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위적으로 유도된 흰쥐의 류마티스 관절염에 초음파와 극저전류치료가 미치는 효과

        이병옥 용인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약물을 수개월, 또는 평생을 복용해야 한다. 장시간 약물 복용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은 소화기 계통과 신장 계통 등을 자극하여 합병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약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약물과 치료법이 주목을 받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Sprague-Dawley;SD계) 암컷 56마리를 8 마리씩 7 개 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정상군(NG군), 유발대조군(PCG군), 극저전류 15 ㎂ 치료군(MC15군), 극저전류 30 ㎂치료군(MC30군), 지속적인 초음파 치료군(USC군), 맥동 초음파 치료군(USP군), 케토프로펜투여군(Keto군)등으로 하였고, 흰쥐 48마리에게는 우측 후지 발바닥에 complete freund's adjuvant를 마리당 0.1㎖를 투여하여 관절염을 유발시켰다. 관절염 유발후 15일째부터 극저전류 15 ㎂ 및 30 ㎂를 15분간 통전하여 전류량에 따른 관절염의 임상소견, 조직 손상의 치유 정도, 방사선학적인 변화, 혈액학적인 변화 및 조직학적인 변화를 연구하였고, 초음파 치료는 지속적인 초음파 1 ㎒를 0.5 W/㎠로 6분간 지속적으로 투여하거나 초음파의 맥동비를 1:9로하여 1㎒를 0.5 W/㎠로 6분간 투여하여 초음파에 의한 온열 효과와 비온열효과의 임상소견, 조직 손상의 치유정도, 방사선학적인 변화, 혈액학적 변화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연구하였다. 또 다른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염 치료제인 케토프로펜을 투여하여 초음파 치료와 극저전류 치료군과의 치료 효과의 차이를 분석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좌·우측 전지와 후지 에서 종창의 억제 효과는 극저전류 통전에서는 15㎂군(p<0.043)보다 30㎂군(p<0.033)에서 효과적이었고, 초음파 치료에서는 지속적인 초음파 투여군(p<0.498)보다 맥동 초음파투여군(p<0.050)에서 효과적이었고, 케토프로펜투여군(p<0.043) 에서도 종창을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2. 관절염 지수의 변화에서는 극저전류 통전에서는 15㎂군(p<0.027)과, 30㎂군(p<0.026)으로 30㎂군에서 효과적이었고, 초음파 투여에서는 지속적인 초음파 적용군(p<0.78)보다 맥동 초음파 적용군(p<0.020)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3. 육안적 소견에서 극저전류 통전에서 15㎂군보다, 30㎂군에서 효과적이었고 초음파 투여에서는 지속적인 초음파적용군보다 맥동 초음파 적용군에서 효과 좋았으며, ketoprofen투여군에서도 홍반과 상처를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Fig8-12). 4. 방사선 소견에서 극저전류 통전에서 15㎂군보다, 30㎂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초음파 투여에서는 지속적인 초음파적용군보다 맥동 초음파 적용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ketoprofen투여군에서도 투과성과 골막 반응과 신생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Fig 14-18). 5. 병리조직학적 검경에서 극저전류 통전은 15㎂군보다 30㎂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초음파 투여에서는 지속적인 초음파 적용군보다 맥동 초음파 투여군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케토프로펜투여군에서도 관절의 연골 파괴와 염증세포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Fig 19-25). 이상의 결과에서 CFA에 의해 유발된 흰쥐의 초기 관절염치료에 케토프로펜과 극저전류 치료의 30㎂군과 15㎂군, 맥동 초음파 치료군에서 종창의 변화와, 관절염 지수의 변화, 육안적인 검사, 종창의 측정, 방사선학적인 검사 그리고 조직학적인 검경에서 관절염의 발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흰쥐의 초기 관절염에 지속적인 초음파 치료는 종창의 변화와 관절염 지수, 육안적 소견, 방사선학적인 소견 그리고 조직학적인 검경에서 종창의 증가와 연골 세포의 파괴와 염증 세포의 침윤이 심하여 관절염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치료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drug therapy for rheumatoid arthritis must be maintained constantly or for the whole life but is apt to induce the adverse effects in gastrointestinal or renal system. Therefor, newer methods are paid attention to reduce adverse effects. The fifty-six rat female separated into seven groups depending on the therapy or Freund's adjuvant applied: Normal control group(n=8) not received anything, Positive control group(n=8) only received adjuvant, MC15 group(n=8) received microcurrent with 15㎂, MC30 group(n=8) received microcurrent with 30㎂, USC group(n=8) received continuous US, USP group(n=8) received pulsed US, Keto group(n=8) received ketoprofen. The physical, radiological, histological and hemat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in groups with microcurrent at 15㎂ for 15 minutes and 30㎂ for 15 minutes. The physical, histological and hematological findings by thermal and non-thermal effects of ultrasound were evaluated in groups with continuous mode at 1 ㎒, 0.5 W/㎠ for 6 minutes and with pulsed mode (duty cycle 1:9) at 1 ㎒, 0.5 W/㎠ for 6 minut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ultrasound and microcurrent were compared with ketoprofen. The result summarized followins. 1. Swelling of forepaw and hindpaw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MC15, MC30, USP and Keto group. 2. Arthritis indices in MC15, MC30, USP and Keto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ose in PCG. 3. In naked eye and radiologic findings, swelling was significantly prevented in MC15, MC30, USP and Keto group but not in PCG. 4. In microscopic finding, cartilage destruction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ere more inhibited in MC15, MC30, USP and Keto group than in PCG. The change of swelling, arthritis index, gross feature in naked eye, radiologic finding and microscopic find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groups except for USC group, taking care for using its continuous mode.

