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축제 공연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김은형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역축제는 지역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방자치시대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삼은 금산의 인삼 축제도 금산지역의 특산물인 인삼의 이미지를 특성화하여 20여 년간 시행되어 오고 있는 지역축제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지역축제의 분류유형과 관련해 볼 때, 금산의 인삼 축제는 ‘산업형 문화관광 축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축제의 참여주체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내부인으로서의 지역민보다는 외부인 중심의 지역축제로서의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지역축제에서 오히려 참여주체로서의 그 위치를 확인 받지 못했던 내부자(지역민)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금산에서 행해지는 가장 큰 문화행사인 금산인삼축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그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다른 지역들과는 차별화 된 금산의 전통과 문화에 기초한 축제 문화행사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한 논의의 전개로서 먼저 2장에서는 지역축제를 개관함으로써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3장에서는 사례연구로 2000년 금산인삼축제의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축제의 특성 및 문제점등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문헌자료와 수 차례의 답사 및 인터뷰, 그리고 VTR 및 인터넷 자료까지 병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4장에서는 금산인삼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에서의 공연 개발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여기에서는 무대 공연과 민속 공연, 그리고 전시 및 부대 행사로 나누어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공간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기술, 재정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표적인 모델을 선택하여 공연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 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에서 또한 중요시되어야 할 것은 지역의 고유한 전통과 지리적 특성 및 문화적 요소를 통일된 이미지로 특화하여 축제의 구심점 형성과 차별성을 부각시켜야한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를 지역의 상품화 및 수익사업으로 연결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고 무대 공연화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지역의 축제에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축제에 관해 본고에서 제안해본(금산인삼제를 중심으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당극과 전통민속 공연물의 개발을 들 수 있는데, 금산의 경우 ‘강처사 설화 마당극’ 같은 경우 개발의 여지가 아주 많은 작품이라고 보여진다. 강처사 설화에 금산의 구전 전설이나 설화 등의 요소를 더욱 첨가하여 보다 큰 스케일의 뮤지컬(창극)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다음으로 농바우 끄시기인데, 이는 전통민속공연으로서 상당히 드라마적인 요소가 많다. 민속놀이로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전설부터가 하나의 드라마이고 또한 그 형식이 퍼포먼스로의 개발 여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둘째, 그 동안 지역축제의 획일성을 말해주는 대표적인 단서의 하나가 되었던 미인대회를 금산인삼축제의 이미지(일례로 인삼과 관련한 건강이미지)를 차별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기준과 쇼의 진행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진행하게 되면 금산 인삼아가씨 선발 또한 춘향제와 다름없이 금산인삼축제만의 볼거리와 대표성을 띠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축제 및 지역이미지의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참가자들의 다양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실제 축제 공연프로그램의 수행도 보다 젊은 층(주로 학생층)을 중심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지역역사, 문화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생각할 때 긍정적 효과가 창출되리라 생각된다. 넷째는 축제의 공간, 장소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이다. 즉, 공간적으로 특화된 공연물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주무대(main stage)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에서의 공연 이벤트 프로그램, 금산인삼축제 안에서 또 다른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례로 ‘금산 보석사에서의 야외 음악회’라는 프로그램 개발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통과 현대의 접목으로서의 가치 창조를 들 수 있다. 일례로 전통민속공연인 탑제의 개발 가능성을 들어보았다. 요즘 공연예술계에선 총체극, 또는 종합예술이라는 말들을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무대공연 작품이 만들어지려면 문학적 요소와 음악, 미술, 무대기술 등의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이다. 탑제는 그것이 시연되는 장소, 참여자, 시간대, 촛불행진, 탑돌이 음악 등 종합적인 축제의 장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민들에게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갖게 하고, 자신들의 삶의 터전 위에 발전되어 온 문화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場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참여자들에게 내면적 감동을 주기 위한 지역만의 차별화 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고, 그것은 지역의 전통, 문화 등의 역사적 측면과 지리 환경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After the implementing of local autonomy system, each local government has performed his own regional cultural festival. Recent researches, mostly, focused on the economic, political effects of regional festivals. So, they have som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regional festivals as a means of the regional identity, cultural politics, etc. In other words, such studies tended to ignore the viewpoint of insiders as an important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visi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But these situations should not be taken for granted like naturalized thing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iders and regional festivals, not losing the practical effects(economic, political, communicative…) of them. So, firstly, I outl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regional festivals. Then, I interpreted the concrete problems of regional festivals, especially focusing on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s a case.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regional festivals, I could identify that it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regional festivals: program contents, performance style, the subject of festival. etc. After that, I would like to propose some concrete performing programs related to the indigenous regional history and cultures, and insiders's consciousness. The possible programs I'd like to propose are following, First, I'd like to propose the reconstruction of the indigenous narratives and yard performances related to the regional tradition and culture, focusing on the current flow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Second, almost all of regional festivals have their beauty-contest, but their concrete standard for being a festival beauty are not differentiated. So, I think that the meta(general, western) standard in selecting a beauty for representing regional images must be changed, adopting the theme of each festival. Third, through the national-wide and endurable marketing by mass media, we have to supply insiders and visitors with many spectacles and affectionate performances relat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Fourth,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ages and performing places. In other words, regional festivals tend to have their differentiated programs related to special space and place: field, yard, mountains, streams and artificial stages. etc. Festival agents must try to represent the concrete and practical situations through the festival provisions and stage makings. For these purposes and especially the continuous improvements of regional festivals, we need more professional agents than the current preparatory committee. Such professional, I expect, could be able to cut lots of festival costs. Finally, we need to take some qualitative sides of regional festivals into considerations. For that time, many researchers and agents hav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effects of them, for examples economic spreading effects, cultural political strategies. etc. Regional festivals play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self-identification, place(regional)-identity, and reformulating regional traditions and indigenous values. So regional festivals have to find their own traditional (differentiated) values, then reflect their positive heritages on the programs of regional festivals. For such tries could be able to reinfor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pe with the changing of external worlds(globalization).

