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

        김헌영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인터뷰 장소는 상담실이나 프로그램실에서 이루어졌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연구참여자의 진술 중 공통적인 하위구성요소가 발견되고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충분한 기술들이 완성되고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진행되었으며,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의 구체적인 4단계에 의거 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의 결과를 설명하면 연구참여자들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을 표현한 의미들을 통해 구성된 본질에 대한 39개의 의미단위와 이를 통한 11개의 드러난 주제와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5개의 본질적 주제는‘현실과 마주함’,‘농인만이 이해 가능한 통역도구’,‘농 정체성을 가진 동질감’,‘자긍심이 느껴지는 순간들’,‘희망’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어통역의 현장에서 농인의 욕구의 맞는 통역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에서‘통역현실의 안타까움’.과 청각장애인통역사로서의 일을 시작하여‘통역현장에 들어감’,‘자연수어를 알아차림’,‘비수지신호를 이해함’,‘지사, 모사기호사용’,를 사용하였고‘동병상련을 느낌’,‘소통의 즐거움과 몰입’,을 통해서 농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느꼈으며,‘높아지는 자긍심’,‘농인만을 위한 서비스’,‘청인과 농인의 가교역할’,을 하게 되었으며,‘발전을 생각하고’,‘희망을 말하다’,를 통해서 청각장애인통역사라는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청각장애인통역사 자격이 민간인정이 아니라 국가공인 자격증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을 통해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청각장애인통역사는 농인과의 관계에서의 실천경험과 수어통역센터직원으로서의 실천경험, 개인으로서의 실천경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제시해 보면,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과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경력을 3년 이상으로 제한하여 중계통역 실천경험의 차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못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경력 기간에 따른 중계통역 실천경험의 변화를 깊이 있게 파악하여, 통역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본 연구는 주로 수어통역센터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통역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근무 환경에서의 중계통역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프리랜서 통역사나 교육기관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천경험을 조사하여, 통역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정책 제안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로, 현재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사용하여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는 양적 연구와는 차이가 있으며, 더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연구 방법론을 다각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안들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통역사들의 실천경험과 이를 통한 전문성 향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도출하고,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수어통역센터의 발전과 농인사회 전체의 복지증진을 위해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 청각장애인, 중계통역, 실천경험, 현상학적 방법 Experience of relay interpretation as a hearing impaired interpreter Heonyoung Kim Advisor: Hee-kyung J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Gwangju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experience in relay interpretation, and through this, to find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and to build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role becomes more important. I am leaving it.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ssence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experience in relay interpretation, present practical measures for successful relay interpretation, and prepare basic data to support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24, and after understand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relay interpret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research participants from March to April. The interviews lasted approximately 60 to 9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recorded data was used for analysis with prior consent. The analysis proces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Giorgi's four-step methodology of 'scientific phenomen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39 meaning units, 11 revealed themes, and 5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relay interpreting experience were confirmed. The essential themes were 'facing reality', 'interpretation tools that only deaf people can understand', 'identification with deaf identity', 'moments of pride', and 'hope'. This reflects the diverse experiences that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experience in the interpreting field and the pride and hope they feel in the process. This study seeks to present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as a policy recommendation, research is needed on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hearing-impaired interpreter qualification test, and there is a need to convert the hearing-impaired interpreter qualification, which is a privately recognized qualification, into a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Second, the qualification system needs to be managed and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af. Third, a code of ethics for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at relay interpretation sites is needed. Practical suggestions include: First,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it is necessary to activate self-help groups where interpretation-related experiences and contents can be shared. Second, the capacity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regular education on natural sign language. Third, the current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 is a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y, so it is necessary for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to share center duties other than interpretation duties. Fourth, there is a nee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In follow-up research, we will deriv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experience of hearing-impaired interpret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expertise through thi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s and the welfare of the entire deaf community through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promoting their social integration. I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Keywords: hearing impaired, relay interpretation, practical experience, phenomenological method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청각장애인통역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중계통역을 수행하는 현장의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중계통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찾아 청각장애인통역사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에 관한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체험 속에서 의미와 본질을 드러내어 인간 의식의 구조를 탐색한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복잡하고 다층적인 인간 경험의 본질을 포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특히 현상학적 환원의 자세를 특징으로 하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Giorgi의 방법은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본질적인 의미를 도출하는 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통역사 중계통역 실천경험이라는 현상을 연구참여자의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청각장애인통역사의 중계통역 실천경험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것으로, Giorgi(198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방법 및 절차를 선택했다.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은 실천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는 것으로 의미 단위를 통해 주제를 규명하고 중심 의미를 연구자의 언어로 변형하여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4년 1월부터 2024년 3월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자료 수집을 통하여 중계통역의 실천경험에 관하여 이해를 한 후 2024년 3월에서 4월에 걸쳐 중계통역 실천경험에 대해서 연구참여자 10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1회기에서 2회기에 종료되었고 인터뷰 소요시간은 1회당 60분에서 90분 정도다. 인터뷰가 진행되기 전 연구참여자들에게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화되며 이 내용은 연구에 쓰일것이라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알리고 동의를 구하였다.

