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 '가정생활'영역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허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실생활, 노작활동, 통합이라는 실과 고유의 특성이 결합된 직접적 실천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가정생활’영역의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개념, 성격, 교육방향에 대한 문헌을 탐색하여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의 기초를 마련하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교육목표 설정, 학습내용 선정, 학습내용 조직, 수업목표의 진술, 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등의 순서로 선정된 개발 모형에 따라 준비 단계, 개발 단계, 개선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수정․보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와 전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대한 2차 전문가 검토를 거쳐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에 교육 내용에 터한 다문화 실과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은 1차원(X축)은 다문화교육 내용요소로 접근, 2차원(Y축)은 실과교육내용 영역인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로 접근, 3차원(Z축)은 다문화교육 목표로 지식, 기능, 가치․태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모형 및 다문화 교육 중심 교육의 개발 모형을 탐색하여 실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개발한 이상갑(2001)의 기술교과 주제 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선정하여 준비단계, 개발단계, 개선단계로 구성하였다. 둘째,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주제 선정,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 교사에 대한 조사 연구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을 교육할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실과교육을 운영하는 지도 교사를 위한 자료로 교사용 참고 자료로 5개 영역을 바탕으로 17차시의 학습내용의 개요를 제시하여 프로그램의 개관, 활동 내용, 전개 계획, 평가 계획, 차시별 수업과정안(개요)등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수업지도안과 학습지 및 평가도구, 기타 참고자료를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가정생활’영역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다문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소양을 함양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김남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동질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실험 설계 시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우선, 두 집단을 대상으로 환경소양을 측정하는 사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후, 8차시 동안 실험집단에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과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실과 수업을 진행하고, 환경소양 측정을 위한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실험집단에 적용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은 최지연(2012a)에 의하여 개발된 적정기술 기반 녹색기술 프로그램에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및 환경소양 관련 내용을 반영 후 수정한 프로그램이다. 실험 투입 전에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타당도 점검을 받았고,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수정하였다. 일반적인 실과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실과 교과서 내용 중 가정 및 기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내용을 위주로 진행되었다.검사 도구로는 환경부, 한국교원대학교 산학협력단(2019)에 의하여 개발된 초등학생용 환경소양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측정 도구는 개발 과정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하위 영역은 환경 지식, 환경 정서, 환경 실천 총 3가지가 있으며, 문항은 영역별로 8문항, 10문항, 10문항,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 형식은 환경 지식 8문항은 선다형이며, 환경 정서 및 환경 지식 20문항은 리커트 척도 5단계이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집단별로 다른 수업을 받은 후 실시한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서도 t-검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집단별로 각각 대응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t-검정을 시행하기 전 정규성 검증을 진행하였다.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첫째,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 함양에 도움이 된다.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투입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환경소양 측정 사후 검사 결과가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보다 더 우수하였고, 환경소양의 향상 정도 역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았다. 통계적인 검정 외 학생들의 생활 모습 변화 역시 위의 결론을 뒷받침하였다. 둘째, 적정기술은 초등학교 실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소재로서 가치가 있다. 학생들은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에 참여하면서 실과의 모학문인 가정과 기술 모두와 관련 있는 적정기술 학습 활동을 경험하였고, 첨단 기술의 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천적 문제 해결과 실천적 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하고 건강한 가정생활과 창조적인 기술의 세계를 주도적으로 영위하기’라는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목표에 더욱 가까워졌다.셋째, 적정기술 관련 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데 유용하다.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삶에서의 환경 관련 문제를 다루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정기술 관련 문제 해결 활동을 실천하였다. 본인의 삶과 밀접한 내용이 수업에 등장하다 보니 학생들은 수업 내용과 활동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적정기술 관련 활동에 학생들이 선호하는 만들기 및 조작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역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다.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뿐 아니라 초등학교 다른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도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 적용 관련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적정기술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환경소양 외 다른 어떠한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과 생활자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11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사회의 모습이 급변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공지능 교육은 학생이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역량을 기르기에 필수적이며, 이에 세계 각국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여러 교과에 활용한 연구 및 프로그램들이 발표되고 있다. 자기조절력은 목표 달성을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 평가하는 능력으로, 학생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학업 성취도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능력이다. 