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항목 타당성, 평가자 신뢰감, 평가제도 수용성의 측정도구 개발 및 이들 변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검증

        김은수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크게 도구개발과 모형검증,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도구개발 단계 에서는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항목 타당성, 평가자 신뢰감, 평가제도 수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모형검증 단계에서는 이들 변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총 3차에 걸쳐 의견수렴과 설문조사를 진 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계프로그램 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해 분석 및 연구모형 검증을 하였다. 새로운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4개 변인 과 9개 하위요인, 45개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 13명을 섭외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확보된 44개 초기문항에 대해 예비조사 과정을 거쳐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2 문항을 제외한 42문항으로 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4개 변인과 8개 하위요인을 위한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런 다음, 앞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초기 연구 모형은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항목 타당성, 평가자 신뢰감이 각각 독립변인으로서 평가제도 수용성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그러나 분석을 진행하면서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항목 타당성, 평가자 신뢰감 사이에서도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즉 평가절차 공정성이 평가자 신뢰감과 평가항목 타당성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나, 평가제도 수용성에 대한 영향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평가자 신뢰감이 평가항목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정하고, 변인 간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등을 검증하였다. 여기서 발견된 특이점은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자 신뢰감, 평가항목 타당성 이 각각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다른 매개변인들을 통한 간접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자 신뢰감, 평가항목 타당성이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통합적으로 작용할 때 더 큰 시너지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사평가제도를 이루는 요소들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평가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평가제도의 세 가지 핵심요인인 평가절차 공정성, 평가항목 타당성, 평 가자 신뢰감이 평가제도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평가제도 수용성이 다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장의 인사담당 자들에게 평가제도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전략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 다. 나아가 이 결과가 개인의 조직몰입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며, 조직의 성과향상과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major stages: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developed measurement tools for 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trust in evaluators, and acceptance of evaluation systems. In the second stage,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xamined. Feedback collection and surveys were conducted in three phases. Data analysis and model valid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To develop a new measurement tool, 4 variables, 9 sub-factors, and 45 preliminary questions were first derived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and 13 expert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Through this process, 44 initial items were retained and subjected to preliminary surveys for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es, two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were excluded,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remaining 42 questions, includ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ssessment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this process, a measurement tool consisting of 36 questions for 4 variables and 8 sub-factors was finally developed. Subsequently, the research model was validated using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s. The initial research model hypothesized that fairness in - 169 - evaluation procedures,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rust in evaluators each independent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acceptance of evaluation systems. However, during the analysis, interrelationships among 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rust in evaluators were also identified. Specifically, 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directly influenced trust in evaluators and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rust in evaluators influenced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model was revised, and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among the variables were tested. A notable finding was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trust in evaluators, and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other mediating variables were greater than their direct effects. This suggests that these factors exert a greater synergistic effect when working together rather than individu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fines the elements constituting personnel evaluation systems and develops tools to measure them, thereby providing a systematic research foundation for evaluation systems. Furthermore, it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the three core elements of evaluation systems—fairness in evaluation procedures,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trust in evaluators—affect acceptance of evaluation systems, which in tur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strategic framework for HR managers in effectively designing and operating evaluation systems. Additionally, thes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enhance individu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contributing to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stability.

      • 교육환경평가제도 평가기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건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교설립의 초기단계부터 적절한 위치에 학교용지가 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학교보건법」을 개정하여 2008년부터 학교용지 선정시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환경평가의 평가대상별 평가기준의 객관성과 평가방법의 명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동제도가 실효적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범위는 「학교보건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교육환경평가대상별 평가기준 중 평가속성이 상대평가에 해당하는 항목 중에서 학교의 위치선정과 직접 관련되는 9개 항목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여 항목별로 기본적인 분석요소와 분석기준을 마련하고, 이렇게 검토한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대구·경북지역의 2개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내 초등학교 9개소에 대해 학교용지선정자가 시행한 학교환경평가 자료를 분석해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강구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교육환경평가제도는 제도시행의 역사가 일천하고 평가항목이 백화점식으로 나열되어 구체적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도록 되어 있는데다가 항목별 평가기준이 계량화 되어 있지 못해 아직까지는 학교입지선정의 기본적 척도로 역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은 이러하지만 앞으로 교육환경평가제도가 보다 정밀하게 다듬어지고 보다 충실하게 운영되어 교육시설 입지선정의 표준으로 기능하게 되리라는 기대를 하면서 본 논문에서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개선방향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항목들을 학교입지선정에 필수불가결한 내용을 중심으로 단순하면서도 명쾌하게 정리하기 위해 현재 6개의 대분류 항목을 위치, 크기 및 외형, 기타 등 3개 항목으로 크게 묶을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항목별로 내용이 중복되는 것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평가자체가 현실적으로 타당성을 결하는 항목은 폐지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는지 여부가 교육환경평가의 선결조건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면 학생의 통학범위, 통학환경, 도로접근성, 학습환경 등과 같은 내용들이 기본적으로 좋아지기 때문이다. 