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혼종적 담론비판분석'으로 본 한국의 다문화담론 비판

        박천응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담론분석’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고찰 하고자 하는 다문화연구이다.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방향에 영향을 주는 그 어떤 상위 지배 담론이나 구조가 존재한다는 가설에서 출발 한다. 세계화와 함께 유럽연합 국가들이 다문화주의의 위기 또는 실패를 언급한다. 제3세계에서도 다문화주의가 상업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980년 이후 동북아시아에서는 국제결혼과 이주노동자 유입을 통해 다문화주의를 받아들이는 나라에서 차별·배제형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국의 다문화주의도 동화주의적 차별·배제형으로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동화주의적 차별·배제형 한국의 다문화주의 현상이 텍스트의 담론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한 사회의 담론은 그 사회를 움직이는 상위지배담론이 존재한다고 보고 한국 사회의 다문화담론을 생성하는 상위지배담론을 밝혀낸다. ‘담론분석’ 방법으로는 기든스(Giddens)의 사회 구조 이론과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틀을 차용하여 ‘혼종적 담론비판분석’의 틀을 통해 분석 될 것이다. 텍스트분석 대상으로는 법률, 영화, 뉴스에 나타난 다문화담론의 분석이다. 나아가 한국의 다문화담론의 비판적 분석에서 나타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담론의 재구성을 시도할 것이다. 담론의 재구성은 소수자 입장, 상호적 입장에서 ‘대응적 개념으로서 문화’의 시각으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철학을 재구성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is a critique of Korea’s multicultural discourses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a top dominant discourse or structure which influences the direction of Korea’s multicultural policies exist.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 is evaluated as discriminatory and eliminatory. It is highly important to critically study the multiculturalism of Korea at the point where the European Union is mentioning the crisis or failure of multiculturalism. Especially after 1980. the discriminatory and eliminatory phenomenon notably occurred in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that were accepting multiculturalism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and immigrant workers. This research will criticize the multiculturalism phenomenon of Korea by extracting the discourse from multiculturalism relevant text analysis and affiliating with the social structure of Korea. Under the theory that a top dominant discourse which is a discourse that greatly affects a society. the top dominant discourse that creates the multiculturalism discourse in the Korean society will be revealed. As for the methods for “discourse analysis”. the outline of “Hybrid critical discourse analysis(HCDA)” derived from Anthony Giddens’ Theory of constitution of society and Norma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will be used. The subjects of text analysis are multicultural discourse analysis shown in law. movies and the news. Moreover. to overcome the occurring problems in the crit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discourses of Korea. there will be attempts to reconstruct the discourses.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s suggests the necessity to recompose the multicultural philosophy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reciprocal perspectives of the minority and “culture in the concept of correspondence”. Keyword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after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Text Analysis, Hybri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p Dominant Discourse, Meritocracy, National Competitiveness.