이러한 자기조절력의 향상은 시간, 용돈 관리 방법을 배우고 실천하는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생활자원 관리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실과 교육과정의 생활자원 관리와 연관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 및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과 생활자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과 생활자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PDIE 모형의 준비,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준비 단계에서는 선행 연구분석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기준을 탐색하여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차시별 수업 목표와 활동, 적용할 인공지능 내용 요소를 선정하고 교수·학습과정안과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수원시 H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로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는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개발·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자료 분석 및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총 13차시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과 생활자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6주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후로 실시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과 생활자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실과 생활자원 교육 및 인공지능 교육에 적용되어 초등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transforming various sectors of society, inclu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essential for cultivating students' abilit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ctively pursuing related policies. Furthermore, Research and programs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various subjects are being presented. Self-regulation is the ability to plan, implement, and evaluate actions to achieve goals, and it is a crucial skill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students' peer relationships, school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 enhancement of such self-regulation skills is closely related to the area of life resource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where students learn and practice methods of time and money management. However, research and program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life resource management are currently lack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actical arts and lif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skills. To achieve this, I plan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examining the influence it has on students' self-regulation skills and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actical arts and lif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llowing the PDIE model's four stages: Preparatio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n the preparation stage, program objectives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 elements were extracted by exploring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standards. In the development stage, I selected lesson objectives, activities,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 elements to be applied in each sess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I develop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s well as activity guides. Additionally, I validated the program's validity through an expert group.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applied to 5th-grade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Suwon. Prior to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skills. In the evaluation stag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nd implemented educational program was valida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and expert validation, we developed a total of 13 sessions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actical arts and lif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over a period of six weeks.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it was observ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actical arts and life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self-regulation skills.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t is designed for the integration of practical and life resources education alo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최청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at giving proof that helps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system accomplish as the effects are turned out experimentally. This research helps the awareness of environment and the creativity improvement needed in 21st century, at the same time. Two classes of the six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in Dae-gu have been selected in order to be experimented. One was chosen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was done as a comparative group. The creative-problem-solving learning-model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For four classes of the sixth grades,'chapter 8: Making with recycled materials' was proceeded as the content. Then, tests about the way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reativity were carried out twice. After that, the results of pre and after-test in the comparative and experiment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t-test method.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e way of the environmental awareness, the mean was 98.33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it was 119.93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was 21.60, which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Therefor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creative-problem-solving classes were applied, were improved completely, comparing to the traditional class. As a result of creativity, the mean was 19.95 in the comparative group, while it was 23.78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factor of fluency (t=2.94, p< .05). The mean was 7.70 in the comparative group while it was 10.18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factor of flexibility (t=3.52, p<.05). The mean was 23.20 in the comparative group, while it was 29.65 in the factor of individuality (t=2.96, p< .01). The mean was 50.85 in the comparative group while it was 63.60 in experimental group in total. (All were available.) Also, the most important result to consider 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creative-problem-solving classes were applied,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Follwing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follwing major observations were obtained: First, children who were educat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in a practical arts education achieved higher scores than before.