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승편의시설에 대한 고객만족도 연구 : 인천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훈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환승편의시설에 대한 고객만족도 연구 - 인천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 요 약 오늘날 각국의 공항들은 국가의 관문역할 뿐 아니라 자국의 최신시설과 최상의 서비스를 공항에 집약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공항서비스 평가결과는 그 나라의 기술과 서비스 수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었다. 특히 아시아지역은 중국 및 인도경제의 고성장으로 2027년까지 여객은 평균 6.3%, 화물은 6.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이 지역에 대한 항공수요는 급속히 빠르게 성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의 주요공항들은 동북아의 허브공항을 선점하기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인천공항의 경우 인도, 중국 및 동남아와 한국이 연결된 항공노선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2020년 공항이용객 1억 명 및 환승객 1천만 명 처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부단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총 인구수를 고려할 경우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으로서 2020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국 및 일본인 여객의 적극적인 유치가 필수적이다. 즉 중국 및 일본공항과의 서비스 및 허브 네트워크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여 적극적으로 환승수요를 증대해야 한다. 현재 인천공항은 국제여객의 환승률을 증대하기 위해 중국, 일본의 주요공항에 비해 풍부한 항공 네트위크를 구축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환승편의시설 확충 및 서비스개선, 최소환승시간(45분) 유지, 상시 문화예술 공연, 세계 최고의 면세점 구비 등 주변공항과 차별화되는 유인요소들을 보유하므로 외국인 환승객들로 하여금 인천공항에서의 환승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듯 최근 공항운영에 있어서 환승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환승 여객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는 출․도착 승객들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이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상업시설(환승편의시설) 이용 만족도 2011년 조사된 설문 내용중 환승호텔, 환승라운지, 마사지샵, 스넥바, 까페테리아 등 환승편의시설 이용에 대한 고객만족도 유추해 볼 수 있는 ‘서비스인식’,‘고객지향성’,‘서비스 물리적환경’, 및 ‘서비스평가’가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매장종류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빈도분석을 한 결과 인천국제공항 환승편의시설은 이용하는 여객은 3,40대 외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출,도착 여객보다 평균적으로 공항에 머무는 시간이 길고 대부분 장거리 여행객인 점을 고려할 때 쇼핑 보다는 심신의 피로를 풀 수 있는 환승호텔 75명(25.0%), 환승라운지 87명(29.0%), 마사지샵 59명(19.7%)에 대한 이용 비율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라 환승객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다양성 및 맞춤성,매장시인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항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만족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성이 다른 사람들과 다른 다양한 서비스와 본인만을 위한 서비스를 원한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셋째, 환승객들의 연령대별로는 서비스 만족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그들이 이용하는 편의시설 종류별에 대해서는 모든 변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이용객이 어떠한 시설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인식하는 서비스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는 데 이는 환승호텔, 라운지가 제공하는 서비스 수준이 스넥바, 카페테리아 보다 높은 데 기인한다고 판단되며 편의시설 종류별로 환승객이 기대하는 서비스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 장애인보호작업장 편의시설 실태에 관한 연구-J지역을 중심으로