      •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각장애 관련 기관 및 단체의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농정체성(Deaf Identity)은 청각장애인이 청각장애인 문화와 공동체에 대하여 동일시를 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농정체성의 발달은 청각장애인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개인적으로는 농정체성이 발달할수록 사회적으로 보다 수용적인 행동을 하므로써 궁극적으로는 사회적응력이 더 높아지고, 또한 농정체성이 발달할수록 자아개념이 긍정적이 되고 자아존중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농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청각장애인의 교육이나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발달에도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청각장애인에 대한 연구자체가 미약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청각장애인을 이해하는 논의나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의 수준에 대하여 평가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청각장애인들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개인적 특성 요인, 장애 특성 요인, 가족 특성 요인, 사회환경적 특성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 (건청 정체성, 주변 정체성, 몰입 정체성, 이중문화 정체성)의 수준에 대하여 알아본다. 2)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특성(성, 연령, 교육수준, 교육형태)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3)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장애특성(장애정도, 장애발생연령, 의사소통수단, 수화능력, 구화능력)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4)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특성(부모의 청각장애 유무, 부모의 수화가능여부, 가족지지)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5)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적 특성(친구지지, 청각장애인 교류, 건청인 교류)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6) 다른 특성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개인 특성, 장애 특성, 가족 특성, 사회환경적 특성중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학교, 교회, 복지관, 단체등을 이용하는 청각장애인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들의 농정체성 수준은 건청 정체성이 가장 낮았으며, 주변 정체성, 몰입 정체성, 이중문화 정체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듣지 못함(농)을 장애로 이해하기보다는 단지 의사소통의 수단이 다를 뿐이라는 문화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특성으로는 교육수준과 교육형태가 있으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변정체성과 몰입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교육을 받을수록 청각장애를 부정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반면, 몰입정체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장애특성으로는 장애정도와 구화선호, 수화능력, 구화능력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화를 잘할수록 그리고 반대로 구화를 못할수록 건청인을 적대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족특성으로는 수화가능부모와 가족지지로 나타났다. 부모가 수화에 허용적이면서 사용할 줄 알거나, 청각장애인이 가족으로부터 지지와 존중을 받고 있다고 높게 인지할수록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을 동등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각장애인의 농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사회환경적 특성으로는 친구지지, 청각장애인 교류, 건청인 교류 등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밀접한 영향관계에 있는 정체성은 이중문화 정체성으로 친구로부터의 심리적?정서적 지지를 높게 인지하고 청각장애인과의 모임이나 교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건청인과 청각장애인을 동등하게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각 변수들중 유의미한 변수들을 갖고 농정체성에 대한 종합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건청정체성은 주로 사회환경적 변수에, 몰입정체성은 개인 특성 변수에, 이중문화 정체성은 가족특성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청각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건청과 농을 균형적으로 이해하는 이중문화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교육이나 재활에서 수화와 구화의 균형적인 강조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즉, 교육과정이나 사회분위기가 구화와 수화를 동등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부모를 포함한 가족원들이 수화를 의사소통수단으로 활용하므로써 청각장애인과 충분히 대화를 나누고 장애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을 대상으로 수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나 수화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각장애인에 대한 가족들의 심리적, 정서적 지지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족들이 청각장애인 지지의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이나 형제자매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각장애인들이 같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과 자조집단을 통하여 서로에게 지지와 격려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Deaf Identity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that identifies deaf culture with deaf community by deaf people. The development of Deaf Identity has an important meaning to deaf individually and socially. Individually, we can find that they act more acceptive as the deaf identity develops and, in the end, they have a better social adaptation and, also, their self-concept turns positive so that their self-esteem becomes higher. Socially, studies on deaf identity bring up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the education for deaf and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contribute its developm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level of deaf identity and verifies the factors which can affect that. In order to this, I will explain the factors which are able to affect deaf identity with categorizing such as personal factors, disability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se are the item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1) Researching the level of deaf identity (hearing identity, marginal identity, immersion identity and bicultural identity). 