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오은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변인들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실시,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생활무용특기적성 프로그램이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현재 서울시 노원구의 S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학년∼4학년 학생 중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주 2회(2시간)총 18차시 생활무용특기적성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학교생활만족도․행복감에 관한 검사는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하위영역 중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모, 건강, 유연성, 자기존중, 체지방/날씬한, 근력, 스포츠 유능감 및 신체활동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사이에 있어서 신체적 자기개념은 실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지구력은 실시 전 보다 실시 후가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무용 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 형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 학교행사 참여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행복감은 가정환경관련 행복감, 자아특성관련 행복감, 능력관련, 행복감, 대인관계관련 행복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 행복감의 각 하위요인 사이의 관련성을 상관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본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이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후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의 상관의 정도가 높아진 변화를 보여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행복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행복감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은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와 행복감 간의 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므로 생활무용 특기적성 프로그램이 그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places its purpose on searching out effects on a feeling of happiness through physical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After School Leisure Dancing Special Activity Program, through This rearch tries to clarify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ining School Leisure Dancing Special Activity Program by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carrying out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ing the effect on each variabl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total of 30 female students - in second grade to fourth grade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in No-Won Gu, Seoul in 2012 - were selected. Those sample students wishing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were given 36 hours of classes for 9 weeks. From the sampling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pre and post inspecting and analyzing "the physical self-concept,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a feeling of happiness(euphoria)". extracurricular activities First, it was shown by a thorough analysi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dancing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elds; appearance, health, flexibility, self-esteem, body fat, muscular strength, sports competence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school dance education activities than non-participation students. Even though endurance was lower after conducting training program than before, it was analyz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reveal that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school dancing activity program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in the form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Second, it was analyz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on peer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compliance with the rules, and participating school events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program. Third, before and after joining the progra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a feeling of happiness - home environment-related euphoria, euphoria related to self-characteristics, ability-related euphoria, euphoria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result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sub-factors among physical self-concep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esid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showed higher degree of change of correl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an before. Finally, the feeling of happines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 of leaving Sub-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appiness as dependent variables to evaluate the effects on euphoria by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after the extracurricular school dancing program. With the above resul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Significant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Physical self-concep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e can see that the School Leisure Da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acts as the role of medium.

      • 特技.適性敎育의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조영민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author tried to analyze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conditions have been run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creativity and to improve the quality and capacity of their unique 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the author has create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in Jeonrabug-do province. There are two groups of teachers used in the analysis. One group is the chiefs of school affairs and the other is teachers in charge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at school. The author made researches into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These included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s aim and purpose, the aspect of management as a whole, the administration of a part-time teachers, public information, and the evaluation to analyze the actual working state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according to grade and local group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nd analysis of the accomplishment by its aim and purpose showed that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was run efficiently and contributed to savings in private tuition fees. The practices was not used the students' local facilities or social environment but was well used for human, resources. It was managed after due deliberation by a parents' association which was not closely connected with the festival of teenagers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management showed that the practices on their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was well managed in learning levels and it did not perform deepening and supplementary less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abilities, but did efficiently perform budgeting. Additionally, the practices wasn't efficient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didn't respond on the administration of various programs which were requested by student and their parents. Third,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part-time teachers showed that it was well manag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part-time teachers for each courses but there were some negative responses centered around the composition of their domestic teachers. The part-time teachers were well qualified to instruct their student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 part-time teachers' pay is medium level. Fourth, the analysis of public information showed that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ies improved and kept private lesson fees economical in publicity activities. The public information was available on good ideas gathered from the parents associ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ifth,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directions of the upper official and an introduction of an excellent illustration were good. Conversely, the classes of students' unique abilities by way of direct mail(DM) were not evaluated by the students or their parents. The schools perform a self-evaluation that was of a medium level. However,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next class through evaluation of each class and the part-time teacher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itself needs to regain trust in a public school education and connect the school to a local network.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meet the needs to form a curriculum that contain a greater variety of classes and should improve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system. It is necessary to make better use of inner teacher-centered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take advantage of outer part-time teachers. Schools should plan for a public information campaign and make public the proceedings of the classes on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by communication with each students' home. The most things what schools have to do are do make plans for a improve curriculum reasonable for its real state of affairs, develop a method of management. The schools need to make themselves ready for the future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make an operation system for a systematic way of performing evaluations by use of a computer web base homepage.

