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특기·적성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선신영 檀國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기·적성교육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통하여 가능할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특기·적성교육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실제 일선중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조사해 봄으로써 교사들이 특기·적성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주고 더 나아가 특기·적성교육의 정착 및 활성화 제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서 이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특기·적성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특기·적성교육의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특기·적성교육의 지도교사의 자질과 역할은 무엇인가? 5) 특기·적성교육의 효과와 평가는 어떠한가? 6) 특기·적성교육의 행.재정 및 시설.설비의 수준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특기·적성교육의 개념과 의의, 필요성과 목적, 내용, 원리와 방법, 학교의 역할 등을 깊이 있게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필요한 조사도구를 제작하여 충청남도 내 공.사립 60개 중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교당 표집인원도 8명으로 한정하였다. 배부된 480부 중에서 회수되지 않거나 자료처리가 곤란한 무효자료를 제외하고 420부를 이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했다. 자료의 각 문항은 반응별 백분율 환산 비교평가를 사용하여 중학교 특기·적성교육의 운영에 관한 지각 수준을 조사하고 남.여 교사별, 교육 경력별, 근무교 소재지별로 반응집단의 특성별에 따른 반응차의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x²검증을 실시하고 5%와 1%의 수준에서 유의도를 밝혔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기·적성교육은 남.여교사의 과반수 이상의 인원이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반응하였고 그 목적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중점지도 영역은 교과학습의 보충, 적성계발, 실기능력 배양, 인성교육순으로 나타나고 있는 데 여기서 주목해야 될 사항은 특기·적성교육의 지도영역에서 교과학습의 보충학습이 배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교육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교과학습의 보충에 크게 반응한 결과는 특기·적성교육의 중점지도 영역이 신중하게 제고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기·적성교육의 교육방법은 토론식 교육방법이어야 하고 지도교사는 학교교사 중심으로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도교사의 자질은 학습지도 기술이 뛰어나고 해당 프로그램에 관한 전문적인 소유자이어야 한다. 그리고 특기·적성교육의 전반적인 효과는 비교적 긍정적이나 효과가 없다는 교사들의 반응도 다소 높아 많은 교사들이 특기·적성교육의 전반적인 효과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교장과 교감의 태도는 대체로 적극적이고 학생과 학부모의 재정적 부담은 크지 않아 교육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특기·적성교육의 운영방법을 모색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정착될 것이다.

      • 대전시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서부지역 플루트 지도강사를 중심으로

        호미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대전시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서부지역 플루트 지도강사를 대상으로 - 음악교육전공 호 미 정 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교육을 시행한지 6년을 맞이하는 시점에 그동안 얼마나 교육운영이 효과적으로 바람직하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 광역시 서부지역의 초등학교 중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는 14개교 중 12개교의 레슨강사를 대상으로 운영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나아가 그에 따른 특기·적성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운영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플루트 특기·적성교육 장소로써 음악실 전용 특별실을 갖추지 못하여 일반 저학년 교실을 사용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적합한 학습 분위기 조성이 되지 않고 있으며 강사들과 학교내 교사들간의 관계에도 어려움이 있다. 운영면에 있어서는 방과후 아동들이 정규 수업 이외에 교육활동으로 시간을 잘 지키지 못함과 아동 모집에 있어서 기간이 너무 짧아 지도와 아동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방학중이나 새학기 시작때 공백이 생겨 연계지도가 잘 되지 않아 학습의 의욕과 효율성을 떨어 뜨리며 발표기회가 너무 희박하여 의욕적인 레슨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지도면에서는 수준별 편성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며 많은 인원과 한정된 시간으로 부진한 아동이나 뛰어난 아동들에 대한 특별한 지도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지도 강사에게도 아동들에게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 아동에 소질과 적성계발을 위한 평가표나 학습지도안은 너무 형식에 치우쳐 있고 학부모들의 관심 또한 너무 저조하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이런 문제점에 대한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의 개선방안으로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본래 특기·적성교육활동의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첫째, 음악실 전용, 특별실 마련이 되여 아동들에게 학습 분위기와 학습 효과를 높여 주도록 해야 한다. 둘째, 플루트 특기·적성교육에 적절한 인원을 배치하기 위해 특기·적성 담당교사와 지도강사의 수고와 노력이 요구되며, 아동들의 소질과 적성 관리 및 레슨활동에 전념할수 있도록 학생 모집에서부터 수강비 관리 까지 학교에서의 담당교사가 협조를 아끼지 않아야하며 강사는 아동들에 대한 특별한 사랑과 관심으로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교육에 힘써야 하겠다. 셋째, 강사는 부진한 아동에 대한 관심과 지도에 힘을 다하고 또한 소질을 보이는 학생들이 지루해하거나 태만하지 않도록 그룹을 재편성하여 지도하거나, 충분한 재능을 가진 아동들에 대해서는 개인레슨을 권장하여 아동의 소질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고 양성시키는 환경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넷째, 방학 중이나 새학기가 시작될 때 학교에서는 사전 계획을 철저히 수립하여 레슨이 중단 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정기적인 발표회의 기회를 마련하여 아동들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고 좀더 의욕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학부모가 아동과 강사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게 하거나 수업참관수업이나 연주회를 참관하게 하여 아동들을 평가하도록 하는 등의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방법이 있겠다. 여섯째,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모색하여 전통적,형식상의 학습지도안, 계획안이 아닌 현 아동의 수준, 진도에 맞는 실용적, 효과적인 지도안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며 플루트 교육으로 악기 연주와 기능 습득하는 활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사 개개인의 특징적인 수업을 계획하여 활용해 본다든지 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수업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일곱째, 강사는 레슨활동의 계획과 목표를 학습지도안에 세밀히 작성하여 준비된 수업을 실행하고, 매시간 레슨카드를 작성하여 아동들의 상태, 즉 실력향상정도, 부진한 점, 칭찬할 점등을 메모하여 아동과 학부모에게 격려나 칭찬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효율적인 레슨활동을 위한 자료로서도 활용한다. 예를 들어 혹여 강사가 바뀐다하더라도 아동들에 대한 정보를 레슨카드로 아동들을 파악한다면 아동들에 대한 적응시간과 소질을 알아내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보낼 필요가 없을 것이다. 여덟째, 교내 학예회나 작은 음악회 형식의 발표기회를 자주 제공함으로써 음악활동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연주의 기쁨과 성취감과 자신감, 협동심 나아가 자신의 특기신장에 기여 할수 있도록 학교는 적극 추진해주고 아동들의 잠재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아홉째, 학부모는 모든 것을 강사에게만 일임 할것이 아니라 레슨활동에 관심을 가지며 강사와의 규칙적인 아동에 관한 상담과 학교에서의 참관 수업이나 학부모의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정에서도 계속적인 관심과 지도로 아동의 레슨활동을 도와주어야 한다. 