      • 고강도 레이저 치료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과 초음파 치료가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의 통증, 악력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자원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연구는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에게 고강도 레이저와 경피 신경 전기 자극 및 초음파 치료를 적용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의 통증, 악력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 조건을 충족하는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 30명 중에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 10명,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 10명, 대조군 10명을 제비뽑기로 무작위 배치하여 각 그룹을 배정 하였다.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에게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 및 초음파 치료를 수술 부위 주변부에 적용하였으며 치료에 따른 전 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형 통증 순위 척도(NPRS)를 사용하였다. 손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6항목 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 척도(CTS-6)와 보스턴 손목 터널 증후군-증상 심각도 척도(BCTQ-SSS)를 사용하였다. 악력은 전자 악력계로 평가하였고,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스턴 손목 터널 증후군-기능 상태 척도(BCTQ-FSS)를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 대조군 모두 2주간 총 7회 치료를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대상자는 치료 전 보다 치료 후에 통증 및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악력 및 손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과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군이 대조군 보다 통증은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군이 대조군 보다 손 증상은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p<0.05) 손 기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경피 신경 전기 자극 치료가 고강도 레이저를 병행한 초음파 치료보다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 환자의 통증, 증상을 줄이고 악력과 손 기능을 높이는 데 기여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더욱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경피신경전기자극, 레이저치료, 손목터널증후군, 초음파치료

      • 초음파 적용방식의 차이가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이경랑 高麗大學校 醫用科學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83

        본 연구는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에게 초음파 이동치료와 고정치료를 적용한 뒤 자가 스트레칭을 하여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경기도 일산소재 I 대학병원에 근무중인 상승모근 근막동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여자직원 22명으로 11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 시작 전 시각적 사상척도, 압통각 역치, 경추 측부굴곡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군은 상승모근 발통점에 초음파 고정치료 7분, 자가 스트레칭 10회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상승모근 발통점에 초음파 이동치료 7분, 자가 스트레칭 10회를 실시하였다. 각 그룹은 주 3회씩 3주간 총 9회 실험하였으며 자가 스트레칭은 매일 실시하도록 하였다. 다음과 같은 실험이 끝난 뒤 다시 시각적 사상척도, 압통각 역치, 경부 측부굴곡 관절운동범위를 측정하여 실험 전과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용 SPSS 12 ve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들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비교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 동질성 검사는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전 후의 차이는 Paired t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정치료군과 이동치료군 모두 시각적 사상척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5), 고정치료군이 더 감소하였다. 2. 고정치료군과 이동치료군 모두 압통각 역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고정치료군이 더 증가하였다. 3. 고정치료군과 이동치료군 모두 경부 측부 굴곡 관절운동범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고정치료군이 더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승모근 근막동통 증후군 환자의 발통점 제거를 위해 초음파 고정치료와 이동치료를 비교한 결과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고정치료군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차후 고정치료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근막동통증후군 통증제거에 큰 효과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self stretching after stationary or stroking application of ultrasound to patients with MPS (myofascial pain syndrome) on the upper trapezius. The subjects who worked for a university hospital in Il-san were twenty-two patients with MPS on their upper trapezius. We classified subjects into two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11 patients) and measured their VAS(visual analog scale), pain pressure threshold and ROM of cervical lateral flexion before the examin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15 to April 30 in 2010. We applied stationary technique of ultrasound to experimental group on their trigger point for seven-minute, but stroking technique was for control group. After ultrasound application, each group did stretching ten times. For three weeks, the ultrasound was applied to each group three times a week and self stretching was done every day. The total number of times of ultrasound application was 9. After the experiment, we re-measured the VAS, pain pressure threshold, and ROM of cervical lateral flexion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revious things. We used SPSS (12 ver. for Windows) that is a statistical program for analysis of data, and compared the produced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each variable.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homogeneity tes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the experiment,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p>0.05), but the stationary technique was more. 2. Pain pressure threshold(PPT)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groups(p>0.05), but the stationary technique was more. 3. Range of motion(ROM) of cervical lateral flexion revealed a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groups(p>0.05), but the stationary technique was more.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both groups, it showed that both technique of ultrasound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tationary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to remove the trigger point of MPS on the upper trapezius.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to remove the MPS pain through various study using the stationary technique.

