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책 저작을 위한 동적 폼 기반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

        구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919

        전자책(eBook : Electronic Book)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해 책의 내용을 저장 및 가공한 출판물을 의미하며 저장의 용이성과 휴대가능성 및 쉬운 검색 등의 장점이 있다. 전자책의 문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문서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이며 구조 정보 표현과 교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전자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며 전자책 구조에 적합한 전자책 전용 편집기 또한 아직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의 범용 XML 편집기는 전자책 저작에 편리한 구조 제공과 작성에 쉬운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에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 장르별 구조를 제공하는 폼 기반(Form-based)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작성하기 쉬운 전자책 편집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전자책은 문헌의 특성상 장르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장르의 구조에 따른 폼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폼은 내부적으로는 구조 정보가 표현 가능한 XML로 지원되며 외부적으로 사용자에게는 작성하기 쉬운 폼의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기존의 XML 편집기로 전자책을 작성시 XML 문법에 대한 숙지가 필요한 문제점에 비하여 제안된 시스템은 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종이책(Paper Book)과 전자책(eBook)의 문서 구조를 분석하고 EBKS(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 DTD를 바탕으로 각 장르의 구조를 충실히 반영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구조를 갖는 전자책의 특성을 감안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폼에 동적으로 구조를 추가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폼을 지원함으로 전자책을 효과적으로 저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르별 폼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동적 구조를 제공하여 전자책을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다. eBook is a publication that stored and processed the contents of a book using digital mechanisms and has advantages such as easiness in saving and searching and the possibility of carrying.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used as a standard for eBook documents is a markup language defining document structures and it can describe, exchange and reuse structure information. To activate eBook which has the advantages mentioned above, studies on related techniques are required and a development of an editor exclusive for eBooks which is appropriate for eBook structure is still not adequate. Existing general-purpose XML editor has problems in providing convenient structure for eBook writing and easy interfac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eBook editor providing form-based interface for eBook genre-based structure so that it would be easier for users to write. Especially because eBook has genre-based 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ms for each different genres. Internally, this form is provided in XML which can express structure information and externally, in a form type for users to write more easily Therefore, compared to the problem of having to study XML grammar when writing eBook using the existing XML editor, the proposed system can solve this problem by providing formbased interface. Also, we fully reflect the document structure of eBook based on the analysis of document structures of existing paper books and eBook and EBKS(Electronic Book of Korea Standard) DTD. Additionall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 of eBook which hav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users, we provided the flexibility of adding dynamic forms to the form provided in default so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writing eBooks. Therefore by providing form-based interface according to the genre and dynam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users, eBook can be wrote more easily.

      • 멀티미디어시대에 나타난 책의 특징 연구 : 맥루한의 미디어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조도현 成均館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1919

        오늘날의 커뮤니케이션은 말과 글, 시각과 음성 정보들이 혼합되어 가는 시대이며 그 속에서 우리는 다양한 미디어들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세상을 해석해 왔습니다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형식인 문법(보는 것)을 선택했고, 라디오는 듣는 문법을, 책은 읽는 문법을 선택하는 미디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텔레비전에서는 책의 선형적 구성방식에 스토리를 더하여 ‘읽는 영상’으로 변하고 있고, 라디오는 텔레비전의 보여주기 구성방식을 더하여 ‘보는 라디오’로 변하고 있으며, 책은 텔레비전 방식인 보여주기 구성방식에 멀티미디어를 더한 ‘보고 듣고, 만지는 책’인 전자책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처럼 고전적인 문법 속에서 메시지의 구성방식이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새로운 매체와 텍스트가 나올 때마다 기존의 미디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책은 어떤 매체로 변화되겠는가 라는 점에서 책의 컨셉이 인간커뮤니케이션에서 부활하느냐와 다시 옛날 책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느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오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마샬 맥루한이 얘기한 ‘자동차의 뒷거울을 보며 차를 앞으로 운전하고 있는 모습’은 새로운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그 안의 메시지도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다양한 미디어가 통합되고 융합되어지는 과정의 시대에 있어 텔레비전, 라디오, 책의 형식인 매체의 개념이 이제는 One Source Multi Use와 One Source Multi Product 라는 새로운 상호작용적 교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가고 있음을 뜻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신기술들, 구술(언어)시대 → 문자시대 → 영상시대 → 0,1의 디지털 시대에 있어 이제는 전화를 보며, 방송을 읽고, 책을 듣고 보는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일들이 하나로 융합되어지는 복수감각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그 속에서 책은 선형적 방식의 문법이 깨지며 비선형적 구조와 함께 양방향적 상호작용 미디어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시대(인쇄)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종이책’이 이제는 ‘읽는 책’이 아닌 ‘보고 듣는 책’인 전자책으로 변화하는 책의 특징과 함께 이전시대의 차별적 특성을 찾아보고, 그 속에서 미디어가 갖는 매체철학의 방향은 무엇인지를 멀티미디어시대 안에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결국 멀티미디어 사회의 모습도 서로의 연결을 갈망하는 인간의 본성에는 변함이 없이, 인간과 미디어가 밀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단위를 이루고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사회를 구성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오관을 사용하는 미디어의 통합적․융합적 모습으로, 메시지의 융합으로부터 그 진정성을 찾을 수 있고, 이러한 메시지는 인간 본연의 구술적 의사소통 양식으로 점차 발전해 나갈 것이기 때문에 인간성 회복의 가능성은 보다 높아질 것입니다.