넷째, 교육환경평가의 평가항목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등 도시계획 관련 법령에서 학교와 관련하여 정하고 있는 규정들과 연계해서 평가되어야 한다. 끝으로, 타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들을 교육환경평가제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기준을 따로 정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학교주변에 위치한 도서관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을 교육과정에 유용한 시설로 인정해 교육환경평가상 높은 점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규모의 시설이 학교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접근경로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평가기준이 「도서관법」,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등을 참조하여 따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환경평가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교육환경평가제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에 의한 평가를 통해 신뢰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적인 교육환경평가기관을 신설하거나 한국교육환경연구원과 같은 기존기관에 위탁하여 이곳에서 학교용지에 대한 적부를 심사하고 인증해 주는 형식으로 가칭 ‘교육환경평가인증제’ 시행을 제안한다. 둘째, 교육환경평가제도 시행에 대한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가칭 「교육환경평가제도 시행에 관한 법률」의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주변 공동주택 등 민간건물이나 도서관 등 공공시설의 건축시에도 학교환경평가를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환경에 대한 평가 필요성은 동제도의 시행 이전에 설립된 기설학교에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평가대상을 기설학교까지 점차 확대해 나갈 것도 제안한다. 기설학교에 대해서는 학습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객관적 기준에 따라 도출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환경을 개선해 나갈 기초자료로 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가 단위생활권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학교환경평가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한 바 있는데 이를 위해 학교시설 중 도서관, 체육시설, 강의실 등을 지역주민들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가 지역문화의 중심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학교 신설시 학교기능 복합화를 고려한 건축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평가대상별 34개 평가기준 중 평가속성이 상대평가에 해당하는 9개 항목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기 때문에 교육환경평가 기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되지 못하였고, 고안된 평가기준을 적용한 사례분석이 대구·경북지역의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2개소에 입지하게 될 초등학교 9개교 부지에 대해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중·고등학교를 포함한 전체 학교급별로 적용하여 전국적 기준으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사용후 핵연료 중간저장 및 처분시설에 대한 사회영향평가 항목 및 측정지표 선정

        손정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원자력 발전의 부산물인 사용후 핵연료의 중간저장 또는 처분 시설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사회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영향평가에 관해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사업의 추진에 따른 사회영향평가 항목 및 측정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평가항목과 측정지표 선정을 위해 실시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실시간 델파이 기법은 일반적인 여론조사와 전문가 회의 등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영향평가 전문가와 원자력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 및 측정지표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 두 전문가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영향평가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에 관한 항목,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항목, 지역민 보호 대책에 관한 항목을 중요시했지만, 원자력 전문가들은 사업추진에 필요한 기초 항목, 의사결정 과정을 평가하는 항목, 주민의식에 관한 항목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것은 사업 추진 과정에 대한 시각의 차이, 과거 사례의 실패 원인에 대한 분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사용후 핵연료 중간저장 또는 처분시설 건설 사업에 대한 사회영향평가에서 중시해야 할 항목 및 측정지표로 제시한 것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 문화자원, 경제성, 인구, 건강 및 의식, 산업, 주거 등 7가지의 평가항목과 그에 따른 36가지의 세부 측정지표가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영향평가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첫째, 사회영향평가의 필요성을 공유해야 한다. 둘째, 정부의 실천의지가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영향평가 관련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넷째, 학제 간, 관학 간 공동연구를 통해 인식의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Social Impact Assessment that can reduce negative social impacts during the construction of intermediate storages and disposal facilities of spent nuclear fuel, by-product caused by nuclear power gener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Social Impact Assessment elements and indexes according to the relevant project. To select assessment elements and indexes, this study use Real-time Delphi technique. Real-time Delphi technique is a method that complements disadvantages of general public surveys and professional meetings. The survey is conducted to Social Impact Assessment experts and nuclear power experts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elements and index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experts groups. Social Impact Assessment experts mostly considered element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takeholder, elements about decision-making, and elements about the protection for local residents. But on the other hand, nuclear power experts evaluated basic elements necessary for the project, elements for the evalua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elements about residents’ consciousness. Such a difference seems to be from the differences in views about the project process and in the analysis of failure reasons of past cases. This study also examines that most of experts suggest necessary elements and indexes for Social Impact Assessment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mediate storage and disposal facility of spent nuclear fuel in common. Result shows that, seven assessment elements such as local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economics, population, health and consciousness, industry, and residence and the relevant 36 specific assessment indexes were selected. Lastly,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ollowing efforts are required to conduct Social Impact Assessment. First, the need of Social Impact Assessment should be shared. Second, the government’s will to practice is necessary. Third, Social Impact Assessment experts should be cultivated. Fourt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should overcome through interdisciplinary and academic-government joint research.

