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칭호를 통해 본 하나님의 사역 : 누가-행전을 중심으로

        김은혜 베뢰아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누가-행전에 나타난 하나님의 칭호인 "주",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예수의 공생애 전반에 흐르는 하나님의 사역을 분석한 것이다. 누가-행전에 나타난 하나님의 주요 세 칭호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된 칭호는 "하나님"이다. "주"는 일반적으로 만물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가리키지만 사도행전에서는 "주"가 예수를 지칭하는 칭호로도 사용되기 시작한다. 예수는 죽음에서 부활하여 하늘의 우편 보좌에 올리우신 후 예수는 "주"란 칭호를 얻게 된 것이다. "아버지"의 칭호는 오직 예수의 직접적인 말씀이나 예수의 말씀을 인용할 때에만 나타나며, 이로써 하나님과 예수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 같은 하나님의 칭호를 통해 하나님의 사역의 특성을 파악해내고자 본 연구에서는 "신적 주어"(divine subject)의 개념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하나님이 행위자로서 나오는 신적 주어가 포함된 문장을 살핌으로써 칭호를 통한 하나님의 사역을 파악하였다. 누가복음에 나타난 신적 주어의 대부분은 예수의 말씀에 나타난다. 예수는 대체로 현재동사를 수행한 신적 주어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속성을 선포한다. 사도행전의 신적 주어는 사도들의 설교에서 나타나는데, 예수의 공생애 가운데 특히 부활에 있어서 사역하신 하나님을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보다 신적 주어가 거의 3배이다. 그런데 이렇게 된 원인은 누가가 예수의 공생애에 대한 하나님의 사역을 표현할 때 상이한 표현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누가복음에는 행위자를 감춘 신적 수동태 문장이 많이 등장한다. 신적 수동태는 주로 예수의 어록에 등장하며, 예수는 신적 수동태를 사용하여 해당 문장에 대한 하나님의 사역을 감추었다. 이에 반해 사도행전은 대부분 신적 주어를 사용하여 능동태로써 예수의 공생애에 나타난 하나님의 사역을 밝히고 있다. 그들이 이렇게 하나님의 사역을 명확히 알게 된 것은 그들이 모두 성령을 받은 자들이었고, 보혜사 성령의 사역 때문이다. 이로써 사도행전의 사도들은 그들의 설교에서, 그동안 감추어졌던 하나님의 사역을 명확하게 선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가-행전의 전체적인 내용면에 볼 때 누가복음은 하나님이 예수가 이적과 기사를 행하는 데에 능력을 부어준 자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사도들의 사역을 중심으로 한 사도행전에서는 하나님이 예수를 죽음에서 살리고 마침내 하늘의 우편 보좌로 올리우신 분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님"이라는 칭호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사역을 파악하면 예수가 수난을 당하고 죽음을 경험하고 부활하는 것에 하나님이 강력하게 사역하시며, 예수의 공생애는 인간의 대속의 목적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가 하나님의 우편 보좌에 오르게 하기 위한 과정임을 알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work of God through His titles, "Lord," "God," and "Father," as they appear in Luke and Acts. Among three main names of God in Luke-Acts, the name "God" appears most frequently. The name "Lord" generally refers to God as the owner of all things but in Acts the name 'Lord' is used to indicate Jesus. Jesus, after he was resurrected from death and raised to throne of heaven at the right side of God, took the name "Lord." The name "Father" appears only in Jesus' direct words or in quotation of Jesus' words,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the Father God. In order to know God's work through those names of God, in this research I introduced the concept of "divine subject." Thus I considered the work of God through titles of God by analysing sentences including divine subjects. Most of divine subjects in Luke appear in Jesus' words. Jesus, generally using divine subjects which use verbs in the present, proclaims the attributes of God. In Acts, divine subjects appear mainly in the apostles' sermons, and they refer mainly to God who worked out the Resurrection in Jesus' public life. In Acts, there are three times more divine subjects than in Luke because he adopted different manners to describe God's work. Therefore in Luke, there appear many of divine passive form sentences which do not show the performer. The divine passive form generally appears in Jesus' words. Jesus, using the divine passive form, hid God's work in the sentences in question. On the other hand, in Acts, Luke reveals God's work as appeared in Jesus' life generally using active form sentences through divine subjects. The reason the apostles came to know God's work clearly was that all of them received the Holy Spirit and the Holy Spirit worked with them as their helper. Hereby apostles in Acts could proclaim God's work clearly, which was hidden to them before. Considering the whole chapters of Luke-Acts, Luke emphasized that God is the One who poured power on Jesus for the performance of signs and wonders, and Acts focused on the apostles' acts, emphasizing that God is the one who revived Jesus from death and at last raised him to the throne in heaven at His right side. Therefore, when we consider God's work focusing on the titles of God, we can know that God works powerfully on Jesu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and that Jesus' public life was purposed not only to the redemption of mankind, but also to the raising of the Son of God to the heavenly throne at God's right side.