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 CPS method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n children. It showed that it included lots of daily habits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it made the intention to carry out the environment-preservation stronger and children's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improved. Moreover, making with recycled materials was used to solve an environmental problem, affecting in a positive way in our life. It also made the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environment.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make positive results to children. It helped children to have mor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m. Children'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ir ideas were improved as much as possible while they were solving problems.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 model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lets children exp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creativity. Conclusion The research leads to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we need to develop the method of problem-solving creatively and make the subjects connected, which is needed to condu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ively. Second of all, it is need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and the way of studying should develop continuously to resolve the de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arry out the effective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of all, a creative problem-solving class-model is a good model to develop the creativity through a practical arts education. However development of a class model is needed to acquire the basic function, recognize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get the creativity for the future, which are all the aims, in a good balance. Fourth of all, the expansion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can't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The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due to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in a long time. Last of all, the school have to make an offer to teachers to take a training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 경험과 그 의미

        이원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 경험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 경험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통합교육과 통합학급, 실과 수업,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통합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실과 교육의 개념과 철학적 기초, 장애아동을 위한 실과 수업 연구, 내러티브 개념과 내러티브 탐구 절차 등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대화 내용은 녹음 후 전사 되었으며, 연구와 관련된 수업 자료는 수집하여 통합학급 실과 수업 경험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을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즉 통합학급 교사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실과 수업 활동과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실과 수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수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 경험은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를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장애학생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을 통해 자기 효능감의 향상, 기본생활습관 형성, 사회적 존재로의 성장을 이루었으며, 일반학생은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인간으로 성장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을 통해 학부모, 동료 교사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장애학생의 학부모는 장애학생의 성장 과정에 대한 믿음을 키웠고, 일반학생의 학부모는 장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었다. 더불어 동료 교사는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의 긍정적인 사례를 관찰하며 함께 하는 기회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지역 사회는 통합학급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진정한 통합사회를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 경험은 통합학급 교사가 긍정적인 수업 사례와 방법에 대해 연구할 기회를 준다. 더불어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에서 다양한 영역을 어떻게 수업해야 하며, 장애의 특성과 통합학급의 유형에 따른 수업 방법을 연구해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실과교과에 대한 의미와 가치가 매우 크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을 통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교사가 함께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알며, 적극적인 태도로 연구하며 발전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실과 수업을 할 수 있는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중요하다. 따라서 통합학급 실과 전문인력을 양성하거나 보조 교사를 투입하는 등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통합학급 실과 수업 경험을 통해 드러난 통합학급에서의 실과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이 연구에 덧붙여 연구자는 통합학급 실과 수업 속에서의 학생 경험을 주목하는 연구와 실질적으로 수업을 만들어보는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방법적인 측면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慶北地域 初等學校의 實科 調理實習 實態에 關한 硏究