열번째, 정기적인 평가와 개선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학기말에만 아동평가 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수업방식에 아동 개인의 ‘레슨카드’또는‘’진도카드‘를 매시간 작성하여 학습에 부진한 부분을 세심히 기록하고 살펴 볼수 있어서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의 방안이 될수 있다. 현 교육제도는 해마다 계속 바뀌어 감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교육현장에서의 운영 적용되는 부분은 미흡하다. 요즘은 다중지능이론 인간의 지능은 하나의 요인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들로 구성되며,각 지능 요인들의 결합 형태에 따라 독특성이 결정된다는 것. 의 적용을 통해 학습애의 적용과 특기적성 교육에 효율적으로 신장시키자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는 반면 새로운 교육시책은 아직도 별다를게 없는 듯하다. 본 논문을 연구함으로써 알게 된 사실은 해마다 음악관련 특기적성에 관한 문제점이 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점이 계속 지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운영지침에 따른 외래 전문강사 채용 문제나 학습지도안 작성 문제는 현재 잘 실행되고 있으나 학습지도안 문제 건은 더 효과적인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외에 문제점들은 아직도 시급히 고쳐져야 할 부분으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학교 시설이나 운영 등의 행정적 요소들의 개선에는 여러 제약과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선점에 시간과 노력을 두지 않는다면 앞으로의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뿐 아니라 음악관련 특기·적성 교육,모든 특기·적성 교육의 발전은 기대 할수 없다. 그러므로 아동들에게 음악특기로 발전 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기 위해 다방면의 지속적인 노력과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에 대한 수정,보완작업이 이어져야 하며 나아가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연구도 계속 되어야 한다. 또한,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절한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자들에 대한 요구조사 다양한 영역. 수준. 방식의 프로그램개발, 진로지도와의 연계운영이 요구된다. 특기·적성 교육활동과 교육과정과의 연계. 통합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때 현재 플루트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fter-Schoo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Investigating the flute Tuter working in the western Area of Daejon City- Ho Mi Joung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Ryu. Ki choung Six-years have passed since after-school program for speciality and aptitude was introduced in elementary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suvey that the management of the program have been done properly and effectively. The speciality and aptitud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is the after-school program besides formal school education. The after-school program are purposed to reduce the price of private education and find students' speciality and aptitude by teaching extracurricular lecture in school.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After-school flut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and to present some remedies of that. The lecturers of 12 western elementary schools managing after-school programs in Daejon City were made up questions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s were composed to examine the quality of lecturer and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school program and to take out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result, some problems were foun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teaching place, classroom-lental, learning-facilities, and school-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of after-school program, so next 10 effective remedies and improvements are follwed. First, the special room for exclusive use for music must be offere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fficiency. Second,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must be limited by teachers in school for educational efficiency. Third, the lecturer must offer childrens the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finding and training speciality and aptitude through interests and guidance. Fourth, more thorough plans to fill up the blank in vacation are needed. Fifth, the ac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children's parent participate in are needed. Sixth, the positive teaching of teachers is needed to find the systematic teaching way. Seventh, lecturer must write the schedule and purpose of lessens in their teaching plans and must keep records of children's aptitude and it's development. Eighth, children must be participated in public performances frequently to show their full abilities. Ninth, by insterest and direction in home and regular meeting with lecturer, parent must help their children to play the instrument. Tenth, the system for regular examination and improvement is needed.

      •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외부강사의 역할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경례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감소,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와 소질 및 적성을 계발하기 위하여 학교현장에 도입된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10여년의 기간이 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저렴한 수강료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진행되어 온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관하여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의부강사들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그들의 역할을 재조명 해보고자 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교육에의 요구와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적응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어떠하며,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강사들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확한 문제인식과 올바른 문제의 구조화를 통하여 적합한 방향을 찾고자 하였으며, 관련 문헌을 수집·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하였고, 의부강사들을 면접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면접 대상은 7명의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특기 적성 교육외부강사들로서,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구 2명, 남구 2명, 동구 3명이며, 연령별로는 40대 2명, 30대 3명, 20대 2명이었다. 심층면접을 통하여 살펴본 의부강사의 역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있어서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별로 크지 않았다. 