      • 高麗王室 稱號의 여러 樣相

        김서윤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고려 왕실 칭호의 여러 양상 김 서윤 고려왕실은 건국 초부터 황제국 체제를 지향하였고, 황제국으로서의 권위를 갖고 정국을 운영하였다. 이에 다양한 정치 제도, 사회 제도, 사회적 분위기 모두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으나,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대부분 생략‧축약되어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특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왕실 칭호의 구사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 내용에 많은 수정이 가해졌다. 이에 왕실 칭호의 다양한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고려는 다양한 특징을 미루어 살펴보았을 때 분명히 황제국으로서의 특징을 가진 황제국이었다. 건국 초부터 사용된 ‘천자’라는 칭호와 하늘로부터 큰 뜻을 받아 나라를 세웠다는 ‘천명의식’, 그리고 당나라의 제후국 체제를 모방한 제왕제(Princely Establishment), 제후들에게 토지를 분배하였던 식읍제의 구성과 그 내용이 근거이다. 또한 황제국으로서의 왕실 일원들의 칭호 사용도 그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려사』의 편찬 과정에서 많은 내용들이 수정되고 개서(改書)되어 상세한 양상을 살펴보아야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고려왕실 칭호의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고려 초에는 왕위계승자를 의미했던 태자라는 칭호가 많은 왕자들에게 부여되고 있었으며, 실질적인 왕위계승자는 ‘정윤(正胤)’이라는 특이한 칭호를 지녔다. 본 글에서는 이들 왕자들의 특징을 각각 분석하여 정윤과 태자들, 또한 나머지 일반 군(君)들이 어떠한 경우에서 이런 칭호를 받게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초기를 제외한 전 왕대에 걸친 왕자들의 칭호를 분석하였다. 고려왕실의 왕자들은 고려로부터 봉작을 받아 각각 공(公), 후(侯), 백(伯) 등의 작위를 받았는데 이들의 구분 기준과 승진의 기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려왕실의 여성들 중 왕의 배필들을 분석하여 그들이 가졌던 왕비의 칭호와 후궁들의 칭호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 초기의 『고려사』편찬 과정에서 시행된 다양한 수정과 개서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이 개서로 인해 고쳐진 왕실의 칭호와 사라진 황제국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고려사』에서는 삭제되어 찾아볼 수 없으므로, 당대의 금석문과 문집, 외교문서 등과의 비교를 통해 관련 자료를 추출하였다. 이에 본 글은 다양한 특징들을 종합하여 고려가 황제국 체제를 띠고 있었음을 증명하였고, 다양한 왕실 칭호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고려 왕실의 특징을 간소하게나마 드러내었다. 또한 지금까지 진행되었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종합‧정리하여 그 내용을 정돈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Various Patterns of Title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Kim Seo-yun The royal family of Goryeo was oriented toward the empire system right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and managed the political situations with its authority as an empire. As a result, it had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across all of its diverse political systems, social systems, and social atmosphere, but most of them were omitted or abbreviated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concerned content exactly. There were particularly many revisions to the content of the royal family's titles, which would be able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as an empire best. There are thus many difficulties to figure out the various patterns of its titles accurately. Give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oryeo, there is no doubt that it was an empire with its characteristics as one. Grounds for this argument can be found i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he "Cheonja" title that they used from the foundation of the state, the "Cheonmyeong belief" that they founded a nation under the big will of the Heaven, the princely establishment that mimicked the imperial system of Tang, and the Sikeup system to distribute land to feudal lords. Good examples can also be found in the titles of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s an empi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ir patterns closely to understand them since the many parts of Goryeosa were revised and rewritten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patterns of titles for the royal family of Goryeo. In early Goryeo, the crown prince title to refer to a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to many princes. The actual successor to the throne was given a particular title "Jeongyun(正胤)."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inces and the cases of each prince receiving a title including Jeongyun, crown prince, and general kun. The study then analyzed the titles of princes throughout the royal history of Goryeo except for its early day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the princes were invested with a title of nobility from the state and received a noble title such as Gong, Hu, and Baek. The study examined their criteria and the standards for their promotion. The study also analyzed the spouses of kings in the royal family of Goryeo and the titles of queens and royal concubines. Finally, the study looked into the various revisions and rewriting circumstanc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of Goryeosa in early Joseon and also the revisions to the titles of royal family and lost characteristics of Goryeo as an empire due to rewriting. Since they were deleted from Goryeosa, the investigator collected concerned materials in the epigraphs, collections of works, and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s through comparis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Goryeo adopted the imperial system by putting together it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s royal family briefly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its diverse titles. The study also put together and sorted out various findings in previous studies and arranged the content,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마가복음에 언급된 '하나님의 아들' 칭호에 관한 연구

