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남천 소설의 창작기법연구 : 일제말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우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14

        본 연구는 일제말기 김남천 소설의 창작기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의 선행 연구는 주로 김남천의 리얼리즘이론과 창작방법을 연관 지어 작품에 대입시키는 방식을 통해 소설을 분석하여 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남천의 창작기법이 어떠한 영향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는가, 이러한 기법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김남천의 특정 창작기법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을 고찰하였다. 일제말기 김남천의 주요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작기법은 초점의 복수화 전략과 우회적인 글쓰기 양상이다. 이는 그간 비평과 연관 지어 리얼리즘적 관점에서 해석해왔던 김남천의 소설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첫 번째로 타자의 시선을 작품 내에 도입하는 복수 초첨화는 하나의 작품 안에 다양한 초점화자의 진술이 이루어지는 형식이다. 따라서 작중 사건을 서술자의 단일한 시각으로 해석해 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해석하는 발화가 이루어진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복수 초점화를 통해 발화하는 인물들이 주로 여성계층과 같은 하위주체라는 점이다. 이는 김남천이 카프 운동이 지니는 단의성과 남성 지식인 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 타자의 시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토론 형식의 담화는 다양한 초점 화자들의 의견이 진술됨으로써 작품 내에 다양한 담론들이 상호 공존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국가가 권위주의적인 방식으로 개인 생활 전반을 정치·사회·문화·경제에서 통제하려 하는 파시즘 앞에서, 당대의 파시즘 논의를 객관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다성성 구현의 창작기법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우회적인 글쓰기 양상은 다시 서간형식의 소설과 일기형식의 소설로 구체화 된다. 복수의 수신자를 둔 서간형식의 소설에서는 수신자의 신분에 따라 일관되지 않는 답장을 통해 당대 문학의 한계와 체제 비협력의 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일기 형식의 소설에서는 주요 사건과는 전혀 관계없는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당대 상황에 대한 비협력의 저항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김남천이 현실을 바라보는 복잡한 태도는 하나의 사건을 대하는 작중 인물들의 시선을 통해 모든 것을 획일화하려는 체제와 의도를 분열시킨다. 이는 분열된 자아의 모습을 드러냄과 동시에 획일화된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며, 주체의 동일성을 보장하는 파시즘의 시선에서 벗어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한 인물의 정체성은 자신이 규명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시선에 의해서 규정된다는 의식으로부터 비롯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주체의 정립은 상황과 조건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고, 그에 대한 판단 역시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말기 김남천의 창작기법은 그에게 있어 단지 형식적인 선택의 문제가 아닌 작가의식의 반영이다.

      • 肖像畵의 意象 表現과 創作 技法 硏究 : 硏究者 作品을 中心으로

        후지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96

        The change of Chinese portraits stems from the continuous perfection of the functional role and creative concept of traditional portraits in history. Contemporary portrait creation is deeply influenced by Western painting conception. How to re-understand the self-adjustment and re-position of portrait paradigm in contemporary art context is a question worth pondering.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whether the traditional theory of portrait painting and how much it has been preserved and what has changed in today's portrait painting.The exploration of key conceptual issues in traditional portraits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portraits.In this paper, we use literature research, imaging and image contrast methods to brush up the techniques and image representations in portraits.In this paper, the concept of" external image" is put forward in two meanings, one is portrait painting, the other is physiognomy, the other is physiognomy, the other is the homophony of physiognomy, the relation between physiognomy and portrait is close."Images" refer to the imagery of portraits.The researchers will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re ideological content in the portrait and discuss the concrete presentation of the portrait's" imagery", find the limitation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portrait. Therefore, this paper mainly expounds from the aspects of portrait, physiognomy and imagery.First, the concept of portrait painting and the origin of history are summarized, and the change of concept and style of portrait painting is used as a research point, and the development of portrait painting in the western learning background of western studies in Ming and Qing Dynasties.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physiognomy and portrait painting is discussed in detail, and the observation method of physiognomy is applied in the conversion creation of portrait painting.This paper expounds the interaction and expression of portrait, physiognomy and imagery in the application of portrait painting, and studies the deep meaning of portrait painting from the viewpoint of color, form divinity and imagery.Thirdly, the concept of" imagery" in aesthetics is briefly summarized, and the main point of the article is to study the aesthetic concept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k throughout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imagery" in portrait works through the expansion of language and case studies.The last chapter mainly focuses on the researcher's portrait series of works, demonstrating and reflecting on the creative practice.In this chapter, the theory of portrait creation, technique and image representation of Chinese and Western painting cultures collide with each other in modernity, and how to choose the fusion of Western painting concept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spirit.Tradition and Artificial Portrait Works by Researchers Portrait concepts contrast with each other, an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usion of Chinese and Western art, we need to remove the scraps and retain the essence.Of course, it does not accept the traditional concept of creativity as a whole, but reorients it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ortraits from a Western perspective, so as to integrate Chinese and Western painting concepts. He development of Chinese art was influenced by Western art, but the basic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concept remained unchanged, such as the theory of the Six Laws, the painting of gods in figures, the combination of shapes and gods, and the form of images. Thi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Western art theory, and it is something that Chinese art must uphold and inherit.In the era of diversified art, it is especially important how to grasp the "degree" in it.The ultimate goal of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multicultural art is to find a way of constructing paintings i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painting. 중국 초상화의 변천은 역사의 흐름 속에서 전통 초상화가 시대적 배경의 기능적 역할을 다하는 동시에 창작이념에서도 독자적인 작업방향에 대한 끊임없는 시도와 보편성을 추구한 결과에 따라서 변천해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초상화는 서양회화 기법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다. 이러한 현대예술의 흐름 속에서 초상화의 범례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자신의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정립하는 것은 고려해 볼만한 문제이다. 중국의 초상화가 창작의 측면에서 어떻게 발전하였는지, 그 발전과정에서 기존의 초상화이론과 화법의 체험 등이 현대 초상화 창작에서 얼마나 유지되고 있는지, 또 무엇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등은 초상화 창작에서 생각해 볼만한 문제들이다. 또한 초상화 창작의 심미의식을 재고하고, 회화적 관점에서 전통적 이론과 기법을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 전통 초상화의 핵심개념에 대한 탐구는 현대 초상화의 계승과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 도상학 분석, 도상 대조방법 등을 통해 초상화의 기법과 의상표현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 ‘상외지상(像外之象)’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像’이라는 의미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초상화’를 가리킨다. 두 번째는 ‘상술(相術)’을 의미한다. ‘상(相)’과 ‘상(像)’은 같은 음(同音)이다. ‘상학(相學)’은 얼굴 형상의 ‘도상(圖像)’ 혹은 ‘천상(天象)’의 구성 요소를 부여한다. 상술과 초상화의 연관성은 밀접하다. ‘象’은 초상화에서 의상 표현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초상화의 핵심사상의 내용을 파악하여, 초상화의 발전과 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작품의 형식과 결합하여 초상화의 ‘의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표현하였다. 또한 현대 초상화의 창작관념의 한계와 확장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초상화의 개념을 분석하고 초상화 창작의 핵심적 내용을 이끌어내었다. 이처럼 본 논문은 ‘초상’ · ‘상술’ · ‘의상’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첫째, 초상화의 개념과 역사적 기원의 흐름을 이론적으로 개괄하였으며, 초상화의 창작관념 및 풍격의 변천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명 · 청시대 서학(西學)의 배경 아래에서 초상화 발전을 서술하였다. 둘째, 상술과 초상화의 연관성, 초상화의 변천과정과 창작적인 측면에서 상술의 관찰법에 대한 구체적인 응용 등을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초상화를 활용하거나 이용하는 측면에서 초상 · 상술 · 의상의 상호작용 및 표현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초상화의 색채관 · 형신관 · 의상관 등의 관점에서 초상화의 함의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미학적 측면에서 ‘의상’의 개념에 대해 약술하였으며, 전통 초상화 작품을 통해 중국 전통 회화사를 관통하는 미적 개념과 창작의 표현을 연구하였다. ‘의상’은 중국전통 회화의 중요 표현 수단이며, 중국 고전미학의 기본 범주 중 하나이다. 초상화 창작 환경의 발전과 예시를 통하여 초상화의 ‘의상’적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자의 초상화 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창작 실천 인증과 반성적 사고를 진행하였다. 또한 중 · 서 회화 문화의 상호 충돌에 관한 현대적 문제에 있어, 초상화 창작이론, 기법표현, 의상표현은 어떻게 하면 중국전통 회화의 정신적 근본을 견지하는 동시에 서양회화 관념을 취사선택하여 융화 시킬 수 있을까? 하는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연구자의 공필 초상화와 사의 초상화 작품은 전통 초상화의 이념과 서로 조화된다. 서양예술이 융합된 시대적 배경에서, 서양미술에서 취사선택하여 장점을 택하여 정수만을 남기는 것도 현대 초상화의 올바른 길이라 사료된다. 물론 전통 창작 관념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고, 서양 회화의 관념적 시각을 조화롭게 적용하고, 전통 초상화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여 중 · 서 회화 창작의 조화 및 회화 이념상의 융합을 이루기도 해야 한다. 중국미술의 발전은 서양미술의 영향으로 관념적 변화가 있었지만, 가장 기본적인 전통회화의 이념이라 하는 육법론(六法論) · 이형사신(以形寫神) · 형신겸비(形神兼備) · 의상조형(意象造型) 등은 그대로 존속된다. 이는 서양의 미술이론과 상이한 개념이기도 하지만, 중국미술이 지키고 계승해 나가야할 회화이념이다. 예술이 다원화된 시대적 배경에서 서양예술에 대한 적절한 취사선택에서 현대회화 방향을 찾는 것도 하나의 목적이라 하겠다.