      •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지도 방안 연구

        허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낭독극을 활용해 그림책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림책은 문학과 미술이 조화를 이루는 예술작품이다. 간결한 글과 매력적인 그림의 조화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이러한 그림책을 감상하는 일은 학생들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책에 담긴 풍부한 삶의 이야기와 미적 체험은 학생들에게 아름다운 정서와 상상력을 체험하게 한다. 그림책을 통한 간접 경험은 학생들에게 삶의 깨달음과 즐거움을 주며 올바른 가치관을 갖게 해준다. 특히 초등학교 4학년은 음독에서 묵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학습독서가 시작되며 개인차가 두드러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그림책은 문학의 본질에 쉽게 접하고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어야 하며, 자신의 경험과 연결하여 읽으면 가치와 태도 변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이러한 그림책의 특징을 고려하여 그 속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글의 분위기를 살려 실감 나게 낭독하면 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낭독극을 통한 그림책 지도는 학생들이 세상에 대한 이해와 사고의 폭을 넓혀 삶을 변화시키는 힘을 갖게 하고, 말하기 능력, 이해력, 문제 해결력, 표현력의 신장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먼저 그림책과 낭독극의 개념과 특징, 교육적 가치에 살펴보고, 그림책 지도를 위한 낭독극의 교육적 효용성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요구와 흥미에 부합하는 그림책을 선정한 후,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교수·학습 모형을 5단계로 구안하였다. 1단계 그림책 탐험하기, 2단계 그림책 인물 체함 하기 단계, 3단계 낭독극 준비단계, 4단계 낭독극 실연 단계, 5단계 생각 공유하기 단계로 구성하였다.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교수·학습 모형의 각 지도 단계에 따라 적합한 수업 전략과 활동 방법을 제시하였다.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수업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였다. 짧은 분량은 독서에 부담을 줄이고 그림의 다양한 기법은 학생들이 몰입할 수 있게 해주었다. 둘째,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고 창의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며 읽게 해주었다. 글의 줄거리, 인물의 성격 등을 파악함과 동시에 낭독을 통해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더 발전시켰다. 셋째, 학생들은 낭독극을 통해 인물에 감정을 넣어 읽음으로써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림책에 드러나지 않은 장면을 상상하여 낭독함으로 등장인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은 간접적으로 만나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실제 자신의 경험과 연결하여 인물의 감정을 느끼며 적극적으로 읽었다. 즉 그림책은 학생들의 내면세계와 삶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수업은 그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낭독극을 통해 즐겁게 그림책 수업에 참여하고 그림책을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깊이 있는 그림책 감상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소리 내어 읽는 경험을 통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고 구성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그림책을 읽고 머릿속으로 상상할 때보다 낭독을 통해 직접 표현할 때가 그림책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낭독극을 통해 이야기 속 인물의 정서와 감정교류를 통한 공감적 이해를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낭독극을 활용한 그림책 수업은 자기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세상에 대한 이해와 사고의 폭을 넓혀주고, 삶을 변화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아나 초등 저학년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그림책 지도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icture book teaching/learning model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by using a Readers Theater for 4th graders. Picture books are works of art that harmonize literature and fine art. The story unfolds in harmony with concise text and attractive pictures. Appreciating these picture book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The rich life stories and aesthetic experiences contained in picture books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beautiful emotions and imaginations. Indirect experience through picture books gives students realization and enjoyment of life and gives them the right values. In particular, reading study begins as the transition from reading to silent read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are remarkable in the four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Picture books of this period should allow them to easily contact with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feel pleasure and reading in connection with your own experienc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values and attitud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understanding what it contains and reading aloud feelingly using the character's character and the atmosphere of the writing,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book better. Picture book guidance through readers theater gives students the power to change their lives by broadening their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ir speaking ability, comprehens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xpressiveness. Prior to researching a plan for effectively teaching picture books using readers theater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guidance pla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aft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nd readers theater, and educational value was reviewed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readers theater for picture books was discussed. After selecting picture books that meet the needs and interests of students, a picture book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readers theater was constructed in five stag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first step is to explore picture books, the second step is to pretend to be a picture book character, the third step is to prepare readers theater, the fourth step is to demonstrate the readers theater, and the fifth step is to share thoughts.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nd activiti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each instructional stage of the picture book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readers theater. The results of the picture book class using aloud are as follows. First, picture books motivated 4th graders to have fun reading. The short amount reduced the burden on reading, and the various techniques of painting made the students immerse. Second, the 4th grader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icture book class using the readers theater and it was allowed us to grasp the meaning of the text and to construct and read the meaning creatively. While grasping the plot of the text and the character's personality, understanding of the text was developed through readers theater. Third,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s the characters faced by reading them with emotions through readers theater and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s by imagining and reading the scenes that are not revealed in picture books. Fourth, the students actively read while feeling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connection with their actual experiences by the story they met indirectly. In other words, picture books play a role in changing the inner world and lives of students. By verifying the picture book class and its effectiveness using the readers theater, it is great significance to find way of participating of students in picture book classes happily through readers theater and appreciating that by connecting picture books with your own life. This study provided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ext through the experience of reading aloud. It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picture books when expressing through reading rather than when imaging it in head. Because you experience empathic understanding through the exchange of emotions with characters in the story by readers theater. Picture book classes using readers theater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change lives by actively expressing your thoughts and feeling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 follow-up study will be conducted on a picture book instructi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of various ages as well as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성인의 그림책 창작을 통한 전환학습 사례연구

