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랜차이즈 편의점의 브랜드 자산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PB 식음료 상품 구매자를 중심으로

        신혜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편의점은 소비 트렌드 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유통업 중 하나로서 1인 가구 소비자의 증가, 간편하고 신속한 구매 선호 경향 확대, 그리고 경기 침체로 인한 실용적인 소비 성향 확대에 따른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게 가격 대비 양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PB 식음료 상품, 1인 가구에 맞는 가정간편식(HMR)등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PB 식음료 상품과 관련된 유행어가 만들어지고 편의점 전체 상품 판매순위에서 PB 식음료 상품의 판매순위가 상위권을 차지하며 이제 편의점은 외식의 한 장소로서 거듭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편의점 PB 식음료 상품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브랜드 자산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 및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현재 브랜드 간 차별화가 약한 국내 프랜차이즈 편의점 브랜드들이 브랜드별 대표 PB 식음료 상품을 통하여 자사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자산을 확고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PB 식음료 상품의 지속적인 개발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거주하며 통계청의 자료에서 프랜차이즈 편의점으로 정의되는 국내 편의점 브랜드를 최근 3개월 이내에 방문하여 PB 식음료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총 380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적합도를 검토하여 총 1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자산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브랜드 자산 중 브랜드 인지도는 기능적 가치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이미지는 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그리고 기능적 가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점에 대한 지각된 품질은 기능적 가치에만, PB 식음료 상품에 대한 지각된 품질은 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그리고 기능적 가치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경제적 가치, 감정적 가치, 그리고 기능적 가치)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태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으로 기존에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편의점의 외식 기능 부분에 대해 연구를 하여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인 편의점 PB 식음료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관점에 적합하게 브랜드 자산 및 지각된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를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새로운 관점의 하위차원으로 제시하며 브랜드 자산과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인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1인 가구 소비자가 증가하고 간편성 및 신속성을 추구하는 외식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편의점이 외식의 기능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하나의 외식장소로 인식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편의점이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PB 식음료 상품의 지속적인 개발 및 투자가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매출액과 적은 점포수를 가진 소형 편의점 브랜드가 대형 편의점 브랜드에 대항하여 가질 수 있는 경쟁 우위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의 하나로, PB 식음료 상품을 통한 브랜드 자산 구축의 필요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 자사 편의점 브랜드를 방문한 외식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편의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방안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몇 가지 지니고는 있으나 본 연구는 편의점의 외식 기능을 조명하며 편의점의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치열한 편의점 브랜드 간의 경쟁 속에서 개별 편의점 브랜드마다 PB 식음료 상품을 통한 차별화된 경쟁우위 구축과 소비자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향후 PB 식음료 상품을 통한 편의점의 외식 기능의 발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프랜차이즈 편의점, 브랜드 자산, 지각된 가치, 태도, 행동의도 Convenience Store (hereinafter called 'CVS'), which is one of merchandise businesses a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change of consumption trend, provides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good quality and quantity of PB food & beverage products in comparison with their prices and HMR for a single household per each CVS brand, in complian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 households, the spreading tendency of preferring simple and quick purchase, and the changing consumption trend of modern consumers according to the expanding fashion of practical consumption caused by recession. Nowadays, CVS becomes a dining-out place with the fad words related to PB food & beverage products created and the sales ranking of PB food & beverage high-ranked in the sales ranking of the whole CVS item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research hypothesis of structural relation that brand equity of CVS might affect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positively(+) is set and the testing of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rough the practical evidence analysis is performed. Also,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PB food & beverage products which makes each brand of CVS firmly build their own differentiated brand equity based on their representative PB food & beverage product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weak brand differentiation among domestic franchise-type CVS brands is reviewed. To perform the practical evidence research, in this study, the consumers who reside in the capital area and visit domestic brands of CVS to purchase PB food & beverage products within the recent 3 months are surveyed, an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otal of 380 samples are reviewed, and the total of 16 hypotheses are tested. The results of the testing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brand equity on the perceived value, the brand awareness of brand equity affects only the functional value positively(+), the brand image affects all of economic value, sentiment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positively(+), the perceived quality on CVS affects only the functional value positively(+), and the perceived quality on the PB food & beverage products affect all of economic value, sentiment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positively(+).