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강병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강 병 숙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는 전국 10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 교육대학원이 당면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 10개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71명이 응답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교육대학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만족도,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관련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후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분산분석(ANOVA)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원 입학 동기 관련 설문에서는 ‘전문성 신장’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대학원 선택 시, 우선 순위를 지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경기권은 ‘학교와 교수의 명성’을, 경상권은 ‘거주지와의 거리’를, 강원․전라․충청권은 ‘졸업 대학교의 대학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둘째, 대학원 교육과정 교과목에 대한 설문에서는 ‘강의 내용의 이해도’ 문항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현장 교사와의 팀티칭이나 특강’, ‘강의 내용에서 새로운 이론과 동향 소개’ 문항의 만족도가 낮았다. 이는 대학원에 바라는 점과 관련한 설문에서도 ‘현장과 연계한 교육과정 개설’ 및 ‘새로운 이론 소개’에 대한 응답이 높은 것으로 보아 현직 교사인 대학원생들이 학교 현장에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인 교수학습방법 개선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 및 심사 관련 설문에서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 문항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논문과 관련하여 학교와 학과 차원에서의 안내 및 세미나, 특강’ 문항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대학원 입학 전과 입학 후, 대학원생의 음악적 역량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전통적 교수방법’, ‘새로운 교수방법’, ‘전통 음악이론’, ‘국악 실기’ 교과목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가 대학원과정을 통하여 음악 관련 내용의 이해도가 더욱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도움이 되었던 교과목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합창지도법’, ‘국악실기’, ‘국악교수법’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다섯째, 대학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 작성 관련 설문에서는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은 어려웠지만 새로운 도전과 성취감의 획득’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졸업 후 대학원과 연계를 유지하고 싶은 방법으로는 ‘워크숍, 학회, 특강 참여’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학원에서는 졸업생에게도 워크숍, 학회, 특강 참여의 적극적인 안내가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핵심어> 대학원 교육과정, 실태, 초등음악교육, 설문조사

      • 검정교과서 웹사이트의 초등 음악 5~6학년군 기악활동 멀티미디어 비교 분석

        임상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engineering and the development of web material sites and multimedia,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which were not found in existing music education, have become widely used in the field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provide good instrumental model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handling many musical instrument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at provide smooth instrumental activities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reading without guidance from teachers' cla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more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than teacher guides,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ntent analysis of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videos. Musical activities that require demonstration have a lot of instrumental activities, but the number of instruments varies, and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takes more time than singing. In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the type and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have increased, and multimedia is being used a lot due to the burden of modeling instrumental activitie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developmental directions to improve instrumental performance modeling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in elementary music authorized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strumental activities among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provided on the 2015 5th to 6th grade music authorized textbook websites. Prior to comparing the full-scale instrumental activities in the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the necessity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was examined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guide and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and the differences in the path and composition of each authorized textbook websites. In addition, as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all instruments appearing in authorized textbooks, recorders and danso were selected by identifying instruments appearing in six authorized textbooks for multimedia analysis for each instrumental activities instrument. A framework for musical instrumental multimedia analysis was prepar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on recorders and danso playing instruction. Multimedia was analyzed in two categories: the standard reference frame of the overall explanation of the instrument and the standard reference frame of exemplary performance for the instrumental songs for each authorized textbook. Six textbooks by multimedia