      •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실태조사 : 대구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최유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은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교육에 치중하여 소질 계발을 위한 특기 · 적성교육활동을 소홀히 하다가 점차 교육적 필요성과 시대적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을 늘려가지만 아직까지도 미흡한 면이 있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 교육에서의 특기 · 적성교육활동의 올바른 방향정립으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소질 · 적성 계발 및 취미 · 특기 신장 교육 기회 확대 둘째, 특기 · 적성교육 활동과 연계한 동아리 중심의 학생 활동 활성화 셋째, 학교 시설 및 지역사회 인적 자원 활용의 극대화 넷째, 학교 밖 사교육 욕구 흡수로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 초등학교 특기 · 적성 지도교사와 수강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특기 · 적성교육 중 음악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대구시 초등학교 수성구 지역의 경우 총 69개교의 모든 학교에서 특기 · 적성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남구지역에서는 총 59개교 중 31개교가 특기 · 적성 교육활동을 실시함에 따라 두 지역이 현저히 차이가 나며, 아직까지도 교사와 학부모간의 관심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기 · 적성 현황을 살펴보면 음악 특기 · 적성 교육이 음악 프로그램이 아예 없는 학교도 있었고,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그룹 지도가 용이한 바이올린, 플룻, 가야금, 풍물놀이 등의 프로그램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디지털 피아노는 과목이 있었지만 수강하는 학생이 10%에 불과하며 폐강된 곳도 있었다. 대체로 홍보가 잘 되어 있어 음악 특기 · 적성교육을 실시하는 몇몇 학교에서는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을 목적으로 본다면 악기의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다양한 프로그램인데도 불구하고 대체로 선호하는 악기에만 수강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강사는 음악 특기 · 적성교육시 학생들의 참여와 흥미도를 높이는 좋은 방법을 다양한 발표기회 제공과 음악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제공을 꼽았으며, 지도강사의 자질로 열성적인 지도와 능숙한 학습지도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음악 특기 · 적성교육활동을 시작할 때에 음악 특기 수준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준 차이가 있다면 그 원인은 학생 개개인의 적성에 따른 개인차로 보았다. 음악 특기 · 적성교육은 갈수록 음악실에서의 수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도 학교 내의 교실과 특별실에서의 수업으로, 교내 시설을 사용시 교사와의 협력, 악기 보관, 방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교육 공간 확보가 시급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기 · 적성교육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우수한 강사진의 확보 방안이 강구되어 교육의 질을 높여야 하며, 교사와 학부모, 학생이 삼위일체가 되어 적극적인 참여와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음악을 일생의 특기로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학생들의 많은 참여와 교육기자재로가 충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Education up to now set importance to the preparatory role of education for the entrance to an upper school which was neglectful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imes and education, programs are gradually being increased but are still insufficient and are not showing much practical effects. The objectives of proper directional establishment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ptitude development and extracurricular speciality expansion. Second, the activation of club-centered student activities connected to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Third, the maximization of school facility and human resource application in the regional community. Lastly,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rough the absorption of private education needs outside of school. This study which was based on instructors and students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Daegu City, examined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music programs within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given in elementary schools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elementary schools in Suseong-Gu of Daegu City, a total of all 69 schools appeared to be providing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However, in the Nam-Gu area, 31 out of 59 schools were providing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which is remarkably different and it appeared that instructors and parents have insufficient interest of such matters. There were some schools that didn't have any music programs at all for music aptitude education and most schools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violin, flute, gayageum, and pungmulnori which are easy to teach in groups and there was a case where a digital piano class once existed but couldn't be continued because there were only 10% of the students taking the class. Various programs were being offered in some schools that were providing music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nd were generally well promoted, but if the objective i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cost of instruments were too high and it appeared that students were mostly taking the classes by preference of instruments despite there being various programs. As effective methods to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est for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instructors selected two things; providing various presentation opportunities and providing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 program, and it appeared that passionate teaching and proficient training skills were required by the instructors to effectively provide education. It appeared that there are hardly any gaps in musical aptitude levels among students when they first begin musical speciality-aptitude activities and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level it was due to individual differences of each student. It is known that classes for musical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re increasingly taking place in music rooms but they are still in class rooms and multi-purpose rooms in school and securing space for education is urgent due to the problems of cooperation with teachers, storage of instruments, and soundproofing during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Sustained interest and administrative support by the government is need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other words, to activate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must be raised by securing superior instructors and positive participation and promotion by instructors, parents, and students are needed altogether. Also, continuous effort is needed in order to create a great opportunity to develop music as a talent for a lifetime, and active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is needed in order to have sufficient student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