        심소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그림책분야 특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을 대상으로 그림책 창작을 통한 전환학습 사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그림책 창작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이러한 그림책 창작 경험을 통한 성인의 전환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연구문제로 정하여 그림책 창작을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전환학습이라는 이론적 근거로 탐색하였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I지역 S공공도서관에서 그림책분야 특화프로그램으로 지역주민 15명이 함께 그림책 만들기, 북콘서트 및 전시회 과정을 이수하는프로그램이었다. 연구참여자는 프로그램 참여 후 그림책출판까지 진행하게 된 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의 강사로 본 연구를 참여관찰하며, 면접, 북콘서트, 전시회 등 작품 결과물과 관련 신문기사, 홈페이지 등을 보충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그림책 창작 참여 경험은 첫째, 그림책 창작은 개인의 욕구로 개인의 그림책을 만들기 위해 시작하였지만 그림책 창작과정의 어려움을 겪으며 학습 참여자들끼리 정서적으로 서로 의지하며 학습과정을 이끌어 나가면서 마무리까지 한다는 것이다. 학습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관계형성과 다양한 경험 등을 통해서도 관점전환과 행동변화가 일어나는데 이성적 측면과 정서적·실천적 측면의 전환, 즉 전체적인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둘째, 그림책 창작 경험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그림책출판과 동시에 그림책작가라는 직업이 생기고 책이 팔리면서 적은 금액이라도 경제적인 활동이 시작되는 것에 큰 의미가 있었다. 그림책을 구매해준 소비자에게 인정받음으로써 그림실력에 대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림책작가 즉, 예술가로서의 책임감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성인 학습자가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된 사고나 관점에서 극적인 사건 또는 점진적이고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좀 더 포용적·개방적·성찰적이고 분별력 있게 변화되는 모습에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책 창작을 통한 전환학습은 ‘그림책 동상이몽’, ‘하얀 도화지 위의 나’, ‘너와 나, 통(通)하는 글 그림’, ‘그림책으로 여는 새로운 지평’으로 표현하였다. ‘그림책 동상이몽’에서는 개인적·환경적 원인으로 정신적ㆍ육체적인 부담과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혼란스러움의 의미로 ‘이상과 현실사이’, ‘정서적위기’로 구분하였다. ‘하얀 도화지 위의 나’에서는 스스로의 한계와 혼란스러운 환경을 동료들과 강사와 대화를 통해 직면함으로써 ‘객관적 인정’을 하고 ‘목표를 재설정’하면서 본격적인 프로그램에 집중하게 된다. ‘너와 나, 통(通)하는 글 그림’에서는 다양한 정보와 프로그램을 통해 주변에서부터 이야기를 찾아나가는 ‘관심과 관찰의 힘’을 알게 되고 글과 그림의 다양한 ‘표현의 기술’을 익히면서 자신감을 갖게 된다.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만드는데 소극적이었던 태도를 벗어나 자신의 잠재력을 깨우면서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여 그림책에 담고 싶어 하는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하면서 그림책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그림책으로 여는 새로운 지평’에서는 그림책출판과정이라는 어려운 과정을 그림책이라는 결과물로 성취하면서, 그림책작가로서의 ‘새로운 역할 획득’과 동료의 의견을 수렴하여 책을 만들고, 독자와의 대화를 통해 새로운 책을 쓰는데 반영하려고 하는 수용적인 자세로 변화한다. 이처럼 ‘열린 마음의 변화’는 부모로서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또래의 학부모들에게도 부러움을 사며 닮고 싶은 롤모델이 되면서 함께 학습을 경험하고 싶은 유명인사로 인식되는 되었다. 이처럼 자신도 도전하면 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인식변화와 주변인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수용적인 태도는 타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이제까지 학습참여자였다면 이제는 다른 학습참여자들을 위해 마을공동체의 기획자 그리고 지역동아리 대표자로 ‘새로운 시도와 도전’으로 실천적 행동을 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그림책분야 특화프로그램을 사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위한 하나의 발전된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지원할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cases of transition learning through picture book creation, focusing on adults, who participated in a special program on picture books in the public librar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First, what kind of experience is participating in creating picture books for adults? Second, how is the transition learning in adults happening through this experience of picture book creation? These were the problems identified, and they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s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reating picture books and explored the theoretical basis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 research used the case study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t was a program stretching from May to November of 2019 at the S public library of area I, where 15 locals participated in making picture books, picture book concerts, and exhibitions together. 4 program participants who,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nt on to picture book publishing were chosen to b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and observed the picture book creation as an instructor and used things such as interview, book concert, and exhibition results, as well as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websites as supplementary material. This wa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in picture book creation. First, picture book creation started as individually making a picture book based on individual desire, but as the learning process was so difficult, the participants started depending on each other emotionally and leading each other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 change in perspective and behavior also happens through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various experiences that occur in learning situations, which implies an emotional, rational, and practical transformation, basically a total transformation. Second, in the picture book crea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ts put great meaning in their book selling and starting economic activity, even a small amount, as the job of picture book writers and picture book publishing appeared. This changed into a consumer buying their picture book being a recognition of their ar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feel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picture book writer, no, an artist. This is consistent with results of previous study results where adult learners can go from their pre-existing fix thoughts or perspectives to a more inclusive, open, reflective, and sensible change through dramatic events or meaningful experiences. Transitional learning through picture book creation was expressed through ‘Picture Book Dongsang Imong’, ‘Me on White Drawing Paper’, ’Painting, You and I, Communicate Through Painting‘, and ‘A New Horizon Revealed through Picture Books’. In ‘Picture Book Dongsang Imong’, it was divided into ‘between ideal and reality’ and ‘emotional crises’ to mean the confusion while experiencing mental and physical burden or stress from personal and environmental reasons. In ‘Me on White Paper’, they focus on the program by ‘objective recognition’ and ‘resetting of goals’ through confronting their own limitations and chaotic environment through conversations with colleagues and instructors. In ‘You and Me, Communication Through Painting’, they learn, through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the ‘power of interest and observation’ by finding stories starting from their surroundings, and they gain confidence from learning various writing and drawing ‘expressive skills’. They break away from the passive attitude when making their story into a book and gain an active attitude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nting to awaken their own potential and include a variety of thoughts into their book. In ‘A New Horizon Revealed through Picture Books’, one can see the positive impact they have on their children as parents through gaining a ‘more receptive attitude’ through conversations with peers and readers, in addition, to ‘gaining a new role’ by accomplishing the end result of a picture book by going through the difficult process of publishing a picture book. They also became the envy of other parents and somewhat of a celebrity that they want to learn with, a role model they wanted to emulate. As a result of this change in self-awareness and changing perception of the receptive surroundings, research participants took practical action with’ new trails and challenges’, now as planner of a town community and a representative of a local club for other learners, in contrast before where they were the learn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al program on picture books at the public library as a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suggest the need to improve and support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s so that public libraries can grow into a developed culture and arts center for local communities.