        조재성 安養大學校 神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5

        지금까지 본 연구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에 나타난 의미들을 알아보고 그 의미들을 통해 마가가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에 어떠한 신학적 내용을 전하려 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그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마가 자신만의 신학적 내용이 아니라 그 당시 초대 교회 안에 두루 퍼져있던 신학사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Ⅱ장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구약에서는 의미로 사용되어졌는지 사용했는지 살펴보았다. 구약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사용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해있다는 표시로 사용됨과 택함 받은 이스라엘 백성들 전체로 또한 그들을 이끌어가는 지도자들을 마지막으로 하나님으로부터 특수한 사명을 받은 하나님의 사자들이나 천사들에 대하여 '하나님의 아들'이란 칭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사상들은 신약시대에 그대로 전승되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마가복음에서 나타나는 그 칭호의 의미들을 살펴보면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선포는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입양에 대한 이 보증을 신뢰하고 하나님을 두려움 없이 아버지로 부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중보자를 그리스도의 아들이라는 칭송과 함께 소개하면서 자기 자신이 우리 모두에게 아버지 되심을 선언하신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3:11절을 통해 의미하는 것은 그리스도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시오 세상에 주신 바 된 구원자이심을 증명하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5:7절에서 거라사인 지방의 귀신들린 자 이야기를 통해 그리스도가 심판 주이심을 나타내고 있다. 마가복음 9:7에서는 그리스도를 '내 사랑하는 아들' 칭호로 존귀하게 하신다. 이것은 아버지께서 그리스도를 자신이 기뻐하시는 사랑하는 자라고 칭하셨을 때 그리스도는 세상을 자기에게 화해시키는 중보자이심을 선언하고 계시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모든 다른 자들로부터 구별하고자 하셨으므로 우리는 이 말씀으로부터 그가 본질적으로 특유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참으로 알아낼 수가 있다. 그리고 그분만이 아버지의 사랑을 받으며 그분만이 참 교사로 세우심을 입은 사실도 알 수가 있다. 이렇게 하셔서 모든 권세가 그리스도 안에 있게 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그가 죄로 인해 하나님과 원수 되었던 인간들을 하나님과 화해시켜 주신 것이다. 마가복음에 마지막 부분에 로마인 백부장을 통해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이 고백되어 진다. 마지막 내용은 백부장이 고백하는 말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정당한 죄의 대가를 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점을 동시에 선언하는 셈인데 그리스도에게 신령한 무엇이 있음을 의심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또한 마가복음에 '하나님의 아들' 칭호와 같이 중요한 칭호인 '인자'칭호는 이 칭호가 하나님의 아들로서 명백히 표현하고 있다. 마가복음 8:38에서 우리는 아버지의 영광 가운데 심판자로서 오는 인자의 파루시아를 읽을 수 있다. 인자에게 하나님은 그의 아버지이다. 따라서 그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또한 베드로는 전통적 유대 종말론의 의미에서 예수를 메시야로 고백한다. 예수는 이 신앙고백을 받아들이면서 인자의 고난과 부활이 자신의 메시야 과업임을 설명한다. 이러한 인자의 칭호와 그 밖에 예수에 대한 칭호들은 거의 대부분 여러 가지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칭호들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많은 부분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모두가 예수 그리스도를 표현하기 아주 탁월한 칭호라는 것이다. 이러한 마가복음에 나타나고 있는 내용들은 그 당시 마가 공동체의 필요성에 의해서 그들을 위로하고 격려하고 그들의 배교를 막기 위한 마가의 한 방법으로 마가복음이 기록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마가복음 외에 다른 복음서에 대한 내용들을 언급하였다. 마태복음에서는 그 내용들이 하나님의 아들이 교회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보여주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마태의 중심 내용들은 모두 하나님의 택한 백성과의 관계에서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을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누가복음에서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다윗과 같은 메시야의 칭호로 간주하는 것 같다. 그에 대한 설명으로 여러 가지 기적들을 나타내며 초자연적인면을 나타내고 있다. 요한복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과 인간이라는 두 지향하는 점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수는 로고스로서 하나님과 동일하고 태초에 계셨으며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하나님을 나타낼 수 있는 분은 예수 밖에 없다는 아주 고차원적인 기독론이 나타난다. 요한복음에서는 '하나님의 아들'과 중요한 차이 없이 '아들'을 사용한다. 이것은 아버지와 아들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성한 역할이 아들에게 임명되었다. 또한 요한복음은 예수가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게 하는 것을 목적(요 20:31)으로 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고는 복음서 외에 사도행전과 바울서신 그리고 히브리서를 통해 그 가운데 나타나는 '하나님의 아들' 칭호도 고찰하였다. 