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보상담자의 인간적 자질 향상을 위한 자기 이해 ~아도르노의 부정성 이해를 중심으로~

        송슬기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Novice counselors who have started counseling training acquire theoretical knowledge as hard as they have high enthusiasm for counseling, but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and frustrations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e actual counseling scene. Accordingly,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low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self-efficacy, and focus more on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qualities to solve these difficultie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re is a limit to solving the problem with a methodical approa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lance the attitude that was preoccupied with professional qualities through improvement of human qualities in order to solve the inner negation felt by novice counselors. To this end, it seems necessary for a novice counselor to face what the negativity is inside him/her and understand himself/herself, so this paper presents Adorno's 'negativity' thinking. First, in Chapter II, the human qualities that novice counselors want to improve were defined, and the denial experienced internally by novice counselors was investigated as difficulties in counseling. And it was examined that Adorno's concept of 'negativity' is not a negation in the meaning used as a tool to quickly achieve the sum of positivity. Adorno's philosophy is a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original meaning of negativity by 'negating negation', which is used instrumentally, and practices true though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counseling,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ternal denial, while clients experience healing. This means that the novice counselor played a role as a counselor despite the situation of negativity. Therefore, Chapter III reinterpreted the negativity of the novice counselor through Adorno's negativity. The reason that novice counselors feel internal negativity during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can be interpreted as the difficulty that comes from the mismatch between his/her tendency to become a skilled counselor and the reality. Consequentl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ner pain felt by a novice counselor can be reconstructed into self-understanding through Adorno's philosophical concept, 'Konstellation'. Based on this, in Chapter IV, it was discussed that novice counselors are already practicing 'negativity' thinking, and that the inner negativity felt by novice counselors can be a driving force for growth.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novice counselor who changes by resolving the internal negativity can be a model for the healing experience by being present in the counseling process as an example to the client. This thesis clarifies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Adorno's philosophy and re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negative internal reaction of the novice counselor through him. Thus, self-understanding was reconstructed to improve the human qualities of novice counselors. Adorno's 'negativity' thinking is to continue the thought of self-reflection by intrinsic self-criticism with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is is a thinking to stay in negativity, and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stays in the negativity of one's inner self, which is difficult to face, and critically reflects and accepts i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ood and considered in depth philosophically the part that had limitations in solving the negative internal reactions experienced by novice counselors during counseling training. 상담 수련을 시작한 초보상담자는 상담에 대한 열의가 높은 만큼 열심히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지만, 실제 상담 장면에서 경험과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어려움과 좌절을 경험한다. 이에 따라 초보상담자는 낮은 자신감과 자기 효능감을 경험하고,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적 자질 향상에 더 몰두한다. 그러나 방법적인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가 느끼는 내적 부정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적 자질에 몰두하던 태도를 인간적 자질의 향상을 통해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보상담자가 자기 안의 부정이 어떤 것인지를 직면하고 자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그에 대한 실천 방법으로 아도르노의 ‘부정성’ 사유를 제시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초보상담자가 향상하고자 하는 인간적 자질을 규정하고, 초보상담자가 내적으로 경험하는 부정이 상담에서 어떠한 어려움으로 나타나는지를 찾아보았다. 그리고 아도르노의 ‘부정성’ 개념은 긍정의 합을 빠르게 이루기 위해 도구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부정이 아님을 살펴보았다. 아도르노의 철학은 도구적으로 사용되는 ‘부정을 부정’함으로써 부정의 본래 의미를 고찰하고, 진정한 사유를 실천하는 철학인 것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담에서 초보상담자는 내적으로 부정을 경험하면서도 내담자는 치유 경험을 한다. 이는 초보상담자가 부정의 사태에 있음에도 상담자로서 역할을 해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Ⅲ장에서는 아도르노의 부정성을 통해 초보상담자의 부정을 재해석해보았다. 초보상담자가 상담 수련 과정에서 내적 부정을 느끼는 이유는 숙련된 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자신의 실현 성향과 현실의 사태가 일치하지 않음에서 오는 힘듦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보상담자가 느끼는 내적 고통은 아도르노의 철학 개념인 ‘어우러짐’을 통해 자기 이해를 재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Ⅳ장에서는 초보상담자가 이미 부정성의 사유를 실천하고 있으며, 초보상담자가 느끼는 내적 부정이 성장을 위한 추동력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내적 부정을 해소하며 변화하는 초보상담자는 상담 과정에서 현존함으로써 내담자에게 본보기가 되어 치유 경험의 모델링이 될 수 있음을 끌어내 보았다.