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LCE 미적체험교육을 기반으로 한 시각적 문해력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화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시각 이미지의 활용과 시각적 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읽고 주체적으로 사용해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인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시각예술이 교육내용의 주가 되는 미술교과는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적극 수용하여 시각문화 학습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특히 풍부한 원작과 직접 소통하여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미술관은 시각적 이미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의미를 부여하여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각적 문해력 교육을 하는데 적합한 장소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시각적 문해력을 지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미술관과 연계하여 시각예술작품을 대상으로 ‘심미적 탐구(aesthetic inquiry)’ 과정을 통해 상상력 계발을 목표로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미국 링컨센터예술교육원(Lincoln Center Education)의 미적체험교육의 시각예술 교육 방식을 기반으로 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여 시각적 문해력 지도를 위해 LCE 미적체험교육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각적 문해력의 정의와 구성요소, LCE 미적체험교육의 학습역량과 핵심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여 시각적 문해력 교육을 위해 LCE 미적체험교육을 활용 할 수 있는 요인을 찾고 시각적 문해력 구성요소 학습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LCE의 학습역량을 선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황연주(2001b)가 제시한 시각적 문해력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 중 2015 개정 5∼6학년 미술과 교육과정과 연관된 ‘시각적 인지능력’, ‘비판적 수용능력’, ‘능동적 조형능력’을 핵심 구성요소로 선정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세부 내용과 분석 기준을 선정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고 활동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미술관 다섯 곳을 선정하여 전체 프로그램 과정에 대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전체 세 과정으로 구성되어 12주에 걸쳐 24차시의 토요 방과후 활동으로 운영되었다. 각 과정의 목적에 따라 미술관 미적체험중심수업, 탐구중심수업, 창작중심수업이 운영되어 미술관 미적체험활동, 맥락정보 탐구활동, 창작활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후 시각적 문해력의 요소별 분석 기준에 따라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의 작품을 관찰하고 소통하는 태도가 변화하였다. 학생들은 깊게 관찰하기, 질문하기 등의 역량학습을 통해 작품에서 어떤 점을 봐야하는지 알게 되었고 작품을 좀 더 집중해서 관찰하려고 노력하는 태도가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관찰한 내용이나 의견을 서로 교환하고 대화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공감 능력과 작품에 대한 비판력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작품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과 커뮤니티 활동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또한 궁금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맥락정보를 찾아보고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여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 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에 흥미와 보람을 느꼈다. 학생들은 미술관에서의 ‘심미적 탐구’를 통해 작가가 경험했던 과정을 체험해보고 그것을 자신의 맥락과 연결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였다. 또한 자신들이 제작한 작품으로 전시회를 준비하면서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LCE 미적체험교육의 방법적 특징이 시각적 문해력 교육과 연관성이 있으며 미적체험 교육의 핵심활동과 역량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을 함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수업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 토요 방과후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미술과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다. 이후 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 다양한 학년의 학생들에게도 적용될 있다면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학생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가까운 지역 미술관에서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할 뿐만 아니라 예술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도시공원에서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에 관한 연구 : 서울 남산 야외식물공원을 사례로

        이재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1900년대 후반부터 환경체험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다양한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과 자료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환경부에 의한 타당성 분석 결과 (1) 학습활동의 다양성 부족, (2) 문화적 맥락, 공평성, 독창성의 부족, (3) 충분한 이론적 틀 속에서 체계화되지 못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 및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행동변화 요소를 고려한 남산 야외식물공원에서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외국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감수성 및 기능’의 증진으로 ‘태도 및 행동’의 긍정적인 향상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국내의 선행 연구를 통해 ‘감수성 및 인식’, ‘참여’의 증진으로 ‘태도 및 행동’의 변화가 유도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부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3) 체계화되지 못한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것’과, 환경교육의 주된 대상인 학생들의 정기적인 환경교육 참여가 어려운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단회 프로그램이지만 학생들의 근본적인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행동변화 요소를 고려한 체계화된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제기하였다.시사점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행동변인 및 행동변화 모형’, ‘환경교육 및 수업설계 모형’을 고찰하여 ‘행동변화 요소를 고려한 체계적인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경교육의 장(場)으로 남산을 선정하여 문화적 측면과 자연적 측면이 모두 반영된 “행동변화 요소를 고려한 남산 야외식물공원에서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남산 야외식물공원에서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숭문중학교 1?2?3학년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분석하여 조직하였다. 요구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교수방법, 주제, 내용을 선정하였고, 숭문중학교 환경 탐구반 13명을 대상으로 1차시에는 선행학습을, 2차시에는 남산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남산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양적 조사방법인 ‘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후 ‘행동변화 요소’와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측정했다. 이때 결과로 도출하기에 불분명한 부분은 질적 연구방법인 ‘참여관찰’,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행동변화 요소의 체계적인 증진을 통한 실제적인 ‘태도 및 행동’ 영역의 향상은 ‘사전?사후 평가 결과’ 비교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지식’, ‘감수성’, ‘인식’, ‘기능’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모습은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제적으로 공원 및 녹지공간을 보존하고 보호하려는 ‘태도 및 행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남산 야외식물공원에서의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은 단회의 프로그램이지만 행동변화 요소가 균형적으로 고려되어 체계적인 태도 및 행동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요구도 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 다양한 학습활동과 활동지의 구성으로 학생들의 만족감과 성취감이 증진되었다. 차후 환경체험교육 발전을 위해, 행동변화 요소가 고려된 체계적인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의 강화뿐 아니라 문화적?