      • Virginia Woolf의『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창작기법 연구

        정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95

        본 논문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울프의 창작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버지니아 울프는 20세기 모더니즘 시대의 작가로서 여러 다양한 실험을 작품에서 시도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전 시대에 비해 좀 더 성숙되고 인간의 내면에 관한 고민이나 생각이 엿보인다. 그래서 그녀는 형식면에서도 이런 인간의 심오하고도 복잡한 삶의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나타나는 인간적인 상실감이나 폐해, 그 속에서 삶의 비전을 찾게 되는 등장인물의 모습을 담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시도를 하게 된다. 기존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버지니아 울프 만의 독창적인 기법적 특성은 이런 그녀의 생각을 잘 반영하는 모습 일 것이다. 단순히 겉으로 보이는 기법 이상을 뛰어 넘어 단어나 작은 표현 하나하나 마다 그녀가 상당한 힘을 기울이며, 여성작가로서 당시 큰 센세이션을 불러온 점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창작기법의 역할을 상당히 중시하고 있으며, 그 역할이 다른 소설 보다도 두드러지며 적재적소에 잘 표출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텍스트의 기법적 특성과 효용성을 기반으로 주요 창작법이 잘 들어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의미를 분석해 낼 것이며, 이런 작업은 주제의식은 물론 소설 텍스트의 의미를 새로이 발견해 낼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녀는 작품에는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자연의 영혼이나 자유가 깃든 표현을 사용하려 했던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울프의 자연에 대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서사 글 에서 볼 수 없는 시적인 표현을 사용해 감정을 극대화 하여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인물에게 각기 다른 색상을 사용하여, 좀 더 개인적인 특성을 부여하고 있다. 여기서는 울프의 미적 감각과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동작표현의 사용은 인물들의 감정이나 생각을 그대로 서술하기 보다는 행동을 묘사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더욱 작품에 몰입하도록 이끈다. 몽타주 기법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한 곳에 모이게 하는 융합의 구성으로 두 중심인물을 한 장면으로 가져온다. 마지막으로 그녀가 작품 속에서 많이 사용했던 여러 상징들은 주제의식에 대한 이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작품의 기법적인 접근은 독자로 하여금 작품을 좀 더 잘 이해하도록 만들며, 가치를 되새길 수 있게 할 것이다. 더불어 주인공인 클라리사가 삶과 죽음이 서로 상이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일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며, 그 안에서 삶의 비전을 발견하는 작품의 주제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의미에서 『댈러웨이 부인』은 울프의 새로운 실험적인 기법들이 살아 숨 쉬는 장이자, 기법 자체가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독자는 소설을 읽어나감으로써 문법적 특성과 내용에 반응하며 능동적인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울프의 작품에서 창작기법에 관한 접근들은 우리가 기대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독자보다 좀 더 발전되고 생각하는 독자가 되도록 만든다. 울프의 실험적 창작기법의 표출인『댈러웨이 부인』의 가치와 소설 읽기는 문학적 기법이 소설 안에서 주는 의미를 파악하게 하고, 문학적 소양을 넓혀 주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러 기법에 관한 방법들을 이해함으로써 텍스트와 독자, 작가 사이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독자가 스스로 작품을 해석하고 바라보는 관점과 시야를 넓히는데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독자가 책 한권을 읽고 느끼는 단순한 감상 이상을 넘어서 문학의 다양한 기능 및 고급사고를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울프의 소설 Mrs. Dalloway에 나타난 창작 기법나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그녀가 표현하려는 주제의식을 알 수 있는 또 하나의 통로가 되며, 작품 속에 머물러 있는 등장인물들을 살아 움직이게 한다. 이것은 울프가 소설 창작기법에 있어서 모더니즘 시대에 새로운 개척을 한 소설가로서 현대까지 기억되는 모습일 것이다.