        엄규한 大邱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경북지역 초등학교의 조리실습 환경 및 지원 실태와 초등학교 교사들의 조리실습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경북지역 초등학교의 실과 조리실습을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설문지를 통하여 경북지역 소재의 초등학교 60개교를 선정하여 교감 60명,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교사의 성별, 지도학년, 교유경력, 근무학교의 학급규모에 따라 조리실습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북지역 초등학교 조리실습 실태는 조리실과 설비 및 조리기구가 충분히 구비되지 않은 부족한 환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고, 기본적인 가열시설과 수도시설도 미비한 상태였으나 조리실습은 교사, 아동 모두 흥미와 열의를 갖고 열심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만한 조리실습을 위하여 학교의 시설 및 설비의 지원 실태가 원활하고 그 구비 정도가 아주 충분하며, 기존의 조리기구를 정상적으로 보관, 관리하여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야 정상적인 조리실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의 입장에서도 조리실습에 가장 필요한 것이 조리실과 조리시설 및 설비로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근본적인 교육시책의 시정과 관리자 및 교사들의 관심으로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지원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경북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이나 아동들은 조리단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흥미롭게 생각하고 있으나, 조리실의 미비와 조리기구의 부족 하고 조리실습에 대한 관리자의 무관심 등으로 조리실습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조리실습 지도를 위해서는 조리실을 비롯한 조리시설 및 설비와 조리기구를 마련하고, 관리자의 행 · 재정적 지원과 관심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조리실습 시간을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조리실습 전의 사전지도를 비교적 원활하게 잘하고 실습중심 수업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습 지도를 빠짐없이 하는 교사들은 적은 편이고, 교사들은 실과 교과전달 교사가 수업하길 원하나, 제도적 장치가 미비하여 대부분 담임 혼자 일반 학급의 교실에서 일제학습 형태의 조리실습 을 많이 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교과전담 교사의 필요성과 조리실이나 조리 대용실의 활용 등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생들이 실습한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해 보도록 지도하는 것 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학교 관리자의 지원을 많이 받는 경향이었고,시간 운영도 교육적으로 전개되는 현상은, 담당 교사와 관리자의 관계가 '자주 접촉하는 기회 증대' 현상으로 해석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경북지역 초등교육 현장에서는 부족한 조리실습 환경에서 조리단원의 학습지도는 교사의 의욕으로 열심히 지도하고 있었으나, 원만하게 이루어진다고는 할 수 없었고, 실과 조리실습의 바람직한 지도를 위해 교사들의 열의와 학생들의 관심에 부응할 수 있는 실습환경이 시급하게 갖추어져야 하겠다. 또한 이들을 제대로 관리 할 수 있는 실과 교과 전담교사가 있어야 할 것이며, 설습준비물에 대한 지원도 따라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학교 관리자들의 실과 조리실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고, 나아가 조리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행 · 재정적인 원활한 지원이 따라야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to activate practical cooking lesson of a practical arts subject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studying the actual environment of practical cooking lessons, how practical cooking lessons are supported by the school, and how cooking lessons are given by the school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problems thereof. For this study, 220 schoolteachers and 60 Vice Principals at 60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re survey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for executing practical cooking lessons based on the gender of teachers, grade of student he/she teaches, educational career, and the size of class. Following is the result. First, many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re lack of cooking laboratories, equipment and kitchen utensils which are necessary for normal cooking lessons. Even basic heating and water supply facilities are insufficient. Despite the poor conditions, both teachers and students take the cooking lessons with much interest and enthusiasm. In order to execute cooking lesson smoothly, adequate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and supports should be provided smoothly. There should be basic equipment for cooking, and an environment where the existing utensils c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normally should be formed. Practical cooking lesson can be executed normally, only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Sinc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for cooking laboratories, equipment and utensils, it is thought that such supports for practical cooking lesson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can be obtained by correcting the educational policy fundamentally and drawing more attention from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econdly, the survey shows that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regard the practical cooking lesson important. They are very interested in it, but they feel difficulty in taking the cooking lesson due to lack of cooking laboratories and utensils, and the indifference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refore, to execute a normal cooking lesson, kitchen facilities and utensils are required as well as cooking laboratories. Besid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attention need to be drawn from the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re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and using the practical cooking lesson properly. Preparatory instructions are given to the students sufficiently before the practical cooking class, and the practical lesson is executed properly. However, the number of teachers executing the practical cooking lesson is still small, and many teachers want there would be a teacher devoted to the practical arts subject. At some schools, teachers just give the cooking lesson in the common classroom in the form of group study. All of these are pointed as problems. Therefore, teachers specializing in practical arts, cooking laboratories and other alternative places are required desperately so that students could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classroom to the actual life. The smaller the size of school is, the more supports school administrators tend to give to the practical cooking lessons. Time is used more educationally at smaller schools. This is called a 'frequent-contact-makes-more-opportunity' phenomenon, which occurs between the teacher in charge and the administrators. Conclusively, at the elementary schools of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although teachers give lessons in the chapter of cooking enthusiastically, it cannot be said that the lesson is given smoothly. For desirable education of the practical cooking, adequate environment for giving cooking lesson should be formed urgently in response to the practical arts subject, and supports for preparatory materials. More attention from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paid to the practical lesson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Further, a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practical lesson environment.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

