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립식 목조주택의 평면 모듈 설정을 위한 연구

        김재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은 사회적 측면에만 국한되지 않고 생명 위협의 단계로 인식될 만큼 그 피해가 크다. 특히 포름알데히드 및 유기 화학성 물질 등으로 인한 주거공간내 공기질의 오염에 대한 폐해는 생활공간의 질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러한 주거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 및 화학성 마감재 건축을 지양하고, 자연소재를 이용한 친환경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으로는 흙 건축과 목조 건축을 들 수 있다. 목조건축의 경우 전통적인 건축 재료이며,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애용되고 있다. 특히 목조건축의 경우 건식공법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건축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건설교통부의 건축구조설계 기준 개정을 통해 5층 규모의 목조주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써 목조주택을 전원이나 농촌에서 뿐만 아니라 친환경 주택이 필요한 도심지내에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목조 공동주택이 5층 이상의 고층화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안전성이나 공간의 가변성이 높은 기둥-보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둥-보 방식은 화재시 구조 부재에 탄소 피막의 형성으로 내화 성능이 뛰어나므로 목조 주택의 가장 큰 단점인 화재에 유리하며, 플랫폼 구조와 혼용시 다른 목조주택 방식보다 공동 주택에 적합하다. 최근 목조주택의 건설 방식은 공장생산 후 현장조립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현장조립 우선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현장 인건비가 높고 자재 손실이 많아 공사비가 높을 수밖에 없는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주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높은 건설비가 목조주택을 보급화 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적합한 기둥-보 방식의 목조주택의 모형의 개발에 최종 목표를 두고 일차적으로 기존 주거공간의 공간구성과 단위공간의 규모 및 모듈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목조주택 공간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조주택의 보급화를 위하여 조사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구화된 목조주택을 한국의 생활문화에 적합한 한국형 목조주택으로서 보급화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현실과 문화가 나타나는 주거 형태로의 변모가 필요하다. 목조주택을 한국의 생활문화에 적합한 목조주택으로서 보급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주거유형중 거주가구수가 가장 많은 아파트를 중심으로 평면 공간구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목조주택의 모델로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우리의 전통 목구조 방식과 유사한 기둥-보 방식의 목조주택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조사 방법을 통해 기둥간격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류대상의 기준인 bay 수에 따른 조사를 통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둥 간격을 추출하여 모형화하고자 하였으며, 조사되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 bay 평면유형에서 사용 가능한 기둥 간격은 3.0m, 3.3m, 3.6m, 3.9m, 4.2m, 4.5m, 4.8m의 7가지로 나타났다. 2. 3 bay 평면유형에서 사용 가능한 기둥 간격은 3.0m, 3.3m, 3.6m, 3.9m, 4.2m, 4.5m, 4.8m, 5.1m의 8가지로 나타났다. 한국 표준 협회에서 규정하는 「건축 모듈 정합 설계 기준(KSF 1525)」의 수평 모듈 정합설계의 규정의 기준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폭은 3.0m, 3.3m, 3.6m, 4.2m, 4.8m로 정리되며, 깊이는 3.0m, 3.3m, 3.6m, 4.2m를 사용 할 수 있다. 2. 경제성과 합리적인 모듈의 적용 및 공간 확보를 위해 깊이의 기둥 간격 중 3.0, 3.3m를 제외한 3.6m, 4.2m, 4.8m를 사용 할 수 있다. 기둥-보 방식 목조주택에 조사되어진 기둥 간격을 기본적인 6가지 평면 형태에 적용한 결과 3.6m와 4.2m의 모듈 을 통해 소요실의 구성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겹집구조가 아닌 홑집의 경우 3.6m의 기둥간격은 복도와 같은 이동 공간을 내부에 덧붙여야 하는 단점이 나타났다. 이를 감안할 때 4.2m의 기둥 간격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다중 증거를 이용한 3차원 광역 평면의 추출

        서정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실제 로봇이 실내에서 물체를 조작하기 위해 물체가 놓여진 광역평면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로봇이 작업하는 환경에서 광역 평면의 추출은 로봇이 목표 물체를 찾기 위한 공간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해진 공간에서의 광역평면이 아니므로 실제로 카메라로 얻어진 정보만을 이용하여 3차원 평면을 검출해야 한다. 실제 공간에서 얻어지는 여러 정보들은 현재 환경에 따라 카메라에 들어오는 정보들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한 가지 정보가 아닌 여려 정보들을 이용하여 3차원 평면을 검출해야 한다. 그 첫 번째 로 3차원정보를 이용한 평면 검출을 제시한다. 1. SIFT특징과 RANSAC을 이용한 방법 2. 3차원 포인트 집합과 포인트 클러스터링방법을 이용한 평면 검출방법 두 번째로는 2차원 정보를 이용한 평면 검출을 제시한다. 3차원 정보가 풍부하게 검출되지 않을 경우 2차원 line정보를 이용하여 평면을 검출한다. 끝으로 실험적 결과를 통해서 제시한 방법이 실시간으로 평면 검출함을 보인다.