2) Researching personal factors (sex, age, degree of education, type of education) affect deaf identity. 3) Researching disability factors (degree of disability, onset age, method of communication, sign language ability, oral speech ability) affect deaf identity. 4) Researching family factors (parents hearing availability, parents sign language ability, family support) affect deaf identity. 5) Researching social factors (friend support, interaction with another deaf people and hearing people) affect deaf identity. 6) Researching which affects deaf identity among personal factors, disability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al factors under circumstance with controlling else factors. To study those items we surveyed 158 deaf people who use school, church, rehabilitation center, organization in Seoul and Gyong-gi area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af identity showed as low of hearing identity, marginal identity, immersion identity as far bicultural. Second,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education degree and form of education which shows the marginal identity and immersion identity are higher as their education degree is lower. Third, disability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degree of hearingless, preference of oral speech, sign language ability and oral speech ability. Fourth, family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parents sign language availability and family support. Fifth, social factors that affect deaf identity are friend support, interaction with another deaf, interaction with hearing people and so forth, that is, all variables set this study can affect deaf identity. Sixth,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synthetic influence to deaf identity with meaning variables, it appears like hearing identity is usually affected by variables of social factors, immersion identity is affected by variables of personal factors and bicultural identity is affected by variables of family factors. With these findings, following items are needed to make deaf people accepting their disability positively and bicultural identity higher which understands balanceable between hearing and deafness: First, balanced emphasis is needed between sign language and oral speech at the education or rehabilitation of deaf. That is, the course of education or social atmosphere must be changed enough to concede the oral speech and the sign language are equal and accept it. Second, as family including parents use sign language for communication, they converse adequately with deaf member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deaf people can accept their disability naturally. In order to do this, we need to carry a program of sign language or parents education for families of deaf people that is able to their family accept sign language positively. Thir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of family for deaf are needed to establish. Therefore, We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deaf or sibling program so that they understand sufficiently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support to deaf people. Last, deaf people need to support and encourage each other through another deaf and self support group.

      • 청각장애인의 생활스포츠 차별경험에서 나타나는 참여 제약요인 탐색 : 포토보이스

        박광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들이 생활스포츠 참여 과정에서 겪는 차별경험을 확인하고, 그러한 경험에 내재된 생활스포츠 참여 제약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 광역시에 거주하는 생활스포츠 참여 청각장애인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참여적 실행연구로 알려진 포토보이스(Photo-voice) 기법을 활용해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오리엔테이션, 포토보이스 실행, 포커스 그룹 인터뷰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진 고르기, 맥락화, 주제화하기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인들의 생활스포츠 차별경험은 벌거숭이, 어른아이, 감자선수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구체화할 때, 청각장애인들은 생활스포츠라는 세계에 들어오면서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게 되었고 타인에게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었으며, 팀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주변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별경험에 내재된 참여 제약요인은 비장애인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체력이나 기능문제(개인 내적), 장애선수에 대한 부모의 과잉보호 및 의사소통 문제(개인 간), 장애인을 고려하지 않은 채 비장애인 중심으로 운영되는 스포츠클럽 문화(조직), 비장애인들과 통합을 권장하면서도 실제적인 정책으로 조력하지 않는 형식적 정책 실행의 문제(정책) 등으로 나타났다. 