      • 김정은 공개활동 기사에 드러난 북한 경제: 텍스트마이닝 분석

        김성규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97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rasp Kim Jong-un's economic policy and perception through a text mining analysis of all articles on Kim Jong-un's public activities in his era(January 2012 to June 2020) covered by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KCNA). It retained all 1,191 digital articles from the KCNA matching to the list of "Kim Jong-un's public activities" drawn up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performed text mining analysis using KoNLP package of the analysis program ‘R.’ And interpreted the results by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macro-level, looking at the overall picture, and on a micro-level, looking at a particular topic. On a macro level, We compared words that often appear in its own "economic guidance" articles and the other articles in the KCNA's Japanese site. We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important political events and looked at changes in the frequency of the emergence of word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at 1) emphasis on productivity in the industrial sector 2) emphasis on technology modernization and science 3) construction for regime’s propaganda by military mobilization 4) Cho Yong-won is the most frequently accompanies at the economic guidance site 5) attempting to differentiate himself from his predecessors by using the term "knowledge economy era" more widely in the economic field than the term "new century industrial revolution" 6) the articles reflected the avoidance of mentioning the sluggish steel and chemical se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separating the tim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ver time, 1) Kim Jong-un's pursuit of a "socialist normal state" was revealed through frequency of appearance of his title and institution’s names 2) he reinforced "self-reliance" discourse after sanctions 3) the machinery industry, which is relatively better, is also suffering 4) As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were asluggish, the relative importance of light industries, toruism and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ies increased 5) among the all ‘public activities’ articles, economic-related words had the highest relative frequency just before sanctions, and decreased after sanctions began in earnest. On a micro-level, it analyzed the words most correlated with the key words that involved with Kim Jong-un’s 'reprimand' behavior which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leader Kim Jong-il in governing behavior. Because reprimands have less frequency appearing in literature than their importance, instead of analyzing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used mainly in macro-analysis, it tried to analyzing association of certain key words related to reprimand behavior. Kim Jong Un's reprimand occurred mainly during his economic guidance activities, and occurred intermittently at the early days of his term in office and after intensively in July 2018 and June 2019. Analysts say that Kim Jong Un's reprimand was mainly caused when he feels 1) the state of facility management at the site was insufficient and 2) unsatisfactory officials’ mental state or attitude of working. The ‘reprimand’ is positive in that it breaks down the making show, but rather than negative in a large view because that cannot deal with the fundamental and structural aspects of economic slump head-on, so it is considered to be unable to escape from the socialist "ideological struggle." Kim Jong-un also appears to have expressed his frustration as an act of reprimand, and his public activities, including economic guidance,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in 202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기(2012년 1월~2020년 6월) 조선중앙통신에서 다룬 김정은의 공개활동 기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김정은 의 경제정책과 경제상황을 파악해보려는 시도다. 통일부가 작성한 ‘김정은 위원 장 공개활동 동향’ 리스트에 대응하는 조선중앙통신 디지털 기사 1191개를 모두 확보한 뒤, 분석 프로그램 ‘R’의 KoNLP 패키지를 이용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행했다. 그 결과를 기존 연구를 참고해 해석했다. 분석은 전체적인 모습을 살펴보는 거시적 차원과 특정 주제를 살펴보는 미 시적 차원으로 진행했다. 거시적 차원에서는 조선중앙통신 일본 사이트가 자체 적으로 분류한 ‘경제지도(指導)’ 기사와 그 외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비교했다. 또 중요 정치적 사건에 따라 3개 시기로 나눠 단어들의 출현 빈도 변 화를 살펴보았다. 해석 결과 1) 공업부문의 생산성 강조 2) 기술 현대화 및 과학 분야 중시 3) 군을 동원한 체제 선전물 건축 4) 경제지도 현장에 조용원이 가장 자주 동행 5) ‘새 세기 산업혁명’보다 ‘지식경제시대’라는 용어 선택으로 선대와 차별화를 시 도 6) 부진한 철강 및 화학 부문에 대한 언급 회피 등이 기사에 반영돼 있었다. 집권초, 대북제재 전, 대북제재 후로 시기를 구분해 실행한 분석의 해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김정은은 1) ‘사회주의 정상국가’를 추구 하고 있음이 그의 호칭과 기관명의 등장빈도를 통해 드러나며, 2) 대북제재 후 ‘자력갱생’ 담론을 강화했으며 3) 그나마 상황이 나은 기계 산업도 어려움을 겪 고 있고, 4) 중화학공업이 부진하자 경공업, 관광, 농축수산업의 상대적 중요성 이 높아졌으며, 5) 전체 공개활동 기사 중 경제 관련 단어들은 대북제재 직전 상대적 빈도수가 가장 많다가 대북제재가 본격화된 후 줄어들었다. 미시적 차원에서는 통치 행태에서 직전 지도자인 김정일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질책’을 주제로 삼았다. 질책은 그 중요도에 비해 문헌에서 등장하는 빈 도수가 적기 때문에 거시적 분석에서 주로 썼던 빈도수 및 의미망 분석 대신 질책 행위와 관련된 특정 핵심 단어들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시도했다. 김정은 의 질책은 주로 경제지도 활동 때 일어났으며, 시기적으로 집권 초에 간헐적으 로 일어나다가 2018년 7월과 2019년 6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상관성 분석을 통해 추출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김정은의 질책은 1) 현장 의 시설관리 상태가 미흡한 경우와 2) 관계자들의 일하는 정신상태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질책’은 형식적인 면을 타 파한다는 점에서 일견 긍정적이지만 큰 틀에서 경제적 부진의 근본적?구조적 측면을 관통하기보다는 결국 사회주의적 ‘사상투쟁’에서 벗어나지는 못하는 것 으로 평가된다. 김정은도 그 답답함을 질책 행위로 나타낸 것으로 보이며, 2020 년 들어서는 경제지도를 비롯한 공개 활동 자체가 이전 해에 비해 크게 줄어든 상태다.