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perceived values(economic value, sentiment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on the attitude, all of them affect it posi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attitud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attitude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positively(+). The significance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s. First of a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new discussion issue is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on the dining-out function part of CVS which has never been performed academically and the influence relation among brand asset,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rand equity and the perceived value are presented as the sub-level in the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eceding researches appropriate for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s purchasing PB food & beverage products of CVS that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tested through the synthetic model.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B food & beverage products and the investment for CVS to build the brand equity in the fierce competition while CVS is recognised as a dining-out pla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 household consumers and the dining-out consumers pursuing simplicity and quickness, and confirms the necessity of building brand equity through PB food & beverage products as an effective way of the competitive edge of small CVS brands with the small number of stores and relatively low sales volume over big CVS brands. And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for CVS brand to exactly understand the perceived value of dining-out consumers visiting its CVS and establish marketing plans and strategies inducing positively the consumers' attitude on the CVS brand. Despite this implication,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lluminates the dining-out function of CVS, searches structural relation between brand equity of CVS and the consumers'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urges each individual CVS brand to build its differentiated competitive edge through its own PB food & beverage products in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CVS brands and establish its marketing strategies inducing continuous purchase of the consumers.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helpful to provide the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dining-out function of CVS through PB food & beverage products in the future.

      • 편의점강도 위험요인에 관한 사례-통제 연구

        김병화 용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편의점강도범들의 합리적 선택요인과 편의점이 가지고 있는 상황적 범죄예방요인을 중심으로 편의점강도 위험요인(risk factor)을 파악하는 데에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편의점강도사건 발생자료와 편의점 방범인증 평가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편의점강도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평가하였고, 선행연구들이 제시하였던 단편적인 연구방법에서 탈피하여 강도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는 편의점들을 사례그룹으로, 그와 유사한 환경조건에서도 강도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편의점들을 통제그룹으로 선정하여 강도위험요인을 평가하는 사례-통제 연구(case-control study)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설명변수 이외의 외부요인의 효과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례그룹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해 있지만 강도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편의점을 통제그룹으로 설정한 대조식(matched) 사례-통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선정되었다. 우선 편의점 방범인증제가 실시된 이후인 2014년 1월부터 2015년 6월을 시간적 기준으로 하여 그 기간 동안 강도가 발생한 40개의 편의점을 사례군으로 선정하였다. 통제군은 사례군이 위치한 지점에서 반경 500m 내에 있고 동일한 가로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강도가 발생하지 않은 40개의 편의점으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명변수들은 편의점강도 위험요인의 원인이 되는 것들로, 합리적 선택요인과 상황적 범죄예방요인으로 구분된다. 우선 범죄자들이 범행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매장규모’, ‘입지유형’, ‘ATM 설치여부’ 등이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접근성 등의 문제는 자료입수에 있어서의 제약으로 설명변수로 사용할 수 없었다. 다음으로 상황적 범죄예방요인으로는 편의점 방범인증제 평가기준으로 제시된 6가지 변수와 ‘야간 점원 수’가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강도사건은 주말과 주중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인적이 드문 심야 및 새벽 시간대에 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특정 계절에 많이 발생하는 현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편의점 방범인증 평가기준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 ‘출입자 얼굴인식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계산대 주변 및 출입구를 중심으로 CCTV 설치 및 화질’, ‘편의점 방범인증제 평가 총점’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평가기준에 대해서는 사례군이 통제군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어서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조건부 로지스틱 분석에서 ’야간 점원 수‘와 ‘매장규모’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에 일하는 점원의 수가 2명 이상이거나 편의점의 매장규모가 클 때 편의점강도 발생위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편의점강도 위험요인 예측모형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출입문 개문 방향 구조’와 ‘편의점 방범인증 평가 총점’, 그리고 ‘야간 점원 수’가 최종 예측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분석결과의 함의와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강도는 주로 야간의 인적이 드문 시간대에 주로 1명의 점원이 근무하는 편의점을 범행대상으로 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야간영업실적이 낮은 편의점의 경우 심야시간의 영업을 제한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심야시간에 영업을 하는 경우라도 2명 이상의 점원이 근무하도록 의무화시켜 편의점 강도범죄의 발생위험성을 낮출 필요가 있다. 둘째, 편의점 방범인증제의 평가기준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편의점 방범인증 평가기준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과 조건부 로지스틱 분석에서 평가기준과 관련된 설명변수들은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이거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잠재적 강도범죄자가 범행대상을 선택할 때 물리적 보안 상태를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취약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편의점강도 발생위험성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편의점의 물리적 보안 상태와 함께 범죄자의 범행대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위주로 평가기준을 보완하여야 한다. 