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철학 중 ‘부정성’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를 통해 초보상담자의 부정적 내적 반응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그리하여 초보상담자의 인간적 자질 향상을 위한 자기 이해를 재구성하였다. 아도르노의 ‘부정성’ 사유는 스스로 객관성과 합리성을 갖고 내재적 자기비판을 함으로써 자기반성의 사유를 이어가는 것이다. 이는 부정에 머무르는 사유로, 직면하기 어려운 자기 내면의 부정에 머무르며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수용한다는 데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또한 초보상담자가 상담 수련 중 경험하는 부정적 내적 반응을 해결하기에 제한이 있던 부분을 철학적으로 심도 있게 이해하고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선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집단표현예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SNS 홍보를 통해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상담관련학과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을 한 경력 3년 이하의 언어를 위주로 사용하는 초보상담자를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후 참여 의사를 밝힌 초보상담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4명, 통제집단 4명으로 구성하였다. 2020년 7월 9일부터 2020년 8월 6일까지 5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주 2회 9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Rakos와 Schroeder(1980)의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구성한 김성희, 변창진(1980)의 자기표현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및 Palfai(1995)가 개발하였고,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한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 Trait Meta-Mood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회기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는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사후 평균값(사전 𝑀=3.62, 사후 𝑀=4.43)은 향상된 수치로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는 초보상담자의 정서인식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사후 평균값(사전 𝑀=3.63, 사후 𝑀=3.96)은 향상된 수치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의 질적인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초보상담자들은 매회기 다양한 예술치료작업을 통하여 자신에 대한 표현이 적극적으로 향상되었고, 동작, 미술, 글쓰기, 명상을 활용한 창조적 연결 과정은 초보상담자의 신체, 인지, 정서를 통합하도록 도왔다. 더불어 예술치료작업에서 나타난 결과물은 예전에 미처 알지 못하던 자신의 정서를 새롭게 인식하고 조망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자기표현과 정서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상담자 발달에서 중요한 시간을 맞이하는 초보상담자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ffect the self-expression of Novice Counselors, second, how does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affect the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and third, what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recruited for novice counselors who mainly use languag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counseling or graduate school through SNS promotion. After guiding the program, it was composed of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four control groups for novice counselo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For five weeks from July 9, 2020 to August 6, 2020, the group underwent group expressive art psychotherapy twi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total of 10 sessions, and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used a measure of self-expression ability of Kim Sung-hee and Byeon Chang-jin (1980), which reconstructed the self-expression equilibrium scale of Rakos and Schroeder (1980) to fit our cultural background, developed by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and Palfai (1995), and modified by Lee Su-jeong and Lee Hun-gu (1997) as a characteristic Tera-T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e Wilcoxon code ranking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sess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elf-expression of novice counselors, but the pre- and post-average values (pre-𝑀=3.62, post-𝑀=4.43) showed positive changes as improved figures. Second,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emotion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but the pre- and post-average values (pre-𝑀=3.63, post-𝑀=3.96) showed positive changes as improved figures. Thir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changes were made in terms of the quality of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Beginner counselors actively improved their expression of themselves through various art therapy works in each session, and creative connections using movements, art, writing, and meditation helped integrate the body, cognition and emotions of the beginner counsel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rt therapy work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view one's emotions that one had not known befor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group representation art psychotherapy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expre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novice counselors. It is also hoped that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will help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novice counselors who face an important time i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정연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상담형태가 다른 초보상담자들 중에서 방문내담자의 상담을 진행하는 일반상담자와 내담자를 찾아가는 상담인 청소년동반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대학학생상담실, 개인사설 상담소 등에서 근무하며 상담경력이 3년 이하이고, 상담 회기가 한 달에 8회기 이상 진행하는 상담자로 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초보상담자의 어려움에 관한 질문지와 상담자 소진 척도를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260부 중 210부를 회수하였다. 설문 기간은 2010년 8월 25일부터 2010년 10월 1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상담자가 청소년동반자보다 사례개념화 및 개입 요인에서 비교적 어려움을 더 경험한 반면 청소년동반자는 내담자의 비협조적 태도 요인에서 비교적 어려움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의 상담자 소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동반자가 일반상담자보다 비인간화 영역에서 비교적 소진을 더 경험하고 있다. 