      • 한국어 중급 읽기 교재 텍스트의 선정 방안 연구

        진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82

        읽기는 텍스트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의미를 독자가 배경지식과 여러 가지 요인들을 통해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재구성해나가는 과정이다. 읽기 텍스트는 읽기 학습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읽기 텍스트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력을 길러 최종적으로는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텍스트는 학습자들의 목표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읽기에 관련 연구는 읽기의 다양한 이론을 적용한 읽기 수업 방안, 읽기 수업의 목표,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텍스트에 관한 연구는 텍스트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 텍스트 개작을 통한 텍스트 이해 교육, 텍스트 유형 또는 텍스트 구조에 따른 교육방안 등의 연구가 근래에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은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텍스트 유형과 텍스트 구조만을 자세하게 분석하여 현재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주안점을 두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 유형과 구조의 선정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먼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선행 연구로는 한국어 읽기 교재에 관련된 연구와 읽기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을 검토한 뒤 문제를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읽기에 관한 이론, 텍스트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분류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에 대한 분류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들의 읽기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분석하고, 텍스트 유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만 제보적 텍스트 중 설명문에 초점을 맞춰 텍스트 구조를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재들은 텍스트 유형 중에서 한 유형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교재마다 각각 다른 종류의 텍스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구조에서는 열거 구조에 초점을 맞춘 텍스트가 많은 것으로 보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의 텍스트의 구조가 다양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유형과 구조가 편중되어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우선 현재 한국어 능력 시험의 읽기 평가 기준과 한국어 표준 교육 모형에서의 읽기 교육 목표를 토대로 한국어 중급 읽기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텍스트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급 교재 텍스트의 다양화를 위해 유형적,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중급 목표에 알맞은 텍스트 유형과 구조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텍스트 유형이 아니라 다양한 텍스트 유형을 접하도록 해야 하고 텍스트를 학습자 스스로 효율적으로 일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읽기 목표에 따른 텍스트 유형과 구조의 다양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 점과 제시한 텍스트 유형과 구조가 교재를 개발하고 교재에 읽기 텍스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참조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ading is a process of an understanding and active reconstructing a meaning of contents in a given text, being affected by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other factors. The text material is used as an important source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s can enhance an ability to grasp a context fast and effectively, and it lead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texts ultimately. Therefore, the text should be designed variously,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 of learners. Prior studies on reading Korean have primarily focused on suggestions for classroom reading teaching that diverse reading theories are applied, goals for classroom reading teaching, and studies for development of textbooks. Recent studies on the text such as teaching methods to understand contents effectively, class to understand the text by revising it, various teaching methods classified by types or structures of the text have not yet been perfect. Most of them are too much focused on types of structures of the text, so studies on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of the textbooks are rare.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d on seeking methods to selection types and structures of diverse texts, after analyzing types and structures of the text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referred. The problems are pointed out, after other studies on the Korean reading textbook and types and structure of the text are examined. In chapter II, the classifying of text type and structure is proposed, after theories on the text and reading are analyzed. In chapter III, the text types in the Korean reading textbooks that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use are discussed and an expository text, the majority of the text, is looked into in detail. As a result, it is found out that the textbooks lean too much towards on one type and each text book has different sorts of texts. In addition, the enumeration structure is mainly used. It meant that there are not diverse types of texts in the used textbooks. In chapter IV, in order to compensate the defects, the goal of Korean the intermediate level reading is set up. It is based on valuation basi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 goal of Korean standard educational model. Then, the types of tex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oal, and varied texts are presented in view of various types and structures. Based on this, the principle of revising the given text material in the class is referred. In chapter V, prior chapters are review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commented on. This study is concluded with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learners should access and repeated multiple text types, rather than single text typ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offer suggestions for diversifying types and structures of the text. The text given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source to develop textbooks and constitute reading text.

      • 유튜브 필터버블 현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사회연결망분석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김덕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81