      • 아로마 오일과 초음파치료가 경견부 통증에 미치는 영향

        박경순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82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치료 시 매개물질로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여 견경부 근육 만성통증환자의 통증감소와 통증과 동반된 불면증, 우울증, 두통 등의 영향에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대전시 C병원 물리치료실에 내원하는 6개월이상 된 만성통증환자 중 경견완 부위 근육의 구조적, 기질적인 통증이 아닌 근육통, 염좌, 근막통증증후근, 스트레스성 통증 등을 실험 범위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총 60명을 무작위로 1, 2, 3그룹으로 각 20명씩 나누어 초음파치료, 아로마도포, 아로마-초음파치료를 적용 후 주관적 통증척도로 (VAS), 객관적 통증척도로 Pressure Algometer, 정서적 통증척도로 McGill 통증질문지 등 3가지 평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치료 군에서 치료 전·후의 통증변화를 알아본 결과 VAS, Pressure Algometer, McGill 통증질문지 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통증감소가 있었다. 또 아로마의 불면, 우울, 두통에 관한 효과에 대한 설문지에서는 불면증에 효과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초음파를 적용한 치료전·후의 비교에서 시각적 척도에서 주관적 통증, 맥길 질문지에서 정서적 통증, 압통역치 측정에서 객관적 통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아로마 시너지 오일을 적용한 치료 전·후 비교에서 시각적 척도에서 주관적 통증, 맥길 질문지에서 정서적 통증, 압통역치 측정에서 객관적 통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아로마 시너지 오일을 매개로 한 초음파 치료 전·후의 비교에서 시각적 척도에서 주관적 통증, 맥길 질문지에서 정서적 통증, 압통역치 측정에서 객관적 통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아로마요법이 통증과 더불어 이차적인 불면증, 우울증, 두통 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불면증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아로마 오일을 매개로 한 초음파치료는 통증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통증을 동반한 불면증, 우울증, 두통에 대한 효과에서 불면증에 다소 우세함을 보였다.

      • 음파반응 금 나노약물을 이용한 오토파지 항암치료 : 음파에 반응하는 금 나노입자를 함유한 오토파지 증가를 통한 항암치료를 연구

        정용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51

        초음파역학 요법(sonodynamic therapy, SDT)와 음파반응물질(sonosensitizer)은 치료부위를 국소화 하고 독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져 최근 다양한 유형의 종양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첨단 기술이다. 그러나 초음파역학 요법(sonodynamic therapy, SDT)은 20kHz 이상의 초음파(ultrasound)에 의해 발생되며 가청주파수(audible frequency)를 질환치료에 이용하는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 양전하를 띤 금 나노로드에 30Hz의 음파를 가해주면 서로 응집하여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이렇게 응집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종양세포 내로 함입된 금 나노입자를 가청주파수에 반응시키고 궁극적으로 오토파지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파에 의해 응집되는 나노 약물에 의한 오토파지의 증가는 종양세포에 나노 항암제의 증폭된 엔도좀(endosome)이입을 초래하여 효과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청주파수 음파를 이용한다면 기존 초음파역학요법보다 환자들의 거부감이 적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장비와 설비없이 좀 더 대중적으로 접근된 새로운 항암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 마비쪽 가자미근의 심부투열 초음파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 관절가동범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