수업지도에 있어선 독립성과 자율성이 확보되고 있으나 수강료 책정, 강사비, 프로그램 선정, 시설사용 등에 있어서 단위 학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고 의부강사들의 역할은 미미하였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강사들의 역할 역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제도적인 측면에서 교육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고 특기 적성교육활동에 대한 학생, 학부모, 현직교사, 지역사회 등의 인식의 변화 및 강사들 스스로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고 의부강사들의 역할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우수한 전문 강사의 확보, 안정된 시설 확보,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의부강사들에 대한 교육부의 구체적인 지원책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의부강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직접적인 교육수요자인 학생, 학부모, 그리고 시설 및 제반 여건을 공급하는 학교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was introduced to school setting in order to discover talent and develop special skills and hobbie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 for developing talent and aptitude which has been progressed with the support of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rough diverse program and cheap tuition. And the research question is that what the roles of outside instructor have in the program in order to meet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demands and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Research method adopted was the problem structuring method which leads correct problem recognition. '7 outside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findings are: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program was minimal. They have autonomy in class teaching but are varied in the fixing tuition, the amount of rewards, selecting program and the use of facilities. The role of outside instructor in the activization of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be minimal. It seems to me that more aggressive supports are needed from i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program is needed among the school children, parents, school teacher and community and more aggressive attitude is needed among outside instructors. Therefore, we need outstanding specialty instructor, good safe facilities, satisfying educational customers' needs and specific support policie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s a way of activization of the program and promoting of the roles of outside instructors. This focu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outside instructor. Further in-depth study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role of school children, parents as a educational customer, facilities and school which provide various circumstances.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운영과 개선 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

        허필현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 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특기 적성 교육 활동의 조직 및 운영, 재정, 업무, 개선 방안의 제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0개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교차 분석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hronbach α 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 교육 활동은 아동들의 소질 계발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조직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는 아동들과 학부모의 희망을 존중해야 하며 내용 선정은 강사와 교사, 관리자가 협의하여 선정해야 하고 한 반당 인원 수는 20명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특기 적성 강사들의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을 교사들의 신뢰하고 있었으며 사설 학원의 난립으로 수강생 모집에 애로점을 느끼고 있었으나 맞벌이 가정의 자녀 관리에 도움을 주므로 특기 적성 교육은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수강료는 20000원 이상 30000원 이하가 가장 적당하며 수강료 회계 관리는 교사가 하기보다는 행정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국고 지원도 필요하기는 하나 수요자 중심의 교육임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사교육비 절감 효과는 많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학원 수강료보다 싼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특기 적성 교육 활동 담당자의 업무를 많은 교사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특기 적성 교육 활동에 대한 일반 업무는 교사가, 재정 관계는 행정실에서 처리하고 강사 지도 및 관리는 관리자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혀졌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모든 업무를 담당 교사가 처리하는 현행 업무 체계가 개선되어야 하고 행정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한다. 넷째, 특기 적성 교육 활동 강사도 아동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므로 부단한 연수가 필요하고 외부 기관에 위탁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으며 성과 향상을 위하여 가장 우선해야 할 과제는 지도 강사들의 우수한 실력이므로 우수한 강사 확보를 위해 학교나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 모집하여야 하며 교육인적자원부나 특별 운영이나 관리하는 전문 경영을 투입시켜 활성화시키는 방향도 바람직하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s and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on overall features of organizing, operating, financing, managing, and improving plans for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executed in elementary schools right now to improve those.. This research surveyed 491 teachers in 20 elementary schools in Daegu.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10.0 statistical program,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Chronbach a,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enhance children's aptitude. Also, it was indicated that wishe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need to be respected in selecting organization, and contents need to be selected by instructors, teachers, and managers with agreement. Also, results showed that 20 people are suitable for size of a clas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eachers trusted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instructors. However, they felt difficulties in collecting trainees because of flood by private institutions. Nevertheless, it was indicat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needs to be activated since it helps children management for dual-income families. Second, results showed that tuition is appropriate in the range between 20,000 won and 30,000 won, and that active assistance from