먼저 사도행전에서는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오직 한 번 밖에 나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초대교회시대에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가 사용됨은 상당히 어려움을 겪게 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당시 유대인들이 그 칭호에 대해 상당히 민감한 반응을 보였을 것이다. 스데반의 사건을 통해서 그것은 더욱 드러난다. 그러나 사도행전 8:37에 나오는 에디오피아 내시의 고백 "내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아들인줄 믿노라"는 말은 세례와 관련된 초대교회의 신앙고백으로 큰 의미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울서신에서 '하나님의 아들' 칭호는 종종 하나님의 사람과 관련하여 사용하며 신자들을 양자로 삼은 것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바울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를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구원의 중보자로서의 그의 기능을 말할 때 사용하고 있으며 부활에 의해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는데 예수는 지상적인 삶의 모습에서 볼 때 약한 하나님의 아들이었지만 그러나 그는 부활함으로써 영의 영역에서 능력 있는 하나님의 아들로 인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히브리서에서는 히브리서는 예수의 사명은 아들과 아버지와 독특한 하나이심에 바탕을 둔다. 그러므로 바로 첫머리에서 히브리서는 아들로서의 그리스도를 선지자들과 구별함으로 예수의 우월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또한 히브리서는 하나님과 예수의 하나 됨을 말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아들' 기독론이 '대제사장 기독론'과 결합됨을 말해주는데 이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 아들은 창조에 동참했고, 그 아버지께로부터 직접 나오시는 유일하신 아들이 그럼에도 역시 사람으로서 참 대제사장으로 인간의 연약성에 동참하셨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렇게 마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아들' 칭호와 다른 신약성경에서의 '하나님의 아들'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같은 거의 같은 맥락에서 그 칭호가 사용되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관복음에서 사용된 '하나님의 아들'의 의미는 처음부터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란 사실을 당연한 것으로 인정하고 요한이 사용하는 독생자란 말이 부여 해주는 특별한 부자관계의 의미를 말하며 바울 서신에서는 예수님과 성도들 모두 '하나님의 아들'로 규정한 점이다. 히브리서에서는 그 칭호의 개념이 제사장의 개념과 연관되어 왕이시지만 대신 죽으시는 인간의 연약함을 허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하나님의 아들' 칭호에 내제되어 있는 의미들이다. 이것은 여러 가지 의미들 중에 한 가지 뜻만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그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신학적은 내용들을 마가는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마가가 이 칭호를 사용한 것은 그 당시 사람들이 헬라의 영향과 여러 가지 이단의 영향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단지 인간으로만 보는 잘못된 인식들이 그들 가운데 있었기에 마가가 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칭호들을 이야기 한 것인데 그 중에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마가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했기에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도 해 볼 수 있다. 다른 복음서들을 보면 각각의 저자들이 자신의 글들 속에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의미들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마태는 교회론적 입장에서 '그리스도'란 칭호를 요한은 '인자'란 칭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 단어가 제일 우수하고 최고의 칭호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각 저자들이 속해 있는 공동체 속의 필요성과 여러 가지 상황들 속에서 그 칭호들이 알맞게 사용되어진 것이다. 그러기에 어느 칭호에 우월성을 둘 수 없는 것이다. 각각의 칭호들이 최고의 위치에서 오류가 없는 최고의 의미들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마가는 그 '하나님의 아들' 칭호가 저자 자신의 속해 있는 공동체에 적합하다 생각하여 자신의 글 속에 그 칭호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마가가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사용했다는 것은 마가의 신학사상 가운데 삼위일체의 개념이 있었기에 마가가 사용했다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마가는 이 '하나님의 아들' 칭호를 통해 자신의 공동체의 신자들에게 대해 그 당시 초대교회의 기본적인 사상을 전달하고 그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올바른 이해와 신자들 자신의 본분 또한 '하나님의 아들'로 인식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특권들과 능력들을 인식하고 미래에 대한 확실한 미래를 바라보며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지는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하나님의 아들다운 그리스도인다운 삶을 살아갈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 MMORPG에서 칭호의 함의 : World of Warcraft(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김황재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94