        이승희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한민국 헌법」제32조 제1항 및 제2항에 의하면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지며 모든 국민은 근로의 의무를 진다고 규정되어 있다. 인간은 성인이 되면 직업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게 되고 사회참여를 통해 자기 만족감을 느끼며 사회 구성원의 일환으로 살아가게 된다. 누구나 일을 하면서 경제적 만족을 얻고 삶의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으며 이는 장애인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장애인에게 삶의 안정과 사회참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고용정책은 중요한 대안으로서 의미를 갖는다.(임경민,2009).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장애인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활동을 통해 더 나은 삶을 영위 하도록 고용 촉진 및 직업재활에 대해 법으로 규정해 놓았고, 장애인이 준비된 환경에서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해서도 규정되어 있다. 이렇듯 다양한 법률에서 장애인들이 일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반 작업환경에서는 일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준비된 작업환경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J지역의 12개의 장애인보호작업장 편의시설에 대해서 2020년 9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설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2조 제1항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2018년 보건복지부 장애인편의시설 실태 전수조사 조사표 등의 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작성한 5개 영역(①매개시설, ②내부시설, ③위생시설, ④안내시설, ⑤기타시설) 15개 세부 항목(①주출입구 접근로, ②장애인전용주차구역, ③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④출입구, ⑤복도, ⑥계단, ⑦승강기, ⑧대변기, ⑨소변기, ⑩세면대, ⑪점자블록, ⑫유도 및 안내 설비, ⑬경보 및 피난설비, ⑭작업대, ⑮음료대)에 대해서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하였다. 분석 방법은 세부 항목별 각각의 편의 설치 실태에 대해 4(적정함), 3(미흡함), 2(미설치), 1(해당없음)로 평가한 후 항목별 설치율에 대해 백분율로 산출하고 세부 항목별 실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편의시설의 설치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시설의 세부 항목 중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항목이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시설의 복도 손잡이 점자표지판, 위생시설의 성별을 구분하는 점자표지판 및 수도꼭지의 점자표지판, 안내시설의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설비의 점자안내판, 음성안내장치, 경보 및 피난 설비 등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에게 꼭 필요한 편의시설이 대체적으로 미흡한 설치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이나 보행이 불편하여 이동에 제한이 있는 이용인에게 필요한 편의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시설은 승강기 등 기본적인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시설의 보완이 많이 필요해 보였다. 셋째, 작업시설 특성상 다른 장애 유형보다는 지적장애가 75%로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대부분의 시설에서 편의시설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편의시설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시설도 있었다. 넷째, 장애인 작업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편의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고 관리 또한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부분은 분명 보완의 여지가 많이 보였다. 정확한 실측을 통한 편의시설 설치를 통해 실질적으로 편하고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편의시설의 설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 공간에서만큼은 장애인들이 불편함 없이 시설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책임감 있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해 보였다. 이상과 같이 J지역 보호작업장의 편의시설 실태 조사 결과 전체적인 설치율은 76.78%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전국 장애인편의시설 실태 결과 편의시설 설치율 80.2%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19). 영역별 편의시설을 비교를 해보면 5개의 영역 중 매개시설이 관련 규정에 가장 잘 맞게 설치되어 있고 위생시설, 내부시설, 기타시설, 안내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부족의 문제는 건물을 들어 올 때부터 이동 및 접근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은 향후 꼭 보완이 되어 시각장애인 및 청각장애인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작업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작업대의 활동 공간, 음료대의 유효 공간 등 편의시설의 부족 문제가 있었고, 기존 건축물에 장애인보호작업장이 운영이 되고 있는 시설이 있어 2층임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시설도 있었다. 이러한 기본적인 편의시설이 되어있지 않은 부분은 분명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셋째, 작업시설 특성상 눈과 손의 협응 능력을 필요로 하여 다른 장애 유형보다는 지적장애가 7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지 조사 대상의 대부분의 시설에서 편의시설에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를 위한 시설인 만큼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 등 다른 소수의 다른 장애 유형의 이용인의 편의를 위한 시설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보호작업장은 장애인들이 직업훈련을 통해 평생 직업을 유지하고 더 나은 취업처로 나가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통계적 설치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와 동시에 장애인 편의시설 규정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확인도 필요할 것이다. Article 32, Clauses 1 & 2 of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stipulate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work" and "All citizens shall have the duty to work." Human beings participate in the society through their occupations once they come of age. They have self-satisfaction and lead a life as members of the societ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Every person gets economic satisfaction and finds life rewarding through their work,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no exceptions.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hold significance as important alternatives to ensure their life stability and address their issue of social participation.(Im Kyung-min, 2009).The Act on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tipulates that the Act stipulates employment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hrough occupational activities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abilities, and also provi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se acts also contain provisions abou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receive vocational training or lead a vocational life in a work environment specially prepar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have a difficult time working in a general work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acts stipulating physical environments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work. It is then needed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as par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 "work environment specially prepared" for them that have a difficult time working in a general work environment.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actual installation of accessible facilities at 12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in the J region on September 14~October 23, 2020. Based on the set of detailed criteria about the structures and materials of accessible facilities in Article 2, Clause 1, Asterisk 1 of "Enforcement Regulations of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and the data of surveys on accessibl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a checklist was devised consisting of five areas(① medium facilities, ② internal facilities, ③ hygiene facilities, ④ guidance facilities, and ⑤ others) and 15 smaller items((① ramps to the main gate, ② parking areas reserved for the disabled, ③ removal of height differences in the main gate, ④ gates, ⑤ hallways, ⑥ steps, ⑦ elevators, ⑧ closet bowls, ⑨ urinal bowls, ⑩ sinks, ⑪ braille blocks, ⑫ inducement and guidance facilities, ⑬ alarm and evacuation facilities, ⑭ worktables, and ⑮ beverage stand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analysis, the investigator rated each accessible facility according to the smaller items on a scale of 4(proper), 3(insufficient), 2(no installation), and 1(not concerned), obtained the installation percentage of each item, and analyzed the actual and current state of each smaller item. The analysis results of accessible facilities in their actual install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te of installation was the poorest in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of the smaller items. Essential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were generally insufficient including braille signs for the handles of internal facilities along the hallway, gender distinction in hygiene facilities, and faucets, braille blocks of guidance facilities, braille signboards of inducement and guidance facilities, voice guidance devices, and alarm and evacuation facilities. Second, there was a lack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ose who have travel limitations due to difficulties with walking. Some had no installation of basic accessible facilities including elevators, requiring end-to-end supplementation. Third, intellectual disabil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proportion at 75%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facilities, leaving the other types of disability behind. Most of the vocational facilities did not place huge importance on accessible facilities accordingly, and some even neglected the importance of accessible facilities. Finally, the facilities were not well equipped with practical accessible facilities and failed to manage them right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vo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hich indicates that they have a huge room for supplementation. Accessible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through accurate survey to ensure practical convenience and free access for the disabled. Vocational facilities need to convert their consciousness in a responsible way so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use a facility with no inconvenience at least in their spaces. The survey results of accessible facilities at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in the J region reveal that the overall installation rate was 76.78%, which was lower than 80.2% in the 2018 national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the disabled(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The accessible facilities were compared among the five areas, and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mediation facilities complied with concerned regulations best, being followed by hygiene facilities, internal facilities, others, and guidance facilities in the order.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hortage of accessible facilities for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can lead to difficulties with travel and approach from the moment of entering a building. I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to reinforc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visually- and hearing-impaired people. Secondly, the facilities surveyed in the study had problems derived from the lack of accessible facilities including activity spaces at the worktables and effective spaces at the beverage stands even though they were vo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ome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were operated in existing buildings, providing no elevators for the second floor. This absence of basic accessible facilities definitely demands improvement. Thirdly, vocational facilities were predicated on eye-hand coordination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hich explains why intellectual disability outnumbered the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t 75%. Most of the facilities surveyed in the study thus tended to place no big importance on accessible facilities. They are, however,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disabled, which means that they need to take interest in facilities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minority groups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including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Lastly, sheltered workshops for the disabled are important facilities to serve as their channels to keep a lifelong occupation through vocational training and move to better jobs. It is thus critical to increase the statistical installation rate of accessible facilities at such workshops and, at the same time, check if they are installed right according to the concerned regulations based on ongoing interest.