      •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미국, 싱가포르, 핀란드를 중심으로

        심영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th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area of plane figure of Korea, Japan, USA, Singapore and Finland’s textbooks will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implication about our textbook’s develop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establish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 How does each country’ textbooks show about the instructional time and sequence of the area of plane figure? B. How does each country’ textbooks show about the instructional method of the area of plane figure? For this study, Chapter Ⅱ is describ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eaching of the area of the plane figure and Korea, Japan, USA, Singapore, Finland’s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consideration previous research study. Chapter Ⅲ study,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were described in detail the process for. Chapter Ⅳ, in Korea, Japan, USA, Singapore, Finland’s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chapter Ⅴ, based on chapter Ⅳ,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n the case of Korea and Japan, the students learn for the first time the area of the plane figure in the second semester of Grade 4. This is faster than Singapore and USA, slower than Finland. Second, in Korea, Japan and Finland’s textbooks, the students learn the mensuration formula of rectangle and square earlier and then study mensuration formula of parallelogram and triangle. But in case of USA and Singapore, the students learn the mensuration of the triangle in advance or they never study the mensuration formula of parallelogram. Third, in learning contents about the area of the rectangle and square, the mensuration is inferred by counting the standard units one by one in Korea. And in learning contents about the area of the parallelogram, the textbooks show the mensuration formula by the form of equivalent deformation in Korea, Japan, USA and Finland. Fourth, the biggest feature is that the Singapore students never study the area of ​​a parallelogram. More over, it guides whole one section of the area of triangle. So, learners without learning the area of ​​the parallelogram can study about triangle’s area easier. Fifth, the area of the trapezoid is dealt only in Korea, Japan and USA. And the area of the diamond shape is dealt only in Korea, and Japan. The area of the circle is dealt in Korea, Japan, USA and Singapore, and the teaching method is the form of equivalent deformation to rectang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dications obtained by simu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be slow down the teaching time or provide activities continuous repeatedly so that learners can remember the area ideal. Second, it would be better to follow the present Korea’s teaching procedure for natural order to extent of an obtuse triangle. Plus it is useful that let students know in a variety of ways to get the area of the plane figure through taking advantage of many other countries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show the formula simply, like this “base × height”, by unification the official term rather than each formula presented separately. Fourth, a clear definition of each concept and a variety of problem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is needed to help learners. Finally, except for the five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of different countries and a variety field are necessary.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 to develope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 미국, 싱가포르, 핀란드의 교과서에 제시된 평면도형의 넓이와 관련된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지도 시기와 순서, 내용, 방법 및 세부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교과서에 발전을 기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더 나아가 교수 학습의 개선 및 수학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 지도 시기 및 순서가 각 나라의 교과서마다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가? 나.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 지도 방법이 각 나라의 교과서마다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개를 위해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한국, 일본, 미국, 싱가포르, 핀란드의 초등교육,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 연구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과 일본, 미국, 싱가포르, 핀란드의 초등수학교과서에서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 시기와 순서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그리고 학습 지도 방법이 각 교과서마다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 분석한 각 교과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평면도형 넓이 지도 시기와 순서, 그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각 나라의 평면도형 넓이 학습 시기 및 순서와 관련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 4학년 2학기에 처음으로 평면도형의 넓이를 도입하는데 이는 3학년 2학기에 도입하는 싱가포르와 미국보다는 느리다고 볼 수 있으나 5학년 1학기에 넓이 개념을 도입하는 핀란드 보다는 빠른 편이다. 둘째, 구체적인 시기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 4학년 2학기부터 6학년 1학기까지 넓이를 지도하고 비슷하게 핀란드의 경우도 5학년과 6학년 두 개 학년에서만 넓이를 다루고 있는 것에 반해 미국, 싱가포르의 경우 3학년부터 6학년까지 넓이 개념을 계속 반복하여 제시한다. 셋째, 한국과 일본, 핀란드의 경우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구적 공식을 제시한 후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지도하고 삼각형 넓이 개념을 도입하는 반면, 미국과 싱가포르의 경우 삼각형을 먼저 지도하거나 아예 평행사변형의 넓이 개념을 지도하지 않는다. 넷째,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학습 내용이나 순서, 시기가 다소 비슷한 경향이 있으며 측정의 일반적 교수학습 원리에 따라 지도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에 반해 미국, 싱가포르, 핀란드 교과서의 경우 넓이 개념 자체에 대한 학습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강조한다. 나. 각 나라의 평면도형 넓이 지도 방법과 관련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도형의 넓이 도입 장면에서 우리나라 교과서의 경우 두 명의 학생이 집의 평면도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제시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 평면도형의 넓이와 관련되는 현실에서의 여러 상황을 싣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이와는 달리 수학 개념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소재를 단원의 도입에 제시하고 있다. 둘째,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의 넓이를 지도하는 차시에서 한국의 교과서는 넓이를 구할 때 표준단위를 일일이 세는 것 보다 더 쉬운 방법으로 넓이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유추해 내도록 하고 있다. 셋째, 복합도형의 넓이를 지도하는 차시에서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가 알기 쉽도록 자세히 제시하고 있는 반면 미국과 핀란드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복합도형의 넓이를 지도한다. 넷째,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지도하는 방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과 일본, 미국, 핀란드의 경우 등적변형의 형태로 지도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평행사변형의 변형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장 큰 특징은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평행사변형 넓이 지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섯째, 삼각형의 넓이에서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는 앞서 평행사변형과 마찬가지로 여러 형태의 변형을 통해 공식을 유추해 내고 있으며 미국과 핀란드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 한 단원에 걸쳐 자세히 지도함으로서 학습자가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학습하지 않은 채 삼각형의 넓이를 수월하게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여섯째, 사다리꼴의 넓이는 한국과 일본, 미국의 교과서에서만 구적공식을 제시하며 앞선 도형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을 제시한다. 핀란드의 경우는 아예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으며 싱가포르의 교과서에서는 원의 넓이를 지도한 이후에 복합도형의 넓이 형태로 다룬다. 마름모 구적 공식 역시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서만 다루고 있다. 일곱째, 원의 넓이는 핀란드를 제외한 네 나라에서 6학년에 제시하고 있으며 넓이 지도 방법은 대부분 16등분 이상의 조각으로 직사각형을 만드는 형태로 비슷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