셋째,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일반상담자는 사례개념화 및 개입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지면 상담자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쳤고, 상담자 특성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지면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청소년동반자는 사례개념화 및 개입과 상담에 대한 부정적 내적 반응에서 어려움이 높아지면 비인간화 정도에만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상담자 소진의 영역 중에 정서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상담형태가 다르고 청소년대상 상담 시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일반상담자는 상담자 특성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지면 상담자 소진 모두에 영향을 미친 반면 청소년동반자는 상담자 특성에 대한 어려움이 높아지면 상담자 소진의 정서적 고갈에만 영향을 미쳤고 비인간화 정도와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즉 일반상담자는 상담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담자 특성으로 인한 자신감 부족이나 역전이 반응에 대한 관리측면에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동반자는 선별 없이 주어지는 위기사례, 실적에 대한 압박감, 개입기간과 역할에 대한 한계 등에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청소년동반자는 상담업무 외에 사회복지적인 업무를 병행하거나 근무시간 외에도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등 다양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과중한 업무를 경험한다. 결과적으로 청소년동반자는 상담적 개입의 전문가나 사회복지적 개입의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가지지 못하며 다양한 개입의 전문성을 모두 충족하라는 요구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이는 전문가 정체성 혼란과 다각적 개입의 요구로 인한 상담자 소진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의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제고하고 상담자 소진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상담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novice counselors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counseling session, counselors sought to evaluate the effect of exhaustion. Two groups were divided among the novice counselors. The first group was the general counselor group. The second group was Youth Companion counselor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 Seoul, Gyeonggi Province Youth Support Center,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the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and a novice counselor working at a private clinic as a private career counseling for less than three years. Ongoing consultations were more than 8 times a month. Research tools include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ifficulties of novice counselors and consultants.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burnout. 210 of 2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25 August 2010 to the 10th of October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artner of the counseling session, counselors and youth experienced more difficulty than the general counselors. The general counselors had the most difficulties in conceptualizing and intervening factors. On the contrary the Youth Companion experienced more difficulty in the client's uncooperative attitude factors. Second, when burn out was compared between the general partner of a coach and youth counselor, the youth counselor experienced more burnout and exhaustion than the general counselors. Although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o to burn out, they tried not to show it, which cause further burn out and exhaustion. Third, the general partner of the counseling session, counselors and youth experienced difficulties when the therapist looked at the effect of exhaustion. General counselor case conceptualization and intervention increases, affecting the degree of emotional exhaustion. Counselor's characters were challenged by a higher degree of difficulty which influenc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contrast, the companion case conceptualization and intervention, and counseling adolescents about the negative internal reaction, increases the difficulty level and has an even greater affect than the rest of the area of counselor burnout and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as not affected. Fourth, the form of consultation with different general advice is the same as the target youth counselor and youth companion to the difficulty experienced by the impact on counselors were exhauste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burnout between the two counselor groups. The general counselor group found that they experienced more burnout when they felt a lack of confidence, negative response and management issues. However, Partner of Youth attributed the difficulties to increased counselor work load, pressure for successful results in a short period. Those matters influenced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this study, general consultant experienced difficulty and novice counselors were impa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unselor burnout. Partner of Youth who also work in social welfare intervention cannot focus enough energy on counseling and as a result suffer higher cases of burnout. This study found that the general partner counseling session, counselors and Partner of Youth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reventing burnout. This study provides an introduction on multifaceted intervention, to solving the needs of professionals and seeks to avoid confusion regarding the causes o exhaustion due to the increased workload. Basic information for counselors is provided through consultants to devise countermeasures as well as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consultation and is meant to help you. Finally, we recognize implications of limitations of the suggested study.

