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홍글자」에 나타난 상징과 청교도주의 연구

        송민선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1

        나다니엘 호손(1804~1864)은 전형적인 청교도 가문의 후손으로 그의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가짐과 동시에 그의 선조에 의해 자행된 마녀 재판으로 인해 청교도 사회의 냉혹함과 잔인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19세기의 작가이다. 그는 그의 작품 『주홍글자』에서 당시 청교도 사회의 비정함과 형식에 치우친 신앙을 비판하면서 이를 상징적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주홍글자』는 미국문학사상 최초의 상징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손과 청교도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주홍글자』에 나타나는 청교도 사회의 시점에서 본 주요 등장인물들의 죄의 성질, 종류, 영향 또는 죄의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인간의 참 모습을 다룸과 동시에 호손이 즐겨 사용하는 중요한 상징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청교도주의는 16세기 중반 영국에서 일어난 교파로서 영국국교회의 개혁과 정화를 목표로 한 신교중 하나이다. 이후 종교와 자유를 얻기 위해 미 대륙으로 이주해 온 그들은 하나님이 그들을 특별히 선택했다는 굳은 믿음을 가지고 그 교리는 법과 동일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주홍글자』에서 호손은 이러한 청교도주의에 대해 선대로부터 종교적인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지 못하고 청교도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으며 동시에 선조들의 과오에 대한 죄의식을 가지고 청교도주의를 강하게 비판하고자 했다. 또한 청교도 교리에 기초를 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헤스터 프린의 죄가 용서받는 과정을 통해 진실한 하나님의 사랑을 정의하고자 노력함과 동시에 예수가 간음한 여인을 용서하였듯이 본 작품을 통해 관용과 사랑을 실천하는 진정한 기독교 정신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주홍글자』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큰 특징은 상징의 사용이며 이러한 독특한 기술을 사용하여 비극적인 내용과 작품 속에서 인물들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전체 작품의 조화를 이루게 함으로써 미국소설에 뚜렷한 공헌을 남기게 되었다. 호손은 『주홍글자』에서 A자에 다양한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순간순간 등장인물들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해석되고 점점 긍정적으로 의미가 변해가는 A자를 통해 청교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암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독교의 한 교파인 청교도가 추구했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에게 그들만의 성격과 상징성을 부여하여 그가 생각하는 죄악관에 대해 간접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는데, 사악한 악마인 칠링워스는 이성적 캐릭터, 어두운 골짜기인 딤즈데일은 감성적 캐릭터, 구약성서의 헤스터를 모델로 한 헤스터에게는 복합적인 캐릭터, 마지막으로 진주인 펄에게는 깨끗하고 순수한 캐릭터를 부여한다. 그리고 이들은 작품속에서 한 사회내에서 인간관계를 맺고 서로 부딪히고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결국 적을 용서하고(칠링워스), 고뇌에서 벋어나며(딤즈데일), 죄를 구원받고(헤스터), 더욱 성숙해지는(펄) 결과를 이끌어 내게 된다. 호손은 『주홍글자』에서 그의 예리한 통찰력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징적 수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의 인간관계와 청교도에 대한 관심을 잘 나타내 주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징적 기법은 작품 속의 인물들과 사물 혹은 자연물들이 다양한 상징으로 드러나 전체 작품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독자들의 흥미를 한 층 더 끌어 올렸다는 평을 받고 있다. Nathaniel Hawthorne(1804~1864), a writer in 19th century and a descendant of typical puritan family, had pride about his family and, at the same time, had critical sight about the cruelty and brutality of puritan society due to witch hunt conducted by his ancient. In his work『The Scarlet Letter』, by expressing the cold-heartedness of a puritan society and criticism of biased faith as a symbolic technique, 『The Scarlet Letter』 is recognized as first symbolic novel in American literature history. Puritanism, which occurred in middle of 16th century in England, is one of the Protestants that set the goal as revolution and purific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Since then, people who moved to America to acquire a religion and freedom strongly believed that God specially chose them and that doctrine displayed same power with the law. In『The Scarlet Letter』, Hawthorne was not able to deny the existence of God but saw Puritanism with positive sight, since he is affected by ancient. Moreover, he tried to strongly criticize the Puritanism by having a feeling of guilt because of mistake from his ancient. Furthermore,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 that is based on the doctrine of Puritan and through the process of forgiving Hester Prynne’s sin; he tried to define the true love of God. Simultaneously, like Jesus forgave the adulteress, he tried to awaken the true Christian spirit that practices love and tolerance through this work. Another key feature in 『The Scarlet Letter』 is the usage of symbols. By giving various symbolisms to letter A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used it as a tool to express characters’ delicate feeling in each moment. Moreover, through the letter A that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the situation and becomes positive meaning, it ultimately proposes the way that Puritan, one denomination of Christian, should have sought by imply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 with the criticism about Puritan. Furthermore, in his work, he symbolized to each character and indirectly expressed the concept of sin that he thinks. He characterized Chillingworth, the evil demon, as rational character, Dimmesdale, the dark valley, as emotional character, Hester, modeled Hester on the Old Testament, complex character, and Pearl as clear and innocent character. In this work, by relating each other in a society and redeeming the lack point of each person, they finally derive a result as forgiving the enemy(Chillingworth), breaking away from anguish(Dimmesdale), getting salvation(Hester), and maturing (Pearl).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used a symbolic technique to express the interest toward human by his keen insight. And through this, it is the work that shows the interest toward his relationship and Puritan well. Moreover, since the symbolic technique appears the human, object, or nature harmoniously in the work, it increased the reader’s interest and got positive evaluation.

