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기 정서이해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 독재자 게임을 중심으로

        허유경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정서이해 수준과는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Y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3, 4, 5세 아동 91명을 대상으로 독재자 게임과 정서이해 과제(TEC)를 실시하였다. 독재자 게임에서 아동이 사탕 10개를 익명의 친구와 자신에게 나누는 행동을 친사회적 행동으로 평가하였고, TEC에서는 아동들에게 22개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다섯 가지 정서표정 중 적절한 한 가지 정서표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서이해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예비분석 결과, 성별은 친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정서이해와도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한 후 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친사회적으로 행동하였다. 둘째, 정서이해의 수준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향상되었다. 셋째, 정서이해와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서 정서이해의 수준이 높을수록 친사회적으로 행동했다. 넷째, 연령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이해는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했다. 이는 아동이 나이가 들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발달하지만 인지적 요소인 정서이해의 수준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도울 수 있는 교육적 전략에 대한 함의 점을 제공한다.

      • 어머니의 분노 표현방식과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고선하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aim of this study lies in grasping the relation among anger expression mode and parenting stress. They are one of the negative emotions of a mother, the main rearer. the main reap er. The prosocial begavior, the positive aspect of development of social nature, which is very important aspect out of development task in childhood. l also want to provide basic data about parenting stres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caused by an child-rearing practices. The study problem to attain this study object is like this. First, Is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different according to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Second, Is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different according to a mother's parenting stress? Thir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and parenting stress? Fourth, Does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have a relation with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and parenting stress? As a method to solve this prop n ri. I err oced a guestionnaire to mothers of 352 children who were three, four and five years. They were in the kindergartens of four places. children's house of three Places. They were located in Yongin, Anyang, Seongnam and Suwon in Kyeonggido. I used evaluation scale of prosocial behavior for teachers(PBSYC), which was developed by Kim youngok(2003) and used in Yoon gyeongseon(2006)'s study in measuring valuation about an infant's prosocial behavior as a study tool. I used scale which was made by considering cultural and linguistic context by Jeon gyeomgu(1991) on the basis of A/X-Anger Expression scale in valuation of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I referred to the material which An jiyoung(2001) used in rearing stress scale PSI/SF(Abidin,1990) reduce and revised in PSI(parenting stress Index) developed by Abidin(1983) in parenting stress valuation. I enforced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for windows 13.0 for data analysis. I enforced t-verification and Pearson's co-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study problem.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study problem presented in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reveal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ly in anger restraint and anger control out of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It was shown that an infant approached peers in a lower group than a higher group in the degree of anger control.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ho was high in the degree of anger control approached and shared with their friend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y showed difference in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a mother's parenting stress.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was high in a group whose stress degree was low about parents'torment out of a mother's parening stress. Third, when I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and parenting stress, it was shown that anger restraint and anger expression mode was high in expressing anger when a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high. They had a additional co-relation with anger control.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the mode a mother restrained her anger was high when her stress was high. It was shown that she used anger expression mode when the stress was high in malfunctional interaction with her children and picky disposi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revealed direct co-relation with anger restraint and anger expression out of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It showed an additional co-relation with anger control. It was shown that acces to peers and the whole prosocial behavior was low when a mother restrained her anger. It was also shown that access trial and sharing vehavior was high when a mother controled her anger. An child's social behavior also revealed a strong additional co-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Especially, it revealed a strong co-relation with stress about a mother's torment, while it revealed a weak co--relation with stress by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a mother's anger expression mode and parenting stress. It was also shown that the expression mod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lower element. Therefore, the parental education or training program are necessary which a mother can express positively about anger and decrease parenting stress for the increase of an child's prosocial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발달 과업 중 가장 중요한 사회성 발달의 긍정적인 측면인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중 하나인 분노에 대한 표현 방식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적 요인으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넷째,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는 관계에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경기도 4개시에 위치한 유치원 4곳, 어린이집 3곳의 재원중인 만3,4,5세 어린이352명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평정은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윤경선(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에 대한 평정은 Spielbergere(1988)의 분노 표현척도(A/X-Anger Ex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1991)가 문화적, 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평정은 Abidin(1983)이 개발한PSI(ParentingStressIndex)를 축소, 개정한 양육스트레스 척도 PSI/SF(Abidin,1990)를 안지영(2001)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참조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Pearson's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 중 분노 억제와 분노 조절 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머니의 분노 억제정도가 높은 집단 보다 낮은 집단일수록 유아는 또래에게 접근하기가 높았고, 분노 조절정도가 높은 집단이 또래에게 접근하기와 나누기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부모고통에 대한 스트레스정도가 낮은 집단일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분노를 표현함에 있어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의 방식이 많았으며, 분노 조절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모의 고통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 때 어머니는 분노를 억제하는 방식이 많았으며, 자녀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이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분노 표출 방식을 사용하였다. 넷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 중 분노 억제와 표출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분노 조절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가 분노를 억제할 때 또래에게 접근시도하기와 전체 친사회적 행동이 낮았으며, 분노를 조절할 때 접근시도하기와 나누기 행동이 높았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와는 강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어머니의 고통에 대한 스트레스와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반면,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스트레스와는 약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어머니의 분노 표현 방식과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와 하위요인에 따라 분노 표현 방식도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를 위해서 어머니가 분노에 대해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겠다.