      •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정경빈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가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규명하고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초보상담자가 상담 장면에서의 스트레스 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상담자에게 갖는 기대 사이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무엇이고 그것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년 이내의 경력을 가진 총 10명의 초보상담자들이다. Strauss & Corbin(1998)의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95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을 통한 범주 분석 결과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서의 인과적 조건은 '불확실한 미래'와 ‘끊임없는 수련과정’이었고, 중심현상은 '스트레스 경험'이었다.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상담에 대한 인식'이었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로써 개인적인 노력과 사회정책 차원의 기대로 작용하였다. 이에 대한 중재적 조건은 '상담동기','상담에 대한 태도','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미래에 대한 계획'으로 나타났다.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 과정은 '들어서기','부딪히기','버텨내기','실현하기'의 4단계로 나타났다. '들어서기'는 참여자들의 상담 수련을 시작하게 된 배경을 보여주는 단계이다. '부딪히기'는 상담 실무에서의 고충과 수련 스트레스, 그리고 초보상담자의 불안에 직면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버텨내기'는 상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소신을 갖고 발전해가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실현하기'는 참여자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단계로써 전망을 실천으로 옮기는 단계를 말한다. 선택코딩에서의 핵심범주는 '더불어 성장해가기'로 나타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나타난 범주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적극 추구형, 소신형, 인내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적극 추구형은 사회정책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상담자 자신의 지속적 노력을 통한 상담자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소신형은 상담자 처우와 제도 개선에 따른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신념에 따라 지금 현재 최선을 다하려 했다. 인내형은 제도 개선이나 처우 보다 현재 느끼는 무력감과 스트레스를 잘 다스려서 꾸준히 발전해 나가려는 자세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수련 상담자가 전문 상담가가 되어 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국내에서 초보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이해하며 긍정적인 심리적 사회적 지원을 위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되어가기

        이유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inherited in the experience of beginning counselors in the education process of placement in graduate school and to stud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Started from the autobiographical question of ‘what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counselor?’ this study found meaningfulness of th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having conversation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expanded that meaning.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through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to examine and investigate what the first counseling means to beginning counselor and what meaning does that experience have in the process of becoming counselor in the life of counselor.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theorize the counselor development process of becoming an experienced counselor from beginner, not through a structuralism view which sees beginning counselor as inexperienced but through vivid voi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to show the process where the unique experience shapes the counselor and to find the qualitative meaning of this period.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data relevant to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beginning counselors through interviewing with research participant Y for 13 months. The research participant Y is 28 years old single woman who is making progress to her first counseling case in the counseling placement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The first counseling of Y started in her 3rd semester of the counseling graduate school (March 2013) and has continued for more than a year until the time when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ended (March 2014).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repeated analysis, interpretation, advice from colleagues, and review of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of the beginning counselor was a struggling process but it eventually made the beginning counselor to be matured. Secon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was a continuous process of instability, but it allowed the counselor to form identity as a counselor. Third,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was a time of continuous frustration but it made the counselor to realize the role of counselor in the counseling. Fourth, the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gave the counselor firm conviction that, despite uncertain and inferior difficulties of life, the counselor will share joys and sorrows together with the client for long time. The researcher found a common subject working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which is the mechanism with ambivalent meaning of ‘adversity versus orientation’. The counselor repeatedly experienced the layering of the mechanism with ‘actual adversity’ and ‘hopes orient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experienced counsel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have interpreted the series of process of becoming a counselor in the perspectives of ‘human, love, and growth’ to suggest the result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the meaningfulness of counseling placement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continuous life of the beginning counselor instead of prev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counselor’s development model. In the psychological research where life and human are the main subjects of interests, follow-up studies which reveal the growth experience of the counselor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stead of standardizing the growth of the counselor in structural view must be conducted. Also, this study has experimental meaning as it is a thesis which applied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in full scale while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is unfamiliar in the Korean counseling research areas. The values being oriented in the counseling are shown to have many common points with characteristics of field, practice, and reflection pursued by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will be a chance for narrative inquiry researches to take meaningful part in the counseling research fiel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대학원 현장실습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상담자가 된 초보상담자의 경험 속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을 깊이 탐색하고 그 경험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상담자는 어떻게 되어 가는가?’