      • 장애인 승강편의시설의 조사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지하철 환승역사를 대상으로

        이현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 복지의 궁극적 목표는 장애인이 진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보장받는 것이다. 비장애인 위주로 개발되고 발전되어온 물리적 환경 속에서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권의 확보는 자유로운 이동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사회활동의 보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동의 대표적 수단이라 볼 수 있는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장애인의 이동권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지하철 노선이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생겨나는 환승역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의 환승 가능성과 환승에 필요한 승강편의시설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문헌들을 참고로 장애인 및 편의시설 등에 관련된 개념을 정의하고, 관련법규의 내용을 토대로 편의시설의 세부항목을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지하철 역사 중 42개의 환승역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는 첫째, 환승역사들의 장애인 환승 가능성을 조사하고 둘째, 환승통로와 환승에 이용되는 승강편의시설의 설치 실태를 조사하고 셋째, 설치되어진 편의시설이 법규에 부합되도록 설치되어져 있는지를 안전성과 편의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분석결과는 첫째,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48경우의 환승경로 중 장애인의 환승이 가능한 역사는 41 경우로 85.4%에 해당한다. 41개의 환승경로 중 5개의 환승경로는 역무원의 도움없이 장애인 스스로 이동은 불가능하다. 둘째, 환승에 이용되는 승강편의시설은 승강기와 휠체어리프트(고정형과 이동형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경로내 승강기만 설치되어 있는 곳이 1곳, 승강기와 휠체어가 동시에 운행되고 있는 곳이 8곳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머지 32곳의 환승경로에는 휠체어 리프트만 설치되어 있다. 이 중 4곳은 이동형 휠체어 리프트만을 갖추고 있으며, 한곳은 이동형과 고정형을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 있다. 셋째, 통로, 승강기, 휠체어 리프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한 안전성 항목은 법규에 준하여 설치가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계단 손잡이의 경우는 손잡이의 높이 항목만을 제외하고 절반 정도만이 법규에 적합하도륵 설치되어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표지판의 부착은 3개의 환승경로 중 일부만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휠체어 리프트의 이용 편의성은 작동 설명서의 사용편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는데, 계단 상·하부 모두에 설명서를 부착하지 않고 있는 역사가 7곳, 작동설명서가 부착되어 있되 조작버튼과 멀리 있어 불편하도록 설치된 곳이 10곳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를 통한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장애인 환승의 가장 큰 문제점은 승강시설을 사용하지 않고도 환승이 가능한 3경우를 제외하고는 환승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운행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휠체어 리프트보다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승강기 위주의 계획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둘째, 휠체어 리프트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 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작동설명서를 작성하되, 계단 상 하부 모두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작동설명서와 조작버튼을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안내판은 가급적 천장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이나 벽에 부착할 경우 시설이나 승객들에 의해 가려서 쉽게 찾아볼 수 없다. 지금까지의 조사내용을 살펴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인 시설이 단시간 내에 많은 발전을 했지만 아직까지는 법규의 이행정도로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편의시설의 계획은 이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을 극대화하고 아울러 질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welfare for the handicapped is to guarantee that handicapped people may have full participation and equality as the true member of society. In the physical environment developed and evolved principally for the non-handicapped,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movement and the right of access for the handicapped means the guarantee of their normal social activity including free m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the right of movement for the handicapped revolving around the subway building that can be said to be the typical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the handicapped to transfer trains and the realities of the lift facility needed to transfer trains in the emerging trains-transferring subway stations buildings as the subway lines are becoming complicated and diverse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ir improvement. First of all, it defined the concepts related to the handicapped and the facilities for them by reference to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onducted the field survey by drawing up the checklist on the detailed items of the relevant facilities based on the contents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42 trains-transferring subway stations, of the subway station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the handicapped to transfer trains at trains-transferring stations. Second, to investigate the trains-transferring passageway and the realities of the installation of the lift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to use to transfer trains. Third, to conduct the survey on the installed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s to whether they are installed in compliance with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y dividing it into stability and convenience.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he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41 of the 48 cases selected for the research were equipped with trains-transferring passageways that enabled the handicapped to transfer trains(85.4%). In 5 of 41 trains-transferring passageways, it was impossible for the handicapped to move for themselves without any help of station employees. Second, the elevator and the wheelchair lift(fixed type and movable type) were installed as the convenient lift facility used in transferring trains. One subway station building was equipped with the elevator alone within the trains-transferring passageway, eight subway stations operating both the elevator and the wheelchair, and the remaining 32 cases equipped with the wheelchair lift alone in the trains- transferring passageway. Of them, 4 subway stations were equipped with the moveable-type wheelchair lift alone. One subway station was designed to use both the fixed-type and movable-type wheelchair lifts. Third, as to the item of safety investigated by dividing it into the passageway, the elevator and the wheelchair lift, they were installed to suit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ut in case of the stairway railing, about half of the items but the item of its height alone were installed in compliance with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ome of the three trains-transferring passageways were equipped with the braille signboard for visually handicapped people. The ease of using the wheelchair life was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the ease of use in the operating instructions, and 7 subway stations were not attaching the the operating instructions on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stairway, whereas in 10 subway stations the operating instructions were attached but in an inaccessible way away from the operating butt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greatest problem confronting the handicapped in transferring trains was that it took them excessively much time to transfer trains except three cases that they could transfer train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desirable to plan the lift facility with a focus on the timesaving elevator rather than the time-consuming wheelchair lift in terms of op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raw up the operating instructions with the contents easily understandable to users in case the wheelchair lift is installed, which should be installed at both the upper and the lower parts of the stairwa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users by installing the operating instructions and the operating button easily accessible to the handicapped.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directional board for use on the ceiling if possible. The handicapped can not easily locate it because it may be obstructed by any facility or passengers in case it is attached to the wall or the post. The research results reveals that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in Korea have thus far been much developed for a short time but are still installed simply to an extent of follow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Consequently, in plann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ir use and bring qualitative improvement with an aim of taking their convenience into consideration to a maximum.