      •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황태경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smart devices among preschoo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to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using smart devices among preschoolers? 2. What is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of preschooler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and self-control of preschoolers?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and prosocial behavior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9 preschoolers, teachers and parents at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instrument used to check the use of smart devices among the preschoolers was Cho Eun-jeong(2010)'s questionnaire for the environments for children's use of smart devices, which was utilized in this study with some modification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of the preschoolers was Lee Kyung- ok(2006)'s Preschooler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Inventor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ith some modifications as well.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self-control of the preschoolers was Lee So-young(2007)'s inventory that modified Lee Jeong-ran(2003)'s inventory for parents and reorganized it to target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 preschoolers was Kim Young-ok(2003)'s PBSYC. As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employed.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of the instruments were calculated to test their reliability,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grasp the use of smart devices among the preschoolers, and t-test was carried out to look for any possible gender differences in immersion tendency,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Besides,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to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s of four to six made use of smart devices. They used smart devices once or twice a week, 30 minutes or less each. They used smart devices primarily to play games with their siblings when their parents allowed them to do that, taking care of household chores. Second, thei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was not severe. The preschool boys were more immersed than the preschool girls, and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Third,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of the preschool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ir self-control. A stronge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led to lower self-evaluation and lower self- determination, which were two of the self-control subfactors. Fourth, the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of the preschool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their prosocial behavior. A stronge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was followed by less helping, less sharing and less empathy, which were three of the prosocial behavior subfactors. In conclusion, 95 percent or more of the preschoolers made use of smart devices. Thei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was weak, but the preschool boys were more inclined to be immersed in smart devices than the preschool girls. A stronger smart-device immersion tendency led to lower self-control and less prosocial behavior.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를 살펴보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따른 자기조절력 및 친사회적 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과 자기조절력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경남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59명의 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에 관한 질문지는 조은정(2010)의 자녀의 스마트기기 사용 환경에 관한 질문지의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이경옥(2006)이 개발한 유아용 인터넷 게임 중독경향성 척도 중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이정란(2003)이 학부모용으로 제작한 것을 수정하여 교사용으로 재구성한 이소영(200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김영옥(2003)이 개발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유아의 스마트기기사용 실태조사를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6세 유아의 대부분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사용현황은 일주일에 1~2회로 한번에 30분 이내의 시간동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집안일을 할 때,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을 허락한 경우에 형제자매와 함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주로 게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은 높지 않은 수준이었으나 남아가 여아보다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과 자기조절력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유아가 스마트기기에 몰입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력의 자기평가와 자기결정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과 친사회적 행동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유아가 스마트기기에 몰입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의 도움주기, 나누기, 감정이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95% 이상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은 낮은 수준이었으나 남아가 여아보다 스마트기기의 몰입경향이 높았으며,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력이 낮아지고 친사회적 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아의 수학 협동활동과 개별활동 효과 비교 :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학습행동을 중심으로