      • 주민 중심형 봄꽃축제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대전시 동구 식장산 봄꽃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해경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A Festival has a merit in terms of investment cost efficiency unlike existing community development mainly focusing on new construction, and, since the beginning of the local self-government era in 1995,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has selected to hold a festival in order to harmonize residents, revitalize local economic conditions, and promote well-known local products and city brand policies. Futhermore, as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Physical Exercise had changed in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festival promotion project was enforced in ernest, so that time can be described as the beginning of the real festival era. In late 2006, now, there are about 1,000 local festivals across the country, and this figures would be thousands every year if festivals budged over ten million won by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re added. Although many studies and evaluations on a festival has been progressed, a study on preferences of a resident-oriented festival sponsored by a local autonomous entity has not sufficiently done ye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a festival is spontaneous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residents. To maximize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mutual understanding from residents is critical, so a local festival should make them to feel pride in it. From this point, a resident-oriented festival focusing on program organization should prepare and manage a festival by planning a program that is considered preciously by residents and is preferred by visitors. In other words, it is able to pave the way for revitalizing a festival through spontaneous participation, its maximization, and image promotion of the region. Hence, this study statistically analyzed questionnaires about program preference of residents who visited 2007 Mount Sikjang Spring Flower Festival and visitors who could be potential visitors, and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demographically analyzing visitors of the Mount Sikjang Spring Flowers Festival, the main target class were from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graduated from a university and had an income lower than 2 million won or female office workers who visited there with their families. In addition, to organize preferred programs by ages of residents, reasonable work division between a festival consulting professional, a festival planning/directing agency, and a public official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es that is a organizer should be prepared. Preceeding Modeling of a resident-oriented festival preferred and satisfied by residents eventually can be established when continuous evaluation analysis is performed and appropriate direction is presen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results from preferred programs by visitors and non-visitors, a culture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educational massage creating real effects by visitors should be organized. Also, program organization strategy corresponding to the theme "Spring Flowers" and spreading beautiful and comfortable atmosphere is needed to attract potential visitors (non-visitors) positive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a common program of domestic spring flowers festivals, high quality programs should be mainly organized rather than to organize the quantitative program composition with a limited budget in order to maximize effects of a festival.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programs of the Mount Sikjang Spring Flowers Festival, a program making children and families to participate together and providing cultural performances or various types of experiences for children is need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overseas spring flowers festivals, developing a program providing practical benefits to residents by connecting food, flowers, or well-known local products of a festival to the industry is needed. Sixth, as result of analyzing other programs, a variety of experience programs reflecting the theme of a spring flowers festival that connects spring to culture is necessary to be developed. Lastly, to develop a resident-oriented festival, strategy for a representative resident-oriented festival should be prepared by rearranging or abolishing small-sized festivals that have been held frequently with a small budge (not exceeding 100 million won) for community unity in order to develop a representative resident-oriented festival that would bring residents pride for their region by units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축제는 기존의 신규 건립과 달리 투자비용에 비해 효율성이 상당히 높다는 측면이 메리트로 작용되고 있으며, 1995년에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주민화합과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특산품 홍보 및 도시 브랜드화 등을 위해 축제라는 매체를 선택하게 되었고, 문화체육국이 문화관광부로 변경되면서 축제 활성화 육성정책으로 인해 본격적으로 축제의 시대가 시작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2006년 말 현재 전국에 1천여개에 달하는 지역 축제와 각 지자체에서 주최하는 1천만원이상의 예산이 집행되는 축제를 모두 합하면 연간 수천여개의 축제가 진행되고 있다. 축제에 대한 연구와 평가들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지자체에서 주최하는 주민 중심형 축제의 프로그램 선호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축제의 구성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라 할 수 있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주민들과의 공감대 형성으로 주민들이 축제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도 프로그램 구성이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주민 중심형 축제에서는 주민들과 방문객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주민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축제를 운영하는 것이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의 극대화와 지역 이미지 제고를 통한 축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 식장산 봄꽃축제 행사장에 방문한 주민들과 잠재적인 방문객이라 할 수 있는 비방문객들의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설문을 통계 처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분석되었다. 