      • 소설 창작 기법으로서 롤플레잉을 통한 자아 객관화와 타자의 발견 연구

        김현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51

        Novel creators by each other to use have other choice than such as coessential in the world, if the world was looking at the response to the point of view, but form is different. Subject of the novel, also known as the best implement in order to creators novel, who already have known or unknown all the novels enemy techniqu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is is a novel technique of all of the novel visualizes the subject to the optimal condition can be set only means that there is no. In order to this is really the creator novels, when writing conscious or used to the main unconsciously to see what is it, after reviewing a novel that implement subjects was intended for the purpose. This novel creators mobilized to technique of the novel visualizes the subject matter of the main tool for research. The novel creators a character for the most part to the division of the self-experience it. The continuity exist, certainty, cannot be guaranteed in the situation to figure as soon as self-and the other. His reputation as I lost the fact that went to the self-journey from only through the identity recovery of narrative, and makes it impossible. Who symbolic death or disappearance, escape, lung, self-destructive to the continuity, no certainty the self, self-identity is named the other endless trying to escape from it. We will emphasize the fact that they lead to death, the integration of the self that it is impossible to despair, not because it is the fact that. Self became batter in the situation to be incorporated into self-no longer exists because it does not go back to a separate self where place does not exist. Place to return to the absence of they floated away from home, from death. The novel creator's characters in more this pain to go back to the empty house. because he was not exist. It's from the very first did not exist. Nevertheless, there is a place to go back to say that the hiring that the self-examination, there is no essence, the others and others are pretending cliche that false are from suffering. Friend batters pretended to be, and just pretend to their parent hitter, love is the love vessels, and artists vessels, and the source of pain "pretend" terms, that the it as their parents who have already, friends, love, and art is. The way of speaking leas Kundrera, parents and friends, love and art into the were forced to “deportation” it. In contrast, those who never emigrated voluntarily 'pretend to' does not. before the other as a othes said 'no' because all stage. In shortly, involuntary migration 'pretend' to invoke the voluntary migration the other, manner of saying the other will be. Indeed it empty and exists only been given the way of self-objectification. So, thoroughly that experience in the way at any moment others with me or manifestation by empty the world, chances of survival that. The remains problem which concretely to encounter with what kind of the others, again to say and innumerable difficulties the other what kind of face. In the recent creators impersonal subject and ethical subject has emerged as a similar frequency. Of course, the novel creators a character, the trust me the subject likes Deleuze or Levinas as it would not be fair to say. However, ''Trough Roleplaying itself and the other self-discovery research" is must inevitably be reached the point that it is here, a specific face batters to draw other's no manifestation of a little light brought as soon as I could get out the fact that should emphasized. This dissertation why written, that is the critics argue that will be fears, and critics of creators's asserting that non-creators. 소설 창작자들이 각자 서로 다른 작품을 쓸 수밖에 없는 것은 그들이 비록 같은 세계 속에 던져졌다 해도 그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반응하는 양식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소설의 주제라고도 할 수 있는 그것을 가장 최상의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소설 창작자들은 이미 알려졌거나 알려지지 않은 모든 소설적 기법들을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활용한다. 이것은 소설의 모든 기법은 소설의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세팅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고는 창작자가 실제로 소설을 창작할 때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으로 사용했던 주된 방법이 무엇인지를 검토한 뒤 그것이 어떤 소설적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창작자가 동원한 소설적 기법이 곧 소설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주된 도구임을 연구하고자 한다. 창작자의 소설 작품 속 인물들은 대부분 자아의 분열을 경험한다. 존재의 연속성도, 확실성도 보장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인물들에게 자아란 곧 타자이다. 내가 나의 타자라는 사실은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가는 여정을 통해 비로소 정체성을 회복하는 식의 서사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인물들은 상징적인 죽음을 맞이하거나 혹은 실종, 도피, 유폐, 자해 등을 통해 연속성도 없고 확실성도 없는 자아, 자아라는 이름의 이 타자로부터 끝없이 벗어나고자 한다. 강조할 점은 그들이 죽음에 이르는 것은 자아의 통합이 불가능하다는 절망 때문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자아가 타자가 되어버린 상황에서는 통합해야 할 자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분리된 자아에게 되돌아갈 곳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회귀할 장소가 부재하기에 그들은 집 밖에서 떠돌다가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창작자의 소설 작품 속 인물들이 고통을 겪는 건 돌아갈 집이 없어서가 아니다. 그것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아갈 곳이 있다고 말하는 성찰 없는 허언들, 본질적으론 타자이면서 타자가 아닌 척 하는 상투적 허위들 때문에 고통 받는 것이다. 친구인 척 하는 타자, 부모인 척 하는 타자, 사랑인 척 하는 사랑, 예술인 척 하는 예술 등이 고통의 근원이다. ‘척’한다는 용어를 통해 알 수 있듯 그것들은 이미 부모, 친구, 사랑, 예술이 아니다. 쿤데라 식으로 표현하자면 부모와 친구, 사랑과 예술 속으로 ‘강제 이주’한 것들이다. ‘강제’라는 용어가 암시하듯 ‘척’ 하는 것의 특징은 ‘비자발성’에 있다. 이에 반해 자발적으로 이주한 자들은 결코 ‘척’ 하지 않는다. 타자가 되기 전에는 타자로서의 나도 타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요컨대 비자발적 강제 이주가 ‘척’을 불러온다면 자발적인 이주는 나는 타자가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타자가 되는 방식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텅 빈 존재에게 주어진 유일한 자기 객관화의 길이다. 내가 나의 타자이므로 철저히 그 타자됨을 경험하는 방식을 통해 타자를 어느 순간 내 안에서 현현하게 함으로써 텅 빈 이 세계에서 생존할 가능성을 얻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남은 문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타자와 조우한 것인가, 다시 말해 내가 만난 타자가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창작자의 최근작에서는 비인격적인 주체와 윤리적인 주체가 비슷한 빈도로 등장하고 있다. 물론 그것만 가지고 창작자의 소설 작품 속 인물이 들뢰즈나 레비나스의 주체와 동격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며 그래서도 안 될 것이다. 다만 ‘롤플레잉을 통한 자아 객관화와 타자의 발견’이라는 본 연구가 필연적으로 도달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 바로 여기라는 점, 타자의 구체적인 얼굴을 그릴 수 없다면 타자의 현현이 가져다준 희미한 빛이 곧 꺼져버릴 수도 있다는 사실은 강조해야 할 듯하다. 본고는 ‘비평가가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비평가가 된 창작자’가 그로 인해 ‘창작자라고 주장하면서 창작자 아닌 자’가 될까봐 두려워하며 쓴 글이기 때문이다.