        곽경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협동적 수학활동의 가치를 인식하고, 수학 협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양천구 소재 B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 유아 40명씩을 선정하여 20명은 실험집단, 20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수학 협동활동은 실험집단에 4-5명의 소그룹으로 실시하였고, 수학 개별활동은 비교집단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12회기에 걸쳐 소그룹으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 검사도구는 Ward(1993)가 개발한 검사도구를 황정숙(1996)이 번안하고 류혜숙(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친사회적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영옥(2003)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를 간편형 척도로 재구성하여 사용한 서소정(2006)과 홍혜란(2008)의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유아의 학습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McDermott, Green, Francis & Stott, (2000)에 의해서 개발된 유아학습행동척도(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le; PLBS)를 정선교(2006)가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학문제해결력, 친사회적행동, 학습행동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사전검사를 통제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통계 중에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분류, 패턴, 도형, 측정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 통계의 영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행동의 하위 영역인 나누기,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지도성 중에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도움주기, 감정이입과 조절, 지도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누기 영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유아의 학습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협동활동이 수학 개별활동에 비해 학습행동의 하위영역인 학습동기부여, 주의와 지속, 학습태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을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친사회적행동 및 학습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활동임을 보여주었다. 협동을 통한 수학활동을 강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유아수학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perceive the value of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prosocial behaviors and learning behaviors. Participants were 40 children aged 5-year-old. 20 children were experiment group and 20 children were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did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n small groups of 4-5 children, while control group did individual math activities. Both groups had 12 sessions. Math problem solving skill measure for young children was Ward's(1993) test which Hwang Jungsook(1996) translated and Ryu hyesook(2003) revised. Prosocial behaviors test was the Prosocial Behaviors Scale of Seo Sojung(2006) and Hong Heyran(2008) who revised Kim Youngok's(2003) Prosocial Behaviors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into handy scale. Learning behaviors test was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Scale of McDermott, Green, Francis & Stott, (2000) which was used in Jung Sungyo's(2006) study. By using SPSS 12.0 Program the data was analysed in th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s results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improved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more effectively than individual math activities.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math problem solving skills: classification, pattern, number, measure, diagram, and statistics,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classification, pattern, measure, and diagram, but not on the statistics and number.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exerted mo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an individual ones. In the sub-elements of the prosocial behaviors: sharing, helping, empathy, regulation, and leadership,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helping, empathy, regulation, and leadership, but not on the sharing.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made learning behaviors better than individual ones.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all of the sub-elements of the learning behaviors: learning motivation, attention, persistence, and learning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enhanced young children's math problem solving skills, prosocial behaviors and learning behaviors. The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llaboration-based program and standard test for young children's math ability.

      •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조선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0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전공 조선희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개인배경(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개인배경(연령, 성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에는 차이가 있을것인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것인가? 연구문제 4.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개인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치원적응능력)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구에 위치한 3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 110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이경화, 고진영(2003)의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와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Skill Situations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그리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별로는 만 4세아가 만 5세아 보다, 성별로는 여아보다 남아의 평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별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4세아가 만 5세아 보다, 성별로는 여아보다 남아의 평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r=.268∼682 수준에서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친사회적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아개념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친사회적행동 점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형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아의 자아개념을 분석하여 자아개념 향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친사회적 행동지도를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교육적 시사점을 갖게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nhui Jo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Hwa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He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age, gender)?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age, gender)? Research question 3. What correlation exists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Research question 4.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ability to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o adapt to preschool life) depending on their level of self-concep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10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three different child care centers in G area, Seoul. For test tools, ‘Early Childhood Self-concept Test’ by 이경화 and 고진영(2003) was used along with ‘Skill Situations Measure’ translated by 이원영, 박찬옥, and 노영희 (1993) from the original version by McGinnis and Goldstein (1990).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to calculate t-test, ANOVA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age or gender. Children’s self-concep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such variables as age or gender. Four-year-old children on average scored higher than five-year-old children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ge group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age or gende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such variables as age or gender. Four-year-old children on average scored higher than five-year-old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ge group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lso,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a clos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Correlation r = in..268-682 level showed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self-concept and his/her pro-social behaviors. Fourth, differences in a child’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his/her level of self-concep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pro-social behaviors vary depending on level of self-concept. Children whose level of self-concept is high will also score higher in pro-social behaviors. In conclusion, as seen from the study,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Therefore,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mote instructions for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lated variables that helps children adapt to social situations with confidence through fostering positive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태만과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