확인된 제약요인을 통해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근거로 향후 발전방안을 개인 내적(intrapersonal), 개인 간(interpersonal), 조직(organizational), 정책(policy) 수준에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함께 하는 생활스포츠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정책들을 개발 및 시행하기 위한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scriminativ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sport-for-all of the hearing-impaired, and also to explore the constraints on participation in sport-for-all inherent in such experiences. Selecting total six hearing-impaired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for all, residing in D metropolitan city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is study collected/analyzed data by using the Photo-voice technique known as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order of orientation, practice of Photo-voice, and interview with focus group,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processes of selecting photos, contextualizing, and topicalizing.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riminative experiences in sport-for-all of the hearing-impaired were categorized into nakedness, rejuvenile, and potato player. Concretely, after the hearing impaired entered the world of sport-for-all, they started cognizing their own disability, became a being that should get helps from others, and also became a marginal man who could not feel a sense of belonging in their teams. The constraints on participation inherent in such discriminative experiences included such problems like physical strength or functions to join the non-disabled(intrapersonal), parents’ overprotection of the disabled player and communication(interpersonal), sport club culture focusing on the non-disabled without considering the disabled(organizational), and the execution of perfunctory policies that would not be actually supporting even when the integration with the non-disabled was recommended(policy). Based on the socioecological model through the verified constraints, the future development measures were discussed in the level of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Lastly, this study suggested a research theme for the development/execution of actual policies for the establishment of sport-for-all culture participated by everyone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 수도권지역의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이경훈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지역의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를 통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 여부, 생활체육 형태, 생활체육활동 요인과 생활체육 환경, 그리고 생활체육 발전에 대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와 여론 등을 조사․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136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대상자로 선정하였고 1:1 수화면접을 통해 생활체육실태를 조사하였다.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실태를 분석․조사하기 위한 본 설문지 내용은 첫째, 장애인 체육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태도 영역, 둘째, 생활체육의 참여 실태영역, 셋째, 생활체육 발전 방안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 생활체육 참여 욕구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체육의 가치는 재활에서 건강과 체력증진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생활체육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수,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전문지도자 양성 및 배치 등은 청각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를 위한 중요한 필요조건이었다. 셋째, 일반 사람들과 차별 없는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how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perceive lifetime sports and how many of them participate in the sports, what types of activities they do as their lifetime sports, why and in what environment they do the activities, and finally what improvement they expect in regard with their lifetime sports. To achieve the goals stated in the above, random sample of 136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The survey was done through one-on-one sign language interview. The interview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people with hearing-impairment's perception on and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in general, second, their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and finally improvement measures for their lifetime spor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sire for lifetime sport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n lifetime sports was high level, and the value of lifetime sports was changed to health and physical fitness promotion from rehabilitation. Second, the expansion and impairment of sports facility for living athletics, program development and supply, training and disposition of professional leader etc. were very important foundation in order to revitalize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ird, Government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ithout discrimination were strongly required.

      • 청각장애인 역사문화관광에서의 제약요인과 선택요인 분석