      •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강선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50

        본 연구는 작곡가 이성천(1936~2003)의 생애사를 근간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이성천의 주요 작품 164곡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이성천의 생애는 제1~4기의 네 단계로 나뉘었고, 작품성격은 무제(無題)음악, 전통음악적 작품, 자연 소재 작품, 일상적 삶 소재 작품, 종교·철학 주제 작품,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 문학 소재 작품의 일곱 항목으로 분석·정리되었다. 이를 시기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성천의 시기별 작품성격을 종합하면, 전체 164곡 중에서 전통음악적 작품이 51곡(31.1%)으로 가장 많이 작곡되었고, 다음으로 자연 소재 작품 35곡(21.3%), 무제음악 29곡(17.7%), 종교·철학 주제 작품 19곡(11.6%), 일상적 삶 소재 작품 18곡(11.0%), 문학 소재 작품 9곡(5.5%),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 3곡(1.8%)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 시기를 통틀어 전통음악적 작품과 자연 소재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이성천의 작품세계에서 한국 전통음악의 정신과 양식이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말해주며, 한국 전통음악의 아름다움은 한국적 자연을 통해 나타난다는 이성천의 음악철학을 반영하고 있다. 반면 무제음악은 제 1·2기에만 작곡되었고,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은 제 2기에, 문학 소재 작품은 제 3기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이성천의 생애사 연구에서 밝혀진 작품성격 일곱 항목에서 주요 작품 20곡을 선정하여 이성천 작곡기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무제음악에서는 서양음악의 형식과 단순한 작곡기법을 주로 보이고 있었고, 전통음악적 작품은 제 1·2기를 지나 제 3기 이후로 들며 서양음악적인 요소와 전통음악적인 요소가 서로 대립함 없이 자연스럽게 조화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자연 소재 작품, 일상적 삶 소재 작품, 종교·철학 주제 작품, 민족주의적 작품, 문학 소재 작품에서도 제 3기 이후로 갈수록 한국 전통음악적인 양식이 작품에 심도 있게 반영되었는데, 특히 민족주의적 주제 작품에서 제례악의 악작(樂作)·악지(樂止) 양식을 수용한 점과 문학 소재 작품에서 가사의 이면에 맞도록 전통가곡의 어법을 수용한 점이 주목된다. 일곱 가지 주제를 모두 통틀어, 본고에서 밝혀진 이성천 작곡기법의 중심적 특성은 악곡구조와 악곡 진행 방식에서 나타난다. 이성천의 작품은 악곡 내 유기적 연관성의 치밀한 논리에 의한 탄탄한 구조가 밑바탕을 이루고 있고, 악곡 주제 및 음형 변화의 진행 양상에 급격한 변화가 드물며, 세부적 음형의 점진적인 변화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절정에 도달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평소 선비작곡가로 불렸던 이성천의 온화한 성품과 가치관을 반영해주고 있다. 이성천의 생애에 따른 작품성격 전개양상과 작품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이성천이 국악작곡가로서 창작국악사 및 더 넓게 한국음악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가치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천은 치밀한 악곡구성과 논리적 짜임새, 점진적인 변화양식을 통해 창작국악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둘째, 이성천은 작곡 인생 초기에서부터 창작국악의 정체성 및 개념정립을 위해 노력한 작곡가였다. 셋째, 이성천의 작곡기법에서 서양음악적인 요소와 한국 전통적인 요소가 서로 조화하는 점은 혼종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창작국악의 발전단계에서 이성천의 작품이 기여한 바이다. 넷째, 21현 가야금의 개발과 그 악기를 위한 창작이다. 21현 가야금의 출현은 음역의 확대를 통해 7음음계를 시도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화성적인 기법의 연주를 수월하게 했다는 점에서 창작국악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섯째, 이성천은 국악의 대중화를 위하여 국악기를 위한 찬송가의 편곡 작업에 관심을 기울였고, 어린이들이 국악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여러 국악동요를 창작하였다. 이성천은 전 생애를 통해 다작을 하면서 서양음악적인 기법으로 시작하여 한국전통음악적인 양식과 정신을 작품에 담아냄으로써 20세기 전반기 한국 창작음악의 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온 창작국악의 1세대 작곡가로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여성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류선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46

        본 연구는 한국 여성소설에서 여성이 겪는 소통의 단절이나 어려움에 주목하고, 이러한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인물이 환상성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되돌아보고 해결해가는 과정을 창작소설로 쓰고, 이를 라캉의 주체화 이론과 연결해서 이론화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인물형을 창조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은 창작소설에 근거해 인물, 사건, 배경이라는 문학적 요소 중 인물을 라캉의 주체화 이론과 연결하는 작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여성 인물이 소통하는 타자는 ‘아버지, 남편, 친구’로 대변되는 인물로 ‘아버지의 이름’이라는 상징적 기표와도 연결된다. 만날 수 없거나 화해할 수 없는 상대와 소통을 시도하면서 발생하는 모순은 환상성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인물의 성장은 라캉의 주체화 이론 즉, 아버지의 이름이 탄생하는 구조를 통해 상징적인 것이 내면화되는 과정과 이 구조를 벗어나려는 시도로 연결했다. 이러한 성장의 바탕에는 타자와의 소통이 자리한다. 본 연구의 창작 실제에는 위에서 살펴본 창작 이론을 배경으로 환상성의 기법을 활용한 세 편의 창작소설이 들어있다. 첫 번째 창작소설 「염소의 밤」은 환각과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을 접목해 새로운 은유를 생성하는 구조와 이를 통한 주체화 과정을 그렸다. 두 번째 창작소설 「담」은 변신과 시선 이론을 접목해 인간의 욕망과 주체의 형성, 주체 분열의 문제에 중점을 두었다. 세 번째 창작소설 「그들이 말해주지 않은 것들」은 꿈과 환상 횡단을 접목해 주체가 성장하는 과정을 연결했다. 결국, 타자와의 소통을 통해 성장한 인물들은 한 사람의 여성이 어떻게 가부장적 질서 안에서 성장하고, 자신만의 온전한 질서나 체계를 만들어가는지 구체적인 모습과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고는 문학의 인물과 환상성을 라캉의 주체화 이론과 연결해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인물형을 창조하려는 시도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emale protagonists feel disconnected and suffer difficulties due to communication breakdowns in Korean female novels. The author worked on a creative writing show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haracters in plight look back on thei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through fantasy. This process was theorized afterwards in reference to Lacan’s theory of subjectivation,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character with new values. As to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thodology, a character, among the literary elements such as plot and setting, was associated with the Lacan’s theory based on three short creative stories. Other characters, with whom the female protagonist communicates symbolically representing “father, husband, friend” are associated with the symbol called the “Name-of-the-Father.” Fantasy was employed to remove contradictory points arising from communication with those neither unable to see nor come to an agreement with.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individual growth was connected with the Lacan’s theory that symbols are internalized through the structure from which the Name-of-the-Father is made and one attempts to escape. It is communication with others that is the underlying element of growth. The creative practice of this study includes three short creative stories made by using a technique of fantas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y of creation. The first short story The Night of the Goat was applied with illusions and Lacan’s theory of mirror stage, and describes a new frame through which new metaphors are made and subjectivation is accomplished. The second short story The Wall delves into the issues concerning human desire, the formation, and division of subjects based on the theory of metamorphosis and gaze. The third short story Things They Didn’t Tell Us connects dreams and traversing of fantasy with the growth process of the subject. The characters who have grown up on a par with communication with others will provide a concrete view on how a female grows up in the patriarchal system and develops her own complete order and system. This study thus attempts to create a character having new values in the way that connects the characters and fantasies of literature with the Lacan’s theory of subjectivation.