administration is needed for accounting management of tuition rather than by teachers. Also, it was indicat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need to be activated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since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t. Third, results showed that many teachers do not understand duties of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educators. Also, it turned out that teachers are charged with general duties, and financial affair is for administration. In addition, teachers felt that administrators should be responsible for leading and managing instructors. Moreover, it was indicated that current work system in most of schools needs to be improved with active assistance by administration. Fourth, results showed that special talents and aptitude instructors need consistant training since they are educators teaching children, and there are necessities that it is entrusted and operated by an external institution. Also, it was indicated that open recruitment through schools or offices of education is needed to get excellent instructors since the priority is excellent skill of instructors.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professional management is input to activate the education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컴퓨터 특기적성교육 운영실태 및 분석 : 광주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조은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의 특기와 적성을 살리는 특기 적성 교육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정부가 제시한 학교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초등학교에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특기 · 적성 교육은 학생이 중심이 되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하고, 같은 과목일지라도 다양한 수준으로 편성하여 학생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그 기회를 보장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기 · 적성교육활동의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담당교사의 특기 · 적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초등학교 학생의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직접 특기 · 적성 교육을 하는 강사의 의견을 모아 컴퓨터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광주지역의 초등학교 15개 학교의 담당교사와 특기적성지도교사 그리고 초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특기 · 적성 교육 본연의 방향으로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함을 알았다. 날로 발전해 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시설 · 설비의 확충, 지도강사를 위한 세부 운영 지침의 제공, 단순한 기능익히기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수준별 교육 및 지도강사를 위한 별도의 전문교육,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처우 개선 등이 그들이다.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고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부의 충분한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타학교와의 연계 및 전시회와 같은 행사를 통한 학교측의 관심이 있을때 학생들의 컴퓨터 특기 · 적성 교육의 효과가 더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which cultivates special skills and aptitude of students is widely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s a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classes. It was suggested by the government policy to curtail private educational expenses.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should offer various subjects focused on students' interests, and the subjects should be organized with a variety of levels so that the education can offer a wide range of students' choices while guaranteeing their opportunity of free choice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out improved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s'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 survey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interests in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as well as on the participation level of students. Another survey on the most urgent issues in computer education was conducted for the teachers who ate in charge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refore, questionnaires were made for the teachers and 300 young students in 15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methods in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of computer. The following factors are believed to be essential to improve educat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equipments and facilities that allow full use of the up-to-date developments of hardware and software, the supply of new facilities, the detailed guidelines for teachers, the level teaching which was focused on the participating students, the special training of teachers, the enhanced specialties of teachers, and the increase of teacher's pay. In order to systematically operate and to vitalize the special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there should be full support and continuous interes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hosting school's interests such as interlinking with other schools and attending exhibitions are important to maximize the effect of student's computer skills and aptitude education

      • 중학교 일본어 특기·적성 수업에 관한 연구

        장혜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 name of 「Activation of Educational Activity after School」 out of 「A Reform Bill for Establishing New Educational System of the 21st Century 」proposed by Education Reform Committee in 1995. Since then, its name was changed to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al Activity」and various activities have been operated at the principal's or school council's discre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days. While I was teaching students in a secondary school, however, I recognized that programs a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were not conducted smoothly in accordance with learning demands of learners. In addition, 10 years have passed sinc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star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concrete class models which meet learners' needs as well as textbooks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s to consider satisfaction with a class model for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nd effects of Japanese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class model which meets learners' needs.