      • 平面圖形의 넓이를 關係的으로 理解시키기 위한 指導 方案 硏究

        원봉희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우리는 학교 교육에서 수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어렵게 생각 하며, 상급 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이런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수학은 교과서 속에서만 존재하는 논리의 세계가 아니다. 수학은 학생들의 경험 속에서 살아 숨쉴 때 그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수학 교실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학생들은, 이미 몇 세기 전에 태어나서 화석화 된 수학의 뼈대들을 지루하게 반복해서 주무르고 있다. 학생들에게 수학은 더 이상 발견하고, 창조해 나갈 수 있는 흥미로운 대상이 아닌, 잘 조직된 논리 속에서의 '기호 놀음'에 불과하며, 단지 그들을 기계적으로 익혀서 종이 위에 요구하는 정답을 적어 넣을 수만 있으면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현실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을 기피하고 어려워하게 하여, 수학의 참된 힘과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몰아간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수학을 이미 발견되어서 잘 조직된 '지식으로서의 수학'으로 보는 우리의 종래 수학교육이 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학생들에게 수학이 의미있는 창조적 사고 의 과정으로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식으로서의 수학'이 아닌 수학자 라는 인간이 스스로 창조해 만들어간 과정을 알도록 하는 '수학적 활동으로서의 수학'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수학은 몇 개의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개념과 원리들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제 이들의 관련성을 수학자가 한 것처럼 보여 줄 수 있는 방법이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수학자들이 개념을 구성할 때 그들이 탐구하고 연구하는 사고방식이 같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수학자는 자기가 생각한 관점에서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하기 때문이다. 이때, 수학자가 개념을 파악한대로 조직하여 보여준 것을 'schema'라 한다. 그러므로 'schema'는 고정되거나 완전할 수는 없다. 새로운 생각이 추가되어 확장되기도 하고, 더 적절히 설명될 수 있도록 수정되기도 하며, 때로는 재창조되기도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개념 전체를 알 수 있도록 수학자가 만든 것처럼 개념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성된 개념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이 명료하고 분석적인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이해에 바탕을 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Skemp는 'schema'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학을 관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계적 이해란 문제 해결의 방법과 이유를 무엇을 왜하는지 알고 있으면서 보다 일반적인 수학적 관계로부터 특수한 규칙이나 절차를 연역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도구적 이해는 적당히 규칙을 기억하고 있으면서 그 규칙이 왜 그렇게 되느냐를 알지 못한 채 기억된 능력을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상태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 말하고 있는 이해는 관계적 이해를 뜻하고 있다. 수학학습은 관계적 이해만으로 학습하는 것보다는 때에 따라서는 학생들의 인지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도구적 이해에 의한 학습과 상호관련성을 맺어 가면서 학습하는 것이 효과 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학 학습을 관계적으로 이해시켜야한다는 Skemp의 생각에 따라, 초등학교 평면도형의 넓이에서 넓이에 관한 schema를 구성되도록 지도하여 학생들이 넓이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평면 도형의 넓이를 좀 더 발전된 방법으로 학습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첫째, 넓이의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의 절차적 지식은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평면도형의 넓이에서 개념과 원리가 되는 요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지도에 활용함으로서 학생이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분위기 조성에 힘 써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관계적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보다 더 발전된 지도 방법이나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 제시된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이다. 학생들과 친숙한 지식과 경험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아야 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관계적 이해에 관한 올바른 판단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schema가 구성되도록 평면 도형의 넓이 개념을 이해시키는 프로그램이 교육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화되고 학습 위계를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면도형의 넓이에 관한 개념 학습 프로그램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이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초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체계화하고 어떤 주제를 어느 시기에 학습해야 하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입증해야 할 것이다. 넷째, 관계적 이해를 통한 학습의 효과는 평면도형의 넓이 영역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넓이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도 관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평면도형의 넓이에 관한 schema의 한 예를 구성하여 현장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공식을 암기하거나 빠르게 해결하는 계산요령 만을 학습하는 것과는 달리 수학자가 한 것처럼 해 보게 함으로서 자라나는 우리의 학생들에게 미래를 계획하는 방법을 알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So far we have spent on a lot of time to learn mathema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ster maths. As they go up grade, this difficulty be more serious. Maths is not a logical world in a text book. It is more practical in their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maths as the process of the creative thinking, we have to emphasis on activity of maths not as knowledge of maths. Maths consists in the core concepts and the principles, and each of them are related.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various way to show the relation of these. When mathematicians make a concept, their ways of thinking are not be identical. Because they study and arrange concepts in their own point of view. Schema is understanding of structures according to the mathematician's way of thinking. Therefore, Schema is neither fixed nor complete. Schema is a process to add new idea, expand, modify to explain properly, and be recreated occasionally. So the students should consist whole concepts as mathematicians do. In order to have this concepts, students should have clear and analytic thinking in advance. By doing that, students learn math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Skemp emphasized on relation of understanding maths. This relational understanding corresponds to consist the intelligent learning, not is in the memorizing as a set of fact and rules, but in the building up of knowledge structure as a set of fact and rules. In order to build up the knowledge structure is to use various plans of activity. So the student who is doing mathematicians would know what he is doing and why. On basis of Skemp's theory, I applied his theory to elementary students. Student understood area figure relationally. After this study, I have concluded as follow. 1. Procedural knowledge is not helpful to understand new concepts with lack of understanding in area figure. So teachers guide students to explore themselves in th elements of concepts and principles of area figure. 2. I expect better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for area figure with relational understanding in the future, since provided programs in this study is very limited. I really expect better and evaluate programs. Above all, teachers need to understand accurate decision on relational understanding. 3. we need to establish a learning systems for student in order to consist Schema and programs for area figure with relational understanding. This should reflect on curriculum. Provided programs in this study is a only exemplification. We have to put a lot of efforts to generalize this programs. 4. This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effect are not limited to the area figure, but to all the field in maths. So programs of relational understanding are developed for many sphere of maths. I show an example that students consist Schema in a practical education situa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 not to memorize a set of facts and rules but to try to solve the problem like as mathematicians do.