      •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한 '자기 이해' 경험 연구

        신선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인간은 모든 것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또한 인간은 의미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과 주변 세계를 살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인간이 낱낱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할 때 그 경험은 비로소 이해되고 활용될 수 있는 지식이 된다. Ricoeur(1984/2000, 1985/2004)는 모든 인간의 행위는 이야기되어야만 충만한 의미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인간은 텍스트를 매개로 이야기를 구성함으로써 자신을 이해하고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고 말하였다(노영희, 윤민하, 2018, pp. 57-69, 재인용). 본 연구는 연구자의 그림책과 이야기공책, 일기 등의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한 자기 이해 경험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창작 과정을 통해 어떠한 자기 이해의 경험을 가질 수 있는가? 둘째, 그림책 창작 과정으로 한 자기 이해 경험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이 된 그림책은 연구자가 창작한 7권의 그림책이다. 그림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과 같다. 그림책 『개가 된 아빠』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개가 된 아빠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림책 『그녀이야기』는 다른 닭과 함께 살지만 자신의 삶을 지키기 위해 밤마다 일어나 연습하는 어떤 암탉의 이야기이다. 그림책 『하루살이 살림법』은 삼일 정도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살림비법과 더불어 이틀 정도 지나면 얻게 되는 살림의 고단함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림책 『이모가 웃는다 환하게』는 사랑하는 이모의 장례식에서 있었던 일과 함께 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어른은 참 쉽겠다』는 어른이 되었지만 어른스럽지 않은 어느 어른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책에서 주인공은 어렵지만 어른생활을 해보겠다는 다짐을 한다. 그림책 『두 사람』은 사람의 이중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림책 『진짜 재미없어』에서는 주인공이 갑자기 혼자만의 시간을 얻게 되고 그 시간이 지루하기만 하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본 연구에서 알게 된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한 자기 이해 경험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하여 연구자는 자기 포용 경험을 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그림책을 통하여 자기 이해 범위가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변화하는 자아의 정체성을 포용하게 되었다. 둘째,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하여 연구자는 타자를 이해하고 공감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그림책에 있는 경험을 타자와 공유하면서 깊이 있는 소통이 이루어졌다. 또한 그림책을 만들고 읽으면서 그림책 주인공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범위가 연구자 자신에서 타자까지 확장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연구자는 타자를 자기 이해의 범위 안에 넣을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창작과정을 통하여 연구자는 갈등이나 억압된 감정을 현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창조적인 형태로 바꾸었다. 또한 연구자는 그림책 창작이라는 안전한 방식을 사용하여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술교육은 표현과 소통을 통해 자아와 세계를 이해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습으로 존재해야 한다. 이는 그림책을 통하여 자기가 확장되고 타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사회와 세계 안에서 자기를 자기답게 정착시키는 것과 같은 맥락 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그림책의 서사적 특성 연구 : <괴물들이 사는 나라>를 중심으로