      • 박동진 창작판소리 <忠武公 李舜臣傳>의 작창기법 연구

        이진솔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34

        박동진은 20세기 후반에 ‘완창’이라는 공연문화를 새롭게 만들어낸 인물이며 창작 판소리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소리꾼이다. 박동진의 생애 전체 시기 중 1970년대는 박동진이 판소리의 복원과 창작에 가장 많은 힘을 쏟았던 시기이고 이때 박동진이 창작한 판소리로는 대표적으로 <예수전>과 <충무공 이순신전>이 있다. 지금까지 <충무공 이순신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고, 음악적 논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충무공 이순신전>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여 박동진이 창작 판소리에서 지향한 음악 세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충무공 이순신전>을 분석하기에 앞서 박동진의 작창 활동 및 <충무공 이순신전>의 창작경위에 대해 논의하였다. 박동진은 1968~1971년에 걸쳐 전통 판소리 5바탕 완창발표회를 하였으며, 더불어 실전 판소리 복원과 창작판소리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실전 판소리로는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숙영낭자전>, <옹고집전>, <장끼타령>을 복원하였으며, 창작 판소리로는 <예수전>과 <충무공 이순신전>을 작창하였다. 이러한 까닭으로 20세기 후반 전개된 박동진의 활동은 현대판소리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충무공 이순신전>의 작창 기법을 사설, 악조, 선율, 장단붙임새, 상황에 따른 이면 구현의 다섯 측면에서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설 특징으로 <충무공 이순신전>의 사설은 <적벽가>, <춘향가>, <심청가> 등 전통 판소리 5바탕의 사설을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벽가>에서는 ‘조조가 군사 정비하는 대목’, ‘동남풍 비는 대목’, ‘적벽강 싸움 대목’, ‘군사설움 대목’, ‘서성․정봉이 공명을 찾아가는 대목’을 차용하였으며, <춘향가>는 ‘춘향모 춤 대목’과 ‘십장가 대목’, <심청가>는 ‘심봉사 통곡 대목’과 ‘맹인들 송축 대목’을 차용하였다. 이에 따라 <충무공 이순신전>은 전통 판소리 5바탕과 동일한 상황에서 일부 사설을 차용하여 재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악조 특징으로는 전통 판소리에 사용되는 우조길과 계면길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조길이 전체 52대목 중 41대목으로 계면길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비중으로 사용되었다. <충무공 이순신전>이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기 때문에 우조길 위주로 쓰였으며, 계면길과 함께 쓰여 선명한 선율의 대비를 이루었다. 셋째, 선율 특징으로는 유사사설을 중심으로 선율을 비교하였다. 유사한 상황에서 전통 판소리의 악조와 장단을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선율도 유사하게 수용한 반면, 장단이 달라질 경우 악조와 선율을 변용하여 작창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전>에는 동음반복과 한 옥타브 하행하는 선율이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는 임방울의 <적벽가>를 비롯하여 전통 판소리 5바탕에도 자주 사용되는 관용적인 어법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장단붙임새 특징으로 <충무공 이순신전>은 대마디대장단을 바탕으로 완자걸이, 잉어걸이, 당겨붙임과 밀붙임 등의 리듬 변화를 구사하였다. 대마디대장단에서는 같은 음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장단에 따라 리듬구조가 다르게 사용되었다. 2음보에서는 6+6구조, 4+8구조, 9+3구조, 3+9구조의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3음보에서는 6+3+3구조, 3+3+6구조, 2+2+8구조의 세 가지 유형, 4음보에서는 3+3+3+3구조, 2+4+3+3구조, 2+4+2+4구조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완자걸이는 악곡 전체에서 매우 많이 사용되었으며, 3+3+2+2+2구조, 3+2+2+2+3구조, 2+2+2+3+3구조, 2+2+2+2+2+2구조로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잉어걸이는 드물게 쓰였는데, 강세의 변화로 선율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였다. 엇붙임은 밀붙임과 당겨붙임이 모두 나타났으며, 그 중 밀붙임이 작품 전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대마디대장단과 리듬 면에서 대조를 이루었다. 다섯째, <충무공 이순신전>에 나타난 상황에 따른 이면 구현은 배경 설명, 전투 준비, 전투 장면, 등장인물의 죽음 네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배경 설명 장면과 전투 준비 장면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4개 장단을 모두 사용하였는데, 우조길이나 계면길에 중모리장단을 사용하여 차분하게 상황을 설명하는 대목이 가장 많이 구성되었다. 빠르게 전개되는 전투 장면은 우조길에 자진모리장단으로 급박한 상황을 긴장감 있게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등장인물의 죽음 장면은 통곡하는 모습이나 등장인물의 죽음을 여러 장단으로 표현하였는데, 죽음을 슬퍼하는 대목은 계면길에 진양조장단으로 노래하였다. 이로 미루어 <충무공 이순신전>이 장단과 악조로 상황에 따른 이면을 구현하는 판소리의 음악어법을 그대로 수용하여 작창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논의를 진행한 결과, 본 연구는 20세기 후기를 대표하는 판소리 명창 박동진의 <충무공 이순신전>의 작창기법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충무공 이순신전>은 전통 판소리 5바탕과 동일한 상황에서 유사한 사설로 짜였으며, 악조․선율․장단 면에서 판소리 어법을 바탕으로 작창되었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전통 판소리와 실전 판소리 복원뿐만 아니라 창작에도 능하였던 박동진의 작창기법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열쇠임이 틀림없다. 본 연구가 판소리 명창 박동진의 위상을 재조명하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잊혀진 옛 명창들의 소리를 분석하여 판소리가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정립되는 과정을 심도 있게 고찰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Park Dong-jin was a representative folk singer who created the performance culture of ‘Wanchang (full version singing)’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influenced Pansori newly produced. During his lifetime, Park Dong-jin invested the greatest energy in restoration and creation of Pansori in the 1970s, and representative pieces of Pansori created by Park Dong-jin in such a period include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and <Admiral Yi Sun-shin>. So far, studies on <Admiral Yi Sun-shin>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in terms of Korean literature and no related discussion in music has been conducted. Starting from such critical awareness, the present thesis aims to illuminate the musical world Park Dong-jin pursued in creative Pansori by analyzing <Admiral Yi Sun-shin> and investigating its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is thesis, Chapter Ⅱ examines composition activities of Park Dong-jin and discusses the details about the creation of <Admiral Yi Sun-shin>. Between 1968~1971, he held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s for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and paid attention to the restoration of lost Pansori along with creation of Pansori. As for lost Pansori, he restored <Byeongangsoe Taryeong>, <Baebijang Taryeong>, <Sugyeongnangja Jeon>, and <Onggojip Jeon>. Regarding created Pansori, he composed <The Life Story of Jesus Christ> and <Admiral Yi Sun-shin>. Hence, it was considered that activities conducted by Park Dong-jin in the late 20th centur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dern history of Pansori. In Chapter Ⅲ, the composition techniques of <Admiral Yi Sun-shin> from five aspects including a narrative, key and mode, melody, Jangdan Buchimsae, and realization of Imyeon according to situations, thus deriving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analyzed. Firstl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the study identifies narratives of <Admiral Yi Sun-shin> had accepted narratives of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including <Jeokbyeokga>, <Chunhyangga>, and <Simcheongga>. For <Jeokbyeokga>, it borrowed parts about ‘Cao Cao's organization of the army’, ‘Pray for the southeast wind’, ‘Battle of red Cliff’, ‘Soldiers' mourning’, and ‘Xu Sheng Ding Feng's visiting to Kong Ming’. For <Chunhyangga>, it borrowed parts about ‘Dance by Chunhyang's mother’ and ‘Sipjangga’, and for <Simcheongga>, it borrowed parts about ‘Wail of Sim Bong Sa’ and ‘Blessing of the blind’. Hence, it shows that <Admiral Yi Sun-shin> was reorganized by borrowing some narratives in a situation identical to that of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Second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key and mode, the research finds that it used Ujogil and Kyemyeongil for traditional Pansori. Particularly, out of 52 parts, Ujogil uses 41 parts which accounts a much higher ratio than that of Kyemyeongil. Since <Admiral Yi Sun-shin> was the work set during the war, it was mainly used Ujogil, showing a clear melodic contrast with Kyemyeongil. Third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the study compares melodies with a focus on similar narratives. In case of using the same key/mode and Jangdan as those of traditional Pansori in a similar situation, melodies were used in a similar manner. However, in case of changing Jangdan, key/mode and melody were transformed. Furthermore, <Admiral Yi Sun-shin> used repetition of unison and an octave down-melody very frequently, and the research found that it is a customary technique often used for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including <Jeokbyeokga> by Im Bang-ul. Fourthly,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Buchimsae, <Admiral Yi Sun-shin> made full use of the rhythmic changes including Wanjageori, Ingeogeori, Danggyeobuchim and Milbuchim based on Daemadi Daejangdan. In Daemadi Daejangdan, it uses different rhythmic structures depending on Jangdan despite the same foot. The second foot showed four types of structures including 6+6, 4+8, 9+3, 3+9, and the third foot had three types of structures like 6+3+3, 3+3+6 and 2+2+8. Also, the fourth foot showed three types of structures including 3+3+3+3, 2+4+3+3, 2+4+2+4. Wanjageori was used in the entire piece very frequently, showing four types of structures including 3+3+2+2+2, 3+2+2+2+3, 2+2+2+3+3 and 2+2+2+2+2+2. Ingeogeori was rarely used and played a role in emphasizing the melody through changes of an accent. As for Eotbuchim, it showed both Milbuchim and Danggyeobuchim. In particular, Milbuchim was frequently used in the entire work so showed the contrast with Daemadi Daejangdan in terms of rhythm. Fifthly, in <Admiral Yi Sun-shin>, realization of Imyeon according to situations was examined from four scenes of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preparation for the battle, and combat and death of the character. For scenes of the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nd preparation for the battle, four types of Jangdan like Jinyangjo,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were used, and there were a lot of parts explaining a situation using Jungmori in Ujogil or Kyemyeongil. As the combat scene developed rapidly, an urgent situation was expressed with tension using Jajinmori in Ujogil. Finally, as for the scene about the death of the character, death and mourning were expressed with several kinds of Jangdan, and the part about lament for the death used Jinyangjo in Kyemyeongil. It reveals that <Admiral Yi Sun-shin> was composed by embracing the musical language of Pansori to realize Imyeon according to situations using Jangdan and key/mode. As shown in discussions abov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techniques of <Admiral Yi Sun-shin> by Park Dong-jin who was the representative Pansori master in the late 20th century. <Admiral Yi Sun-shin> was organized with narratives similar to those of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in the similar situation which was based on Pansori techniques in terms of key/mode․melody․Jangdan. It is concluded that such musical characteristics consist of an important key to read composition techniques of Park Dong-jin who was skilled not only in restoration of traditional and lost Pansori but in creation of Pansori overall. This research expects to play a role in rediscovering the position of master Park Dong-jin and to see in-depth studies being actively conducted about current establishment of Pansori via the analysis on songs by old masters who were forgotten.