라는 연구자의 자전적인 질문으로 시작된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와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 속에서 그 유의미성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확장해 가는 작업이었다. 연구자는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상담 경험을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초보상담자의 첫 상담 경험은 무엇이고 그 경험은 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성찰하고 탐색하였다. 특히 초보상담자에서 숙련된 상담자에 이르는 상담자 발달 과정을 단계적으로 이론화하여 초보상담자를 미숙하게 보는 기존의 구조주의적인 시선이 아니라, 초보상담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서 그 고유한 경험이 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의 맥락에 통합되는 과정을 드러내고 그 시기가 갖는 질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13개월 동안 연구 참여자 Y와 인터뷰를 하면서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상담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Y는 28세 미혼 여성으로, 대학원 현장실습 상담 교육과정에서 첫 상담 사례를 진행하고 있는 초보상담자이다. 상담대학원 3학기 차(2013년 3월)에 시작한 Y의 첫 상담은, 본 연구의 자료수집이 종결되는 시점(2014년 3월)까지 1년 넘게 진행되고 있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반복적인 분석과 해석, 동료 연구자들의 조언, 연구 참여자의 검토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로 도출되었다.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고군분투의 실습과정이었지만 궁극적으로 초보상담자를 성장하게 하였다. 둘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불안의 연속 과정이었지만 상담자로서의 정체감을 갖게 하였다. 셋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연속적인 좌절의 시간이었지만 오로지 상담 그 자체에서 상담자의 자리를 깨닫게 하였다. 넷째, 초보상담자의 현장 실습 상담 경험은 열악하고 불확실한 상담자의 직업적인 삶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여전히 내담자와 오래 오래 함께 하겠다는 확신을 갖게 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 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그 경험을 작동하고 있는 공통적인 주제를 발견하였는데, 그것은 ‘애환 대 지향’이라는 양가적인 의미의 기제이다. 초보상담자는 현장실습 과정에서 ‘현실적인 애환’과 ‘성장을 지향하는 희망’이 중층(重層)되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궁극적으로 숙련된 상담자가 되어가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상담자가 되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사람, 사랑 그리고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여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보상담자의 경험을 상담자 발달 모형에 근거한 기존의 관점이 아닌, 초보상담자 개인의 연속적인 삶의 맥락 안에서 현장실습 상담 경험이 갖는 유의미성을 발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인간과 삶이 주된 관심사인 상담학의 연구에서, 상담자발달을 구조적 시각으로 정형화하여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자 개인의 전인적인 성장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관점의 후속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가 아직은 생소한 국내 상담학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본격적으로 적용한 학위논문 사례로서 실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상담학이 지향하는 가치가 내러티브 탐구가 추구하는 현장성·실천성·성찰성과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상담학 연구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내러티브 연구물들이 본격적으로 출간되기를 기대한다.

      •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아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J지역 내 위치한 청소년상담센터, Wee센터, 대학 부설 학생상담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사설 상담센터 등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경력 5년 이하의 초보상담자 15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자아탄력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은 역전이 관리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탄력성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이 초보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했음을 밝힌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즉 역전이 관리능력에 있어 상담자의 개인적인 특성도 중요하지만 자아탄력성이 갖는 영향력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초보상담자의 교육 및 훈련과 상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초보상담자,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자아탄력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of novice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ego-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novice counselor.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50 novice counselo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orking at counseling centers, Wee centers, center in universities, mind health center, public counseling center, centers for youth, and other centers located in J area. The data was collected under the categories for adult attachmen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ego-resilienc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by the SPSS 21.0 and preceded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Pearson correlational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Pearson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of adult attachment, adult attachment of the novice counselo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ego-resilience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ego-resilience. Second, ego-resilienc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of adult attachmen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ith countertranference management ability affect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at in counseling setting, the adult attachment of novice counselors wit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ffects and ego-resilienc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relationship between novice counselors of ability attachmen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In other words, on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ors are important but it is a new confirm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ego-resilience. Thus, this study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novice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Key-word : Novic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Ego-resilience

      • 상담관계 증진을 위한 초보상담자 대상 관계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효과