      • 학교시설개선을 위한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송병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growth rate and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of the senior citizens, which become issues of the modern society, are bringing numerous changes of many aspects like national economy, community, and culture. These social phenomena give impacts on the school facilities as well. Thus owing to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the number of the newly constructed schools has been decreased drastically, and moreover the merger of the schools cause many schools to be default. Meanwhile, the school facilities have been expanded into the functions of the local community centers, and th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demand the diversity and flexibility of the spaces. These factors add more burdens to the current schools. Therefore the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to adopt a flexible and relevant change necessary for using the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needs of the times, and are needed to reinvented continuously not to limit the educational and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 degrada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Yet because there are no proper criteria for doing the task, problems related to the relevance of the task and the unnecessary investment are raised. So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demonstrate the standardized index in terms of the sequential priority of upgrading the facilities among the schools. First, by considering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theoretically, I tried to divide the func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into the educational ones and the local social ones,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factors of the school facilities. (cf. <figure 2-4>) Second, the areas of the evaluation for making the items of the evaluation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index. I set the following four areas : ‘the responsive area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eco-friendly school area', ‘the merged school area', and ‘the school safety area'. I ironed out the similar evaluation factors by analyzing the similar criteria of each set evaluation area, and as a result I made out the total 29 evaluation factors.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made-out evaluation factors I surveyed the school facility experts, managers, use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scale of the chronbach alpha turns out to be 0.863, which 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I made the total 57 evaluation items by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factors, the opinions of the users,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levant stipulations, the various standards. To 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actors I surveyed the opinions of the experts according to the delphi survey. The first delphi survey showed 6 factors out of 57 factors below 4.0pt, which is well below the average, and 5 factors were required to be reassessed according to the opinion of the experts. I had the second delphi survey following the first one, and as a result I erased all 11 factors which are estimated to be removed or reevaluated. So finally I suggested the 46 evaluation factors(cf. <table 4-40>, <table 4-41>). Third, I made the ironed-out evaluation items to have a double value of each evaluation one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of AHP. I made the accumulated value of each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mutual comparision among the great classification, the middle classification, and the small classification. And I made a stabilized evaluation index by adding the double value of each item. But because the evaluation index is limited by the functional aging, I suggested the accumulated evaluation method including the added value by the years(the rate according to the yea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index, I analyzed 4 middle and high schools of Seoul city. And I came to get the differentiated results of the period length, the application of the class system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total space, the application of the heat-insulation materials of each facility of each school. This 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ex. As I demonstrated, I showed the evaluation index which can be used in setting the priority of the facility renovation of the current schools, and through this we may plan a rational and systematic facility renovation. But I have to say that this study is for setting the sequential priority of the schools in terms of the facility renovation, so we need to study on how to assess the remodelling or the renovation cost continuously.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인구증가율 감소, 인구노령화 등의 인구 통계적 환경의 변화는 국가의 경제, 사회, 문화 등 삶의 많은 부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시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데 학생수가 줄어듦에 따라 신설학교 건립 수요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학교 통·폐합으로 인해 폐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 학교시설은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인한 공간의 다양성 및 융통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센터로서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어 기존학교시설의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학교시설은 시대적인 변화요구에 따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융통성과 적절한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학교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교육활동 및 사회활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업시행에 대한 적절한 기준이 없어 사업의 적정성, 예산투자의 중복성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학교들의 시설현황을 파악하여 기존학교들 간의 시설개선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시설의 개념과 학교시설의 기능 등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학교시설의 기능을 교육적 기능과 지역 사회적 기능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기능의 변화에 따른 학교시설 변화요인을 분석하여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둘째, 평가항목 도출을 위한 평가분야는 평가지표의 방향성을 기초로 재구성하여 ‘교육활동대응분야’, ‘친환경학교 분야’, ‘복합화학교 분야’, ‘학교안전 분야’의 총 4가지 분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평가분야별 유사기준들의 분석을 통해 유사성이 있는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총 29개의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평가요소의 적절성 검증을 위해 학교시설 전문가, 관리자,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크론바흐 알파값이 최소 0.863으로 분석되어 모든 평가요소에 대한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상기와 같이 도출된 평가요소와 사용자 의견, 전문가 의견, 교육과정, 관련법규, 각종 기준 등의 분석을 통해 총 57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은 전문가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총 57개의 평가항목 중 6개의 항목이 평점 4.0pt 미만으로 평가항목으로의 타당성이 평균치 이하로 조사되었고, 5개의 항목은 평균치와 상관없이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삭제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삭제 및 재검토가 요구된 11개 항목에 대해 모두 삭제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최종적으로 46개의 평가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도출된 평가항목은 AHP 조사를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 하였다. 평가분야의 대분류, 중분류 및 평가항목 간의 쌍대비교를 통해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항목별로 산출된 가중치를 반올림하여 정수화한 평가지표를 완성하였다. 단, 평가지표는 기능적 노후화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설비 및 마감재 현황 등의 성능적 노후화가 고려된 경과년수 가중치(노후화 비율)를 적용하는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서울특별시 중·고등학교 4개교의 시설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과년수, 교과교실제 적용여부, 연면적, 단열재 적용 현황 등 학교별 특성에 따라 차등적인 결과가 도출되므로 평가지표로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학교를 대상으로 시설개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시설개선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단, 본 연구는 시설개선을 위한 학교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연구이며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학교별 증·개축 판단 및 시설개선사업비 추정 등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관람객 중심의 과학관 운영을 위한 평가항목 및 지표연구