      • 평면에 표현된 볼륨을 활용한 금속기물 제작 연구

        김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metalware that utilizes both two-dimensions and three-dimensions as its formative medium. Both flat and solid forms of expression have been dealt with in various forms of art across the world for centuries. Such examples include Masaccio, who strived to recreate a convincing replica of the three dimensional world onto his paintings, Rauschenberg who pushed the boundaries of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with his combination of painting and everyday objects, and Kapoor who’s work incorporates both two and three dimensional spaces. Of the various two and three dimensional techniques, the researcher focuses on forms in which both dimensions are combined. The formal aspects of both dimensions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are minimalist, as seen in Judd’s use of bold simplified forms. The combination of the distinct forms allows for a unprecedented approach to metal-ware that is both modern and unique. The employment of both dimensions is challenging in itself, as previous metal works have employed only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oretical and technical studies the researcher strives to discover a way of harmoniously incorporating both dimensions on metal-ware, which is a particularly challenging field of metal work to fabricate two-dimensional forms onto. Correlation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 in this study is referenced from Western art history. Emergence of perspective in paintings allowed artists to recreate the three dimensional on to a flat surface.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about changes in artistic styles, away from the traditional modes of painting focusing on realistic depictions of subjects, to eventually combining painting with solid forms. This study attempts to uncover possibility of co-existence in the realationship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examples of modern art works after the 20th century that blurs the line between the two dimensions. Furtherm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tal-ware incorporating both dimentional features, the researcher aims to reflect the complex formal dynamics in which the two dimensional becomes three dimensional and vice versa. Die-forming refers to a widely employed way of sheet metal forming technique that uses dies in order to shape sheet metal three dimensionally. This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easy mass production, compared to other sheet forming techniques. Due to its flat surface, the die allows sheet metal to preserve its even surface, and this particular attribute of die-forming was highly made use of in developing the metal-ware. This attmept is novel in that traditional die forming typically discards the outer parts of sheet metal that is secured with the die while external force pushes the main part of sheet metal into its desired voluminous shape.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attain both flat and voluminous forms without separately fabricating the two and joining them. The order in which this technique was conducted expands from the merging of simple die-formed parts of sheet metal into more complex applications. The researcher also puts an emphasis on the fundamental function of metal ware as a vessel. This implies a focus on not only figurative forms but also function, thus maintaining craft’s identity as ‘functional objects’. Utilizing the inevitable but generally discarded remnants of die-formed sheets allows for an efficient way of fabricating metal ware with both two and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novel technique, this study hopes to give impetus to further research on such craft work. 이 연구는 평면과 입체를 주된 조형 매체로 활용하여 두 개별적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제작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평면과 입체의 표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회화, 조각, 공예,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다뤄졌다. 현실의 입체 공간을 평면으로 실감 나게 옮기려 노력했던 마사초(Masaccio), 평면 위에 입체물을 올려놓음으로써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무너뜨린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평면 한 가운데에 입체 공간을 만들어 두 요소를 결합한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 등 평면과 입체는 공간을 다루는 예술가들에게 오랜 탐구 주제였다. 연구자는 평면과 입체의 많은 표현 중에서도 이 두 요소가 결합 된 형태에 주목하였다. 과감한 생략으로 새로운 공간을 구성한 도날드 저드(Donald Judd)의 조형 사례처럼 평면과 입체의 단순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이를 기본이 되는 조형 요소로 삼고 연구를 진행했다. 상반된 두 요소를 결합한 조형 작업을 통해 이전 금속기물 작업에서 볼 수 없었던 작품을 시도했다. 평소 평면 요소가 없는 둥근 형태의 기물 작업을 주로 해왔기에 입체와 평면을 함께 다루는 작업은 도전 과제였다. 이론연구와 기법연구를 통해 평면 표현이 까다로운 금속기물 작업에 적절한 결합법을 찾아 평면과 입체가 어색함 없이 잘 어우러진 공예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예술가들이 평면에 입체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던 원근법을 시작으로 예술 활동 속에서 평면과 입체의 관계는 끊임없이 변화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사실적 묘사가 중점적인 전통적인 회화를 탈피하기 시작하더니 평면 회화에 점차 입체 요소의 결합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에서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모호하게 다룬 작품 사례를 찾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다양한 사례 속에서 평면과 입체의 조형적 관계에서 공존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두 조형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제작하여 평면이 입체가 되고 다시 입체가 평면이 되는 복합적인 조형 관계성을 작품에 담고자 하였다. ‘다이포밍(die forming)’이란, 다이(die, 틀)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기법으로 금속공예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판금 성형기법 중 하나이다. 이 기법은 기존 판금 성형기법들에 비해 여러 개의 입체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이포밍은 평평한 판형(板形)틀을 이용하기 때문에 판재의 고른 속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이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기물을 제작했다. 이러한 시도는 판재에 변형을 가하여 볼륨을 얻은 후에는 틀에 고정시켜 두었던 평면 부분은 버리고 입체 부분만 취하는 기존 다이포밍 기법의 새로운 시도이다. 이를 통해 입체와 평면을 각각 제작하며 접합하지 않고도 입체와 평면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작품 연구는 다이포밍 기법을 활용하여 판재 일부를 입체적으로 결합한 기본형태를 바탕으로 점차 응용 확장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무언가를 담는다’라는 기물의 근본적이고 기능적인 의미를 중시하며 작업한다. 공예적 사물로서 조형적 형태에만 집중하지 않고 기능을 함께 생각하여 오브제와 구분되는 ‘사용성을 갖춘 사물’이라는 공예적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 다이포밍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나지만 대부분 잘라 버려지는 판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평면과 입체를 동시에 얻음으로써 두 조형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평면과 입체가 결합한 작품 제작을 목표로 기법을 개선하여 작업에 적용한 이 연구가 앞으로의 작품 연구에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

      • APT單位平面의 類型分析과 自動設計를 위한 적정치수 分析에 관한 硏究 : 서울시 아파트를 中心으로

        정진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e quality and quantity problem of dwelling environment result from dwelling form. Because of APT Housing supply plan carried out in Korea depends on the quantity problem, the stiff plan and uniformity due to a large scale of development one accomplished. But the method which decrease the efficiency of plan for quality problem of dwelling environment is not proposed, therefore the quality request of dwelling environment is not satisfied. In this study, the quantitation analysis method is suggested which considers a systematic improvement that can request the dweller's variety, adaptability, and etc. in unit floor, and a requlation of methodology is defined mathematically on the propose of presentation of usefulness to computerized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of 1877 cases of APT unit floor plan that has been builted in Seoul since 1970, and the suggestion of standard dimensions of space classified according to pattern that is compared to the simplicity and uniformity, the ability that can accomplish the flexibility of a space and the SAR Method was used in this field. And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of computerized planning through the analysis of detachable unit according to each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δZone is analysed 1.30-1.50m by pattern 2. Margin is analysed 0.00-1.00m by pattern 3. βZone is analysed 1.80m, 2.10m by pattern 4. γZone is analysed 1.40-1.50m by pattern 5. α1Zone is analysed 3.60m, 4.20m by pattern 6. α2Zone is analysed 2.40m, 2.70m, 3.60m by pattern