        김민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사가 인식한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 특성 요인에 따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교육과정 실행 수준별로 교사의 사고 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실행 연구 및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특성 요인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은 어떠한지, 교사 특성 요인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별 교사 사고의 차이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 개발을 위해 교과 관련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와 교사 사고 및 교육과정 실행 수준 관련 선행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초등교사의 일반적 배경(7문항), 교사 사고(12문항),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25문항)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44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질문지의 교사 사고 문항 신뢰도(Cronbach's α)는 .910,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 문항의 신뢰도(Cronbach's α)는 .814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회수된 400부의 질문지 중 360부를 SPSS 29.0.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에 있어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은 효과적 실행 수준의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기계적 실행, 비실행, 창의적 실행 수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특성 요인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 실과 교과 지도 경력,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지도 경력, 담당 학년, 교사 사고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에 따른 교사 집단 간 교사 사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보다 기계적 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이, 기계적 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보다 효과적 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의 교사 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이 비실행 수준의 교사 집단보다 교사 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과 교육과정 실행 4수준 중 비교적 높은 단계인 효과적 실행, 창의적 실행 수준의 교사 특성 요인 분포 결과, 교직 경력과 실과 지도 경력은 10년 이상의 교사가, 담당 학년은 실과 전담 교사 또는 5~6학년 담임교사가, 최종 학력은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낮은 비실행 수준의 교사의 요인 비율 분포 또한 실과 전담 교사와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은 효과적 실행, 창의적 실행 수준보다 비교적 낮은 단계인 비실행, 기계적 실행 수준의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많은 교사가 실과가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고 실과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적절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 특성 요인 중 성별, 실과 교과 지도 경력,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지도 경력, 담당 학년, 교사 사고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육과정 실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할 수 없는 일반적 특성 요인은 논의에서 제외하더라도 실과 교과 지도 경력, 담당 학년, 교사 사고와 같이 실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 개인의 관심과 노력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 사고 요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교사가 실과 교과에 대하여 전문적인 내용교수지식을 갖추고 실과 교과에 긍정적인 신념을 지닌다면 교사의 수준 높은 실과 교육과정의 실행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실과 교과가 현재 5,6학년군에 편제되어 있으나 모든 초등교사가 언제든 실과 교과를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의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수시로 개정되는 교육과정 이해를 위하여 실과 교육과정 내용의 안내 및 교사 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에 대한 교사 사고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변화하는 교사 특성 요인에 따라 교사의 실과 교육과정 실행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종단연구를 통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각적인 교육과정 실행 요인과 실과 교육과정 실행의 작용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 3D 프린팅을 활용한 실과 기반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영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미래의 대표적 기술로 손꼽히는 3D 프린팅 기술이 학교 현장으로 들어옴에 따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위한 시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은 3D 프린팅 활용 교육과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미래 기술로 대표되는 3D 프린팅을 활용한 물체 설계, 제작, 평가하는 일련의 교육에 적합한 실과가 중심이 되어 여러 교과 영역의 지식을 다루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을 활용한 실과 기반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3D 프린팅을 활용한 실과 기반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형태와 개발된 3D 프린팅을 활용한 실과 기반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상갑(2001)의 기술교과 주제중심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준비단계, 개발단계, 개선단계의 3단계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준비 단계에서는 이 연구의 준비를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준비 단계의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고찰, 선정한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 목표 설정, 학습 내용 선정, 주제망 작성, 학습 내용 조직, 수업 목표 진술, 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순서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한 3D 프린팅 활용 실과기반 주제중심 통합교육프로그램은 이 연구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고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여러 교과 중에서 실과를 기반으로 하고 실과의 교과 내용이 중심이 되어 타교과의 학습 내용들이 통합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실과와 통합교육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고 적용해 보는 활동이 미래 사회와 기술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력을 기르고 미래 기술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함양하기에 적절하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실과 기술 분야와 관련된 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보다 한 단계 높은 차원의 인지 발달을 도모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자기 주도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 연구를 통해 실과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미래 사회의 유망 기술인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실과를 기반으로 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이 연구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최종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를 거쳐 검증을 받았지만 실제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향후 3D 프린팅을 활용할 수 있는 실과의 다양한 다른 주제를 중심으로 한 실과 기반의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Romey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 단원 분석