환경적 측면이 고려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교육의 장(場)에 대한 데이터 확충으로 독창성 있고 효과적인 환경체험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 late 1990s, full-scale prelimina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that education. As a consequence, there are currently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According to the validity analysi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s are devoid of diversity, cultural contexts, equality and originality, and the programs aren't systematic enough due to a lack of legitimate theoretical frame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Nam- san Outdoor Botanical Garden by focusing on behavioral change in an attempt to turn around the situations.Domestic and international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systematic programs that center around behavioral variation. Given the fact that it's not easy for students to whom environmental education caters to receive that education on a regular basis, how a systemized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bring a change to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students was discussed.After a behavioral variable and behavioral change model and a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were investigated, a systematic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bring a behavioral variation. The content of the program was determined after a needs survey was carried out, and Namsan was selected as the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n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Namsan Outdoor Botanical Garden geared toward engendering behavioral variation was finalized in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and natural aspects of that place.A survey was conducted to mak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implemented to make a qualitative assessment of i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data,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at program made progress in attitude and behavior as they were systematically encouraged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it's confirmed that they applied their knowledge, sensitivity, cognitive ability and function to preserving and protecting the park and green tract.Although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Namsan Outdoor Botanical Garden was designed to be implemented just one time, that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learners since it took every behavioral variation factor into account. And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and study aids that wer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eds survey stimulated them to find it satisfactory and rewarding to take part in the program.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providing unique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by developing systematic programs in light of behavioral variation factors and by selecting different plac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 市民安全體驗敎育施設의 效率的 設置 및 運營 方案에 關한 硏究 : 消防安全體驗敎育을 中心으로

        박석진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Outbreaks of calamities have been prevalent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e p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many losses in both lives and properties from disasters which include Sampoong Department collapse, and the Sealand fire. But as we can see from the example of Daegu Subway fire, the citizens' lack in emergency-response ability. Experiential facilities for fire safety can give citizen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train themselves for such incidents. Researches on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fficient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for fire safety have been suggested to save lives from fires and disasters by encouraging the citizens the ability to prevent, prepare for, and response to the disasters constantly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citizen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rouse safety-consciousness of the citizens and to cultivate an effectual risk management ability by suggesting an efficient method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al scheme for education facilities education facilities for fire safety as well as the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domestic and overseas (Japan) example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for safety, and adopts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hich analyzes and investigates statistical and politic data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and visits to the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for safety, this research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of Japan and Korea, and tries to deduce problems and suggest an efficient improvement scheme of experiential education of fire safety.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First, fire safety education is of utmost importance among other educations. Education through substantial experience is urgent, but being carried out perfunctorily.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for fire safety to improve this condition is seriously insufficient. The expansion of these facilities should be accomplished. Second, there are virtually no system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To establish a system of fire safety education it is required to be carried out by an experienced fire fighter who has high safety reliability. The phased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xperiential education facilities for fire safety would be most efficient and obtain the maximum result when conducted by making use of the current fire service system (119 safety centre, fire stations, fire departments, NEMA). Third, fire fighters wh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safety theory and experience of a variety of disasters are most fit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But there is neither an institute nor a system to train a fire fighter who takes a professional charge of public fire safety education. Curricula on professional education of experiential education of fire safety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employment of fire officers for the educational field should be conducted. Fourth, in order to establish a fire safety educa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eliminate interferent politic elements, and construct an infrastructure that help citizens receive experiential education of fire safety effectually. Fifth, effectual administration of experiential education of fire safety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system which let the users be able to use the facility with or without re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o meet the levels of various ages and classes. The needs of the citizens for the social safety is increasing, but public safety education fails to satisfy this needs. An overall and systemic experiential education of public safety is demanded, and active support of both local and national government is necessary.