        전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보상담자 훈련으로써 상담관계 증진을 위한 관계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상담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상담자 자질 및 태도 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최근 초보상담자 훈련 과정에서도 상담자 태도 증진을 위한 마음챙김 훈련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마음챙김 훈련은 주로 개인 내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실제 내담자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마음챙김을 실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보상담자의 상담관계 증진을 위해 상담자의 내적 측면, 내담자 그리고 상담관계 측면인 다각적 측면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관계 마음챙김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개발된 상담관계 증진을 위한 관계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하고자 상담관계 마음챙김 척도를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Pratscher 등(2019)이 개발한 대인관계 마음챙김 척도(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IMS)를 상담관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한 상담관계 마음챙김 척도(Interpersonal Mindfulness in Counseling, IMS-C)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1-1에서는 IMS를 한국어로 번안 후 수정한 IMS-C를 한국의 상담자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원척도의 네 가지 하위요인인 ‘현존’, ‘자기와 타인에 대한 자각’, ‘비판단적 수용’, ‘비반응성’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연구 1-2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IMS-C의 4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나 적합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IMS-C의 내적 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을 보였으며, 마음챙김 주의-자각, 공감, 진정성, 사회적 유대감, 작업동맹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에 공적 자기의식과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여 적절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이 예상되었다. 연구 2에서는 상담관계 증진을 위한 관계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보상담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2-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직하였다. 그리고 예비 연구 및 2회의 전문가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였다. 연구 2-2에서는 상담관계 증진을 위한 관계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전(사전), 프로그램 시작 4주 후(중간), 프로그램 종료 직후(사후),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추후)에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 참여한 초보상담자와 그들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 1회 3시간씩 10주 동안 총 30시간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초보상담자의 경우, 처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IMS-C, 작업동맹, 상담자 태도 중 진정성 및 무조건적 존중이 증가하였고, 불안은 감소하였으며, 처치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내담자의 경우, 측정 시점과 처치조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정 시기별 집단을 비교했을 때는 내담자가 지각하는 작업동맹과 상담자 태도 중 진정성 및 무조건적 존중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초보상담자 및 내담자에게서 나타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상담관계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보상담자의 불안 감소의 결과는 본 프로그램이 상호작용 과정에서의 마음챙김에만 치우치지 않고 개인 내 마음챙김을 균형 있게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를 위한 상담관계 증진에 효과적인 관계 마음챙김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 기존의 개인 내적인 측면에만 주의를 기울였던 마음챙김 훈련의 한계를 보완하여 상담자뿐만 아니라 내담자 및 상담관계로까지 마음챙김 훈련을 확장했다는 점, 상담이라는 관계적 맥락을 측정할 수 있는 IMS-C의 요인구조를 확인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a relational mindfulness program to enhance counseling relationships in novice counselor training. As the importance of training counselor qualities and attitudes to form positive counseling relationships has been emphasized, mindfulness training to improve counselor attitudes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in novice counselor training courses. However, existing mindfulness training mainly focuses on the internal aspect of mindfulness, which has limitations in practicing mindfulness in interaction with cli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a relational mindfulness training program for novice counselors to improve their counseling relationships by paying attention to multiple aspects of the counselor, the client, and the counseling relationship. Prior to program development,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in Counseling was validated for use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 relational mindfulness program for enhancing the counseling relationship. In Study 1,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in Counselling (IMS-C)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IMS) developed by Pratscher et al. (2019) to be applied to counseling relationships, was identified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In Study 1-1, the IMS was adapted into Korean and the modified IMS-C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Korean counselors, follow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four sub-factors of the original scale, 'presence', 'awareness of self and others', 'non-judgemental acceptance', and 'non-reactivity', were confirmed and showed good reliability. In Studies 1-2,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nfirm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four-factor model of the IMS-C, bu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adequac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MS-C was adequate, wi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indfulness Attention-Awareness, Empathy, Authenticity, Social Connectedness, and Working Alliance, but not with Public Self-Awareness, suggesting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Study 2, a relationship mindfulness program for enhancing counseling relationship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novice counselor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Study 2-1,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 were specifically organ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the program. The program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eliminary study and two expert consultations to complete the program development. In Study 2-2,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relationship mindfulness program in enhancing the counseling relationship, novice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were surveyed before the program (pre),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started (mi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ended (post), an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follow-up). The treatment group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10 weeks of 3-hour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30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 increased IMS-C, Working Alliance, Authenticity and Unconditional Regard in counselor attitudes, and decreased State Anxie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at the treatment effects were sustained up to four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For client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time of measurement and treatment condition, but when comparing groups by time of measuremen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clients' perceived Working Alliance and counselor attitudes of Authenticity and Unconditional Regard. The results for novice counselors and clients suggest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ributes substantially to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ing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xiety reduction in novice counselors suggest that the program is not biased towards mindfulness in the interaction process, but balances mindfulness within the individu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tructed a