        박선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논문의 목적은 그림책의 서사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반성적으로 검토하면서 새로운 논의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을 만드는 것이다. 그림책의 서사에 대한 기존 논의들은 서구의 플롯 이론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림책 서사의 가장 중요한 핵은 완결성과 통일성이며, 이 기준에 맞는 그림책에 대해 좋은 그림책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림책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서사와 달리 그림과 글이라고 하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기호로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책이라는 사실이다. 그림과 글은 마치 동그라미와 네모와 같은 것으로, 이 두 가지의 상이한 기호로 쌓아 올리는 구조물은 필연적으로 군데군데 벌어진 틈과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그림책의 서사는 태생적으로 서사적 완결성과 통일성과는 거리가 멀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그림책 연구자들은 그림책에서 무리하게 서사적 완결성과 통일성을 찾으려 하고, 나아가 그림책을 만드는 작가들에게 그것을 요구하기까지 한다. 그림책 연구자들은 글과 그림이 어떠한 관계 맺음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며, 이러한 의미가 얼마나 체계적으로 전체 서사를 향해 치밀하게 결합해 완결된 의미를 만들어내는지에 주목한다. 그들은 그림책의 판형과 디자인 등의 외형적 요소들과 그림이 펼쳐내는 양식적 특징, 그려내는 시각적 대상들의 형태와 움직임, 글과 그림의 관계 등 그림책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그림책 전체 서사의 의미 구성에 주력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그림책의 각 장에 표현된 글과 그림은 완결된 통일성을 향해 촘촘하게 엮여 있지 않다.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그림책은 그 둘의 극명한 차이로 인해 플롯 이론의 기본기를 온전히 품을 수 없다. 그것은 그림의 기본 속성인 잉여성 때문이다. 그림의 잉여성으로 인해 그림책의 그림이 만드는 서사는 플롯 이론의 기본 속성인 통일성과 완결성의 개념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다. 그림은 글의 의미를 벗어나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 때문에 전체 서사에서 벗어나는 이야기들을 만든다. 독자는 이러한 그림의 잉여성을 즐기기 위해 몇 번이고 그림책을 다시 펼쳐 그림책의 그림을 즐기는 것이다. 그림책의 서사는 이러한 잉여성으로 인해 더 풍성한 이야기를 품는다. 그림의 잉여성은 그림책이 갖는 기본적인 속성이며, 그림책의 서사적 특성을 설명하는 열쇠인 것이다. 즉, 그림책은 서사의 정교함을 따라가는 책이 아니라 그림이 펼쳐내는 정교한 서사를 즐기는 책이다. 때문에 독자는 전체 서사를 다 읽고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그림책의 어느 부분에 멈추어 확장된 서사를 즐긴다. 이것은 우리가 전체 서사를 다 알면서도 반복적으로 읽고 있는 옛이야기책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옛이야기책은 전체서사를 즐기기 위해 펼치는 책이 아니라 장면의 확장을 즐기는 책이며, 그림책은 옛이야기책처럼 전체서사보다는 확장된 부분의 서사를 즐기는 책이다. 때문에 우리는 전체 서사를 훑어 읽은 후 몇 번이고 반복적으로 그림책을 열어 그림이 펼치는 부분의 서사를 즐기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책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그림책을 평가하는 기준에도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 동안 그림책이 글과 그림이라는 두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글과 그림의 관계 맺음에 의해 탄생하는 의미 찾기에 집중해 그림책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훌륭한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얼마나 치밀한 관계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 나가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였다. 그러나 글과 그림의 이질적 속성으로 인해 아무리 글과 그림이 하나의 의미 만들기에 주력한다고 해도 그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림의 잉여적 속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림 언어의 기본적인 속성을 덮어둔 채 반쪽짜리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다. 그림의 잉여성을 전제한 장면의 확장과 부분의 독자성을 인정한다면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그림책에 대해 훌륭한 그림책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독법과 해석은 독자가 그림책의 세계를 보다 폭넓게 인식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현대 그림책 작가들에게 더 많은 기회의 장을 열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flectively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narrative of picture books and to create a starting point for moving forward to a new discussion. Existing discussions about picture books are based on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ory. For this reason, completeness and unity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nucleus when the narrative of picture books is analyzed. Therefore, whether picture books are good for readers depends on following this standard. Nevertheless,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picture books are an art form based combination of two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verbal with symbols and the visual which are unlike general literary works. Meanings and textual messages of a picture book that can be found might be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and the