        With the explosion of video traffic around the world, the growth of YouTube, a video-sharing platform, has been strikingly significant. In fact, it has gone beyond the boundary of being a simple video platform, expanding its influence in various fields worldwide,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eing analyzed as the most widely used app for all ages in Korea, YouTube has become an everyday part of our life. Still, it is being pointed out that YouTube's video recommendation algorithm is causing a filter bubble phenomenon in which users are exposed only to videos of limited subjects or to digital content with biased opinions and lopsided views. To make matters worse, although many argue that the filter bubble phenomenon poses social problems to the extent that such content consumption incites social polarization, YouTube is not disclosing its algorithm. Moreover, since it is not easy to implement the same structure of the filter bubble,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this is lacking.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monstrated the communication structures between YouTube users by carrying out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comments they wrote on the videos they watched. Through this, the filter bubble phenomenon found in YouTube videos that focused only on one-sided communication or a particular uploader was analyze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ics were analyzed through a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comments written on two distinct content channels.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users acqui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in a biased manner due to the filter bubbles occurring on YouTube. Furthermore, it ga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alternative measures and marketing strategies from personal and corporate perspectives. 전 세계 동영상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유튜브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유튜브는 단순한 동영상 플랫폼을 넘어서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전 연령을 통틀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앱으로 분석될 정도로 이미 우리 생활에 익숙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의 영상 추천 알고리즘의 영향으로 사용자가 제한된 주제나 분야의 영상만 접하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진 의견의 편향된 컨텐츠에만 노출되는 필터버블 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컨텐츠 소비가 사회의 양극단화를 부추기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유튜브 내의 필터버블 현상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요소이지만 유튜브내의 알고리즘이 공개되지 않아 구조를 재현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실증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내에서 이루어지는 컨텐츠 관련 커뮤니케이션 방법인 컨텐츠 댓글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실증하고 이를 통해 한쪽으로 편향된 커뮤니케이션이나 특정 업로더의 컨텐츠에만 집중된 유튜브 내 필터버블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향이 극명하게 나누어지는 두 명의 컨텐츠 업로더 채널에 작성되는 댓글의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양쪽에서 나뉘어져 이야기되는 토픽의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튜브 내에서 일어나는 필터버블로 인한 이용자들의 편협된 정보 습득 및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인 및 기업관점의 대안책과 마케팅 전략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및 연구동향 분석

        강민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67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re concepts and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o explore the knowledge structure and analyze research trends in severe COVID-19 risk factor studi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rom January 2020 to December 2021, 22,628 journal articles retrieved from major databases such as PubMed, CINAHL, EMBASE, and Web of Science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ython 3.0 and Gephi 0.92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re concepts high in both frequency and centrality were ‘hypertension’, ‘diabetes’, and ‘age’, and core concepts high only in the centrality were ‘non-invasive ventilation’, ‘aerosol generating procedure’ and ‘hyperglycemia’. As a result of the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severe COVID-19 risk factor study, a total of 21 sub-clusters were formed, grouped by 5 central themes. Each group was named ‘biomedical factors’, ‘occup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complication factor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evere COVID-19 risk factors research topic trends are as follows: Phase 1 (February to June 2020) is about transmission route, clinical symptoms keywords, Phase 2 (July to December 2020) is about mental health aspect keywords, Phase 3 (January to March 2021) is about blood parameters, COVID-19 sequelae keywords, and Phase 4 (April to September 2021) is about vaccine-related keyword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new attempt to identify key keywords of studies related to severe COVID-19 risk factors by applying a text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analyze network sub-factors and research trends by sec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rend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s presented by establishing a body of knowledge for severe COVID-19 risk factor research.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prevent severe morbidity in COVID-19 patients. 본 연구는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및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고 키워드간 관계성을 시각화하여 거시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구동향을 확인함으로써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과 향후 연구방향을 예측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2020년 1월에서 2021년 12월까지 총 24개월간 주요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CINAHL, EMBASE,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학술지 논문 총 22,628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Python 3.0, Gephi 0.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핵심 키워드 중 빈도와 중심성 분석에서 모두 높은 단어는 ‘고혈압’, ‘당뇨’, ‘나이’ 등으로 나타났고, 중심성 분석에서만 높은 키워드는 ‘비침습적 환기’, ‘에어로졸 생성 시술’, ‘고혈당’으로 나타났다.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346개의 노드와 672개의 링크를 분석하였고, 총 21개의 하위 클러스터가 형성되었으며 5개의 중심 주제별로 그룹화되었다. 각 그룹은 ‘생물의학요인’, ‘직업환경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 ‘건강행태요인’, ‘합병증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시기별 연구주제 동향 분석결과 총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졌다. 1구간(Phase 1)은 2020년 2월∼6월로 전파경로, 임상증상, 위험요인, 2구간(Phase 2)은 2020년 7월∼12월로 정신건강측면, 3구간(Phase 3)은 2021년 1월∼3월로 혈액매개변수, COVID-19 후유증, 4구간(Phase 4)은 2021년 4월∼9월로 백신 관련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중증 COVID-19 위험요인 관련연구의 핵심 키워드를 알아보고 네트워크 하위요인 분석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간별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새로운 시도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증 COVID-19 위험요인 연구의 지식체를 구축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의 경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 환자의 중증으로의 이환을 예방하기 위한 향후 이루어져야 할 연구의 방향 제시에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