      • 환경체험교육이 강릉지역 중등학생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무현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강룽지역에서도 남대천 문제가 부각되면서 토양오염, 대기오염, 해양오염의 각종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경체험교육이 중등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 환경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한 76명의 학생들과 이런 교육을 받지 않은 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 논문 내용은 크게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및 기초용어, 환경오염과 그 원인, 환경문제 해결과 환경교육 둥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분석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환경체험교육을 받은 학생들 88%가 환경문제에 대해 매우 관심이 높았으며, 환경체험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 48% 정도가 환경문제에 관심을 나타내었다. 또한 환경체험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받지 않은 학생들 간에 환경에 관한 기초용어 인지도의 차이는 0.05의 유의수준 하에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환경오염과 그 원인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환경체험교육을 받은 학생들과 환경체험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 모두 강릉시의 수질오염, 해양오염, 쓰레기 처리 문제의 경우에는 심각성을 보인 반면, 대기오염의 경우에는 심각하지 않다고 답변하였다. 환경오염의 원인에 대한 강릉남대천과 경포호수의 오염 원인과 호수나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는 환경체험학습을 받은 학생들과 받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서 0.0002의 유의수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는 매우 유의하게 인지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환경교육으로 일어난 변화, 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 환경보전 캠페인 실천 여부 등에서는 유의수준이 0.0000으로 환경체험학습을 받은 학생들과 환경체험학습을 받지 않은 학생들 간에 매우 유의하게 참여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에 관한 이론적 지식은 양 집단 간 차이가 없이 나타났으나 실용적인 환경지식과 적극적인 환경보전 의식은 환경체험학습을 받은 학생들이 보다 많이 인지함으로써 자기주도 체험학습이 어느 정도 환경지식과 환경의식을 고취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생활에서의 적용은 환경체험 학습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 사이에서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환경교육내용의 개선과 이론의 실천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 주변의 공간과 소재를 통해서 다양화된 환경교육의 여러 목표를 통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환경체험교육이 보다 확산될 필요성이 있다. In Gangneung area too, concer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increased, as debates on polluted Namdaechon stream received a great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field experience has affected environmental attitudes. For this purpose, it surveyed 1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whether they had field experience or not. More specifically speaking, contents of research are constituted with three parts, including (1) concerns 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basic environmental vocabularies, (2)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causes, and (3) solutions for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While only 48% of students without previous field experience revealed an interest on environmental problems, 88% of their counterparts with experience expressed their concerns on same items. The two groups,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recognizing basic environmental vocabularies. 2. Both groups similarly answered that Gangneung had serious problems of water and marine pollutions and waste disposal, whereas they agreed that air was not yet severely polluted in the area. By contrast, the tw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knowledge of the causes of pollution in the Namdaechon stream and the Gyongpo lake and species living in aquatic ecosystem. 3. Regarding solutions for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wo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ield experience has somewhat contributed to enhanci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s. However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students with field experience have not actively applied their learned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ield experience programs in order to integrate diverse purpos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유아숲지도사의 요구와 인식

        윤태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infant forest instructor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fant forest experience center and the educational expectation effect of the infant forest experience center space composition and the infant forest education program. There is a purpose.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Research contents 1. What is the demand of forest instructors fo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center space? Research content 2.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children's forest guide about the space of the children's forest experience center? Research contents 3. What are the expect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when operating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following process was carried out. A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19 children's forest instructors who obtained a certificate as a children's forest guide and worked in a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or who had work experience. The research tools are a total of 49 questions, 5 questions for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forest instructors for young children, 8 questions for general matters about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2 questions each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and the space for