      • 초등학교 방과후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김재진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6년부터 전국 모든 초·중·고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과후 학교’는 새로운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마련된 교육체제이며, ‘누구나, 학교에서, 최고의 다양한 교육을’ 전개한다는 비전아래 사교육비 경감과 소외 계층·지역에 대한 교육복지 실현으로 공교육의 입지를 바로 세우고자 도입·운영하였다. 하지만 현재 일선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후 학교’는 학교여건 미비하고 교육수요자의 요구와 희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내실을 기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소외 계층·지역에 대한 교육기회 보장은 질적 측면보다 양적확보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과후 학교’의 프로그램 중 ‘방과후 특기·적성교육’이 모든 지역의 학생들에게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지역별 운영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방과후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지역의 실태와 요구를 감안한 교육기회 확대와 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업무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첫째, 지역별로(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운영 실태를 조사·분석한다. 둘째, 지역별로(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한다.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첫째, 지역별로(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분석한다. 본 연구를 위한 표집대상은 K도 내의 대도시 지역 50개 학교, 중소도시 지역 50개 학교, 농어촌 지역 50개 학교의 특기적성 업무담당교사와 학부모를 연구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7년 10월 1일에서 10월 19일 사이에 교사용 150부, 학부모용 210부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회수되지 못한 설문지와 응답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시켜 교사 141부, 학부모용 197부 모두 338부만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는 교사용과 학부모용으로 총 2종이다. 교사용 설문지 문항은 교사의 배경변인,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실태,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등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부모용 설문지 문항은 학부모의 배경변인, 방과후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등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형식은 교사용 1-26번과 학부모용 1-23번 모두 선택형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연구를 위해 회수된 설문지의 처리 및 분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방법은 교사와 학부모의 특성별 분포를 알기 위해 빈도 분석을 하였고, 교사용 1-26번과 학부모용 1-23번까지의 선택형 문항은 지역(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에 따른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The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test was introduced to realize the education welfare towards the region of isolated class and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cost under the vision of providing the best variety of education for anyone and any school. However, it is a state that school condition is not adequate and the demand of education users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this sense, this study attempts to grope the operation method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which i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all regions with the education opportunity for the self actualization of an individual. The study matter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ctual state of operation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gion. Second, the recognition of teacher in regard to the operation of special ap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region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rd, the recognition of parents in regard to the operation of special aptitude education after school according to region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wards teachers and parents of 49 schools of a large city within K province, 46schools of small and medium town, and 46 schools of rural areas. As to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 papers, drawn up based on preliminary study and literature study, were used. In the dealing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papers, 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First, in the actual state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region, the participation rate of urban area in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rural area. On the other hand, lecture fee of rur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urban area. The opening lecture of urban area is more than that of rural area. Second, the recognition result of teacher in regard to the administration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region is that the teacher of rural school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lectures' security as a hindering factor of activation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while the teachers of urban school indicated the lack of the school condition. Third, the result of parents' recognition towards the administration of after school special aptitude education according to region is that the parents of all regions want the opinion of education users to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lecture,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learning relevant lectures of a course are needed. In addition, they see that the establishment of high quality lecture as well as various lectures is the urgent task. The schools of rural areas should establish various lectures by solving the difficulty of lecture security. For it, inter-linked 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the support of Education Office are required. Meanwhile, the schools of urban area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higher quality lecture than private institutes by improving the school condition.