        김철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출활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청각장애인이 역사문화유적지를 관광함에 있어 관광의 주체인 청각장애인의 관광 행태와 유형을 조사하고 관광 대상인 역사문화유적지가 주는 관광 제약요인과 선택요인을 확인, 그 차이를 분석하여 청각장애인이라는 특수계층의 시각에서 역사문화관광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역사문화관광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청각장애인은 ‘장애인단체 등 단체여행(54.5%)’과 ‘가족 등의 개별여행(45.5%)’중 단체여행의 경험을 조금 더 많이 하였고 역사문화유적지의 방문횟수는 ‘1년에 1회 이상’이 75.4%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관광정보는 복지관 등 장애인단체(24.8%), 인터넷(21.8%), 신문·잡지(16.8%) 순으로 습득하며 역사에 대한 지식은 TV방송(31.7%), 박물관 등 역사문화현장(28.7%), 인터넷(27.7%) 순이었으며 고령층일수록 TV방송을 통해 많이 접하고 있었다. 역사문화관광지에서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문화유적에 대한 정보 및 해설의 부족(48.5%)을 꼽았으며, 향후 지속적인 역사문화유적지의 방문여부에 대하여 81.2%이상이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역사문화유적지에서의 관광 제약요인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역사문화관광지의 ‘정보 및 프로그램적 제약(4개 항목 평균3.46)’, ‘물리적·구조적 제약(2개 항목 평균 2.91)’, ‘내재적·개인적 제약(5개 항목 평균 2.73)’으로 ‘정보 및 프로그램적 제약(4개 항목 평균3.46)’ 요인이 보통(3.0)보다 높은 제약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각장애인의 경우, 이전 장애인의 관광활동의 제약요인에 대한 연구결과와 달리, 교통의 불편 등 물리적·구조적 제약요인 보다 역사문화유적지에서의 정보 및 프로그램적 요인에 대하여 평균이상의 제약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각장애인이 역사문화유적지를 관광하기까지의 의사결정과정 중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역사문화관광지는 다른 일반적인 관광지도 가지고 있는 ‘보편적 선택요인(5개 항목 평균 3.7)’과 역사문화유적지의 ‘특화된 선택요인(4개 항목 평균 3.81)’으로 두 요인의 항목들이 평균(3.0) 이상의 영향을 선택 시 미치고 있었다. 청각장애인의 경우, 일반인의 관광의사결정 시 중요하게 여기는 관광지의 일반적인 속성인 접근성, 경제성, 편의성, 유흥성 등에 보통이상의 관여를 하고 있으며, 역사문화유적지라는 공간적 특수성에 따른 역사성, 교육성, 예술성 등의 특화된 속성에 대하여 보통이상의 관여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역사문화유적지에서의 역사문화관광은 일반관광지와 달리 공간적 특수성에 기인한 관광활동의 제약요인과 선택 관여요인이 존재하며, 관광활동의 주체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청각장애인이 역사문화 관광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역사문화공간에서의 역사문화에 대한 해설 등 정보제공과 프로그램적 제약을 감소시키고 역사문화가치를 느낄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의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과 역사문화관광지라는 관광활동의 주체와 대상을 연구의 대상과 범위를 축소하여 조사 분석하여 역사문화관광지에서의 청각장애인만이 공유하는 관광활동에 대한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지표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청각 장애인의 관광활동 만족도 분석 등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m constraints and determinants which influence on the hearing-impaired visiting historic cultural sites by surveying tourism patterns of the hearing-impaired, relatively easy to do outdoor activities, and finally to enhance the hearing-impaired's accessibilities to historic cultural sites and encourage more active tourism particip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survey, the hearing-impaired participate in tourism activities through organization of the disabled and group tour(54.5%) rather than family and individual tour(45.5%) and the number of visiting the historical sites is more than once a year(75.4%). In question of sources of tourism information, 24.8% of people surveyed answered that they get the information from organization of the disabled and community relief center; internet(21.8%) came second followed by newspaper and magazine(16.8%). For the sources of knowledge of history, TV program has highest percentage making up 31.7%, followed by museum and field trip(28.7%), and internet(27.7%) respectively. Especially in older age group, the rate of acquiring historical knowledge from TV program was high. The hearing-impaired have considered lack of information of historical sites to be one of the most inconvenient factors but more than 81.2% of them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visit historical sites consistently.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tourism constraints in historic cultural sites, 3 constraints were drawn; information and program constraints(4 items/average 3.46), physical and structural constraints(2 items/average 2.91), internal and personal constraints(5 items/average 2.73). It shows that the rate of information and program constraints is higher than average(3.0). Differing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urism constraints of the disabled, the hearing-impaired have been more constrain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and program rather than physic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such as inconvenient transportation. When the hearing-impaired plan to visit the historic cultural sites, both common determinants for general tourist sites such as accessibility,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and specialized determinants for historic cultural sites such as historicity, educational merit, and artistic value are considered more than average level. As shown in this analysis, both constraints and determinants can be considered in visiting the historic cultural sites. They'r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ce, varying according to each tourist. In order to activate the tourism of the hearing-impaired information and program constraints should be reduced. Furthermore, specialized program for them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y could enjoy the historic cultural experience more. This study has suggested indicators for the tourism of the hearing-impaired explaining their behavior, focusing on the hearing-impaired and the historic cultural sites.