verbal as it inevitably have gaps and overlapping parts. Therefore, the narrative of picture books is inherently far from narrative completeness and unity. Nevertheless, narrative completeness and unity in picture books are considered essential and it is even demanded to those who have been composing picture books until now. Picture book researchers pay attention to how the meanings are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and the visual, and how systematically these two are closely combined to create complete meanings. They focus on the composition of the meaning of the entire picture book's narrative, such as external elements such as the plate shape and design of a picture book,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the shape and mov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raw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and the visual. In essence, however, the texts and pictures expressed in each chapter of a picture book are not tightly intertwined toward a complete unity. Picture books composed of the verbal and the visual cannot fully contain the basics of plot theory due to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the two. It is because of the surplus attribute, which is the basic attribute of the picture. Due to the surplus nature of pictures, the narrative created by pictures in picture books has no choice but to escape from the concept of unity and completeness, which are the basic properties of plot theory. Pictures contain information that goes beyond the meaning of the verbal, which makes stories that deviate from the entire narrative. In order to enjoy the surplus properties of these pictures, a reader can read a picture book again and again and enjoys the picture in the picture book. The narrative of the picture book has a richer story due to this surplus attribute. The surplus attribute of a picture is a basic quality of a picture book and is the key to explain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 picture book. In other words, a picture book is not a book that follows the elaboration of a narrative, but enjoys the elaborate narrative unfolded by pictures. Therefore, even after reading the entire narrative, the readers can go back to the beginning and stop at a certain part of the picture books and enjoy the expanded narrative. This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old storybooks that have been read repeatedly even though we know the entire narrative. An old storybook doesn’t enable readers to enjoy the whole narrative but the expansion of the scene. Like an old storybook, a picture book makes readers enjoy the narrative of an extended part rather than the whole narrative. Because of this, we read the entire narrative and open the picture book over and over again and enjoy the narrative of the part that the picture unfol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 new discussion is needed for the criteria for evaluating picture books. In the meantime, since picture books use two mediums of writing and painting, it has been common to analyze and evaluate picture books by focusing on finding the meaning cre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and the visual. A good picture book was a matter that was determined by how closely the verbal and the visual constructed the meaning. However, due to the heterogeneous nature of writing and painting, it is essentially impossible even if text and painting focus on making one meaning. If the redundant properties of pictures are not admitted, it is natural to make a half evaluation with the basic properties of pictorial language unrevealed. If the expansion of the scene that presupposes the surplus property of the picture and the identity of the part are acknowledged, the picture book that leaves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can be evaluated as an excellent picture book. Such reading and interpretation can help readers to recognize the world of picture books more extensively, and open more opportunities for contemporary picture book writers who are making various attempts.