      • 7학년 특기적성수업에 적용한 인체생리학의 교육적 효과 분석 : 7학년 과학 중심으로

        손주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기․적성교육이란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취미와 특기․적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을 말한다. 특기․적성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정착되고 있으나 예체능 교과나 제2외국어 등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학생 본인의 관심과 적성에 맞는 교육을 시행하는 수업에 비해 과학특기․적성교육은 구체적인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학년 특기․적성수업에 인체생리학을 적용하여 시행하였을 경우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험연구를 하였다. 첫째,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생물과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인체생리학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기․적성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평가 및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남자 중학교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과학 특기적성교육활동을 시행하였고, 총 12번 이루어진 활동내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활동 중 정기적인 성취도 검사와 활동 후 실험군(특기․적성에 참여한 13명의 학생)과 대조군(특기․적성에 참여하지 않은 동학교 100명의 학생)의 과학교과 중 생물에 대한 인식으로 생물과목에 대한 흥미도․중요도․이해도를 조사․분석하고 7학년 과학교과에 포함된 생물 내용의 성취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수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연구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생물단원의 흥미, 이해정도의 차이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특기․적성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이 생물과목과 인체가 관련이 깊음을 깨닫고 질병과 인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생물단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둘째, 인체생리학의 성취도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동일한 진단평가를 시행한 결과 두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 후 성취도 평균은 실험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적성활동에 인체생리학을 적용한 경우 교과내용의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므로 특기․적성활동을 통하여 과학 과목의 지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지지하는 바이다. 셋째, 특기․적성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평가 및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단평가에 비해 성취도평가의 점수가 보다 높았고, 특기․적성 활동 후 과학에 대한 관심도가 더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특기․적성활동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체적으로 활동에 만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7학년 과학특기․적성수업에 인체생리학을 적용하였을 경우 생물과목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였으며 인체생리학 성취도는 증가하였고, 학생들은 특기․적성활동 내용과 운영방식에도 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과학 특기․적성활동의 긍정적 효과를 지지하며 앞으로 과학․특기적성활동의 활성화와 적극적인 프로그램개발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初等學校 特技·適性敎育 運營實態와 改善点에 관한 硏究

        지청환 漢城大學校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by extracting the problem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and probing its improvements.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rh were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perentage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by background factor. An attempt was made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the levels of P<.05, p<.01 and P<.001.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 speciality and talelits, alleviate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reinforce human-nature education and restore a trust in publ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further increased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effective operation of regular texts, special activity and discretionary activity. In-service training to reform tearchers' thoughtway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at the school unit in order to induce them to have a positive thinking of and take an active part in the need for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ctivity. Second, the multi-level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a small number of students by forming the program in levels, giving them a wide range of choice and mak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ossible since students differ in personality and 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joint use of instructors, facilities, learning materials and the like in the program difficult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at the unit school due to low demand and to operate them in linkage with local educational agencies, neighboring school unions, loral authorities and youth organizations and the like.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financial support further.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more excellent facilities, equipment and materials, teaching materials than those of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reduce private expenses and introduce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y of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to public education. Financial support should be innovatively expanded at the nationwide level of alleviating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in order to open diverse programs to meet students' and their parents' needs and improve its qualitative level. Fourth,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workload of teachers in charge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their workload ranging from planning to operation such as research and analysis of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the opening of programs, their organization by level, the setting of expenses, timetable operation and coordination, treatment of occasion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rsons, the securing of instructors, the reporting of results and the lik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departmental teacher or departmental personnel relating to speciality/aptitude education and to reinforce active support of the general-affairs room for notice of instructional charges and lecturer' fees and the like, Fifth, incumbent teachers' guidance can not only reinforce human-nature education and facilitate guidance but contribute to the learning effect through education linked with regular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use of incumbent teachers of speciality and talent familiar with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and local characteristics by considering the incentives such as payment of the lecturer's fee equivalent to that of the outside instructor, the alleviation of workload and the like.