        신도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행동 성향을 줄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태만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집단에 속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이다. 이는 성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는 시점은 조망수용능력이 발달하여 타인의 감정을 유추할 수 있게 되면서 부터이다. 자신의 태만으로 인해서 타인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사회적 태만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보이는 사회적 태만은 사회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정도에 따라서 사회적 태만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바람직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친사회적으로 행동하고 사회적 태만을 나타내지 않으려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을 지양하고 친사회적 행동을 유도하였다. 사회성 요소를 포함한 신체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사회적 태만과 관련된 영향요인과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 다양한 상호작용, 협동, 배려, 뚜렷한 공동의 목표, 사회적지지 경험, 가시적으로 사회적 태만 행동 파악, 잦은 친사회적 행동 유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A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 4세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27일부터 2016년 9월 5일까지 총 27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전에 유아들의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실시하였고, 적용 후에 다시 한 번 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사회적 태만,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보았다. 자료는 SPSS WIN(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 태만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감소한 반면, 비교집단의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모두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태만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고민과, 학습자 위주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가지는 장점이 부각되어 유아의 선택을 존중하는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태만에도 관심을 가지고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Social Loafing and to develop and apply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allows Children to increase prosocial behavior. Social Loafing is a phenomenon that belongs to a group and does not make much effort when carrying out tasks, rather than performing the task alone. Social Loafing is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Social Loafing is an adult and a Children. Social Loafing happens when it becomes possible to analogize the feelings of others. I know that Social Loafing, others' efforts are necessary. However, Social Loafing will occur. Social Loafing is also closely related to sociality.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Loafing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consideration is given to others. Promotion of Prosocial Behavior and removal of Social Loafing are absolutely necessary.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body program of the body including elements of socialit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delete Children's Social Loafing.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ried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is a learner centered.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ffect was a total of 27 sessions from June 27, 2016 to September 5, 2016 for 60 year old 4-year-old Children (30 experimental groups, 30 comparative groups).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We conducted the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ests of Children before and saw the difference between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by conducting the exam again after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The data utilized independent specimen t test and member arrangement variance analysis (ANOVA) using SPSS WIN (Statistic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3.0 program. First,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decreased Social Loafing score. Social Loafing score increased from Children of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comparison group. Secondly, the Children of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experiment group has increased Prosocial Behavior. Both of the sub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of this study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reduction of Social Loafing and Prosocial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classes will be actively made that respect Children 's choice. I hope that active studies of Children's Social Loafing will be conducted.

      • 유아의 기질과 친사회적행동 간의 관련성 연구

        나은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유형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라북도 G시와 I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 중에서 만3~5세에 해당하는 유아들로써 Thomas와 Chess(1977)가 뉴욕종단연구((New York Longitudinal Study)에 근거하여 Korn(1977)과 함께 개발한 검사 도구를 김용희(1991)가 번안한 것을 수정·보완한 김성민(2001)의 것을 사용하였다. 기질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질검사를 한 후, Gordon의 기질분류기준에 따라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의 유아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기질 유형별로 분류된 유아 90명을 돕기 행동, 나누기 행동, 위안 행동, 협동 행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Weir와 Duveen(1981)의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검사(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 PBQ)와 Doescher(1986)의 수정판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검사(Modified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 Mod-PBQ)를 참고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이혜주(1996)가 우리 문화에 맞게 번역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기질집단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의 검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유형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유아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은 관련이 있는가? 1-1)유아의 기질 특성(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은 돕기 행동과 관련이 있는가? 1-2)유아의 기질 특성(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은 나누기 행동과 관련이 있는가? 1-3)유아의 기질 특성(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은 위안 행동과 관련이 있는가? 1-4)유아의 기질 특성(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은 협동 행동과 관련이 있는가? 위 연구 문제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과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순한 기질의 유아가 더딘 기질,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특성은 돕기 행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특성은 나누기 행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기질특성은 위안 행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기질특성은 협동 행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유아의 기질을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로 분류한 후 각 기질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질 간의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기질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은 순한 기질의 유아가 친사회적 행동을 가장 많이 하며, 그 다음으로는 더딘 기질의 유아가,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가 가장 적게 친사회적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기질이란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개별적 성향으로 선천적이기는 하나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변화 가능한 성격적인 특징인데, 유아들이 친사회적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도울 수 있는 능력을 확장시켜 나가며, 건전한 인성을 형성하도록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교육은 순한 기질의 유아보다는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에게 더 집중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s.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3-6 years old children at kindergarten in G city and I city in Jellabuk-do and used the measurement tool which Thomas and Chess (1977) based on the New York Longitudinal Study and developed with Korn(1977), Kim Yong hee translated it into Korean and Kim Seong min(2001) modified and completed. After temperament test through Temperament measure tool, the children divided with the tender temperament, particular temperament and tardy temperament according to Gordon's Temperament Division Standard. This research used Questionnaire that Lee Hye joo (1996) translated and modified based on our culture to measure children' prosocial behavior, which refer to the Weire and Duveen's (1981)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PBQ) and Doesher's (1986) Modifidied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MPBQ), to measure the divided into temperamental type 90 childre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helping behavior, division behavior, comport behavior and cooperation behavior. Inspection of the prosocial behaviors about temperament group was analyzed the unitary change amoun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us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search i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pro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for the aims of this research follow 1. Does it have any relation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s? 1-1) Does child's temperament relate to the helping behavior? 1-2) Does child's temperament relate to the division behavior? 1-3) Does child's temperament relate to the comport behavior? 1-4) Does child's temperament relate to the cooperation behavior? The results about the above subjects follow First, Child Temperament and prosocial behaviors have the meaningful relationship and tender temperament child shows more higher prosocial behaviors than tardy temperament child or particular temperament child. Second,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has th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helping behavior. Third,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has th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division behavior. Forth,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has th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comport behavior. Fifth,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has th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cooperation behavior. After dividing the each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tender temperament, tardy temperament and particular temperamen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about prosocial behaviors, the statistics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other words, pro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show the tender temperament child responds more active prosocial behaviors and particular temperament child responds less prosocial behaviors. With this results, we can know followings. First, Temperament is the inborn individual propensity, but it is not inflexible. It can be chang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 So children build up the amiable human relationship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like prosocial behaviors and extend the ability to concern and help others. Therefore, Children have to be suppli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form the sound personality. Second, The education about prosocial behaviors should be intensive to the particular temperament child than the tender temperament child.