      •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중학교 가정과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김상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1학년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 적용할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학생의 수업평가와 연구자의 자기반성, 책만들기 결과물에 대한 내용분석 등을 통해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5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와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해설서와 기술ㆍ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총괄학습목표를 설정하여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구성하고 학생평가와 검사도구 설계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 개발단계에서는 PBL 문제와 교수ㆍ학습 과정안, 학습자료, 교사용 참고자료, 학생용 평가도구, 검사도구 등을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2011년 9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5학급 167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3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신체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변화에 미친 수업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용 설문지의 개방형 응답과 책만들기 결과물은 질적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 적용할 3차시 수업을 위한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전개과정은 문제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자료탐색 및 문제해결, 결과 발표 및 태도 형성, 책만들기 활동 및 평가의 5단계로 구성하였다. 학생용 학습자료 15부, 파워포인트 1편, 교사용 참고자료 9부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신체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사후 평균 점수가 사전 평균 점수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신체불만족이나 왜곡을 줄이고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를 가지는데 도움을 주었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적게 인식하고 내면화되게 하여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바람직한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 연구자의 수업에 대한 반성, 책만들기 결과물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는 수업시간의 부족과 과제 제시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수업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살펴보면, 한정된 수업시간과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에 수업의 적용, 연구자와 학생들과의 유대감 부족, 학습자간 수준 차이 등으로 인해 적용의 한계를 경험하였고, 앞으로 보완할 점으로 정규 교과시간에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하여 담당교사에 의한 수업의 적용을 제시하였다. 책만들기 결과물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리정연하게 정리하였으며, 자기표현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개발된 교수ㆍ학습 과정안이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의생활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교사의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생의 피아제 인지발달에 따른 증강현실 (AR) 그림책사용에 관한 연구 : - 상하이시 푸둥구를 예로 -

        진엽정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919

        책을 읽는다는 것은 인류가 지식을 얻는 중요한 경로이며 그림책은 어린이들의 관심에 가장 적합한 도서 형태로서 아이가 정신세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지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전면적으로 도와준다. 글로벌 교육의 정보화와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학기술과 일반그림책을 결합한 새로운 출판물인 AR그림책이 탄생했다. AR그림책은 학습정보와 현실을 결합해 일반그림책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시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적인 상호작용방식을 통해 어린이의 관심을 끌며, 어린이의 흥미 있는 다감각, 다차원적인 체험을 제공하여 더욱 몰입감을 주고 학습효과를 높이게 한다. 현재 증강현실(AR)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AR그림책은 AR그림책 제품개발에 비해 어린이 교육에서의 활용 상황, 보급 상황, 그리고 만족도와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적고, AR그림책 응용의 이론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학령기 아동(7-12세)은 구체적인 형상사고에서 추상적 사고로 전환하는 단계에 있으며 증강현실 (AR) 기술의 적용은 어린이의 인지적 특성에 부합한다. 본 연구는 AR그림책의 학령기 어린이에서의 사용현황을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여 AR그림책의 학령기 어린이에서의 보급현황 및 사용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찾아내었다. 본 연구결과 현재 중국 초등학생의 AR그림책 사용률이 50% 미만으로 AR그림책의 초등학생 중에서의 보급률이 높지 않고, 학부모는 아이 본인 혹은 선생님의 추천으로 AR그림책을 접촉하는데 이는 어린이의 집단 활동이 AR그림책의 전파에 도움이 되고 학부모 자신의 학습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저학년의 AR그림책 구매율이 고학년보다 높다는 점은 취학 전 어린이가 학령기 어린이로 전환한 것과 연관되며,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AR그림책은 저 연령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외에 젊은 부모들이 간편하고 과학기술적인 디지털교육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AR그림책 구매는 제품의 품질 및 학부모 성별, 연령, 접촉 경로, 구매 동기, 가격 등의 영향을 받으며, 일부 학부모는 AR그림책이 시력을 손상시킨다고 하여 구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AR그림책의 다양한 접근방식은 어린이 학습의 적극성과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학부모가 아이와 함께 읽고 토론하는 것은 영향이 더욱 크다. 사용효과에 대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AR그림책은 어린이의 인지, 감정,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부모의 과반수가 구매 및 사용한 AR그림책을 인정하며, AR그림책의 미래에 대한 비교적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으며, AR그림책의 발전에 대해 의견과 건의를 제출하였다. 어린이의 나이 특성에 맞는 어린이의 세계인식, 자기인식, 안전교육, 환경과의 조화 그리고 좋은 품행육성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상품을 많이 개발할 것을 건의하고자 한다.

