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목공학에서의 머신러닝 적용에 대한 문헌고찰

        김재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 다양한 문제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토목공학 분야 세부전공에서도 마찬가지다. 머신러닝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토목공학 문제에의 적용 범위가 넓기 때문에,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와 최신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연구의 깊이와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방법론 검토”와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 두 단계의 파트(part)로 구성되었다. 문헌 고찰의 주제와 목적에 따라 고찰의 범위와 방법론이 결정되기 때문에, 문헌고찰 수행 이전에 방법론에 대한 깊이 있는 조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방법론을 면밀히 검토하고, 기존의 문헌고찰 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주제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을 선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파트 I). 검토 결과, 다양한 전공 분야가 서로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토목공학의 머신러닝 연구에 대해서는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이 적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고찰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질문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고찰 범위를 정립하였다. 그 후, 세부적인 문헌고찰 프로토콜(protocol)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파트II). 토목공학 분야의 구조공학, 지반공학, 교통공학, 수자원공학, 에너지공학 등 다섯 가지 주요 전공과 MLP, CNN, RNN, GAN, RL등 핵심 머신러닝 기법 다섯 가지를 중점적으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특히, 토목공학과 머신러닝의 적용과 관련하여 데이터 부족, 효율적인 학습 데이터셋의 구축, 과적합, 그리고 토목공학의 다학제적 특성 측면의 네 가지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총 780편의 토목공학 머신러닝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각 전공별로 주요 세부분야를 선별하고 고찰 결과를 정리한 후 분석함으로써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세부분야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며, 토목공학 문제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함에 있어 데이터 구축, 모델 구축 및 적용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고찰의 체계적인 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공하고, 토목공학 연구자들이 특정 문제에 대해 적절한 머신러닝 적용 전략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is widely practiced in various fields,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is also witnessing successful ap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to address diverse problem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and its broad applicability to civil engineering issues, researchers must continually update their understanding of existing studies and current trend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reby expanding the depth and scope of research. This study is structured in two parts: "Survey on Literature Review Methodologies" and "Conduc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a literature review are determined by its subject and purpose,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y is essential before conducting the review.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thoroughly examine review methodologies and to analyze existing review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methodology f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Part I).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is suitable for the review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in civil engineering, where various domains interact complex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cope of the review and research question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n, a detailed literature review protocol was developed, and based on th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Part II). The study focused on five major subfields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al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transportation engineering, water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energy engineering) and five cor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MLP, CNN, RNN, GAN, RL).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four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in civil engineering: the lack of data, the construction of efficient training datasets, overfitting, and the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civil engineering. A total of 780 civil engineering machine learning studies are reviewed. After selecting and summarizing the findings in subfields for each domain, the results are analyz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 fo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and assist civil engineering researchers to determine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strategies for given problems.

      • 토목공사 하자관련 위험도 분석 및 관리방안

        남금석 漢陽大學校 工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재 발생하는 토목공사 하자 문제는 품질관리가 작업결과에 대한 검사위주로 수행되어 하자발생빈도가 높으며, 이에 하자 보수를 위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이미 발생한 하자에 대한 분석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같은 유형의 하자를 되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하자는 건설회사에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하자관련 재해발생의 원인을 찾아 사전에 재해방지를 위해 대책을 마련하여 재해발생 빈도와 손실을 최소화할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하자관리를 위한 위험도 분석과 적절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과거의 하자관련 재해 사례의 조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분석하여 하자 발생률이 가장 높은 콘크리트 균열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에 FTA(Fault Tree Analysis)를 이용한 연역적 분석을 수행하여 콘크리트 균열과 관련된 하자발생의 원인분석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분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나머지 하자발생 원인에 대하여 토목공사 하자발생의 원인 분석과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면 전체적인 하자 발생 예방과 그에 적합한 관리방안의 도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더 나아가 추후의 프로젝트 특성별 데이터가 축적하여 토목공사에서의 하자 발생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토목공사에서 하자발생시 적절하고 효율적인 대응 방안의 제안과 하자관련 유해요소를 조기에 발견하고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하자관련 사고방지 자료로 활용하여 하자사고 평가체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fects in construction is crucial factor in terms of quality control aspects. In construction phase, however, Due to lack of manager’s effort in defects control and analysis of cause and effect has not been performed well, it is difficult to examine the risk variable of defects and to establish the measur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Fault Tree Analysis (FTA) to analyze risk factors and management measures in construction defect is introduced. Thus, by using well-researched example and survey data, inspect the types of construction defects. FTA is performed for, Particularly, the frequent types of construction defects. Based on the results from risk analysis, this paper suggest effective methodology to control the defects in construction.