relational mindfulness training program for novice counselors that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at it extended mindfulness training to the client and the counseling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unselor, com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mindfulness training that has previously focused on intrapersonal aspects; and that it con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terpersonal Mindfulness Scale in Counseling that can measure the relational context of counsel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의 자기자각에 따른 상담성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김수만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is reflected to counselling results. First of all, investigated an entire tendency to autonomy and intimacy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analyzed clarity of expression, responsibility, esteem to other member of family, openness over other member of family, acceptance of separation and loss, economical independence, independence among the subordinate system and self-determination for autonomy over an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and analyzed broad emotional express, affectional family environment, conflict solution, understanding each other, truth to human, family security, family fairness, and public awareness for intimacy over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Next, for an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ounselling results by the degree of autonomy and intimacy out of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analyzed the difference of counselling results by dividing the degree of visitor's problem solution and counseling satisfaction of the counselor, and for the difference of visitor's counsellor results, analyzed consciousness over selfness o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sciousness over others o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over others, understanding over a cause of problem occurrence, the emotional comfor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counselling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ntire tendency to autonomy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clarity of expression, responsibility, esteem to other families, openness over other members of family, acceptance of separation and loss, independence among the subordinate system were shown very high, the self-determination with a response of "so-so" was the highest, and the economical independence with a response of "not at all" was the highest. Second, in the entire tendency to intimacy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the broad emotional expression, affectional family environment, conflict solution, understanding each other, truth over human, family fairness, and public consciousness with the response of "so-so" were shown very high, family stability with the response of "not at all" was the highest. Thus, the response of "so-so" in the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in autonomy and intimacy with was the most. Hence, the counsellors positively recognized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Thir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counselling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clarity of expression, acceptance of separation and loss, and self-determination over visitor's understanding over others were shown high, responsibility, openness over other members of family, and independence among the subordinate system in self-consciousness over visi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hown high, esteem to other members of family and counselling satisfaction of the counsellor were high, and the economical independence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visi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hown high. Fourth,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and counselling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self-consciousness over visi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broad emotional express, affectional family environment, conflict solution,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public awareness was shown high. The visitor's understanding over others in truth over human was shown high, there was no any items that shows the interrelationship in family stability,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visi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the negative interrelationship. Accordingly, higher autonomy and intimacy out of self-consciousness over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family of origin leads to higher visitor's counselling result rather than counselor's counselling result. It implies that, the novice counselor who have the positive self-consciousness over experience in family origin think that the visitor's effect on counselling result is comparatively favorable. However, higher visitor's counselling results than counselor's counselling results implies that if taking counselling without proper self-consciousness over experience in family origin, the counselor is not satisfied with own counselling results. Therefore, in order that the novice counselor raise the counselling results, they should fully recognize and analyze the problems in circumstance and need more self-consciousness. To do that, the super vision will be in need to make the supervisors and veteran counsellor understand ownself. 본 논문에서는 초보상담자가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이 상담성과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자율성과 친밀감의 전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율성에 대해서는 표현의 명확성, 책임감, 다른 가족원에 대한 존중감, 다른 가족원에 대한 개방성, 분리와 상실의 수용, 경제적인 독립, 하위체계 간 독립성, 자기 결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친밀감에 대해서는 폭 넓은 감정 표현, 정겨운 가족 분위기, 갈등해소, 서로에 대한 이해심, 인간에 대한 신뢰감, 가족의 안전감, 가족의 공평성, 공동체 의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초보상담자의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자율성과 친밀감 정도에 따른 상담성과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상담자가 생각하는 상담자의 상담성과의 차이를 내담자의 문제해결 정도와 상담자의 상담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상담자가 생각하는 내담자의 상담성과의 차이는 대인관계에서의 자신에 대한 자각, 대인관계에서의 타인에 대한 자각, 타인에 대한 이해, 문제발생 원인에 대한 이해, 정서적인 안정, 대인관계 개선 정도, 상담성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보상담자의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자율성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으로는 표현의 명확성, 책임감, 다른 가족원에 대한 존중감, 다른 가족원에 대한 개방성, 분리와 상실의 수용, 하위체계 간 독립성, 자기 결정은 ‘대체로 그렇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인 독립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보상담자의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각 중 친밀감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으로는 폭 넓은 감정 표현, 정겨운 가족 분위기, 갈등해소, 서로에 대한 이해심, 인간에 대한 신뢰감, 가족의 공평성, 공동체 의식은 ‘대체로 그렇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의 안정감은 ‘대체로 그렇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보상담자의 원가족의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은 자율성과 친밀감 모두에서 ‘대체로 그렇다’가 많이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상담자들은 대체로 원가족의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자기자각을 하고 있었다. 