        양성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실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교육은 학생들이 인류가 이룩한 기술을 중심으로 미래 시대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가장 구체화한 교수 · 학습 및 평가 자료로써 학교 현장에서 중요한 교육 수단이 된다. 실과교육에서 ‘기술의 세계’ 분야의 교육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주요 내용이 교과서에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지 내용 분석하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2015개정 실과교과서는 검정 교과서로서 국가가 민간에 교과서 저작을 맡겨 다양한 교과서들을 개발하도록 하여 교육주체의 학습 및 지도 선택권을 보장한다. 교과서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출판사 별, 단원 별 비교하여 분석해야한다. 지금까지 실과 교과서 내용 분석 관련 연구들은 특정 단원 단위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 활용의 범위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내용 분석 연구에서 내용 분석 준거를 연구자가 개발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절대적 기준에 의한 분석보다 주관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교과서의 탐구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Romey(1968)는 교과서의 내용이나 특성을 수치화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omey 기법은 실과 교과서에서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의 탐구 경향성을 수치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인 도구로 활용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Romey의 교과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을 출판사 별, 단원 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Romey 기법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 단원들의 탐구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단원별 분량 및 배치, 교과서별 Romey 지수, 단원별 Romey 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개정 실과교과서 6종의 ‘기술의 세계’ 분야로 하였다. 교과서별 ‘기술의 세계’ 분야의 단원 쪽 수,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였고 교과서별 내용 요소에 따른 단원 배치 순서와 비율 구성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별 Romey 지수 값을 얻기 위해 '기술의 세계' 분야의 본문, 그림 및 도표, 활동, 평가 질문을 각각 탐구적인 내용과 비탐구적인 내용으로 구분하여 그 비율을 바탕으로 Romey 지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단원별 Romey 지수 값을 얻기 위해 '기술의 세계' 분야를 내용요소에 따라 단원을 구분하여 Romey 지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 포함 전문가 3인의 협의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별 단원 순서 배치와 분량은 서로 상이하였으며, 교과서별 같은 내용의 단원이 차지하는 비율의 차는 최대 8.14%, 최소 3.23%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의 세계' 분야의 교과서별 Romey 지수에서 전체 본문 지수의 평균은 0.41, 그림 및 도표 지수의 평균은 2.12, 활동 지수의 평균은 0.71, 평가 질문 지수 평균은 3.83로 나타났으며, 탐구성이 적절한 교과서는 본문지수에서 3종, 그림 및 도표 지수에서 3종, 활동 지수에서 6종, 평가 질문 지수에서 1종으로 나타났다. 셋째, Romey 지수 해석에 따라 분석한 ‘기술의 세계’ 분야 내용요소별 6개 단원의 본문 지수, 그림 및 자료 지수, 활동 지수, 평가 질문 지수 값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같은 내용요소의 단원에서 교과서별 탐구 경향성의 상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같은 내용요소의 단원이라도 교과서에 따라 탐구지수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교과서 내에서도 단원별 탐구경향성의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2015 실과교과서 ‘기술의 세계’ 분야의 탐구 경향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지만 교과서 별 편차가 크고 일부 지수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탐구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과 교과서 집필진들은 탐구적 경향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적절한 탐구경향성을 지닌 교과서 개발을 위한 자체적인 지침과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 실과 성취기준별 원격수업 유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재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실과 교과를 원격수업으로 운영할 때 성취기준별로 원격수업이 어떠한 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는지를 파악하고 원격수업으로 운영할 때 내용 영역별로 필요한 개선 및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별로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에 대한 인식과 내용 영역별로 원격수업 운영 시 필요한 개선 및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 내용 영역 및 핵심 개념별로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의 차이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과 실과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수정한 질문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한 본 조사용 질문지를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총 285부를 투입하여 239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R 프로그램으로 성취기준별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내용 영역 및 핵심 개념별로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 영역별 원격수업을 위한 개선 및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워드클라우드로 표현하고 응답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도 병행하였다.이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첫째, 실과 교과의 성취기준별로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은 다르게 나타났다. 실과 교과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원격수업 유형은 대부분의 성취기준에서 과제와 콘텐츠를 함께 사용하는 수업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성취기준의 경우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와 콘텐츠, 실시간 쌍방향을 모두 함께 활용하는 수업이 가장 적합하다고 나타나기도 하였다. 원격수업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교사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실습 활동에 대한 상호작용이 반드시 필요한 실과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실과 교과를 원격수업으로 운영할 때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둘째, 실과 교과의 영역별, 핵심 개념별, 각 영역의 핵심 개념별, 성취기준별, 각 핵심 개념의 성취기준에 따라 적합한 원격수업 유형에 대한 응답 범주 간에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같은 영역 혹은 같은 핵심 개념이라도 같은 원격수업 유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기준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실과 교과를 원격수업으로 운영할 때 내용 영역과 핵심 개념, 성취기준을 모두 고려하여 원격수업 유형을 정하고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실과 교과의 내용을 반영한 콘텐츠와 키트 개발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특히 다양한 가족형태와 성적 발달 변화, 생활 소품 만들기, 엔트리 프로그래밍, 다양한 직업 인터뷰 영상 등의 내용을 다루는 콘텐츠가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하여 교육부 차원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다. 또한 식물 기르기, 생활 소품 만들기, 로봇 제작하기와 관련하여 원격수업 환경에서 실습이 가능한 키트 개발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실과 교과의 다양한 교육 내용을 반영한 양질의 콘텐츠 개발과 원격수업 시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키트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첫째, 실과 내용 영역별로 원격수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키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실과 교과의 원격수업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 원격수업 유형을 운영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경험과 인식이 반영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