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preferenc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the number of schools operating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was compared with that of Chinese and Chinese writing. According to the result, 17.7% of total schools, that is, 22 out of 124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s practice Chinese education, and 18 schools(14.5% of total schools) conduct Chinese writing education showing relatively low share. On the other hand, Japanese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a majority of 64 schools, which proves agai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Daegu prefer Japanese and development of class model is needed, too. When i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s advanced at an instructor's discretion as an irregular course unlike general regular classes, this study also aims to find out methods to maintain students' appeal and interest in Japanese. Thus, learning demands of 12 questions such as necessity of Japanese education and motive for taking the class surveyed and analyze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making a class model to practice consumer-centered class that students demand . The subject of this survey was students who took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of Japanese at D middle school in Daegu where I was teaching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preference and necessity of Japanese learning was relatively high. Second, as for motive for taking the class, instrumental motivating factors such as 「I want to use it as my hobby」 or 「That's because there is regular classes」. were higher than consolidated motivating factors such as 「It seems to be exciting」. Moreover, the survey indicated that some students took the class because 「parents recommend」. Third, 70% of respondents demanded conversation-oriented class, and they preferred formative assessment to overal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Fourth, in class, they preferred 「projection TV」 and 「the Internet」 as learning materials. In respect of effects that they expect after learning,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narrow the sense of distance from Japanese as preparation for 「a regular Japanese class」 and that they would use it as their hobby.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learning demands, a syllabus was designed by lesson focused on communicational function considering learners' needs and the condition that learners approach Japanese for the first time. In curriculum design, class was practiced with various teaching-learning approaches for inducing learners' interest and appeal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to each lesson. The result of examining satisfaction with a class model designed like the above are as the following: First, 80% of respondents said 「they are rather satisfied with the class」. As well, satisfaction with the class model also was high. Second, learners showed high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various teaching-learning approaches. Especially, through classes with songs and games and role play conducted by lesson, natural acquirement of language was achieved according to the survey. Instruction of Japanese culture by visual material also became a subject of students' interest and discuss. Third, three tests for expression power in Japanese recorded 1.9 grades out of a possible 3. Given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first learned Japanese and classes were practiced twice a week and total 20 times for 1 hour and half each class, the grade was relatively satisfactory achievement. A class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was thought to have limitations because it was conducted in a limited group for a short time. However, if the peculiarity of group where students gather is considered, this class model is regarded to be valuable in respect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substantial Japanese education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in accordance with students' needs. 특기ㆍ적성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위원회가 제시한 「21세기 신교육 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안」 중 「방과 후 교육활동 활성화」라는 명칭으로 우리 교육에 도입되었다. 그 후 1999년 「특기ㆍ적성 교육활동」으로 개칭 된 후 현재 초ㆍ중등학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 및 학교장 재량으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하며 특기ㆍ적성 수업으로 개설된 프로그램들이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학습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심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기ㆍ적성 수업이 시작 된지도 약 10여년이 흘렀으나 아직 중학생들을 위한 일본어 특기ㆍ적성 교재는 물론이며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니즈에 부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일본어 특기ㆍ적성 수업 및 수업모형에 대한 만족도와 일본어 교육의 효과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대구지역 중학생들의 일본어 특기ㆍ적성 수업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2005학년도 1학기 일본어 특기ㆍ적성 운영현황 학교 수를 중국어와 한문 과목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24개 공ㆍ사립 중학교 중 중국어 수업은 전체의 17.7%로 22개교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한문 수업은 18개 학교로 전체 대비 14.5%로 비교적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반면 일본어 수업은 과반수를 초과한 64개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대구지역 중학생들의 일본어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함과 동시에 수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기ㆍ적성 수업은 비정규과정으로 일반 정규수업과는 달리 지도교사의 재량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본어를 선호하는 중학생들이 갖고 