      •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해외입찰견적 업무입문 시 적응을 위한 연구

        정일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 건설산업은 전후 이후 산업시대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여 건설업의 양적성장을 가져왔고, 이로 인한 건설시장과 건설인력의 발전을 낳았다. 우리의 건설시장은 성숙단계로 진입하여 양적성장 보다는 질적성장을 추구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더욱이 우리 건설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포화된 국내건설시장 보다는 기회가 많은 해외건설시장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변경해야 한다.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해외공사 입찰에 참여하여 수주를 통해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의 경험이 풍부하고 전문기술이 갖춰진 토목기술자의 해외공사입찰을 위한 견적업무로의 전환이 많아지고 있다.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해외토목입찰견적 업무 입문 시 수월한 적응을 위한 입문 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한다. 국내토목공사의 특성을 파악하여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기술적 배경을 파악하고, 해외토목공사 및 해외토목입찰견적의 특성을 소개한다.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해외토목입찰견적에 참여하는 인원의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해 해외토목입찰견적 업무 관련 애로사항, 개선사항 및 발전방향을 취합하였다. 설문과 면담조사를 분석하여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해외토목입찰견적 입문 시 수월한 적응을 위해 연구를 하였다. 국내토목공사 기술자의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 대부분의 인원이 어학 및 해외공사에 특화된 전문지식 습득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었으며, 빠른 적응을 위해서는 기 경험자인 선배직원의 코칭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엇보다도 해외공사에 대한 개개인의 의식전환을 계기로 스스로 변화하는 모멘템이 필요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해외공사에서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입찰단계에서 부터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해외입찰견적 인원의 정예화 및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현지 우수협력업체 발굴 및 국내 우수전문업체와해외 동반진출을 통한 동반성장이 필요한 시기이며 수 많은 공사수행으로 축적된 자료의 빅테이터화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DC와 CC의 토목공학 분야 분류기호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김선영 명지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53