      • 무용전공자의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과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영향

        김솔해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미래의 무용인을 양성하는 기관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과 무용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현재 대전 D예술고등학교, 충청지역 N예술고등학교와 B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포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해 117명을 대상으로 「Self-administration Method」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로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기통제력 요인, 친사회적행동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자기통제력 요인과 친사회적행동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 요인, 친사회적 요인, 무용지속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기분석「Multiole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이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장기적 요인이 친사회적행동의 공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이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장기적 요인이 무용지속의사의 지속 요인과 경향 요인,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통제력의 즉각적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사회적행동이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사회적행동의 도움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지속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적행동의 나눔 요인은 무용지속의사의 가능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무용전공생들은 공동체적인 무용활동과 자신의 무용생활에서 자기통제력은 친사회적행동에서 사회적 활동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며, 앞으로 무용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나는 무용지속의사에서는 무용전공생의 진로에 긍정적인 결과가 보였다. 마지막으로 친사회적행동에서 무용지속의사는 친구 관계의 친근감이 무용을 지속적으로 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전공생의 미래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학교현장에서 전인적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들에게 긍정적 학습환경과 도덕적, 윤리적, 인성적 부분의 자기통제력과 친사회적행동에서 필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study how self-control of dance majors in Art High Schools, an institution that trains dancers in the future on pro-social behavior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n this study, survey with 「Self-administration Method」was conducted with 117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mong students who are majoring dance at D Art High School in Daejeon and N Art High School and B Art High School in Chungcheongdo region as of 2020. 「SPSS 23.0 Program」,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was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actor analysis」was conducted to classify factors of self-control,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and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and 「CorrelationAnalysis」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of self-control, pro-social behavi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Lastly, 「Multiole Regression」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tors of self-control,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and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e. The conclusions g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ong-term factor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empathetic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in terms of an effect of self control on pro-social behaviors. Second, in terms of an effect of self-control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t was found that long-term factor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continuous, trend and possible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and immediate factors of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possible factor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Third, in terms of an effect of pro-social behaviors on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t was found that supportive factor of pro-social behaviors had an effect on continuous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and sharing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had an effect on sharing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had an effect on possible factors. In conclusion, dance majo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communal dance activities and their own dance life, and self-control showed positive results in social activities from pro-social behavi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that showed the will to continue to dance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of dance majors. Lastly, intention to continue dancing in pro-social behaviors showed a positive result that friendliness with friends made them want to continue to dance. These results will help to trains the future of dance majors and will be helpful for well-rounded education at school, and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study for them in terms of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s in terms of moral, ethical and personal parts.