      • 障碍人 便宜施設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仁川廣域市를 中心으로

        공보연 檀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복지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의 사회활동으로서의 완전한 참여와 통합이라 하겠다. 장애인이 사회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은 損傷(impair-ment)이나 障碍(disability) 자체뿐만 아니라 오히려 비장애인 중심의 대단히 제약적인 환경(environment)의 물리적 및 사회적 장벽 때문이다. 편의시설은 장애인의 완전한 社會統合을 이루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해 편의시설 종류별로 그 設置比率 및 問題點을 파악하고 거동이 불편하여 사회활동에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사회참여를 증진시키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편의시설이 擴充될 수 있도록 改善方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일반인들과 함께 평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고자 한다. 도출된 문제점으로는 첫째, 각종 시설설치에 관한 기준이나 규정만 있고 실제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支援方案이 마련되어 있지 못했다. 둘째, 시설기준이 주로 이동상의 장애를 가진 지체장애인 위주로 되어 있고 청각이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설기준은 매우 未洽한 실정이다. 셋째, 설치량 면에서도 부족하지만, 편의시설이 단위건물이나 시설의 설치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편의시설의 連繫性이 없었고, 이로 인해 실제 活用價値가 매우 낮다. 넷째,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시설들 중에는 규격에 맞지 않게 形式的으로 설치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실제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장애인 편의시설의 확충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시설을 集中化하고 接近度를 높여야 한다. 장애인의 접근도 및 선호도가 높은 동사무소, 학교, 병원 등의 인접지역에 편의시설의 설치를 집중하고, 접근도를 높이기 위한 편의시설의 설치 안내책자의 보급 및 이동서비스(콜택시제도, 가정봉사원파견사업 등)를 제공한다. 둘째, 連續的이고 體系的으로 편의시설을 배치해야 한다. 장애인이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건물내 시설뿐만 아니라 건물과 건물, 또는 자택과 목적지를 연결하는 도로 및 교통시설 등의 상호순환이 어느 지점에서도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편의시설에 대한 政策的인 개선책으로서 행정부 주도하에 편의시설에 대한 기술적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硏究開發 投資가 擴充되어야 한다. 넷째, 편의시설 關聯法을 改善해야 한다. 편의시설 설치에 관한 기준이나 규정의 강화는 물론, 구체적인 운용방법인 실행주체, 경제적 지원, 담당부서의 지정, 부처간의 의견조정, 사후관리 및 평가 등의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Ultimate goal of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is perfect participation and unity with social activity. Not only because of impairment or disability, but also material and social barrier of restricted environment that is in favor of normal people, the disabled tend to be disadvantageous in social life. Facility can be a basic element for the disabled to get a perfect unity. With the point of view, present study intended to contribute for the equal life of the disabled with normal person by understanding the rate and problem of institu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Inchon, and by proposing some improving measures in order that such facilities could be extended to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handicapped, the aged or the conceived people who feel a great restriction on social activity. The problems are : first, while there were criteria or prescriptions on diverse facilities, few supports for actual establishment were not prepared; second, the criteria were mainly focused on the clipped person, but those for the deaf or blind were rare; not only was amount of establishment poor, but no linkage was found between the facilities because most institutions have merely a building or equipments, and then, practical value of utility is very low, and; fourth, even the equipments were out of standard because they were set up for form's sake, it was difficult for the disabled to make use of them. Based on the problems, reforming measures to extend th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re proposed, such as: First, the facilities should be concentrated and set up closely. The institutions should be set up around near village office, school or hospital to where they may be favorite and accessible. Besides, to heighten the accessibility, pamphlets on the facilities should be distributed and traveling services including call taxi system and home-volunteering business should be offered. Second, the facilities should be arranged with linkage and system. In order that the disabled could enjoy a normal life, a mutual circulation like road or traffic that connects construction to construction or home to destination should not be broken and successive in any point, as well as within a building. Third, as for an administrative improvement for the facility,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investment to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echnique for the facility. Fourth, it is required to amend the law related to the facility. Criteria or prescriptions on setting up a facility should be reinforced, and some tangible alternatives should be proposed including operating, practical body, financial support, appointment of department in charge, making discussion between working departments, post factum management and evaluation.