operating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3 questions for composition and 12 questions for each space, 4 questions for cognitive area, 5 questions for emotional area, and 2 questions for action area for each area of educational expected effect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after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conducted, and the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Korean version program in the following way. For research question 1, IPA analysi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nd for research question 2, differenc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 subjects worked in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children in Gyeongbuk, Gyeongnam, Chungcheong, Jeolla, and Jeju-do, or forest leaders with work experience participated.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occurs most frequently in four spaces: space, natural object experience space, five senses experience space, and animal and plant observation space. This means that the contents of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children's forest guide are conducted seasonall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of soil, natural objects, five senses, and animals and plants coincides with the theme of each season's activities. In addition, in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Toddler Forest Experience Center by the Toddler Forest Guide, various infant activity spaces (sand, water, uphill, etc.) came out, which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Toddler Forest Education Program, and the facilities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Although they had a high awareness of appropriate facilities (development process for children aged 2 to 5 years), evacuation space, and safety space, the space of the forest guide for young children showed a lower awareness than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children's forest experience center. Regarding the space integration for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in 13 spaces, the place where you can hear sound, the flat land, the smelly place (plant-oriented space), and the bright place can achieve the highest spatial integration. Finall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expected effect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in the areas of cognition, appreciation, and behavior, age and gender have no significant meaning,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in cognition and behavior, but emotional In the domai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school, college and oth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between the average of 3 and 4 years in active and work experience. Based on the discussion and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forest guide's demand and percep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was recognized as a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he space is recognized while performing activities based on the movement line that connects the space, but since the main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are conducted seasonally, the spatial composition is not greatly revealed in the actual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Therefore, when creating a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easonal activities of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and activities using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that uses the space. Second, it is not easy to observe the educational expected effects of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forest instructors who only meet once or twice a week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activities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Toddlers is determined by the schedule of the institution, but the number of institutions that can be active is determined by the manpower and space used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Infants, so it is difficult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every day or twice a week.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 part in the training course for young children's forest instructors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is insufficient, but the class time for each subject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about infants that can observe educational expectations. Through a survey, this study presented data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young forest instructors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young children located nationwide, and the activities and work experiences of young forest leaders who plan and organiz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hat data on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the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space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we can look forward t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orest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children's forest guide. 본 연구는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유아숲지도사의 인식과 요구와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과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내용 1. 유아숲체험원 공간에 대한 유아숲지도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내용 2. 