        김효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1927년 은사기념과학관 개관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에는 90여개의 과학관이 건립․운영되고 있다. 지난 80여 년 동안 과학관은 우리 사회의 경제, 문화와 함께 변화해왔으며 전국적으로 많은 과학관이 운영되어 관람객에게 체험과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과학관은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여야하나 여러 가지 제반 여건의 열악함과 기술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운영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있음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과학관 운영에 대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제도의 마련과 이를 통한 과학관 운영에 대한 평가는 중요성을 가진다. 과학관 운영평가는 소홀히 다루어져왔으며 과학관 운영을 위한 평가항목 및 지표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과 필요성에 의하여 관람객 중심의 과학관 운영평가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실천방안 및 활용사례를 제시함으로서 향후 과학관에 알맞은 표준화된 평가 마련을 위한 기본토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관은 과거의 무겁고 따분한 분위기가 아닌 유익하고 즐거운 대중과 함께 하는 과학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과학관은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관람객을 유치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만 과학관이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다는 위기 위식을 스스로 깨닫고 있다. 과학관에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는 과학관의 사회적 기능이 강조되면서 과학관의 커뮤니케이션적 특성, 교육매체로서의 전시, 수용자로서의 관람객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과학관 커뮤니케이션은 전시품과 이들이 형성된 사회문화적인 맥락, 시간․공간상의 개념정의를 통한 시각적 인식의 강화 및 문화적, 분석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1차적인 목표가 있고, 2차적인 목적은 관람객이 자아발견을 체험함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과학관 활동에 참여하려는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심화되는 이공계기피를 완화하기 위해서도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보급하는 과학관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과학관은 과학관육성법에 근거하여 정부는 과학관육성기본계획을 매 5년마다 수립해야 하며 과학관의 설립촉진과 운영활성화, 과학기술문화의 지역 간 균형발전 도모 및 접근성 제고를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관의 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3요소는 전시 공간, 전시물, 관람객이다. 이러한 3요소가 조화롭게 잘 어울려야 제대로 된 과학관이라 할 수 있으며 과학관의 전시물이 뛰어나고 관람객 수가 많아도 정교한 운영 능력과 재정이 없다면 그 과학관은 성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국내 과학관 운영의 문제점을 보았을 때 과학관은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국내 과학관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며 국립과학관 운영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평가지표로 사용하긴 어렵다. 국내에서는 과학관 뿐 만 아니라 박물관에 대한 표준화 된 평가제도도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과학관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으로 인해 관람객 중심의 평가항목 및 지표연구가 필요하다. 평가항목은 관련된 연구결과 및 문헌고찰,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전문가의 검정을 위해 전국의 과학관에 직접 방문하여 질적, 양적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대한 자문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평가지표를 완성하였으며 SMAAT 검증모델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평가항목은 운영, 전시물, 체험, 교육, 봉사, 휴게시설, 국제화, 창의․상상 8개의 항목이며 각 항목은 8개의 평가지표, 총 64개의 지표로 구성되어있다. 연구된 지표모델은 설문조사를 통해 적용하며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립중앙과학관은 27.8점, 국립과천과학관은 25.95점의 평가성과가 도출되었다. 평가를 통하여 운영시스템을 관람객 중심으로 개선해야하며, 이로 인해 1차적으로는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지만 2차적으로는 과학관의 설립목적과 취지에 맞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과학관의 경쟁력 향상과 운영활성화를 도모하며, 정책수립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평가제도 도입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과학관 평가를 위해서 과학관 정책의 개선과 평가제도 구축 및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관람객 중심의 과학관 운영을 위한 평가항목 및 지표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과학관 단독의 평가제도 도입에 대해 연구한 점에 있어 그 의의를 가지며 향후 과학관 평가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관람객 중심의 운영을 위한 평가제도가 제대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각계 이해관계자들의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며, 정책적으로 과학관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관 평가에 대한 평가항목 및 지표에 대한 표준화 등 많은 부분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 Starting from opening of Eunsa Memorial Science Museum in 1927, currently there are around 90 science museums are in the country. Over the past 80 years, science museums have shifted along the economy and culture of our society, and science museums all over the country have provided visitors with experience and education. Science museums are supposed to perform their roles and functions, however, due to poor conditions and technical problems,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management are constantly being presented. Therefore, establishing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for a management of science museum and assessing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science museum through this measures has the great importance. Management assessment of science museums has been neglected in the history, and the systematic study for assessment items and indicators are lacked. From this practical situation and necessity, this has a purpose to provide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science museums to have an appropriate standardized assesment tools by presenting action plans and cases based on the overall management assessment on the visitor oriented science museums. Science museums are seeking the transition to an enjoyable, informative, and public friendly place instead of heavy and boring atmosphere in the past. Science museums are realizing the consciousness of crises that they need to change their paths to actively attract the visitors in order to survive. The reason a theory of communication should be applied in a full scale is that as the social function of the science museums became emphasized, there needs a theoretic approach to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exhibition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recognition of visitors as users of science museums. Communication of science museums has a primary purpose of improving cultural and analytical ability and strengthening the visual recognition through exhibit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concept definition of time and space of their formation. Its secondary purpose is to have visitors experience the self discovery, which leads to motivate visitors to actively participate the activities of science museums.