셋째, 편의점강도 위험요인 예측모형의 경우 ‘출입문 개문 방향 구조’, ‘편의점 방범인증 평가 총점’ 그리고 ‘야간 점원 수’가 최종 예측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편의점 방범인증제 평가기준은 T검증에서 일관되지 못한 분석결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예측모형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편의점강도 위험요인을 예측하는 설명변수는 ‘야간 점원 수’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편의점강도를 예방하기 위해서 심야에 근무하는 직원의 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맹점 형태로 운영되는 편의점의 특성상 2명의 직원을 고용하는 것은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하게 되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야간에 2명 이상이 근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야간 출입문 개폐장치 등과 같은 직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범시스템의 설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도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편의점강도사건은 드물게 발생하는 편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연구대상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통 범죄발생의 위험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인을 통제하고도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한 과정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할 수 있는 케이스가 한정되어 있다. 둘째, 상황적 범죄예방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찾기 위하여 편의점 방범인증제 시행기간에 맞추어 시간적 범위를 제한하였다. 상황적 범죄예방 요인들은 통상적인 설문의 방법으로 조사하기 어렵다. 따라서 편의점 방범인증제의 평가기준을 변수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제한하였다. 또한 상황적 범죄예방 관련 위험요인들은 경찰관들의 관찰평가에 의해 점수가 부여되고 있어서 평가기준이 명확히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이 다소 개입되었을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변수측정 방법의 경우에도 연구자가 직접 통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자료입수에 있어서의 제약으로 인하여 다양한 변수들이 본 연구에 활용되지 못하였다. 매출액, 판매상품수, 입점일, 야간근무자 성별 등 다양한 위험요인들에 대한 자료는 영업보안상의 이유로 제공이 거부되어 당초 의도한 만큼의 자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분석이 요구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of convenience store robbery with focus on rational choice factors of robbers and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factors of convenience stores. To this end, this study assessed risk factors regarding convenience store robbery by using the data on convenience store robberies in Seoul and the data and result of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assessment. And, this study adopted a method of case-control study to assess risk factors of robbery by categorizing convenience stores with a history of robbery into the case group and convenience stores with no history of robbery, which have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 the former group, into the control group, thereby going beyond existing fragmentary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a matched case-control study to control the effects of external factors as well as explanatory variables by classifying convenience stores that are located near those of the case group but have no history of robbery in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follows. The case group included 40 convenience stores with a history of robbery during a specific time frame from January 2014 when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began to June 2015. The control group had 40 convenience stores that had no history of robbery even though they were located on the same street as and within a 500m radius of those in the case group. Moreover, explanatory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the causes of convenience store robbery risk factors, and they are divided into rational choice factors and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factors. For starters, the factors criminals consider at the time of target selection are ‘the size of store’, ‘locational characteristics’, ‘existence of ATM machine’, etc. However, the issues such as accessibilit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were not able to b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due to limitations of available data sources. The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factors are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and six variables suggested as evaluation criteria in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nience store robberies occurred during both weekdays and weekends, and they were frequently happened during late night and dawn hours but had no seasonality. Second, the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of convenience store anti-crim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that only two fact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stallation and resolution of CCTV around counter and entrance that enables facial recognition’ and ‘the total score of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But, the case group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some assessment criteria, lacking consistency. Third, the conditional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and ‘the size of stor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risk of convenience store robbery tends to decline when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is more than 1 or the size of store is large. However, the analysis of a convenience store robbery risk factor prediction model showed tha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are suitable for the final prediction model: ‘the direction and structure of entrance’, ‘total score of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and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nience store robberies tended to occur during night time when few customers and/or witnesses are present and at stores with just one employee. Therefore,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shortening late-night opening hours in the case of stores with low night-time sales are necessary. Also,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risk of convenience store robbery by mandating that more than one employee be present at stores with late-night opening hour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Explanatory variables related to the evaluation criteria showed inconsistent results or no significant effects in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onditional logistic analysis on the anti-crime certification evaluation criteria. This means that potential robbers select a target based on visible vulnerabilities rather than physical security conditions. Therefore, the factors affecting criminals’ target selection along with physical security conditions of convenience stor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n effective assessment of convenience robbery risk.