      • 호손의 청교도 공동체 형상화와 비판적 역사의식

        김이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0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호손(Nathaniel Hawthorne)의 문학세계에 나타난 청교도와 청교도 공동체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호손은 공동체에서 소외되거나 집단적인 비전을 공유하지 못하는 개인들을 공동체의 중심으로 들어오게 함으로써 공동체 내에서 야기되는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청교도 공동체를 형상화하고 있다. 청교도 공동체의 갈등과 분열은 집단적인 전망을 수용하지 않는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통해 극화되는데, 이때 공동체의 중심사상으로 ‘공언’되고 있는 청교도주의(Puritanism)는 중요하게 기능한다. 청교도들의 이주동기에서부터 정착과정 그리고 청교도 공동체가 국가적인 형태로 나가는 각각의 시기마다 청교도주의는 청교도들의 신앙심의 근원으로 또는 공동체적 연합과 질서유지를 위해 종교적인 기능 이상의 것을 담당하는 것으로 변화되어 왔다. 호손에 따르면 청교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들에 대한 이상화나 무화가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삶의 총체성을 드러낼 때만 가능하다. 이러한 호손의 인식은 필연적으로 청교도 선조를 포함한 과거를 어떻게 바라보는가라는 역사의식과 관련된다. 호손은 과거 식민지역사 시대를 바라보는 당대의 지배적인 시각에 반해 억눌리고 사장된 역사적인 사건을 독자가 기억하게 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다시보기를 유도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교도 선조를 이상화하는 호손당대의 지배적인 시각과는 대립된 방식으로 호손이 청교도 공동체를 형상화하는 것을 점검하고 이와 함께 비판적인 역사의식도 고찰하고자 한다. 『주홍글자』에서는 청교도 공동체의 법적, 경제적인 요소를 부각시킨 논의를 틀로 삼아 17세기 청교도 공동체가 이상적이기보다는 지극히 현실적인 공동체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완전한 신앙중심의 공동체도, 그렇다고 경제적인 요소들을 드러내놓고 즐기지도 못하는 상황에 있는 공동체 구성원들은 지배자들이 사용하는 종교적인 언어를 통해 공동체의 집단적인 의식이 공고하게 됨을 살펴볼 것이다. 『주홍글자』를 통해 성도들의 무리로 공언된 “언덕위의 도시”가 사실은 종교적인 이상을 실현하는 공동체도, 법과 자비가 조화로운 공명정대한 사회도 아님을 헤스터를 처벌하고 공동체 사람들이 그녀를 대하는 태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순한 소년」에서 호손은 공화국의 원류로 청교도들을 미화할 때 겪게되는 난제인 이교도 박해를 다루면서 청교도들이 중시하는 경건함과 선민의식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청교도 공동체에 어리고, 소외되고, 보호받지 못해 어떠한 영향력도 미칠 수 없는 퀘이커교도인 일브라임이 들어오게 됨으로써 마을 주민들이 느끼는 배척감의 기저에 있는 불안감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장에서는 성도가 아닌 공동체의 모범적인 구성원을 만드는 것으로 기능을 달리 하게 되는 청교도주의의 세세한 변화의 단초도 논의될 것이다. 「로저 말빈의 매장」에서는 사건의 유일한 경험자이며 보고자인 루번이 왜 진실을 은폐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공동체의 기대지평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하고자 한다. 호손은 전쟁영웅인 루번이 죄의식으로 인해 겪게되는 복잡한 개인적 심리를 인디언 전쟁과 변경개척이라는 특수한 정황 속에 둠으로써 개인의 경험과 유리된 국가적인 담론의 허구성을 검토한다. 이와 함께 프론티어 확장을 신에 의해 부여받은 사명으로 선언하고 호손 당대의 명백한 운명으로까지 이어지는 제국주의적인 땅의 침탈을 정당화하는 예형론과 전쟁영웅에 대한 담론도 함께 점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처음 매사추세츠에 도착한 선조들보다 거의 200년이 지난 후에 이상 공동체를 지향하는 자들의 이야기인 『블라이드데일 로맨스』를 통해 청교도 선조들의 꿈이 여전히 유효함을 살펴볼 것이다. 이들에게 청교도 공동체가 선언한 “언덕위의 도시”는 자신들의 공동체가 사회의 전범이 된다는 이상으로 계승된다. 이들의 개혁은 초기 공동체와는 달리 산업화, 도시화, 개인주의화로 야기된 병폐까지 더해진 19세기의 복잡한 현실을 직시하지 못함으로 인해 떠났다고 믿는 기존사회의 패턴을 반복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호손은 19세기에 진행된 이러한 반복적 실패가 과거에 대한 정직한 대면 없이 낙관적인 미래를 선전구호처럼 외치는 당대의 역사관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통해 호손이 청교도 공동체와 그 유산을 어떻게 전유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 『느릅나무 밑의 욕망』에 나타난 청교도주의와 캐봇의 비극