첫째, 식장산 봄꽃축제 방문객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결과 주요 대상자(Main Target)로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월수입이 200만원이하인 30대 주부이거나 회사원인 기혼 여성이 가족과 함께 방문하는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령대의 주민들이 더욱 선호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축제 컨설팅 전문가와 축제 기획 연출 전문 기획사 그리고 주최측인 관공서 공무원들의 축제에 대한 업무 분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지속적인 축제에 대한 평가 분석 연구와 방향 제시가 이루어지고 실행되었을 때 비로소 주민들이 선호하고 만족하는 주민 중심형 축제의 선행 모델링(Modeling)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둘째, 방문객과 비방문객의 선호 프로그램 분석 결과로는 방문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실제적인 효과 창출의 교육적인 메시지가 담긴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잠재방문객(비방문객)들을 적극적으로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봄꽃의 주제와 부합되면서도 아름다운 낭만과 여유로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봄꽃축제 공통 프로그램 분석 결과 프로그램 구성시에는 한정된 예산으로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하려는 양적 위주의 구성보다는 퀼리티(Quality)가 높은 질적 수준의 프로그램 위주의 구성을 해야 축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넷째, 식장산 봄꽃축제 프로그램 분석 결과 어린이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참가와 문화 공연, 다양한 체험 등 다각도의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외국 봄꽃축제 프로그램 분석 결과 봄꽃을 주제로 한 음식이나, 화훼, 특산품 등의 산업과 연계하여 주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타 프로그램 분석 결과 봄꽃과 식물, 봄이라는 기후를 문화와 연계한 봄꽃축제의 주제 반영형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일곱째, 주민 중심형 축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주민화합을 위한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 예산의 적은 규모의 빈번한 이벤트와 축제들을 과감하게 통폐합해서 지자체 단위별로 주민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주민 중심형 대표축제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 국내 공연예술축제의 부대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윤성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연예술축제는 각기 다른 공연작품들의 단순한 ‘합’이 아닌 ‘축제’로서 공연예술 창작자 개인이나 단체가 창작 공연작품으로 관객과 만나게 되는 ‘공연행사’들이 갖지 못한 축제적 특성을 갖는다. ‘축제’가 가지는 본질적 성격으로 인하여 일탈적 유희를 가능케하는 ‘고의적 과잉성’과 공동체의 화합과 인생을 긍정하는 ‘축의적 긍정성’, 기본적인 삶의 질서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대국성’을 갖는다. 공연예술축제는 축제적 성격과 함께 ‘공연예술’이 갖는 직접성, 현장성, 소멸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인 지역축제와는 달리 많은 예산과 적절한 수요층의 확보, 기획과 운영에 있어서의 높은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공연예술축제를 기획하는 주체는 공연예술축제를 통해 ‘공연장르’의 마니아층을 확대하고, 진입장벽을 낮춰 일반인들의 각 예술장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폭을 넓히며, 아티스트들간의 활발한 교류와 소통이 가능한 ‘축제의 장’을 만들어낼 수 있을 때 국내 공연예술축제는 지속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다. 현재 국내 공연예술축제의 대부분은 기획방향을 주도하는 예술감독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축제의 예술적 수준을 높이고 각 장르 예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다. 한편 국내의 예술감독은 대부분 해당 예술분야의 전문 아티스트이거나 대학교수들이 맡고 있다. 예술감독이 축제의 목적을 ‘장르 내적인 목적’으로만 국한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될 경우 자연스럽게 ‘장르 외적인 목적’은 등한시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축제의 공공성과 축제성을 강화하는데 제약요건이 되어 축제발전을 더디게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국내 공연예술축제는 예산부족의 문제, 전문인력의 부족문제, 축제 정체성의 혼란 문제 등을 안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한계 속에서도 축제 주최 측에서는 축제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기획적인 측면의 개선이 비교적 쉬운 부대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 비교하고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공연예술축제의발전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공연예술축제의 중심 프로그램인 ‘공연프로그램’자체에 대한 분석과 접근은 자칫 예술감독의 전문 영역에 대한 침해로 비춰져 논란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연구자가 가진 예술적 전문성과 함께 예술감독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문제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의 연구대상에서는 제외하고자 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축제의 정의와 유형구분, 예술축제의 특성에 대한 분석, 공연예술축제와 공연행사의 비교를 통해 ‘공연예술축제‘의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부대프로그램의 형태와 기능에 따른 유형분류를 통해 부대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축제의 성장단계에 따른 부대프로그램의 다양한 기획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덧붙여서 공연예술축제 예술감독들이 축제 부대프로그램에 대해 갖는 인식비교를 통해 현재 한국 공연예술축제에서 부대프로그램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조망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주요 공연예술축제 예술감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008년도에 개최된 부대프로그램 현황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과 함께 그간 국내의 축제평가를 통해 성공적인 축제로 평가되는 축제들의 부대프로그램의 유형별 사례들을 제시하여 향후 공연예술축제 부대프로그램 기획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rom a practical view, there are few successful festivals in spite of quantitative growth in country festivals. So this study intend to make a direction for planning of successful festivals. Unlike popular festivals, I oriented for performing arts festival with different planning and goals. Generally, contents for festival are divided into two big items, one thing is performance itself and the other thing is performance-related program that keep performance and festivals are better, namely sub-program. In particularly, this is focus on sub-program except on performance itself at festivals. For the sub-program study I referred to evaluations of festivals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festivals by national treasury and to data from previous studies. But there are few special studies for sub-program. So I picked major performing arts festivals and then made proposals for classification of sub-program on their festivals. I produced six functional classifications by practical stages and thirteen classifications by type from 10 major performing arts festivals. Also through reference survey, I showed information about how to planning festival as well as understanding for sub-programs of festival directors, who have charge of important parts in festival planning. I concluded both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ub-program and unprofessional planning for goal-oriented festivals would slow development in festivals. And also I emphasized to introduce best programs in country festivals and to make a program plan in step by step Despite many limitations I hope that this study is the main driver of systematic studies on sub-program for successful festivals.