        학문이 전문화 되고 세분화 됨에 따라, 문헌 분류법 역시 개정, 보완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분류법인 KDC는 4차에 걸쳐 개정되었으나, 문헌이 제시하는 주제의 일부를 분류기호화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KDC 4판과 CC 6판을 문헌 분류 도구로 삼아 토목공학 분야의 문헌 215건을 분류하고, 각 분류기호가 연구대상 문헌의 주제를 얼마나 충실하게 나타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KDC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보완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연구대상 문헌 215건 중에서 KDC에 의하여 주제가 모두 분류기호화 된 문헌은 124건(58%)이며, 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이 91건(42%)이다. KDC에 의해 분류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 91건 중에 복합주제가 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은 36건이며, 신주제이기 때문에 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은 17건이다. 그리고, 분류표의 구조상 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은 37건이며, 문헌의 형태가 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은 1건이다. 연구대상 문헌 215건 중 KDC에 의하여 분류기호화 되지 못한 91건의 유형과 그 유형별 분류기호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주제를 기호화 할 수 있는 방안은 최초에 결정된 분류기호에 복합주제를 의미하는 분류기호를 연결하되 연결기호 0을 첨가하지 않거나, 연결기호 0을 한 개 혹은 두 개를 첨가하여 연결하는 방안이다. 둘째, 하위주제 중 신주제를 기호화 할 수 있는 방안은 기호화 되지 못한 신주제를 관련된 상위주제의 포함주로 처리하고, 분류표의 구조 때문에 기호화 되지 못한 하위주제는 최초에 결정된 분류기호에 연결기호 0을 한 개 혹은 두 개 첨가한 후 하위주제를 의미하는 분류기호를 연결하는 방안이다. 셋째, 분류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의 형태를 기호화 할 수 있는 방안은 분류기호화 되지 못한 문헌의 형태와 관련된 표준구분기호의 포함주를 확장하는 방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비록 CC의 분류원리를 원용한 것이지만 KDC의 분류기호체계에 대한 보완 방안을 제시한 것이므로 KDC 개정작업에 그 방안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215 documents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4th edition and the Colon Classification(CC), 6th edition, to compare and analyze how sincerely each class number symbolizes the themes of each document, and to suggest some devices to complement the KDC. In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91 documents(42% of the whole) which could not be classified by the KDC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at is, the first type of document is its compound theme which could not be symbolized, the second type of document is its subordinate theme which could not be done so, and the third type document is its form which could not be done so. The complementary classifying devices of each type of the documents which could not be classified by the KDC are as follows. First, as a device to symbolize the compound themes which could not be classified it is suggested that the class number meaning the compound theme of the document be connected to the first class number of the document without adding the connecting symbol 0, or adding one or more connecting symbol 0. Adding the connecting symbol 0 or not is to maintain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e KDC class number. Second, as a device to symbolize the subordinate themes which could not be classified it is suggested that the new themes, which could not be symbolized, be processed as one of the themes included in a superordinate theme, or the class number meaning the subordinate theme be connected to the first class number adding one or more connecting symbol 0. Adding one or more connecting symbol 0 is to maintain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e KDC. Third, as a device to symbolize the forms of the document which could not be classified it is suggested that the forms of document be processed as one of the Standard Subdivision number included in a superordinate number, or that the Standard Subdivision number related to the form of document be enlarged. Even though the devices mentioned the above are prepared by us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C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m as one of the complementary devices of the KDC

      • 花崗風化土의 工學的 特性分析을 위한 風化度 判定法의 提案

        김용수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풍화토의 특성은 다양한 풍화환경, 풍화도 및 영향인자에 따른 거동의 특이성 때문에 정밀한 접근에는 항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국내․외의 연구는 퇴적토에 집중되어 있고 풍화토의 역학적 거동을 퇴적토의 관점에서 분석하려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풍화토의 실제 거동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화강풍화토는 일반적인 퇴적토와는 달리 공학적 연구에 앞서 흙 이전의 모암특성과 함께 풍화의 진전에 따라 공학적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이 이 분야의 연구를 어렵게 하고 있다. 흙의 역학적 특성이 생성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화강풍화토의 정확한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퇴적토와 구분되는 화강풍화토의 생성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흙의 질적 변화, 시간적 변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화강풍화토의 공학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역학적인 관점만의 연구로는 불충분하고 지질광물학, 물리학, 화학, 역학 등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규명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지질광물학, 물리학, 화학, 역학 등의 관점에서 파악한 흙의 성질이 역학적 성질로써 어떻게 표현되고 공학적인 관점으로 이용되는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화요인이 화강풍화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고찰하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풍화요인 중에서 발생빈도와 영향을 고려하여 선정한 온도와 수분의 변화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특성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풍화도 변화에 따른 화학조성의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실내 역학시험을 실시함으로써 풍화도를 지수적으로 표현하고 지반공학적 특성변화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두 가지의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는 풍화현상을 인공적으로 촉진시켜 풍화의 진행에 따른 주성분원소의 상대적인 변화를 점검한 결과 Al2O3, Fe2O3, TiO2, MgO 및 LOI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SiO2, Na2O 및 K2O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수분 변화의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안된 풍화도 판정법을 검증한 결과 RR과 CWI가 비교적 적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보다 타당한 풍화도 판정법(WTI)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WTI는 주성분원소의 상대적 이동과 화학조성변화의 영향원소를 적절히 반영하므로 풍화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풍화포텐셜의 변화와도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풍화도 변화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내 역학시험을 실시하였고 이를 모암과 지역별로 구분하여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제안한 풍화도 판정법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풍화의 진행으로 인해 일정한 경향의 일축압축강도감소가 나타났으며 모암 및 지역별로 구분하여 풍화도와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정량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풍화도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의 감소는 주로 점착력에 지배되며 내부마찰각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지만 지역적으로 약간의 증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관성 분석시 WTI를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반복횟수와의 관계에서 얻지 못했던 확연한 경향차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적으로 풍화도를 변화시키는 실험의 초보단계로서 풍화도 변화실험의 방법을 제시하고 인위적으로 제어된 풍화요인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험환경과 실제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실험과정에서 발생하는 풍화현상과 실제환경에서 발생하는 풍화와의 관계를 도출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이러한 사실은 단편적인 연구결과로 파악할 수 없으므로 향후 이를 뒷받침 할 이론적 고찰과 보다 다양한 토질에 대한 자료의 축적 및 분석이 이루어질 경우 풍화단계의 정량적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T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한 표층 점성토 지반의 공학적특성 비교연구