      •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조정은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o, Jung Eun Librarian Education, Dept. of Pedag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targeted 1 control group and 1 experimental group each from the 3rd, 4th, 5th grades of K elementary school in Uijeongbu Gyeonggi-do.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were conducted on the three control groups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Furthermore, the students from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picture book reading for three weeks which spanned from April 19 to May 9 2016,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did not receive any special reading activities.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conducted during the morning self-study period and involved mothers, who were members of the mother’s club, reading for a total of 9 twenty minute sessions. Subsequently, a post test was conducted o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three control groups, by using an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The results revealed the control group as not having a significance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relatively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the experiment, which proves that the book reading activity help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lso, the girls in the control group display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e boy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girls displayed relatively greater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e boys. 국문요지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조 정 은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3학년, 4학년, 5학년 각 학년별로 통제집단 1개 학급과 실험집단 1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에는 통제집단 3개 학급과 실험집단 3개 학급 모두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학생들 3개 학급은 2016년 4월 19일부터 5월 9일까지 3주간 그림책 읽어주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특별한 읽기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은 아침자습시간에 실시했으며 각 학급에서 책 읽어주는 엄마 동아리 회원이 20분을 1차시로 하여 총 9차시로 진행되었다. 그 후에 다시 통제집단 3개 학급, 실험집단 3개 학급 모두다 정서지능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은 정서지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상대적으로 높은 정서 지능을 보여 초등학생의 책 읽어주기 활동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통제집단의 경우는 사전검사에서 정서지능이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게 나타났어도 그 차이는 미세하였는데,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 검사에서 그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

        임병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된 ‘독서 단원’을 지도할 때, 그림책을 활용한 교과 연계 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된 ‘독서 단원’은 책 한 권을 긴 호흡으로 읽고, 듣고, 말하고, 쓰는 활동을 하며 관련 성취기준을 통합해 배우도록 구안된 특별 단원을 말한다. ‘독서 단원’을 중심으로 각 교과 간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문학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그림책을 활용하여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독서 단원’의 설정 근거 및 구성 방향을 통해 여러 교과가 통합되어 가르쳐져야 하며, 그 통합의 시작이 그림책과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밝혔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독서 단원 설정의 근거 및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국어 교과서 독서 단원 구성 방향을 살펴본 결과, 독서 단원인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이미 통합의 필요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목표는 삶의 연속성 위에 독서 경험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독서 경험의 내면화는 학생들이 한 권을 수업 시간에 읽고 그들의 삶에 울림이 생기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도 다른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독서 단원’을 국어 교과서 안에만 머물게 하지 않고, 다른 교과에까지 독서 경험이 이루어지는 교과 통합을 할 필요가 있다. 교과간 통합을 위한 자료로 그림책이 유효하다. 그림책은 학생들의 경험과 쉽게 연결할 수 있고, 즐거움과 감동이 있으며, 독서를 통해 끊임없는 의사소통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Forgarty(1995)의 거미줄형에 근거하여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Forgarty(1995)의 거미줄형은 교과를 통합하기 위한 주제적인 접근 방식으로,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교과를 연관시켜 조직할 때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통합 유형은 ‘독서 단원’을 처음 접하게 되는 교사에게 쉽게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교과 내용의 연관성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중심 주제는 2015 개정 3~4학년 교육과정 및 3학년 1학기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중심 주제에 맞게 선정된 그림책은 교과 통합 수업을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구심점으로 작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순서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먼저, 연구자는 2015 개정 3~4학년 교육과정 및 3학년 1학기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을 확인하고, 단원별 교육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 도덕,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과 속 관련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통합 중심 주제는 ‘공감’이었다. ‘공감’이라는 주제 속에는 그림책을 만나 공유하고, 공감하고, 감사와 사랑을 느끼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그림책으로 권정생 글, 김환영 그림의 문학 그림책 ‘빼떼기’를 선정하여 국어과 독서 단원을 중심으로 독서 준비-독서-독서 후 활동 속에 여러 교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60차시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수업은 그림책을 생활 속으로 가져오게 하였고, 깊이 있는 독서를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의 독서 습관 지속 및 내면화를 이끌어 내었다. 기존의 독서처럼 각자 글을 읽거나, 글과 그림을 혼자 보고 넘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하며 여러 교과 속에서 그림책을 연관 지어 천천히 오래 그림을 통해 느끼고, 글을 통해 생각한 과정들은 학습자의 경험과 공유할 수 있는 추억으로 쌓인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또 다른 책을 꺼내게 되고, 함께 책을 더 자주 찾게 만들어 주었다. 둘째, 국어과를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문제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공감능력 및 협력적 태도가 골고루 신장되어 전인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학습자의 흥미를 높여 학습자를 즐겁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유기적으로 연관된 교과 통합 수업은 여러 교과의 교수학습 이해력을 높여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 단원’ 중심의 교과 통합 수업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더욱 신장시켜 주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에 도입된 ‘독서 단원’은 교사가 독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주체성을 부여받은 것으로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좋은 그림책을 교재 삼아, 초등 교사로서 여러 교과간의 벽을 허물고, 즐거움과 상상이 가득한 수업,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수업, 경험이 풍부한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