셋째,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자율성과 상담성과 간의 상관관계는 ‘표현의 명확성’, ‘분리와 상실의 수용’, ‘자기 결정’은 ‘내담자의 타인에 대한 이해’가 높게 나타났으며, ‘책임감’, ‘다른 가족원에 대한 개방성’, ‘하위체계 간 독립성’은 ‘내담자의 대인관계에서의 자기자각’이 높게 나타났고, ‘다른 가족원에 대한 존중감’은 ‘상담자의 상담 만족도’가 높았고, ‘경제적인 독립’은 ‘내담자의 대인관계 개선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친밀감과 상담성과 간의 상관관계는 ‘폭 넓은 감정표현’, ‘정겨운 가족 분위기’, ‘갈등해소’, ‘서로에 대한 이해심’, ‘공동체 의식’ 은 ‘내담자의 대인 관계에서의 자기자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간에 대한 신뢰감’은 ‘내담자의 타인에 대한 이해’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의 안전감’에 있어서는 상관관계를 보인 항목이 없었으며, ‘가족의 공평성’에 있어서는 ‘내담자의 대인관계 개선정도’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보상담자의 원가족 경험에 대한 자기자각 중 자율성과 친밀감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상담성과보다 상담자가 생각하는 내담자의 상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원가족의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자기자각을 하고 있는 초보상담자들은 내담자들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담자의 상담성과보다 내담자의 상담성과가 높다는 것은 원가족 경험에 대한 충분한 자기자각 없이 상담에 임한다면 상담자 자신의 상담성과를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보상담자가 상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가족 경험에 대한 문제 상황을 충분히 인식하고 분석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는 자기자각이 요구되며 그러기 위해서는 슈퍼바이저나 숙련된 상담자에게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슈퍼비전이 요구 된다고 하겠다.

      •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강성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려고 시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초보상담자의 마음챙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과정에서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마음챙김은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이다. 연구대상은 상담 경력 3년 이하의 초보상담자로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2020년 1월 2일부터 2020년 3월 5일까지 10주에 걸쳐 주 1회 120분씩, 총 8회기의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로는 Lee 등(2007)이 개발하고 Yu(2007)가 수정한 한국판 상담자 소진 척도와 박성현(2006)이 개발한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사전검사에 맨 휘트니 유 검정을 시행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비모수검증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실험집단의 상담자 소진과 마음챙김 수준의 변화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는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후, 상담자 소진을 검사한 결과 실험집단은 상담자 소진 전체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z=-2.38, p<.05), 통제집단은 상담자 소진 전체의 사전·사후 점수 간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는 초보상담자의 마음챙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후, 마음챙김의 정도를 검사한 결과 실험집단은 마음챙김 전체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z=-2.52, p<.05), 통제집단은 마음챙김 전체의 사전·사후 점수 간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 과정에서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마음챙김은 질적인 변화를 보였다. 연구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창조적인 예술활동을 통해 자기를 새로이 인식하고 수용하며 심리적 안녕감에 도달했고 마음챙김 수준도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인지적 활동 위주의 초보상담자 집단에 직관적이고 감각적이며 은유적인 접근을 통하여 인지와 정서, 감각을 통합하고 심신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책을 제공한다는 점을 검증하였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impacts on the burnout and mindfulness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There are three ke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s follow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on the burnout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on the mindfulness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Third, what are the change of them, the burnout and mindfulness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in the process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8 experimental group and 8 control group as beginners in counseling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The experimental groups had total 8 lessons of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for 120 minutes per a lesson once a week starting from 2 January 2020 to 5 March 2020 while the control didn’t have anything. As methods of pre-post, we used Korean Counselor Burnout Inventory scale which was validated in Korean counselors by Yu(2007), producted by Lee et al.(2007), and Mindfulness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Park, Sung Hyu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we also tested Mann-whitney U to identify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program began. After the program, to compare and analyzed the effect of pre and pos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Moreover, we analyzed the session to see the change process of the burnout and mindful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statistically shows meaningful changes in the burnout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Before and af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counselor's burnout showed that the follow-up score of the entire counselor's burnout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ior score (z=-2.38, p<).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entire counselor's burnout. Second,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statistically shows meaningful changes in the mindfulness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Before and after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mindfulness showed that the follow-up score of the entire mindfulnes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ior score (z=-2.52, p<.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the entire counselor's burnout. Third, there were qualitative changes on the burnout and mindfulness of the beginners in counseling. during the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participants newly recognized and embraced themselves through creative art activities, reached a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level of mindfulness also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has verified that group expressive arts psychotherapy provides a measure to integrate recognition, emotion, and sense through an intuitive, sensual, and metaphorical approach to a group of beginner counselors focused on cognitive activities and to manage the mind and body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