features based on two reference frame of the multimedia, then comparing and analyzing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overall description of recorder and Danso's instruments, images+texts were presented in all six authorized textbooks, and image+text+sound multimedia or flash animation multimedia were not all provided, but were provided differently for each. Second, in the video of the correct posture and main method of the recorder and danso (in the case of danso, sound making, fingering method), mirror modes that change left and right were not provided in all six textbooks. The difference was that there were cases where the video demonstrator was elementary 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more authorized textbooks with voice actor dubbing in the video. Third, the content and playback time of the video were different for each authorized textbook, and the types of videos of recorders and danso were different. Fourth, the form of the animation scores varies from textbook to textbook. Fifth, most of the colors displayed on the animation score were red. There was one authorized textbook displayed in various colors. Sixth, the preparatory beats marking of the animation score was also different for each authorized textbook and instruments. Seventh,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pitch name indication for each authorized textbook. For the effective use of multimedia to guide instrumental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o teach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activities. First, in authorized textbooks that do not have performance modeling video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produce video materials, and improve the introduction of mirror mode in video materials, modeling performers, and voice dubbing of the voice actors. Second, there should be more dynamic multimedia such as flash animation or animation score than static multimedia such as image+text, or image+text+sound. Third, animation scores also need improvements. The animation score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the ability to display colors, pitch names, and preparatory beats for each instrument. Fourth, there are few multimedia that introduces musical instruments or presents instrument structures, so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multimedia on instrumental introduction or structure in authorized textbooks websites. 음악교육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웹 자료 사이트 및 멀티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초등음악교육에는 기존의 음악교육에서 볼 수 없었던 멀티미디어 교수자료가 현장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는 많은 악기를 다루기 힘든 초등 교사에게는 좋은 기악 모델링을 제공하며, 독보를 힘들어하는 학생들에게는 교사들의 수업시간의 별도 안내 없이 원활한 기악활동을 제공해주는 시청각자료이다. 초등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보다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많이 쓰고 있지만,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시범을 보여야 하는 음악활동은 기악활동이 많으나, 악기 수가 다양하다는 점과 함께 가창활동에 비해 악기연주는 연습시간이 많이 걸린다. 교육과정의 변화에서 악기의 종류와 수는 늘어났으며, 초등교사들의 기악활동 모델링에 대한 부담감으로 멀티미디어의 사용을 많이 하고 있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5~6학년군 음악 검정교과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중 기악활동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등 음악 검정교과서 멀티미디어 교수자료의 기악 연주 모델링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격적인 기악활동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비교하기 앞서 교사용 지도서와 멀티미디어 교수자료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교수자료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각 검정교과서 웹사이트의 경로와 구성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검정교과서에 등장하는 모든 악기를 분석하기에 한계가 있어 기악활동 악기별 멀티미디어 분석을 위해 6종 검정교과서에서 등장하는 악기를 파악하여, 리코더와 단소를 선정하였다. 리코더와 단소 지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악기 멀티미디어 분석 기준틀을 마련하였다. 검정교과서별로 악기 전반적인 설명에 대한 기준틀과 연주곡에 대한 모범연주 기준틀 2가지로 멀티미디어를 분석하였다. 6종 검정교과서별 2가지 기준틀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파악한 후, 검정교과서 멀티미디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코더와 단소의 악기 전반적인 설명에서 이미지+글은 6종 모든 검정교과서에서 제시되었으며, 이미지+글+음원 멀티미디어 또는 플래시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는 모두 제공되지 않고 검정교과서마다 다르게 제공되었다. 둘째, 리코더와 단소의 바른 자세 및 주법(단소의 경우 소리내기, 운지법)동영상에서 공통점으로는 6종 검정교과서 모두 좌우가 바뀌는 거울모드는 제공되지 않았다. 차이점으로는 동영상 시범연주자가 초등학생이거나 중고등학생인 경우가 있으며, 동영상에 성우 목소리 더빙이 있는 검정교과서가 더 많았다. 셋째, 검정교과서마다 동영상의 내용 및 재생시간이 다르며, 리코더와 단소의 동영상 종류가 달랐다. 넷째, 애니메이션 악보의 형태는 검정교과서마다 다르다. 다섯째, 애니메이션 악보에 표시되는 색은 대부분 빨간색이었고, 다양한 색으로 표시되는 검정교과서는 한 곳이었다. 여섯째, 애니메이션 악보의 예비박 표시에서도 검정교과서와 악기마다 각각 달랐다. 일곱째, 검정교과서마다 음이름 표시에도 차이가 있다. 다양한 악기를 가르쳐야 하는 초등 교사들의 기악활동 지도를 위한 멀티미디어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기악활동 멀티미디어 발전 사항을 제언해 볼 수 있다. 첫째, 연주 모델링 동영상 자료가 없는 검정교과서에서는 동영상 자료를 제작할 필요가 있고, 동영상 자료에서의 거울모드의 도입, 모델링하는 연주자, 성우의 목소리 더빙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이미지+글, 또는 이미지+글+음원과 같은 정적인 멀티미디어보다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나 애니메이션 악보와 같은 동적인 멀티미디어가 더욱 많아져야 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악보에도 개선점이 필요하다. 애니메이션 악보에 악기별 색깔표시, 음이름과 예비박을 볼 수 있는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넷째, 악기 소개나 악기 구조를 제시하는 멀티미디어는 거의 없으므로 검정교과서에서 악기 소개나 구조에 관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겠다.