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science technology and mitigate the deepening reluctan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science museums ought to establish science museums basic support plan every 5 years based on the Science Museums Support Act in order to support and activate science museums which spread science culture, and its final purpose is to accelerate the foundation of science museums and activation of the management, plan for balanced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culture between regions, and enhance the approachability. Three elements requir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cience museum are exhibition space, exhibits, and visitors. Having these three elements harmonized is a must for a proper science museums, and this shows that if it does not have sophisticated administration ability and finance, it can not end up successfully even if it has outstanding exhibits and many visitors. Judging by the problem of administration of domestic science museums, it clearly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museums and visitors is critical. Studies about current domestic science museums' assessment indicators are insufficient, and the studies about the administration of national science museums are under process, however, it is not yet good enough to be used as assessment indicators. In our country, not only science museums, but also regular museums not have a standardized evaluation system yet. Due to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the science museums and visitors, studies on assessment items and indicators that are visitors oriented are required. For assesment items, in order to see if assessment tools developed based on results of relevant studie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ofessional's brainstorming are qualifiable, we personally visited science museums all over the country and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eliminary survey, and by seeking the consultation regarding the results, we have modified and complemented it to complete the assessment indicators, then we verified its validity through SMAAT verification model and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ssessment items consist of 8 items: Management, Object, Experience, Education, Volunteer, Rest Facilities, Global, and Creativity. Each item is composed of 8 assessment indicators; total of 64 items. Studied indicator model can be applied through a survey and it was initiated to evaluat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National science museum had rating of 27.8 point and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had rating of 25.95 point. Based on this assessment, science museums should change the adminstration system to visitors oriented, and not just focusing on the preliminary purpose which i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it should also inspect whether the science museum is proceeding the business that coincides with the founding purpose, in the medium and long term, it should plan for activation of the operation and enhancement of competitive edge of the science museum, and present the importance of introduction of evaluation system as a method to show the direction for policy making. For the sake of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science museum, changes in a science museum policy and discus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ystem should be mad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for studying the introduction of an exclusive evaluation system for the science museum as a method to develop assessment items and indicators for visitor oriented science museum management, and its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n in-depth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science museum. In order to properly introduce the evaluation system that aligns with visitor oriented management, cooper

      • 공항 입지 선정을 위한 후보지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박찬휘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공항 입지 선정시 선정조건 및 평가항목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미국 연방항공국(FAA) 국제기준 권고사항을 검토하고 신공항 입지 선정을 위하여 수행한 사례 분석을 통해 공항 입지 선정을 위한 후보지 평가 항목에 대하여 기본적인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공항의 효율성, 수익성, 편의성 등을 확보하여 장래 허브공항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운영조건에 대한 평가항목을 제안하여 24시간 운영 가능한 후보지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댐 건설 사업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송원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금까지 댐에 관한 연구는 댐 주변의 생태계나 기상 및 수질오염 등에만 관심을 가졌고 주변지역의 주민이나 자치단체에 관한 사회경제환경 영향분석에서는 소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댐 사업 환경영향평가서 제도 개선이라는 미명하에 사회경제분야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지역주민, 관련 지자체, 사업단 간의 이해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댐 건설 사업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에 있어서 사회경제환경 분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환경영향평가의 제도에 대하여 고찰 하였으며 사회경제환경 평가에 대한 정의를 수립하였으며 12가지 목적과 10단계를 제시하였다. 과거에 소홀히 다루어졌던 환경영향평가서들의 사회경제환경 분야를 분석하여 평가항목별 조사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댐 건설 사업으로 인한 사회경제환적 영향은 1차적 영향과 2차적 영향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각 평가항목간은 서로 복잡하게 얽힌 복수의 2차적 영향을 발생시킴으로서 사회경제환경 평가를 더욱 난해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하게 얽힌 사회경제적 평가항목들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유형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환경영향평가서의 사회경제분야에 관한 문제점은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는 시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선진국과 국내의 댐 건설 사업절차와 시행체계 및 추진절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는 3Ps 즉, 정책(Policy), 계획(Plan), 그리고 시행(Project)의 3단계 중 가장 하위 단계인 시행단계에서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장기간에 걸쳐 수립된 사업 계획 내용이 변경되거나 만일 사업이 취소 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하다. 더욱이 환경영향평가시 주민의견수렴제도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어 댐 건설 사업으로 인한 사회경제환경적 분쟁을 사전에 최소화 할 수 없는 현실이다. 사회경제환경 분야 평가항목의 사례분석으로는 밀양댐(1989), 횡성댐(1991), 용담댐(1991), 탐진댐(1996) 및 영월댐(1997) 환경영향평가서를 분석하였으며 국외 사례로는 세계댐위원회(World Commission on Dams : WCD)가 장기간에 걸쳐 수행한 다국가간(多國家間) 연구를 분석하였다. 사회경제환경 분야의 평가항목으로 인구, 주거, 산업, 공공시설, 교육, 교통, 문화재 등 7개 항목을 전반적으로 선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평가내용 포괄적이지 못하며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수준이다. 그러므로 댐 건설에 있어서 환경영향평가를 시행단계가 아닌 최소한 계획단계에서 시행할 것과 지역주민과 충분한 협의와 협상을 통해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의 사회경제환경 분야 평가시 평가항목들 간의 연계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평가 수준을 높일 것을 제시한다. 또한 댐 건설 사업 시행으로 발생하는 수몰민 및 지역주민들에 단기적 보상 차원이 아닌 장기적이고도 구체적인 생계유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제시한다. Planners and decision-makers have increasingly accepted that 'social' impacts need to be considered along with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cause they are often important, or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m; as a response to the growth in the West of a popular desire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for improve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demand a precautionary approach. From the early 1970s to the 1980s SIA was usually added to EIA, its findings being a relatively minor part of an EIS. The goal of SIA. many would accept, is that 'it seeks to help individuals, groups,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understand possible social, cultural, or economic impacts of change, or better-still impacts to suggest development alternatives to avoid, reduce or mitigate problems and maximize benefits. A given impact regarding dam development project, or combination of impacts is likely to affect various social, ethnic, gender or age groups differently, though perhaps not simultaneously. A given impact might quickly advantage on group, slowly damage other and leave others unaff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importance of SIA and to reduce the social conflict by providing better and precise understanding of various impacts in dam development project. Socio-economic impacts are complicatedly interrelated with another factors. In this paper includes comparison of Socio-economic impacts and schematization of 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Socio-economic impacts in five samples of EIS were not sufficiently evaluated and some were omitted as compare to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though they are regulated in the EIA guideline. The five samples are EIS of Mil-Yang dam, Whang-Sung Dam, Yong-Dam Dam, Taem-Jin Dam, and Yung-Wul Dam.