      •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인식 연구

        이효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이 청인 사회에서 널리 유통되고 향유되는 대중가요에 대한 인식과 향유 실태를 파악하여, 청각장애인들이 대중가요를 향유 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하도록 그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실제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인식 관련 문항 7개, 대중가요 향유 실태 관련 문항 9개, 대중가요 향유 지원 사항 문항 11개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직접 작성 가능한 조사서와 구글 설문 링크 2가지 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서의 주요 창구는 대전농아인협회 5개 지회와 대전광역시립손소리복지관이다. 이 창구들을 통해 배포된 설문과 대전농아인협회에 등록된 회원들의 개인 연락처를 통해 구글 설문지 링크를 전송 후 회수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받은 대전농아인협회 회원들이 타 지역으로 전송한 예도 있어 회수된 지역은 전국 범위로 이루어졌다. 배포된 200부 중 총 127부가 회수되었고, 중복ㆍ누락 된 4부를 제외한 123부의 조사서를 SPSS로 분석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인식과 관련하여 대중가요와 가수를 좋아하고, 가요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악기에 대한 학습 욕구도 있는바,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향유 실태와 관련하여 대중가요를 감상하기 위해 TV나 유튜브 등의 영상매체를 활용하고,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며 노래를 음성이나 수어로 가창하고 있다. 그리고 노래방이나 음악회와 콘서트를 통해서도 대중가요를 감상하고 있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대중가요 감상을 위한 지원사항과 관련하여 수어 통역 및 자막 지원 등의 서비스 질 개선, 음성 증폭 및 소음차단을 위한 실내ㆍ외 환경 조성 및 보조기기 기술개발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인이 대중가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인이 대중가요를 향유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인지하고, 나아가 향유 하는 것뿐만 아니라 악기 연주 욕구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욕구 해소를 위해 청각장애인에게 맞는 악기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각장애인은 대중가요를 감상할 때 청각적 정보(소리)보다 시각적 정보(영상)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영상으로 대중가요를 감상하는 데 필요한 지원과 함께 이와 같은 욕구 및 현실과 관련된 조사를 통한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 셋째, 청각장애인이 대중가요를 즐기는 공간에 따른 기기의 구비, 보조기기 개발, 대중가요를 즐길 수 있는 전용공간의 확보가 요구된다. 넷째, 청각장애인에게 맞는 방식으로 대중가요를 소비하도록 청각장애인 당사자가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청각장애인이 청인의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청각장애인이 가창하는 ‘수어 노래’ 보급의 기회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s perception and enjoyment of popular songs widely distributed and enjoyed in hearing society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solutions that meet their needs to exercise their right to enjoy popular song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even quest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popular songs by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nine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conditions of popular song enjoyment, and 11 questions related to popular song enjoyment. The questionnaire utilized two methods: a survey that can be filled out directly and a Google survey link. The main channels of the survey were five branches of Daejeon Association of the Deaf and Daejeon Metroplitan Sonsori Community Relief Center. The survey distributed through these channels and the personal contacts of members registered with Daejeon Association of the Deaf sent the Google questionnaire to other regions, so the recalled area was nationwide. A total of 127 out of 200 copies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by analyzing 123 survey copies with SPSS excluding the four duplicated and omitted copie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opular songs by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they liked popular songs and singers, felt joy through songs and had a desire to learn musical instruments, taking an important place in their daily lives. Second, in order to actual conditions of popular song enjoyment by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they were using video media such as TV and YouTube to listen to popular songs, spending a certain amount of time singing songs in voice or sign language. And they were listening to popular songs through karaoke and concerts. Third, regarding the support for listening to popular song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they were found to demand improvement in service quality such as sign language interpreting and subtitle support, creation of an indoor environment for speech amlification and noise blocking, and development of auxiliary device technolo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to help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enjoy popular so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have a desire to enjoy popular songs, and not only do they enjoy popular songs, but they also have a desire to play musical instru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to learn musical instruments to relieve these needs. Second,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use visual information (video) rather than auditory information (sound) when listening to popular songs, so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researches related to these needs and realities, along with the support necessary to listen to popular songs through video clips. Third, it is necessary to equip devices according to the space where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enjoy popular songs, develop auxiliary devices, and secure a dedicated space where they can enjoy popular songs. Fourth, in order to consume popular songs in a way suitabl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arties to participate as service providers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enjoy culture and art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distribute “sign language songs” sung by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 청각장애인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연구 : 교육을 받을 권리를 중심으로