        김지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느릅나무 밑의 욕망』에 나타난 청교도주의와 캐봇의 비극에 관한 연관성을 찾는 것이다. 현대 극작가들은 청교도의 부정적인 양상에 집중하였고, 그들 중 한 명인, 오닐은 캐봇의 성격을 통해서 청교도의 부정적인 모습들을 만들어낸다. 과도한 성실성과 더불어 그들은 금욕적이며, 욕심이 많으며, 위선적인 모습들을 지닌 것으로 오닐의 눈에 비추어졌다. 주인공 캐봇은 그의 모든 삶을 열심히 일하며 농장을 일구는데 보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의 가족들로부터 그를 고립당하고, 늘 외로운 인물이다. 결국 그의 부정적인 청교도적인 성향들은 그를 비극의 주인공으로 이끈다. 하지만 오닐은 캐봇을 영원한 패배자의 모습으로 그대로 남겨두고자 하지 않는다. 마지막 절망의 순간에 그는 그와 평생 함께 해오며 자신을 비극의 나락으로 떨어뜨린 신에게 손을 내밀며, 남은 생의 방향을 결정한다. 오닐은 평생을 통해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한 때 신의 존재를 부정하기도 하였지만, 인간과 신의 관계를 운명적인 고리를 인정하고 인간에게 있어 희망의 끈을 줄 수 있는 대상은 결국 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순수한 신앙이라는 그의 생각은 『느릅나무 밑의 욕망』을 통해 나타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he puritanism in Desire under the Elms is connected with the tragic fate of Cabot. Modern critics concentrate on the negative aspects of puritanism in this play. One of them indicates that Eugene O'Neill creates, in the character of Ephraim Cabot, an incarnation of negative-hard, stoic, greedy, possessive, and hypocritical-puritanism. Ephraim Cabot has spent all his life working hard, and he has been alienated from his family by insisting on stern principles. His strong, hard and strict character leads him to the tragedy. All his family members cannot be patient enough to satisfy Ephraim. They suffered from hard works he forced them to do. He, therefore, is always lonely and isolated. In the long run, he is betrayed from his son, Eben and his third young wife, Abbie. Even though it is apparent that his puritanism brings a tragedy to him, we can find it has strengthened him in his search for God. However, O’Neill doesn't want Cabot to be a permanent failure. Cabot's last hope comes from his God. Knowing his money was stolen by Eben, he realizes all is over. Even though all the other family members leave the farm, he decides to remain with his God. Therefore, we expect him to have a true and pure faith in God, which can only be obtained by abandoning all desire. In conclusion, O’Neill seems to say that man can overcome his tragic fate only through the genuine puritanism, giving up the selfish puritanism. Eugene O'Neill has been called the father of modern American drama not only because he was the first major America playwright, but also because of the influence of his work o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theatre and on other dramatists as well.