      •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 감정반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영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the importance of local festivals is growing higher because they are used as a highly effective means of publicity for improving the identity and image of the corresponding localities and promoting their development including economic growth. Today’s festivals in Korea are evolving to a visitor‐centered form allowing the visitors not only to watch but also to proceed to touch, feel and experience, and for this reason, they exert a huge influence on festival visitors’ emotional formation. Reflecting this trend, most of festivals held these days are trying to strengthen their positive effects by reinforcing experience programs for children. Although experience programs in festivals are closely related with visitors’ emotional changes,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this issue. Particularly because festivals usually try to achieve high performance by showing many things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it has been less interesting to researchers whether experience programs in festivals affect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or their development of sociability. What is more, today’s children are living in various lifestyles and rapidly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cannot be taught and learned one by one at home or in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experience programs in festivals on children’s physical and personal characters and to utilize such programs ac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responses and their development of sociability resulting from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nd analyze the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For these purposes, literature review and positive analysis were performed together, and the concept of a festival experience program was defined and the adequacy of measuring tools was tested. In addi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ested through factor analysis on mediating variable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and dependent variable sociability development, and through this, association among the factors was suggested and systematiz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42nd Gangjin Celadon Festival and Korea‐China‐Japan Ceramic Culture Festival was sampled out of the 40 cultural tourist festival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4,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xperience programs of this festival.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s 5 of them answered inadequately were excluded, a total of 295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sample in positive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positive analysis on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with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Among the components of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placeness and educa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cognitive response but playfulness did not, and all of placeness, educational value, and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affective response. Specifically, placeness had a higher effect on cognitive emotional response, and playfulness had a higher effect on affective emotional respons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on their development of sociability, both cognitive emotional response and affective emotional response were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particular, affective emotional response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effect 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ird,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Among the components of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plac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dependency but educational value and playfulness did not. Educa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operativity but placeness and playfulness did not, and all of placeness, educational value, and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Specifically, placeness had a higher effect on independency, educational value had on cooperativity, and placeness had 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to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as in the closest effect relationship with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ch is an ability to get out of one’s own position and to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position, and this suggests that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bility. This implies that festivals can be very useful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s development of sociability through field application. Recognizing that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re valuable educational resources for children,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as a future direction the necessity to develop new ideas and various creative experience programs continuously. 축제는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와 더불어 그 지역만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제고하여 해당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는 홍보 수단으로서 지역의 이미지 상승효과와 지역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축제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 축제는 방문객 중심으로 바라보고 관람하던 형태에서 만지고, 느끼고, 체험하는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으며, 축제 방문객의 감정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반영하듯 개최되는 대부분의 축제에서는 어린이 체험프로그램을 강화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방문객 감정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축제는 짧은 개최 기간 중에 많은 것을 보여주고 담아내어 높은 성과만을 나타내려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아직까지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의 감정반응이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오늘날의 어린이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모든 것을 일일이 가르쳐주고 배우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생활양식과 급변하는 지식정보 속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축제는 체험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린이에게 물리적으로나 인성적인 부분에서의 교육적인 효과와 함께 축제 현장에서 축제의 특성을 인지하고 체험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할 시기이다. 따라서 축제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어린이의 감정반응과 사회성 발달 간의 연구를 통해서 각 변수 간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본 연구의 과제로 제시하여 지역 축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였고, 축제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개념 정립과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매개변수인 어린이 감정반응과 종속변수인 사회성 발달에 대한 요인분석으로 타당성·신뢰도를 검증하여 각 요인들 사이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체계화 하였다. 설문대상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문화관광 축제 40개 중에서 임의적으로 추출한 제42회 강진청자축제 및 한중일도자문화축제를 선정하여 이 축제의 체험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설문대상자에게 배포한 총 300부의 설문지 중 성실한 응답이라고 보기 어려운 설문지 5부를 제외한 총 295부를 유효 표본으로 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 감정반응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 체험프로그램의 구성요인 중 놀이성을 제외한 장소성과 교육성은 인지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정서적 반응에는 장소성, 교육성, 놀이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인지적 감정반응에는 장소성, 정서적 감정반응에는 놀이성 요인이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 감정반응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감정반응과 정서적 감정반응 모두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서적 감정반응은 조망수용능력에 가장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사회성 발달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 체험프로그램의 구성요인 중 교육성, 놀이성을 제외한 장소성이 자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협동성은 장소성, 놀이성을 제외한 교육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조망수용능력은 장소성, 교육성, 놀이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자주성은 장소성 요인이, 협동성은 교육성 요인이, 조망수용능력은 장소성 요인이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축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린이 감정반응이 긍정적인 영향으로 자기 자신만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인 조망수용능력에 가장 밀접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축제가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현장적응을 통한 매우 