      • 쟁 창작 독주곡의 발전사 연구 : : 195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리우위한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34

        The Zheng is a traditional Chinese musical instrument with a history of over 2,000 years, throughout which the unique landscape, i.e., China’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olo Zheng compositions,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creative thinking of composers and its distinctiv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gainst that backdrop,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il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analyzed solo compositions from the four timeline intervals, i.e., the 1950s, the 1960s–1970s, the 1980s–1990s, and the 2000s–present, as well as delved into their creative grammars. Afterward, the associated performance techniques were organized, and the macroscopic trend ofsolo Zheng compositions since the 1950s researched in order to acquire a conclusive grasp of the performance techniques. From that, a projection of solo Zheng compositions going forward was laid out, offering significant academic references for the topic. Since the foundation of New China in 1949,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recovery have provided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Zheng. In the 1950s, Zheng solo compositions were created using traditional Chinese five-tone scales, and the musical melody was adapted based on the melody of folk music, containing a rich Chinese traditional local musical character. In addition, composers during this period began to encounter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so they did not stop at using traditional Chinese music forms in the creative process. In the 1960s and 1970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time, Zheng's works mainly praised government materials, so the works lacked the expression of the composer's inner thoughts. As the formal structure of Zheng's solo work was complete, the music vocabulary became very diverse. In the 1980s and 1990s, Zheng's works developed rapidly based on the fus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elements, and professional composers were influenced by Western music and made breakthroughs in creativity and aesthetic concepts. It has achieved an unprecedented breakthrough in the exploration of the creativity of music and the aesthetic concept. Since 2000,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various foreign music and art forms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Chinese music culture. Composers led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zheng compositions by showing unique characteristics in scale, musical structure and beat through th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music,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and contemporary music ideology. 쟁은 중국 전통악기로 20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쟁의 작품 발전의 역사에서 중국의 정치·사회·문화는 작곡가들의 창작 사고에 직간접적 중요한 영향을 미쳐 시기별로 독특한 음악어법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1960년대-1970년대, 1980년대-1990년대, 2000년부터 현재까지 네 시기로 나누어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먼저 고찰하고 당시의 작품 분석을 통해 각 시기별 쟁 작품 창작 어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며 쟁 연주 기법을 시대별로 정리하였다.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사회 안정과 경제 회복은 쟁의 발전을 위한 환경이 제공되었다. 1950년대 쟁 독주작품은 중국 전통 5음 음계를 사용 해 창작하였으며, 음악적 선율은 민속음악의 선율을 바탕으로 개작하여 중국 전통 지방적인 음악적 특색이 짙게 담겨 있었다. 또한 이 시기의 작 곡가들은 서양의 작곡 기술을 처음 접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창작 과정에 서 중국 전통 악곡 형식을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1960-1970년대 쟁 독주 작품은 당시 정치 환경의 영향으로 주로 정부를 찬양하는 소재를 사용한다. 쟁 독주 작품은 형식 구조가 완비됨과 동시에 음악 어법은 매우 다양해졌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중국의 개혁개방 기간 동안 대외 문화교류가 지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쟁의 창작은 중국의 전통과 서양의 요소의 융합 기조 위에서 번영하고 발전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세계화 시대로 서양의 음악과 예술 형식이 중국 음악 문화에 영향을 끼쳤고, 작 곡가들은 중국 전통 음악, 서양 작곡 기법, 현대 음악 이념의 융합을 통해 음계, 악곡 구조, 텍스쳐와 박자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쟁 작품의 혁신과 발전을 이끌었다. 이러한 시대별 쟁 독주곡의 음악 특징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1950년대 이후 쟁 독주 작품의 발전 과정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며 쟁 연주 기법의 발전 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시기별 작품 분석 연구를 바탕으로 21세기 쟁 독주 작품 발전을 위해 연구자의 소고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쟁 작품의 발전을 위한 귀중한 문헌적 자료로 사용되길 기대된다.