      • 초등학교 특기적성 무용교육 참여가 사회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특기적성 무용교육활동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받고 있는 집단과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받고 있지 않는 학생 집단 간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비교 분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무용 특기적성 활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무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집단은 2012년 현재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특기적성 무용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여학생 4~6학년으로 선정하였다. 특기적성 무용 수업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3군데를 선정하여 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115명과 수업에 참가하고 있지 않는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총 245명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 방과 후 무용특기적성 참여유무, 무용특기적성 참여 기간,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분석 기법은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둘째,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따른 사회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각 하위요인들의 상관성을 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이 같은 분석기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 실험군인 참가집단은 비교군인 비 참가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능력의 전체요인과 학교생활 전체 요인에 차이가 있다. 둘째, 무용특기 적성 교육활동의 참여가 사회적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사회적 능력 전체요인과 학교생활 전체요인에 차이가 있다. 셋째,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사회성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결과 교사관계요인에서는 동정성에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수용성, 사교성, 우호성과는 통계적으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 참가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의 사회성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 결과 학교생활만족에서는 동정성, 수용성이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교성, 우호성과는 통계적으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무용특기적성 교육활동 참가에 따른 사회성의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결과 사회성에서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행사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무용특기적성교육활동 비참가집단의 학교생활 만족과 사회성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동정성에서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수용성, 사교성, 우호성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무용특기적성교육활동 비참가집단의 사회성과 학교생활만족도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결과 사회성에서는 학교수업, 학교행사에서 낮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교사관계, 교우관계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술과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현장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표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일선 교육 현장에서 미술 교과를 지도하다 보면 효과적인 미술과 학습 지도방안이 매우 아쉬운 실정임을 파악하게 된다. 특히 초등학교의 다양한 미술과 교육활동 중에서도 방과 후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구체적 현안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은 체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안 문제를 교수·학습 지도면, 교육 여건면, 지도 강사의 교육 의지, 수요자의 요구사항 등으로 분류, 실태 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여 본래의 취지인 소질과 적성 계발, 창의적 인간 육성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조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 일선 현장에 제시해 실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는 취지에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술과 특기 적성 교육활동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서는 각급 학교 수준의 교육활동프로그램을 작성, 추진해야 한다. 즉 학교 수준의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 활동에서 회화 표현 영역 활동의 구체적 활동 목표와 지도 방침이 잠재된 소질(재 능)계발이라는 측면에서 프로그램이 성문화 된 후에 회화 부서를 조직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계획에 따라 담당 강사의 채용, 운영 위원회 조직, 지도 강사의 임무 부여 및 숙지, 수준별 반 편성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장에서 필수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더불어 부서의 원만한 활동을 위한 보조 장부로써 출석부, 학습 활동 기록부, 개인별 활동 카드, 평가 기록부, 지도 기록부 등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 여건 조성 방안이다. 교육 여건이 조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술 지도란 강사의 기능을 흉내낸 단순한 기능을 연마하고 습득하는 과외 학습으로 전락되기 쉽다. 또 표현 활동이란 창의성과 기능성이 적절히 가미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기능성만 강조된 학습 지도란 바람직하지 않다. 효과적인 개선안으로 회화 부서를 개설한 학교의 경우, 다양한 교구·시설 및 교수·학습 자료를 지원해 주어야하며, 부족한 미술 교구·학습 자료는 연차 확충 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학습 여건을 조성하여 미술과 교육활동이 정상화를 가져 올 때, 비로소 방과후 교육활동을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내·외 미술 관련 체험 학습장 이용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개인 준비 활동으로 재료와 용구의 선택, 주변 환경에 산재된 제재 등의 적절한 활용은 회화 표현 활동의 창의성 기르기에 효과가 있다. 셋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이다. 수업의 질 향상의 최우선 목적은 교수·학습지도이다. 표현 영역의 활동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하며 회화부의 조직이 끝나면, 수준별 지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학생 실태를 분석하고, 실기 능력 테스트 등을 통해 개개인에 알맞은 학습 지도 계획안과 지도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교수·학습지도는 지도 교사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현재는 작품 위주의 기능적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아동들로 하여금 기능의 숙련을 요구하며, 기계적인 반복을 통한 그리기에 지나친 비중을 두고 지도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체험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했다. 바람직한 평가 방향과 회화 표현력의 발상을 돕는 교수·학습자료의 확충 등 대안을 제시해 보았고, 미술 교과서의 회화 영역의 참고 작품을 CD-ROM 타이틀로 제작하여 활용했으며, 바람직한 평가 방법과 평가 보조부 작성 요령 등은 표로 제시했다. 넷째, 지도 강사의 교육 실천 의지이다. 현재 전반적인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해 급여 수가가 낮고, 정부의 보조금이 삭감되어 위기에 봉착돼 있다. 