        전지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청각장애인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연구: 교육을 받을 권리를 중심으로 청각장애인(聽覺障碍人)은 청인(廳人)과 달리 사회적 소수자이다. 사회적 소수자인 청각장애인은 장애인 중에서 가시적 장애와 달리 비가시적 장애로 인하여 소수자 중에서도 소수자로 분류된다. 물론 이러한 소수자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과 국민의 관심이 날로 증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비가시적 장애의 특성상 외견상 구분이 어렵고, 다른 장애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행동에 있어서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장애인 대상 정책에서 소외되기 쉽다. 대표적으로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청각장애인의 언어는 생활전반에 있어 수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화환경이 미비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크다. 이로 인하여 그들이 누릴 수 있는 기본권 보장의 한계가 발생되어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소수자’가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교육에서 청각장애인의 언어가 중심이 아닌, 청인의 언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지 못하여 ‘의사소통의 한계’가 발생되고 있다. 즉, 교육을 받을 권리는 제헌헌법부터 현행헌법까지 존재해 왔던 기본권 중의 기본권임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에게 있어서는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질적인 보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교육은 쌍방 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교육자와 피교육자 상호간 의사소통은 교육에 있어 중요한 수단이 된다. 더욱이 의사소통의 문제로 인한 교육을 받을 권리의 제약은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의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은 더 이상 의사소통의 수단인 수화의 부재로 인하여 소외되지 않고, 인간으로써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자유로운 인격을 발현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수화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함이 마땅하다.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는 청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와 똑같은 논리로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예컨대 시각장애인에게 책을 읽고 감상문의 제출을 요구하거나, 청각장애인에게 베토벤의 소나타 열정 3악장을 듣고 감상문의 제출을 요구하는 것은 모순되는 요청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언어로써 수화 인정’과 ‘표준화된 수화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적 근거에 대한 논증을 다음과 같이 접근할 수 있다. 첫째, 헌법해석을 통해 접근할 경우 교육을 받을 권리는 헌법 제31조 제1항에 근거하여 모든 국민이 능력에 따라 균등히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청인의 능력에 따른 교육제도가 마련되어 있듯이 청각장애인도 능력에 따라 균등히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능력’의 범위에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수단인 ‘수화’가 포섭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증이 요구된다. 단, 수화는 청각장애인의 언어라는 인식하에 ‘표준화된 수화’의 포섭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 법령의 개정을 통해 접근할 경우 헌법상 교육을 받을 권리는 사회적 기본권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법률로써 그 내용을 구체화하고 있다. 즉, 「교육기본법」을 중심으로 「영유아보육법」, 「초ㆍ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는바, 체계정당성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행법령의 미비한 부분을 개정하여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해결이 어려울 경우에는 새로운 입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즉,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법을 제정하여 ‘언어로써 수화 인정’, ‘표준화된 수화로 교육을 받을 권리’의 보장에 대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의 교육을 받을 권리와 관련된 쟁점인 의사소통 문제를 헌법해석, 관련 법령개정 그리고 새로운 입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조화로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비장애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김성자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확인하고, 개인·부모·또래요인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8개 시·도를 중심으로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154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4점 만점에 3.01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녀의 개인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성별 및 학교급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요인으로 부모의 장애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부모가 애정적, 합리적, 성취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취하고,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관계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청소년 개인요인, 부모요인, 또래요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요인의 영향력이 또래요인 보다 크게 나타났다. 부모요인 중에서는 부모의 의사소통, 성취적 양육태도 순이고, 다음으로 또래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의 영향이 가장 크고, 부모의 성취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주며,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와 또래의 영향을 받고, 부모요인과 또래요인과의 관계에서 부모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적 특성인 개방적 의사소통과 성취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현재의 의사소통방식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자녀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의미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또래관계도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청각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양육태도, 또래관계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and find the effects of individual, parents, and peer group factors on the children'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main factors that improve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4 children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in 8 cities and provinc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s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was positively high. Second, th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by gender and school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by types of disability of par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arent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children's self-esteem is improved by affectionate and reasonable, achievement,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 and open communication, Fourth, the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by peer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amely,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is improved in positive peer group. In other words, the children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in positive peer groups have higher self-esteem. In conclusion, parents factors had more influence on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than peer group. Parenting attitudes and open communication we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Peer group factor was also important that affects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Therefore, to improve the children's self-esteem of hearing impairment parents, we need to consider carefully the parent factors and peer group factors in social welfare practice.