      • 비가격적 평가항목들이 낙찰자 선정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 분석 : 한국남부발전(주) 물품구매적격심사 중심으로

        문병승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적격심사세부기준을 적용하는 물품구매(제조)입찰 낙찰자 선정 시 비가격적인 평가항목들이 낙찰자 선정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계층분석의사결정방법(AHP)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남부발전(주) 적격심사 사례를 중심으로 입찰업무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계약전문가들의 풍부한 계약관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도출된 가중치와 현재 적용하고 있는 적격심사제도 배점 가중치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입찰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바람직한 제도 개선 방향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발전공기업들에서 발생하였던 성능시험서 위조 사건에서 보듯이 계약이행능력의 엄격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적격심사제도가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남부발전(주)에서 2009년 1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체결한 계약통계를 기초자료로 분석하였다. 회사규모별, 계약방법별, 낙찰자 선정방법별 등으로 구분하여 계약통계의 빈도분석 결과 중소기업은 전체 구매계약의 94.1% (3,879건)에서 낙찰자로 선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격심사 낙찰제를 적용한 9.1% (376건)의 계약 중 93.8%(353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만을 한정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사례연구 대상인 한국남부발전(주)에서 적용받는 계약관련 법령과 자체 운영하고 있는 ‘물품구매적격심사세부기준’의 배점구성, 평가항목, 적격심사 적용 절차를 살펴보고, 미국, 일본, 독일 등 해외 주요국가의 계약제도의 운영현황을 국내 계약제도와 비교하였다. 공공기관에서 집행하는 입찰에서 입찰가격과 함께 비가격적 평가항목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평가점수를 합산 후 낙찰자를 선정하는 다차원입찰제도(Multi-Dimensional Action)에서 보유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이질적 입찰참여형태 다양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적격심사 낙찰제 입찰에 참여한 계약담당자들 의견을 반영하여 비가격적 항목들이 낙찰자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하여 AHP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3장에서는 적격심사세부기준 항목들의 계층구조(Level 1 ~ Level 4)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은 설문지 형식으로 발주자 입장에서 계약을 집행하는 한국남부발전(주) 계약전문가 그룹 20명, 유사한 적격심사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발전공기업 계약전문가 15명, 입찰 참여 실적이 있는 중소기업 계약담당자 30명(제조업 15명, 물품공급업 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계약담당자들의 계약업무 경력은 1~3년, 4~6년, 7~9년, 10년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E-mail 및 직접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46건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일관성비율(CR)은 0.153으로 0.1을 상회하였으며, 일관성 비율 0.1 이하의 32건을 쌍대 비교한 결과 CR 0.033로 나타났다. 상위계층(Level 2) 요소들의 가중치 순위는 납품이해능력 0.577, 신인도 0.212, 결격사유 0.211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중치 비율에서 납품이행능력이 신인도 및 결격사유 보다 약 2.7배 낙찰자 선정에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회사종류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발주자인 한국남부발전(0.5401) 및 발전공기업(0.5220)은 납품실적 및 경영상태 등 이전 계약의 수행으로 납품이행능력이 검증된 입찰참여사를 우선시하고, 입찰참여사인 물품공급업체(0.6340) 및 제조업체(0.6120) 역시 납품이행능력을 보유한 경우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자로 선정되는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요소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계층 Level 3과 Level 4의 요소들의 상대적 가중치와 상위요소와의 곱으로 산출된 복합가중치를 산출하여 적격심사 평가 시 세부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적용중인 적격심사 배점의 가중치(가중치Ⅰ)와 AHP 분석으로 산출된 가중치(가중치Ⅱ)의 차이분석을 통해 몇 가지 두드러진 심사항목간의 가중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납품실적 하위 요소인 계약목적물 동등이상 물품실적은 적격심사에서 배점 가중치가 0.034에 불과하지만 가중치Ⅱ에서는 0.241로 7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경영상태는 배점이 27점으로 가중치Ⅰ에서는 0.307의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으나 가중치Ⅱ에서는 0.147로 그 중요도가 절반에 그쳤다. 신인도의 하위 요소인 기타항목은 현행 배점 3점으로 가중치Ⅰ이 0.034에 해당하나 가중치Ⅱ에서는 0.006에 불과하여 계약이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상당히 낮게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회사종류별로 평가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여 구매품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적격심사 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발주회사나 입찰참여사 모두 납품실적에 대한 비중확대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남부발전(주)을 비롯한 발전공기업에서 발주하는 물품구매(제조)에 적합한 적격심사 항목들의 배점한도 가중치 개정 시 계약집행 과정에서 습득한 풍부한 경험을 갖춘 계약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통상의 설문조사 방법이 아닌 AHP 기법이 다소 생소하여 결측치를 갖는 설문이 다수 발생하였고, 부패방지 및 청렴제도에 따라 계약담당자들의 잦은 부서이동으로 10년 이상 계약업무를 담당한 전문가만을 대상으로 설문그룹을 구성하는데 다소 한정적이었다. 또한 Level 4 ‘기타’의 12가지 세부요소는 주관적인 판단으로 전체 총점 대비 미미한 배점과 실지 적격심사 과정에서 적용되는 빈도가 낮아 하나의 평가요소로 묶어 분석을 하였으나 보다 정교하고 정확한 가중치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의 요소별 비교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납품이행실적 등의 과중한 가중치 조정이 신규 참여사의 진입장벽으로 이용 되서는 안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적격심사는 모든 공공기관 및 정부기관에서 공사, 용역, 물품구매(제조) 및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구매 등에서 낙찰예정자의 계약이행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관별 세부기준을 제정하여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정가격 10억 이상의 물품구매(제조)에 적용하는 적격심사세부기준만을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비가격적 평가항목들의 분석범위를 공사, 용역 등 분야를 포함하여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고, 계약전문가들의 수렴의견을 반영한 비가격적 평가항목들의 배점 개정에 필요한 추가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길 바란다. 또한 이러한 전문집단과 공감대가 형성된 배점기준 도출 연구를 통하여 한 단계 더 높은 공정한 계약질서 정립문화가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 백로번식지 주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시 중점평가항목 선정 및 평가방안 연구