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and structure of entrance’, ‘total score of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and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are suitable for the final version of a convenience store robbery risk prediction model. However, the evaluation criteria of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howed inconsistent results in the T-test, which means they are not suitable for the prediction model. Th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planatory variables is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night-time staff in order to prevent convenience store robbery. But, it is not financially viable for franchisees who run most convenience stores to employ more than one clerk. Thus, security systems such as night-time door locking system that guarantee the safety of employees should be made mandatory if assigning more than one clerk to the night shift is not possible. However, this study has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research subjects are limited as convenience store robberies do not frequently occur. A series of processes is usually required to discern factors that affect the incidence of crime while controlling other factors in order to explain risk factors of crime. But, the number of samples are limited in this study. Second, the research time horizon was se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It is difficult to research factors of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via surveys. Thus, this study limited the time frame to utiliz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nvenience store anti-crime certification system as variables.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police officers conduct the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risk factors regarding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 results could become subjective even though evaluation criteria are clearly listed.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researcher could not directly control the method of variable measurement. Third, this study could not use a wide range of variables due to limitations of available data sources. For instance, data related to risk factors such as sales, number of items, launch date of stores, gender of night shift workers were not available for reasons of commercial confidentiality.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a wider range of data, overcoming those limitations.

      • 편의점의 상권 추정과 매출 예측에 관한 연구

        이철환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상권은 점포를 방문하는 고객들이 거주하는 지역이라 말할 수도 있고 점포로 흡입할 수 있는 고객들이 존재하는 지역적 범위를 말할 수도 있다. 특히 편의점은 새로운 점포의 매출을 예측하고 운영 중인 점포의 매출을 향상시키고 환경 변화로 인한 매출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상권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권의 분석은 편의점의 입지선정으로부터 점포의 폐점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편의점의 상권은 그 범위의 한계가 있다. 한편 1989년에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되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는 편의점은 고객의 가장 가까운 곳에 입지하여서 공간적 접근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24시간 연중무휴의 운영으로 시간적인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이다. 2010년 12월 말 기준 점포수는 1만 6,937개, 총매출은 8조 39백억 원으로서 2006년 이후 점포수는 평균 13.34%, 매출액은 평균 12.82%의 고도로 성장하는 업종이다. 이러한 편의점의 상권을 연구하기위해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특히 선행연구들은 초창기에는 편의점 업종의 성장과 발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2000년 이후에는 점포의 수익 실현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편의점의 입지 선정과 관련한 문제들은 초창기에서부터 현재까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나 주로 입지 요인의 추출에 관한 연구이며 상권을 추정하거나 매출을 예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그래서 편의점의 상권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강원도지역 점포를 대상으로 도시형과 교외형으로 입지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조사는 소비자분포기법(CST), 점포 이용객 설문조사, 출점지역 거리조사를 실시하였다. CST를 통해 도시형은 150m이내에서 1차 상권이 형성되고 교외형은 5km이상에서 1차 상권이 형성되는 것을 발견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시간적으로는 두 점포 모두 5분 이내에서 형성되고 거리적으로는 도시형의 1차 상권은 150m에서 형성되고 교외형의 1차 상권은 7.5km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출점지역 거리조사를 실시하여 도시형의 편의점간 평균거리는 150m이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강원도 원주시의 특정 후보점을 선정하여 도시형 입지의 상권 반경 150m를 1차 상권으로 적용하고 매출을 예측하였다. 매출을 예측하는 방법은 배후지, 통행량, 유사입지, 허프확률 모형 등을 적용하였으며 예상일매출과 점포임차료에 의한 투자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였으며 대안으로 건물주 가맹유도, 임차료 인하, 두 번째 후보점 조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가맹점 본부는 상권 추정과 상권분석에 있어서 상권의 확대나 축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시간과 비용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고 매출 예측에 있어서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다.편의점 신규 창업자에게는 이러한 매출 예측 방법을 활용하여 타 점포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현재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운영자에게는 상권의 확대와 신규 고객창출에 기여할 것이며 점포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매출 예측 방법은 편의점 업종외의 타 업종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소상공인들의 골목상권 침해논란에 대한 애매모호하고 주관적인 주장이 아니라 객관적인 상권의 제시를 통해 불필요한 논란을 줄일 수 있다.