유아숲체험원 공간에 대한 유아숲지도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내용 3. 유아숲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교육적 기대효과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유아숲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유아숲체험원에 근무하거나 근무 경험이 있는 유아숲지도사 2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49문항으로 유아숲지도사의 일반적인 배경 변인 5문항, 유아숲체험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8문항, 유아숲체험원 운영의 공간구성에 대한 요구 각 2문항, 유아숲체험원 운영의 공간구성에 대한 인식 각 3문항과 공간별 12문항,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따른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 영역별로 인지 영역 4문항, 감성 영역 5문항, 행동 영역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절차는 설문지를 작성 후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친 다음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Korean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문제 1은 IPA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 문제 2는 차이 분석인 t-test, Anova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연구대상자는 경북, 경남, 충청, 전라, 제주도의 유아숲체험원에 근무하거나 근무 경험이 있는 유아숲지도사가 참여했으며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요구와 인식을 살펴보면 흙 놀이 공간, 자연물 체험공간, 오감 체험공간, 동식물 관찰공간 4개의 공간이 유아숲교육프로그램 운영이 가장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숲지도사가 운영하는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이 계절별로 진행되는데 흙, 자연물, 오감, 동식물의 공간이 계절별 활동의 주제와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유아숲지도사가 유아숲체험원 공간과 시설에 대한 인식에서도 공간은 다양한 유아 활동 공간 (모래, 물, 오르막 등)이 나왔으며 이는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시설은 유아의 발달에 맞는 시설(만2세~만 5세 발달과정)과 대피공간과 안전 공간 높은 인식을 지녔지만, 유아숲지도사의 공간은 유아숲체험원의 공간과 시설에 비해 낮은 인식을 보였다.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의 통합에 관해서는 13개의 공간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 평지, 냄새난 곳(식물 위주의 공간), 밝은 곳이 가장 높은 공간 통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따른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의 결과를 인지, 감사, 행동 영역으로 살펴보면 나이와 성별은 유의미한 의미가 없으며, 최종학력은 인지와 행동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감성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대학교 집단과 기타 집단 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활동 경력과 근무경력에서 평균 3년 차와 4년 차가 인지, 감성, 행동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줬다. 본 연구 결과의 논의와 요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고자 한다. 첫째 유아숲지도사의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요구와 인식은 유아숲교육프로그램으로 인식되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을 연결해주는 동선을 기준으로 활동을 하면서 공간은 인식되지만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주된 내용과 활동은 계절별로 진행되기 때문에 실제 유아숲교육프로그램 활동에 공간구성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할 때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계절별 활동과 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공간을 이용하는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기대효과는 일주일에 1회 또는 2회 활동만으로 단기로 만나는 유아숲지도사로는 교육적 기대효과를 관찰하기 쉽지 않다. 이는 유아가 유아숲체험원 활동 횟수가 기관의 일정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유아숲체험원의 인력과 사용공간에 의해 활동할 수 있는 기관의 수가 정해져 있어 매일 형 또는 주 2회 이상 유아의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며 유아숲지도사 양성과정에서도 과목 수가 많은 것에 비해 각 과목의 수업 시간이 부족하고 교육적 기대효과를 관찰할 수 있는 유아에 관한 교육이 부족하므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에 소재하는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대한 유아숲지도사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구성하는 유아숲지도사의 활동 및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에 따른 유아숲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와 활용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숲체험원 공간구성에 따른 유아숲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유아숲지도사를 통한 유아숲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 분석적 위계과정(AHP) 기법을 활용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이은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체험학습은 학습방법 면에서 학습자의 주체적 참여를 통한 신체적·정서적 활동을 강조함으로써 환경을 위한(for) 교육과 환경감수성 증진이라는 환경교육 목적 달성에 기여한다. 주변 환경을 실제적인 학습장소로 고려하는 측면은 환경 안(in)에서의 교육을 실현시켜 준다. 따라서 체험학습은 환경교육의 주요한 화두가 되었으며, 환경관련 단체 및 학교에서는 다양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천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험환경교육의 양적인 활성화 가운데, 일정한 수준이 확보된 체계적이면서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과 공유할 수 있는 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인식하여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반적인 참가자의 성취도 평가로는 프로그램의 장점과 단점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요구되는데, 기존의 평가틀은 환경교육 주체의 다양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평가기준 사이의 상대적 비중이나 가치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논의를 통해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복잡한 평가요소간에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로 체계화 한 평가틀의 개발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기준 문제의 상대적 가중치 산정 논리를 제시하는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기법을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환경교육의 두 주체인 학교와 사회의 서로 다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실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평가요소의 우선순위를 각각 판단하게 하였다. 판단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일관성비율(CR)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평가모형체계의 적절성 및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성은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AHP기법을 통해 평가에 다차원적 관점이 요구되는 문제, 평가기준 사이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면서 평가요소를 객관적인 수치로 순위화 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환경교육 실천주체에 의해 가중치가 부여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틀이 학교, 사회환경교육 각각에 대해 개발되었다. 