      • 평면적 이미지를 통한 회화공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술은 공간예술이다. 그것이 평면 공간이든 입체 공간이든 공간과의 끊임없는 싸움이 미술의 중요한 표현활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시대에 따라 표현 목적이 달라지고 표현 방법이 바뀌기는 했어도, 원시 동굴 벽화의 동물 그림에서부터 20세기 말의 포스트모더니즘 작가에 이르기까지, 공간은 조형활동의 장이자 표현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미술에서 공간이 어떻게 표현되어 왔는지 공간에 대한 개괄적인 뜻과 각 시대별 작가와 작품에 나타난 공간 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 게슈탈트 이론의 이미지 지각 방법과 형태 인식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본인의 작품 제작 의도와 조형적 특성을 밝혀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대별 표현 특징과 작가와 작품에 대한 분석은 인류의 미술 역사 전체를 아우를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논지의 핵심에 더욱 가까워지고자, 현대 미술에 매우 광범위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르네상스 시대 미술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또한 2차원의 평면 공간에 그려진 회화에 한정하여 공간의 의미와 표현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르네상스 시대의 작품은 외부 현실을 충실히 재현하기 위한 모사적 이상을 추구하여 3차원의 실재적 조형 공간을 형성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화가들은 공간의 넓이와 깊이의 느낌을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오늘날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선원근법이나 공기원근법은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적 공간을 성공적으로 재현시킨 르네상스 회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19세기에 와서 회화 공간의 본질에 대한 회의와 물음이 제기되면서 회화의 평면성을 찾고자 하는 시도를 마네와 모네의 작품에서 읽을 수 있다. 마네의 <풀밭 위의 식사>, 모네의 <건초더미>, <성당>, <수련> 등과 같은 일련의 작품에서 사람과 자연에 대한 환영이나 모방을 탈피하고 하나의 사물로서 회화 그 자체의 본질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20세기 미술의 실험적 개척자 세잔느는 사물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가지고, 미술 작품이 현실을 재현하는 복사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창조물이라는 예술관을 보여 주고 있다. 세잔느의 목표는 평면적인 화면에 자연의 삼차원적 요소를 자기 나름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세잔느의 영향을 받은 고갱은 원시적 취향의 형태와 평면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주의 작가이다. 넓고 단순한 형태, 평평한 색면, 그림자 없는 묘사, 구상과 색의 추상성에서 장식성이 강한 상징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현대 회화를 말할 때 경구처럼 인용되는 모리스 드니의 유명한 말 '회화란 전쟁용 말이나 여인의 누드, 혹은 어떤 일화이기 이전에 본질적으로 특정한 하나의 질서에 걸맞게 배열된 색채들로 뒤덮인 평면이다.' 이 말은 평면성에 대한 자각을 일깨워 주는 것이고 추상회화를 예언하는 것이기도 하다. 20세기 초 아카데믹한 미술 세계에 새로운 양식으로 대두한 아르누보 운동은 화려하게 채색된 장식적 문양으로 가득한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에서 그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비재현적인 표현과 화면 전체에 사용한 평평한 패턴으로 화면은 이미 2차원의 평면성을 획득하고 있다. 색채를 강조한 색면의 구성, 단순화한 형태, 평면화된 장식적인 화면의 구성으로 특징지워지는 야수파의 그림들은 회화의 평면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만년의 마티스는 칠하는 채색법과 색종이 오려 붙이기 등의 독자적인 표현 기법으로 매우 장식적이고 평면적인 화면을 만들어 내고 있다. 다중적인 시점으로 사물을 바라보기 시작한 입체파는 외부 세계에 실재하는 사물간의 공간보다는 회화 자체의 내적 법칙에 더욱 충실한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입체파 이후 칸딘스키와 몬드리안으로 대표되는 추상그룹의 작가들은 주제와 3차원적 환영의 깊이를 모두 없애고 화면의 본질적인 평면과 그 위에 순수한 형태와 색채로 구성된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차대전 후 현대미술은 과거 회화의 객관적 재현이라는 절대적 명제를 거부하고 순수 조형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있다. 전면회화의 대표적 작가 잭슨폴록은 화면의 균질화로 전체적이고 단일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재스퍼 존스는 국기나 문자, 과녁과 같은 본질적으로 평면인 이차원의 모티브를 주제로 삼아 화면의 평면화를 실현하고 있다. 색면파와 하드에지 작가들 또한 평면에로의 환원을 시도하고 있다. 1970년 이후 현대회화의 흐름은 색, 형, 화면의 깊이가 더욱 감소되어지며 함축적이고 분석적인 경향을 띠게 된다. 시각예술에서 실제적으로 응용되고 있는 게슈탈트 이론은 회화의 형태인지 방법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복잡하고 애매한 이미지를 정리하고 단순화하여 전체로서 수용한다는 게슈탈트 이론을 시각적 표현의 화가들은 작품 제작 동기나 표현방법에 많이 원용하고 있다. 게슈탈트 형태 인식의 중요한 특징은 삭제의 법칙. 근접의 법칙, 유사의 법칙, 폐쇄의 법칙, 경험의 법칙등이 있다. 이러한 법칙들은 이미지의 기존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조직하여 이해할 수 있는 전체를 만들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지나 형태를 단순화, 조직화, 통합화 하는 기본적인 방법들이다. 이상 살펴본 것과 같이 회화의 2차원 평면성을 획득하려는 시도는 다각도로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3차원의 환영적 공간이 배재된 평면 회화가 갖는 조형적 특성은 무엇일까. 그 특성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상징성이다. 상징적 이미지의 표현이란 비유, 의미, 암시, 계시, 환기와 같은 관념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적이고 객관적인 관찰보다는 감정, 즉 외관을 넘어 직관, 내면의 힘을 가시적으로 형상화시켜 표현하는 것이다. 고갱은 비묘사적인 색채, 선적 패턴에 의한 평면, 깊이감과 조각적 형태를 부정함으로써 종교적이고 신화적이며 원시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클림트는 인간의 삶, 꿈, 에로스, 죽음 등의 인간의 깊은 내면이나 시각화되지 않은 세계를 스타일화 된 장식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둘째, 단순성이다. 다변이 일언보다 못하다는 말이 있다. 사물의 본질은 그 핵심에 접근할수록 단순해지는 특성이 있다. 그것이 시각적으로 표현될 때 단순화되고 평면화된 형태와 색채로 나타나게 된다. 의미가 함축된 상징적인 기호나 문자들, 마티스의 색종이 오려 붙이기에 나타나는 형과 색, 미니멀 아트와 색면 추상의 그림들에서 평면화된 단순성의 단적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장식성이다. 대상의 사실적 재현보다는 본질적 요소만을 함축하여 절제되고 단순화된 형과 색은 하나의 패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패턴들은 그 자체로 상징적 의미를 띠면서 화면 안에서 장식적인 특징을 지니게 된다. 화면 전체가 입체감 없이, 도식화 되어버린 평면적 이미지들로 채워진 클림트의 그림들은 평면 회화의 장식적 특성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의 장식적 형태는 기하학적 혹은 추상적 형태로 주제와 비주제 사이의 공간을 매우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평면적 이미지가 주는 단순하고 상징적이며 장식적인 특성들은 본인 작품 제작 의도와 매우 잘 부합되고 있다. 일상에서 늘 보고 듣고 겪는 여러가지 사물과 상황들은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고 시간의 흐름에 묻혀 기억 밖으로 사라져 잊혀지고 만다. 그러나 바쁘고 다변적인 현대 생활에서 우리의 삶이 위기에 부딪힐 때 부초처럼 흔들리지 않도록 우리의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것은 기념비적인 사건이나 거창한 일들이 아니라 매일 반복되는 일상의 작은 일들이다. 우리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한 친숙하고 작은 기물들, 가구들, 소리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화분들, 그리고 외부와의 통로가 되어주는 창문. 이런 것들은 우리의 정신 깊숙이 자리하여 외부의 조그만 변화에도 흔들리는 불안정한 우리의 마음을 휴식과 평온의 세계로 이끌어 준다. 우리에게 고요히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범하고 단순한 실내 이미지들을 소재로 일상의 소중함을 표현해 보았다. 화면구성은 서로 연관된 이미지들이 독립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였다. 이미지 간의 거리와 공간을 최대한 배제함으로써 서로 종속적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형태의 단순화와 색면의 만남을 시도하여 각 이미지들이 같은 평면 공간에 놓이도록 하였다. 