      • 편의점 상품과 서비스가 고객만족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 : PB상품 품질과 NB상품 구색, 생활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근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편의점은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유통업으로서 사회변화에 바로 적응하고 있다. 1~2인 가구의 증가 인한 근거리 소비 확대가 편의점 성장의 가장 큰 영향으로 분석되며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맞게 1~2인가구에 맞는 소용량 상품, 가정간편식 HMR(home meal replacement)상품등 다양한 PB상품의 개발과 서비스를 통해 ‘라이프 스테이션’으로 입지를 굳혔다. 실로 오프라인 유통매장 중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의 PB상품의 품질, NB상품의 구색, 고객맞춤 서비스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고객만족 및 편의점 매출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편의점(미니스톱, CU, 7-eleven ,GS25)을 방문하여 PB상품과 NB상품의 구색의 변화를 관찰하고 편의점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총 200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적합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 상품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B 상품구색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맞춤 서비스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B상품품질, NB상품구색, 고객맞춤 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은 CVS 매출 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높아진 고객만족은 편의점 매출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PB/NB 상품력을 강화하고, 각종 생활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며 입지별 새로운 특화점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PB상품의 품질을 통한 차별화와 NB상품 구색을 통한 매장의 신선함, 그리고 고객맞춤 서비스를 통한 ‘라이프 스테이션’이미지 구축으로 차별화된 경쟁 우위 구축과 소비자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실무자들에게 편의점 매출성장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중국내 편의점 서비스품질의 고객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 베이징지역 련화콰이커(聯華快客) 편의점과 세븐일레븐 편의점의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劉學峰 江原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customer satisfaction convenience store of convenience store and comparing of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 and Foreign convenience store. To get the goal of this study, 224 questionnaries were distributed to consumers who usually go to the convenience store in Beijing, and 244 valid questionn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12.0 system. The techniques for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ing: Firstly, frequency test was executed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everal forms of consumption behaviors. Secondly, reliability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the difference of customer satisfactory service quality between Chinese and Foreign convenience stor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ly, Service quality of customer satisfaction factors verified into five items: Materiality, Reliability, Reactivity, Confidence, and Sympathy. Secondly, Customers has a higher scores in Chinese convenience store than in Foreign convenience store, at these following factors: 1) Materiality " It was very easy to find the commodity you want to buy". 2) Reliability " the commodity you want to buy is out of selling did not happen" 3) Confidentity "explained the questions raised by customers clearly and professionally". Thirdly,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Chinese convenience store and Foreign convenience store at these following factors: 1) Materiality "convenient conditions and clean environment". 2) Reliability " No mistake happened when checkout and deal with the problems for customers seriously". 3) Confidentity " kind service". 4) Reactivity and Sympathy. 본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서비스 품질의 고객만족요인을 파악하고, 중국 편의점과 일본 편의점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베이징지역 편의점을 이용하는 224명 성인 남, 녀에 한하여 조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과 이용실태에 대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편의점 서비스품질의 고객만족 5개 요인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중국 편의점과 일본 편의점간 서비스품질의 고객만족도 유의한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증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의 고객만족요인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으로 5가지를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둘째, 고객들은 중국 편의점의 유형성 3개 항목 중에서 1개 항목 “원하는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게 선반에 잘 진열”, 신뢰성 3개 항목 중에서 1개 항목 “찾는 상품의 품절되지 않고 향상 구비”, 확신성 2개 항목 중에서 1개 항목 “고객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을 갖추는 것”에 관한 만족보다 일본 편의점 더 높은 만족을 얻고 있다. 셋째, 유형성 3개 항목 중에서 2개 항목 “장소의 위치”, “매장의 청결성”, 신뢰성 3개 항목 중에서 2개 항목 “계산이 오류를 없다”, “고객에게 서비스상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진지한 관심을 보다”, 확신성 2개 항목 중에서 1개 항목 “고객들에게 친절”, 반응성 및 공감성에 관한 중국과 일본 편의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찰청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실태에 관한 경험적 연구 : 경찰관의 인식 조사를 기초로