      • 음악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가창 지도방안 연구

        정혜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Sing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Singing is an act of using the voice, an instrument that everyone has naturally, and is a musical activity that students can feel most familiar and start naturally. In addition, you can easily express your thoughts and emotions, understand and express the lyrics of the song, have aesthetic experiences, and naturally acquire various musical concepts in the process of making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into sound. Play also continues to be emphasized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Not only does play continue to appear in the 2015 and 2022 national curriculum, bu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play is being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Play is the basis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verbal development. In particular, play in music education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t can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music classes, make students learn music concepts effectually, and provide music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stage. Therefore, in this study, teaching method of singing class for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using play was set as a research topic.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y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lay. Next,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inging education, we explored the importance of sing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and looked in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learners related to singing.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ing and play was considered, and the reason for using play in the singing area was explained. Prior to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 that can be used in the singing area,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singing and playing are treated as important, and in particular, play has appeared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indicating that its importance continues.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contents related to singing in the curriculum, singing guided by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could b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stages: 1) learning the basic functions of singing, 2) singing using musical characteristics, and 3) interpreting and expressing songs on their own. In textbook analysis, singing-related activities were first extracted from each textbook, and then organized and analyzed in three steps as above. Finally, as a result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singing classes using music play were summarized based on various theories about play and singing. Next, the types of pla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hree singing stages derived through curriculum analysis, and music plays suitable for each were presented. When presenting play, it was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by presenting goals to be reached through play, related music concepts, play methods, illustrations or work sheet, and points to note when playing.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singing and play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was confirmed, and implications were prepared that it suggested ways to use play in singing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provide singing education through play in the field,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how to use play for music education.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가창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가창은 모든 사람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악기인 목소리를 활용하는 행위로, 학생들이 가장 친숙하게 느끼고 자연스럽게 시작할 수 있는 음악 활동이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노랫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고, 음악 요소와 개념을 실음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여러 음악 개념을 습득할 수 있다. 놀이 역시 초등음악교육에서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놀이는 2015 및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놀이는 지적 발달을 위한 기초가 되며, 아동의 신체 및 정서, 언어,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음악교육에서의 놀이는 음악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게 하며, 총체적인 음악 체험을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음악교육을 할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가창 지도방안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놀이의 특성 및 유형, 그리고 놀이가 갖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가창 교육에 대해 살펴보며 가창이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갖는 중요성을 탐색하였고, 가창과 관련된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가창과 놀이의 관련성에 대해 고찰하여 놀이를 가창 영역에 활용하고자 하는 까닭을 설명하였다. 가창 영역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를 개발하기에 앞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먼저 진행하여 음악놀이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가창과 놀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고, 특히 놀이는 2022 교육과정에도 등장함으로써 그 중요성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가창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지도하는 가창은 크게 1) 노래의 기초 기능 익히기, 2) 음악적 특징을 살려 노래 부르기, 3) 스스로 노래를 해석하고 표현하기의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에서는 각 교과서에서 가창 관련 활동을 먼저 추출한 후, 위와 같은 3단계로 나누어 정리 및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놀이와 가창에 관한 여러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놀이를 활용한 가창 수업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한 3가지 가창 단계를 기준으로 놀이 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에 알맞은 음악놀이를 제시하였다. 