        Korean video game industry has inclined toward technical and industrial aspect. So, an opinion that basis of studies for Korean video game industry to grow in the future is weak has been given over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studies on video game has still inclined toward technical, industrial and educational aspect rather than studies on 'video game itself', though academic research relating to video game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yet, studies relating to storytelling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studies that investigate video game itself. Video game has not developed and changed only from storytelling aspect. With regard to video game, 'technology for development', 'video game's own story', 'media through which video game is distributed' and 'human beings who enjoy a video game' have developed and chang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oduce an exciting and popular video game, a study and development of scenario, view of the world, character and the like is important. However, there is necessity for a study of investigating the video game structure by which the video game is formed and meanings that particular elements have. This researcher intends to be aware of this problem, and grope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video game design through an investigation into elements which a video game is composed of. It may be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video game design development methodology through discussion and study of components of video game design is video game planners and researchers' purpos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velop new video game design or methodology. Therefore, it is intend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video game design methodology by first conducting an investigation, focusing on internal element of video game and human beings who enjoy video games. A player establishes a goal in a video game, and then plays a video game. For example, in FPS genre, players will mainly aim at victory in combat. In RPG genre, they will mainly aim at avatar's growth. However, players sometimes aim at elements such as 'titl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avatar's individual performance and tangible abilit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to the reason 'why' players require elements which do not strengthen avatar, such as title. First of all, we will have the basis of discussion about title system as examining the process of exploration and carrying out a quest, which is avatar's growth process. Then, the process of gaining a title is analyzed in detail. This study examines what fun a player has in the process of gaining a title and what desire is satisfied. Finally, it is intended to find a cause for a player to gain a title. This study checks the characteristics of MMORPG world and examines the process of player's desiring a title. And it is intended to examine an effect produced when players gain and shown a title to other people and its meaning.