        김태용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경찰청에서 진행한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로 경찰관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대, 계급, 직무분야, 근속년수, 근무지가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평가기준에 대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과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들의 근무지에 따라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차이가 있다. 둘째, 경찰관들의 근무지에 따라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에 대한 실시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다. 셋째, 계급이 높을수록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 넷째, 근속년수가 짧을수록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 결론적으로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인식도와 실시효과성에는 지역적인 요소가 영향을 주고, 인지도에는 계급은 높을수록, 근속년수는 짧을수록 편의점 방범인증제도의 인지도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편의점 방범인증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편의점 방범인증제도를 강제화해야 한다. 둘째, 평가기준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편의점계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넷째, 전담 부서 및 경찰관의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편의점 방범인증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편의점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일곱째, 경찰의 부담 감소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convenience store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managed by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SMPA). Particularly, it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demographics-gender, age, rank, job area, years of service, work location-of police officer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the effectiveness of the certification procedure and understanding of its standard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18, various analyses including frequencies, cross tabu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gression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demograph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ir awareness about and understanding of the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perception toward the system’s effectiveness.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from the analyse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fficers’ awareness about the system and perception toward its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ir work locations. In addition, rank and understanding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Furthermore, years of service and understanding of the certifica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In conclusion, location of work had an impact on the awareness about and the perception toward the effectiveness of the certification procedure, and rank and years of service had a positive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understanding it, respectively. With the results from the study, following policy implementations are suggested. Firstly, the convenience store security certification must become a mandatory policy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have to be improved. Also, participation by the stores to which the process is applicable has to be encouraged and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for adopting the system. On the part of the police, resources must be allocated appropriately so that particular personnel can be in charge of the certification. Additionally, opinions and feedback of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operating the system. Finally, while establishing a specific unit to manage the certification,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s of the police must be implemented as well.

      • 편의점 서비스 편의성이 HMR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의점 이용빈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미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Effect of Service Convenience of Convenience Store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HMR Products -Focusing on the effect of modifying the frequency of use of convenience stores Recently,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HMR supply has expanded and HMR industry has developed various HMRs. The number of households ha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one person, the increase of couple working couples, and the rapid progress of aging. The number of food users in the form of eating out and simple food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need for HMR (home meal substitute) has been raised because of the increased need for a dietary culture that can substitute for a meal or a cooked meal rather than a traditional way of eating a meal at home, And the convenience of the convenience store of the convenience store that sells and sells the HMR product, there is no precedent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HMR produc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onsumers,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theory and implic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grasp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MR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consumers who purchase HMR products because of convenience of service provided by convenience stores. A total of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90 copie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Of these, 259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with missing answers and 31 questions with low reliabilit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ample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convenience of convenience stores has a positive effect on HMR product attitude, and access convenience (β = .251) has the highest effect on HMR product attitude. Second, service convenience of convenience stor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Decision making convenience, accessibility, transaction convenience, and conven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post-benefit benefi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HMR product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use frequency of convenience stores between convenience stores, HMR product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fers