      • 청각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박영숙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Career rehabilitation is a productive and economic service that allows the hearing impaired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and become socially productive individuals. This relieves the social burden of the disabled and contributes toward social unity. It is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isabled person’s personal pursuit of happiness. Economic activity is a driving force behind social development and an important element for enhancing their individual lives and making it more comfortable.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earch and effort exerted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there are still a number of hurdles that prevent them from starting their own careers leading to normal lives in society. Specifically, many areas of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terms of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upport structur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people who have a hearing impairment are limited in a number of ways due to their disability. It furth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ed people of Korea. Finally, the study proposes methods to improve the existing situation. Career rehabilitation may be easier for the hearing impaired compared to those with other forms of disabilities. However, career training programs for people with a hearing impairment are still outdated and nonprofessional. For example, adequate programs have not been introduced to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making it difficult to offer sufficient services for career rehabilitation. These problems become evident once we examine the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 structure. While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re government organizations directly involved in caree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ey have failed to provide timely and adequate measures for career training or polices for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Without improvements in government policy, it will not be possible to implement professional career training programs or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introduce laws that increase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o take strong measures to enforce these laws. Sound communication with the hearing impaired is critical in providing adequate career rehabilitation services. Under the current system, it is difficult to produc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who can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Government agencies must actively work together to introduce programs to train and nurture professional sign language translators. Another area of improvement for career rehabilit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is to provide career training institutions and secure teachers with expertise. Moreover, we must help each hearing disabled individual to find a compatible job and provide sustained management for maintaining his/her job. Employment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Korea have been passed around between two structures,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rvices dispersed between these two structures have made support inefficient and fragmente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unite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hearing impaired. In conclusion, improving some or part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s essential to provide career rehabilit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ddition to this,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officials working in government organizations must change their mind set and offer active cooperation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the career training of the hearing impaired.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선천적이건 후천적이건 신체적 장애를 경험한다는 것은 개인의 존엄과 행복추구권을 침해 받는 일이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형성은 전체 사회의 통합과 안정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는 그들 스스로의 자활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사회안전망으로 기능적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서비스는 지속적인 확대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적인 취업을 통해 일상적 삶을 영위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서비스나 지원체계에 관한 영역에서 다수의 개선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청각장애인 대부분이 신체적인 측면에서 정상인에 비해 많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는데 주안점을 두어 실제 우리나라 청각장애인들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 본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은 다른 장애인보다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특성이 있으나 그에 대한 직업교육은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에서 전문수화통역사에 대한 지원부족으로 직업재활에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직업교육의 전문화나 실질적인 수화통역사제도 확립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셋째, 분산적인 청각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기관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이 주체가 된다. 이들 부처는 직업교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제도적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기관의 기능과 역할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상자들에게 시기적절한 직업훈련이나 고용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본 연구는 제시하고 있다. 첫째, 청각장애인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들의 확보가 필요하다. 아울러, 청각장애인 개개인에 맞는 일자리 알선 및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직업유지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적인 수화통역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적절한 직업재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현행 제도 내에서는 전문적인 수화통역사를 배출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 수화통역사를 양성·배출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의 능동적인 개입을 통해 내용과 형식면에서 제도적인 공인화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지원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지원체계가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로 이원화 되어 있어 서비스가 분산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청각장애인에 대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유기적 연계가 부족한 실태이다. 따라서 청각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촉진을 위한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는 어느 특정 요소의 개선을 통해서만 실현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제공되어져야 한다. 즉, 정부정책의 제도적인 변화와 관련 기관에서 일하는 전문 인력들의 의식변화 및 적극적인 협조가 선행되어졌을 때 비로소 실질적인 직업재활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