      • 불교명상이 아동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최효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0

        이 연구는 우리들 내면의 부처와 신이 빛을 발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는 불교명상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불교명상활동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불교명상프로그램은 아동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불교명상프로그램은 아동의 대인 관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불교명상프로그램은 아동의 학교(유치원) 적응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H유치원의 취학 전 만5세 아동 52명이었다. 이 아동들에게 7주 동안 1주일에 3회씩 20회에 걸쳐 실험집단(26명)아동들에게는 불교명상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26명)아동들에게는 기존의 일상적인 유치원 교육 계획안에 기초한 주제별 교육활동을 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McGrinnis와 Goldstein의『Skill Situation Measures』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번안 수정한 '친사회적 행동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 사후검사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명상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 둘째, 불교명상활동은 유아의 개인정서 조절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 셋째, 불교명상활동은 유아의 대인관계 형성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 넷째, 불교명상활동은 유아의 학교(유치원) 적응 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다. 다섯째, 불교명상프로그램 진행 중에 나타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회를 거듭할수록 친사회적 행동 뿐 아니라 집중력, 침착성, 개방성, 자신감이 드러났고, 타인을 이해하는 슬기로움, 자비심 등에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현상은 결과적으로 아동행동에서 개인정서조절능력을 길러주고 대인관계 형성능력이 향상된 반면, 또래 관계에서도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학교(유치원) 적응능력에서도 조화를 바탕으로 수승한 능력이 발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불교명상활동에서 유아들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불교명상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아동들이 생경함에서 오는 불편함과 어색함을 많이 드러내었다. 그러나 매주 3일씩 연구자와 함께 접촉하면서 실험의 중반시기에는 아동들이 오히려 평소의 수업보다 명상시간을 더욱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였다. 평소에는 자기중심적인 아동이 사랑과 감사, 물과 젖처럼 화합하며 상생하는 모습들은 바로 눈앞에 眞生命이 현현한 다이나믹한 부처를 본 듯하여 연구자가 오히려 생기와 힘을 받았다. 세상에 갓 태어난 아기붓다(Buddha)의 진실한 발자국에서 연꽃이 피었듯이, 명상활동을 함께 한 우리 아동들의 天眞하고 아름다운 모습 속에서 연구자는 연꽃과 장미꽃, 튤립과 백화가 피는 것을 보았다. 짧은 실험기간동안 아동들은 기쁨과 평화로움이 충만했다. 그동안 나와 남이 둘이 아니고, 모든 생명에 깃든 하늘마음(천심), 佛心이 싹트며, 화엄의 꽃을 피웠던 불교명상활동시간은 유아의 진정한 발달을 위해서 교육적으로 아주 많은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process of Buddhist meditation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s To achive purpose of study, following thesis was established. 1. How does Buddhist meditation activity affect the young child's prosocial behavior? 1-1. How does Buddhist meditation activity affect the young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1-2. How does Buddhist meditation activity affect the young children's ability to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1-3. How does Buddhist meditation activity affect the young children's ability to adapt to school(or kindergarten)?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Buddhist medit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was developed and performed on 5-years old children for 7 weeks, 3 times a week. The object of study consists of 52 children in a 5 years old of H kindergarten located in Nowon-gu of Seoul city. Then they were divided into expermental grop(26 children) and comparative group(26 children) randomly. The survey tools were the following a test form for skill sitiation measures of McGrinnis & Goldstein(1990) which had been translated and revised by Lee, Won Young, Park, Chan Ok and Noh Young Hee to test for prosocal behavior as pre and post test. Examin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prelimminary inspection, pre-inspection, pre-inspection, experiment measure and post inspection. Then ANCOVA was applied to analyzed result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pre and post test for prosocial behavior of both group. Finall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like followings; First, the process of Buddhist meditation was shown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s. Specif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 Second, the process of Buddhist meditation was shown to improve young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tion. Specif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 Third, the process of Buddhist meditation was shown to improve young children's ability to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 Fourth, the process of Buddhist meditation was shown to improve young children's ability to adapt to school(or kindergarten). Specif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 Fifth, considering results of their response course of process, more frequency of applying its process showed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of problem situation.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could improve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and buil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caused amicable human relations and ability to adapt to school(or kindergarten) to be improved through Buddhist meditation Activities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Buddhist meditation Activities provide motivation to control their own feelings emotionally, understand other's feelings and give consideration to them. Thus this teaching method is device to exert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of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