to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prior studies on convenience of service, and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on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ded by convenience stores, The significance of this can be assessed in a practical review as to how the serviceability and HMR product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are controlled. Second, it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attitude of the HMR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customer 's desired service convenience, and can be utilized for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and identifying the problem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service convenience factors. It can also be used to identify improvements to the product. Finall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of the HMR produc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onvenience store provided by the convenience store, the HMR product field of the convenience store which is expected to be expanded gradually and continuously, We can find other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convenience of convenience store services and the fact that they provide useful referenc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whole industry of HMR products. 국문 초록 편의점 서비스 편의성이 HMR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이용빈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우리나라는 아주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HMR 공급의 확대 및 HMR 산업 발달에 의해 다양한 HMR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고, 1인 가구 증가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등으로 집안에서의 식사가 줄어들었고 외식과 간편식 형태의 음식 이용자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또한 집안에서 식사를 해결하려던 전통적인 방법의 식사보다는 외식을 나가거나 조리된 음식을 대체할 수 있는 식생활 문화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어 HMR(가정식사 대용식)제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HMR 제품을 가장 다양하게 보유하고 판매하고 있는 편의점의 서비스 편의성으로 인해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HMR 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관련된 선행 논문이 없어 학술적, 실무적 이론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편의성으로 인해 HMR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HMR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편의점 이용빈도의 조절효과에 따라 소비자들이 HMR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연구 분석을 위해 설문지 총 300부을 배포하여 290부를 회수하였으며, 그중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와 신뢰성이 떨어지는 설문지 31부를 제외한 총 25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의 서비스 편의성은 HMR 제품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 편의성((β=.251)이 HMR 제품 태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편의점의 서비스 편의성이 구매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 편의성, 접근 편의성, 거래 편의성, 편익 편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편익 편익성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HMR 제품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의점 서비스 편의성과 HMR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 간에 편의점 이용빈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용빈도의 조절효과에 있어 HMR 제품태도 중 편익 편의성은 채택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비스 편의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고찰 내용을 참고하면서, 편의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편의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HMR 제품의 태도 및 구매의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편의점 이용빈도가 서비스 편의성과 HMR 제품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평가할 수 있다. 둘째,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 편의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HMR 제품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서비스 편의성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쟁력 확보와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HMR 제품에 대한 개선을 파악 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편의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편의성이 HMR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점점 더 규모가 확대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는 편의점 HMR 제품 분야 및 소비자가 요구하는 편의점의 서비스 편의성을 연구함으로써 편의점 서비스 편의성과 HMR 제품의 산업 전반에 걸쳐 유효한 참고 자료와 이론적, 실무적 지침이 될 만한 내용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중요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한양대학교의 편의점 자체 브랜드 자산 향상에 미치는 요인과 편의점 만족도 및 충성도 향상에 관한 연구 : 편의점 PB 이용자의 소비가치 조절효과

        츠지사쿠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1 인가구 증가, 물가상승, 혼자서 밥을 즐겨먹는 사람들의 증가 등의 사회적 배경과 사람들의 생활양식 변화로 인해 편의점 이용 고객수가 증가 경향에 있다. 특히 1 인가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동시에 불안전한 물가로 편의점 이용 고객 수는 꾸준히 많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편의점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편의점은 새로운 고객 획득과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행해왔다. 이 중에서 경쟁사와 핵심적인 차이점을 보여줄 수 있는 PB(Private Brand)가 이용고객층 중 가장 많은 20-30 대 소비자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PB 는 유통업체가 직접 상품 계획하고 생산, 출시까지를 일관하는 유통업체 브랜드이며, 현재 가격과 품질 양면에서 합리적이면서 차별적인 포인트를 가진 독립된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또 편의점은 활발한 PB 제품 출시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지속해서 주목을 받고 있는 ESG 경영 중 환경적 활동에 큰 힘을 써왔다. 플라스틱 사용 감소를 위한 상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소비자가 상품을 사용함으로써 의식없이 환경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진다. 