또 강사의 의욕도 소속 학교 교직원과 수강 학생 학부모의 무관심 등으로 의욕이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 강사가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가지고 회화 부서의 홍보, 성과 발표회 추진, 각종 미술 관련 학교 행사에 적극 참여하는 방법을 통해 지도 강사의 신뢰도가 점차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지도 강사는 전문지도 기술의 고양에 힘써야 하며, 미술교사의 책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부단한 자기 연찬의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인터넷망을 이용한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거나, 당해 학교나 지역의 미술교과써클 등과의 교류 활동, 수업 연구 공개도 지도교사의 자질 향상 방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점차 확대 실시해야 하며, 특히 재정적으로 열약한 현행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도 강사의 처우를 개선해 주 고 극빈 아동에게 보조금도 점차 확대·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수요자의 요구 사항에서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부서에 대한 성취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갖추어야 할 최우선 조건으로 학습 지도 프로그램 확충 및 지도 교사의 자질과 능력 함양을 원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적극적인 지원 과 학부모의 관심, 정부의 과감한 투자를 요청하며, 지도강사의 처우를 개선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술과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이 학교 수준 교육과정 운영 계획과 통합하여 추진해야 한다. It can be realized that the effective art education method is very poor in teaching art class. The actual and concrete problem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clude developing ability and aptitude which are the essential point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in art class, cultivation of creative man and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al costs. This study classifies these problems into teaching and learning sides, educational conditions, qualification of guidance teacher and demander's requirement and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It aims at preparing for the desirable counterplan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applying them to the field as actual guideline. So, it achieves the following resolves. First, for the desirable management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of art class, skill and flair education program of school level should be made and developed. That is, after concrete goal and teaching guideline of painting expression area are documented in ability and drift education of art class of school level, as developing sides the capacity are expressless, painting club should be organized and managed. Employment of lecturer, organization of stuff and aptitude management committee, placement of lecturers and class organization by level should be made on the basis such a planning. This study makes the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program of art class in the field and presents roll, school records, personal activity card, portfolio and guidance index as the assistant book for the management of art class. The second is the method of making the conditions of capacity and skill education of art class. Art education in a situation that educational conditions are not prepared may be reduced to extracurricular learning to train and conclude a simple function imitating the lecturer's facility. And creativity and functionality should be added to expression activity and the learning guidance emphasizing functionality is not desirable. Then teaching instruments and facil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supported for schools with the skill and capacity painting club as the improvement methods. Insufficient art instruments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extended gradually and when the education of art class is in normal condi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n be settled. Management of learning center by experience in school and use of learning center for experience related to art maximize the learning effects a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the restrictions around neighboring environment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painting expression activity. The third 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of art class. The preferential selec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tudy is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areas and when painting room ends, the actual status of students should be analyzed to make a guidance plan by levels and learning guidance and teaching direction of painting expression area are suggested through observation like address ability test.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is centered on teacher and students, but the current stuff and drift education emphasizes work-centered functional sides. Since it requires children to train a skill, it overemphasizes painting only through mechanical repetition. The researcher suggests experience-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presents the counterplans such as the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help a desirable evaluation and the idea of painting expression and makes and distributes reference works for appreciating painting expression areas of art class with CD-ROM title. It presents a desirable evaluation method and how to make evaluation tool with table. The fourth is the quality improvement of lecturers. The actual conditions of faculty and savvy education after school is encountered with the crisis because of low wage of lecturers due to the decrease of students and the reduction of governmental supports. It is also analyzed that lecturers' intention to teach is reduced by the factors such as the indifference of faculty and students' parents. But, it is known that the reliability of lecturers is improving through PR of painting department, planning and progress of publishing achievement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related to art. Accordingly, lecturers must concentrate on enhancing their specialty, perform their responsibility and roles as art teacher and have a chance to train and develop themselves. Since sharing new information using internet network, exchanging with school and local art circles and class opening can be regarded as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rt teachers, these should be extended. Especially, the treatment of art lecturer should be improved and the support of poor children should be extended as the means of activating cleverness and stuff education of art class which is in poor financial condition. Fifth,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kill and flair education of art class by students and parents is higher than ordinary level in demander's requirement, but the preferential conditions to be equipped are the extension of learning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ty and capacity. To get the better of these, the active support of the principal, parents' concerns and governmental investment are required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improving the treatment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And the device of managing ability and aptitude program of art clas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management plan of school level and it should be developed with school education activities.