평가틀은 체험환경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한 "체험환경교육 특성"과 이를 유지·뒷받침하는 "프로그램 운영"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평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 결과 ''오감과 심미적 경향 활용'' 항목이 체험환경교육 평가요소로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는 교수·학습과 관련된 "프로그램 운영"(55.4%)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배움을 조직적으로 구성하는데 강조점을 둔 반면, 사회는 배움을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운동차원에서 환경교육 원리와 관련된 항목에 중점을 두어 "체험환경교육 특성"(67.6%)에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를 실제 평가에 적용한 결과 14개의 우수 프로그램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다수의 프로그램을 일관된 기준으로 평가하여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첫째, AHP기법을 통해 단순한 평가요소의 나열이 아닌 중간 위계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라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체험환경교육''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 따라 자의적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본 연구에서는 참가자 중심, 직접체험과 감수성, 자기화 전략, 통합적 접근, 문화적 맥락의 다섯 가지 요소를 체험환경교육 특성의 하위영역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중 "직접체험과 감수성"을 체험환경교육의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보였다. 둘째, 학교, 사회의 인식 차이를 밝힘으로써 서로 다른 배경과 여건 속에 있는 환경교육 주체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고 있는지 보였다. 이를 통해 체험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해 육성해야 할 부분을 고찰할 수 있었다. 즉, 구조적 접근을 강조하는 학교와 개별적 접근을 강조하는 사회 환경교육이 서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평가틀에 준하여 일관되게 평가하여 봄으로써 체험프로그램의 실태를 개괄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평가자와 평가대상자가 구분되는 기존 평가와 달리 실제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평가요소의 중요도를 판단함으로써 평가 대상자의 요구를 평가틀에 직접 반영할 수 있었으며, 학교와 사회 두 주체의 견해 차이 또한 평가결과에 반영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평가틀은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평가의 발전적 기초자료로서 시사점을 가진다. 나아가 평가틀을 적용할 시에는 평가 주체 나름의 평가지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의 평가결과를 활용함에 따라 각각의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방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점수화 함에 따라 개별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살펴보기 힘들었다는데 연구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평가틀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학교·사회 두 집단의 인식 차이에 대한 원인을 보다 상세히 밝혀 궁극적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Recently,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in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EE). Experiential Learning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ecause it links the knowledge of the learners with the real environmental problems. In addition, it promotes the learner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the physical and emotional activities in environment. Given that there are few systematic and specialized programs despite the increase in number, it is needed to develop a means of evaluation EE programs in practical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checklist for evaluating EE programs in practical experience and to compu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HP is a powerful and flexible decision making tool for multi-dimension, multi-criteria problems. First, AHP was used to break down a evaluation problem into smaller parts, discussing the concept of experiential learning in EE. Decision makers then made simple pairwise comparison judgments throughout the hierarchy to arrive at overall priorities of standard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0 teachers in schools and program operators in NGOs who are in charge of the EE program suppor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3.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eamEC Platform Ver.2.0, an analysis program for AHP. As a result, two evaluation checklists given weights by decision makers were developed for schools and NGOs respectively. The checklists consist of 26 items in nine categories which were divided into two sections of "characteristics of EE in practical experience" and "program operation". In schools, more weight was given to "program operation (55.4%)" than "features of EE in practical experience" while it was the opposite in case of NGOs. The respondents chose ''applying the five senses and aesthetic aptitude''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evaluating EE in practical experience. When the checklists were applied to evaluation of EE programs, 14 programs were assessed to be effective and the universality of EE programs was validated on the basis of the consistent standards. This study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HP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understanding "evaluating EE programs in practical experience" more systematically. Second, regarding the composite weights,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views of decision makers in schools and NGOs. Third, through applying consistent checklists to evaluation, the current status of EE in practical education can be grasped. Despite some limitation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li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models for EE programs. Based on this study, however,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more specific methods of evaluating. Also, much effort should be made to resol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s of decision makers in schools and NGOs through future study on its causes.