한 편의점에서는 PB 제품 봉지를 친환경 포장재로 바뀌든 차별화 상품인 PB 를 친환경과 연관시켜 경쟁사와의 더욱 강한 식별 포인트를 주기도 한다. PB 상품 푹이 넓아지고, 이용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이와 관련해서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PB 를 바탕으로 Consumer based brand equity theory(고객 기반 브랜드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유통업체의 친환경 의향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나타내는 환경적 정당성과 PB 에 대한 충성도, 그리고 편의점 충성도를 연결시킨 논문은 부족한 상태이다. 마케팅 맥락에서 편의점 PB 과 관련된 논문을 살펴보면 간편식을 중심으로 한 PB 제품 선택 속성, PB 상품 패키지 디자인,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 만족도 및 브랜드 애착 등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나 최근의 편의점 시장 현황을 고려할 때 계속 주목을 받고 있는 환경적 문제와 PB 와 편의점 충성도를 연관시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 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PB 충성도가 편의점 충성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편의점 PB 제품을 사용해본 적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23 년 10 월 23 일부터 2023 년 10 월 29 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10 개의 응답을 수집하여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6.0 과 AMOS 22.0 를 사용해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SPSS 26.0 을 통해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한 후 측정변수의 탐색적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AMOSS 22.0 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한 다음에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소비가치를 선행연구에 따라 실용적 및 쾌락적 소비가치로 나눠 Amos22.0 를 통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소비가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먼저 소비자의 환경정당성은 편의점 이미지와 유통업체 평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점 이미지와 유통업체 평판이 고객 기반 PB 자산을 구성하는 요인 중 PB 인지도 및 연상도, 그리고 PB 에 대한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B 인지도 및 연상도, PB 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PB 충성도간 관계에 있어서 지각된 품질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B 인지도 및 연상도는 PB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또 PB 충성도가 편의점 만족도, 충성도에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점 만족도와 편의점 충성도 간에서도 역시 정(+)의 영향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 검증에 있어서 쾌락적 소비가치가 낮은 경우에 PB 충성도와 편의점 충성도 간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세 그룹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편의점 PB 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향상함으로 편의점 만족도와 충성도가 올라갈 것을 증명하였고, PB 충성도 향상을 위해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편의점 이미지, 그리고 편의점을 운영하는 유통업체에 대한 평판의 중요성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여러가지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편의점도시락 패키지디자인의 이미지가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현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에서 외식산업은 급격한 성장세와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경제 불황으로 인하여 간편하면서도 쉽게 구입, 섭취할 수 있는 즉석조리 식품의 구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국내의 1∼2인 가구의 구성비가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의점 도시락의 소비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매출 또한 급격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소비자들에게 편의점 도시락은 맛과 질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하였지만 최근 업체들마다 다양한 제품의 출시와 제품 개발을 통하여 제품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제품의 구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패키지속의 제품 구성뿐만 아니라 상품의 이미지를 함축해 놓은 패키지디자인 또한 중요한 구매 결정 요소 중 하나이다. 패키지디자인은 기업의 이미지를 알려주는 동시에 제품 홍보와 함께 소비자들의 상품 구매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상품을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품의 모든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 도시락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패키지디자인의 이미지가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편의점도시락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 중에서 편의점 도시락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유효한 설문지 327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고 SPS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도시락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 이미지는 소비자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이미지, 브랜드로고 이미지는 소비자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용기, 일러스트레이션이미지는 소비자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도시락 패키지디자인 구성요소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이미지, 브랜드로고이미지,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용기이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편의점 도시락 선택에 있어 섭취 후 폐기하는 용기이미지는 소비자들의 구매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특별한 날 구입하거나 선물용으로 구입하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용기의 이미지는 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비자들이 상품 구매 시 가장 처음 시각적으로 접하게 되는 색상이미지와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는 소비자들에게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보여진다. 식감이 떨어지는 편의점 도시락의 경우 적절한 색상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은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특정한 상품이나 브랜드만이 가질 수 있는 색상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은 특정 브랜드와 상품의 각인 효과를 통하여 좋은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기업의 모든 이미지를 함축해 놓은 브랜드로고 이미지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브랜드로고의 활용을 통하여 특정 상품의 신뢰와 소비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편의점 도시락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들은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소비자들의 구매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편의점도시락의 패키지디자인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제품 선택에 있어서 각 기업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제품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기대를 만족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질과 함께 시각적으로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적이고 차별화 된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