유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귀중한 어린이의 교육자원임을 인식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앞으로의 방향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 중국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 및 참여유형에 관한연구 : 배재대학교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이혜성 배재대학교 관광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According to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 in South Korea is approaching 80 thousand. It's worth mentioning that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 has increased rapidly to more than 50 times over that of 1999 and up to 70%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Specially, it is quite usual to observe that more than 90% of the foreign students in provincial universities are Chinese students. However, adverse effects have been brought about by competing for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Chinese students. After reaching its peak in 2007, the rate of increase has been declining from 66.1% to 19.5% in the year of 2009 (Korea Joongang Daily, 2010). Kim (2010) argued that in order to provide a successful and wonderful overseas study experience on campus, person in charge in the university have to develop different programs and provide students-oriented service to meet the diversified needs of foreign students. Even though,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by Kim (2009), the Chinese students, for example, were very dissatisfied with acculturation programs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n campus.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many of the universities have adopted the approaches like scholarship for foreign student only, or the discount for dormitory charge, since it is just short-term tactic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t is quite necessary to seek and develop strategies on how to attract and retain foreign students, especially the Chinese students in a long run. Nevertheless, researches on this topic are very scarce and limite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has focused on the Chinese students who has taken up the greatest portion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and attempted to analysi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ir motivations as well as preferences for the campus festival programs, based on the demographic data.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Chinese students, the planners and practioners in the university are expected to develop various student-oriented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both study and daily life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ttract and retain as many foreign students as they can on a long-term base. And this is exactly where the main objective of the current lies in. According to the results, 5 motivation types: "excitement", "sociality", "escape", "knowledge", "ability" and 6 festival program types: "cultural appreciation", "gourmet", "sports", "lecture", "festival", "competition" were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es. When comparing the mean values of the distinct motivation factors,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that spur the Chinese student to participate into the campus festival program is "knowledge" (3.76), and then with "escape" and "sociality" as the second and third important motivations. In addition, "festival" (3.93)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program type, while "competition" and "cultural appreciation" were the second and third in order of preference by the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s and ANOV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and "the standard of living" were found in different motivational factors. Besides, the preference of different types of campus festival programs will be varied significantly against "gend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length of stay",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level of Korean". 교육과학기술부(2010)에 따르면 한국은 외국인 유학생이 "8만 명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중에 중국 유학생의 수는 1999년 비해 50배 가까이로 급증했으며 전체 유학생중에 70%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지방대는 중국 유학생 비율이 90% 이상인 곳이 적지 않다. 그러나 양적 성장 위주의 중국 유학생 유치경쟁이 벌어지면서 각종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유학생의 증감률이 2007년 66.1%로 정점에 오른 뒤 2009년 19.5%로 크게 낮아졌다 (중앙일보, 2010). 김선아(2010)가 성공적인 유학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해 학교에서는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중국유학생들의 교내 "문화적응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활동 참여 기회" 등에 대한 만족도가 아주 낮은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왔다 (김혜진, 2009). 따라서 국내대학들은 각종 장학금 혜택이나 기숙사 실비 제공 등 단기적인 유치 전략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 특히 중국 유학생을 유치 및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전략모색이 요구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에 관련 논문이 아주 미흡한 상황이며 많은 연구자들의 시선을 못 이끌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당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할 동기 및 참여유형 선호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의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공부나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 다양한 교내 축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외국 유학생의 유치 전략을 모색하는 데 주 목적이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이 교내 축제 프로그램에 참여 동기는 "신기성", "사회성", "일탈성", "지식획득성" 및 "창의개발성"의 5개 동기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유형은 "문화체험 프로그램", "음식 프로그램", "스포츠 프로그램", "특강. 강연 프로그램", "명절. 모임 프로그램" 및 "경연대회 프로그램"의 6개 유형을 추출되었다. 요인별로 평균 비교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5개 동기요인 중에서 "지식획득성" 동기요인이 3.76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일탈성" 동기요인 3.73로 2위, "사회성" 동기요인이 3.68로 3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6개 프로그램 유형요인 중에서 "명절. 모임" 프로그램이 3.93의 제일 높은 평균점수로 1위, "경연대회" 프로그램이 3.63로 2위,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3.61로 3위를 차지하였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 동기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및 유학 생활수준에 대한 참여 동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교내 축제 프로그램 참여유형의 차이검증 결과를 보면 성별, 학력, 유학경력, 유학 생활수준 및 한국어 능력에 대한 참여유형 선호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 유형과 속성에 관한 연구: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사례를 중심으로

        차경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programs are the measure to assess the attributes and directivity of the festival and also a domain that determines the factors of success. Festivals can be planned with different kinds of programs such as introducing works by many different artists or by creating and presenting new works of art. However, a majority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the country chose to go by the method of selecting works or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or amusement and aligning them in a row, so it was assessed that the programs are unified and standardized.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 Yeowoorak Festival>, a festival that was started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since 2010, and how the festival consists of various festival programs and is known for its high competitiveness, recording 96% of average seat share ratio over the past 10 years. ‘Yeowoorak’ is the abbreviation for ‘here, is where our music is at.’ and the festival was planned to provide a chance for our generation to listen to our music center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intended to focus on the case of <Yeowoorak> and identify how the festival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ffects the formation of competitiveness for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this, reference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were analyzed and derived the types of programs following by the organization method of the works and the key attributes that reveal the competitiveness. The program type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were classified into ‘invitational type,’ ‘developmental type,’ and ‘production type,’ and the key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Subsequently, the program types and key attributes derived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applied to the case of <Yeowoorak>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efore conducting the analysis, the researcher supposed that the key attributes of the festival will be reinforced and appear in the ‘production type’ out of the three program types.