      • 島嶼地域 特技·適性敎育의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이재화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기·적성교육은 입시준비를 위한 교육과정의 파행적인 운영을 정상화 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경비로 학교가 다양한 강좌를 정규 수업시간 전·후에 개설하여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을 보완하고 사교육비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생활지도 실태에서도 방과 후에 여가시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학생들의 개성을 신장시켜 올바른 인격 도야에 도움을 주고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특기·적성교육이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이 더욱 열악한 도서지역의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 전남 서남부 도서지역의 신안군, 진도군, 완도군의 25개 중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6명의 교사 설문지를 처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특기·적성교육 목적 및 필요성의 실현정도, 특기·적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특기·적성교육의 지도교사 운영, 특기·적성교육의 효과 및 평가 실태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해 각 영역별로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성별, 경력별, 도서지역 총 근무 경력별, 특기·적성 교육 담당강좌별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Chi-square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자료 처리는 SPSSWIN 11.5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였다. 도서지역의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의 수행 결과를 중심으로 일반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가능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에서 추진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이 학생들의 소질계발이라는 취지와 목적에 맞는 교육,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과 학생·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질적·양적으로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부진아를 위한 수준별 운영이나 보충·심화학습을 위해 개별지도를 위한 시간의 할애 및 창의성 및 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 입시위주 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도서지역은 학생과 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교사가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을 위한 연결이 잘 이루어진다면 특기·적성교육의 교육적 상승효과를 보다 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과 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능력있는 지도 교사와 외부 강사의 선정이 필요하며, 특히 도서지역은 도시와 읍·면지역보다 인적자원의 부족, 원거리에 따른 지도의 문제점, 수당부족에 따른 강사 회피의 문제점을 감안한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이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회복을 위해 학생들의 특기신장 및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교장, 교감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시설, 설비를 적절하게 갖추고,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자체의 연수와 평가를 통해 공개수업과 사례발표 및 청소년 축제문화로 승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하며, 학부모의 평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열린 소리함이나 학교 홈페이지 등에 대한 홍보를 통하여 차기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주기적인 평가 및 환류(Feed Back) 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practices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the islands area and suggesting their improvements in order that they are firmly established in this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was investigated for teachers in the 25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southwest islands of Cheonnam Province(Shinan, Chindo, Wando). Measuring tool is a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accomplishment degree of its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ts contents and method, management of the teachers in the charge of it, its effect and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promoting in each school must be managed for students' capability development as its original purposes, and in order to manage the various programs students and their parents demand, and to reduce private tuition fee, each school must manage higher level education. Above all for maintaining this, parents' trust in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must go ahead. Second, each school need to teach individually through level management or supplementary·advanced class and draw up curricular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variety. We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various programs and teachers in charge that parents demand, but we will be able to expect more educational rising efficiency if we use human ·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much better. Third, school authorities should select able inner teachers and outer part-tim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specially in the islands area school must prepare for the management methods reflecting in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some teaching problems according to long distance, the lack of teachers results in less fee than the other areas. Fourth, school authorities should try to regain the confidence in the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this, each school should offer teachers chances to train for themselves and evaluate in many ways like opening their classes and presenting their cases and connect with the festivals of teenagers. And each school need to evaluate it frequently and give a feedback so as to reflect the results of all the evaluations in the next term management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