      • 도심지 중앙역의 역사편의시설에 관한 연구(창원중앙역을 중심으로)

        신 대 곤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창원중앙역은 2010년 개통이후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객의 수요예측과 도심지 중앙역사로써의 위치적인 문제점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내부편의시설은 다른 KTX역사들과 비교하여 너무도 열악한 시설을 가지고 있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어 편의시설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창원중앙역은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예측할수 있듯이 향후 창원의 도심지 교통의 중심으로 부상될것이며 광역교통망과 연계되어 대중교통이 개편될 경우 창원중앙역사는 더욱더 이용객들이 증가할것이 자명하고 창원중앙역의 편의시설을 얼마나 더 확충하는 것이 타당한것인지 그 근거를 마련코저 함이다 이를 위해서 인구수에 따른 방법과 일평균이용객수에 따른 분석을 통해 역사편의시설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국내에는 인구수에 따른 편의시설현황을 조사하였고 일평균이용객수에 따라서도 편의시설현황을 분석하여 잘된사례에 대한 역사를 기준으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외의 경우에는 인구수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조사를 하였으며 일본, 프랑스, 독일의 선진사례를 각각 5개역사를 인구수에 따라 대표역사들의 편의시설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창원중앙역사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재의 편의시설에 대한 불만과 필요시설들을 조사하여 사례조사에 따른 분석방법과 병행하여 근거를 재분석하여 편의시설의 합리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창원중앙역은 인근 마산, 창원역과의 연관성이 높고 향후 KTX역이 창원중앙역으로 통합될것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여 통합전과 통합후에 대한 편의시설의 규모를 분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고, 도심지 중앙역사로써 철도역사를 복합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역사를 확장하여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수 있어야 창원중앙역의 도심지역사로써의 가치를 높일수 있을것으로 판단하였다.

      • 視覺 및 肢體障碍人 便宜施設 設置 實態에 관한 硏究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비교를 중심으로

        곽지영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5년 12월에 개정된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2005. 12. 30 보건복지부령 제341호)」을 토대로 하여 전남지역 Y시 및 S시내에 있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시각 및 지체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를 파악하고,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의 설치기준에 미비한 점 등을 조사하여 장애학생들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시각 및 지체장애인 매개시설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시각 및 지체장애인 내부시설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시각 및 지체장애인 위생시설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시각 및 지체장애인 안내시설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으로는 연구보조자가 조사대상 학교를 방문하여 사전에 마련된 조사지에 의하여 직접조사 하였으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일부개정 2005. 12. 30 보건복지부령 제314호)」에 나타난 기준을 근거로 하여 설치유무 및 백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편의시설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매개시설의 실태는 주출입구 접근로, 장애인주출입구높이차이 제거 등 특수학교의 시설은 비교적 모든 항목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인 주차구역의 크기가 2개교 모두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의 경우는 장애인 주차구역이 의무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설치되지 않은 학교가 15.4%(2개교)가 있었으며 장애인주차구역의 크기의 경우 총13개 중 23.1%(3개교)만 기준을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출입구 높이차이제거 중 23.1%(3개교)가 주출입구와 통로 사이에 3㎝이상의 턱이 있고 30.5%(5개교)는 경사로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 휠체어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내부시설 실태는 출입구(문), 장애인 등의 통행이 가능한 복도, 계단, 승강기 등의 특수학교의 시설은 출입문의 유효폭과 전면유효거리, 출입문 옆 활동공간, 손잡이 등은 100%(2개교)기준을 준수하고 있어 지체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었으나 승강기의 설치율은 50%(1개교)로 나타났고 주출입구와 화장실 전면에 점형블록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50%(1개교)만 설치되어 있어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에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승강기가 설치된 학교의 승강기 내부에 점자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어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특수학급의 경우는 비교적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출입구와 화장실 전면에 점형블록이 30.8%(4개교)만 설치되어 있었고 장애인용승강기도 총13개 중 7.7%(1개교)만 설치되어 시각 및 지체장애인이 이용하기에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강기 내부의 조작반, 통화장치 등에 점자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위생시설의 실태는 화장실, 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등의 실태는 특수학교는 장애인 화장실의 확보율이 66.6%로 조사되었고 대변기의 출입문 통과 유효폭과 유효바닥면적은 50%(1개교)만 기준을 준수하고 있었으나 손잡이의 설치라든가 높이, 길이 소변기의 설치, 손잡이 등은 기준을 준수하고 있었다. 세면대의 경우는 특수학교는 의무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손잡이가 50%(1개교)만 설치되어 있었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수도꼭지의 냉·온수의 구분을 점자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2개교 모두(0%)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의 경우 화장실의 설치율은 5.9%로 나타났고, 대변기의 출입문 통과 유효폭은 69.3%(9개교)가 기준을 준수하고 있고 대변기 유효바닥면적은 30.8%(4개교)가 기준을 준수하고 있었다. 세면대의 손잡이 설치여부는 13개 중 53.8%(7개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수도꼭지의 냉·온수의 구분이 점자표시로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의 설치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안내시설의 실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실태는 특수학교는 의무사항임에도 불구하고 2개 중 점자블록의 설치율이 50%(1개교)로 점형과 선형블록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도 및 안내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는 2개교 모두(0%)전혀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특수학급은 안내시설 중 점자블록이 편의시설 설치기준에 설치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13개 중 53.8%9(7개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점자블록의 크기, 높이, 형태 등이 기준을 준수하고 있고 색상은 시각장애인이 감지하기 쉬운 황색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도 및 안내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등은 설치되지 않아 지체장애인의 편의시설에 비해 시각장애인의 편의시설 설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는 편의시설의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학교들이 의무규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으며 본 연구자가 조사한 특수학교 모두가 정신지체 및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부분의 편의시설이 장애유형별로 편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이 필요하며 특수학교뿐만 아니라 특수학급에도 장애학생들의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장애학생들의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고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시설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내 장애인편의시설 설치현황에 관한 연구