또한 게슈탈트 이론에서 형상과 배경이 모호한 관계에 있을 때 형상을 보려고 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경향을 화면 효과에 이용하여 사물(형상)과 벽(배경)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거나 허물기도 하였고, 같은 문양을 연속적으로 나열해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작지만 소중한 일상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가끔씩은 조용히 자신을 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를 찾고자 한다. It is hard to explain the art without the word, Spatial Art. In other words, we can say the eternal struggle to express the space is the most important artistic presentation. From the graffito in a cave to the post-modernism, space is treated as the field and constituent element of expression, however the purpose of the way to show is changed by the eras. A work of Renaissance art carried out building up real 3D formative arts to reappear the exterior reality. By that, artists tried to express the width and depth of space with various ways. Liner perspectve or Aerial perspective - which expresses 3D space with 2D - can be a good example of Renaissance art. At 19th century, we met a question about the essence of Spatial Art. We can find the trial to find out a plane description of the art at Manet's art or Monet' s. 'Luncheon on the grass(Manet)', 'Haystacks(Monet)', 'Rouen Cathedral(Monet)' and 'Water Lilies(Monet)' show us the substance of art without illusion or imitation about the mankind or nature. Cezanne - who is the empirical pioneer at 20th century art - claimed that art is not a copy but an independent creature with a question about the substance. Also he tried to 3D at 2D with his own ways. This movement gave an effect on Gauguin. We can define that he is a symbolist by his works which are composed of simple and wide shape, flat color and description without shadow. 'Art is not a nude or story but a plane which is covered with methodical colors(Maurice Denis)' - famous golden saying when we talk about the modern art - awaken us to the plane description and predict the abstract. We can get a special feature of Art-Nouveau - Which is a new form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 at Klimt's art which is filled with gorgeously decorated painting. His art already gained plane character by using anti-realize expression and plane pattern. Fauvism art - which is characterized with emphasized color, simple form and plane organization - had represented the way to the plane art. Expecially, Matisse in his later years created decorated plane picture with his own coloring or using color paper. Cubism had composed a picture which gave much more weight to the intrinsic value than outer space. Abstractionist like as Kandinsky or Mondrian had a tendency to make a picture based on pure shape and color without depth of 3D. After Word War Ⅱ, modern art gave us a question about pure formative art and it refused objective description. Jackson Pollock - who is the representative abstract expression artists - made a production which has a total and united image by taking homogeneity of picture. Jasper Johns realized 2D Picture by taking image from 2D objects like as flag, letter or target board. Colorfield-painting or Hard Edge artists tried to return to 2D, too. After 70's, the current of modern art had exhibited a tendency to hidden significant and analytic trend. Gestalt theory - Which is used at visual art usually - might give us and important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way to understand art. visual expression artists used Gestalt theory at motive or expression of their work of art, because Gestalt theory headed for changing complicated image in to simple. We can find some rules like as 'elimination', 'similarity', 'closure' and 'experience' from that. These rules could be a way to make and image simplified, organized and united to create general image. We can find a conclustion from above paragraphs that the trials to get 2D plane art were progressing. Then,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2D art without 3D space. The following three paragraphs would show you answer. First, it is Symbolism. Expression of symbolic image means parable, meanning, hint, revelation and awakening. Gauguin got mysterious and mythological image by refusing space. Klimt expressed symbolic image by using life, dream, eros and death. Second, it is Simplism. In Korean proverb, 'Much talk is not better than less'. The essence of thing is change into simpler while we approach the core. If it is expressed with visual thing. It is appeared with simple and plane color or form. We can find example about Simplism from symbol, letter, minimal art and so on. The character of plane image is so simple and symbolic that it may coincide with my intention well. It is too easy forget happenings of everyday because it is too usual. But I think those happenings are more important than special things. A familiar and tiny thing like as small and silent pollen, furniture, window which can be a passage and so forth... We can be comfortable with this small things and it can be a barrier to outer change. It gave us chance to have a time for self-examination. I expressed important of everyday life with these small but momentous image. I composite the related images can have each meanings. I eliminate the space between each image to keep them from standing in the relation of master and servant. Also I tried simplification of form and contact between the colors to make every image can be same plane space. And by utilizing mental phenomena that try to find out form while setting and objects are in blurred situation. not only using that theory but marshaling same symbols. I hope to this picture can be a chance to remind our everyday life.

