고, 환경 파괴에 기인하는 구지적인 기아의 발생 등 개인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혼돈과 혼란, 충격이 누적되면서 인류는 기존의 전통적인 가치를 부정하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반동으로 탄생한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인 기원이나 그것의 정의에는 많은 이론과 의견이 있으나 중요한 것은 소위 포스트모더니즘 적인 현상이 알게 모르게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으며 초기에는 다소 어색하고 생경한 느낌을 갖던 그런 현상들이 이제는 그리 큰 화제가 되지도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우리 사회의 한 문화 형태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고 그것에 기인한 제반 사회현상을 살펴보는 것은 바로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한두마디로 정의할 수 없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전반적인 특성은 기존의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탈 합리, 탈 형식, 탈 권위, 탈 논리 등 기존의 가치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현존의 질서와 가치를 부정하고 파괴하는 문화 형태로 나타난다. 원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작은 건축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문학, 연극, 영화, 음악, 미술을 비롯한 특정 전문가 영역은 물론 대중의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텔레비전이나 비디오와 같은 영상 매체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텔레비전이나 잡지와 같은 매스미디어에서의 포스트모더니티의 등장은 그런 매체의 선도적인 역할이 있었다기보다는 사회의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반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우리 사회의 포스트모더니티는 별도로 구분할 필요도 없이 생활 그 자체를 형성해가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지불식간에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 버린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탄생의 역사적 배경과 관련 학자들의 견해를 연구하고 기존의 모더니즘과의 차별성, 포스트모더니즘 자체의 특성을 다각도로 정의할 것이다. 또한 현실에 반영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새로운 문화 형식을 이해하기 위해 대중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TV 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살펴보고 뮤직 비디오와 영향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살펴볼 것이다. 작품 진행에 있어서는 20세기 후반 즉, 고도의 테크놀러지가 주도하는 현대의 포스트모더니티를 “도시”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화하여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이 작품에서 주제로 삼은 “도시”는 “Technology City"라는 환경적인 파트와 그 환경을 인식하는 주체로서의 “나”를 표현한 파트로 구성된다. 이 두 프로젝트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와 포스트모더니티를 가진 인간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런 연구를 통해 우리의 시간과 공간을 재 의미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역사의 어느 시점쯤에 와 있는가를 재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 흔히 나타나는 식구 계층간의 심각한 갈등과 몰이해의 봉합 점을 찾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ostmodernism has been begun in US and France from 1960 and generalized worldwide through the 70´s and the 80´s. Before the postmodern- ism, the modernism was the main stream that pursues rationality and efficiency with reason. But personally insuperable chaos, confusion and collision - the experience of the miserable killing and wounding during the two times of World War, the assassination of the leading people who were supported by the public, the rapi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local starvation caused by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 have been accumulated, human beings has come to deny the traditional merit. The postmodernism is the counteraction against of those. There are lots of theories and opinions of the definition of the postmodernism and its historical origin, but the importance is the fact that the postmodern phenomena are happened to our society and considered a sort of cultural form at present that were regarded odd or strange at first. So to understand postmodernism and to study the general social phenomena owing to the postmodernism could give us chance of looking-back ourselves who live the 21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postmodernism in one or two words, but its general characteristic can be found as the counteraction against the modernism and tends to be appear as the cultural form pursues irrational, informal, non-authorable and illogical The origin of the postmodernism was the architecture, yet now can be found easily on TV or video that influence the life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special fields like literature, act, movie, music and art. The appearance of the postmodernity on TV or magazines are the reflection against the general social phenomena rather than their leading role. On this point of view, postmodernism is said to be building up the life itself so it doesn´t need to be classified. So this paper, with the postmodernism that has been part of our life unconsciously, is going to show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opinions of the associated scholars and define its characters multilaterally. This paper is also going to handle the postmodernism appears on TV advertisings that the public accesses easily and the postmodernism on music vedios and movies. And the processing of the work shows the present postmodernity by the animation with the subject of ‘City’. The ‘City’ of this work is consist of the two part. -‘Technology City’ is the environmental part and "I" the chief object who recognize the environment - With this two project, the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postmodern society and the human who possesses the postmodernity. With this study, we could re-recognize where we are in history now through the remeaning of the time and the space. Especially, it also can seek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 that oftenly appears during the rapidly changing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