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it is because preceding researches about <Yeowoorak> mutually stated that the distinctive competitiveness of <Yeowoorak> is the production of works through collaboration, and this applies to the ‘production type’ as deduced earlier. To prove the hypothesis, 92 charged indoor performances of <Yeowoorak Festival> throughout 2010 to 2019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rogram types and the works categorized by types were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the three key attributes. <Yeowoorak> first began as an ‘invitational type’ festival in the early stage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existing works for the arrangement of the program. However, the festival gradually evolved into ‘developmental type’ where an attempt was made for parti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existing works and aimed for ‘production type’ with a new arrangement in the festival like the integration between genres or collaboration among artists Based on the aspect of the key attributes of <Yeowoorak> based on the program types over the last 10 years, the three program types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festival performance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vitational type’ introduced artists recognized for their skills or works proven to carry amusement and secured the initial program level of <Yeowoorak> and contributed to building audience reliability and festival awareness. Second, ‘developmental type’ reinforced festivity with variable and atypical properties from the aspect of partly attempting some new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ly completed works. Third, ‘production type’ consists of works that are made by initiating new artistic experiments and attempts in the festival and actively contained the artistic directivity or vision of the festival.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artists emphasized the festivity of the programs such as diversity·unexpectedness, and the new works that closely considered the directivity of the art director from the planning stage shaped sparse valu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festival identity. Especially, out of the key festival attributes, the identity was most noticeable in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s. Even in the aspect of charged seat share ratio,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 displayed prominent performance out of the three types of programs. It is analyzed that this result reflects on the curiosity and expectation about the premiere performances that are only available in <Yeowoorak> as well as the desire to discover new creative works. In addition, the works that are made into ‘production type’ programs led to various forms of influence even after the festival, and <Yeowoorak> was established as a center of creation and production that leads artists and also as a platform.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festival directly produce the programs, it is effective for revealing the artistic directivity and identity of the festival and also securing notable values and competitiv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s a single viewpoint that identifies the competitivenes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rough the three key attributes like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a majority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organize programs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performances and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and amusement, it is anticipated that examining the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nd the outcomes will suggest an implication about the intrinsic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type’ program was identified to caus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key attributes, and it not only shapes the intrinsic identity of the festivals but also function as a strategy for festivals to be the active production agent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n the aspect of market expansion by developing new groups or works. 공연예술축제에서 프로그램은 축제의 성격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다. 축제는 다양한 예술가의 작품을 소개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선보이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는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작품이나 예술가를 선정해 나열하는 방식을 취해 프로그램이 획일화⸱정형화 됐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2010년부터 시작한 국립극장 <여우락(樂)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이 다양한 방식으로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지난 10년간 평균 객석 점유율 96%를 기록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 주목했다. ‘여우락(樂)’은 ‘여기, 우리 음악(樂)이 있다’의 줄임말로, 한국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우리 음악을 들려주고자 기획된 축제다. 본 연구는 <여우락> 사례를 중심으로 축제 프로그램 구성 방식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 작품 구성 방식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과 축제 경쟁력을 드러내는 핵심 속성을 도출했다. 공연예술축제의 프로그램 유형은 ‘초청형’ ‘발전형’ ‘제작형’으로, 핵심 속성은 ‘예술성’ ‘축제성’ ‘정체성’으로 분류했다. 이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프로그램 유형과 핵심 속성을 <여우락> 사례에 적용해 이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에 앞서 연구자는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에서 축제 핵심 속성이 강화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 이유는 <여우락>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공통으로 <여우락>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협업을 통한 작품 제작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앞서 도출한 ‘제작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여우락> 실내 유료 공연 92편을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나누고, 유형별로 분류한 작품들을 세 가지 핵심 속성 측면에서 분석했다. <여우락>은 축제 초기 기존의 작품을 선별해 소개하는 ‘초청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하지만 점차 기존 작품을 바탕으로 일부 변형을 시도한 ‘발전형’과 장르 간 결합이나 예술가 간 협업 등으로 축제에서 새롭게 구성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0년간 <여우락>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핵심 속성 양상을 살펴봤을 때,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은 각각 축제 성과에 각기 다른 기여를 나타냈다.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청형’은 실력을 인정받은 예술가들이나 흥행성이 검증된 작품을 소개하는 형태로 <여우락> 초기 프로그램 수준을 확보해 관객의 신뢰와 축제 인지도를 쌓는데 기여했다. 둘째, ‘발전형’은 기존에 완성된 작품을 토대로 일부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가변적이고 비정형화된 특징으로 축제성을 강화했다. 셋째, ‘제작형’은 축제에서 새로운 예술적 실험과 시도를 주도해 만든 작품으로,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이나 비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서로 다른 장르나 예술가 간의 협업은 프로그램에 다양성·의외성 등 축제성을 강화했고 기획 단계에서부터 예술감독의 방향성을 충실하게 반영한 신작은 희소한 가치를 만들며 축제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특히, 축제 핵심 속성 중 정체성은 ‘제작형’ 공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유료 객석 점유율 측면에서도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 공연이 월등히 우월한 성과를 보였다. 이는 <여우락>에서만 볼 수 있는 초연 무대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 새로운 창작물을 발견하는 것에 관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계기로 이루어진 작업은 축제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여우락>은 예술가들을 견인하는 창작과 생산의 중심이자,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해 봤을 때, 연구자는 축제가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는 것이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과 정체성을 드러내고 차별화된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유효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성⸱축제성⸱정체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속성을 통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을 확인하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가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공연과 예술가를 선정해 소개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꾸리는 상황을 고려할 때,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방식과 이에 따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공연예술축제 본연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축제의 핵심 속성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혀진 ‘제작형’ 프로그램은 축제의 고유한 정체성을 만들 뿐 아니라, 새로운 그룹 혹은 작품 개발을 통한 시장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축제가 공연예술시장의 능동적인 생산 주체로서 기능하는 전략이 될 것이다.