있는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요구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수업모형 제작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필자가 가르치는 대구지역 D중학교 일본어 특기․적성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수업의 필요성 및 수강동기 등 12문항의 학습요구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어 학습의 선호도와 필요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강 동기는 「재미있을 것 같다」라는 통합적 동기요인 보다 「취미활동에 활용하고 싶다 」혹은 「정규수업이 있어서」라는 도구적 동기요인이 높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단순히「부모님의 권유」에 의한 수강 또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응답자 중 70% 정도의 학생들이 「회화식 수업」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총괄평가보다는 형성평가를 조금 더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수업 시 희망하는 학습 자료로는 「프로젝션TV」와 「인터넷」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 후 기대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정규 일본어 수업」에 대한 사전 준비로 일본어와의 거리감을 줄이고 싶다는 응답과 「취미생활에 활용 하겠다」라는 응답이 비교적 높게 조사 분석되었다. 학습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니즈와 일본어를 처음 접한다는 상황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단원별 실러버스 디자인을 하였다. 또한 커리큘럼 디자인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각 단원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디자인 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80%가 「그런 편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수업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또한 동일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높은 관심과 참여도를 보여 주었다. 특히, 노래와 게임을 활용한 수업 및 단원별로 실시된 역할놀이 등에 의해 자연스러운 언어습득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청각 자료에 의한 일본문화 소개 또한 학생들의 많은 관심과 토론의 대상이 되었다. 셋째, 3차에 걸친 일본어 표현 능력 평가는 전체 평점 3점 만점에 1.9점이다. 처음 일본어를 접하는 중학생들이 주 2회 1시간 30분씩 20회의 단기간 내에 이루어진 수업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비교적 만족할 만한 성과라고 생각된다. 본고에서 제시된 수업모형이 한정된 집단에서 일회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이 한계점이라고 생각되지만 학생들이 모이는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그 때마다 학생들의 니즈에 맞추어 수정ㆍ보완하여 내실 있는 일본어 교육을 진행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초등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활동의 실태조사

        이태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특기 적성교육 활동은 다양한 학생들의 적성, 개성 및 창의성을 계발하고 교과학습을 보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또한 학교의 시설과 음악 지도강사를 통하여 사교육비의 부담을 최대한 낮추기 위하여 시작한 방과 후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음악 특기 적성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이를 위하여 특기 적성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경기도 수원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의 음악 특기 적성교육 담당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기 적성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실 전용 특별실이 거의 없이 일반 교실을 빌려 사용하고 있어 교내 시설을 사용 시 교사와의 협력과 악기 보관의 문제로 인하여 교육 공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음악 특기 적성교육 프로그램 중 그룹 지도가 가능한 일부 관현악 악기 등의 편중된 프로그램이 많았다. 따라서 담당 교사들은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학생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외부 강사의 관리 등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셋째, 음악 특기 적성교육 프로그램의 인원수가 감소하여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이 있으며 결국에는 폐강되는 경우가 있거나 반대로 인원수가 초과되는 반도 부정적인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음악 특기 적성교육이 규모 있고 더욱 활성화 되어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는 위의 문제점들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행정적인 지원, 지도강사의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 인근 학교와의 연계 등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Special aptitude education programs are after school programs which are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interests, talents, and creativity. These programs are supposed to help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supplementing regular classes. Moreover, their extra activities would reduce parents' burden of additional expenses as much as possible for private education by using school facilities and guest teachers out of the school, such as music instru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special aptitude education programs in music and to suggest how effectively the programs can be run. To accomplish the goals,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special aptitude education programs were reviewed. An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music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in Suwon, Gyu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not enough music rooms for the programs, therefore the instructors were using regular classrooms which caused several problems. When they used the regular classrooms, they had difficulties storing the instruments safe even with the homeroom teachers' cooperation since there were not enough space for them.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adequate space is required for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 of all, most of the music special programs were leaning upon an orchestra program which can be easily instructed since it was a group oriented lesson. Accordingly, special aptitude education program teachers have difficult time with offering various music programs, paying attention to students, and managing instructors coming from outside of th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bove, the study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music programs. Lastly, elementary schools were likely to face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who wanted to take special programs, and they ended up with closing the programs due to the lack of students. On the contrary, there were times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ed to take the classes exceed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ake the special aptitude education programs vital and grounded programs, the problems that were pointed out above need to be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addition, these programs need multilateral efforts to be made such as continuous concerns and financial aids from the government, workshop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instructors, various programs, parents' active support, and the network of neighboring schools.