놀이를 제시할 때에는 놀이를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 관련 음악 개념, 놀이 방법, 삽화 또는 활동지, 놀이 시 유의할 점 등을 함께 제시하여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음악교육에서 가창과 놀이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놀이를 가창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가 현장에서 놀이를 통한 가창 교육을 실시하는 데 보탬이 되고, 나아가 놀이를 음악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초등음악교육에서의 활동별 협동학습 적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박경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활동 중심의 음악교육은 실제 수업에서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네 가지 수업 형태로 실시되고 있으나, 학습자들의 음악활동에 대한 현저한 개인차로 인하여 음악 수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초등음악교육은 기초적인 음악적 능력을 길러 음악을 즐기고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중점을 두므로 기능 부족으로 인한 소극적 참여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고학년에서 그러한 현상이 더욱 우려되기 때문에 협동학습을 통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 해결을 위하여 먼저 협동학습과 관련된 선행 논문을 살펴보았다. 모형별로 협동학습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구안한 경우와 활동의 한 영역에 제한하여 집중 연구된 경우로 나눌 수 있었으며 주로 4, 6학년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각 활동별로 적합한 모형 및 구조를 찾아 5학년에 적용해 보아야겠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협동학습 적용에 앞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협동학습의 개념 및 장점, 기본 원리 등을 먼저 살펴보고 초등학교에서의 협동학습의 필요성을 첫째, 지식기반사회의 학습 전략 측면에서, 둘째, 학습 심리 및 수업 방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높은 수준의 사고 능력, 의사 소통 능력 그리고 사회적 기술을 갖춘 인물을 요구하므로 학습 전략에서 협동, 경쟁 그리고 개인의 특성을 살리는 협동학습 전략이 가장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필수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협동학습을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해 3~6학년 어린이들의 인지 발달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5, 6학년 어린이들은 집단에 소속하려는 욕구가 강해 집단 속에서의 협동이 잘 이루어지며 화음 감지력이 향상되고 그 이해가 크게 증진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음악 학습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으며 5학년 음악과 교육 과정의 내용 및 제재를 분석하고 적용할 제재를 알아보았다. 음악과에서 협동학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음악과 수업을 위하여 특별히 개발된 모형은 아니므로 협동학습의 여러 모형 및 협동학습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과 협동학습을 위하여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의 모형을 참고하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과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그 다음으로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과 교수ㆍ학습 전략을 계획하고 모형별 음악과 적용 내용을 살펴보았다. 각 활동별 음악과 협동학습 지도안 구안에 있어서는 먼저 활동별 교수ㆍ학습 전략을 계획하고 거기에 따른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활동에 따라 알맞은 모형 및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학습 진행에 필요한 자료들도 함께 제시하였다. 음악과 학습에서의 협동학습 적용은 음악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하며 정서 순화와 함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협동학습이 충분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학습 환경 조성과 교사의 사전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파악하고 협동학습의 효과를 최대화시켜 각기 다른 수준의 학습자 모두에게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ㆍ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 초등 교사를 위한 음악과 직무연수의 실태 분석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육의 성패는 다른 무엇보다도 가르치는 교사의 자질에 달려있으며, 우수한 교원의 양성과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계속적인 연수를 통해서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 특히, 음악 교과에서는 교사 개인의 심성과 음악적 체험 및 지도 방법에 대한 전문성의 여부가 음악 수업의 성공을 좌우하기 때문에 초등 교사들의 음악과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며 이러한 음악과 교사 연수가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초등 음악 교과의 목적과 학교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수체제가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자가 그 동안의 음악과 연수를 받아본 결과, 연수의 내용이나 방법들이 과거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지 않는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연수들이 많았다. 또한 교과전담제 실시 이후에도 대다수의 학교에서 음악 교과 전담교사의 부족으로 인해 음악 교육이 일반 담임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또 한 번 음악과 교사의 자질과 음악과 교사의 재교육의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초등 음악과 교사 연수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며, 연수가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먼저 지금까지의 연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연수 체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수 중, 서울시 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직무연수에 관한 현장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연수체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초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원 연수의 개념 및 필요성, 교원 연수 제도의 형태, 교원 연수기관 및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초등 음악과 교육의 특징 및 당위성과 음악 교사의 자질과 역할, 초등 음악과 교사 연수의 필요성 및 연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교사 음악과 연수에 대한 분석의 기초로 2008년부터 2011년 9월까지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과 특수 분야 연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의 초등 교사 음악과 직무연수 자료를 통하여 음악과 직무연수의 현황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초등 음악과 연수의 필요성 및 연수의 실태를 파악하고 연수의 체제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직무연수의 효율적인 운영과 방향제시를 위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분석결과 교사들은 음악과연수를 직무연수 형태로 교육청협력학교에서 방학중 집중이수제로 30시간 2학점으로 2년에 한 번씩 연수를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한다. 