        조현주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내 장애인편의시설 설치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건축공학과 조 현 주 지도교수 이 상 진 신체의 기능이나 정신적 결함에 의한 장애로 사회적 활동에 제약을 받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시대의 변화를 거치면서 이제는 우리와 함께 이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울러, 장애인 복지에 대한 개념 또한 장애를 위한 절대적 배려에서 장애인의 자립생활이 가능할 수 있는 보편적 사회 환경개선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개념적 변화에서 장애인들은 그들이 누려야할 기본적인 권리에 대한 주장과 함께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데 그 사회적 활동 중에 하나가 바로 근로이다. 고용노동부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정부기관 및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 1.66%와 0.99%에 불과했으나 2010년 정부기관 및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을 살펴보면 각 2.40%와 2.21%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고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비하여 장애인을 고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이 뒷받침되는 사업장은 한정되어 있으며 장애인의 직업재활이 시작되는 직업재활시설 역시 그 수준이 매우 열악할 뿐만 아니라 그 관리 또한 부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법규검토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각 용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기도 내 직업재활시설 64개소를 실태조사하여 그 내용을 분석 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해 첫째,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에서 지정하고 있는 장애인 편의 시설 조사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둘째, 장애인 편의시설의 세부설치기준의 적합/부적합 여부에 대한 결과 분석을 통하여 편의증진법이 의미하는 장애인 편의를 위한 법의 의도가 실제 작업환경에 반영되었는지 파악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 그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설치기준 충족률은 69%, 미충족률은 31%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69%, 그렇지 못한 시설이 31%라는 것을 의미한다. 편의증진법에 의한 편의시설 설치 의무대상시설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물의 설립연도를 파악해 본 결과 81%의 시설이 장애인편의시설설치 의무대상시설로 나타나 건물설립연도는 장애인편의시설 미충족률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편의시설별로 설치에 대한 이용가능/불가능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일부 편의시설에서 낮은 적합 설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경우 적정 설치율은 36%, 화장실은 47%, 승강기는 53%로 나타났다. 낮은 비율을 보이는 이유에 대한 원인을 찾아 본 결과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은 주차장법과 지자체 주차관련 조례의 규정 상 전체주차대수가 10대 미만일 경우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에 따라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실, 승강기의 경우 편의증진법상 편의시설은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설치되는 편의시설이 의무와 권장사항으로 나뉘는데 직업재활시설이 운영되고 있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법이 적용되어 적정 설치율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장애인, 편의시설, 직업재활시설, 장애인고용