      • LCI교육철학을 활용한 미적체험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LCI 교육철학을 활용한 미적체험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로, 실제 학교 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미적체험교육프로그램의 설계에 그 목적이 있다. 급변하는 현 사회에서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대두되고 있으나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은 학생 참여의 문제, 교사 전문성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으로 미국에서는 예술기관과 학교와의 연계를 통해 학교 안에서의 수준 높은 예술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기관으로 링컨센터예술교육원(Lincoln Center institute, 이하 LCI)에서는 예술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the arts)이 아닌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arts)으로 예술종사자에게만 국한된 교육이 아닌 모든 이를 위한 예술교육을 시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LCI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LCI교육프로그램이 가진 독창적 특징과 학습 원리에 대해 검토해보고, 이를 통해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 적용 될 수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미적체험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예술교육이 일반 교육체제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도입되어 유용하게 실용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feasible hands-on aesthetic education program based on LCI educational philosophy.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in today's rapid-changing society, but there is some problems with the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erms of school arts education. As cramming education is still prevailing in pursuit of college admission only, arts education isn't successful enough to teach the genuine worth of the arts, and that rather results in lowering the interest of students in the arts. The United States has taken an alternative approach to arts education by urging arts institutions and schools to join forces to provide quality school arts education. Lincoln Center Institute(hereinafter called LCI), which is one of leading arts education institutions, makes it possible to offer superb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hilosophy of education and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in each genre of arts.

      • 금계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체험환경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환경 의식에 주는 영향

        이해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환경에 대한 태도가 어렸을 때부터 생활습관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점과 교육의 성과가 지역사회에 확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학교 주변의 하천인 금계천에서의 체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 의식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 15명이 참여하였으며 쉽게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물을 주제로 하여 6차시로 구성하였다. 체험 활동은 학교 재량활동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였으며 체험활동을 하는 과정과 학습결과물 및 학생들이 쓴 환경일기, 면담 내용 등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계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동 장소의 특성과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하였으며, ‘물의 고마움 알기’, ‘금계천 주변의 쓰레기 수집’, ‘금계천 주변의 시설물과 금계천과의 관계 알아보기’, ‘금계천의 오염 알아보기’, ‘식물과 물’, ‘마음지도로 나타내기’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관찰하기, 조사하기, 느끼기 등의 체험활동을 하면서 물의 고마움, 쓰레기가 자연환경에 주는 영향, 주변 환경이 물에 주는 영향을 알게 되었다. 둘째, 체험학습활동을 통하여 환경보전의 필요성을 알고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며 환경을 보호하는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알고 이를 실천하는 학생이 많아짐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체험학습활동을 하면서 쓴 환경일기를 분석한 결과 초기에는 자신의 환경에 대한 단순한 경험만을 나타냈으나 체험 활동이 누적되면서 자신의 환경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기도 하고 가족이나 다른 사람의 환경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지적하기도 하여 교육의 효과가 가정 및 이웃에 확산됨을 볼 수 있었으며, 체험활동이 끝난 후에는 환경보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금계천에서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환경 의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규모 학교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유사한 연구를 보다 많은 지역에서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학교 주변 환경을 활용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elementary school is very portant because the right environmental understanding in the early age could be placed into the whole lifetime habit and the accomplish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expanded into the local community. In the present study, the program for real experienced field education (PREFE) was developed to get the 1 grade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and to feel the environment. The PREFE was designed using GuemGyeChun which is located near the school and the effect of the PREFE on their understanding in the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Fifteen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PREFE which was sub-organized into 6 different time points. The main title, Water, was selected to allow students to easily access to water and to help understand it natur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during free and specially volunteered activity times. The changes of their understanding in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recorded through school assignments, environmental diary, and listening to their direct opinion about the environment during the PREFE. The