        임혜령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문요약 백로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에 인접한 산림에 무리지어 번식하고 하천과 저수지, 논과 같은 습지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조류이다. 최근 도시의 확장과 산업단지 등의 개발로 인하여 백로가 서식하는 공간인 산림과 논이 파괴되어 서식지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의 거주공간과 인접하여 백로번식지가 위치하다보니 악취와 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빚어지면서 백로번식지의 보전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백로번식지 주변 개발 사업을 진행할 때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갈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중점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저감방안을 제시함으로 지속가능한 공존의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청주시의 백로 집단번식지 4곳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현재 청주시 백로번식지와 주변 주거지역에서 발생된 백로번식지의 보전을 둘러싼 갈등과 악취와 소음으로 인한 민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방법 등을 분석함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대규모 번식지 면적과 개체군의 감소, 소규모 번식지의 증가와 소멸, 소음과 악취로 인한 갈등, 서식지 직접적 훼손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환경영향평가의 목적이 지속가능발전과 환경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므로 청주 백로번식지 주변지역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를 토대로 도출된 문제점인 백로번식지의 보전을 둘러싼 갈등, 악취, 소음의 악영향에 대한 평가내용을 분석했다. 평가서 분석결과 동·식물상 항목에서 백로번식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것은 있었으나 백로번식지로 인한 악취와 소음에 대한 평가는 전혀 실시되고 있지 않았다. 백로번식지 주변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때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중점평가항목 선정과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중점평가항목으로 백로번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동·식물상 항목과 백로번식지로 인하여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악취와 소음항목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정된 평가항목에 대하여 백로번식지의 생태적 특성과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분석하여 평가방안을 도출한다. 동·식물상 평가방안은 다음과 같다. 광역조사를 할 때 법종보호종 위주의 조사로 국한하지 말고 주요 종 번식지와 철새도래지에 해당하는 백로번식지를 포함하여 조사한다. 현지조사를 할 때 조사범위를 면적사업의 경우 300m로 정하고 있지만, 대상지 주변 500m 이내에 철새도래지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백로번식지(여름철새도래지)가 포함될 경우 조사범위 500m로 확대하여 설정하고 도래시기에 현지조사를 실시한다. 번식지에 관한 조사와 함께 대규모 취식지의 조사를 좀 더 정밀하게 실시하여 도면에 표시하고, 취식지의 감소에 따른 영향과 일정면적의 취식지 보전, 대체습지조성 등 저감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악취항목의 평가방안은 다음과 같다. 악취현황을 조사할 때 백로번식지를 악취발생원으로 인식하고 악취발생원 분포현황에 포함하여 복합악취현황을 측정하고 탐문조사와 민원사례조사를 통하여 수용체에 미치는 악취현황조사가 중요하다. 또한 악취 조사시기는 악취발생이 최고가 되는 시점인 5월에서 8월중에 악취를 측정하고 악취발생량이 최고인 시점을 포함한다. 악취평가기준은 농도규제인 복합악취 배출허용기준뿐아니라 악취탐문조사와 민원사례조사를 통하여 수용체 중심으로 사람이 느끼는 악취 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용체에서 수인한도 악취농도는 2∼5OU/㎥로 하고 빈도는 2%이하로 한다. 저감방안으로 토지이용계획을 할 때 주거지역과의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 완충공간 조성 등을 반영한다. 소음항목의 평가방안은 다음과 같다. 현황조사를 할 때 백로번식지가 소음발생원으로 포함하여 조사한다. 운영시 백로번식지는 인접하여 계획된 주거지역, 교육시설 등 정온시설에 소음의 피해를 주는 소음발생원이다. 백로 1,000개체 있는 번식지의 경우 평균 63dB정도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 바 백로번식지의 현황 소음도를 측정하고 그 영향을 예측하고 저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조사는 소음발생이 최대가 되는 시점인 5월∼8월에 실시한다. 이때는 육추의 시기로 백로류와 아기 새들이 내는 소리가 집중되는 시기이다. 현황소음측정과 영향예측을 통하여 저감방안을 수립하도록 한다. 백로류는 여름철새이므로 일정 기간에만 소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방음벽 설치 등 인공적인 구조물 설치로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보다는 이격거리확보, 완충녹지, 마운딩 조성 등의 방법으로 저감대책을 세운다. 이처럼 개발 사업을 진행할 때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동·식물상, 악취, 소음항목을 백로번식지를 고려하여 중점적으로 평가한다면 사람과 백로가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백로번식지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고 개체군의 밀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백로번식지의 영소목 관리와 취식지의 양과 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백로번식지가 악취, 소음발생원임을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환경영향평가단계에서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지자체별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계획이 선행되어야 하고 백로번식지에 대한 보호와 관리에 관한 매뉴얼 작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호텔 직원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의 상관관계를 통한 채용평가기준의 개발

        이수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1

        대표적인 대인산업인 호텔은 직원의 인적서비스 자체가 호텔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호텔의 서비스는 얼마나 훌륭한 인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교육시키느냐에 따라 경쟁력이 달라질 수 있다. 인재경영의 핵심은 효과적인 인적자원의 관리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으며, 특정 부서와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파악하여 그 역량을 가진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고객만족과 경영성과를 위해 직원에게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핵심역량을 가진 인재들을 어떻게 채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전 3차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고, 직원들의 핵심역량 6개 요인 33개 항목과 채용평가 항목 7개 요인 34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채용평가기준을 개발함으로써 호텔기업의 인사담당자와 면접관들 뿐만 아니라 지원자들에게도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채용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직원의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 간에는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밝혀냈으며, 이는 역량중심의 채용을 추구하고 있는 현재 호텔기업의 흐름과도 부합한다. 