      • 미국 현대주택의 평면분석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이후의 주택을 중심으로

        김경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국 현대주택의 평면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로서, 미국에 소재하는 현대주택의 평면의 공간구성, 계획특성을 연면적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특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의 현대주택 평면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50년 이후 현재까지 지어진 미국 현대주택의 평면이며 문헌을 통해 총 91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낸 요약된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미국의 주택은 대체로 200- 400 ㎡의 규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마스터 베드룸과 침실 2개, 거실, 식당, 부엌, 욕실3개로 총 9개의 실로 주택을 구성하는 사례가 일반적이었다. 미국 현대주택에서, 연면적의 변화에 따른 평면특성을 보면, 평면형태는 연면적이 적을수록 기본적인 형태인 장방형을 많이 나타내고, 연면적이 늘어날수록 다양한 내부공간을 만족시키기 위해 ㄱ자형과 부정형이 늘어났다. 공간구성유형을 살펴보면, 대부분은 홀을 통해 다른 공간과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실과 주침실의 분리여부는 독립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층별 분리가 가장 선호되었다. LDK 연계방식을 보면 L-D-K, L-D/K, L/D-K의 구성방법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각 실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독립성을 확보하려는 평면구성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DK의 면적비율은 연면적이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LDK의 면적은 줄어들고 부속실의 면적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연면적의 증가에 따른 각 실 면적의 변화를 보면, 식당과 부엌은 최소공간을 확보하고 나면 면적이 증가에 대한 요구가 별로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2) 미국 현대주택에서 시대의 흐름에 따른 평면특성을 보면, 평면형태는 시대의 흐름에 관계없이 기본적인 형태인 장방형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현관진입 방식에서는 동선을 분리시켜 각부공간을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도록 측면진입이 상당히 선호된 것을 알 수 있다. 현관과 거실의 연결의 측면에서 보면 완전분리형과 부분분리형이 많이 나타나 폐쇄적인 형태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고, 90년대로 올수록 완전분리를 한 주택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내·외부차단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거실과 주침실의 연결에 있어서는 층내공간분리와 층별분리가 되는 주택수가 많은 것으로 보아 공적 공간과 사적공간의 분리를 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다. LDK의 연계방식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형태는 L-D-K, L/D-K, L-D/K형태로 거실과 식당이 간접 개방되어있거나 각각 분리된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으로 올수록 LDK의 면적이 줄어드는데, 이는 주로 거실의 면적이 시대에 따라 감소함에 기인한 것으로 거실면적이 줄고 다른 부속실이 늘어나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3) 한국과 미국의 현대주택의 평면특성의 비교 분석 결과, 가장 뚜렷한 차이가 나는 부분은 평면형태로, 한국 현대주택의 평면특성은 한국전통적 평면형태인 ㅁ자형(장방형 포함)과 ㄱ자형이 지속되었다. 반면에, 미국은 장방형과 ㄱ자형이 많고 최근으로 오면서 정방형과 부정형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 현대주택에서 많이 나타나는 ㅁ자형은 미국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문화적 배경이 달라서 잘 나타나지 않는 평면형태라고 유추할 수 있다. 다른 평면특성에서 한국은 공간의 부분적인 독립, 즉, 가구나 칸막이 등으로 간접적으로 분리가 된 경우가 많이 나타났으며, 미국의 실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의 연결방법과 구성방법을 한 평면에 비해 개방이 더 많이 된 평면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미국이 한국보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려는 측면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of the American houses since 1950's. This study deals with single-unit American houses designed by modern architects, which appeared in architectural periodicals and books published since 1950. This sutdy sets following analysis tools: general characteristic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ouses, which are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is thesis is organized by five chapters. In Chaper 1, the purpose, scope, limitations, and overall progres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chapter 2, preceding researches, the trasition of Korean hous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is chapter deals with various ways of organizing space and house plan elements. In chapter 3, methods for selecting and collection data for this study are described and analysis tools are set. In chapter 4,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ased on the analysis tools. In chapter 6, as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outcomes obtained by the analyses are summarized, an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the studies to follow are com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single-unit American houses have the shape of house plan are the rectangle type, the ㄱtype. Functional characteristics varies in each house plan because of diversity in lifestyle. Overall space schemes are established in the principle of functional separation. Therefore the spatial schemes in house plans are generalized according to hall or corridor in most cases, and segregated living room from dining room and kitchen in the remaining cases. 2) The most popular floor plans in modern Korean house design are 'ㅁ' and 'L'shaped floor plan,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remains unchanged. Houses with openness among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increases in 1990's, compared to the previous decades. Also various connections among these three areas since 1980's reflect diversity in lifestyle and traditional preference for open interior space. 3) The types of contemporary houses are summarized with respect to several perspectives by classifying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types of plan shapes, connection system of rooms, and spatial organizations. It is concluded that contemporary houses show various aspects of their plans in certain specific types.