      • 特殊學校 便宜施設의 實態 硏究 : J광역시를 중심으로

        박기종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venient facilities in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J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Convenience Improv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People, and Pregnant Women"(March 19, 2010) that was amended in March 2010 and obtain basic materials to improve education environ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1. How are convenient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by disability area for intermediation facilities? 2. How are convenient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by disability area for interior facilities? 3. How are convenient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by disability area for hygiene facilities? 4. How are convenient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by disability area for information facilities? For methods of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direct questionnaire survey by visiting subject schools using a prepa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an establishment situation and percentage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provided in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Convenience Improv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People, and Pregnant Women"(partially amended on March 19, 2010). The analysis of facilities situation is as follows. First, most intermediation facilities were appropriately established: materials and finish of the access of main entrance(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7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75%,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90%), continuity of pedestrian safety passage(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2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73%,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63%,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00%), and parking lo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1/85,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25/59,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8/24,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4/58). However, pedestrian safety was threatened by slippery floor materials of main entrance such as artificial marble in case of rain. Pedestrian access was not clearly divided into a roadway and access and parking lo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chool bus were mixed, resulting in difficulty in use. Although legal regulations on intermediation facilities were valid, there were factors which threaten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schools. Thus,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which had no great difficulties in mobility had no big inconvenience to use intermediation facilities,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by disability area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d inconvenience in walk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using a wheelchair, and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y who had limited walking information. Second, the interior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were as follows by disability area. Most facilities showed 100% establishment: corridor(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2.1M,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5M,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20.M,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2.4M), protective all(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7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9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00%), slope way(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8M,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2M,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1.2M,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2.0M), and stairs(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9M,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3M,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1.8M,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6M). Corridor size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some salients were exposed, suggesting the need of improvement. For the use of a slope way and stairs, a slope way was frequently used in schools for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was rarely used in schools for visual and hearing disabilities in aspect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 use of interior facilities was remarkably difference in special schools.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on interior facilities by disability area. Third, the hygiene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were as follows by disability area. Most facilities showed appropriate establishment: toilet stool(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8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10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00%), urinal(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8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10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100%), and basin(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9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8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9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90%). However, the hygiene facilities remarkably varied with disability area. For example, visual equipment for a toilet and rotation and passage space for wheelchair mobility to use a stool was different in size for disability area; size and attachment part of vertical and horizontal bars of a urinal were different by disability area; and a urinal shap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was different in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Thus, detailed regulations on hygiene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by disability area. Finally, the information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were as follows by disability area: studded paving block(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2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4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20%), guidance and information equipment(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2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10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2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20%), and alarm and shelter equipment(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y 20%,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60%, schools for hearing disability 40%, schools for physical disability 20%). Information facilities were mainly established in schools for visual disability. While schools for hearing schools partially had a studded paving block, some schools for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no a studded paving block. Given disability nature, a studded paving block can cause walking inconvenience for students wi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on hygiene facilities by disability area. Based on analysis and result,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problems promptly. Firs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improve their perception of establish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 universal equipment design and establishment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disability type.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ight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obligatory facilities and recommended facilities in establishing convenient facilitie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o secure the right to mobility, accessibility, and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laws on the establish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related policy with its focus on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sharply complemented or modified. Finally, in relation with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areas other than 4 areas on the establish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should be established in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2010년 3월에 개정된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시행규칙”(2010. 3. 19)을 토대로 하여 J광역시 지역에 있는 정신지체, 시각, 청각, 지체장애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편의시설 실태를 조사하여 장애학생들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내부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위생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안내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의 편의시설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자가 조사대상 학교를 방문하여 사전에 마련된 조사지에 의하여 직접조사 하였으며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일부개정 2010. 3. 19)에 나타난 기준을 근거로 하여 설치 유무 및 백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편의시설 실태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매개시설의 주출입구 접근로 바닥의 재질 및 마감(정신지체학교 100%, 시각장애학교 70%, 청각장애학교 75% 지체장애학교 90%), 보행안전통행로의 연속성(정신지체학교 20%, 시각장애학교 73%, 청각장애학교 63%, 지체장애학교 100%), 장애인주차구역(정신지체학교 11/85, 시각장애학교 29/59, 청각장애학교 8/24, 지체장애학교 14/58)등 대부분의 시설에서 적정한 설치되었다. 그러나 주출입구의 우천 시 미끄러운 바닥재질인 인조대리석과 같은 바닥재질로 인하여, 보행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보행접근로는 차도와 접근로의 경계가 구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장애인전용주차구역과 통학버스 주차구역이 혼재되어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다. 매개시설의 법률적인 규정에는 타당하나 학교에서 생활하는 특수학교 장애영역별 장애학생에게는 안전의 위협을 초래하는 요인이 있다. 따라서 이동에 큰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청각장애학교는 매개시설에 관한 편의시설의 이용에 큰 불편함은 없지만, 보행이 불편한 정신지체 장애학생과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지체장애학생, 보행정보가 제한적인 시각장애학생에게는 장애영역별로 구체적인 세부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내부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실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부시설의 복도(정신지체학교 2.1M, 시각장애학교 1.5M, 청각장애학교 2.0M, 지체장애학교 2.4M), 보호벽설치(정신지체학교 70%, 시각장애학교 100%, 청각장애학교 90% 지체장애학교 100%), 경사로(정신지체학교 1.8M, 시각장애학교 1.2M, 청각장애학교 1.2M 지체장애학교 2.0M), 계단(정신지체학교 1.9M, 시각장애학교 1.3M, 청각장애학교 1.8M 지체장애학교 1.6M) 등의 대부분 시설물은 100% 설치율이 나타났으나 복도의 크기는 장애영역별로 장애 특성상 크기가 다르며, 복도의 돌출물이 노출되어 위험한 경우가 있으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경사로와 계단의 이용은 장애영역별 학생들의 특징상 경사로는 지체장애 학교와 정신지체학교에서 많이 사용되었고 시각장애학교와 청각장애학교는 경사로의 사용이 거의 이루지지 않고 있다. 내부시설의 이용 실태는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내부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구체적인 세부규정이 필요하다. 셋째, 위생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실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생시설의 대변기(정신지체학교 100%, 시각장애학교 800%, 청각장애학교 80% 지체장애학교 100%), 소변기(정신지체학교 100%, 시각장애학교 100%, 청각장애학교 100% 지체장애학교 100%), 세면대(정신지체학교 90%, 시각장애학교 80%, 청각장애학교 90% 지체장애학교 90%)등의 대부분 시설물은 적정한 설치율이 나타났으나 화장실에 출입을 위한 시각적 설비와 대변기 사용을 위한 휠체어 이동공간인 회전공간과 통로공간은 장애영역별로 크기가 다르며, 소변기는 수직손잡이와 수평손잡이의 크기와 부착부위가 장애영역별로 다르며, 지체장애학교는 휠체어 학생을 위한 소변기의 형태가 다를 만큼 위생시설은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위생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구체적 세부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안내시설에 대한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실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내시설의 점자불럭(정신지체학교 20%, 시각장애학교 100%, 청각장애학교 40% 지체장애학교 20%), 유도 및 안내 설비(정신지체학교 20%, 시각장애학교 100%, 청각장애학교 20% 지체장애학교 20%), 경보 및 피난설비(정신지체학교 20%, 시각장애학교 60%, 청각장애학교 40% 지체장애학교 20%)등의 시설물이 시각장애학교에만 설치되었고 청각장애학교는 점자불럭 일부만 지체장애학교와 정신지체학교는 점자불럭마저도 설치되지 않았다. 장애의 특성상 오히려 점자불럭이 정신지체와 지체장애 학생에게 보행 상에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안내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장애영역별 세부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특수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드러난 문제점을 조속히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을 모색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첫째, 특수교육기관에 대해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설치해야 할 유형이나 설치 기준에 대한 장애 유형을 고려하여 보편적인 디자인으로 설치해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기관의 편의시설 설치에 있어서 의무시설과 권장시설의 조정을 통해서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셋째,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의 이동권 및 접근권, 교육권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는 시설과 설비에 비중을 두고 있는 편의시설 설치에 관한 법률 혹은 관련 정책을 대폭적으로 보완하거나 수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방법 및 결과와 관련하여 특수학교에 설치하여야 할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에 관한 추후 4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연구를 추후 연구로 수행될 것을 제안한다.