      • 20세기 이전 미국 초상화에 재현된 "미국성"

        이은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4

        본 논문은 미국의 식민지 시기(1607-1776)부터 도금시대(1865-1905)가 끝나는 1905년까지 미국의 초상화를 통해서 주류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미국성(Americanness)’이 시대마다 어떻게 형성되고 재현되었는지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해 미합중국이라는 독립 국가를 이루었지만, 서로 다른 국적과 문화를 지닌 이민자 공동체였기 때문에 제대로 된 나라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미국인들은 이주 초기부터 자신들의 공동체를 영국과 구별하고 자신들의 독자성을 정의하고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미국문화를 형성한 지배적인 집단인 백인 앵글로색슨계 신교도(White Anglo-Saxon Protestant, WASP)는 초상화를 제작해 다른 계층과 자신들을 ‘구별’하고, 정체성을 구축하고자했다. 주류 미국인들의 구성이 시대에 따라 변했듯이 주류 미국인이 생각하는 “미국성”도 시대에 따라 바뀌어왔다. 식민지 시대, 독립혁명, 건국, 남북전쟁, 경제호황을 거치면서 시대별로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 미국의 신흥 엘리트계층은 자신들이 미국의 주류지배층이라고 생각했고, 또 그렇게 보이기를 원했다. 초상화는 이 신흥 엘리트계층들을 그들이 원하는 모습대로 형상화하는 데 탁월한 매체였다. 17세기 식민지 초기에는 1세대 젠트리로 불리는 성직자, 정치 지도자, 의사와 같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주로 초상화를 남겼는데, 그들은 지도자의 덕목, 청교도 교리, 지배규범 등을 초상화에 나타내고자했다. 검정색, 흰색, 갈색 톤만을 사용한 간결하고 무거운 초상화는 모델이 독실한 청교도임을 강조하며 ‘청교도의 암울(Puritan gloom)’로 불렸던 근검, 절약, 금욕을 보여주었다. 이후 상업귀족으로 불린 2세대 젠트리는 대부분 1세대 젠트리의 자녀들과 새롭게 유입된 영국 젠트리 출신의 부유한 상인들로서, 무역으로 부를 축적하여 새로운 젠트리 계층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금욕적인 종교적 교리를 중시했던 1세대와는 달리, 2세대 젠트리는 열심히 일해서 얻은 물질적 번영은 곧 하나님의 축복이라고 생각했고 이를 초상화에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했다. 18세기에 들어서는 노동자계층으로 자수성가한 신흥 상인계층이 지배계층을 형성했다. 이들은 1·2세대 젠트리와의 대립과 견제를 보여주고 자신의 사회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소사이어티 초상화(society portrait)’를 그렸다. 소사이어티 초상화는 패션, 포즈, 소품, 에티켓을 통해 의뢰인의 사회적 권력과 영향력을 드러내는 초상화이다. 부가 곧 지위였기에 그들은 과시적으로 자신의 부를 드러내고자 했다. 1740년대부터는 미국에서 출생한 화가들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 화가들은 ‘아메리칸 드림’이란 용어로 설명할 수 있는 근면, 절제, 자립, 자신감, 물질주의, 실용성, 평등주의와 같은 미국인의 기질을 초상화에 자연스럽게 표현했다. 1776년 독립이 되고 1788년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면서 세계 최초의 민주공화국이 세워졌다. 이 시기에는 13주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초상화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이 새로운 국가는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을 ‘국가의 아이콘’으로 내세워 새로운 나라의 정치이념을 설명하고 국민을 통합하고자했다. 초상화는 대중에게 대통령이 절대군주가 아닌 공화국 지도자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미국은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평등과 인권을 강조하였고, 같은 시기 운송 수단이 발달한 덕에 지방경제도 빠르게 발전하였는데, 이러한 분위기는 민주적인 예술의 탄생을 불러왔다. 떠돌이 화가들은 초상화의 요구가 늘어난 미국 북동부지역의 초상화를 제작해 초상화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그림을 주문했던 중산층은 도시 상류층과 달리 그림을 보는 눈을 훈련받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들이 누구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단순한 묘사를 선호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누구나 쉽게 초상화를 그릴 수 있는 피지오노트레이스를 사용한 실루엣 초상화와 측면 초상화가 유행하였다. 유화로 그린 전신 초상화와 반신 초상화가 그 비용과 사이즈에 의해 의뢰인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었다면, 흑백의 실루엣 초상화는 그러한 지표를 제거해 민주주의 정신을 실현했다고 평가되었다. 남북전쟁 이후 대규모의 이주민이 미국으로 들어오면서, 주류 미국인은 그들과 자신을 구분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 화려한 초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 미국경제가 급격한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강도귀족(robber baron)’으로 불리던 소수의 기업가들은 엄청난 규모의 부를 축적한 반면, 가난한 이민자와 노동자들은 더욱 가난해져 가고 있었다. 도금시대 상업귀족들은 호화저택을 엄청난 크기로 지었고, 이와 함께 전신 초상화의 수요도 1870년과 1920년 사이 크게 증가했다. 신흥 상업귀족들은 청교도적 억제와 완전히 결별하고, 부를 과시하고 모델을 돋보이게 하는 화려한 초상화를 선호했다. 빈부격차가 심했던 도금시대는 ‘가난의 원인은 바로 가난한 자들에게 있다’고 인식하는 미국 개인주의를 보여주며 강도귀족의 부를 정당화했다. 위에서 보듯이, 미국에서는 주류 미국인으로 분류되었던 WASP만이 초상화를 남길 수 있었고, 그 초상화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그 정체성이 곧 미국의 정체성이 되었다. 전통 기반이 약했던 미국은 영국을 모방함으로써 자신들도 정통성을 가진 국가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영국과 차별화함으로써 영국보다 뛰어난, 실용적이고 민주적인 자신들만의 가치를 초상화를 통해 드러내었다. 또한 미국 초상화는 주류 미국인이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한편 비주류 미국인을 배제시키는 방편으로 이용되기도 했기 때문에, 초상화를 통해 주류 미국인이 미국을 정의하려던 과정을 탐색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Americanness" had constructed and represented through American portraits from the colonial period (1607-1776) to the Gilded Age (1865-1905) by the mainstream Americans. After the United States became independent of England, this country had difficulties to construct a united nation since she was composed of immigrants from diverse nationalities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Americans have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English, and highly regarded to define and form their identity. White Anglo-Saxon Protestant(WASP), which has dominantly formed the American cultures, has produced portrait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classes and to