obtained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ings: First, the PREFE was designed to meet the level of children's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location for the research activity. Understanding for the importance of water in life, collection of wastes in GuemGyeChun area,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uemGyeChun and surrounded buildings,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plant with wat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environmental map were included in the PREFE. The participated students in the PREFE realized the thankfulness of water, the effect of wastes on the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the surrounded environment on the water through the observation, investigation, and real experience. Second, students became to know the necessity of natural environment and to create the detailed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ir social life in time dependent manner. Third, in the initial time participated students expressed their simple experiences about the environment, however they became to express their intention for the environment and to indicate inappropriate behaviors against the environment in their communities and individual families. Furthermore, students expressed their continued intention for the environment after the PREFE. As a result, the PREFE in the GuemGyeChun area was able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positively. However, since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small scaled school, the similar researches using an enlarged scale could be suggested to determine whether this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lu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PREFE or PREFE-like programs in the school areas to encourage the lower grad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 농촌체험교육의 환경교육적 이해 : 경기도 농촌교육농장 사례를 중심으로

        안새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장과 농업은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주요 공간 및 내용으로 자리 잡았다. 유아교육기관과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한 많은 교육기관에서 농장에 방문하여 농촌체험교육을 운영한다. 농장에서의 체험은 학생들이 자연을 접할 뿐만 아니라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인간 삶의 방식을 체험할 수 있음에 교육적 의미가 있다. 농촌교육농장은 농업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농촌진흥청 주관 하에 구축된 농촌체험의 장이다. 농촌교육농장은 일회성 체험과 관광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농촌체험과 차별성을 두면서 학교교육과정과 긴밀한 연계를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단발적이고 획일성을 띠는 농촌체험으로 인해 본래의 교육적 의도를 달성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농촌체험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는 특히, 환경교육적으로 타당하지 못하게 운영될 가능성으로 연결된다. 자연에서 나는 생산물을 수확하는 데 집중하는 체험방식, 인간의 소비 대상이자 욕구충족의 대상으로서 조명된 자연을 체험하는 방식이 반복된다면 농촌체험을 통해 오히려 왜곡된 자연관을 강화하게 되는 것이다. 농촌체험은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지속하는 삶을 몸소 체험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태도, 보살핌의 태도를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환경교육의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농촌체험이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협소하게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교육주체들 또한 농촌체험교육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한 충분한 반성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의 농촌체험교육을 이해하고, 환경교육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해석하고자 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두 농장의 농촌체험교육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교육현장의 맥락과 교육주체가 부여하는 농촌체험교육의 의미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농촌체험교육은 현대사회에서 도시민들의 삶에서 자연, 농업, 1차 생산물이 점차 멀어지고 있다는 점, 도시환경 속에서 아이들이 정신적·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환경으로서 농장이 유효하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뤄지는 교육이다. 농촌체험을 통해 인간이 존재하는 데 필요한 방식, 즉 자연으로부터 생산물을 얻는 방식, 생명과 땅이 순환하는 질서를 그대로 보여줄 수 있으며 이를 아는 것은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농촌체험에서는 농업생태계를 보여주며 자연과 생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그것의 아름다움 및 소중함에 대한 인식, 자연-농업-생산물의 관계에 대한 앎 등을 의도함으로써 환경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농촌체험교육의 구조는 크게 교육기회와 교육경험의 분포, 두 가지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농촌체험 교육기회가 1년 동안 지속적으로 있는 구조(지속성)와 한 번으로 그치는 교육구조(단발성)를 생각해볼 수 있으며, 교육경험이 농작물의 1년 순환과정에 따라 계열성을 가지도록 조직된 구조(계열성) 또는 그렇지 않게 조직된 구조(분산성)도 가능하다. 환경교육적으로 볼 때, 교육의 지속성은 환경태도와 행동의 습관화에 중요한 요소인 바, 농촌체험교육이 환경교육적으로도 의미있기 위해서는 지속성 있는 교육을 추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속성 있는 교육이더라도 교육내용이 계열성 없게 조직된다면, 특히나 농촌체험에서 재미만을 추구하며 농작물 수확체험의 반복일 뿐이라면 농촌과 농업을 관광·소비 대상으로 편협하게 바라보는 시각을 강화시킬 뿐이다. 농촌체험교육에서 지속성과 계열성 있는 구조를 지향하는 것은 농촌체험교육이 추구해야 할 본래의 목표와 내용을 달성하기 위함이자 환경교육적으로도 의미있는 교육으로 발전하는 방안이다. 농장의 교육프로그램 변화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교육기관이 계열성 있는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농장에 요구해야 하며, 이를 구현하고 있는 농장을 찾아 지속적으로 방문하려는 노력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더불어 체험활동 자체에 치중되어 있는 체험교육, 위탁형 교육, 만족도 중심의 교육문화는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과 농촌체험교육의 관계를 밝히고, 농촌체험교육이 환경교육적으로 의미있게 구조화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체험교육과 같이 환경교육적 의미가 충분한 교육의 발굴, 이를 통해 길러내야 할 환경교육적 인간상에 대하여 충분한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