      • 축제 프로그램이 어린이의 체험몰입과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무주 반딧불축제를 대상으로

        이해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9

        우리나라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각 지역마다 지역축제는 활성화 되었다.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향토 축제부터 현재에는 어느 지역에도 없는 새로운 테마를 가미한 축제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기존 지역축제는 보여주기 식의 전시에서 참가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그 활동들의 행태가 진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현재의 지역축제는 본질적으로 참가자는 축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지역은 이를 통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축제의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수단이며, 실내에서 체험하지 못했을 자연환경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최근 초등학생의 현장 체험학습 기회가 늘면서 이러한 지역축제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축제 참가를 통해 야외활동을 하며 오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의 몰입은 다양한 세계관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지역축제 프로그램 체험은 정신적·신체적 영향을 모두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축제는 경제적으로 많은 예산과 시간 그리고 노력이 투입된다. 이는 높은 성과의 결과가 중요하다는 부담감과 함께 축제의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공했던 콘텐츠를 쫓아한 비슷한 축제가 계속 양산되고 있다. 또한 지역축제의 정체기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축제는 여전히 어린이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배울 수 없는 다양한 생활양식을 배울 수 있으며, 체험하기에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한계점으로 인해서 축제 프로그램이 체험몰입을 통해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체험에 몰입한 어린이들이 어떤 교육적 효과에 영향이 있는지 발견하여 이를 지역축제의 질을 높이는 데 사용할 시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및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매개변수인 어린이의 체험몰입과 종속변수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위해서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여 각각의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설문대상은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2019년의 문화관광형 축제 중에서 제 23회 무주반딧불축제를 임의로 추출하였다. 어린이 대상자는 이 축제의 프로그램을 체험한 초등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위해 총 3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 표본 356부(96.2%)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축제 프로그램은 체험몰입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체험몰입이 교육적 효과의 자아정체감, 지적효과, 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분석되었다. 셋째, 축제 프로그램이 교육적 효과 부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자아정체감과 사회성 요인은 교육성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지적효과는 장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를 종합하면, 축제 프로그램 체험몰입은 어린이에게 있어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축제 프로그램의 요인은 놀이성, 장소성, 교육성의 순서로 영향이 있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과 교육적 효과간의 영향관계의 분석 결과에서는 축제 프로그램의 놀이성 요인은 교육적 효과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즉 어린이들에게 축제 프로그램의 놀이성은 교육적 효과에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음이 검증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축제 프로그램 개발함에 있어서 참가하는 어린이들이 몰입을 통한 체험은 것은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다. In Korea, regional festivals were activated in each region, as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1995.There are many kinds of festivals, ranging from the local festivals utilizing local resources, to the festivals with new themes which have been nowhere else. They are developing from the festivals from the ones for the exhibition and display to the ones where people can participate and enjoy. After all, the present regional festivals are essentially dual purposed festivals where participants enjoy themselves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programs of the festival, and the region can obtain local economic and social effects. Ther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such a festival makes the participants feel the locality of the community and learn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doors. Recen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 to take advantage of these local festivals as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have field trips. The immersion of the experience program using the five sens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may nurture diverse worldviews through outdoor activities. It also means that participating in the local festival programs can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ffect students. However, most of the festivals require much money, time and effort.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festival for a longer period and they have heavy burden that the outcome should be good. Thus, similar festivals that follow or imitate the contents of the successful festivals are being mass produced. It causes a stagnation of regional festivals. Local festivals, however, are still a good way to experience and learn a variety of lifestyles that children cannot learn at school or at home. However, due to the various limitations mentioned abov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estival program through experience-immersion have not been studied much. Therefore, it is time to find out what educational effects the children who have immersed in the festival programs have and to use the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festiva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ept and measurement tools for the festival program were checked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s explained by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parametersuch as the children's experience immersion and as dependent variable such as educational effect. To perform the survey the 23rd Muju Banditbul Festival was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e Culture & Tourism Festivals of 2019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children subjects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is festival program. Atotal of 3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survey, and 356 valid samples (96.2%)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 program had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experience immersion. Second, the experience immersion was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self-identity, intelligence effects and sociability under the educational effect.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 program had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educational effect. However, self-identity and sociability factors did not make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effect and intelligence effec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effects on locality.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hypothesis te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itment to the festival program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on children. The factors of the festival program had bigger influence in the order of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locality, and educational effect.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estival program and the educational effect shows that the entertainment factor of the festival progra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of the educational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the entertainment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program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effect for children. As a result, the immersiv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festival program can have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 축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야간프로그램 도입에 관한 연구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유효상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9