construct their identity. As the composition of the mainstream Americans have changed with the times, 'Americanness' which they have thought of, has also changed. The American's newly rising elites have presented themselves differently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e American Revolution, the Civil War. They have thought that they are the mainstream ruling class and want to look like that. Portraits are the excellent medium to embody what they want to show. In the seventeenth century, ministers and civil officials who called as the 'first-generation gentry' mainly produced portraits. They wanted to reflect the leader's virtues and Puritanism in their portraits. Their portraits were simple but serious since it used black, white and brown colors. These emphasize that sitters are devout Puritans, and convey images of Puritan austerity called as the theory of 'Puritan gloom'. The mercantile aristocracy, who were children of first-generation gentry and wealthy merchant from the English gentry background, accumulated wealth through trades. They formed the second-generation gentry. While the first-generation gentry emphasized Puritan austerity, the second-generation gentry thought that their prosperity proved God's blessing and reflected it in their portraits. In the eighteenth century, emerging merchants from the working class formed the ruling class in the colony. They ordered 'Society Portrait' to show the confront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gentry and to express their social identity and status. Society portrait reveal sitters' social power and status through fashion, poses, props and etiquette. Since their wealth indicated their status, they ostentatiously represented their wealth in the portraits. American-born painters had began to produce portraits since 1740s. They expressed American characteristics industry, moderation, independence, egalitarianism, materialism and practicality which could be explained by the term of 'American dream'. After the American Revolution, the United States found the democratic republic. At this time, the role of the portrait was stressed to reinforce the unity of 13 states. This new country showed the first President George Washington as a 'national icon' to explain new political ideals and to unify the people. Portraits provided an awareness that the president was not a monarch, but a mere leader of the republic. The United States emphasized human rights and equality during the process of its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local economy rapidly developed due to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This atmosphere gave the chance to create the democratic arts. Since the demands for portraits were increased in the rural Northeast areas, Itinerant portraitists traveled there to produced portraits. They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portraiture. As sitters from the middle class was not trained to appreciate pictures, they preferred practical and simple depiction of them to easily judge who they were. In addition, in this time, portraits were produced by physionotrace. Physionotrace made possible to produce profiles and silhouettes of anyone. While portraits by oil painting reflect sitters' social statue through these price and sizes, silhouettes remove these indicator in the portraits. Therefore silhouettes were considered to fulfill the spirit of democracy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Civil War, the mainstream Americans produced more splendid portrait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a massive influx of immigrants. As the nation's economy was growing, only few entrepreneurs, called as 'robber baron', amassed great wealth while poor workers and immigrants became poorer. In the gilded age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was ever widening. The emerging mercantile aristocracy completely separated from Puritan austerity, and showed off their wealth in the portrait. In the United States, only WASP who were classified as the mainstream Americans, could produce portraits, formed their identities through portraits. Indeed, these identities have became American identity. The United States imitated England to show the legitimacy of the nation. On the other hand, the Americans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English to reveal American values by producing portraits. Since American portraits used to make Americans' identity secure and to exclude outgroup American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rocesses of defining Americanness by analyzing portraits.