        정희연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마비쪽 가자미근의 심부투열 초음파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가동범위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발목 관절에 수정판 애쉬워스척도(modified Ashworth scale, MAS) 1∼3등급으로 발목의 발등굽힘에 제한이 있는 뇌졸중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연구군 10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군은 경사판에서 초음파 치료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경사판에서 적외선 치료를 적용하였다. 각 집단은 1일 1회 10분씩 주 3회 4주간 중재를 시행하였다. 중재 전·후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좌·우 발바닥압력 편차(weight bearing distribution, WBD), 앞·뒤 발바닥압력분포비율(foot print ratio, FPR), 안정성한계(limit of stability, LOS),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와 일어서걷기검사(timed up and go, TUG)의 변화를 측정하여 중재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군은 중재 전·후 ROM, WBD, FPR, LOS, BBS와 TUG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은 중재 전·후 LOS, BBS와 TUG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집단 간 전·후 비교에서는 ROM, FPR과 LOS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연구결과로 미루어보아 경사판에서 초음파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발목 관절가동범위와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사판에서 초음파 치료에 따른 발목 관절가동범위와 균형의 향상은 뇌졸중 환자의 발목움직임과 균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ep heat ultrasound to paretic soleus on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2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The patients were assigned two groups, randomly and all 22 patients completed the 4-weeks intervention. The study group(n=10) participated in ultrasound therapy on the slant board(10 minutes per time and 3 times per week), while the control group(n=12) participated in infrared therapy on the slant board(10 minutes per time and 3 times per week). Changes in ROM, TUG, BBS, WBD, FPR and LOS were measured pre- and post-interventio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all measurements, the preand post-intervention values were analysed by paired t-test(within-group comparison) and independent t-test(between groups comparison). The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WBD, FPR, LOS, BBS and TUG after intervention(p<.05).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 BBS and TU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FPR and LOS between two groups(p<.01).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determined that ultrasound therapy on the slant board improves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Improved ankle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through such ultrasound therapy on the slant board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ankle joint movement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 초음파치료가 VDT 증후군 환자의 경추 운동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ngle of cervical vertebrae motions of thirty subjects who are seated in front of computers for a long tim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 A, B and C, which were for ultrasound treatment and relaxing exercise, for ultrasound treatment and massage, and relaxing exercise and massage respectively. This study made comparisons between groups of different ages and genders before treatment,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 each group, It also made multiple comparison based on the variance analysis among groups and comparison between Group A and B. 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When comparing the total means of different age groups, female subjects' angle of motions was wider than male subjects' in all age groups except the group at the age of 30-34. 2. When comparing the total means of different segments of cervical vertebrae, female subjects' angle of motions was wider than male subjects' in segment C3-4, C4-5 and C5-6. 3. Group 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roup B and C in segment C4-5, and only Group C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segments(p<0.05). 4. When comparing the total angle of cervical vertebrae motion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there was a slight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angle(p<0.05).

      • Changes in diffusivity of macromolecules within the cytoplasm of living cells by low-intensity pulsed ultrasound

        Kim, Hyojun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Low-intensity pulsed ultrasound(LIPUS) is a type of therapeutic ultrasound non-invasively delivers low acoustic intensity, deriving various clinical effects. Despite a growing literature on LIPUS-induced beneficial biological effects, the biophysical mechanisms of how mammalian cells detect and process external acoustic forces are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reports that the acoustic wave induced by LIPUS can propagate into SaOS-2 cells and increase the diffusivity of macromolecules within the cytoplasm. Their diffusion coefficient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molecular weights and measured by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method during LIPUS exposure. A simplified cell model containing macromolecules was also exposed to LIPUS in order to verify whether direct acoustic forces or indirect biochemical processes caused the diffusion enhancement. Furthermore, LIPUS promptly increased by 27% of passive nucleocytoplasmic transport rate as its subsequent biological effect. This ultrasound also accelera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MAPK, induced by EGF, by influencing the kinases' dynamics, and it was quantified by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microscop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creased diffusivity of macromolecules within the cytoplasm and its subsequent cell physiological activity is one of the main mechanisms of clinical effects induced by LIPUS.

      • 탄성초음파를 이용한 적외선 치료와 초음파 치료 전.후 근육의 탄력 분석

        박영준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447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치료와 초음파치료에 따른 탄성초음파를 이용한 상지(upper extremity)의 아래팔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forearm)에서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부위와 하지의 뒤칸(posterior compartment of leg)의 장딴지근 가쪽갈래(lateral gastrocnemius muscle) 1cm부위의 치료 전,후 탄성비율의 비교 분석과 키, 몸무게, BMI, 체지방량, 근육량, 기초대사량 등 다양한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7월 30일부터 2017년 8월 10일 까지 20대 남자 10명을 대상으로 했다. 초음파 치료 및 적외선 치료 시 근육의 탄성도 증가율은 상지의 forearm 근육 부위에서 초음파로 치료 시 탄성도는 1.55±0.41배 증가하였으며 적외선 치료 시는 1.23±0.10배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초음파로 치료 시 탄성도가 더 증가하였다. (p<0.05) 이는 1cm 부위에서는 심부치료에 초음파치료가 적외선 치료보다 효과적이며 좋은 결과가 나타날 거라 기대된다. 그리고 초음파치료와 적외선치료가 상지 근육에는 탄력성과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하지근육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초음파 치료 시와 적외선 치료 시 상지(upper extremity)의 아래팔앞칸(anterior compartment of forearm)에서 위팔노근(brachioradialis muscle) 부위의 탄력도 증가율과 체지방량, BMI가 증가 할수록 탄성도 증가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0.05) 향후 초음파 치료와 적외선 치료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