      •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이 정규음악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음악특기적성교육이 정규음악수업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여 음악수업의 교육활동에 대한 흥미를 증가 시키는 방안으로 음악특기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중학교 2곳에서 음악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비율을 맞춘 20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8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 구성은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과 비 참여 학생들의 음악특기적성교육과 정규음악수업에 관한 인식을 나타낼 수 있는 총 24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설문자료는 통계처리 전문프로그램인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t-test 등을 실시하여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의 음악수업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분야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합창 또는 가창' 분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본수를 고려할 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참여기간이 12개월 이상인 학생들의 인식이 가장 높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기적성교육을 시작한 학년이 저학년일수록 참여기간이 길어지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새롭게 참여하는 경우는 드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참여 동기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음악적 기능과 소질을 기르기 위한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음악이 즐겁고 다양한 음악활동을 체험하기 위한 집단', '음악수업에 도움이 되기 위한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특기적성교육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 모두 '지도자의 자질'이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악기 및 시설', '참여자의 흥미 및 적극적인 태도', '다양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참여 학생, 비 참여 학생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경우 92.9%가 향후 음악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인 반면, 비 참여 학생들의 경우 32.3%만이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여, 참여 학생들의 재참여 의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발적으로 참여한 음악특기적성교육은 정규음악수업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음악특기적성교육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정규음악수업만으로는 부족한 음악교육의 가치와 뜻을 연계하여 지도해야 할 가치가 있다. 이로 인해 음악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음악활동에의 긍정적인 경험이 정규음악수업에 자연스럽게 이어져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활동으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After school programs have been interested and expanded to diverse topics related with regular class objects from the late 1990’s in Korea.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1) investigation on student’s attitude changes in the regular music class due to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Music Program(ASMP), which managed by the school, 2)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SMP on the regular music class activities, and 3) evaluation of the ASMP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in the regular class. The individual survey method has been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wo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200 students, take the regular music class and participate in the ASMP opened by the school, is randomly selected and control group is composed of student who only takes the regular music class as many as the subject group. The questionnaire has 24 questions of multi-choice to investigate the student’s interests in the regular music class by whether the subject is in the ASMP or not. 180 questionnaires of total subjects are eligible for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method are used to analyze statistical data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The summaries of result are following: Subject group has more interests in the regular music class than control group. For each activity in the regular music clas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est level between each group, even though the subject has more interest than control group in “Chorus and Singing”. When the subject student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ver 12 month, they are the highest interest level in the music class than other subject students. It also reveals that the participating period is much longer when the students started the program in Low-Grade. However, Hi-Grade students are rarely willing to enter the program newly.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as effects on the interest in the regular music class. A group, join the program to develop ‘musical skills and talents’, has the highest interest level. Other group, to ‘enjoy music and have experiences on the music activities’, is more interested in the regular music than the other group, only want to ‘improve their grade for the regular music class’. The teachers’ ability to lead the program is the highest priority to choice whether the student would decid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in the both groups. ‘music instruments’, ‘interest and attitude of the participator’, and ‘various and attractive program’ are other key factors to do to join in the program. 92.9% of students in the subjects are willing to continue their program. 32.3% of control group just wants to participate newly in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s. From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ASMP has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the regular music class, when the student has positive attitude to join in the program. The ASMP can help student enabl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gular music activities and involve in the class more actively by compensating the regular class with a in-depth activity allowing students to focus on specialized one or two object.