      • (The) Scarlet Letter에 나타난 淸敎徒主義와 罪의 認識

        박인용 강릉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2

        Nathaniel Hawthorne was a descendant of a Puritan family and lived a strict and repressed life. Hawthorne inherited the spirit of Puritanism, and he was educated as a Puritan. But he criticized early New England society as well as the cruelty and narrowmindedness of Puritans. The backgrounds of his novels were the history of Salem and the lives of the Puritan colonists. The Scarlet Letter is, as Roy R. Male put it, the most intensly moving and the most beautifully composed work in America. The romance with its theme of Man's Fall, its seventeenth century New England setting, and its Puritan characters, dramatize "the human frailty and sorrow." Each of three main characters in The Scarlet Letter who has carried a sense of guilt reveals serious conflicts between deep inner voice and social restriction. In the Scarlet Letter, Hawthorne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ners in the Puritan society and its social morality which are willing to impose a merciless punishment upon the sinners. It seems that Hawthorne puts great emphasis upon the recognition of sin in The Scarlet Letter because we human beings are all sinners alike. He believes in Original Sin as Calvinist and Puritan deed at that time. Hester certainly seems to undertake a life of penitence: the blameless purity of her life, during all these years in which she had been set apart to infamy is reckoned largely in her favor, as is her uncomplaining submission to the dogged uncharitableness of the public. She is a victim of inhuman Puritan dogma, but she is victorious and becomes the successful heroine in searching for truth of her way. Dimmesdale, the Puritan minister, is the main character in this novel. Before the story begins, he has sinned already and he refuses to confess his sin publicly; first, because of the weakness in his nature, second, and more likely, because of his refusal to admit the sinful nature in human beings. But it seems that they only inflict more remorse and penance on him. Dimmesdale is the most tragic character, the true victim of Puritan society and its exclusive dogma. At last he comes to confess his seven-year concealed sin to the Puritan society just before his death. Ultimately, Dimmesdale gains spiritual growth through his constant suffering, penance, and penitence. He saves his soul by confessing his guilt publicly to the whole village. Chillingworth has been criticized as a cold-blooded man because he violates the sanctity of the human heart. He is regarded as a man of unpardonable sin because he has violated the human soul intentionally. He never forgives Dimmesdale and even wants to punish him as if he himself were God. However, we have to remember that he is not such a devil by nature. He just becomes a devil through his ill intention of revenge to Dimmesdale's hypocrisy, which caused him to become progressively more and more wicked and selfish. After Dimmesdale's death, he leaves considerable property to Pearl, who is the daughter of his foe, Dimmesdale. He is not a devil but rather a victim of destiny. Hawthorne presents in The Scarlet Letter the different themes of psychological agony, development and salvation which each character suffers as a result of their sin. He criticizes early New England society and Puritanism that embrace religious legalism. His main concern is centered on the religious and moral ethics as well as consciousness of sin. The salvation of God is made by confessing the sin of human being honestly and the earnest penitence leads to the salvation. Hawthorne seems to emphasize not so much the religious dogma as the moral values of Christianity.