단,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 중 경력 및 자격 조건의 상관관계가 가장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 서류전형에서의 학력과 자격증 요건보다 면접을 통해 지원자에 대한 심층적인 채용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호텔기업에서는 태도나 열정, 자신감, 대고객관계 등 중요한 비가시적인 역량들을 측정하고 파악할 수 있는 채용평가 방법과 구체적인 질문들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부서별로 필요한 핵심역량에 대해서는 경영분석 능력, 상황판단 및 지식습득 능력, 영업기법 및 고객관리 능력, 직원 선발 및 업무관리 능력에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이는 부서에 따라 핵심역량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기존연구들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부서별로 핵심역량에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므로 호텔기업에서는 채용평가 시 부서별로 중요한 핵심역량의 차이를 반영하여 적재적소에 맞는 인재를 선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부서별로 여러 핵심역량들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채용평가에서는 경력/관리 능력과 인성적특성 요인만이 중요도에 차이를 보였다. 부서에 따라 핵심역량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신입직원들에게 더 중요한 것은 업무의 역량보다 서비스 마인드, 전문직업의식, 태도, 열정과 동기 등의 내재적 특성이 중요시되는 신입사원 채용 특성을 보여준다. 다만, 호텔기업에서 경력직을 채용할 때는 직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위해 부서별 핵심역량의 차이를 반영해 인재를 선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의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호텔기업들에 적용가능한 7개 요인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채용평가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호텔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는 인성적 특성과 직무수행능력을 가장 최우선으로 평가하며,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용모 및 태도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한 호텔기업의 채용평가 모형이 실제 호텔에서 신입직원을 채용할 때 기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호텔직원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채용평가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처음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지원자와 면접관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호텔기업에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호텔 산업의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었으며, 호텔채용 과정에서 면접관들이 중요시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As hotel employees ar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value of hotels' products and services, retaining superior employees and training them continuously could be the competitive edge to hotels. The key point of managing human resources is to find out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each department and each position. It is crucial to select employees with these core competencies since employees' performances are direct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s of core competencies are important to be successful employees and how can interviewers accurately evaluate their applicants. To organize questionnaires, literature review and panel discussions have been undertaken with professors who majored in human resources of hospitality and tourism and current interviewers of five star hotels in Seoul. With these questionnaires,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y and evaluation criteria of hotel employees was analyzed.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and refine attributes of hotel employees' selection evaluation standard with Delphi technique. It is meaningful not only for interviewers but applicants to suggest guidelines for selecting right employee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y and evaluation criteria. It shows the reason why some hotels have been trying to develop competency-based evaluation standar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bout important but invisible factors such as attitude, confidence, and interpersonal skill, concrete questions and evaluation methods have to be made.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importance rating of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departments. Therefore, interviewers have to select employees with right competency and the right position. Third, even though core competencies are different from departments, there are no differences in importance rating of evaluation criteria except management skills. It shows that as for the selection for new employees, service mind, attitude, passion, and motiv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operational skills. However, as for the selection for experienced employees, they have to be chosen based on the different competencies for effective performance. Lastly, to develop hotel employees' selection evaluation standard Kendall's W analysis has been used. In this study, the attributes of evaluation criteria were classified with 7 sectors and 28 variables. Although there are a few previous researches about selection evaluation criteria,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y and evaluation criteria of hotel employees. Also, hotel employees' selection evaluation standard would be the guideline when selecting new employees in five star hotels and preparing interview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both interviewers and applic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