      • 요한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아들 칭호 연구

        조경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9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heological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itle 'the Son of God', a representative title among the titles indicating Jesus Christ presented in John. Proper understanding and faith on Jesus Christ is essential for complete employment and active mission of the modern church. The situation of the church stagnating and loosening growth happens when proper faith and understanding about Jesus Christ are absent. On that point, the investigation of Jesus Christ as the son of God perceives a meaning and this is the implication this study has. John is a dominant book of gospel which provides excellent view of faith. It has its' own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and missionary of the church. John's view on Jesus Christ is very unique in the new testimony and establishing a proper view on Jesus Christ is identical with having a proper faith. From that aspec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choliastic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John according to the view proving Jesus Christ is the son of God. Chapter II examin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ity presented in Joh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on of God presented in synoptic gospels.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Jesus Christ is one figure by observing the titles of Jesus Christ, the Son of Man, Christ, the master and proves that Jesus Christ is accepted as the Son of God from the meaning of the titles. Chapter III explains the cooperating relation of Jesus Christ, who is the Son of God, the granter of life and the son who continues the task of creation, with the Father God. Chapter IV presents the theological message and idea exhibited in John and Chapter V clarifies a comprehensive abstraction, a prospect and an adaptation. Each of the titles assigned to Jesus Christ can not embrace all the aspects of his personality and mission by itself. Each of the titles shows only a certain aspect of Jesus Christ found in the new testimony. Only when all the titles assigned to Jesus Christ are examined, close approach to Jesus Christ could be achieved. Therefore, researchers of theology or readers of the bible must be always aware of the fact that all the various concepts are unified within Jesus Christ.