      • 平面曲線部 視距確保를 爲한 側方餘裕幅 算定에 關한 硏究

        尹德根 명지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로의 설계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안전과 운전자의 안락함을 위하여 차량의 역학특성과 시거를 고려하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설계단계는 시거는 간과되고 있다. 특히 평면곡선부에서 우로 굽은 곡선의 경우는 방음벽이나 절토면에 의해 시거의 방해가 생기고 좌로굽은 곡선의 경우 중앙분리대에 의해 시거의 방해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로 굽은 곡선의 경우 우측에 측방여유폭을 확보하고, 좌로굽은 곡선의 경우 좌측에 측방여유폭을 확보하여 시거를 확보해야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도로설계에 있어서 이러한 곡선부에서 시거확보를 위해 측방여유폭은 고려되어지지 않고, 고려되고 있더라도 이론적으로 단곡선부에서의 측방여유폭에 대해서 고려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화곡선과 원곡선이 함께 조화된 평면 곡선부에서 정지시거의 확보를 위한 측방여유폭을 산정하는 방법론과 그 값을 제시하려고 한다. In road design, designers consider vehicle operation characteristic and sight distance for convenience of drivers and safety, however in many case sight distance has overlooked in road design stage. Especially on horizontal curve section, sight distance is obstructed by soundproof wall, retaining wall or cutting slope on right curve, by median on left curve.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must ensure right side widening on right curve and left side widening on left curve for ensuring sight distance. But in road design, designers don't consider lateral clearance for ensuring sight distance generally. Even if consider, designers only consider with lateral clearance on simple circular curve section theoretically.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propose lateral widening and method to ensure horizontal curve section with spiral curve and circular curve for ensuring stop sight distance.

      • 평면디자인에 내포된 심미의식의 시대적 특징 고찰 : 한·중 포스터 디자인 중심으로

        김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평면디자인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활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양식은 단순한 정보 전달과정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정치, 경제, 문화의 발전 속에서 상호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은 서로 다른 시대 간에 그 발전의 정도가 상이했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사회풍조 및 심미의식이 생겨났으며, 이에 따른 평면디자인 풍조 역시 변화를 추구하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본 논문은 평면디자인에 내포된 심미의식의 특징을 구성요소, 심미요소, 시각요소를 통하여 알아보고, 응용분야인 포스터디자인의 시대별 심미 특징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더불어 한국과 중국의 심미 조형적 특징이 포스터디자인에 응용된 실례를 통하여 함축된 시대정신과 특징을 고찰하고 시대흐름에 부합하는 미래 평면디자인의 창출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본문의 제1장은 조형심미와 그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고, 디자인 속에 내포된 심미의식의 심리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심미의식과 디자인 풍조의 시대성 분석을 통해, 평면 디자인의 형성과 시대적 밀착관계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하였다. 제3장에서는 평면디자인 구성요소인 점, 선, 면의 심미특징에 대하여 중국 평면디자인의 예를 들어 분석하였다. 또한 디자인속의 심미요소인 박자와 운율, 대칭과 균형, 변화와 통일의 미감법칙이 디자인의 미적표현에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평면디자인의 시각요소인 문자, 도형, 색채의 시대별 심미성에 대하여 그 응용분야인 포스터디자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색, 선, 문자, 도형 등이 중국 조형심미의 상징기호를 표현하고 있으며, 도형, 색채 등을 통하여 민족 문화적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중국 민족 문화와 가치에 대한 통일적 인식을 이끌어냄을 알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근대 이후의 한국과 중국 포스터디자인의 시대별 심미특징 고찰을 통하여 전통심미의식과 조형미가 각 시기에 어떻게 계승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평면디자인의 요소별, 시대별 심미특징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라, 문화 또한 글로벌화 되어 정체성 상실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이때, 모든 디자인들 속에는 과거가 있으며 미래는 현대의 디자인 속에 새로운 가능성으로 살아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전통이 없는 현대는 없으며, 미래의 세계가 없는 현대나 전통도 의미가 없기에 현대 디자인은 과거의 미적가치가 미래의 새로운 가치로 옮겨 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말하고자 하는바는 현대 디자이너들이 과거의 심미의식을 새롭게 옮겨 놓을 사명감과 과거의 가치를 미래의 새로운 가치로 해석하여 전통적 디자인을 확장시킬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와 현대의 심미취향을 파악 및 계승하여 현 시대에 걸맞은 훌륭한 디자인작품을 창조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시대별, 지역별 작품분석을 통하여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론적 함의를 도출하여 제시함으로써 차후 새로운 디자인의 표현양식 발굴의 기초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Graphic designs are the activities to deliver messages, however, this kind of activities are not only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but the interaction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Such society tendencies are caused by different development degrees in different ages. Therefore, we verified that there are graphic design tendencies appear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 considera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age in graphic designs through the elements like aesthetic elements, and vision elements, and then we study periodic aesthetic consciousness characteristics of poster designs classified by an application field. In addition, we focus on timely spirit and characteristics implied by the application examples in poster designs originated from Korea and China, and the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graphic designs corresponding to periodical changes. In chapter 1, we find out the definition of aesthetic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analyze the implied aesthetic consciousness by designs from psychology elements. In chapter 2, we describe the foundation of graphic designs and timely adhesive relationship by analyzing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urrent design thoughts. In chapter 3, we analyze the aesthetic features of point, line, and plane which are essential graphic design elements with the Chinese design examples. Furthermore, we describe how important the aesthetic elements that rhythm and rhyme, symmetry and harmony, and change and unity in design are to the aesthetic expression of designs. In chapter 4, we analyze the periodical aesthetics of letters, shapes, and colors in visual elements of graphic design from the poster designs in an application field. After this, Chinese aesthetic cultural symbols are expressed by colors, lines, letter, and shapes, we know the extraction of unity awareness for one's ethnic culture and value from cultural symbolism granted by shapes and colors. In chapter 5, we analyze that traditional aesthetic sense and beauty are how well inherited at each time through the study for periodical aesthetic features of poster designs from Korea and China. Nowadays, we face the loss of identity due to the globalization of economy and culture.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possibilities of new designs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Modern designs are to have the important role of connecting the past aesthetic value and the future, because modern designs and traditions are meaningless without the connec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Therefore, modern designers have the obligation of expanding traditional design with a sense of duty which they move the past esthetic consciousness forward the future by creating a new value. This is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design in succession to the esthetic tendencies between the past and today's. In this paper, we make a foundation of creation of better design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eriodical esthetic characteristics in each graphic design from different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