      • 日本語 特技ㆍ適性 敎育활동에 관한 硏究 : 고양시, 부천시, 수원시내 중학교 日本語敎育 事例를 中心으로

        이상순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 흐름 속에서 국제사회의 흐름을 파악하고 다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사소통기능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학교교육에서도 제 7차 교육과정부터 중학교에서 생활외국어가 채택되었으며 일본어와 중국어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요자가 자발적으로 선택해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일본어 학습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시대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학생들이 특기·적성 교육을 통해 자신의 특기와 적성, 소질을 파악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라는 점에서 더 큰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1995년 5·31일 교육개혁으로 도입된 특기·적성 교육은 개인의 소질·적성 신장과 사교육비 정감을 목적으로 하여 교육인적자원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2006년 99.5%의 중학교가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특기·적성 교육은 77.5%)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확대를 가져왔지만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습요구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내실화를 꾀하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고양시·부천시·수원시의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와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양시·부천시·수원시의 111개 중학교 가운데 47%에 해당하는 53개 학교에서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각 학교에서는 단일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기초에서 심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서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학기 혹은 1년 단위로 프로그램을 연계해가는 계획이 수반 되어야 한다. 둘째, 정규수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사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연구해 시도할 수 있지만 특기·적성 교재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며 학습자의 학습 요구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모형 개발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일본어 특기·적성 학습자도 특정분야의 전문가나 외국인 강사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인력풀을 활성화해서 전문적인 강사 영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김해지역 초등학교에서의 특기·적성음악교육 현황 조사 연구

        박연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부에서는 신교육 체제의 교육목표 실천을 위하여 1996년부터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방과후 교육활동은 1999년 명칭이 특기·적성교육으로 바꾸어 진 후 계속되고 있으며, 그 밑바탕에는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정책적 목표가 깔려있다. 창의성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현시대는 개개인의 소질과 능력 및 특성을 고려하는 전인교육 즉 인간존중의 개별화 교육이 강조된다. 이에 학생들로 하여금 자아실현의 삶을 추구할 줄 아는 인격형성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현행 특기·적성 음악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음악관련 분야의 활동 현황을 분석하여보았다. 특기·적성교육이란 학생의 소질, 적성 계발 및 취미, 특기신장 그리고 동아리 중심의 학생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희망하는 학생에 한하여 수익자 부담원칙으로 학교장의 주관 하에 학교 내외에서 운영되는 교과교육 이외의 교육활동이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이 재직하고 있는 김해지역의 초등학교 특기·적성 음악교육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사대상의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시설과 환경 및 악기구입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현황 조사 결과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점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타교육 기관과의 내용 및 교육수준을 차별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둘째 현실적 어려움은 있지만 음악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육시설 및 교구 등의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못지않게 중소도시인 김해지역에서도 특기·적성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더 작은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까지 활성화되어서 학부모들이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개성과 특기가 신장되고 계발될 수 있기를 바란다. Since 1996,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developing new theorie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education. The term, Extracurricular Activities Education, was changed to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in 1999 to facilitate a political objective: the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This education emphasizes individual education on the student's creativity and diversity and its effect on a person's life and dignity; it is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us of Specialty and Aptitude Music Education and its objective: student self-realization.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i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which can develop a student's personality in terms of temperament, aptitude and hobbies, with the benefit of the supervision of a school principal. After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s of Kim-Hae in Busan, some problems were indicated; the cost of musical instruments and facilities. The teachers, however, had already recognized the problems and nee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 content and level should be differentiated with other institutions by diversifying the programs. Second, education facilities and teaching aids should be prepared for better music education and to alleviate many of the practical problems. Third, administrative management need to be systematically developed to properly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needs to activated not only in the metropolis, but also in schools of rural areas in order to help parents to save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individuality and specialities through experiencing diverse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