      • 박태원의 고현학적 창작 기법 연구

        류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7

        이 논문은 1930년대 박태원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고현학적 창작 기법을 그 대상으로 한다. 박태원의 30년대 작품에 대한 평가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을 중심으로 전재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작품이 가지는 작가 의식의 연속성보다는 단절에 더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박태원이 자신의 창작 방법론으로 제시한 고 현학을 30년대 작품에 꾸준히 반영하고 있음을 간과한 결과이다. 따라서 기존의 박태원 연구들은 그의 작품에 나타난 기법적 특성에 주목하면서도, 정작 그가 창작 기법으로 제시한 고현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하지 못했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그의 대표작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이 고현학을 통해 풍부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박태원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에 본고는 고현학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과 《천변풍경》 의 내적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을 사소설적 경향이 드러난 심경소설로, 《천변풍경》은 청계천변이라는 일상적 세계를 세밀한 묘사로 담아낸 세태 소설로 평가하는 기존의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본고는 고현학을 새로운 준거의 틀로 삼아,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의 접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는 박태원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발판으로 삼아, 작품 해석에 풍성함을 더하는 것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박태원의 핵심적인 창작 기법으로서의 고현학의 기원을 찾아고자 했다. 또한 그것이 박태원에게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고 굴절되었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는 고현학을 단순히 사소설적인 경향의 일부로서 파악하는 기존의 견해가 박태원이 고현학을 수용한 당대의 논의가 아니라, 후대의 재해석 과정에서 나온 것임을 전제로 한 것이다 따라서 박태원 작품에 나타난 고현학에 대한 논의의 출발은 그 기원에서부터 다시 재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관동대지진 이후 출현한 고현학이 다분히 리얼리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동시에 당시에 출현했던 모더니즘을 애호하는 신감각파와도 일정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음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고현학의 출생 배경은 박태원 작품이 모더니즘의 실험과 리얼리즘적 경향을 모두 갖고 있는 것에 대한 해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장에서는 <적멸> 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박태원이 고현학을 어떤 경로를 통해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본고는 <적멸> 이 많은 부분에서 일본의 추리소설 작가인 에도가와 란뽀(江戶川亂步)의 작품을 수용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그것은 에도가와 란뽀가 고현학적 방법이 드러난 작품을 창작한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란뽀의 작품과 <적멸> 의 영향 관계는 박태원이 어떤 경로에서 고현학을 수용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박태원에게 있어서 고현학은 일본과 달리 좀더 복잡한 양상을 띠고 나타났다. 그것은 박태원의 고현학은 모더니즘 실험의 일환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에서 구보는 끓임었이 경성의 거리를 관찰하고자 한다. 하지만 구보의 시선은 번번이 모던하지 못한 경성의 풍경에 좌절한 채, 내면세계로 되돌아오고 만다. 결국 구보는 관찰 당하는 관찰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역설적으로 구보를 관찰하는, 서술화자로서의 작가 자신의 고현학을 성취되는 이중적 성격을 갖게 된다. 4장에서는 박태원의 고현학이 어떤 방식으로 완결되고, 굴절되는가를 파악하고자 했다. <거리> 를 통해 박태원은 마침내 내면의 객관화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내면의 주관성을 그대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것은 마침내 이 작품에서 참다운 의미의 고현학적 관찰자인 '양약국 젊은 점원'을 창조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 주관성의 인정이 역설적으로 자유로운 객관적 관찰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이러한 관찰자는 《천변종경》 의 재봉이를 통해 강화된다. 그러나 박태원은 친변이라는 공간을 재봉이 한 사람의 시선만으로 형상화하지는 않는다. 거기엔 또 다른 관찰로서 다양한 사람들의 관찰의 결과물인 '수다'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다와 재봉이의 관찰이 함께 진행되면서, 천변이라는 공간은 그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꿈틀거리는 욕망과 함께 형상화되었다. 《천변풍경》 의 이러한 장점이 《속천변풍경》 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좌절되어 버렸다는 사실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심경소설로, 《천변증경》을 세태소설로 규정하던 오류는 정정되어야만 한다. 이 두 작품은 박태원이 고현학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산출한 동일한 작기의식에 기반한 이란성 쌍둥이임을 주지해야만 한다. 오히려 박태원이 꿈꾸었던 것은 내성과 외면 어느 한쪽에 기우러지지 않은, 내성과 외면이 함께 분출됨으로써 총체성이 확보되는 소설적 세계였다. 임화의 지적대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천변풍경》 은 각각 하나의 중하로서의 의미만을 남기고 매듭지어진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의 실험을 끊임없이 지속했던 작기정신이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의미 있는 실패로 읽혀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reveal the method of Modernology on Park Tae-Won's novels in 1930's. Many reviewers have especiatly estimated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Most of them focused on severance instead of continuity between the two. They overlooked that Park Tae-Won steadily reflected Modernology in his 1930's novels. Because existing studies of Park Tae-Won' novels didn't pay attention to Modernology, there is not yet serious discussion about it. Therefore possibility, which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f《The Landscape around Brook》 could analyze through Modernology, were neglected.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Modernology detailedly, and then clarify inner relation betwee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 For this, this thesis reconsiders established studies of his novels which apt to oversimplify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s the mental novel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as the prevailing novel. This thesis focuses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by Modernology. Of course, it still depends on established studies, but progresses to add abundant explanation on Park's novels. In chapter 2, 1 try to find the beginning of Modernology, and then understand how to be accepted and refracted on his novels. 1 opposed to existing opinions which grasp Modernology as the tendency of autobiographical novels, because those opinions are not the day's discussion when Park accept it, but after ages's. Therefore we need tostart discussion of Modernology from its origin. At first, this thesis focuses on conflictive characters on Modernology. When Modernology appeared after Kantou grand earthquake, it had mostly realistic characters, at the same time, was also related to new Sensitive School which was fond of Modernism. Through such an appearance, we guess the reason how to be reflected modern experiments and realistic tendency in Park's novels. In chapter 3, 1 endeavor to understand Park Tae-Won how to accept Modernology by analyzing into <the Silent Ruin>. I observe that <the Silent Ruin> is under the influence of Edogawa Ranpo who is an japanese mystery novelist. Edogawa Ranpo is estimated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 who reflected Modernology in his works. It makes us to know Park how to accept method of Modernology. In Park Tae-Won's work, however, it came out a complex aspect different from Edogawa Ranpo. The reason is that he used Modernology as one of Modern experiments. In <A day of the Novelist 'Goo-Bo'> , Goo-Bo continuously try to observe Gyongsung street. But he get ruined and his eyes come back to the inside, because landscape isn't able to be modern in Gyongsung street. Finally Goo-Bo become the abserver who is observed. It makes paradoxically park's Modernology to succeed while Goo-Bo is observed. In chapter 4, 1 strive to grip Park's Modernology how to conclude and be refracted. Park gave up attachment that he objectively try to observe the inside in <A Street>. Eventually he turned round to admit subjectivity of the inside. It became motive power to create 'Young Clerk in a pharmacy who is a pure observer for Modernology. When Park admitted subjectivity, he could create a liberal observer. it was strengthened to be Jai-Bong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Park, however, didn't form 'Brook' just by?Jai-Bong's eyes There were 'Talkativeness' which was the result of various people's observation. People's desires was quaking with Brook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because of Jai-Bong and Talkativeness. For the first time, Park accomplished pure Modernology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 It is to be regretted that his modernological merit get ruined in 《'The Landscape around Brook's sequel》. This thesis suggest to correct existing mistakes which provide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s the mental novel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as the prevailing novel. We also should recognize that these two works are like biovular twins from identical process of seeking Modernology. Park preferably wished fictitious world which secure the whole to emit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gether. As Lim Wha said about <A day of the Novelist 'Goo-Bo'> and 《The Landscape around Brook》, each one may have value of low middle. Nevertheless we interpret them as a significant failure until changing writer's intention which had constantly sought one experiment.