서울시의 경우 연수과정이 계속 심화되고 있는데 기초와 심화연수로 구분하고, 심화는 영역별로 세분화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여 연수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보다 많은 교사들의 연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수 교육내용 및 연수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연수기관의 교육과정 분석결과 연수의 내용이 교사의 음악의 이해 및 활동 영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수업에 필요한 교과내용분석, 학습전략,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 음악과 평가, 발문 등에 대한 부분이 보강되어야하며, 연수방법도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현장체험의 시수를 늘리고 시연수업, 사이버 연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수업에의 적용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특수 분야 연수기관과 강사의 질적 관리가 필요하다. 특수 분야 연수기관은 실기위주에서 벗어나 지도법과 수업에의 적용을 염두에 둔 프로그램의 구성을 늘리고 기관의 양보다는 내용의 질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우수한 강사의 질적인 관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한다. 다섯째, 프로슈머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을 지역교육청 중심으로 배치하여 초등 음악 교과의 연구자료, 정보 등을 얻고 실기연수도 받을 수 있도록 소규모 연수기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교장, 교감,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연수를 확대하여 초등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학교의 음악적 환경을 개선하여 음악과 연수가 현장에서 많이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초등 음악과 연수는 현장의 교사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수준별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현장에서 연수의 내용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연수의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음악 교과 전담교사로 활용하여 음악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수가 지속적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이루어질 때 초등 교사들이 좋은 연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초등 음악 교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전인적인 인간육성을 목표로 하는 초등학교의 음악교육의 목적을 달성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 유치원과 연계한 초등학교 1, 2학년 음악 감상 학습 지도 방안

        민영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이행을 경험하는 아동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하여 성공적인 학습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연계 교육이 무엇보다도 잘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인지적․언어적․신체적․정서적․발달적 측면에서 연계되는 요소가 많음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연계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 교육의 연계성은 학생들의 계속적인 음악성장 발달을 돕고 교육과정에도 경제성을 보장하여 궁극적으로 공교육의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아동들이 가졌던 음악적 경험들은 그 경험 자체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그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이 되었을 때 이전의 경험들과 그 경험들을 통해 갖추어진 능력을 바탕으로 어떤 형태의 음악 체험을 하게 될 것인가에 따라 그 이후의 음악적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음악이 ‘즐거운 생활’이라는 교과로 통합되어 있어 음악의 본질적인 요소를 탐구하는 활동이 자칫 소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음악적 성장과 심미적 태도를 위한 감상 활동을 위해서는 교육의 연계성이 고려된 교육과정의 모색 및 지도방안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 감상 활동의 연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1, 2학년 현행 2007 개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감상 제재곡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유치원에서 제시된 감상 곡목은 총 34곡이고, 초등학교 1, 2학년 감상곡은 모두 11곡이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 중 공통 감상 곡목은 단 한 곡에 불과하며 초등학교에서 제시된 감상곡은 유치원과 비교하여 볼 때 수와 다양성 면에서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감상 활동이 3번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상곡 선정을 위해 본 연구자는 교육과정 분석의 범위를 확대하여 제5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감상곡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즐거운 생활’ 교과가 도입된 시기인 제 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행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공통 감상곡을 고찰한 후, 공통으로 수록된 감상곡 10곡의 학습 목표 및 중점 지도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들 10곡의 감상 제재곡 중 통합교과의 특성을 고려해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초등학교의 ‘대 주제 및 활동 주제’와의 연계성을 살릴 수 있는 6곡의 공통곡목과 6곡을 추가곡을 선정 재구성하였으며, 재구성한 이유는 두 학교 급별간에 중복은 물론 유치원에서 학습한 내용이 배경지식이 되어 초등학교 때 내용이 더해짐으로써 심화 확대 되는 연계적인 학습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감상 학습 지도를 위해서는 왕성한 활동력으로 주변의 사물과 현상을 흡수하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발달 특징 및 ‘놀이와 활동 중심’의 통합 교과인 즐거운 생활과의 성격을 고려하여 감상 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경험할 음악적 활동으로는 음악의 수용 및 반응, 몸의 움직임으로 감상하기, 시각적 감각으로 감상하기, 주제가락 익히기,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 감상곡과 관련된 창의적 표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감상 학습 지도 내용은 인지적인 학습보다는 감각적으로 경험하는데 의의를 두어, 실제의 경험과 연관시켜 연상하거나 상상하고, 흉내 내기 등 직접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음악적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표현적 특징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음악을 통한 바람직한 감상학습은 다양한 음악과 좋은 음악을 들음으로써 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음악적 기호 형성의 중요한 시기이므로 다채로운 음악 감상 학습을 통하여 풍부한 음악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치원 감상 활동과의 연계성을 통해 비추어 보면 초등학교 1, 2학년의 감상활동이 축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음악을 이용한 감상 활동 영역을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감상곡 선정 및 지도를 위한 자료가 보급되어야 하며, 물리적 환경 또한 아동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청각 지각력은 9세에 정점에 이를 만큼 유아기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는 음악 교육의 성패에 있어 결정적인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아동들을 다양한 종류의 음악에 광범위하게 노출시켜야 하며, 교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음악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음악 