        금상홍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puts around with this ocean of three sides of our country which is piled up comes to be recognized with the social base facility where the large harbor is important. There is born again recently for investment and development at the goods center of north-eastern Asia It is recently develop to large harbor development with Pusannewharbor, Kwang-yangharbor, Pyong-taekharbor, Gun-jangnewharborandIn-chonsouthharbor. Construction of the formation infrastructure at soft ground of the sea is increasing and comprehension of stiffness for soft ground is more important at the time. Ground investigation is economically plans and construction to need fundamental data for the structure, it provides th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Condition, settlement and soil capacity of ground. The ground will be able to control for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a different character with still, concrete and timber and different material. It is many risk relates with the ground for the construction. It does not understand the character of ground, there is a possibility the danger to the construction. It was actively study of stiffness for soft ground, but there is weak study to closely examination stiffness of very soft ground. It is compared using undrained shear strength of importance soil constants which the soft ground construction design and soil stability analysis with physical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dredged-reclaimed clay and original ground where engineering characteristic for very soft ground of the Kwang-yang area. In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shear strength to 0~49kPa scope for the outer layer clay of Kwang-yang area. Results of field vane test and piezocone penetration test are similar, but it is different to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tandard penetration test. It is not different to characteristic of dredged-reclaimed clay and original ground, but it is estimated to stronger outer-high layer strength than outer-low layer strength. In this study, it is estimated that shear strength to 0~49kPa scope for the outer layer clay. It is important factor estimated that calculation of bearing capacity as entry using of related equipments for very soft ground (below N=2).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대형 항만이 중요한 사회기반시설로 인식되어져 왔고 최근 들어 동·북 아시아의 물류 중심기지로 거듭나기 위한 투자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서는 부산신항, 광양항, 평택항, 군장신항 및 인천남외항 등 대규모 항만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해상의 연약지반상에서 대형구조물의 시공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연약지반에 대한 강도 이해가 어느때보다 중요한 실정이다. 지반조사는 구조물을 경제적으로 설계하고 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 즉 지반의 특성 및 지층의 상태, 침하나 지지력 산정에 필요한 기본 자료 등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지반은 어느정도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스틸, 콘크리트, 목재 등의 다른 토목재료들과 그 성질이 판이하게 다르다. 토목구조물 시공중 지반과 관련되는 많은 위험요소가 있는데 이와 같은 지반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시공을 하는 경우 상당한 위험이 따를 수 있다 연약지반에 대한 강도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바가 있으나, 초연약지반에 대한 강도 규명은 미진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남해 광양지역의 초연약지반에서 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한 표층 점성토 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원지반이 점성토인 경우와 준설매립점성토지반의 물리학적, 공학적 특성을 토질 특성중 연약지반 상 지반구조물 설계 및 안정해석에 있어서 가장중요한 지반정수 중 하나 비배수전단강도로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광양지역의 표층 점성토의 전단강도는 0~49kPa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인전단시험의 결과와 콘관입시험의 결과는 서로 비슷하나, 표준관입시험의 비배수전단강도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지반이 점성토인 경우와 준설매립지역의 점성토와의 특성 차이는 보이고 있지 않으며, 다만 표층 상부의 강도가 하부의 강도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표층 점성토의 전단강도의 0~49kPa의 분석 되었는바, 해당 장비들이 초연약지반(N=2이하)에 진입코자 할 경우 지지력을 파악한 후 장비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된다.