      • 상황화의 관점에서 조명한 하나님 칭호에 관한 연구

        류한국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61

        이스라엘 신앙의 여정은 그들이 고백한 신의 이름들에서 보듯이, 여러 이름들을 거쳐 '야훼'로 고백되어 지는 신앙 공동체의 형성이었다. 이스라엘이 고백한 하나님의 이름들에서 엿볼 수 있듯이 이스라엘이 그 이름들만큼이나 공동체로 형성되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고백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들을 기울인것을 본다. 자신들이 고백하는 신이 끊임없이 역사가운데서 새롭게 고백되어지고 그들과의 관계속에서 그 이름들을 변화해 가는 것은 한편으로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직시하고 있었다는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포로되었던 그들의 삶, 유랑하던 그들의 삶, 약속의 땅을 향한 여정의 삶, 그리고 약속의 땅에서의 삶 등 시간과 공간적인 변화들속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었다. 그들이 만나는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버리거나 희석한 것이 아니라 더욱 그때그때 하나님을 새롭게 고백하게 되었던 것같다. 이스라엘이 고백한 이 하나님은 '야훼'라는 이름으로 모아져 그 결정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이 '야훼'을 끝으로 신앙공동체의 여정을 멈춘 것이 아니다. 그들은 더 이상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지 않았다. 그들이 만난 상황에서 그들은 그들 공동체의 이름에 또 다른 이름으로 변화해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이스라-야' 혹은 '이스라-야훼'가 아니라 '이스라-엘'이라 칭하고 칭해지는 것에 주저하지 않는다. 신앙공동체의 이름속에 그들이 발 딛고 서있는 땅의 신 이름 '엘'이 도입되는 순간이 우리가 오늘날 신학적으로 선교적으로 고민하는 상황화의 서막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그들은 끊임없이 그들이 직면하는 상황을 하나님의 신앙으로 변화되기를 희망했지만, 또한 자신들이 그 상황에서 변화되어야 함을 잊지 않았던 것이다. 그렇다고 그들은 자신들을 지탱하고 있는 그 신앙의 고백을 잊지 않았다. 단순히 혼합하거나 흡수되거나 흡수하려한 것이 아니라 선교적인 걸음들을 과감히 단행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 개신교의 2세기간의 역사 속에서도 이러한 노력은 없지 않다. 길지 않은 기독교의 역사이지만 우리가 고백하는 신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한국사회 선교의 초창기로부터 끊임없이 이어졌다. 선교사들의 고민도 그것이었으며 이 후 한국에서 태어난 신학자들의 고민도 거기에서 멀지 않았다. 그것은 우리가 서 있는 한국이라는 땅에서 고백되는 그분 하나님을 끊임없이 고백하는 이스라엘 신앙의 여정과도 같은 것이었다고 본다. 따라서 그 잘잘못을 넘어 그것자체로 큰 가치가 있는 것 이다. 복음과 문화는 끊임없이 만난다. 이 지구에서 '땅 끝까지' 복음이 전해지기까지는 그러할 것이다. 그리고 어디서나 복음은 그 빛을 통해 세상을 밝힐 것이다. 우리는 그 빛의 전달자로 부름을 받았다. 빛이 있는 곳에는 주변이 환히 보이듯이 그 문화와 전통이 언어가 역사가 그 빛으로 환히 나타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빛이 서야 할 그 자리에 놓여지게 되길 희망한다. 대화와 변화를 거부하게 될 때, 배타적인 기독교가 되어 있을 때 복음의 역동성과 생명력을 가진 선교는 있을 수 없음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을 마치며 한국의 선교가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이 시기에 아직도 또한 끊임없이 내부적으로는 그 신학적인 고민들을 놓지 않았음에 감사한다. 이제 선교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한국의 개신교가 끊임없는 문화와의 대화를 통하여 복음의 빛과 선교의 올바른 기대가 살아 숨쉬는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

      • 마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아들 칭호 연구

        김재성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60

        This study finds meanings that appear on the christological title "Son of God" in the Gospel of Mark. The second chapter, understood concept about God's son christological title. God's son christological title could know that the Old Testament is applied to king, and intertestamental period is applied Messiah who is king. New Testament says that jesus is God's son. The third chapter, analyzed the Gospel of Mark contents correspond to God's son christological title through annotation. Mark's community seat of life and theological subject of Mark that appear through on the christological title"Son of God" are as following. First, Mark recorded this Gospels against the Greek Christian and wrote this book in the crisis that the persecutions of Christians by the Romans at early church community. At that time Nero emperor's oppression height go, and leaders like Peter or Paul do this time postwar days and died a martyr(about A. D. 67). In these circumstance, Mark felt necessity to inform what true faith is, and what becomes Jesus' disciple is. He emphasizes and is recording Jesus' action, especially the person's the pain to give courage and faith which can equal it to them who is been confronted with crisis of martyrdom. second, Mark's theological subject of the christological title "Son of God" are understanding identity of 's community and the way of disciple, and missionary vision. Mark say that view of new Messiah. view of new Messiah is not conception nationalism and not political personality. Mark's say that view of new Messiah in circumstance of crisis for surviva The way of Disciple that appear through son of God is understood to way of pain by God's intent. Mark made that pronounce Jesus by God's son about writing purpose of his Gospels (Mark 1:1) . This person is God's son truly! (Mark15:3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