      • N차모방과 공감에 기반한 무용창작연구 : 창작발레 『사계』를 중심으로

        강준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6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through which imitation and empath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rtistic works, drawing on literature reviews and choreographic creations in dance. By attempting to create a work titled "Four Seasons," the researcher observed how imitation and empathy evolve through multiple iterations, examining how they change with each season and identifying elements that stimulate the creative abilities of dancers. The process of Nth-order imitation and empathy involved recording an initial movement, which subsequent dancers imitated and empathized with to create variations in each iteration. From the 1st to the 4th iteration, variations in color, music, and theme were introduced. In the 5th iteration, sequential movements embodying the variations of each season were recorded. The exploration revealed that imitation and empathy are not only about movement but also evolve with variations, leading to creative imitation through empathy.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imitation and empathy was confirmed. Additionally, during the final stage of sequential progression through all seasons, dancers subtly influenced each other's movements. Throughout this process, it was noted that imitation and empathy could be planned systematically over time or occur spontaneously through intuitive judgments. Dancers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cess through Nth-order imitation and empathy, demonstrating that these processes unconsciously occur simultaneously. Repeating imitation and empathy in short intervals was found to enhance the sense of creativity. In conclusion, Nth-order imitation and empathy enhance creative abilities and techniques in dance choreography. This effectiveness is expected to extend beyond dance art to various artistic fields and education. Notably, differences in imitation and empathy were observed among dancers, indicating that individual expertise and effort influence creative outcomes.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diverse perspectives and creativity in dance education. Future studies should propose advanced educational methodologies based on concrete data for dance creation through repetitive Nth-order imitation and empathy, addressing the importance of "good imitation and empathy." 본 연구는 모방과 공감이 어떤 과정을 거쳐 예술작품을 창조하는지 문헌고찰 및 무용창작을 통해 탐구하였다. 연구자의 작품 『사계』를 통해 N차모방과 공감의 창작방식을 시도함으로써 각 계절마다모방과 공감이 어떻게변하는지를 관찰했고, 무용수들의창작 능력을 자극하는요소 를 확인했다. N차모방과 공감의 과정은 최초 동작을 녹화하여 다음 차수의 무용수가 녹화데이터를 모방과 공감의 과정을 거쳐 각 차수의 변이와 함께 모방을 녹화하는 방식으로 1차에서 4차까지 각 차수 에 색채, 음악, 주제의 변이를 제시하고, 5차에 각 변이가 포함된 사계절의 순차적 동작 진행으로 모방과 공감이 동작만이 아니고 변이에 따라 모방과 공감의 양상이 변하는 것을 탐색하였고 단 순동작의 모방이 아니고 각 변이에 따라 공감을 통한 창의적인 모방이 발생하며, 모방과 공감의 동시성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마지막 단계인 전체 사계절의 순차적 진행에서는 각 무용수들의 모방과 공감 동작이 일정부분 서로의 동작에 미세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방과공감은 시간을 두고계획적으로 진행될 수도있지만, 직관의 즉흥적판단으로도 모방과 공감이 발생할 수 있음이 고찰되었다. 무용수들은 N차모방과 공감의 단계를 통해 창작에 참여하였고, 결과적으로 모방과 공감이 동 시에 이뤄지며창작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진행된다는 것을, 그리고 짧은 시간 간격으로모방과 공감을 반복하는 것이 창작 감각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N차모방과 공감 은 창작무용에서 창작능력과 기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무용 예술 뿐 만 아니라 다 양한 예술 분야와 교육에 확장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무용수들 간에는 모방과 공감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개인에 따라 모방과 공감의 결과 는차이가 있는것을의미했다. 즉, 모방과 공감의과정에서 각분야의전문성과 노력이창의적인 모방과 공감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러한 차이는 무용교육에 다양한 창의력 과 새로운 관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반복적 N차모방과 공감을 통한 무용창작 교육의 필 요성과 "좋은모방과 공감"을 위한 구체적 데이터를기반으로 더발전된 교육방법론고안을 제안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