        2019년 기준 전국에서 개최되고 있는 800개가 넘는 지역축제들은 각자의 목적과 기능을 수반하고 있으나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개발형축제의 수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방문객들의 소비촉진을 통해 지역에 경제적·문화적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는 지역개발형축제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여 특히 야간이라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령머드축제의 경우 공연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일부 야간프로그램 강화를 위한 시도는 하고 있으나 야간프로그램으로 인한 실질적인 효과는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여름철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적요인, 보령머드축제와 유사한 형태의 축제가 생겨남에 따른 경쟁력 저하, 축제공간의 한계성, 축제를 주관하는 보령축제관광재단의 규모 및 업무확대에 따른 자생력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보령머드축제에 도입 가능한 야간프로그램을 발굴하여 보령머드축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축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함에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야간프로그램의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고 보령머드축제를 대상으로 도입 가능한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여 축제이해관계자 간 인식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여 보령머드축제의 경력을 확보할 수 있는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도입과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에서 제시된 지역축제와 문화관광축제, 야간프로그램과 야간관광 및 야간형축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수행하고 보령머드축제의 현황과 발전과정을 파악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야간프로그램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고 제22회 보령머드축제를 방문한 축제방문객과 공무원, 축제주관재단, 축제참여단체 등이 포함된 축제공급자 및 축제가 개최되는 대천해수욕장 주변 상가 및 숙박업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보령머드축제의 야간연장 운영에 대한 31개 항목 중 축제안전관련 항목과 상설서비스시설 관리 등이 우선적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간연장 운영의 요인별 분석에서 대부분에서 이해관계자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부분 축제방문객들보다 공급자 및 상인들이 야간연장운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야간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개선사항에서는 축제 조명시설 보강부문이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별 분석에서 조명시설 관련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목에서 이해관계자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보령머드축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야간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앙 및 광역정부차원의 야간콘텐츠에 대한 지원 및 관심이 요구되며 민과 관의 효율적 업무 배분 및 역할에 따라 야간전문 운영인력에 대한 준비와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공급자 및 상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통해 야간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축제의 야간안전 및 프로그램 운영매뉴얼을 수립하고 매뉴얼을 중심으로 축제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야간콘텐츠를 개발하고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More than 800 regional festivals held in the whole country based on 2019 have purposes and functions respectively, but it’s actually that there are not many festivals of regional development, promoting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To be successful as the festival of regional development creating economic and cultural additive value of the region through promotion of visitors’ consumption, lots of efforts and interests are necessary and it’s particularly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 part of night. In case of Boryeong Mud Festival, they try to strengthen some night programs including performance program, but actual effects caused by night program are weak. In addition, it currently shows climatic factor by temperature rising in summer due to global warming, reduction of competitiveness caused by similar forms of Boryeong Mud Festival, limits of festival space, and necessity to expand scale of Boryeong festival sightseeing foundation supervising the festival and autogenic power by work expansio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iscover night program that can be introduced to Boryeong Mud Festival that were not tried before and find measures to grasp continuous development and festival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To achieve them, it analyze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night program through precedent studies, investigates preference and importance through survey on night program that can be introduced for Boryeong Mud Festival, analyzes if there is any difference of the awareness among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festival, suggests implication based on drawn results, and utilize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troduction and strategy for night program that can grasp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To achieve them, in literary research, theoretical approaches for regional festival, cultural sightseeing festival, night program, night sightseeing, and night festival suggested in the range of this research were performed and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Boryeong Mud Festival were grasped. In positive study, by focusing on the results drawn by literary research, items of night program were set, survey was conducted for festival suppliers visiting 22th Boryeong Mud Festival, such as visitors, public servants, festival supervision foundation, festival participation group, etc. and commercial complexes and lodging facilities around Daecheon beach holding the festival, based on the data of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crossed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sis, among 31 items for night expanded management of Boryeong Mud Festival, festival safety related item, permanent service facility management, etc. should be firstly applied and in factor analysis of night expanded management, most of persons interest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Especially, supplies and merchants showed lowe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night expanded management than festival visitors. In improvements by introduction of night program, festival light reinforcement was hight and in factor analysis, most of items other than lighting facility related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of interested persons. To introduce night program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Boryeong Mud Festival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s firstly required to support and be interested in night contents of centr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 and prepare strategies for night managers by efficient work distribution and roles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 Especially, it’s an important assignment to change the awareness of night program’s importance through the education for supplies and merchants. In detail, it’s necessary to establish festival’s night safety and program management manual and develop and organize night contents for festival visitors by focusing on the man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