      • 존 윈스롭의 청교도주의적 비전과 미국 정신

        김형근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22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earch a branch of the roots of America's moral culture. To reach this goal, this paper examines Winthrop's puritanic visions in seventeenth-century New England and his lay sermon, "A Model of Christian Charity," which declares the rules for the activities of the immigrants in New England. John Winthrop, fascinated with Puritanism for the Reformation, led many puritans from England to New England and built the Massachusetts Bay Colony in Boston in 1630.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Puritanism and John Winthrop's role in creating the American Mind. As Perry Miller said, it is im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America without some understanding of Puritanism. Puritanism is protestant Christianity. Puritanism is not a rejection of traditional Christianity, but rather the attempt to purify and conserve it. Above all, the Puritan's aim is to be more Christian than the Christians of other religious sectors such Catholicism or the Episcopal Church of England. In Chapter ?U, I analyze how the ideal visions of John Winthrop transformed itself into today's American foreign policies with negative aspects compared to the early Winthrop's ideal visions that were brought into New England. The symbol of America as "a city upon a hill" is the triumphant issue of early New England rhetoric, which derived from Puritanism and the long-ripened ritual of its socialization. Chapter ?V deal with the idea of national election, American exceptionalism which is affected by Puritanism and John Winthrop's sermon. American exceptionalism refers to the theory that the United States occupies a special niche in terms of its national credo, political and religious institutions and unique origins in American history. The roots of the term are attributed to Alexis de Tocqueville, who noted that the then-fifty-year-old United States held a special place among nations, because it was a country of immigrants and the first modern democracy. Many scholars who study American studies proceeded to identify Winthrop's "Christian Charity" as the key text i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exceptionalism, sparking an intense debate over the New England contribution to the sense of American national destiny. In Chapter ?W, I try to explain the Calvinism which Calvin declared in the Reformation and analyze the "covenant" and the ideal "commonwealth" in the Winthrop's Arbella sermon, A Model of Christian Charity in 1630. Winthrop's model of vocation reminded his audience of the prophecies they inherited about their promised future, inspired the values of piety, frugality, and diligence in one's worldly calling in the minds of people. He envisioned a &#985168;a city upon a hill&#985169;that would be guiding lights to other people. He strove always to include visions as many as possible in his journey toward a better world, and to teach the immigrants to love one another through his sermon, A Model of Christian Charity. John Winthrop's most enduring message lies in the inspirational message of his sermon Christian Charity. It is this message and Winthrop's ideal visions which the American citizens see as the meaning of John Winthrop's life and that they identify as the best that America stands for in the modern world. So far not many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how John Winthrop's ideal visions are connected to the present American conditions, political or economic. This paper also show how Winthrop helped to prevent the Massachusetts Colony from being blown off course by the winds of the outside interference and from being corrupted in those frontier days. This paper also show how the leader of the Massachusetts Bay Colony, John winthrop,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the United States. In conclusion, I argue that John Winthrop's puritanic visions in seventeenth-century New England are the primary sources of today's American Mind and mor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