감상의 폭을 넓히고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성장 발달의 계속성과 교육과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교육의 연계성을 고려한 이 시기의 음악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군산시 초등학교 음악실 및 음악전담교사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유소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군산시의 초등학교 음악실 및 음악전담교사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교육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첫째, 음악교육 환경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시행하고, 둘째, 군산시 초등학교 58개의 음악실 및 음악전담교사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셋째, 경력 5년 이상의 2개 이상의 학교에서 근무한 초등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군산시 현황 조사 결과 음악실과 음악 전담교사 보유율은 절반도 되지 않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군산시는 시 지역 임에도 불구하고 읍·면·특수지역과 비슷한 분포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적정 학교 비율이 높은 지역에 비해 환경적 요소가 미흡하게 갖춰져 있었다.심층 면담을 통해 음악실의 여부에 따라 수업내용 구성 및 자료 활용에 있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음악전담 교사의 유무는 시범과 다양한 수업 방식 측면에서 교수법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악 환경 조성은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과 음악 활동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학생 반응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실 및 음악전담 교사의 유무는 교과 운영실태와 관련이 있으며 음악수업 내용 충실도와 수업 시수 면에 차이를 가져왔다.교육환경의 조성은 음악교육에 선행되어야 할 필수적 요소이며 초등 음악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실 구비, 음악 전담교사 의무 배정, 실제적인 교사대상 음악 연수, 음악 교과의 위상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한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나혜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은 직업 세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고정된 평생직장의 의미는 사라지고 평생에 걸쳐 여러 직업을 경험하는 것이 이 시대의 숙명적인 과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기획하고 시행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진로교육을 장려하고자 매년 진로교육 기반 학교 교육과정을 수립하며 개별 학교 수준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직업의 세계에 대한 경험을 폭넓게 제공하기 위해 창의적 체험 활동 속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과교육과 연계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유동적인 직업 세계에서 유연함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으로 진로탄력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 개념을 학교 현장, 그 중에서도 초등음악교육에 접목시켜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탄력성과 초등 진로교육, 초등 음악교육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개념 접목의 당위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법, 원리를 명시하였고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절차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음악교육에서의 진로탄력성을 새로이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음악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음악 활동에 이 개념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고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 초등 음악교육은 진로탄력성 신장을 돕는 학습 요소들이 많으며, 그 상관관계가 분명함을 밝힘으로써 연구의 실제 활용도가 높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재구성 원리 중 학생 주도형 평가 계획 수립의 원리를 부각시켜 교사와 학생 두 교육 주체 모두 음악교육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 주도형으로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해당 원리를 통해 수업을 만들고 진행하고 사후 처리 과정까지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냄으로써 진로탄력성을 신장 시킬 수 있는 도구로 음악교육이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개발에 음악교육의 영역과 기능들이 최대한 균등하게 담고자 하였다. 개발에 앞서 진로탄력성의 주요 영역들을 5가지 하위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한 후 해당 프로그램에 맞는 영역을 조화롭게 배치하였다. 이는 한 영역만으로 진로탄력성을 신장시키기에는 부족할 것을 고려하여 5가지 하위 요인에 맞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음악의 다양한 활동 요소가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해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먼저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관심을 갖고, 음악교육과 진로교육을 연계한 재구성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나아가 진로탄력성 신장을 위해 음악교육 뿐 아니라 타 교과교육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탄력성과 음악교과만의 결합이 아닌 타 교과와의 통합적, 학제적 측면에서의 연구도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변화하는 직업 세계의 흐름에 자연스럽게 적응하고 대처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며, 이를 위해 교사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른 소리 교육 연구 : 사운드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옥중기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소리는 우리 주위에 항상 존재한다. 소리를 인식하고 음악적으로 받아들일 때 학생들은 삶과 음악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소리를 학습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소리 교육은 음악 교육의 확장에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소리 교육을 교육과정에 적용하고자 하는 논의는 있었지만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소리 교육을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음악생태학의 실천인 사운드스케이프를 초등학생들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 이론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초등학생 학년군에 따른 인지적, 음악적 발달 단계를 정리하였다. 그다음 기존의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소리 교육의 교육과정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음악 감상 단계 및 유형을 참고한 뒤 사운드스케이프 5-step 수업 모델을 재구성하여 초등학생 발달 단계에 따른 소리 교육과정을 준비, 시작, 발전의 3단계로 구안하였다. 초등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1~2학년군의 소리 교육은 ‘준비 단계’로 설정하였으며 3~4학년군의 소리 교육은 ‘시작 단계’, 5~6학년군의 소리 교육은 ‘발전 단계’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 앞서 분석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발달단계에 따른 소리교육의 과정에 근거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사운드스케이프가 초등교육현장에 체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삶과 음악을 밀접하게 연결하고 음악을 폭넓은 관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