      • 거점국립대학교의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시설 현황 연구

        임신영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 문제는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중요한 사회문제이다. 21세기 지식기반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함께 유치원 및 초중과정의 특수교육은 물론 고등교육과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의 기회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부흥하여 정부는 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노력의 일환으로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제도개선을 위한 방안모색에 노력해 오고 있다. 장애인 관련법은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시행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편의증진법으로 제정되었다. 199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은 공공시설에 노약자들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조성하여 복지국가로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편의증진법에 준거하여,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대학진학과 고등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 사회구성원으로서 동등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대학 내의 장애인편의시설․설비 등 그 실태를 조사․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애학생들을 위한 시설환경개선 및 교육복지 지원정책 수립 시 유용한 기초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지역거점국립대학교 5개교를(서울, 부산, 대구, 광주, 청주) 선정하여 장애인편의시설을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및 기타시설로 구분하고 10개 부분 29개 평가 항목에 대하여 시설평가 점수를 분석․조사하였다. 해당 대학당국은 매년 장애학생의 입학이 증가함에 따라 대학 내 장애인편의시설 보완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항목에 있어 개선 사항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내부시설의 경우, 장애학생을 위한 편의시설설치가 기준대비 설치율의 70%를 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조사대학 대부분이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설설치가 미비한 상황으로, 지체장애인 뿐만 아니라 장애를 가진 모든 이들을 위한 좀 더 세심한 관심과 배려로 시설보완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장애인편의시설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보다 광범위하게 연구하여, 장애인과 일반인에 대한 차별 없는 시설확충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신축이나 개축되는 과정에서, 계획 초기부터 캠퍼스 내 장애인편의시설을 별도로 나누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계획(Universal Design)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Since the advance of modern society, the policies regarding the physically challenged have been the important social issues. In 21st century, with the developed life long education systems, there have been several requirements of offering opportun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from the primary to the higher education systems. To satisfy those demands, Kore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improve institutions and regulations consider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since 1981, when the laws of welfare for the physically and mentally challenged were enacted. In the course of various amendments and revisions, the law, regarding ameliora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has been legislated and enforced since 1998. It has played some vital roles as the infrastructure in the systems and regulations for the physically and mentally challenged, the senior citizens and expectant mothers. In addition, it let Korea step into the realm of developed countries by building the legal foundations for the equal rights of the physically challenged. Following those studies above, I classified the problems and evaluated the current states about the convenient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in order for them to have equal and pleasant lives. The main object for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resource for ameliorating facilities and policies of educational welfare. I chose 5 main universities in Seoul, Deagu, Pusan, Kwanyjoo, Chungjoo Korea, classified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with the intermediating facilities, toilet facilities, indoor facilities, guidance facilities and etc . I selected 10 of those facilities and divided them as 29 article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assessment of the facilities. In every years, with increase of the physically challenged, who enroll and join in academies, the universities have constantly been equipped and complemented the convenient facilities, though there are issues and problems still needed arranging and settling. Most of all, in the matters of indoor facilities,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are less than 70%, compared with the standard by law enacted. Moreover, the facilities for the people who have hearing and sight difficulties are insufficient among those universities I have studied. I suggest that the convenient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and complemented with the careful and systemic interests and considerations. What is more, there still need the extensive studies regarding progressive articles and matters to be resettled for the convenient facilities in the future. With the wide ranges of studies, the directors and officials charged with those facilities in the universities can establish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as well as for any people using them Particularly, in the course of new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 facilitie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should not be discriminated or divided for the designs and schemes. It is time for the plans and designs of the facilities to be converted into the 'Universal Design' in order that every student enables to use the facilities conveniently and safely.

      • 문화시설내의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방안 연구

        손혜령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 복지의 궁극적 목표는 사회통합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이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등을 보다 현실적이게 할 수 있는 접근권 특히 물리적 환경장애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편의시설의 확충이다. 이에 장애인도 모든 시설 제도 둥에 비장애인과 동둥하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환경을 조성하핀, 이를 토대로 장애인복지의 금극적 목적인 통합된 사회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게 처한 물리적환경에 있어서 생찰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 개선징책을 제시함으로서 생활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슈퍼와 악국, 미용실 둥 일상생활 공간 외에도 인간의 삶을 가장 풍요룹게 만드는 요소의 하나인 문화의 장에서도 당당한 문화소비자로서 일반인과 동등하게 접근 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도 일반인과 통합 될 수 있는 사회통합적인 사회복지정책의 개선 및 사회복지증진에 조금이라도 방향제시를 함으로서 장애인의 복지정책 중 사회적 장애의 한 분야인 물리적 환경장애를 최소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는 장애인의 편의시설을 통하여 장애인들의 접근성과 사회적 통합화를 목적으로 한 언구로서 장애인의 물리적 환경 장애와 관련된 접근권의 의미를 바탕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도 당방한 문화소미자로서의 편리를 갖고 있으며 많은 문화 시설이 딘든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한 모두의 공간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사회통합이라는 관점에서의 사회적 환경과 관련된 시설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문화시설의 장애인편의 시설의 실태 보핀서를 참고로 결과를 분석한 후 「편의증진법」에서 제시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애 따른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과 편의시설을 통한 장애인의 사회통항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문화는 사람의 삶의 질을 풍요롭게 하며 생각과 인식의 폭을 깊게 해주는 그런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문화시설 내의 편의시설의 확충은 '생활환경의 전반의 개선을 통한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을 보장하며 국민으로서 당연한 권리를 인정하므로 장애를 가진 사람도 문화영역의 한 소비자로서 당당히 자신이 보고 를기고 싶은 것을 누철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 ' 따라서 문화시설이 아부리 사적 영역이라 할지라도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요구 를 외면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편의시설에 대한 의지와 이헤의 부족 그리고 채정의 자립도의 부족과 같은 것으로 인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많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국민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무장애 생활공간이 실현을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 비용의 확보에 소요되는 시간과 시행의 난이도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