      • 風化土에 대한 工學的 特性 硏究 : 昌原地域을 中心으로

        이대명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is for fill of road and embankment to fin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n the residual soils which are the different degree of weathering along a cutting slope in the Changwon district. The physical test, a kind of methods, which have not even been an estabilished method, was performed. Especially the result of compaction is found that the sand and the silt sizes were broken up sufficiently. And the effect of initial water content in the compaction curve could be excluded for tins the water content of inter fabric in the residual soils tested. The results of mechanical tests were found that the peak strength of triaxial compression test agree nearly with the residual(ultimate) strength of direct shear test, a main cause of which may be considered the dowelling effect due to large particles of residual soils. And the trend showed like the general that the increase of water content in residual soils decreased with the shear strength.

      • LiDAR 자료에 의한 친환경 골프장의 최적설계

        조영원 충남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623

        LiDAR, one of the most recent surveying techniques which enables to acquire accurate 3 dimensional GIS data is being widely used in. a large scale land construction and plan of land use as well as in a golf course. A golf course provides comfortable leisure space, but construction of it demands eco-friendly design which minimizes the environmental spoil and harmonizes its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existing golf course, accurate estimation of new golf course design and precise construction. For the adequate management of a golf course construction, it is essential to gather Geo-spatial information for accurate understanding in existing environment and estimate exactly about the facilities which will be constructed. However, the acquisition of suitable GIS data especially in forest area with obstacles is difficult through conventional surveying. In this study, therefore, a pioneering surveying technique, LiDAR was adopted for exact understanding of existing environment from accurate GIS data, and economic data acquisition method and enhancement of design process were discussed. More accurate elevation data from LiDAR compared to conventional surveying were proved effective in this study in design of location, construction and completion surveying. And using LiDAR data in a golf course is also verified that it reduced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and it could supply more useful data in analysis of vegetation and landscape which contributes enhancement of process and economy in construction of a golf course. 라이다는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지형공간정보를 취득 할 수 있는 첨단 측량기술로서 지형도 제작뿐만 아니라 대규모 토목공사의 사전입지분석과 설계 및 경관해석 등에도 그 이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체육시설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골프장은 대규모 토공사를 수반하는 건설 사업으로 환경훼손의 논란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공사의 계획 단계부터 이를 최소화하고 조기에 주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친환경 건설이 요구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기존 환경의 파악을 위한 지형공간정보의 확보와 조성될 골프장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나 기존 측량 방법으로는 수림지대나 장애물이 있는 임야지역에 대한 정확한 지형공간정보자료의 확보가 그리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신 측량기법인 라이다를 이용하여 지형공간정보를 확보함으로서 제반 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다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효율적인 자료 취득 및 설계 공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라이다 자료를 골프장 계획 과정에서는 입지분석과 공사설계에 적용하고, 준공 과정에서는 준공측량 및 구분등록측량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라이다 자료를 골프장의 입지분석, 공사설계, 준공측량 및 구분등록측량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라이다를 적용 할 경우 기존의 측량 방법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기단축 및 사업비를 절감 할 수 있었고, 식생분석 및 경관해석 등에 보다 많은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었으므로 골프장 사업추진에 크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